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942A -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942A
KR20050089942A KR1020040015320A KR20040015320A KR20050089942A KR 20050089942 A KR20050089942 A KR 20050089942A KR 1020040015320 A KR1020040015320 A KR 1020040015320A KR 20040015320 A KR20040015320 A KR 20040015320A KR 20050089942 A KR20050089942 A KR 20050089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indoor unit
front frame
air condition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9942A/ko
Publication of KR2005008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94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배면에서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실내기에 있어서,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지지구조는 적어도 일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의 배면 중앙에 형성되는 모터 안착홈; 상기 모터 안착홈에 안착되어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고정하는 모터 마운트;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면 프레임 구조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배면으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방식을 취하는 실내기에 매우 적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A motor supporting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배면에서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실내기에 있어서,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압축과정, 응축과정, 팽창과정 및 증발과정이라는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에어컨의 경우, 냉매가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응축기에서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온도와 압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저온 및 저압의 냉매가 증발기를 지나면서 열을 흡수한 다음, 응축기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과정, 응축과정 및 팽창과정은 에어컨의 실외기 내에서 수행되고, 상기 증발과정은 실내기의 송풍팬과 열교환기에 의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에어컨은 크게 냉동 사이클 장치가 하나의 몸체내에 장착되어 창문 등에 설치되는 창문형 에어컨,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실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되는 분리형 에어컨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분리형 에어컨의 경우, 설치방법에 따라 벽걸이형, 상치형, 천정 걸이형 및 천정 매립형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벽걸이형이나 상치형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천정 걸이형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구조의 실내기를 컨버터블형 실내기라고 한다.
도 1은 전면으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상기 실내기를 관통하는 공기의 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컨 실내기(10)는, 리모콘의 신호가 수신되어 에어컨의 작동여부가 표시되는 표시부(21)가 포함되는 전면 패널(20)과, 상기 전면 패널(20)의 상측으로부터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접촉되어, 상기 흡입 공기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30)와, 상기 필터(30)와 상기 전면 패널(20)이 안착되어 전면부를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35)과, 상기 전면 프레임(35)을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흡입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주는 열교환기(60)와, 상기 열교환기(60)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60)를 거친 저온의 실내공기를 빨아들이는 송풍팬(50)과, 상기 송풍팬(50)에 의하여 흡입된 저온 상태의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오리피스(70)와, 상기 오리피스(70)에 의해 안내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장착된 베이스(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열교환기(60) 외벽에 응축되어 떨어지는, 공기속의 수분이 포집되는 드레인 팬(80)이 포함되고, 상기 오리피스(70)의 상측부에는 전장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장부(75)가 안착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베이스(40)의 상측 내면에는, 상기 오리피스(70)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50)으로 흡입된 저온의 공기가 상측으로 토출되지 않고, 실내기의 좌우측면으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90)가 안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에어컨 실내기(10)의 기능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실내기(10)의 전면 패널(20)에 장착된 표시부(21)에 리모콘 또는 수동에 의해 작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면 패널(20)의 상측부가 개구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개구된 부분이 흡입구(25)가 된다.
