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660B1 - Hybrid air suspension able to easily adjust height of vehicle - Google Patents

Hybrid air suspension able to easily adjust height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660B1
KR101070660B1 KR1020090045821A KR20090045821A KR101070660B1 KR 101070660 B1 KR101070660 B1 KR 101070660B1 KR 1020090045821 A KR1020090045821 A KR 1020090045821A KR 20090045821 A KR20090045821 A KR 20090045821A KR 101070660 B1 KR101070660 B1 KR 101070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vehicle body
height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7395A (en
Inventor
김근묵
Original Assignee
김근묵
(주)보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묵, (주)보창산업 filed Critical 김근묵
Priority to KR1020090045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660B1/en
Publication of KR20100127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3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6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9Gears
    • B60G2204/4192Gears rack and pin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고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와 휠 사이를 연결하고, 에어의 유출입에 의해 차체의 완충과 차고를 조절하는 에어스프링부, 에어스프링부로 에어를 유입 또는 유출하는 다기능 레벨링 밸브, 차체의 차고 변화를 다기능 레벨링 밸브에 전달하는 링크부, 다기능 레벨링 밸브의 에어 유입 또는 유출을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 밸브 구동부의 조절동작을 제어하는 서스펜션 제어부를 포함하며, 다기능 레벨링 벨브는 링크로부터 전달되는 차고변화에 대응하여 에어스프링부로의 에어 유입 또는 유출을 조절함으로써, 제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행중에도 차고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승차감이나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종 편리모드의 적용이 용이하다.

Figure R1020090045821

하이브리드, 에어스프링부, 서스펜션, 레벨링 밸브, 밸브체, 스풀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air suspension that is easy to adjust the height, an air spring that connects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wheel, and adjusts the buffer and the height of the vehicle by the flow in and out of the air, the inlet or outflow of air to the air spring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a link unit for transmitting the height change of the vehicle body to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a valve drive unit for controlling the air inlet or outlet of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a suspen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djustment operation of the valve drive unit,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By adjusting the air inflow or outflow to the air spring part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height transmitted from the link, not only can the control reliability be improved, but also the height can be adjust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reby improving the passenger comfort and driving stability. It is easy to apply various convenient modes.

Figure R1020090045821

Hybrid, Air Spring, Suspension, Leveling Valve, Valve Body, Spool

Description

차고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Hybrid air suspension able to easily adjust height of vehicle}Hybrid air suspension able to easily adjust heigh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고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 차체의 높이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조종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고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air suspension that is easy to adjust the height, and more particularly, by allow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to be quick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he ride to improve the ride comfort and to improve the steering safety A hybrid air suspension is easy to adjust.

자동차에 설치되는 서스펜션은, 노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거나, 요철이 심한 노면을 주행할 때 차륜의 불규칙적인 운동을 제어하여 타이어의 접지력을 높임으로써 구동력, 제동력을 확실하게 노면에 전달하도록 한다. Suspensions installed in automobiles improve driving comfort by absorbing shocks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or increase tire traction by controlling irregular movement of wheels when driving on uneven roads. To be delivered to.

이러한 서스펜션의 기본 요소로는, 차체와 휠 사이에 장착되는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와 스프링을 들 수 있다. 스프링은 차고(車高)를 유지하고, 차량의 무게를 지탱하여 차량이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한다. 쇼크업소버는 스프링의 상하 왕복운동을 댐핑하여 타이어가 항상 지면과 밀착하도록 한다. 한편, 휠은 타이어와 함께 바퀴를 구성한다.The basic elements of such a suspension include a shock absorber and a spring mounted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wheel. The spring maintains the garage and supports the weight of the vehicle to mitigate the impact the vehicle receives from the ground. The shock absorber damps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of the spring so that the tire is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On the other hand, the wheel constitutes the wheel together with the tire.

여기서, 스프링 대신 에어스프링부를 사용하는 서스펜션을 에어 서스펜션이라 한다. Here, the suspension using the air spring portion instead of the spring is called an air suspension.

에어 서스펜션은, 에어스프링부과, 에어스프링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시스템과, 에어공급시스템으로부터의 공기를 에어스프링부에 유입 또는 유출시키기 위한 밸브를 구비한다. The air suspension includes an air spring portion, an air supply system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spring portion, and a valve for introducing or discharging air from the air supply system to the air spring portion.

이러한 에어 서스펜션은 에어스프링부에 공기를 유출입하는 방식에 따라 기계식 에어 서스펜션과 전자식 에어 서스펜션으로 나눌 수 있다. The air suspension may be divided into a mechanical air suspension and an electronic air suspension according to a method of flowing air in and out of the air spring.

기계식 에어 서스펜션의 경우, 휠과 레벨링 밸브 사이에는 레버가 연결되어 있고, 차체의 변화에 따라 레버가 레벨링 밸브를 온오프한다. 이에 따라, 에어공급시스템으로부터의 공기가 에어스프링부에 유입되거나, 에어스프링부로부터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된다. In the case of the mechanical air suspension, a lever is connected between the wheel and the leveling valve, and the lever turns the leveling valve on and off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ly, air from the air supply system flows into the air spring portion, or air from the air spring portion flows out.

반면, 전자식 에어 서스펜션은, 차체에 부착된 다양한 센서, 예를 들면, 차속센서, 차고센서, 조향휠 각속도센서 등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에어공급시스템으로부터의 공기가 에어스프링부에 유입되거나, 에어스프링부로부터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ic air suspension receives a signal from various sensor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for example, a vehicle speed sensor, a garage sensor, a steering wheel angular velocity sensor, and the like to operate the solenoid valve. Accordingly, air from the air supply system flows into the air spring portion, or air from the air spring portion flows out.

그런데, 이러한 기계식 에어 서스펜션과 전자식 에어 서스펜션은 각각 다음과 같은 장점과 단점이 있다. However, these mechanical air suspensions and electronic air suspensions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respectively.

기계식 에어 서스펜션의 경우, 차체의 움직임에 따라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에어스프링부의 공기를 유출입하며, 기계적 제어의 특성상 신뢰성이 높다. 그러나, 기계식 에어 서스펜션의 경우, 차고가 미리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 중에는 차고를 조절할 수 없고, 차고의 수평 레벨링만이 가능하다. In the case of a mechanical air suspension, it reacts immediate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and flows in and out the air of the air spring, and has high reliabilit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 control. However, in the case of the mechanical air suspension, since the garage is set in advance, the garage cannot be adjusted while driving, and only the horizontal leveling of the garage is possible.

반면, 전자식 에어 서스펜션의 경우, 전자식 제어에 의해 주행 중에도 차고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각종 편리 모드의 채용이 용이하다. 그러나, 전자적 제어의 특성상 신뢰성이 낮으며, 일정 한계 조건 이상에서는 작동이 정지된다. 예를 들어, 일정 각속도 이상이 되면, 제어의 작동이 정지되거나, EMI에 의해 제어의 작동이 정지되는 일이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lectronic air suspension, the height can be adjusted while driving by the electronic control, it is easy to adopt various convenient modes.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nic control, the reliability is low,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above a certain limit condition. For example, when the constant angular velocity is ove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is stopped 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is stopped by the EMI.

