KR101070718B1 - 자동차의 섀시 부품용 지지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섀시 부품용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718B1
KR101070718B1 KR1020057018520A KR20057018520A KR101070718B1 KR 101070718 B1 KR101070718 B1 KR 101070718B1 KR 1020057018520 A KR1020057018520 A KR 1020057018520A KR 20057018520 A KR20057018520 A KR 20057018520A KR 101070718 B1 KR101070718 B1 KR 101070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chassis
support
chassis component
f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3494A (ko
Inventor
도미니끄 자놀랭
이봉 떼뛰
브뤼노 마께르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6001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30)의 섀시 부품(31)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10a)를 포함하는, 자동차(30)의 섀시 부품(31)용 지지체(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 강도의 힘이 연결 부재(10a)에 가해질 때 각 연결 부재(10a)가 지지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섀시 부품용 지지체{SUPPORT FOR A PART OF THE CHASSIS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구조 상에 섀시(chassis) 부품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섀시는 일반적으로 리지드 구조 상에 결속되어 섀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분리된 부품으로 구성된다. 이들 부품 중에는, 특히 차량의 전륜을 뒤덮고 둘러싸는 2 개의 프론트 펜더가 있다. 또한, 윈드실드 근처의 구역에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테크니컬 프로트 페이스에 대하여 소위 FAT 구조 상에 대향 위치하는 프론트 후드도 있다.
자동차의 섀시 구조에 펜더를 유지하기 위하여, 해당 펜더의 내면과 소위 보디 쉘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지지체를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체에는 일반적으로, 특히 펜더의 상부가 결속되어 있는 고정점들을 형성하는 소정 수의 연결 부재가 마련된다. 또한, 지지체 자체는 일반적으로 나사로 조여져 섀시 구조에 고정된다.
이러한 유형의 펜더 지지체는 자동차와 정면 충돌할 경우의 보행자 보호에 관한 자래의 규격에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펜더가 야기하는 리지드(rigid)형 조립의 경우, 펜더는 임의의 충격을 부분적으로라도 완화시키지 못하므로 사고자의 신체적 부상의 위험을 제한할 수 없다. 펜더 상부 상의 모든 충격은 사실상 고정 부재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작용하며, 상기 고정 부재의 구조적 강성은 펜더 지지체 보디의 구조적 강성과 더불어 상기 펜더의 실제적인 함몰에 대해 저항하는 성질이 있다.
마찬가지로, 프론트 후드도 복수 개의 브래킷 포인트에서 FAT 상에 배치되며, 이 중 적어도 하나는 후드 로크에 통합된다. 상기한 바와 유사한 충격을 받을 경우, 이러한 브래킷 포인트는 후드의 함몰부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킬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형 가능한 고정 부재가 제공된 섀시 부품 지지체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의 저항은, 변형되는 각 부재를 개별적으로 보면 강성이 더 작을지라도, 항상 상당히 크다.
본 발명의 목적에 의하여 해결하여야 할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의 섀시 부품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1 개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섀시 부품용 지지체로서, 이러한 장치를 갖춘 자동차의 전방부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특히 보행자에 대한 안전성이 실질적으로 개선되어 현 기술 상태의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는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에 대한 해법은 상기 연결 부재에 소정 강도의 힘이 가해질 때 각 연결 부재가 지지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정의된 본 발명은 상기 연결 부재에 소정 한계값을 초과하는 강도의 하중이 가해지자마자 각 연결 부재가 고유의 강성을 초과할 수 있는 것을 이점으로 한다. 이 경우 문제가 되는 힘은, 고려되는 섀시 부품, 즉 실시예로서 상기한 펜더의 상부 또는 후드의 외면 상에 충격에 의하여 초래되는 압력 하중이다.
본 발명은 또한 후술하는 특징들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특징으로 단독으로 또는 가능한 모든 기술적 조합으로 고려된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비제한적 실시예로서 주어지는 설명으로, 본 발명이 어떻게 구체화될 수 있는가를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펜더 지지체가 제공되어 있는 자동차 전방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펜더 지지체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에 따른 펜더 지지체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구체예에 따른 펜더 지지체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구체예에 따른 펜더 지지체의 개략도이다.
