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135B1 -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135B1
KR101070135B1 KR1020040026935A KR20040026935A KR101070135B1 KR 101070135 B1 KR101070135 B1 KR 101070135B1 KR 1020040026935 A KR1020040026935 A KR 1020040026935A KR 20040026935 A KR20040026935 A KR 20040026935A KR 101070135 B1 KR101070135 B1 KR 101070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avatar
display unit
air conditio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756A (ko
Inventor
손상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135B1/ko
Priority to BRPI0418649-4A priority patent/BRPI0418649A/pt
Priority to PCT/KR2004/002171 priority patent/WO2005103574A1/en
Priority to AU2004318831A priority patent/AU2004318831B2/en
Priority to US10/950,425 priority patent/US20050229610A1/en
Priority to EP04256099A priority patent/EP1589295A3/en
Priority to JP2004307194A priority patent/JP4113870B2/ja
Publication of KR2005010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4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is selected from a number of characters arranged one beside the other, e.g. on a common carrier pl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실내기의 전면에 부착되어 실내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는 전면부를 형성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후측에 결합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면에 안착되며, 실내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아바타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부와, 상기 화면부의 배면에 안착되며, 소정의 용량을 가지는 메모리 칩이 내장된 기판과, 상기 화면부 및 상기 기판을 보호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아바타 표시창;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면부에 장착되는 표시부가 현재의 온도나 운전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움직임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바타, 표시부, 전면 패널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A display apparatus mounting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도 1은 전면으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상기 실내기를 관통하는 공기의 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전면 패널의 정면도.
도 8은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 보강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면 패널이 안착되는 전면 프레임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동작 표시부의 정면도.
도 12는 상기 동작 표시부의 상부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아바타 표시부(350)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내기 120 : 전면 프레임 130 : 송풍팬
140 : 오리피스 150 : 열교환기 160 : 베이스
180 : 드레인 팬 190 : 배관 커버 200 : 전면 패널
210 : 동작 표시창 220 : 형상 보강 부재 300 : 동작 표시부
310 : 하부 케이스 320 : PCB 기판 330 : LCD 창
350 : 아바타 표시부 400 : 토출구 도어 700 : 모바일 수단
710 : 리모콘 720 : 컴퓨터 730 : 스피커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실내기의 전면에 부착되어 실내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면으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상기 실내기를 관통하는 공기의 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컨 실내기(10)는, 리모콘의 신호가 수신되어 에어컨의 작동여부가 표시되는 표시부(21)가 포함되는 전면 패널(20)과, 상기 전면 패널(20)의 상측으로부터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접촉되어, 상기 흡입 공기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30)와, 상기 필터(30)와 상기 전면 패널(20)이 안착되어 전면부를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35)과, 상기 전면 프레임(35)을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흡입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주는 열교환기(60)와, 상기 열교환기(60)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60)를 거친 저온의 실내공기를 빨아들이는 송풍팬(50)과, 상기 송풍팬(50)에 의하여 흡입된 저온 상태의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오리피스(70)와, 상기 오리피스(70)에 의해 안내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장착된 베이스(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열교환기(60) 외벽에 응축되어 떨어지는, 공기속의 수분이 포집되는 드레인 팬(80)이 포함되고, 상기 오리피스(70)의 상측부에는 전장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장부(75)가 안착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베이스(40)의 상측 내면에는, 상기 오리피스(70)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50)으로 흡입된 저온의 공기가 상측으로 토출되지 않고, 실내기의 좌우측면으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가이드(90)가 안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에어컨 실내기(10)의 기능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실내기(10)의 전면 패널(20)에 장착된 표시부(21)에 리모콘 또는 수동에 의해 작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면 패널(20)의 상측부가 개구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개구된 부분이 흡입구(25)가 된다.