이에 따라, 기계식 제어와 전자식 제어의 편리성을 결합시켜 신뢰성이 높고, 주행 중 차고 조절이 용이하고 각종 편리 모드의 채용이 용이한 서스펜션의 개발이 요구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suspension that combines the convenience of mechanical control and electronic control to have high reliability, easy adjustment of the vehicle height while driving, and easy adoption of various convenient mod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이 높고, 주행 중 차고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종 편리 모드의 채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차고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brid air suspension that is highly reliable, easy to adjust the height while driving, and easy to adjust the height to facilitate the adoption of various convenient mode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휠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에어의 유출입에 의해 완충작용을 하는 에어스프링부; 상기 에어스프링부로 에어를 유입 또는 유출하며, 차체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차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다기능 레벨링 밸브; 상기 다기능 레벨링 밸브를 차체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밸브 구동부; 및, 외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스펜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air spring por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wheel to cushion the action by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A multifunctional leveling valve for introducing or discharging air into the air spring part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by moving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spaced apart from the vehicle body; A valve driver for moving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spaced apart from a vehicle body; And a suspens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alve driver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outside.

상기 다기능 레벨링 밸브는, 상기 에어스프링부로 에어를 유입 또는 유출시키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밸브체를 이동가능하게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the valve body for flowing air into or out of the air spring portion; And a fixing member disposed adjacent to the valve body to fix the valve body to the vehicle body to be movable.

상기 밸브 구동부는, 상기 고정부재내에 설치되며 정역구동 가능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된 피니언; 상기 밸브체의 일측 외벽에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도록 설치된 랙;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alve drive unit, the drive motor is installed in the fixed member capable of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A pinion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It may include; a rack installed to engage with the pinion on one outer wall of the valve body.

상기 차체의 속도, 높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도록 상기 차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는, 상기 센 서로부터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And at least one sensor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to sense at least one of a speed, a height, and a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suspension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erform forward and revers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from the sensor. Can be controlled.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suspension controller may control forward and revers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f the occupa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상기 밸브체에는, 상기 에어스프링부에 연통되는 에어유출입관과, 상기 에어스프링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탱크에 연통되는 유입관과, 외기에 연결되는 유출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체내에는 상기 에어유출입관을 상기 유입관 또는 상기 유출관과 연통시키기 위한 스풀이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valve body is provided with an air inflow pipe communicating with the air spring, an inflow pipe communicating with an air tank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spring, and an outflow pipe connected with the outside air; In the valve body, a spool for communicating the air outflow pipe with the inflow pipe or the outflow pipe may be mounted to enable linear movement.

상기 스풀은, 레버와 링크에 의해 차축에 연결되며, 차체의 높이 변동에 따라 상기 밸브체내에서 이동하여 상기 에어스프링부으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The spool is connected to the axle by a lever and a link, and may move in the valve body according to the height variation of the vehicle body to supply or discharge air to the air spring part.

상기 차체의 높이가 높아지면, 상기 스풀이 상기 밸브체내에서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에어유출입관과 상기 유출관이 연결되어 상기 에어스프링부로부터의 에어가 공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increases, the spool may move upward in the valve body, and the air outlet pipe and the outlet pipe may be connected to discharge air from the air spring into the air.

상기 차체의 높이가 낮아지면, 상기 스풀이 상기 밸브체내에서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에어유출입관과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어 상기 에어탱크로부터의 에어가 상기 에어스프링부로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is lowered, the spool may move downward in the valve body, and the air outlet pipe and the inlet pipe may be connected to allow air from the air tank to flow into the air spring part.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는, 상기 차체의 높이가 낮아지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밸브체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차체의 높이가 높아지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밸브체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is lowered, the suspension control unit drives the drive motor to move the valve body upward, and when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increases, the suspension controller drives the drive motor to move the valve body downward. You can.

상기 밸브체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에어유출입관과 상기 유입관이 연결 되어 상기 에어탱크로부터의 에어가 상기 에어스프링부로 유입되고, 상기 밸브체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에어유출입관과 상기 유출관이 연결되어 상기 에어스프링부로부터의 에어가 공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valve body moves upward, the air outlet pipe and the inlet pipe are connected, so that air from the air tank flows into the air spring portion, and when the valve body moves downward, the air outlet pipe and the outlet pipe Connected, air from the air spring portion may be discharged into the ai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시 에어스프링부의 에어 유출입을 기계적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전자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행중에도 차고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승차감이나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종 편리모드의 적용이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air inflow and outflow of the air spring portion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electronically controlled, not only can the control reliability be improved, but also the height can be adjust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refore, the ride comfort and running stability of the occupant can be improved, and various convenient modes can be easily applied.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을 구비한 차량의 구성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having a hybrid ai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은, 에어스프링부(50), 다기능 레벨링 밸브(30), 밸브 구동부(40), 에어공급시스템(20), 서스펜션 제어부(10)(HASCU:Hybrid Air Suspension Control Unit), 링크부(60)를 포함한다. 본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은, 주행시 차량의 높이변화에 따라 기계적으로 차체를 레벨링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센서부(7)나 탑승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전자적으로 차고를 조절할 수도 있다. The hybrid air suspension includes an air spring unit 50, a multifunctional leveling valve 30, a valve drive unit 40, an air supply system 20, a suspension control unit 10 (HASCU: Hybrid Air Suspension Control Unit), and a link unit. (60). The hybrid air suspension can mechanically level the vehicle body in response to a change in height of the vehicle during driving, and at the same time, the garage can be adjusted electronically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unit 7 or the occupant.

도 1에서는 본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을 구비한 차량의 개략적 구성을 도 시하고 있으며, 차량에는 본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 이외에 유저 인터페이스부(5)와, 센서부(7)가 더 마련된다.In FIG. 1,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 having the hybrid air suspension is illustrated. In addition to the hybrid air suspension, 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5 and a sensor unit 7.

유저 인터페이스부(5)는,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가 각종 편리 모드를 선택하거나 센서부(7)로부터 감지된 결과에 따른 운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유저 인터페이스부(5)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로 마련될 수도 있고, 다수의 입력 버튼이나 로터리 스위치를 이용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5 is for the passenger including the driver to select various convenient modes or to display the driving state according to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7. The user interface 5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may be provided as an LCD display device that can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or may be provided using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or rotary switch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부(5)에는 차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버튼이나 입력화면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부(5)에는 오프로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나 입력화면이 마련되어 비포장길을 주행할 때 차고를 상승시킬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unit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or an input scree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unit 5 is provided with a button or an input screen for selecting the off-road mode to raise the garage when driving on a dirt road.

센서부(7)는, 차고센서, 차속센서, 조향휠 각속도센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 또는 중력센서 등을 포함한다. 차고센서는, 차량의 후륜 두 곳과 전륜 한곳에 설치되며 차체(1)와 차축의 위치를 감지한다. 차속센서는 자동차 주행속도를 감지하며, 조향휠 각속도 센서는 조향축에 설치되어 조향휠의 작동속도를 감지하여 코너링 신호를 발생시킨다. 스로틀 포지션 센서는 급감속 또는 급가속 상태를 감지하며, 중력센서는 차체(1)의 바운싱을 측정하여 노면의 요철을 판별한다. The sensor unit 7 includes a height sensor, a vehicle speed sensor, a steering wheel angular velocity sensor, a throttle position sensor, a gravity sensor, or the like. The garage sensor is installed at two rear wheels and one front wheel of the vehicl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ody 1 and the axle. The vehicle speed sensor detects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steering wheel angular velocity sensor is installed on the steering shaft to detect the operating speed of the steering wheel to generate a cornering signal. The throttle position sensor detects a sudden deceleration or a rapid acceleration state, and the gravity sensor measures the bounce of the vehicle body 1 to determine the unevenness of the road surface.