도 6은 펜더의 상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순간에 도 1에 나타낸 상이한 부품들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충격이 가해진 직후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고려된 것이다.
도 8은 도 6 및 7과 유사한 도면이나, 고려된 순간은 충격 후 상당히 지난 때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지지체가 제공되어 있는 자동차의 전방부를 나타낸다.
명확을 기하기 위하여,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수적인 부재들만을 나타내었으며 척도를 고려하지 않고 간략하게 나타내었다.
도 1은 실시예로서 보행자와 충돌한 순간의 자동차(30) 전방부를 도시한다. 섀시 펜더(31)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체와, 측 가장자리(33)가 상기 펜더(31)의 상부(34)에 인접한 후드(32)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보행자의 머리에 상응할 수 있는 외부 부재(40)가 펜더(31)의 상부(34)에 충격을 구체화한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펜더 지지체(1)를 더 명확히 도시한다. 예로서만 선택되는 특정 구체예에서, 펜더 지지체(1)에는 펜더(31)의 상부(34)에 고정점을 형성하는 2 개의 연결 부재(10a, 10b)가 제공된다. 펜더 지지체(1)의 보디(2) 상에 연결 부재(10a, 10b)의 위치 및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보디(2)는 특히 인터페이스 작용에 적합한 모든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면(5)은 나사로 조여서 고정된 섀시부에 보다 잘 결합하는 방식으로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면(6)은 연결 부재(10a, 10b)의 위치를 고려하여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각 연결 부재(10a, 10b)는 소정 하중 하에, 즉 본 발명의 경우 소정 강도의 압력 하중이 연결 부재(10a, 10b)에 가해질 때 펜더 지지체(1)로부터 분리되기에 적합하다.
도 3은 도 1, 2 및 6 내지 8의 실시예에 상응하는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에 따른 펜더 지지체(10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연결 부재(110)는 펜더 지지체(101)의 필수 불가결한 일부를 이루며, 파단에 의하여 상기 펜더 지지체(101) 보디(102)로부터 분리되기에 적합하다. 이것은 연결 부재(110)와 펜더 지지체(101)의 주요부(102)가 하나의 부분 및 심지어 단블록 부품을 이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펜더 지지체(101)의 두 부분 간의 구조적인 계속성을 깸으로써만 연결 부재(110)가 보디(102)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제1 구체예의 특징에 따르면, 연결 부재(110) 및 펜더(101) 지지체 보디(102) 사이의 접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소위 파단 구역(103, 104)으로 구성되는데, 이 파단 구역의 기계적 강도는 한편으로 연결 부재(110)의 기계적 강도, 다른 한편으로 보디(102)의 기계적 강도보다 실질적으로 낮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110)는 사실상 상기 연결 부재(110)의 양측에 대향 위치된 2 개의 파단 구역(103, 104)에 의하여 보디(202)에 연결된다. 이들 파단 구역(103, 104)은 기계적 강도 특성이 미약하므로 충분한 강도의 힘이 연결 부재(110)에 가해졌을 때, 펜더 지지체의 모든 다른 부분보다 먼저 파단될 것이다.
특히 유리한 방식에서, 각 파단 구역(103, 104)은, 한편으로 연결 부재(110), 다른 한편으로 펜더 지지체(101) 보디(102)의 직접 인접한 부분의 각각의 단면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단면을 갖는다. 실제로, 단면의 축소는, 일반적으로 단블록 펜더 지지체의 경우에서와 같이 단일의 균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품의 기계적 강도를 국소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최적의 해법이다. 부품이 받게 될 실질적인 기계적 응력은 실제로 가장 취약한 부품에서 충격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파단이 일어날 경우, 정확하게는 이러한 취약 구역에서일 것이다.