또한, 상기 실내기(10) 내부에 장착된 모터(미도시)가 작동되면 상기 송풍팬(5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흡입구(25)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흡입된 실내 공기는 공기 필터(30)를 거쳐 정화된 후 열교환기(60)를 통과하 게 되는데, 상기 열교환기(60)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압력과 온도는 매우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흡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60)와 접촉하면서 열을 빼앗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60)를 지나는 실내 공기의 온도는 떨어지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60)를 지난 실내 공기는 오리피스(70)를 통해 송풍팬(50)으로 유입되고, 상기 송풍팬(50)으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31)(33)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1)를 통해 상기 실내기(10)의 작동상태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의 작동이 중단되거나 전원이 중단되면 상기 표시부(21)도 꺼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경우, 상기 표시부는 단순히 실내기의 동작 상태만을 표시하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표시부 화면을 통해 현재의 온도, 습도 및 현재 시간을 숫자로 간단히 나타내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 다. 따라서, 표시부가 가질 수 있는 동적인 감각이나 신선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표시부 화면에 작동 상태를 동작으로 보여줄 수 있는 아바타가 표시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에 나타나는 아바타의 종류를 사용자가 자유로이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는 표시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는 전면부를 형성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후측에 결합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면에 안착되며, 실내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아바타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부와, 상기 화면부의 배면에 안착되며, 소정의 용량을 가지는 메모리 칩이 내장된 기판과, 상기 화면부 및 상기 기판을 보호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아바타 표시창;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면부에 장착되는 표시부가 현재의 온도나 운전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움직임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의 외관은, 전면 패널(200)과, 상기 전면 패널(200)이 안착되어 전면 커버를 형성하며, 양측에 토출구(121)가 구비되는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전면 패널(200) 사이에 장착되는 토출구 개폐장치(500)와, 상기 토출구 개페장치(500)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121)를 개폐하는 토출구 도어(400)와,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결합되어 배면 커버를 형성하는 베이스(160)와, 상기 실내기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로 들어오는 각종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커버(19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일측에는 흡입된 실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60)의 일측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160)의 상측 경사면에 형성되는 상측 흡입구(161)와, 상기 베이스(160)의 중앙면에 형성되는 중앙 흡입구(16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60)의 양측 경사면에도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제안가능함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61)(162)에는 그물 형태의 그릴이 형성되어 실내기(100)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이 일차적으로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저면에는 상기 상측 흡입구(161)와 상기 중앙 흡입구(162)에 형성된 흡입그릴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걸러진 실내공기내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 등을 재차 걸러 내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1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0)로 들어가는 공기의 이동 경로는, 상기 베이스(160)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161)(162) 및 필터 삽입구(163)를 통하여 흡입된 뒤,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200)과, 상기 전면 패널이 안착되어 전면부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후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130)과, 상기 송풍팬(13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오리피스(140)와, 상기 오리피스(14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흡입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열교환기(150) 및 상기 열교환기(15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결합되는 베이스(16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200)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 사이에는 상기 토출구(121)를 개폐하기 위한 토출구 개폐장치(50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는 전면 패널(200), 전면 프레임(120), 송풍팬(130), 오리피스(140), 열교환기(150), 및 베이스(160)의 순서로 조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오리피스(140)는 상기 송풍팬(130)으로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안내공(145)과, 상기 공기 안내공(145)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양측면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측면에 형성되는 상부 공기 안내 가이드(141)와, 상기 공기 안내공(145)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하측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측면에 형성되는 하부 공기 안내 가이드(142)와, 상기 하부 공기 안내 가이드(142)에 의하여 안내된 공기가 실내로 분산 토출되도록 하는 하측 토출구 도 어(143)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오리피스(140) 사이의 상측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팬(130)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전장부품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장부(20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도록 하는 드레인 팬(180)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팬(180)의 하측에는 상기 드레인 팬(180) 및 상기 실내기(100)와 연결되는 각종 배관들이 수용되는 배관 커버(190)가 더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완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각 부분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면 패널(20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내기의 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0)의 일 측에는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 여부 및/또는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표시부(후술함)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창(210)(2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0)에는, 상기 실내기의 미관을 깔끔하고 아름답게 보이게 하기 위해, 마감재를 부착하거나 도안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00)에 대한 더욱 상세한 내용은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120)은 상기 전면 패널(200)이 부착되고, 테두리 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테두리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실내기(100)로 흡입되어 열교환기(150)를 거쳐 냉각된 공기가 토출 될 수 있는 측면 토출구(121) 및 저면 토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0)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고정 부착될 수도 있고,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130)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배면에 부착된 모터(5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 내로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30)은 상기 실내기(100)의 크기 또는 용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140)는 상기 송풍팬(13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안내공(145)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 안내 가이드(141)(142)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의 방향이 결정되어 토출구(121)(123)로 토출된다.
상세히,상기 공기 안내 가이드(141)는 토출구의 방향 및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140)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냉각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 장치(144)와, 사용자 또는 유아 등의 손이 유입되었을 때 상기 송풍팬(130)에 의하여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146)이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50)는 다수 회 굴곡된 열교환 파이프(151)로 이루어 지며, 상기 열교환 파이프(151)내에는 팽창 밸브(미도시)를 지나온 저온, 저압 상태의 냉매가 흐르고 있다.