이러한 센서부(7)에 포함되는 센서 중 차속센서는 차량의 상하방향, 좌우방향, 전후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3축 가속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sensor unit 7, the vehicle speed sensor may use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that can measure the accele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left and right,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이하에서는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hybrid air suspension will be described.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스프링부(50)는, 에어를 유입 또는 유출하여 차량의 차고를 조절하며, 각각의 전륜과 후륜에 인접한 쇼크업소버에 하나씩 설치된다. 즉, 한대의 차량에는 4개의 에어스프링부(50)가 설치된다. The air spring 50 of the hybrid air suspension adjusts the vehicle's height by inflowing or outflowing air, and is installed at each shock absorber adjacent to each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hat is, four air springs 50 are installed in one vehicle.

에어공급시스템(20)은, 에어스프링부(50)에 유입되는 에어를 공급하며, 에어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와, 압축된 에어를 저장하는 에어탱크와, 각 에어스프링부(50)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을 포함한다. 여기서, 압축기는 서스펜션 제어부(10)로부터의 동작제어에 따라 에어를 압축하여 에어탱크로 제공한다. 배관은 다기능 레벨링 밸브(30)에 연결되고, 배관을 통해 에어탱크로부터의 에어가 다기능 레벨링 밸브(30)로 제공된다. 이러한 에어공급시스템(20)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한다. The air supply system 20 supplies air introduced into the air spring unit 50, compresses the air, an air tank storing the compressed air, and supplies air to each air spring unit 50. Include plumbing for supply. Here, the compressor compresses the air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from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and provides the air to the air tank. The piping is connected to the multifunctional leveling valve 30, through which air from the air tank is provided to the multifunctional leveling valve 30. This air supply system 20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because it is a configuration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레벨링 밸브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다기능 레벨링 밸브는, 예를 들면 밸브체(231)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2a to 2c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the multifunctional leveling valve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valve body 231, and may be configured in a general shape.

다기능 레벨링 밸브는, 에어스프링부(50)와 에어가 유출입되는 에어유출입관(234), 에어공급시스템(20)과 에어가 유출입되는 유입관(232b)과 및 유출관(232a)을 포함한다.The multifunctional leveling valve includes an air spring 50, an air outlet pipe 234 through which air flows in, an air supply system 20, an inlet pipe 232b through which air flows in, and an outlet pipe 232a.

여기서, 에어유출입관(234)은, 스풀(235)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에어유입관(232b)과 연결되기도, 에어유출관(232a)과 연결되기도 한다. 에어 유출입관(234)이 에어유입관(232b)과 연결되는 경우 에어스프링부(50)에 에어를 공급하게 되고, 에어유출관(232a)과 연결되는 경우 에어스프링부(50)로부터 에어를 빼내게 된다.Here, the air inlet pipe 234 may be connected to the air inlet pipe 232b or the air outlet pipe 232a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pool 235. When the air inlet pipe 234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pipe 232b to supply air to the air spring unit 50, when connected to the air outlet pipe 232a to remove the air from the air spring unit 50 To me.

도 2a는 에어 유출입관(234)과 에어 유출관(232a) 및 에어 유입관(232b)이 서로 연결되지 아니하여 에어스프링부(50)로부터 에어의 제거나 공급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스풀(235)의 하강에 의해 에어 유출입관(234)과 에어 유입관(232b)이 연결되어 에어 스프링부(50)로 에어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2c는 스풀(235)의 상승에 의해 에어 유출입관(234)과 에어 유출관(232a)이 연결되어 에어 스프링부(50)로부터 에어의 제거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각 나타낸다.FIG. 2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air outlet pipe 234, the air outlet pipe 232a, and the air inlet pipe 232b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ir is not removed or supplied from the air spring 50. As the air spool 235 and the air inlet pipe 232b are connected by the lowering of the spool 235, the air is supplied to the air spring unit 50, and FIG. 2C shows the rising of the spool 235. By this, the air inflow pipe 234 and the air outflow pipe 232a are connected, and each state which removes air from the air spring part 50 is shown.

또한, 여기서의 에어유출입관(234)은, 앞에서 설명한 대로 스풀(235)의 상하 이동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밸브체(23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에어유입관(232b)과 연결되기도, 에어유출관(232a)과 연결되기도 한다. 에어 유출입관(234)이 에어유입관(232b)과 연결되는 경우 에어스프링부(50)에 에어를 공급하게 되고, 에어유출관(232a)과 연결되는 경우 에어스프링부(50)로부터 에어를 빼내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outflow pipe 234 here is connected to the air inflow pipe 232b not only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pool 235 but also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alve body 231 as described above. 232a). When the air inlet pipe 234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pipe 232b to supply air to the air spring unit 50, when connected to the air outlet pipe 232a to remove the air from the air spring unit 50 To me.

도 2a는 에어 유출입관(234)과 에어 유출관(232a) 및 에어 유입관(232b)이 서로 연결되지 아니하여 에어스프링부(50)로부터 에어의 제거나 공급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밸브체(231)의 상승에 의해 에어 유출입관(234)과 에어 유입관(232b)이 연결되어 에어 스프링부(50)로 에어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2c는 밸브체(231)의 하강에 의해 에어 유출입관(234)과 에어 유출관(232a)이 연결되어 에어 스프링부(50)로부터 에어의 제거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각 나타낸다.FIG. 2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air outlet pipe 234, the air outlet pipe 232a, and the air inlet pipe 232b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ir is not removed or supplied from the air spring 50. The air outlet inlet pipe 234 and the air inlet pipe 232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rising of the valve body 231 to show a state in which the air is supplied to the air spring unit 50, and FIG. 2C is a view of the valve body 231. The air outflow pipe 234 and the air outflow pipe 232a are connected by the lowering, and each state shows the removal of air from the air spring part 50.

다기능 레벨링 밸브(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스프링부(50)로 에어를 유입 또는 유출시키는 밸브체(31)와, 밸브체(3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밸브체(31)를 이동가능하게 차체(1)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valve body 31 and the valve body 31 for introducing or discharging air into the air spring unit 50 and the valve body 31. )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1) to include a fixing member (33).

밸브체(31)는, 일측으로 긴 통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긴 양측변에는 에어의 유출입을 위한 개구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에어스프링부(50)를 향한 일측변에는 에어스프링부(50)과 연결되어 에어스프링부(50)로 에어를 유입하거나 에어스프링부(50)로부터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유출입관(34)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변에는 에어공급시스템(20)의 배관과 연결되는 유입관(32b)과, 외기와 연결된 유출관(32a)이 형성되어 있다. 유입관(32b)과 유출관(32a)은 소정 폭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에어유출입관(34)은 유입관(32b)과 유출관(32a)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The valve body 31 is formed to be generally long on one side, and openings for inflow and outflow of air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 the one side side toward the air spring unit 50 is connected to the air spring unit 50 to inlet air into the air spring unit 50 or to discharge air from the air spring unit 50 to the air outlet pipe 34 ) Is formed, and on the other side, an inflow pipe 32b connected to the pipe of the air supply system 20 and an outflow pipe 32a connected to the outside air are formed. The inlet pipe 32b and the outlet pipe 32a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air outlet pipe 3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between the inlet pipe 32b and the outlet pipe 32a.

