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888B1 -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888B1
KR101068888B1 KR1020110027189A KR20110027189A KR101068888B1 KR 101068888 B1 KR101068888 B1 KR 101068888B1 KR 1020110027189 A KR1020110027189 A KR 1020110027189A KR 20110027189 A KR20110027189 A KR 20110027189A KR 101068888 B1 KR101068888 B1 KR 101068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ck log
user
track
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지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지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지소프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888B1/ko
Priority to PCT/KR2011/00895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1340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3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a camera or code reader, e.g. for optical or magnetic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57Code layout in executable memory
    • G06F9/44563Sha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8Object-oriented
    • G06F9/449Object-oriented method invocation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특정 장소를 여행함에 따른 이동 경로를 추적(Tracking)하여 트랙 로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고 해당 장소를 여행하면서 수집한 사진이나 동영상 정보, 소감 기록 정보 등을 상기 트랙 로그 정보와 함께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행 가이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위치 정보 기반의 취미, 레저 활동에서 편의를 제공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끼리 여행에 관한 특정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TRACK-LOG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PPLICATION OPERATED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ROVIDING TRACK-LOG SER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급되는 GPS 전용 단말기는 GPS 수신기를 통해 정확한 현재의 위치를 파악하고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경로를 GPS 좌표로 저장할 수 있다. 이것을 트랙 로그라 하는데, 예를 들면 다른 사람이 기록한 트랙 로그를 단말기에 설치하여 그 경로대로 산행 또는 여행을 할 수 있다. 트랙 로그를 공유한다는 것은 매우 편리함을 주지만 단말기 간에 트랙 로그의 형태가 달라 제약이 많이 따를 뿐만 아니라 각각의 사용자별로 트랙 로그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공유해주는 서비스 또한 없는 것이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은 등산이나 여행을 준비할 때 책자를 보거나 인터넷을 통해 해당지역을 먼저 여행한 타인의 블로그나 게시판을 둘러보고 관련 자료들을 수집해서 여행에 참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특정 장소를 여행함에 따른 이동 경로를 추적(Tracking)하여 트랙 로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고 해당 장소를 여행하면서 수집한 사진이나 동영상 정보, 소감 기록 정보 등을 상기 트랙 로그 정보와 함께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행 가이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위치 정보 기반의 취미, 레저 활동에서 편의를 제공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끼리 여행에 관한 특정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예상 이동 경로 정보가 설정되도록 하여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GPS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수신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트랙 로그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되는 트랙 로그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와 구별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은,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네트워크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가 다운로드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 된 트랙 로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예상 이동 경로가 설정되도록 하여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GPS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수신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트랙 로그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되는 트랙 로그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와 구별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GPS 위치 정보의 미리 설정된 사항은, 상기 트랙 로그 경로 상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GPS 위치 정보의 수신 거리 간격의 설정 및 GPS 위치 정보의 수신 시간 간격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정보의 생성은, 사용자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에 매칭되어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예상 이동 경로를 자동 생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랙 로그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트랙 로그를 만드는 과정에서 상기 트랙 로그 상의 임의의 지점에 관한 사항, 해당 지점에서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 해당 지점에 관한 사용자의 메모나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케른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케른 정보를 상기 트랙 로그 경로 상의 해당 지점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가 다운로드 되도록 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여행 장소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여행 장소에 관한 정보에 기초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의 검색을 상기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요청하도록 하는 단계와, 검색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에 관한 리스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며,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정보가 다운로드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트랙 로그 정보 공유를 위한 다른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가 다운로드 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그룹에서 선택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가 상기 트랙 로그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트랙 로그 정보 공유를 위한 다른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다른 사용자들의 현재 위치 정보, 트랙 로그 정보, 상기 트랙 로그 정보에 포함된 케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된 정보 중 선택된 정보에 대해 상기 트랙 로그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랙 로그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생성되는 트랙 로그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를 이탈하는지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트랙 