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489B1 -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 - Google Patents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489B1
KR101068489B1 KR1020100075136A KR20100075136A KR101068489B1 KR 101068489 B1 KR101068489 B1 KR 101068489B1 KR 1020100075136 A KR1020100075136 A KR 1020100075136A KR 20100075136 A KR20100075136 A KR 20100075136A KR 101068489 B1 KR101068489 B1 KR 101068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fferential pressure
pressure
roo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섭
Original Assignee
(주)중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중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7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빌딩 각실에 설치된 댐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빌딩 각실의 전실 차압을 실시간 측정하고 수압표시기와 연결되어 수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차압과 수압을 중앙통제실에 전송하는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에 있어서, 수압표시기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 센서부, 전실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측정 센서부, 중앙통제실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송수신 수단, 빌딩 각실을 구분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어드레스 스위치수단, 상기 수압측정 센서부의 신호 및 상기 차압측정 센서부의 신호를 접수하고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신호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댐퍼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동작하는 릴레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경보신호 및 통신램프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및 스위칭부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LOBBY DIFFERENTIAL PRESSURE INDICATOR REPEATOR}
본 발명은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연구역의 상태를 센싱하여 신호송수신수단을 통해 중앙통제실에 전달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제연구역의 공기압과 실내의 공기압과의 차압을 센싱함과 동시에 수압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여 장비의 오작동으로 인한 물적피해를 줄이고 제연구역의 적정차압유지 및 소방설비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의 화재시 인명피해는 화염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에 앞서 화염과 함께 발생 되는 연기와 유독가스에 의해 질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건축관련 소방법에 있어서는 일정규모 이상 고층 건축물은 화재시 연기가 유입되지 않는 제연구역을 구비하며, 제연구역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급기 설비를 구비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급기 설비의 급기구는 화재감지신호(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하며, 급기구는 평시에는 폐쇄상태를 유지하나, 화재시에는 급기구가 전층 개방되어 제연구역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여 설정된 일정 공기압이 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급기구는 화재시 개방되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제연구역이나, 피난계단으로 공급하여 피난통로를 마련함으로 화재시 연기나 가스에 의해 질식되는 것을 방지하며, 대피시간과 대피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건축물의 실내에 화재가 발생될 시 열 또는 연기에 의해 공기압은 상승하게 되며, 상대적으로 공기압이 낮은 화재가 발생 되지 않는 제연구역인 복도나 계단으로 연기가 빠져나가게 되며, 복도나 계단으로 빠져나간 연기는 건물 전체로 퍼져 대피하는 사람을 질식시키게 된다.
따라서, 고층건물에 있어서는 화재시 연기가 복도나 계단으로 빠져나가 건물 전체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연장치(제연 설비)가 설치되어 진다.
상기 제연장치의 일반적인 사항으로는, 화재시 실내로 통하는 출입문을 통해 연기가 빠져나가 출입문 밖의 전실 즉 제연구역으로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실인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보다 높게 유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화재시 전실인 제연구역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설비는,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층에 설치되는 송풍기로, 외부의 공기를 수직풍도인 급기덕트를 통해 제연구역의 급기구로 급기하게 되며, 급기구에는 급기를 제어하는 개폐날개를 갖는 급기댐퍼를 갖게 된다.
화재시 제연구역으로 외기를 불어넣어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상승시킬 때, 제연구역의 공기압과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을 감지하여 제연구역의 공기압이 화재가 발생된 실내보다 50pa(파스칼)±20%이내의 차압이 발생되도록 외부공기를 제연구역으로 공급하여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연기가 제연구역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한다.