밸브체(31)의 내측에는 스풀(35)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풀(35)의 이동에 따라, 에어유출입관(34)이 유입관(32b) 또는 유출관(32a)과 연통된다. 스풀(35)이 상부로 이동하면, 에어유출입관(34)과 유출관(32a)이 연결되고, 스풀(35)이 하부로 이동하면, 에어유출입관(34)과 유입관(32b)이 연결된다.The spool 35 is provided inside the valve body 31, and the air outflow and inflow pipe 34 communicates with the inflow pipe 32b or the outflow pipe 32a as the spool 35 moves. When the spool 35 moves upward, the air outlet pipe 34 and the outlet pipe 32a are connected. When the spool 35 moves downward, the air outlet pipe 34 and the inlet pipe 32b are connected. do.

이때, 에어유출입관(34)이 유입관(32b)과 연통되면, 에어탱크로부터의 고압의 에어가 유입관(32b)을 통해 밸브체(31)내로 유입되고, 밸브체(31)내의 에어는 에어유출입관(34)을 통해 에어스프링부(50)로 유입된다. 에어유출입관(34)이 유출관(32a)과 연통되면, 에어스프링부(50)로부터의 에어가 에어유출입관(34)을 통해 밸브체(31)내로 유출되고, 밸브체(31)내의 에어는 유출관(3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At this time, when the air outlet pipe 34 communicates with the inlet pipe 32b, the high pressure air from the air tank flows into the valve body 31 through the inlet pipe 32b, and the air in the valve body 31 It enters the air spring part 50 through the air outflow pipe 34. When the air outflow pipe 34 communicates with the outflow pipe 32a, the air from the air spring 50 flows out into the valve body 31 through the air outflow pipe 34, and the air in the valve body 3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pipe (32a).

한편, 스풀(35)의 일단은 밸브체(3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링크부(60)에 의해 에어스프링부(50)의 하단부에 인접한 차축에 연결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spool 35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valve body 31 and is connected to the axle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air spring part 50 by the link part 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60)는 레버(68) 및 링크(69)를 포함하며, 레버(68)는 스풀(35)의 일단에 연결되고, 링크(69)는 차축에 연결되며, 레버(68)와 링크(69)는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스풀(35)의 일단에는 스풀(35)의 길이방향을 따라 랙(36)이 형성되어 있고, 레버(68)의 스풀(35)을 향한 일단에는 랙(36)에 맞물리는 피니언(37)이 장착되어 있다.Link portion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r 68 and a link 69, the lever 68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pool 35, the link 69 is connected to the axle The lever 68 and the link 69 are interconnected. The rack 3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pool 35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ool 35, and the pinion 37 engaged with the rack 36 at one end of the lever 68 toward the spool 35. ) Is installed.

이에 따라, 차체(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차체(1)와 휠 사이의 폭변화로 인해, 링크(69)가 레버(68)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고, 레버(68)의 피니언(37)은 피니언(37)과 맞물리는 랙(36)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스풀(35)을 이동시킨다. 즉, 스풀(35)은 차체(1)의 높이 변화에 따라, 즉각적으로 이동하여 에어스프링부(50)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에어스프링부(50)로부터 에어를 유출시키게 된다. Accordingly, in respons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1, the link 69 moves the lever 68 up and down due to the width change between the vehicle body 1 and the wheel, and the pinion 37 of the lever 68. ) Moves the spool 35 while moving the rack 36 engaged with the pinion 37 up and down. That is, the spool 35 moves immediately in response to the height change of the vehicle body 1 to supply air to the air spring unit 50 or to let air out of the air spring unit 50.

이러한 다기능 레벨링 밸브(30)는 스풀(35)의 동작에 의해, 차체(1)의 높이 변화시 즉각적으로 차체(1)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며, 이때, 다기능 레벨링 밸브(30)는 각 륜과 차체(1)와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즉 차체(1)의 높이가 지상에 대해 일정해지도록 동작한다.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30 immediately adjusts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1 when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1 is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spool 35, in which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30 It operates so that the distance with the vehicle body 1 is the same, that is,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1 becomes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ground.

고정부재(33)는 차체(1)와 밸브체(31)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체(31)를 차체(1)에 고정시키며, 이와 동시에 밸브체(31)를 차체(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fixing member 33 is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body 1 and the valve body 31 to fix the valve body 31 to the vehicle body 1, and at the same time, the valve body 31 is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1. To be moved.

이를 위해, 고정부재(33)와 밸브체(31)에는 밸브체(31)를 정역구동하기 위한 밸브 구동부(40)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 구동부(40)는, 고정부재(33)내에 설치되며 정역구동 가능한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미도시)의 축상에 고정부재(33)의 외측으로 설치된 피니언(41)과, 밸브체(31)의 일측 외벽에 피니언(41)과 맞물리도록 설치된 랙(43)을 포함한다. 여기서, 밸브체(31)의 구동을 위해, 랙(43)과 피니언(41)이 아닌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or this purpose, the valve member 40 for driving the valve body 31 forward and backward is provided in the fixing member 33 and the valve body 31. The valve drive unit 40 includes a drive motor (not shown) installed in the fixing member 33 and capable of driving forward and backward, a pinion 41 provided on the shaft of the driving motor (not shown)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member 33. And a rack 43 provided to engage the pinion 41 on one outer wall of the valve body 31. Here, of course, other means than the rack 43 and the pinion 41 can be used for driving the valve body 31.

정역 구동모터(미도시)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밸브체(3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정역 구동모터(미도시)로는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 (not shown) may move the valve body 31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forward or reverse rotation, and a servo motor may be used as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 (not shown).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정역 구동모터(미도시)의 작동시 피니언(41)이 회전하면, 랙(43)에 의해 밸브체(31)가 상하로 이동한다. 이렇게 밸브체(31)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 스풀(35)이 이동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inion 41 rotate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tationary drive motor (not shown), the valve body 31 moves up and down by the rack 43. Thus, when the valve body 31 moves up and down, it has the same effect as the spool 35 moves.

즉, 밸브체(3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밸브체(31)내에서 스풀(35)이 상대적으로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도 2b 상태), 밸브체(3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밸브체(31)내에서 스풀(35)이 상대적으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도 2c 상태). That is, when the valve body 31 moves upward, the spool 35 moves relatively downward in the valve body 31 (FIG. 2B state), and when the valve body 31 moves downward, the valve In the sieve 31, the spool 35 is moved upwards relatively (FIG. 2C state).

이에 따라, 밸브체(3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즉 상대적으로 스풀(35)이 상부로 이동하면, 에어유출입관(34)과 유출관(32a)이 연결되고(도 2c), 밸브체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즉 스풀(35)이 상대적으로 하부로 이동하면, 에어유출입관(34)과 유입관(32b)이 연결된다(도 2b). Accordingly, when the valve body 31 moves downward, that is, when the spool 35 moves upward, the air inlet and outlet pipe 34 and the outlet pipe 32a are connected (FIG. 2C), and the valve body is upward. When moving to, i.e., when the spool 35 moves relatively downward, the air outlet pipe 34 and the inlet pipe 32b are connected (FIG. 2B).