소정 강도의 하중을 발생시키도록 각 파단 구역(103, 104)의 파단이 실제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파단 구역(103, 104)의 단면, 특히 그 두께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파단 한계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자 할 경우에 두께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것에 의해 표면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파단 구역(103, 104)에 노치 및/또는 컷을 마련하여 파단을 완화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펜더 지지체(101)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이러한 재료는 실제로, 한편으로는 조립시에 섀시의 다른 부재들에 대하여 우수한 기하학적 배치를, 다른 한편으로는 시간이 지나도 양호한 유닛 유지를 보장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의 단블록 펜더 지지체에 이상적이다. 또한, 다소 점탄성의 플라스틱 재료를 선택하여 필요에 따라 펜더 지지체(101)에 소정 탄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제2 구체예에서, 연결 부재(210)는 펜더 지지체(201)의 보디(202)와 조인트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협동하는 독립적 부품으로 구성된다. 연결 부재(210)는 또한 상호 해제에 의하여 보디(202)로부터 분리되기에 적합하다. 여기서 연결 부재(210)는 펜더 지지체(201)의 보디(202)로부터 구조적으로 독립되지만,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부품들의 상호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직접적 유지 기술에 의하여 펜더 지지체의 보디에 고정된다. 실제로, 다소 복잡한 조인트, 크림핑(crimping), 삽입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제2 구체예의 특징에 따르면, 연결 부재(210) 및 펜더 지지체(201) 보디(202) 사이의 접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소위 연결 구역(203, 204)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210) 및 상기 보디(202)는 조인트에 의하여 국소적으로 협동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210)는 사실상 상기 연결 부재(210)의 양측에 대향 위치된 2 개의 분리된 파단 구역(203, 204)에 의하여 보디(202)에 연결된다. 이렇게 실현된 기계적 연결은 조립된 부재들의 고유한 구조적 저항성에 비하여 약하므로, 상기 연결 구역(203, 204)에 충분한 강도의 힘이 가해졌을 때, 연결 부재(210) 및 보디(202)는 이들 연결 구역(203, 204)에서 불가피하게 연결 해제되기 쉬울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특성에 따르면, 각 연결 구역(203, 204)에서, 조인트는 연결 부재(210)가 펜더 지지체(201)로부터 분리된 후 연결 부재(210)의 변위 방향(direction)과는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조인트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조인트의 방향은 연결 부재(210)를 밀어넣는 방향과 동일해도 좋지만, 상기 밀어넣는 방향과 반드시 구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4의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제한된 경우의 구성이며, 조인트의 방향과 쪽은 밀어넣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조인트의 방향은 실질적으로 연결 부재(210)의 기부를 향한 변위시 분리가 실시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상방으로 향하여야 한다.
도 5의 제3 구체예는 연결 부재(310)가 적어도 1 개의 매개 부재(304, 305)를 통해 펜더 지지체(301) 보디(302)에 조립되어 퓨즈를 형성하는 독립적인 부재로 구성된다. 연결 부재(310)는 또한 각 매개 부재(303, 304)의 파단에 의하여 펜더 지지체(3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310)는 구조적으로 펜더 지지체(301) 보디(302)로부터 독립되지만, 간접적으로 여기에 구속된다.
이러한 제3 구체예의 특징에 따르면, 각 매개 부재(303, 304)는, 한편으로 연결 부재(310), 다른 한편으로 펜더 지지체(301) 보디(302) 각각의 기계적 강도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기계적 강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310)는 상기 연결 부재(310)의 양측에 대향 위치된 분리된 2 개의 매개 부재(303, 304)를 통해 보디(302)에 연결된다. H형을 이루는 이러한 매개 부재(303, 304)는 기계적 강도가 약하므로, 충분한 강도의 힘이 연결 부재(310) 상에 가해졌을 때 펜더 지지체(301)의 모든 다른 부품보다 먼저 파단될 것이다. 매개 부재(303, 304)는 퓨즈의 기능을 가진다.
펜더 지지체(201, 301)가 단블록 부품으로 구성되지 않을 경우, 상이한 재료의 조합도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제3 구체예의 경우, 플라스틱으로 된 매개 부재(303, 304)를 통한, 금속으로 된 연결 부재(310)와 역시 금속으로 된 보디(302)의 커플링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도 2 및 6 내지 8에서 명백히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펜더 지지체(1)는 각 연결 부재(10a, 10b)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마련된 자유 공간(20a, 20b)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각 자유 공간(20a, 20b)은, 분리 후 펜더 지지체(301) 보디(2)에 연결 부재(10a, 10b)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자유 공간(20a, 20b)은 연결 부재(10a, 10b)가 분리된 후 완전히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자유 공간(20a, 20b)은 여기에 결합되는 연결 부재(10a, 10b) 모두의 삽입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치수이다.