로그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이에 관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가 지정되어 설정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예상 이동 경로가 상기 지정된 경유지를 포함하도록 재설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GPS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수신하는 GPS 모듈; 사용자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예상 이동 경로 정보를 설정하여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경로 관리부; 상기 GPS 모듈에서 수신하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트랙 로그가 생성되도록 하는 트랙 로그 설정부; 및 상기 생성되는 트랙 로그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와 구별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GPS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수신하는 GPS 모듈;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네트워크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모듈 제어부; 상기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관리하는 트랙 백 관리부; 상기 다운로드 된 트랙 로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예상 이동 경로 정보를 설정하여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경로 관리부; 상기 GPS 모듈에서 수신하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트랙 로그가 생성되도록 하는 트랙 로그 설정부; 및 상기 생성되는 트랙 로그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와 구별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랙 로그 설정부는, 상기 트랙 로그 경로 상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GPS 위치 정보의 수신 거리 간격 및 GPS 위치 정보의 수신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정보 설정 수단을 제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상기 트랙 로그를 만드는 과정에서 상기 트랙 로그 상의 임의의 지점에 관한 사항, 해당 지점에서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 해당 지점에 관한 사용자의 메모나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케른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도록 하는 케른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랙 로그를 공유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그룹을 관리하는 그룹 공유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그룹의 특정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 트랙 로그 정보, 케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가 특정 장소를 여행함에 따른 이동 경로를 추적(Tracking)하여 트랙 로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고 해당 장소를 여행하면서 수집한 사진이나 동영상 정보, 소감 기록 정보 등을 상기 트랙 로그 정보와 함께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행 가이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위치 정보 기반의 취미, 레저 활동에서 편의를 제공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끼리 여행에 관한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랙 로그 공유를 위한 시스템(100)의 개념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3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4a 내지 4i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랙 로그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130)의 화면을 설명하는 예시 도들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에서 제공하는 트랙 로그 공유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 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랙 로그 공유 시스템(100)의 개념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랙 로그 공유 시스템(100)은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와,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인터넷(120)을 통해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는 사용자 PC(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기(110)는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131)을 포함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 또는 내비게이션 단말기(132)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GPS 모듈을 구비하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는 모바일 단말기(130)로부터 업로드된 트랙 로그를 관리한다. 즉,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는 업로드된 트랙 로그 및 이에 상응하는 정보, 예를 들면 트랙 로그에 포함된 사진, 메모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등록, 수정, 삭제, 검색 및 공유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130) 또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PC(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는 사용자 간의 트랙 로그를 통합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웹 사이트를 제공하며, 모바일 단말기(130) 또는 PC(140)에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 제공 부분과 트랙 로그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DB 부분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도 3 및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모바일 단말기(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랙 로그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간격 또는 거리 간격에 따라 GPS 모듈로 측정한 지리 정보를 기초로 트랙 로그를 생성하여 이를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에 업로드한다.
모바일 단말기(130)의 구체적인 구성과 기능을 도 2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30)는 제어부(200), GPS 모듈(210), 트랙 로그 설정부(220), 촬영부(230), 통신 모듈 제어부(240), 저장부(250), 트랙 백 관리부(260), 경로 관리부(270), 그룹 공유 관리부(280) 및 케른 정보 관리부(290)를 포함한다.
촬영부(230)는 소정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통신 모듈 제어부(240)는 무선 인터넷 또는 WLAN을 통해 트랙 로그 공유 관리 서버(110)로의 접속을 제어한다. 저장부(250)는 모바일 단말기(130)에서 생성된 트랙 로그 및 이와 관련한 정보, 또는 다운로드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및 이와 관련한 정보를 저장한다.
GPS 모듈(210)은 모바일 단말기(130)의 이동 거리, 이동 소요 시간, 속도 또는 고도를 포함하는 지리 정보를 측정한다.
트랙 로그 설정부(220)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간격 또는 거리 간격에 따라 GPS 모듈(210)에서 측정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트랙 로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트랙 로그 설정부(220)는 상기 트랙 로그 경로 상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GPS 위치 정보의 수신 거리 간격 및 GPS 위치 정보의 수신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정보 설정 수단을 제공하는데, 예컨대 사용자는 일정한 시간 간격, 예를 들면 수초 내지 수분 간격으로 시간을 설정하면,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GPS 모듈(210)에서 측정한 지리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한 시간에 따라 트랙 로그를 작성한다.