다시 말해, 밸브체(3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스풀(35)이 상대적으로 하부로 이동하고, 에어유출입관(34)과 유입관(32b)이 연결되므로, 에어스프링부(50)내로 에어가 공급되어 차체(1)가 높아지게 된다. 반면, 밸브체(3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스풀(35)이 상대적으로 상부로 이동하고, 에어유출입관(34)과 유출관(32a)이 연결되므로, 에어스프링부(50)로부터 에어가 유출되어 차체(1)가 낮아지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valve body 31 moves upward, the spool 35 moves relatively downward, and the air outlet and inlet pipe 34 and the inlet pipe 32b are connected,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spring 50. It is supplied and the vehicle body 1 will become high.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ve body 31 moves downward, the spool 35 moves upward, and the air outflow pipe 34 and the outflow pipe 32a are connected, so that air flows out of the air spring 50. As a result, the vehicle body 1 is lowered.

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밸브체(31)에는, 스풀(35)이 상부로 이동하면 에어유출입관(34)과 유출관(32a)이 연결되고, 스풀(35)이 하부로 이동하면 에어유출입관(34)과 유입관(32b)이 연결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물리적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에어유출입관(34)과 에어스프링부(50)는 플렉서블한 케이블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air outlet pipe 34 and the outlet pipe 32a are connected to the valve body 31 when the spool 35 moves upward, and the air outlet when the spool 35 moves downward. The physical structure necessary for connecting the inlet pipe 34 and the inlet pipe 32b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air outlet pipe 34 and the air spring unit 50 may be connected through a flexible cable.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센서부(7)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유저 인터페이스부(5)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다기능 레벨링 밸브(30)의 밸브체(3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밸브 구동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can move the valve body 31 of the multifunctional leveling valve 30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unit 7 and the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5. The operation of the valve drive unit 40 is controlled.

즉 스풀(35)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은 차고의 높이 변화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반면, 밸브체(31)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은 서스펜션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한 밸브구동부(40)의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다.That is, the movement of the spool 35 up and down is mechanically operated by the height change of the garage, whereas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31 up and down is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valve driver 40 under the control of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It works.

따라서 차량의 차고 높이의 차이가 있을 경우 스풀(35)의 상하 이동에 의해 차체(1)의 차고가 평형이 되도록 하고, 인위적으로 차체(1)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고자 할 경우 밸브체(31)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서 차고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vehicle,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1 is balanced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pool 35, and when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1 is artificially increased or decreased, the valve body 31 You can adjust the height by moving the up and down.

즉, 밸브체(31)를 인위적으로 상부로 이동시키면 스풀(35)의 상하 이동 여부에 상관없이 차고는 높아지게 되고, 밸브체(31)를 인위적으로 하부로 이동시키면 스풀(35)의 상하 이동 여부에 상관없이 차고는 낮아지게 된다. 이는 스풀(35)의 상 하 이동 범위는 제한적인 반면, 밸브체(31)의 상하이동 범위는 스풀의 상하이동 범위보다 더 넓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스풀(35)의 상하이동 여부에 상관없이 밸브체(31)의 작동으로 차고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f the valve body 31 is artificially moved upward, the garage height becomes high regardless of whether the spool 35 is moved up and down, and if the valve body 31 is artificially moved downward, the spool 35 is moved up and down. Regardless, the garage will be lowered. This is because the vertical movement range of the spool 35 is limited, while the vertical movement range of the valve body 31 is wider than the vertical movement range of the spoo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rtificially adjust the garage by the operation of the valve body 31 regardless of whether the spool 35 is moved.

이하, 인위적으로 밸브체(31)를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ethod of artificially raising or lowering the valve body 31 is demonstrated.

먼저, 센서부(7)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서스펜션 제어부(10)가 동작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rst, a case in which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operates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unit 7 is as follows.

예를 들어, 코너를 주행하는 경우, 조향휠 각속도 센서는 조향휠의 작동속도를 감지하여 코너링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좌측으로 휜 코너에서는 차량이 우측으로 기울게 되며,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우측의 차체(1)를 높이거나 좌측의 차체(1)를 낮추기 위해, 또는 우측의 차체(1)를 높이고 좌측의 차체(1)를 낮추기 위해 밸브 구동부(40)를 동작시킨다. For example, when driving a corner, the steering wheel angular velocity sensor detects the operating speed of the steering wheel to generate a cornering signal. At this time, the vehicle is inclined to the right at the left corner, and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raises the vehicle body 1 on the right side or lowers the vehicle body 1 on the left side, or raises the vehicle body 1 on the right side and The valve driver 40 is operated to lower the vehicle body 1.

우측의 차체(1)를 높이는 경우,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우측의 전륜과 후륜에 인접한 밸브 구동부(40)의 정역 구동모터(미도시)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밸브체(3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스풀(35)이 하부로 이동하고, 에어유출입관(34)과 유입관(32b)이 연결되므로, 우측의 전륜과 후륜의 에어스프링부(50)로 에어가 유입되어 우측의 차체(1)가 상승한다. When raising the vehicle body 1 on the right side,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rotates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s (not shown) of the valve drive unit 40 adjacent to the front and rear wheels on the right side. Accordingly, when the valve body 31 moves upward, the spool 35 moves downward, and the air outlet pipe 34 and the inlet pipe 32b are connected, so that the air springs 50 of the right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50 are connected. Air flows in to) and the vehicle body 1 on the right side rises.

좌측의 차체(1)를 낮추는 경우,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좌측의 전륜과 후륜에 인접한 밸브 구동부(40)의 정역 구동모터(미도시)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밸브체(3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스풀(35)이 상부로 이동하고, 에어유출입관(34)과 유출관(32a)이 연결되므로, 좌측의 전륜과 후륜의 에어스프링부(50)로부터 에어가 유출되어 좌측의 차체(1)가 하강한다. When lowering the vehicle body 1 on the left side,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rotates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s (not shown) of the valve drive unit 40 adjacent to the front and rear wheels on the left side. Accordingly, when the valve body 31 moves downward, the spool 35 moves upward, and the air outlet pipe 34 and the outlet pipe 32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ir flows out and the vehicle body 1 on the left side descends.

예를 들어, 차량이 급제동하는 경우, 차량은 전륜 부분의 차체(1)가 낮아지거나 높아지게 되며,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감지한다. 그러면,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전륜 부분의 차체(1)가 높아지거나 후륜 부분의 차체(1)가 낮아지도록 또는 전륜부분의 차체(1)는 높아지고, 후륜부분의 차체(1)를 낮아지도록 밸브 구동부(40)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전륜 부분의 높이가 후륜 부분의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suddenly braked, the vehicle may lower or increase the vehicle body 1 of the front wheel portion, and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receives a signal from the throttle position sensor and detects it. Then,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vehicle body 1 of the front wheel portion is made high or the vehicle body 1 of the rear wheel portion is made low, or the vehicle body 1 of the front wheel portion is made high, and the vehicle body 1 of the rear wheel portion is made low. A signal for operating the valve driver 40 is generated. In this case, the suspension controller 10 may control the height of the front wheel portion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rear wheel portion.

서스펜션 제어부(10)가 전륜 부분의 차체(1)를 높이는 경우, 전륜에 인접한 밸브 구동부(40)는 밸브체(31)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정역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밸브체(3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스풀(35)이 하부로 이동하고, 에어유출입관(34)과 유입관(32b)이 연결되므로, 에어스프링부(50)로 에어가 유입되어 전륜 부분의 차체(1)가 상승한다. When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raises the vehicle body 1 of the front wheel portion, the valve drive unit 40 adjacent to the front wheel drives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 (not shown) so that the valve body 31 moves upward. Then, when the valve body 31 moves upward, the spool 35 moves downward, and the air outflow pipe 34 and the inflow pipe 32b are connected, so that air flows into the air spring 50 and the front wheels. The body 1 of the portion rises.