그러나, 연결 부재의 크기에 상응하는 치수의 자유 공간을 마련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변형에 대해서는, 분리후에 펜더 지지체 보디에서의 변위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적어도 1 개의 연결 부재를 펜더 지지체에 마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때문에, 각 연결 부재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구조적 강성부를 구비하므로, 소정 강도의 힘이 가해질 때, 특히 그 높이에서 납작하게 찌부러져 일반적인 차지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10a, 10b)는 펜더 지지체 보디에 마련된 감소된 치수의 자유 공간에 완전히 은폐될 수 있다.
도 6 내지 8은 펜더 지지체(1)의 보디(2)에 연결 부재(10a, 10b)를 은폐하는 원리를 완전히 도시한다.
도 6은 정확하게는 충격의 순간에 해당한다. 보행자의 머리(40)가 펜더(31)의 상부(34)에 접촉하지만, 연결 부재(10a)는 임의의 변형을 초래하거나, 하물며 파단 구역(3, 4)에서 부러질 정도의 압력을 받지 않는다.
반대로 도 7에서는, 연결 부재(10a)가 매우 높은 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충격으로 인한 압력이 연결 부재(10a)의 매개로 파단 구역(3, 4)에 전달된다. 상기 파단 구역(3, 4)은 변형되기 시작하고, 특히 제1 평면에 도시된 구역에서는 부러지기 시작한다. 연결 부재(10a)는 유리하게 펜더 지지체(1)의 보디(2)에 마련된 자유 공간(20a) 내부로 점차적으로 들어가기 시작한다.
도 8에 따르면, 발생한 충격은 2 개의 파단 구역(3, 4)의 완전한 파단을 초래한다. 연결 부재(10a)는 조립체의 경화를 일으키는 일 없이 보디(2)내로 자유 하강한다. 펜더(31) 및 후드(32)는 항상 섀시 구조에 부착되므로, 펜더(31)의 구조적 강성 및 임의로 후드(32)의 구조적 강성만이 실제로 관여된다. 따라서, 충격 단계에서, 펜더(31) 및 후드(32)만이 변형됨에 따라 완충장치의 역할을 할 것이다. 연결 부재(10a)는, 한편으로는 펜더 지지체(1) 보디(2)에 결속되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유 공간(20a)에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견고한 점들을 구성할 수 없다.
도 9는 신규한 실시예로서 후드(91) 지지체 상에 테크니컬 프론트 페이스(91)로 불리는 프론트 후드(90)가 배치되어 있는 자동차(30)의 전방부를 도시한다. 이러한 테크니컬 프론트 페이스(91)는 자동차(30)의 프론트 스트링어(stringer)(93) 상에 고정된 전방 가로부재에 결속된다. 보행자가 후드(90)에 부딪쳐 충격을 받을 경우, 후드(90)는 프론트 페이스(91)에 최근접하게 함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부재(94)는 테크니컬 프론트 페이스(91) 보디(9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전방 후드(90)를 부동화시킬 수 있는 로크(96)가 장착되어 있는 연결 부재(94)는 테크니컬 프론트 페이스(91)로부터 분리되어 자유 공간(97) 내부로 은폐되고 프론트 후드(90)를 하강시키기에 적합하다. 로크(96)는 전방 후드(90) 및 연결 부재(94)로부터 분리된 채로, 전방 후드(90)의 하강 운동을 동반한다. 연결 부재(94, 95)는 도3 내지 5에 자세히 개시된 실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모든 구체예, 사용된 재료 및 충격 속도는 본 발명의 개념을 결코 바꾸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적어도 1 개의 섀시 지지체(1, 91, 101, 201, 301)가 제공된 모든 자동차(30)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자동차(30)란, 모터의 유형, 차량의 크기 및/또는 중량과 관계없이, 모터, 즉 모터의 도움으로 움직일 수 있는 모든 구동 엔진을 구비하는 모든 차량을 의미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자동차는 승용차, 영업용 자동차, 트럭 또는 버스를 지칭할 수 있다.