상기 트랙 로그 설정부(220)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 설정 수단은 상기 GPS 모듈(210)을 ON/OFF 시키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트랙 로그가 작성되도록 하다가 특정 지점에서 GPS 모듈을 OFF 시켜서 트랙 로그 상에 그 위치에 대한 정보는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a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30)의 트랙 로그 생성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30)의 하단의 트립(Trip)을 선택하면, 속도, 고도, 이동거리 확인 이동거리 및 걸린 시간과 속도 및 고도 정보를 제공한다. 트랙을 로깅 시작시간부터 이동거리, 이동 소요 시간, 최고, 평균 속도와 고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트랙 로그를 만드는 과정에서 상기 트랙 로그 상의 임의의 지점에 관한 사항, 해당 지점에서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 해당 지점에 관한 사용자의 메모나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케른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로 관리부(270)는 사용자가 입력한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예상 이동 경로 정보를 설정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로부터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예상 이동 경로 정보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로 관리부(270)는 소정의 지도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상기 예상 이동 경로가 상기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상기 경로 관리부(270)는 사용자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에 매칭시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예상 이동 경로를 자동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여행 장소에 관한 정보로부터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검색을 요청하여 검색된 트랙 로그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그 중에서 선택한 트랙 로그를 다운로드 받아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예상 이동 경로 정보를 설정하고 이를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로 관리부(270)에 의해 설정되는 예상 이동 경로 정보와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작성되는 트랙 로그 정보는 서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30)의 지도 정보와 연동한 현재 위치 확인 및 경로 설정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경로 관리부(270)에서 설정한 예상 이동 경로(P)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구별되도록 사용자의 트랙 로그(T)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지도 정보는 외부의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포털, 예를 들면 구글 맵 또는 다음 맵 등과 연동하여, 현재 위치확인, 목적지 및 경유지 설정을 제공하고, 등산 지도와 같이 사용자가 작성한 맵을 업로드 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의 하단 메뉴에 구비된 라우트(Route)를 선택한다. 이어, 경로 설정 화면을 통해 출발지, 목적지를 설정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위치와 경로가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를 지정하여 설정할 수도 있고 이미 설정된 예상 이동 경로 정보라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경유지에 관한 정보가 있으면 이를 포함하도록 예상 이동 경로가 재설정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예상 이동 경로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자동 생성된 것일 수도 있고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은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에 기초한 것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이미 설정된 예상 이동 경로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를 지정함으로써 재설정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한 예상 이동 경로를 따라 그대로 이동할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는데, 트랙 로그 생성 과정에서 사용자의 위치가 설정된 예상 이동 경로를 이탈하게 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여러 가지 수단을 구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c에는 사진 촬영시 자동으로 트랙 로그에 연동하여 저장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d에는 메모 기능을 통해 현재 위치 및 지도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정보도 트랙 로그에 연동하여 저장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케른 정보 관리부(290)는 사용자가 상기 트랙 로그를 만드는 과정에서 상기 트랙 로그 상의 임의의 지점에 관한 사항, 해당 지점에서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 해당 지점에 관한 사용자의 메모나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케른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여행을 함에 따라 트랙 로그가 작성되고 그 과정에서 사용자가 특정 지점에서 사진이나 동영상을 제작한다거나 특정 지점에서의 소감 기록 등을 영상이나 음성, 메모 등으로 제작하는 경우, 이를 케른 정보로서 저장하고 추후 이를 트랙 로그 관리 서버로 업로드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케른 정보는 트랙 로그에 연동하여 저장되고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사용자가 해당 트랙 로그를 다운로드 받아서 보았을 때 트랙 로그 상에 표시된 케른 정보를 활성화시켜 감상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30)에 저장한 트랙 로그 리스트를 조회할 수 있으며, 저장된 트랙 로그와 이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면 사진 또는 메모를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트랙 로그를 선택하면 지도 화면과 함께 기록된 트랙 로그와, 사진 및 메모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30)에 저장된 트랙 로그 리스트를 조회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트랙 백 관리부(260)는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를 검색하고, 검색된 트랙 로그를 다운로드 받는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의 하단의 검색(Search)을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기(130)에 저장된 자신의 트랙 로그 또는 공유된 타인의 트랙 로그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랙 로그 검색은 문자열 및 좌표 검색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30)에 저장된 트랙 로그 또는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에 저장된 트랙 로그를 검색할 수 있다.
도 4f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출발지 및 도착지를 지도에서 지정하고 조회하면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에서 검색한 출발지 및 도착지와 관련된 트랙 로그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세 검색을 통해 경유지를 추가해서 검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랙 정보는 지도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고, 트랙 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g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30)의 하단의 트랙백(Trackback)을 선택하면, 검색한 트랙 로그를 다운로드 받고 그 트랙 로그를 따라 사용자를 안내한다. 도시된 것처럼, 선택된 트랙 로그 정보가 지도에 표시되며 현재 위치가 표시되어 있으며, 해당 트랙 로그에 포함되어 있는 사진 또는 메모가 함께 표시된다. 사용자는 트랙 로그에 기록된 정보를 토대로 경유지나 목적지까지의 이동거리, 속도, 고도 등의 정보를 알 수 있으며, 트랙 로그에 연동되어 있는 사진 및 메모 정보를 볼 수 있다.