반면, 서스펜션 제어부(10)가 후륜 부분의 차체(1)를 낮추는 경우, 각 후륜에 인접하게 설치된 밸브 구동부(40)는 밸브체(31)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정역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밸브체(3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스풀(35)이 상부로 이동하고, 에어유출입관(34)과 유출관(32a)이 연결되므로, 에어스프링부(50)로부터 에어가 유출되어 후륜 부분의 차체(1)가 낮아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lowers the vehicle body 1 of the rear wheel portion, the valve drive unit 40 installed adjacent to each rear wheel drives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 (not shown) so that the valve body 31 moves downward. Let's do it. Then, when the valve body 31 moves to the lower side, the spool 35 moves upward, and the air outflow pipe 34 and the outflow pipe 32a are connected, so that air flows out of the air spring part 50 so that the rear wheel The vehicle body 1 of the part is lowered.

이렇게 차량이 급제동하는 경우, 서스펜션 제어부(10)는 급제동시마다 차체(1)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고, 급제동 전의 속도가 일정 이상인 경우에만 차 체(1)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에 따라서 급정거시에는 서스펜션 제어부(10)에 의한 차체(1)의 차고 조절을 수행하지 아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When the vehicle suddenly brakes in this way,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1 at each time of sudden braking, or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1 only when the speed before the sudden braking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vel.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election, during the sudden stop,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1 may not be adjusted by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한편,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차속센서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도, 차체(1)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차속센서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일정 이하, 예를 들어 50km/h 이면,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차체(1)가 높아지도록 밸브 구동부(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속센서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일정 이상, 예를 들면, 80km/h 이면,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차체(1)가 낮아지도록 밸브 구동부(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The suspension controller 10 may change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1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detected by the vehicle speed sensor.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vehicle speed sensor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schedule, for example, 50 km / h,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may operate the valve driver 40 to raise the vehicle body 1.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vehicle speed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ime, for example, 80 km / h, the suspension controller 10 may operate the valve driver 40 to lower the vehicle body 1.

한편, 유저 인터페이스부(5)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서스펜션 제어부(10)가 동작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the case in which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operates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5 will be described below.

유저 인터페이스부(5)를 통해, 사용자가 비포장길을 나타내는 오프로드(Off-road) 모드를 선택하면,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차체(1)가 높아지도록 밸브 구동부(40)를 동작시킨다. 즉, 밸브체(31)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밸브 구동부(40)를 동작시키면, 스풀(35)이 하부로 이동하고, 에어유출입관(34)과 유입관(32b)이 연결되므로, 에어스프링부(50)내로 에어가 공급되어 차체(1)가 높아지게 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off-road mode indicating the unpaved roa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5,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operates the valve drive unit 40 to raise the vehicle body 1. That is, when the valve drive unit 40 is operated so that the valve body 31 moves upward, the spool 35 moves downward, and the air outflow pipe 34 and the inflow pipe 32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ir is supplied into 50 so that the vehicle body 1 becomes high.

이러한 구성에 의한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의 동작과정을 코너링시 및 급제동시로 분류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hybrid air suspens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by classifying into cornering and sudden braking.

차량이 코너를 주행하게 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는 길이 휜 반대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예를 들어, 주행방향에 대해 길이 좌측으로 휜 경우, 차체(1)는 우측으로 기울게 되며, 우측 전륜과 후륜에 인접하게 장착된 에어스프링부(50)의 경우, 링크(69)와 레버(68)에 의해 스풀(35)이 하부로 이동하고, 에어유출입관(34)과 유입관(32b)이 연결되므로, 에어스프링부(50)로 에어가 유입되어 차체(1)의 우측 부분이 상승한다. 이에 의해, 차체(1)는 좌측과 우측이 평행하게 된다. When the vehicle travels a corner,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vehicle body 1 i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length .. For example, when the length is left to the driving direction, the vehicle body 1 is inclined to the right, and in the case of the air spring 50 mounted adjacent to the right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he link 69 and the lever 68 Since the spool 35 is moved downward by the bottom and the air outlet pipe 34 and the inlet pipe 32b are connec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spring 50 so that the right part of the vehicle body 1 rises. . As a result, the vehicle body 1 is parallel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그러나, 좌측으로 휜 코너에서는 차체(1)가 좌측으로 기울어져야 운전자는 안정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조향휠 각속도 센서로부터 코너링 신호를 제공받으면, 차체(1)를 좌측으로 기울이기 위해, 우측 전륜과 후륜에 장착된 에어스프링부(50)에 에어를 주입하여 우측 차체(1)를 상승시키거나, 좌측 전륜과 후륜에 장착된 에어스프링부(50)로부터 에어를 유출시켜 좌측 차체(1)를 하강시킨다. 또는 우측 차체 상승과 좌측 차체 하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However, the driver feels a sense of stability when the vehicle body 1 is inclined to the left at the left corner. Accordingly, when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receives the cornering signal from the steering wheel angular velocity sensor,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injects air into the air springs 50 mounted on the right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o tilt the vehicle body 1 to the left. The vehicle body 1 is raised or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air springs 50 mounted on the left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o lower the vehicle body 1. Alternatively, the right body rise and the left body descend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여기서, 우측 차체(1)를 상승시킬지 좌측 차체(1)를 하강시킬지 또는 우측 차체 상승 및 좌측 차체 하강을 동시에 할 지 여부는 차량의 속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Here, whether to raise the right body 1 or to lower the left body 1 or to simultaneously raise and lower the right body can be determined by the speed of the vehicle.

좌측 차체(1)를 하강시키기 위해서,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좌측의 전륜과 후륜에 인접한 밸브 구동부(40)의 정역 구동모터(미도시)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밸브체(3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스풀(35)이 상부로 이동하고, 에어유출입관(34)과 유출관(32a)이 연결되므로, 좌측의 전륜과 후륜의 에어스프링부(50)로부터 에어가 유출되어 좌측의 차체(1)가 하강한다. In order to lower the left vehicle body 1,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rotates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s (not shown) of the valve drive unit 40 adjacent to the left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ccordingly, when the valve body 31 moves downward, the spool 35 moves upward, and the air outlet pipe 34 and the outlet pipe 32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ir flows out and the vehicle body 1 on the left side descends.

우측의 차체(1)를 높이는 경우,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우측의 전륜과 후륜 에 인접한 밸브 구동부(40)의 정역 구동모터(미도시)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밸브체(3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스풀(35)이 하부로 이동하고, 에어유출입관(34)과 유입관(32b)이 연결되므로, 우측의 전륜과 후륜의 에어스프링부(50)로 에어가 유입되어 우측의 차체(1)가 상승한다. When raising the vehicle body 1 on the right side,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rotates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s (not shown) of the valve drive unit 40 adjacent to the front and rear wheels on the right side. Accordingly, when the valve body 31 moves upward, the spool 35 moves downward, and the air outlet pipe 34 and the inlet pipe 32b are connected, so that the air springs 50 of the right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50 are connected. Air flows in to) and the vehicle body 1 on the right side rises.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속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속도에 따라, 각 밸브 구동부(40)로 정역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신호를 제공한다. 즉,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속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밸브체(31)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정역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에어유출입관(34)과 유출관(32a)이 연통되도록 하여 에어스프링부(50)로부터 에어를 유출시킨다. 이에 따라, 차체(1)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provides a driving signal of a forward and backward drive motor (not shown) to each valve driver 40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input from the speed sensor. That is,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provides the drive signal of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 (not shown) so that the valve body 31 moves downward when the speed is above a certain level, whereby the air outlet pipe 34 and the outlet pipe 32a. ) To communicate with the air to flow out of the air spring (50).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1 is lowered.