Claims (15)

  1. 차량의 섀시를 형성하는 구조체, 섀시 부품(31, 90) 및 상기 섀시 부품을 섀시 상에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섀시 부품 지지체(1, 91, 101, 201, 301)를 포함하는 자동차(30)로서, 상기 섀시 부품 지지체는 이 차량의 섀시에 고정된 보디(2, 92, 102, 202, 302) 및 섀시 부품(31, 90)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10a, 10b, 94, 95, 110, 210, 310)를 포함하고, 각 연결 부재(10a, 10b, 94, 95, 110, 210, 310)는 이 연결 부재에 소정 강도의 힘이 가해질 때 상기 보디(2, 92, 102, 202, 302)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자동차(30)에 있어서,
    상기 섀시 부품 지지체는 각 연결 부재(10a, 10b, 94, 95, 110, 210, 310)에 대하여 수직인 자유 공간(20a, 20b, 97, 120, 220, 320)을 구비하고, 상기 자유 공간(20a, 20b, 97, 120, 220, 320)은 관련 연결 부재(10a, 10b, 94, 95, 110, 210, 310)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후 상기 보디(2)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10a, 10b, 94, 95, 110)는 보디(2, 92, 10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10a, 10b, 94, 95, 110)는 파단에 의하여 상기 보디(2, 92, 102)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10a, 10b, 94, 95, 110)와 섀시 부품 지지체(1, 91, 101)의 보디(2, 92, 102) 간의 접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 구역(3, 4, 103, 104)에 의하여 구성되며, 상기 파단 구역의 기계적 강도는 한편으로 연결 부재(10a, 10b, 94, 95, 110)의 기계적 강도, 다른 한편으로 보디(2, 92, 102)의 기계적 강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단 구역(3, 4, 103, 104)은 한편으로 연결 부재(10a, 10b, 94, 95, 110), 다른 한편으로 섀시 부품 지지체(1, 91, 101)의 보디(2, 92, 102)의 직접 이웃하는 부분의 각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며, 상기 파단 구역(103, 104)은 충분한 강도의 힘이 연결 부재(110)에 가해질 때 지지체(101)의 다른 모든 부분보다 먼저 파단되도록 하는 기계적 강도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110)는 이 연결 부재(110)의 양측부에 위치된 2개의 파단 구역(103, 104)에 의해 보디(10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210)는 섀시 부품 지지체(201)의 보디(202)와의 조인트에 의하여 직접 협동하는 독립적인 부품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210)는 상호 연결 해제에 의하여 상기 보디(202)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210) 및 섀시 부품 지지체(201)의 보디(202) 간의 접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구역(203, 204)에 의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210)와 보디(202)는 국소적으로 조인트에 의하여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 구역(203, 204)에서 조인트는 연결 부재(210)가 펜더 지지체(201)로부터 분리된 후 변위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310)는 적어도 1 개의 매개 부재(303, 304)를 통하여 섀시 부품 지지체(301)의 보디(302)에 조립되어 퓨즈를 형성하는 독립적인 부재로 구성되고, 각 매개 부재(303, 304)의 파단에 의하여 상기 보디(302)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매개 부재(303, 304)의 기계적 강도는 한편으로 연결 부재(310)의 기계적 강도, 다른 한편으로 섀시 부품 지지체(301)의 보디(302)의 기계적 강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자유 공간(20a, 20b, 97, 120, 220, 320)은, 관련 연결 부재(10a, 10b, 94, 95, 110, 210, 310)가 분리된 후, 이러한 분리된 관련 연결 부재를 전체적으로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10a, 10b, 94, 95, 110, 210, 310)는 소정 강도의 힘이 가해질 때, 분리후 그 변위 방향을 따라 변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부품은 자동차(30)의 펜더(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부품은 자동차(30)의 후드(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5. 삭제
KR1020057018520A 2003-04-01 2004-03-19 자동차의 섀시 부품용 지지체 KR101070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04044 2003-04-01
FR0304044A FR2853291B1 (fr) 2003-04-01 2003-04-01 Support pour une piece de carrosserie de vehicule automobile