따라서, 실내기(100)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50)를 지나면서 열을 빼앗기게 되어 저온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흡입 공기 내에 포함된 수증기는 냉각되어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응축 형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면적은 넓을수록 냉각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그 형태에 있어서 평평한 사각 형태 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모여지도록 하는 드레인 팬(180)이 형성되어, 실내기(100)로부터 응축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는 적어도 일측에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측부에 형성되는 상측 흡입구(161)와, 상기 베이스(160)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흡입구(162)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의 형태 및 개수에 있어서는 상기 실내기의 용적 및 형태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61)(162)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는 그릴이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100)로 들어오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이 일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일측에는 흡입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걸러 내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1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베이스(160)와 상기 열교환기(15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불순물이 점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 삽입구(163)는 실내 공기의 흡입구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테두리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게 함으로 써,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의 모서리부분에도 자유로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측면에도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실내기(10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구 또는 걸림홈(미도시)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전면 패널의 정면도이고, 도 8은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전면 패널(200)은 실내기의 전면부에 해당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색깔로 도색이 가능하며, 그림이나 사진등으로 장식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200)은 후술하게 될 동작 표시부에 나타나는 화면이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동작 표시창(210)과, 후술하게 될 아바타 표시부에 나타나는 화면이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아바타 표시창(211)이 투명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200)은 배면 상측부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결합되기 위한 전면 프레임 체결리브(212)와, 배면 하단부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고, 다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전면프레임 테결 돌기(213)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프레임 체결 리브(212)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상측부에 형성된 전면 패널 안착홈(후술함)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프레임 체결 돌기(213)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하측부에 장착된 전면 패널 고정부재(후 술함)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200)이 형상을 유지하고 외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형상 보강 부재(220)가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200)은 두께가 얇기 때문에 휘어지기 쉽고, 외부의 충격에 손상받기 쉽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 보강 부재(220)가 덧대어진다. 상기 형상 보강 부재(2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200)은 배면에 상기 형상 보강 부재(220)의 측면이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형상 보강 부재 삽입 리브(217)가 상기 형상 보강 부재(220)의 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형상 보강 부재 삽입 리브(217)는 상기 형상 보강 부재(220)의 대략 두께에 해당 하는 높이로 상승하고, 상측 끝단에서 수평하게 소정의 길이로 절곡되어 상기 형상 보강 부재(220)의 상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형상 보강 부재 삽입 리브(217)의 맞은편에 위치되고, 상기 형상 보강 부재(220)의 측면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상 보강 부재 가이드 리브(215)가 상기 형상 보강 부재(22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형상 보강 부재 삽입 리브(217)와 상기 형상 보강 부재 가이드 리브(215) 사이에는 상기 형성 보강 부재(220)와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형상 보강 부재 체결 보스(216)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형상 보강 부재 체결 보스(216)는 상기 형상 보강 부재(220)의 중앙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형상 보강 부재 지지 리브(218)의 선상에 대략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 다. 상세히,상기 형상 보강 부재 지지 리브(218)는 상기 형상 보강 부재(220)의 중앙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200)의 하단부에는 후술하게 될 동작 표시부와 아바타 표시부가 안착되기 위한 표시부 안착면(214)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에 나타나는 화면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210)(211)이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 보강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형상 보강 부재(220)는 상기 전면 패널(200)이 휘어지거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형상 보강 부재(220)는 소재로서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는 금속 소재 또는 프라스틱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형상 보강 부재(220)는 중앙부가 소정의 높이로 상승하며, 양 끝단이 수평하게 절곡되는 안착단(222)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200)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형상 보강 부재(220)의 수직 단면이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홈지는 형상으로 제작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더욱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단(222)은 상기 전면 패널(200)의 배면에 형성된 형상 보강 부재 삽입 리브(217)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형상 보강 부재(220)의 중앙부에는 상기 형상 보강 부재 체결 보스(216)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 부재 관통홍(22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면 패널이 안착되는 전면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패널(200)이 안착되는 전면 프레임(120)은 상측 테두리부에 상기 전면 패널(200)의 상측에 형성된 전면 프레임 체결 리브(212)가 삽입되기 위한 전면 패널 안착홈(1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상기 전면 패널(200)의 하단에 형성된 전면 프레임 체결 돌기(213)가 삽입되기 위한 전면 패널 고정 부재(126)가 부착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 고정 부재(126)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돌출 형성된 체결 