반대로,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차량의 속도가 일정 이하가 되면, 밸브체(31)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각 정역 구동모터(미도시)로 구동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에어유출입관(34)과 유입관(32b)이 연통되어 에어스프링부(50)로 에어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차체(1)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On the contrary,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provides a driving signal to each forward / reverse drive motor (not shown) so that the valve body 31 moves upward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becomes 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thereby inducing the air inlet and outlet pipe 34. The pipe 32b communicates and air is supplied to the air spring part 50.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1 is increased.

한편, 비포장길의 주행시,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중력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오프로드임을 판단하고, 밸브체(31)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각 밸브 구동부(40)의 정역 구동모터(미도시)로 구동신호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밸브체(3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에어유출입관(34)과 유입관(32b)이 연통되어 에어스프링부(50)로 에어가 공급되고, 차체(1)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driving on the unpaved road,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determines that the off-road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from the gravity sensor,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 (not shown) of each valve drive unit 40 so that the valve body 31 moves upward To provide the driving signal. As a result, when the valve body 31 moves upward, the air outlet pipe 34 and the inlet pipe 32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by supplying air to the air spring unit 50, and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1 is increased. .

차량이 급제동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가 전방으로 기 울어지게 된다. 이때, 차체(1)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탑승자의 몸도 앞으로 기울게 되므로, 승차감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차체(1)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When the vehicle suddenly brakes, as shown in FIG. 6, the vehicle body 1 is tilted forward. At this time, when the vehicle body 1 is tilted forward, the occupant's body is also tilted forward, so that the ride comfort is reduc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vehicle body 1 from tilting forward.

먼저, 차체(1)가 전방으로 기울게 되면, 휠에 인접하게 연결된 링크(69)가 상향 이동하고, 레버(68)에 의해 스풀(35)은 하부로 이동한다. 그러면, 에어유출입관(34)과 유입관(32b)이 연통되고, 에어탱크로부터의 고압의 에어가 유입관(32b)을 통해 밸브체(31)내로 유입되고, 밸브체(31)내의 에어는 에어유출입관(34)을 통해 에어스프링부(50)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차체(1)의 전방이 차체(1)의 후방과 동일한 레벨로 상승된다. First, when the vehicle body 1 tilts forward, the link 69 connected adjacent to the wheel moves upward, and the spool 35 moves downward by the lever 68. Then, the air outflow pipe 34 and the inflow pipe 32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high pressure air from the air tank flows into the valve body 31 through the inflow pipe 32b, and the air in the valve body 31 It enters the air spring part 50 through the air outflow pipe 34. As a result,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1 is raised to the same level as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

이와 동시에, 차체(1)가 전방으로 기울면,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감지한다. 그러면,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차체(1)의 전방을 상승시키거나, 차체(1)의 후방은 하강시키도록 하는 또는 차체(1)의 전방 상승과 차체(1)의 후방 하강을 동시에 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At the same time, when the vehicle body 1 tilts forward,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receives a signal from the throttle position sensor and detects it. The suspension controller 10 then raises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1, or lowers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 or simultaneously moves the front body of the vehicle body 1 and the rear body lower of the vehicle body 1 simultaneously. Generates a signal.

차체(1)의 전방을 상승시키는 경우, 서스펜션 제어부(10)는 전륜에 인접한 밸브 구동부(40)가 밸브체(31)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정역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밸브체(31)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스풀(35)이 하부로 이동하고, 에어유출입관(34)과 유입관(32b)이 연결되므로, 에어스프링부(50)로 에어가 유입되어 전륜 부분의 차체(1)가 상승한다. When raising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1,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drives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 (not shown) so that the valve drive unit 40 adjacent to the front wheel moves the valve body 31 upward. Then, since the valve body 31 moves upward, the spool 35 moves downward, and the air outlet pipe 34 and the inlet pipe 32b are connec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spring part 50 so that the front wheel The body 1 of the portion rises.

차체(1)의 후방을 하강시키는 경우, 서스펜션 제어부(10)에서는 후륜에 인접 한 밸브구동부(40)가 밸브체(31)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정역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밸브체(31)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스풀(35)가 상부로 이동하고 에어 유출입관(34)과 유출관(32a)이 연결되므로 에어스프링부(50)로부터 에어가 유출되어 후륜부분의 차체(1)가 하강한다.When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 is lowered, the suspension control unit 10 drives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 (not shown) so that the valve driving unit 40 adjacent to the rear wheel moves the valve body 31 downward. Then, the valve body 31 moves downward, the spool 35 moves upward, and the air outlet pipe 34 and the outlet pipe 32a are connected, so that the air flows out of the air spring part 50 so that the vehicle body of the rear wheel part is moved. (1) descends.

이에 따라, 전륜에의 에어스프링부(50)에 에어가 공급 및/또는 후륜에의 에어스프링부(50)에의 유출이 되어, 차체(1)의 전방과 차체(1)의 후방이 동일한 레벨로 상승된 상태에서 다시 에어가 공급 등이 되므로, 차체(1)의 전방이 차체(1)의 후방보다 높아지게 된다. 이때, 차체(1)의 전방을 높이는 정도는, 급제동 전의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즉, 급제동 전의 속도가 높을수록 차체(1)의 전방을 높이는 정도를 크게 한다. As a result, air is supplied to the air spring portion 50 to the front wheels and / or flows out to the air spring portion 50 to the rear wheels, so that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1 and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 are at the same level. Since air is supplied again in the raised state,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1 becomes higher than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 At this time, the degree of raising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eed before rapid braking. That is, the higher the speed before braking, the larger the height of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1 is increased.

이렇게 차체(1)의 전방이 차체(1)의 후방보다 높아지도록 작동하면, 전방으로 기울어졌던 차체(1)가 보다 빠른 시간내에 평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1 is operated to be higher than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 the vehicle body 1 that has been inclined forward can be kept parallel in a faster time, and thus the riding comfort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본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에 따르면, 차체(1)의 높이 변화에 따라 다기능 레벨링 밸브(30)의 스풀(35)을 기계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에어스프링부(50)로의 에어 유출입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차체(1)의 높이 변화에 따라 차체(1)의 전체적인 높이 레벨을 즉각적으로 맞추도록 함으로써, 다기능 레벨링 밸브(3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is hybrid air suspension, the air inflow and outflow to the air spring part 50 is adjusted by mechanically operating the spool 35 of the multifunctional leveling valve 30 according to the height change of the vehicle body 1. Thereby, by making the overall height level of the vehicle body 1 immediately match with the height change of the vehicle body 1, the reliability of the multifunctional leveling valve 30 can be improved.

또한, 센서나 탑승자의 신호에 따라, 다기능 레벨링 밸브(30)의 밸브체(31) 자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차체(1)의 높이를 레벨링하는 수준이 아니라, 주행 상태에 따라 보다 적응적으로 차체(1)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주행 중에도 차체(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길의 상태나 차량의 속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차량의 기울기나 흔들림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적인 제어에 따라 각종 편리모드의 적용이 용이하다. In addition, by moving the valve body 31 itself of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30 in response to a sensor or a passenger's signal, the vehicle body 1 is not adaptively leveled, but more adaptively depending on the running state. The height of 1) can be adjusted in whole or in part. Accordingly, by allow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1 to be adjusted even during driving by electronic control,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correct the inclination or shaking of the vehicle caused by the state of the road, the speed of the vehicle, or the like. In addition, it is easy to apply various convenient modes according to the electronic control.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should be taken as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을 구비한 차량의 구성 블럭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having a hybrid ai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기능 레벨링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구성도,2a to 2c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에서 에어스프링부과 다기능 레벨링 밸브에 대한 상세구성도,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ir spring and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in the hybrid air suspension of FIG.