제연구역의 공기압이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보다 50pa(파스칼)+20% 즉 60pa(파스칼) 이상의 차압이 발생될 경우 제연구역의 공기압이 너무 높아 출입문을 개방하기가 어려워 노약자는 출입문을 열고 피난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되며 제연구역과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차압이 50pa(파스칼)-20% 즉, 40pa(파스칼)이하 일 경우에는 연기가 제연구역으로 빠져나올 염려가 있음으로 인해 제연구역 공기압이 실내의 공기압보다 50pa(파스칼)±20%이내의 차압을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연구역과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을 검출하는 방법은, 제연구역과 실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차압 센서에 의해, 제연구역과,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을 감지하게 되며, 제연구역과,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차압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공기차압이 50pa(파스칼)-20% 이하 즉 40pa(파스칼)이하로 될 경우, 급기구를 개방하여, 외부의 공기를 제연구역으로 유입하여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상승시켜 주며, 제연구역과 실내의 공기차압이 50pa(파스칼)+20% 이상 즉 60pa(파스칼)이상일 경우, 급기구를 닫아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재시 제연구역으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화재가 발생된 실내보다 40~60pa(파스칼)의 공기차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연 장치를 가지며, 제연구역의 일측에는 피난계단(비상구)과 연결되는 방화문을 갖게 된다.
상기 방화문은 평시에는 닫혀있게 되며, 또는 화재시 자동으로 닫혀져서 제연구역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시 대피하는 사람은 출입문을 통해 먼저 제연구역으로 피난한 후 방화문을 열고 피난계단(비상구)으로 피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재 발생시 출입문을 열고 전실인 제연구역으로 피난할 시, 제연구역의 공기가 실내로 방연풍속을 유지시켜, 실내의 연기가 제연구역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제연구역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됨으로 인해, 제연구역의 공기압은 순간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그 후, 실내로 통하는 출입문은 방연풍속과 같은 방향이므로 출입문이 용이하게 닫히게 되며 출입문이 닫힌 후에는 제연구역의 공기압은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전실인 제연구역으로, 대피한 사람은 제연구역과 피난계단 사이의 방화문을 열고 피난계단으로 대피하게 되는바, 방화문을 여는 순간 제연구역의 공기압은 다시 피난계단으로 빠져나가, 재차 제연구역의 공기압은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연구역의 공기압이 낮아지게 될 경우, 급기구가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를 제연구역으로 공급하여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규정된 공기압 즉 50pa(파스칼)+20%인 60pa(파스칼)의 공기압이 될 때까지, 제연구역으로 급기를 하게 된다.
다시 말해 방화문이 열리는 순간 피난계단으로 빠져나가는 공기에 의해, 제연구역의 공기압이 낮아지는 것을 센서가 감지하여, 급기구를 100% 완전히 개방하여 제연구역으로 외기를 공급하게 되며, 소방법에 있어서는 제연구역에서 실내 또는 피난계단 방향으로 방연풍속 0.7m/s이상 유지되도록 규정하고 있어 제연구역의 낮아진 공기압만큼 외기가 유입되어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방연풍속을 유지하기 위해 제연구역으로 유입된 공기압은 방화문을 가압하여 방화문이 열린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현상을 유발하게 되며, 열려진 방화문으로 빠져나가는 공기만큼 급기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계속 유입됨으로, 방화문은 공기압에 의해 닫혀지지 않게 되며, 열려진 방화문은 도어클로저(도어 닫힘장치)에 의해 피난계단 방향에서 제연구역으로 닫히려고 하고 방연풍속은 제연구역에서 피난계단방향으로 발생하므로 방화문은 100% 닫혀지지 않고 10~20%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연구역의 차압은 규정치 차압에 못 미치는 15-39pa를 유지하는 