보스(127)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 고정 부재(126)의 양측면은 상기 전면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 리브(128)에 의하여 지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하측면에는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표시부(300)가 안착되며, 상기 동작 표시부(300)의 상부에는 상기 실내기(100)의 동작 상태를 알려주는 아바타가 보여지는 아바타 표시부(350)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 표시부(300)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형성된 동작 표시부 장착 보스(230)에 안착되어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동작 표시부(300)의 양측면은 동작 표시부 지지 리브(231)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 표시부 장착 보스(230) 대신에 홈이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는 상기 동작 표시부(300)가 장착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동작 표시부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상기 동작 표시부의 상부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작 표시부는 하부 케이스(310)와 상부 케이스(320)에 의하여 보호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310) 내부에는 상기 동작 표시부의 전기 회로가 형성된 PCB 기판(Printed Circuit Board:인쇄 회로 기판)(320)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PCB 기판(3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실내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LCD 창(Liquid Crystal Display:액정 표시 장치)(330)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PCB 기판(320)과 상기 LCD 창(330)은 상호 연결되어 있어, 상기 PCB 기판(320)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및 정보가 상기 LCD 창(330)으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PCB 기판과 상기 LCD 창에 대한 내용은 종래의 기술로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PCB 기판(320)의 하단부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동작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 버튼(321)과, 사용자가 무선 리모콘에 의하여 상기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신부(3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310)는 상기 PCB 기판(320)하측에 전선 안착부(312)가 포함되며, 상기 전선 안착부(312) 내에는 사기 PCB 기판(320)으로부터 연결되는 전선(340)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 안착부(312)의 측면에는 상기 전선(340)이 관통하는 전선 관통홈(314)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310)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체결단(310)과, 상기 체결단을 관통하는 체결홈(311)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체결홈(311)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형성된 동작 표시부 장착 보스(230)에 체결부재가 관통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310)의 외주면 테두리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320)와 결합되기 위한 후크(313)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320)는 상기 하부 케이스(310)의 상측면에 안착되며, 외주면에 상기 후크(313)가 삽입되기 위한 후크 삽입구(3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부에는 상기 LCD 창(330)이 끼워지는 LCD 창 안착구(32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LCD 창(330)에는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며, 상세히, 상기 실내기(100)로부터 토출되는 냉각 공기의 풍량, 실내 온도 및 습도, 작동 시간 등이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 동작 표시부(300)는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하여 보내는 전파를 수신하여 변화되는 작동 상태에 따라 그 정보를 상기 LCD 창(330)에 디지털 방식으로 표시한다. 상세히, 상기 표시 방식은 숫자로 표시될 수 도 있으며, 이퀄라이저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아바타 표시부(35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바타 표시부(350)는 현재 인터넷 상에서 유행하는 캐릭터를 이용하여 동작 상태를 나타내주는 하나의 방식이다.
상세히,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 상태를 상기 동작 표시부(300)에서 보여주는 숫자 또는 그래프, 기타 이퀄라이저 방식이 아닌 특정 형상의 움직이는 캐릭터가 작동 상태를 나타내주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는 음성으로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는 케이스(351)와, 상기 케이스(351) 내부에 안착되 는 PCB 기판(352)과, 상기 PCB 기판(352)의 상부에 안착되는 LCD 창(353)과, 상기 PCB 기판(35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가 작동되도록 할 뿐 아니라,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이나 동작을 설정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작동 버튼(355)과, 사용자가 리모콘((710)을 통하여 송신하는 작동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 수단(700)을 통하여 보내는 아바타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57)가 포함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아바타의 종류를 설정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356)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가 케이스에 안착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방식은 상기 동작 표시부(300)의 결합방식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는 컴퓨터(720)와 연결되어 있어,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아바타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수단(700)을 통해서도 사용자가 보내는 아바타의 종류를 수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는 캐릭터가 LCD 창(353)에 나타남과 동시에 현재의 실내기 운전 상태 및 온도를 음성으로 안내되도록 프로그램된다. 그리고, 상기 음성은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와 연결된 스피커(730)를 통해 사람의 음성으로 실내기(100)의 작동상태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PCB 기판(352)에는 사용자가 보내는 아바타 캐릭터를 수신 받아 저장할 수 있는 일정 용량의 메모리 칩(354)이 내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와 연결된 컴퓨터(720)를 통하여 인터넷 상 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아바타를 다운 받아 이를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 수단(700)에 의하여 다운 받은 아바타를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에 전송하면, 상기 수신부(357)에서 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 칩(354)에 저장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에 연결된 컴퓨터(7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적절한 형상의 아바타를 제작하여 이를 상기 메모리 칩(354)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내기(100)가 인터넷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모바일 수단(700)을 통하여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외출중에도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실내기(10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가 인터넷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내기(100)의 동작 상태뿐 아니라, 인터넷 화면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아바타표시부(350)의 선택 버튼(356)을 눌러 인터넷 화면이 나타나도록 하여, 뉴스 등을 볼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과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실내기(100)의 동작 상태 조절을 위한 장치는 상기 동작 표시부(300)에도 장착 가능함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용이하게 추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작동 버튼(355)을 직접 누르거나, 상기 리모콘(710)을 통하여 작동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수신부(357)가 이를 수신하면 상기 실내기(100) 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가 작동하게 되는 순간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에 전원이 인가되어, 미리 내장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은 특정 아바타가 동작을 하게 된다. 