경로 관리부(270)는 다운로드된 트랙 로그를 지도 정보 상에 표시한다.
그룹 공유 관리부(280)는 트랙 로그를 공유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그룹을 관리한다. 트랙 로그의 그룹 공유는 그룹 내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트랙 로그, 사진, 메모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도 4h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미리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여,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가 제공하는 그룹 설정 화면을 통해 그룹을 설정한다.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30)의 하단의 그룹(Group)을 선택하면, 커뮤니티에 등록한 그룹 사용자들(박C, 김C, 비C)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 커뮤니티 웹사이트와 인터넷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진 촬영과 메모를 작성했을 경우, 그룹 사용자 전체에 실시간으로 공유가 가능하다.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그룹의 특정 사용자의 현재 위치, 트랙 로그, 사진 또는 메모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트랙 로그를 증강 현실로 구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 현실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법이다. 즉,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에 트랙 로그를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이다. 도 4i를 참조하면 증강 현실로 구현된 실제 영상에 트랙 로그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는 웹 사이트 관리부(300), 트랙 로그 관리부(310), 매쉬업 제어부(320) 및 사용자 관리부(330)를 포함한다.
웹 사이트 관리부(300)는 모바일 단말기(130) 또는 PC(140)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웹 사이트를 관리한다. 여기서, 웹 사이트는 사용자가 PC(140)로 접속하여 트랙 로그의 검색 또는 조회하고, 트랙 로그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30)를 통해 접속하여 트랙 로그를 업로드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또는 공유된 트랙 로그를 검색하여 볼 수 있다.
트랙 로그 관리부(310)는 모바일 단말기(130)로부터 업로드된 트랙 로그 및 이에 상응하는 정보를 등록, 수정, 삭제, 검색 및 공유 기능을 관리한다.
트랙 로그 관리부(310)는 사용자의 트랙 로그와 연관 정보를 등록, 수정, 삭제, 검색, 공유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30)에서, 스마트폰에서 업로드 된 트랙 로그를 조회한다. 여기서, 트랙 로그를 편집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130)의 트랙 로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관심 있는 트랙 로그들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트랙 로그 관리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내 트랙 로그에 자신 또는 타인이 업로드한 트랙 로그들이 리스트화되어 있으며, 해당 트랙 로그 제목을 선택하면, 지도 정보와 함께 트랙 로그 및 이에 포함된 사진 및 메모가 함께 표시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트랙 로그와 연동하여 저장된 사진들이 표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모바일 단말기(130)의 카메라로 찍은 사진은 자동으로 트랙 로그에 연동하여 저장이 가능하며 별도의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했을 경우에도 웹 사이트에서 연동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기의 트랙 로그를 웹 사이트에 업로드 한다. 모바일 단말기와 시간을 동기화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웹 사이트에 업로드 하고 연결할 트랙 로그에 연동하면 자동으로 사진이 배치된다.
매쉬업 제어부(320)는 상기 업로드된 트랙 로그 및 이에 상응하는 정보를 사용자 웹 사이트에 링크시켜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매쉬업(Mashup)은 웹으로 제공하고 있는 정보와 서비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트랙 로그 공유 커뮤니티 사이트에 업로드한 트랙 로그와 사진 및 메모 정보를 자신의 블로그에서 보이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개인 블로그에서 링크 형태로 트랙 로그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트랙 로그 정합부(330)는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는 서로 다른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트랙 로그를 모바일 단말기에 상응하도록 트랙 로그를 정합시킨다. 여기서, 서로 다른 모바일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131)과 내비게이션 단말기(132)일 수 있으며, GPS 좌표로부터 생성하는 트랙 로그의 데이터 형태가 다르게 저장되는 단말기들을 의미한다.