문제점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종래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2628호 2009년 12월 9일 등록, 발명의 명칭: 고층건물의 제연방법)에 의하면, 화재시 제연구역으로부터 방화문을 통해 피난이 끝난 후, 제연구역의 높은 방연풍속 공기압에 의해 방화문이 완전히 닫혀지지 않아 방화문의 여려진 층의 제연구역이 규정된 공기압에 도달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열려진 방화문으로 공기가 빠져나가, 건물 전층의 제연구역이 규정된 공기압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는 종래의 제연장치와 제연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열려진 제연구역의 방화문이 닫아주어 방화문을 통해 공기가 제연구역의 공기압이 실내의 공기압보다 높은 차압을 유지토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부 살펴보면, 실내(15)의 사람이 출입문(16)을 통해 제연구역(13)으로 대피하며, 방화문(17)을 열고 피난계단(18)으로 빠져나간 후 제연구역(13)의 방연풍속 공기압에 의해 방화문(17)이 닫혀 지지 않고 일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열려진 방화문(17) 틈새로 공기가 빠져나가, 제연구역(13)의 공기압이 15-39pa(파스칼)을 형성하게 될 경우 방화문(17)이 도어클로저(17-1)에 의해 닫히는 과정에서 제연구역(13)에서 피난계단 방향으로 작용하는 방연풍속 공기압에 의해 방화문(17)이 100% 닫혀주지 못하고 일부(10-20%)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해결하는 것으로, 댐퍼개폐기(23) 내의 개폐날개 열림감지스위치가 온(on)된 상태하에서 댐퍼제어기(25)의 차압센서(26)가, 제연구역(13)과 실내(15)의 공기차압이 15-39pa(파스칼)로 5~6초가 유지되면, 댐퍼제어기(25)는 댐퍼개폐기(23)에 신호를 보내 급기댐퍼(21)의 개폐날개(22)를 닫아 급기를 차단하며, 동시에 개폐날개(22)의 닫힘을 감지하는 개폐날개닫힘감지스위치가 작동하여 닫힘을 감지하며, 상기 개폐날개(22)가 닫혀져서 제연구역(13)의 공기압력을 낮추어주어, 이로 인해 방화문(17)에 통상 부착되는 도어클로저(17-1)가 작동하여 방화문(17)을 닫아주도록 하며 상기 개폐날개(22)가 닫혀지는 4 - 5초가 경과한 후 댐퍼제어기(25)가 댐퍼개폐기(23)에 개폐날개(22) 개방신호를 보내, 급기댐퍼(21)의 개폐날개(22)가 개방되어 제연구역(13)으로 급기를 재개하여 제연구역(13)과 실내(15)의 설정된 공기차압(50pa±20%) 이내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층건물의 제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압센서(26)는 제연구역(13)의 공기압을 감지하여 규정압력인 40~60pa 이내를 유지하도록 댐퍼제어기(25)가 댐퍼개폐(23)를 작동하여 개폐날개(22)를 개방과 닫힘을 반복하면서 제연구역(13)과 실내의 공기 차압이 40~60pa 이내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제연구역(13)과 화재가 발생된 실내(15)의 공기차압이 60pa(50pa+20%)이상으로 될 때 제연구역(13)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감소시켜 제연구역(13)의 공기압을 낮추어주며, 반대로 제연구역(13)과 실내의 공기차압이 40pa(50pa-20%)이하로 될 때 급기구(14)의 급기댐퍼(21)의 개폐날개(22)를 개방하여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증가시켜 개폐날개(22)는 10-20% 개방각 정도에서 개폐 작동되어 제연구역(13)의 공기압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제연구역과 실내와의 공기 차압이 50pa(파스칼)±20% 이내로 유지되도록 한다.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댐퍼개폐기(23)가 작동하여 급기댐퍼(21)의 개폐날개(22)를 개방하여 제연구역(13)으로 급기하는 도중 대피가 완료된 후 방화문(17)은 도어클로저(17-1)에 의해 자동으로 닫혀지게 되는 바 방화문(17)에 공기압이 작용할 경우 방화문(17)은 10-20% 정도가 닫혀지지않고 열린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열려진 방화문(17) 틈새로 공기가 빠져나가 제연구역(13)은 평균 20pa 정도의 공기차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댐퍼개폐기(23)에 개폐날개(22)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열림감지스위치(sw2)가 개폐날개 열림감지홈(23-4)에 삽입되어 열림 접점한 후 제연구역(13) 내의 공기차압이 15-39pa 이내를 5-6초 동안 유지할 경우 개폐날개(22)를 4-5초 동안 닫힘방향 종동기어(23-2)가 회전되어 개폐날개(22)는 개폐날개닫힘감지홈(23-3)으로 이동하여 닫힘감지스위치(sw1)를 작동시키며, 개폐날개(22)가 닫혀져서 제연구역(13)의 공기압이 낮아지는 순간방화문(17)은 도어클로저(17-1)에 의해 10-20% 열려진 방화문을 완전히 닫아주게 되는 것이다.