또한, 상기 실내기(10) 내부에 장착된 모터(미도시)가 작동되면 상기 송풍팬(5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흡입구(25)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흡입된 실내 공기는 공기 필터(30)를 거쳐 정화된 후 열교환기(60)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열교환기(60)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압력과 온도는 매우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흡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60)와 접촉하면서 열을 빼앗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60)를 지나는 실내 공기의 온도는 떨어지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60)를 지난 실내 공기는 오리피스(70)를 통해 송풍팬(50)으로 유입되고, 상기 송풍팬(50)으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31)(33)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종래의 실내기의 경우, 전면 흡입 전면 토출의 방식을 택하기 때문에 구동 모터가 베이스부에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배면 흡입 전면 토출 방식의 실내기에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배면으로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방식의 실내기에 적합한 모터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면에 형성된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구동하는 모터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지지구조는 적어도 일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의 배면 중앙에 형성되는 모터 안착홈; 상기 모터 안착홈에 안착되어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고정하는 모터 마운트;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배면 흡입 전면 토출 방식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의 외관은,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패널(110)이 안착되어 전면 커버를 형성하며, 양측에 토출구(210)가 구비되는 전면 프레임(200)과, 상기 전면 프레임(200)과 상기 전면 패널(110) 사이에 장착되는 토출구 개폐장치(500)와, 상기 토출구 개폐장치(500)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210)를 개폐하는 토출구 도어(550)와, 상기 전면 프레임(200)과 결합되어 배면 커버를 형성하는 베이스(160)와, 상기 실내기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로 들어오는 각종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커버(19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일측에는 흡입된 실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60)의 일측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160)의 상측 경사면에 형성되는 상측 흡입구(161)와, 상기 베이스(160)의 중앙면에 형성되는 중앙 흡입구(16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60)의 양측 경사면에도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제안가능함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61)(162)에는 그물 형태의 그릴이 형성되어 실내기(100)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이 일차적으로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저면에는 상기 상측 흡입구(161)와 상기 중앙 흡입구(162)에 형성된 흡입그릴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걸러진 실내공기내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 등을 재차 걸러 내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1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0)로 들어가는 공기의 이동 경로는, 상기 베이스(160)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161)(162) 및 필터 삽입구(163)를 통하여 흡입된 뒤,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패널이 안착되어 전면부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200)과,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후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130)과, 상기 송풍팬(13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오리피스(140)와, 상기 오리피스(14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흡입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열교환기(150) 및 상기 열교환기(15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베이스(16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프레임(200) 사이에는 상기 토출구(210)를 개폐하기 위한 토출구 개폐장치(50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는 전면 패널(110), 전면 프레임(200), 송풍팬(130), 오리피스(140), 열교환기(150), 및 베이스(160)의 순서로 조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오리피스(140)는 상기 송풍팬(130)으로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공(145)과, 상기 공기 안내공(145)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양측면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측면에 형성되는 상부 공기 안내 가이드(141)와, 상기 공기 안내공(145)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하측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측면에 형성되는 하부 공기 안내 가이드(142)와, 상기 하부 공기 안내 가이드(142)에 의하여 안내된 공기가 실내로 분산 토출되도록 하는 하측 토출구 도어(143)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전면 프레임(200)과 상기 오리피스(140) 사이의 상측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팬(130)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전장부품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장부(17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도록 하는 드레인 팬(180)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팬(180)의 하측에는 상기 드레인 팬(180) 및 상기 실내기(100)와 연결되는 각종 배관들이 수용되는 배관 커버(190)가 더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완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각 부분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면 패널(1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내기의 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의 일 측에는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 여부 및/또는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표시부(미도시)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창(1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에는, 상기 실내기의 미관을 깔끔하고 아름답게 보이게 하기 위해, 마감재를 부착하거나 도안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200)은 상기 전면 패널(110)이 부착되고, 테두리 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테두리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실내기(100)로 흡입되어 열교환기(150)를 거쳐 냉각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측면 토출구(210) 및 저면 토출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은 상기 전면 프레임(200)에 고정 부착될 수도 있고,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프레임(200)에 관한 더욱 상세한 내용은 도면과 함께 후술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130)은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배면에 부착된 모터(후술함)의 작동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 내로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30)은 상기 실내기(100)의 크기 또는 용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140)는 상기 송풍팬(13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안내공(145)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 안내 가이드(141)(142)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의 방향이 결정되어 토출구(210)(211)로 토출된다.
상세히,상기 공기 안내 가이드(141)는 토출구의 방향 및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140)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냉각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 장치(144)와, 사용자 또는 유아 등의 손이 유입되었을 때 상기 송풍팬(130)에 의하여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146)이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50)는 다수 회 굴곡된 열교환 파이프(151)로 이루어 지며, 상기 열교환 파이프(151)내에는 팽창 밸브(미도시)를 지나온 저온, 저압 상태의 냉매가 흐르고 있다.