즉, 트랙 로그 관리 서버(110)는 다른 기종, 예를 들면 스마트 폰과 GPS 단말기 간의 상호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GPS 단말기에 저장된 트랙 로그 파일을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업로드 하고 편집하여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거나 반대로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업로드 된 트랙 로그를 GPS 단말기의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는 여행 장소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예컨대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0). 물론 특정 장소, 예컨대 '제주도 올레길', '둘레길' 등으로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예상 이동 경로 정보를 자동 생성할 수도 있고, 입력된 정보에 따라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해당 정보와 관련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의 검색을 요청하여 리스트를 전송받아 사용자가 그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하나의 트랙 로그 정보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트랙 로그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예상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S20).
그리고 사용자는 GPS 위치 정보의 수신 시간 간격 또는 거리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S30). 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 사항들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트랙 로그가 생성된다(S40). 이때 상기 예상 이동 경로와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트랙 로그는 서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 된다(S50).
한편, 트랙 로그가 생성되고 있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특정 지점에서 사진이나 동영상 정보를 입력하거나 음성이나 메모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이를 케른 정보로서 생성되는 트랙 로그와 연동하여 저장한다(S60 및 S70).
트랙 로그의 생성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이를 트랙 로그 관리 서버로 업로드 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S80). 물론 자신이 생성한 트랙 로그의 업로드 여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100: 트랙 로그 공유 시스템
110: 트랙 로그 관리 서버
120: 인터넷
130: 모바일 단말기

Claims (15)

  1.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예상 이동 경로 정보가 설정되도록 하여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GPS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수신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트랙 로그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트랙 로그를 만드는 과정에서 상기 트랙 로그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사용자의 메모,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이용하여 작성되는 해당 지점에 관한 여행 가이드나 소감 기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케른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케른 정보를 상기 트랙 로그 경로 상의 해당 지점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생성되는 트랙 로그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와 구별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랙 로그에 따른 경로 정보와 상기 케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2.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네트워크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가 다운로드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 된 트랙 로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예상 이동 경로가 설정되도록 하여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GPS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수신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트랙 로그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트랙 로그를 만드는 과정에서 상기 트랙 로그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사용자의 메모,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이용하여 작성되는 해당 지점에 관한 여행 가이드나 소감 기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케른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케른 정보를 상기 트랙 로그 경로 상의 해당 지점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생성되는 트랙 로그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와 구별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랙 로그에 따른 경로 정보와 상기 케른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한 다른 사용자들과 상기 트랙 로그에 따른 경로 정보 및 상기 케른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GPS 위치 정보의 미리 설정된 사항은,
    상기 트랙 로그 경로 상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GPS 위치 정보의 수신 거리 간격의 설정 및 GPS 위치 정보의 수신 시간 간격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정보의 생성은,
    사용자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에 매칭되어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예상 이동 경로를 자동 생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가 다운로드 되도록 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여행 장소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여행 장소에 관한 정보에 기초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의 검색을 상기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요청하도록 하는 단계와,
    검색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에 관한 리스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며,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정보가 다운로드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트랙 로그 정보 공유를 위한 다른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가 다운로드 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그룹에서 선택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가 상기 트랙 로그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트랙 로그 정보 공유를 위한 다른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다른 사용자들의 현재 위치 정보, 트랙 로그 정보, 상기 트랙 로그 정보에 포함된 케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된 정보 중 선택된 정보에 대해 상기 트랙 로그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로그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생성되는 트랙 로그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를 이탈하는지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트랙 로그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이에 관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가 지정되어 설정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예상 이동 경로가 상기 지정된 경유지를 포함하도록 재설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11.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GPS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수신하는 GPS 모듈;
    사용자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예상 이동 경로 정보를 설정하여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경로 관리부;
    상기 GPS 모듈에서 수신하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트랙 로그가 생성되도록 하는 트랙 로그 설정부;
    사용자가 상기 트랙 로그를 만드는 과정에서 상기 트랙 로그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사용자의 메모,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이용하여 작성되는 해당 지점에 관한 여행 가이드나 소감 기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케른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케른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생성되는 트랙 로그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와 구별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며, 상기 케른 정보에 관하여 상기 트랙 로그 상의 해당 지점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12.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GPS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수신하는 GPS 모듈;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네트워크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모듈 제어부;