그 후 댐퍼제어기(25)가 재차 댐퍼개폐기(23)를 구동하여 개폐날개(22)를 개방하여 제연구역(13)의 공기압을 설정된 차압으로 상승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고층건물의 화재시 각층의 제연구역(13)의 공기압이 설정된 공기차압으로 도달하도록 하며, 실내(15) 연기 및 유독가스가 제연구역 및 피난계단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으로, 대피할 공간을 마련하며 인명을 보호하는 제연장치 제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 역시 건물에 설치된 스프링 쿨러같은 소방설비와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압력의 변화로 인해 스프링쿨러가 오작동 하는 경우 이로인한 물적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제연구역의 상태를 센싱하여 신호송수신수단을 통해 중앙통제실에 전달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새로운 형태의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연구역의 공기압과 실내의 공기압과의 차압을 센싱함과 동시에 수압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여 장비의 오작동으로 인한 물적피해를 줄이고 제연구역의 적정차압유지 및 소방설비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빌딩 각실에 설치된 댐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빌딩 각실의 전실 차압을 실시간 측정하고 수압표시기와 연결되어 수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차압과 수압을 중앙통제실에 전송하는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에 있어서,
스프링쿨러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 센서부,
전실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측정 센서부,
중앙통제실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송수신 수단,
빌딩 각실을 구분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어드레스 스위치수단,
상기 수압측정 센서부의 신호 및 상기 차압측정 센서부의 신호를 접수하고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신호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댐퍼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동작하는 릴레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경보신호 및 통신램프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및 스위칭부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는 수압측정 센서부의 신호 및 상기 차압측정 센서부의 신호를 접수하고 연산하여 수압측정 센서부의 측정 압력이 5-10KG의 범위일 때 전실의 차압이 15pa-50pa의 범위를 벗어날 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송수신 수단은 RS485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의 어드레스 스위치를 통해 전달되는 주소를 통해 해당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의 설치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표시신호를 상기 중앙통제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에 의하면, 제연구역의 상태를 센싱하여 신호송수신수단을 통해 중앙통제실에 전달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연구역의 공기압과 실내의 공기압과의 차압을 센싱함과 동시에 수압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여 장비의 오작동으로 인한 물적피해를 줄이고 제연구역의 적정차압유지 및 소방설비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층건물 제연설비의 급기댐퍼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고층건물의 제연구역의 일측에 방화문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제연구역의 급기구 앞에 설치하는 급기댐퍼와 댐퍼개폐기와 댐퍼제어기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를 통한 전실차압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와 통신하는 전실차압 모니터링 시스템의 PC단에 설치되는 마스터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는고층빌딩 전실차압 및 수압을 실시간으로 차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현재까지 나온 이 분야의 장비는 단지 차압을 측정하여 LED로 표시만 할 뿐 빌딩 전체의 각각의 전실의 상태를 일괄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을 불가능 한데,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전실에서의 차압 뿐만 아니라 수압까지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중앙통제실에 전송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소방설비 스프링쿨러 설비 알람밸브 2차측 과압으로 인한 후렉시블 파열방지 및 헤드 파열로 인한 물적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실시간 모니터링 감시체계로 구축할 수 있는 제품이다.