따라서, 실내기(100)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50)를 지나면서 열을 빼앗기게 되어 저온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흡입 공기 내에 포함된 수증기는 냉각되어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응축 형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면적은 넓을수록 냉각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그 형태에 있어서 평평한 사각 형태 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모여지도록 하는 드레인 팬(180)이 형성되어, 실내기(100)로부터 응축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는 적어도 일측에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측부에 형성되는 상측 흡입구(161)와, 상기 베이스(160)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흡입구(162)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의 형태 및 개수에 있어서는 상기 실내기의 용적 및 형태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61)(162)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는 그릴이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100)로 들어오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이 일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일측에는 흡입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걸러 내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1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베이스(160)와 상기 열교환기(15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불순물이 점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 삽입구(163)는 실내 공기의 흡입구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테두리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의 모서리부분에도 자유로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측면에도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실내기(10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구 또는 걸림홈(미도시)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면 프레임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8은 상기 전면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프레임(200)은 전면부에 전면 패널(110)이 안착되고, 후면부에 오리피스(140)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프레임(200)은 상측부에 전장부(170)의 상부 덮개가 안착될 수 있는 전장부 전면 커버 안착부(240)와, 실외기로부터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안착되기 위한 연결부재 장착홈(26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일측면에는 실내기(100)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표시부(230)가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전장부 전면 커버 안착부(240)의 일측면에는, 전장부 전면 커버 체결 보스(241)가 형성되며, 상기 전장부 전면 커버 체결 보스(241)에는 상기 전장부 전면 커버가 상기 전면 프레임(200)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된다.
또한, 양측면에 형성되며, 흡입된 실내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측면 토출구(210)와, 하측에 형성되어 흡입된 실내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하측 토출구(21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토출구(210)를 개폐하기 위하여 토출구 도어(550)와 연결되는 토출구 개폐장치(500)가 전면에 안착된다.
또한, 전면부 상측 테두리는 상기 토출구 도어(550)가 안착되기 위한 토출구 도어 안착면(220)이 양측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테두리부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110)이 고정되기 위한 전면 패널 안착홈(2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200)은 상측 및 하측부 모서리에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 도어(510)가 열리고 닫히는 것을 가이드 하는 토출구 도어 가이드 리브(222)와, 상기 전장부 전면 커버 안착부(240)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곳에 형성되는 스텝모터 관통홈(276)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스텝모터 관통홈(276)은 상기 토출구 개폐장치(500)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후술함)의 축이 삽입되는 홈이다. 그리고, 상기 스텝모터 관통홈(276)을 통하여 상기 스텝모터의 축과 토출구 개폐장치(500)에 구비되는 기어의 축과 연결된다.
또한, 전면부 하측에 부착되며, 상기 전면 패널(110)의 하측 배면에 형성된 고정 리브가 삽입되는 전면 패널 고정부재(290)와,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액정 모니터가 구비된 표시부의 상하면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하로 형성되는 표시부 장착보스(231)과, 상기 표시부의 좌우측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표시부 지지리브(232)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 고정부재(290)는 상측부에는 상기 전면 패널(110)에 형성된 고정 리브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 고정부재(290)는 상기 전면 프레임(200)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보스(292)에 끼워지고 양측면이 지지리브(291)에 의하여 지지되어 고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배면을 살펴 보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송풍팬(130)을 구동하는 모터(미도시)가 안착되기 위한 모터 안착홈(25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모터 안착홈(250)은 상기 모터가 안착되어 요동되지 않도록 소정의 깊이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모터 안착홈(250)의 내측에 약간 더 함몰되어, 상기 모터의 저면에 부착된 방진부재(후술함)가 안착되기 위한 방진부재 안착홈(2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마운트(후술함)와 와 결합되기 위한 모터 마운트 지지리브(252)와, 상기 모터 마운트 지지리브(252) 내측에 형성되는 모터 마운트 체결홈(253)이 더 포함된다.
또한, 테두리부 내주벽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60)와 결합하기 위한 베이스 결합 후크(270)와, 상기 베이스 결합 후크(27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140)와 결합하기 위한 오리피스 결합 후크(27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양측 테두리부와 상기 측면 토출구(21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140)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기밀 유지 리브(27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토출구(210)로부터 상기 전면 프레임(200) 중앙부쪽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된 곳에 수직 하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오리피스(140)에 부착된 안전망(145)을 지지하는 안전망 지지리브(273)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140)에 형성된 공기 안내 가이드(141)의 형상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 안내 가이드(141)와 상기 전면 프레임(200)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기밀 유지 라인(274)이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스텝모터 관통홈(276)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 개폐장치(500)를 구동하는 스텝모터가 장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텝모터 고정 보스(275)가 포함된다.