    상기 트랙 로그 관리 서버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트랙 로그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관리하는 트랙 백 관리부;
    상기 다운로드 된 트랙 로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예상 이동 경로 정보를 설정하여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경로 관리부;
    상기 GPS 모듈에서 수신하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트랙 로그가 생성되도록 하는 트랙 로그 설정부;
    사용자가 상기 트랙 로그를 만드는 과정에서 상기 트랙 로그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사용자의 메모,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이용하여 작성되는 해당 지점에 관한 여행 가이드나 소감 기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케른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케른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생성되는 트랙 로그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와 구별되도록 상기 지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며, 상기 서버에 접속한 다른 사용자들과 상기 트랙 로그에 따른 경로 정보 및 상기 케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상기 트랙 로그에 따른 경로 정보와 상기 케른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로그 설정부는,
    상기 트랙 로그 경로 상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GPS 위치 정보의 수신 거리 간격 및 GPS 위치 정보의 수신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정보 설정 수단을 제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14. 삭제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로그를 공유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그룹을 관리하는 그룹 공유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그룹의 특정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 트랙 로그 정보, 케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20110027189A 2010-07-30 2011-03-25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068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8956 WO2012134027A1 (ko) 2011-03-25 2011-11-23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3901 2010-07-30
KR1020100073901 2010-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888B1 true KR101068888B1 (ko) 2011-10-11

Family

ID=4503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189A KR101068888B1 (ko) 2010-07-30 2011-03-25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88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629A (ko) * 2012-11-12 2014-05-21 (주)섬엔지니어링 여행 일지 생성 시스템 및 그 여행 일지 생성 방법
KR101462779B1 (ko) * 2013-04-23 2014-11-21 (주)비글 스마트폰 기반 지피에스 트랙데이터 제공 방법
KR101464913B1 (ko) * 2014-02-21 2014-11-25 서강정 네비게이션 기능이 포함된 자전거여행 전용 다이어리
KR101548703B1 (ko) 2014-02-07 2015-09-02 (주)제이앤씨마케팅커뮤니케이션 증강 현실을 이용한 투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185719B2 (en) 2014-04-15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viding life log ser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KR20210123837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가이드유 가이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629A (ko) * 2012-11-12 2014-05-21 (주)섬엔지니어링 여행 일지 생성 시스템 및 그 여행 일지 생성 방법
KR101582644B1 (ko) * 2012-11-12 2016-01-05 (주)섬엔지니어링 여행 일지 생성 시스템 및 그 여행 일지 생성 방법
KR101462779B1 (ko) * 2013-04-23 2014-11-21 (주)비글 스마트폰 기반 지피에스 트랙데이터 제공 방법
KR101548703B1 (ko) 2014-02-07 2015-09-02 (주)제이앤씨마케팅커뮤니케이션 증강 현실을 이용한 투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64913B1 (ko) * 2014-02-21 2014-11-25 서강정 네비게이션 기능이 포함된 자전거여행 전용 다이어리
US10185719B2 (en) 2014-04-15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viding life log ser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US10891328B2 (en) 2014-04-15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viding life log ser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US11361016B2 (en) 2014-04-15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viding life log ser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KR20210123837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가이드유 가이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446851B1 (ko) * 2020-04-06 2022-09-23 주식회사 가이드유 가이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4959B2 (en)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using image, location data, and annotations
JP6208654B2 (ja) 関心地点情報をプッシュ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85439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 first-person world view of content
US8437779B2 (en) Modification of dynamic contact lists
US88129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 first person world view of content
KR101068888B1 (ko)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US201202215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ctive search user interface element
EP2393056A1 (en) Acquiring, ranking and displaying points of interest for use in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sioning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such ranked points of interests
US201402976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geo-augmentation via virtual tagging
WO2007005032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ip management functions
US9104694B2 (en) Method of searching in a collection of data items
US11868419B2 (en) Geo-referenced virtual anchor management system for media content access from physical location
US8364396B2 (en) Organizing media data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7134781A (ja) 情報案内方法、情報案内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18635A (ko) 위치기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커뮤니티 기반의 음식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75054B1 (ko) 여행 정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823360B1 (ko) 적어도 하나의 루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JP2015018421A (ja) 端末装置、投稿情報送信方法、投稿情報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投稿情報共有システム
WO2012134027A1 (ko)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0961471B1 (ko) 경로 맵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15421A (ko)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여행정보 공유/추천 서비스 방법
US88925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event management
Chang et al. Interactive Traveling Assistant based on Agent Technologies and Mobile Computing.
Daradimos et al. WhereRU: GPS position reporting and a personal ontology as a virtual community utility
Chang et al. Real-Time Recording and Updating of Personal Journeys via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