PCT/FR2004/000677 WO2004089698A2 (fr) 2003-04-01 2004-03-19 Support pour une piece de carrosserie de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494A KR20060013494A (ko) 2006-02-10
KR101070718B1 true KR101070718B1 (ko) 2011-10-07

Family

ID=3298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520A KR101070718B1 (ko) 2003-04-01 2004-03-19 자동차의 섀시 부품용 지지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608536B1 (ko)
JP (1) JP4452713B2 (ko)
KR (1) KR101070718B1 (ko)
AT (1) ATE508018T1 (ko)
BR (1) BRPI0408709A (ko)
DE (1) DE602004032526D1 (ko)
ES (1) ES2362425T3 (ko)
FR (1) FR2853291B1 (ko)
WO (1) WO200408969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6622B1 (fr) * 2004-02-24 2006-05-19 Inoplast Sa Element intermediaire de support d'une aile avant d'un vehicule automobi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DE102005006306A1 (de) * 2005-02-11 2006-08-17 Rehau Ag + Co Bausatz für die Montage eines Fahrzeugverkleidungselements
JP4736609B2 (ja) * 2005-08-05 2011-07-2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フェンダーパネル取付構造
JP4905045B2 (ja) * 2006-10-13 2012-03-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ェンダパネルの取付構造
FR3115249B1 (fr) * 2020-10-19 2023-04-14 Psa Automobiles Sa Armature de pare-chocs munie de zones frangibl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2893A1 (de) * 1979-06-06 1980-12-11 Porsche Ag Endeinheit, vorzugsweise bugpartie eines kraftfahrzeuges
GB9518123D0 (en) * 1995-09-06 1995-11-08 Rover Group Trim fixing
DE10102187A1 (de) * 2001-01-16 2002-08-01 Volkswagen Ag Aufpralldämpfender Kotflügel für ein Fahrzeug
DE10136898A1 (de) * 2001-07-28 2003-02-20 Opel Adam Ag Vorderbau eines Kraftfahrzeuges mit einer bei einem Kopfaufprall sich nachgiebig verhaltenden Frontha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408709A (pt) 2006-03-07
FR2853291B1 (fr) 2006-05-26
KR20060013494A (ko) 2006-02-10
JP2006521962A (ja) 2006-09-28
WO2004089698A2 (fr) 2004-10-21
FR2853291A1 (fr) 2004-10-08
DE602004032526D1 (de) 2011-06-16
EP1608536A2 (fr) 2005-12-28
WO2004089698A3 (fr) 2004-11-18
ES2362425T3 (es) 2011-07-05
JP4452713B2 (ja) 2010-04-21
ATE508018T1 (de) 2011-05-15
EP1608536B1 (fr)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3790B2 (en) Structure of instrument panel area of vehicle
JP4208005B2 (ja) 車両用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EP1726490B1 (en)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of automobile
US8733485B2 (en) Front module for a motor vehicle
CN101631694A (zh) 用于在汽车纵梁端部安装的碰撞吸收系统的支撑件
JP2006027608A (ja) 自動車用ニーボルスト構造
KR101070718B1 (ko) 자동차의 섀시 부품용 지지체
EP2511160B1 (en) Front unit for a vehicle with shock absorbers and flexible belt
KR101014053B1 (ko) 서브프레임 마운팅 구조
KR102074078B1 (ko) 강화된 4절 링키지
EP1371510B1 (en) Vehicle windshield mounting structure
KR102457625B1 (ko) 자동차 몸체 구조물용 보강재
JP2005239092A (ja) 自動車のフード構造
CN210554635U (zh) 一种防撞梁总成及汽车
JP2006521962A5 (ko)
EP1827912B1 (en) Arrangement for underrun protection in vehicles
JP2004338671A (ja) フロントエンドパネル
JP6972851B2 (ja) ヘッドランプの取り付け構造
KR100252292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스티어링 칼럼 및 샤프트 구조
JP4176207B2 (ja) フロントバンパ取付構造
KR100250080B1 (ko) 충격흡수가능의 조향컬럼
CN108698642B (zh) 正面冲撞时前挡泥板紧固件可熔断的车辆
KR100373124B1 (ko) 버스용 가드 플레이트 조립구조
KR100482629B1 (ko)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
KR19990019855A (ko) 차량의 롱지튜디널 프레임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