본 발명은 전실 제연차압 및 소화설비 수압측정 p/c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기존 자동차압조절댐퍼와 호환가능한 차압트랜스미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압 및 수압을 측정하고 전동(mov) 밸브동작 및 밸브동작 유무확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통신단자대는 플러그인 타입으로 교체가 편리하도록 개발되었다. 통신방식을 본 발명에서는 RS-485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다. 또한 인디게이터 통신방식이다. 또한 전동(MOV) 밸브기동 및 열림 닫힘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1채널 통신거리 1200M이며 중계기 번호는 01~100까지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200)는 빌딩 각실에 설치된 댐퍼(도시안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빌딩 각실의 전실 차압을 실시간 측정하고 수압표시기(330)와 연결되어 수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차압과 수압을 중앙통제실(도시안됨)에 전송한다(구체적으로 중앙통제실의 마스터 모듈(100))에 전송한다.
상기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200)는 수압표시기(330)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 센서부(280),
전실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측정 센서부(230),
중앙통제실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송수신 수단(250),
빌딩 각실을 구분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어드레스 스위치수단(SW1,SW2,SW3,SW4),
상기 수압측정 센서부(280)의 신호 및 상기 차압측정 센서부(230)의 신호를 접수하고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20),
상기 제어부(220)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신호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90),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댐퍼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동작하는 릴레이부(210),
상기 제어부(220)의 신호에 따라 경보신호 및 통신램프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및 스위칭부신호 출력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조부호 240은 신호송수신 포트를 나타내며, 수압 및 차압용 별도로 구비된다. 참조부호 250은 종단저항 스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신호는 상기 수압측정 센서부(280)의 신호 및 상기 차압측정 센서부(230)의 신호를 접수하고 연산하여 수압측정 센서부의 측정압력이 5-10KG의 범위일 때 및 전실의 차압이 15pa-50pa의 범위를 벗어날 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조부호 231은 전실 측에 연결된 센서부이고, 참조부호 232는 실내측에 연결된 센서부이다.
상기 신호송수신 수단은 RS48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200)의 어드레스 스위치를 통해 전달되는 주소를 통해 해당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200)의 설치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표시신호를 상기 중앙통제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터 모듈(100)은 중앙통제실에(정확히는 중앙통제실의 PC) 장착되며, 각각 VCC, GND단자와 RS485의 채널 1에서 부터 5까지 A와 B로 구분되어 설치된다(도면에서 1-12로 표시됨). 참조부호 13은 마스터 온/오프스위치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4는 PC용 RS232 포트를 나타내며, 15는 파워 디스플레이 LED를 나타내며, 16 내지 20은 채널1 내지 5의 각각의 LED를 나타내며, 21 및 22는 PC용 송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LED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에 따르면, 초기에 RS485 어드레스를 세팅하고 접점상태를 체크하게 된다(S2).
이후 차압측정과 수압측정을 하게되며(S4), 차압값이 디스플레이된다(S6). 이후 모든 상태데이터가 내부에 저장되게 된다(S8).
한편 상기 단계 S2이후에, 전자밸브(MOV) 접점상태를 체크하게 되는데(S5) 만약 접점 상태이면, LED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S7)(물론 이때의 LED는 중앙통제실의 마스터모듈(100)쪽을 말한다), 상기 단계 S8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 S8이후에, 각 모듈의 어드레스를 확인하게 되고(S10)(어드레스 확인은 주기적으로 하게된다), 어드레스가 맞으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며(S12)(이때 수신된 데이터는 차압 및 수압데이터이다), 이후 중앙통제실의 마스터모듈이 장착된 PC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작동되며(S14), 데이터가 정상인 경우에는 초기상태로 복귀되고, 데이터가 오류인 경우에는 경보가 출력되게 된다(S16). 상기 경보 출력은 각각의 전실에 직접 경보를 울리게 할 수도 있고(도시안됨), 경보 상태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 가능하다.