도 4는 차량이 코너를 주행할 때 차량의 높이변화를 보인 차량의 배면도, Figure 4 is a rear view of the vehicle showing the height change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travels the corner,

도 5는 도 3의 코너링시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ybrid air suspension when cornering of FIG.

도 6은 차량의 급제동 및 급출발시 차량의 높이변화를 보인 차량의 측면도이다. 6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showing the height change of the vehicle during rapid braking and sudden start of the vehicl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차체 10 : 서스펜션 제어부 1: body 10: suspension control unit

20 : 에어공급시스템 30 : 다기능 레벨링 밸브20: air supply system 30: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31 : 밸브체 33 : 고정부재31 valve body 33 fixing member

35 : 스풀 40 : 밸브 구동부35: spool 40: valve drive part

50 : 에어스프링부 60 : 링크부50: air spring portion 60: link portion

Claims (7)

차체와 휠 사이를 연결하고, 에어의 유출입에 의해 상기 차체의 완충과 차고를 조절하는 에어스프링부; An air spring unit which connects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wheel and controls the buffer and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by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상기 에어스프링부로 에어를 유입 또는 유출하는 다기능 레벨링 밸브;A multifunctional leveling valve for introducing or discharging air into the air spring unit; 상기 차체의 차고 변화를 상기 다기능 레벨링 밸브에 전달하는 링크부;A link unit for transmitting a height change of the vehicle body to the multifunctional leveling valve; 상기 다기능 레벨링 밸브의 에어 유입 또는 유출을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 및,A valve driver for controlling air inflow or outflow of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And, 상기 밸브 구동부의 조절동작을 제어하는 서스펜션 제어부;를 포함하며,And a suspens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adjustment operation of the valve driver. 상기 다기능 레벨링 벨브는,The multifunctional leveling valve, 에어유출입관을 통해 상기 에어스프링부로 에어를 유입하는 유입관 및 상기 에어스프링부로부터 에어를 유출하는 유출관을 포함하는 밸브체; A valve body including an inlet pipe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air spring part through an air outlet pipe and an outlet pipe for outflowing air from the air spring part; 상기 밸브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밸브체를 이동가능하게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A fixing member disposed adjacent to the valve body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to move the valve body; And 상기 링크부로부터 전달되는 차고변화에 대응하여 상하이동하며, 상기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 중 하나와 상기 에어유출입관이 연결되도록 하는 스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고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Shanghai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garage delivered from the link portion, by moving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up and down by the shanghai dong, so that the one of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and the air inlet pipe Hybrid air suspension easy to adjust the he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oo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링크부는 상기 차고 변화를 기계적으로 상기 다기능 레벨링 밸브로 전달하고,The link unit mechanically transfers the garage change to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상기 다기능 레벨링 밸브는 상기 차고 변화에 기계적으로 대응하여 에어를 유입 또는 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고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The multi-functional leveling valve is a hybrid air suspension easy to adjust the he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mechanical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garage inflow or outflow.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는 상기 밸브 구동부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며,The suspension control unit electronically controls the valve drive unit, 상기 밸브 구동부는 상기 다기능 레벨링 밸브의 에어 유입 또는 유출 동작을 기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고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The valve drive unit is eas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ybrid air suspen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echanical adjustment of the air inlet or outlet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leveling valv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밸브 구동부는, The valve driving unit, 상기 고정부재내에 설치되며 정역구동 가능한 구동모터; A drive motor installed in the fixed member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driving;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된 피니언; A pinion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상기 밸브체의 일측 외벽에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도록 설치된 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고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And a rack installed to engage the pinion on an outer wall of one side of the valve body.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차체의 속도, 높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도록 상기 차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며, And at least one sensor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to sense at least one of a speed, a height, and a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고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The suspension control unit is easy to adjust the height,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of the drive motor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from the sensor.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서스펜션 제어부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고 조절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에어 서스펜션. The suspension control unit is a hybrid air suspension easy to adjust the height,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of the drive motor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occupa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KR1020090045821A 2009-05-26 2009-05-26 Hybrid air suspension able to easily adjust height of vehicle KR1010706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821A KR101070660B1 (en) 2009-05-26 2009-05-26 Hybrid air suspension able to easily adjust height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821A KR101070660B1 (en) 2009-05-26 2009-05-26 Hybrid air suspension able to easily adjust height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395A KR20100127395A (en) 2010-12-06
KR101070660B1 true KR101070660B1 (en) 2011-10-07

Family

ID=4350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821A KR101070660B1 (en) 2009-05-26 2009-05-26 Hybrid air suspension able to easily adjust height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6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336A (en) 2014-02-11 2015-08-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vehicle
EP3208119A1 (en) 2016-02-18 2017-08-23 Haldex Brake Products Aktiebolag Mechanically actuated level regulating valve device
EP3208120A1 (en) * 2016-02-18 2017-08-23 Haldex Brake Products Aktiebolag Electronic control unit and control circuit for a pneumatic suspension system of a commercial vehicle
CN114516370A (en) * 2022-03-03 2022-05-20 马春生 Transverse balancing system capable of being carried on various vehicle platforms
US11813912B1 (en) 2023-04-24 2023-11-14 Liquidspring Technologies, Inc.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1211A (en) * 1982-10-29 1984-05-10 Hino Motors Ltd Air suspens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1211A (en) * 1982-10-29 1984-05-10 Hino Motors Ltd Air suspen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395A (en)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6328B (en)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EP0925967B1 (en) Vehicular slope determination apparatus and vehicle height adjus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070660B1 (en) Hybrid air suspension able to easily adjust height of vehicle
US20060267296A1 (en) Electronic control of vehicle air suspension
CN110077497B (en) Bicycle seat post system
CN104842735B (en) Damper of vehicle, Active suspension and vehicle
KR101410631B1 (en) Device to maintain the vehicle horizontal by fuel tank
JP4584510B2 (en) Body posture adjustment device for motorcycles
CN103661744A (en) Vehicle height adjusting device
KR100435345B1 (en) Suspension system for seat of vehicle
JP4768167B2 (en) Body posture adjustment device for motorcycles
KR20170072458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eight of vehicle
KR100326369B1 (en) Revision device for suspension of shock absorber in vehicle
CN113942587B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cab suspension
JP5135023B2 (en) Suspension characteristic control device
KR100559856B1 (en) Height and speed control device for driving inclination road in vehicle
US6186257B1 (en) Method and system for floating a vehicle
KR200159121Y1 (en) Driver's seat support device
KR100203835B1 (en) Adjustable stabilizer for a vehicle
KR200414231Y1 (en) A motorcar shock absorber
JPH0538971A (en) Position control device for automotive driving device
KR20140049785A (en) An automatic controlling structure of suspension using tilt angle sensor
JP2946967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air suspension with vehicle height adjustment function
KR19980073357A (en) Suspension of car seat
KR200380908Y1 (en) Automatic wheel lift of tra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