도 9는 배면에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가 장착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면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마운트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300)는 상기 송풍팬(130)을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배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300)가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배면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모터 안착홈(2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300)의 상측 및 하측면에는 상기 모터(30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고무 재질의 방진 부재(32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안착홈(250)의 내측에는 상기 방진 부재(320)가 안착되기 위한 방진부재 안착홈(25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 마운트(400)는 상기 모터(300)의 상측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모터(300)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로 상승하고, 중앙부에 상기 방진부재(320)가 안착되기 위한 방진 부재 안착부(410)가 상기 방진 부재(320)의 형상과 동일하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300)의 중앙에 형성된 모터축이 관통하기 위하여 상기 방진 부재 안착부(410)의 중앙부분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 마운트(400)의 하측 끝단부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단(4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단(420)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전면 프레임(200)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부재 삽입홈(4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300)의 상측부에는 상기 토출구 개폐장치(5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인 스텝 모터(600)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텝 모터(600)는 상기 스텝 모터 고정 보스(275)에 안착되며,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배면에 견고히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스텝 모터 고정 보스(275)는 상기 스텝 모터(600)의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이격 거리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스텝 모터(600)의 규격에 차이가 있더라도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면 프레임 구조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배면으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방식을 취하는 실내기에 매우 적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 및 실내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 등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면으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상기 실내기를 관통하는 공기의 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면 프레임의 정면 사시도.
도 8은 상기 전면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배면에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가 장착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면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마운트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전면 패널 130 : 송풍팬 140 : 오리피스
150 : 열교환기 160 : 베이스 170 : 전장부
180 : 드레인 팬 190 : 배관 커버 200 : 전면 프레임
210 : 측면 토출구 220 : 하측 토출구 230 : 표시부 장착 보스
250 : 모터 안착홈 260 : 연결부재 장착홈 270 : 베이스 결합 후크
300 : 모터 400 : 모터 마운트 500 : 토출구 개폐장치
550 : 토출구 도어 600 : 스텝 모터

Claims (6)

  1. 적어도 일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의 배면 중앙에 형성되는 모터 안착홈;
    상기 모터 안착홈에 안착되어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고정하는 모터 마운트;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전면 및/또는 배면에 소음 및 진동을 감쇠하는 방진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모터 안착홈은 내측에 상기 방진부재가 안착되기 위한 방진부재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마운트는 상기모터의 배면에 안착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과 결합되기 위한 지지단과,
    중앙부에 방진부재 안착부와,
    상기 지지단을 관통하는 체결부재 삽입홈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은 상기 모터 마운트의 양 끝단을 지지하는 모터 마운트 지지 리브와,
    상기 모터 마운트 지지 리브의 내측 끝단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모터 마운트 체결홈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의 배면 상측에 부착되며,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동하는 스텝 모터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은 배면에 상기 스텝 모터가 장착되기 위한 체결 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KR1020040015320A 2004-03-06 2004-03-06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KR20050089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320A KR20050089942A (ko) 2004-03-06 2004-03-06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320A KR20050089942A (ko) 2004-03-06 2004-03-06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942A true KR20050089942A (ko) 2005-09-09

Family

ID=3727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320A KR20050089942A (ko) 2004-03-06 2004-03-06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99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829A (ko) * 2005-12-26 200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829A (ko) * 2005-12-26 200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9191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구조
KR100584295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면 프레임 장착구조
KR10057531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086612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20050089942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모터 지지구조
KR10054767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8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7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20591A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구조
KR2007008223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79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5303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8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84296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오리피스 장착구조
KR10054768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76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안내 구조
KR101081217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베이스구조
KR101181554B1 (ko) 공기 조화기
KR10054767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7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22075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89194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배관 커버 취부구조
KR20050091169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열교환기 장착구조
KR100705079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140901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