100: 마스터 모듈
200: 인디게이터 중계기(슬레이브 모듈)
210: 릴레이부
220: 제어부
230: 차압측정 센서부
240: 신호송수신 포트
250: 종단저항 스위치
260: 경보신호 및 스위칭 신호출력부
270: 신호송수신 수단(RS485)
280: 수압측정 센서부
290: 디스플레이부
330: 수압측정표시기
SW1,SW2,SW3,SW4: 어드레스 스위치수단

Claims (4)

  1. 빌딩 각실에 설치된 댐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빌딩 각실의 전실 차압을 실시간 측정하고 수압표시기와 연결되어 수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차압과 수압을 중앙통제실에 전송하는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에 있어서,
    수압표시기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 센서부,
    전실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측정 센서부,
    중앙통제실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송수신 수단,
    빌딩 각실을 구분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어드레스 스위치수단,
    상기 수압측정 센서부의 신호 및 상기 차압측정 센서부의 신호를 접수하고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신호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댐퍼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동작하는 릴레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경보신호 및 통신램프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및 스위칭부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는 수압측정 센서부의 신호 및 상기 차압측정 센서부의 신호를 접수하고 연산하여 수압측정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압력이 5-10KG의 범위일 때 전실의 차압이 15pa-50pa의 범위를 벗어날 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송수신 수단은 RS485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의 어드레스 스위치를 통해 전달되는 주소를 통해 해당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의 설치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표시신호를 상기 중앙통제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
KR1020100075136A 2010-08-04 2010-08-04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 KR101068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136A KR101068489B1 (ko) 2010-08-04 2010-08-04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136A KR101068489B1 (ko) 2010-08-04 2010-08-04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489B1 true KR101068489B1 (ko) 2011-09-28

Family

ID=4495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136A KR101068489B1 (ko) 2010-08-04 2010-08-04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4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237Y1 (ko) 2000-10-12 2001-10-25 원희섭 건축물의 자동 제연장치
KR200358345Y1 (ko) 2003-12-02 2004-08-06 정근영 제연 구역의 댐퍼 제어 장치
KR20060056644A (ko) * 2004-11-22 2006-05-25 이동명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KR100783254B1 (ko) 2007-02-23 2007-12-06 박형용 방화셔터통합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237Y1 (ko) 2000-10-12 2001-10-25 원희섭 건축물의 자동 제연장치
KR200358345Y1 (ko) 2003-12-02 2004-08-06 정근영 제연 구역의 댐퍼 제어 장치
KR20060056644A (ko) * 2004-11-22 2006-05-25 이동명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KR100783254B1 (ko) 2007-02-23 2007-12-06 박형용 방화셔터통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687B1 (ko) 일정한 방연풍속을 제공하는 제연설비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US7241218B2 (en) Fire/smoke damper control system
KR101732181B1 (ko) 소방용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KR101920894B1 (ko) 화재 수신기에 의한 제연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10281B1 (ko)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KR101638152B1 (ko) 스마트 화재예방 및 대응 시스템
KR101453485B1 (ko) 차압 풍량 연산제어 급기댐퍼
KR102622256B1 (ko)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KR102082664B1 (ko) 통합 제연 시스템
KR20170096092A (ko) 환기, 제연 및 공기 감염 질환 통제용 창호 결합형 실내 공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9839878B (zh) 消防应急疏散余压监控系统
KR101242179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KR100932628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KR20150017398A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EP3303936A1 (en) Ventilation system
KR200493371Y1 (ko) 거실제연 시스템
KR101068489B1 (ko) 전실차압 인디게이터 중계기
KR100671477B1 (ko)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EP2971995A1 (en) Arrangement for pressurizing a space and/or evacuating smoke therefrom in case of a fire
KR200469784Y1 (ko) 전실 차압측정공을 갖는 급기댐퍼
KR102439393B1 (ko) 건물 무선 제연 시스템
JP2005040504A (ja)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CN209270673U (zh) 地下管廊消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