예컨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잠자고 있던 아바타가 깨어나는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와 연결된 스피커(730)를 통하여 실내기가 작동하는 것을 음성으로 알리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은 모바일 수단(700)이나 컴퓨터(720)를 통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녹으하여 이를 상기 메모리 칩(354)에 저장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작 표시부(300)에 풍량, 실내 온도, 습도, 작동 시간등이 나타나는 동안, 상기 아바타 표시부(350)에서는 상기 풍량, 실내 온도 및 습도 등에 따라 아바타가 적절한 동작을 하거나, 이를 알리는 음성이 상기 스피커(730)를 통해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온도가 미리 프로그램된 적정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아바타가 추위에 떠는 동작을 하고,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서 실내 온도가 너무 낮음을 알리는 멘트가 나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가 꺼지는 경우, 상기 아바타가 잠드는 동작을 하면서, 스피커(730)를 통하여 실내기(100) 작동이 중단됨을 알리는 멘트가 나오도록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선택 버튼(356)을 통하여 아바타의 종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면부에 장착되는 표시부가 현재의 온도나 운전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움직임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아바타의 종류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미적 감각에 맞게 표시부 화면을 디자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음성으로 녹음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가 제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전면부를 형성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후측에 결합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면에 안착되며, 실내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아바타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부와, 상기 화면부의 배면에 안착되며, 소정의 용량을 가지는 메모리 칩이 내장된 기판과, 상기 화면부 및 상기 기판을 보호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인터넷 또는 외부기기를 통하여 상기 아바타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아바타 표시창;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표시창은 일측면에 상기 아바타 표시창을 동작시키는 동작 버튼과,
    모바일 수단 또는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표시창은 컴퓨터와 연결이 가능하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아바타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표시창과 연결된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에서도 상기 실내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표시창에 표시되는 아바타는 상기 실내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취하며,
    동시에 음성으로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은 사용자가 직접 녹음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표시창은 상기 실내기의 작동이 중단된 상태에서도 온(ON)되어 있어,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8.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인터넷 또는 상기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직접 도안한 캐릭터를 상기 아바타 표시창에 업로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KR1020040026935A 2004-04-20 2004-04-20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KR101070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935A KR101070135B1 (ko) 2004-04-20 2004-04-20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BRPI0418649-4A BRPI0418649A (pt) 2004-04-20 2004-08-30 ar condicionado
PCT/KR2004/002171 WO2005103574A1 (en) 2004-04-20 2004-08-30 Air conditioner
AU2004318831A AU2004318831B2 (en) 2004-04-20 2004-08-30 Air conditioner
US10/950,425 US20050229610A1 (en) 2004-04-20 2004-09-28 Air conditioner
EP04256099A EP1589295A3 (en) 2004-04-20 2004-10-01 Air conditioner
JP2004307194A JP4113870B2 (ja) 2004-04-20 2004-10-21 空調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935A KR101070135B1 (ko) 2004-04-20 2004-04-20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756A KR20050101756A (ko) 2005-10-25
KR101070135B1 true KR101070135B1 (ko) 2011-10-05

Family

ID=3728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935A KR101070135B1 (ko) 2004-04-20 2004-04-20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91B1 (ko) * 2005-09-26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26636B1 (ko) * 2011-11-07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756A (ko)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9166B2 (ja) ユーザー認識性が向上する空調機
JP4113870B2 (ja) 空調機
AU2004290769B2 (en) Air conditioner having an enhanced user perception
KR101070135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구조
KR20050101755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표시부 장착 구조
KR20050089414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면 패널 장착구조
KR20050089413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면 패널 장착구조
KR20050047159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708680B1 (ko) 공기 조화기
MXPA06005832A (en) Air conditioner
KR101081217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베이스구조
MXPA06005829A (en) Air conditioner having an enhanced user perception
MXPA06005828A (en) Air conditioner having an enhanced user perception
CN1727761A (zh) 空调器室内机的前面板安装结构
KR20050039510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면 프레임 장착구조
KR20050089194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배관 커버 취부구조
KR20050089942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KR20050089199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