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478B1 - 봉안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봉안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478B1
KR101068478B1 KR1020100107212A KR20100107212A KR101068478B1 KR 101068478 B1 KR101068478 B1 KR 101068478B1 KR 1020100107212 A KR1020100107212 A KR 1020100107212A KR 20100107212 A KR20100107212 A KR 20100107212A KR 101068478 B1 KR101068478 B1 KR 101068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inding
enclosure
forming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대아티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아티아이(주) filed Critical 대아티아이(주)
Priority to KR102010010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상하좌우로 연결되는 구조에 의해 상하로 적층 및 좌우로 증설이 가능하여 납골의 수에 따라 구조변경이 용이한 봉안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재를 성형하는 판재성형단계와, 결속수단을 성형하는 결속수단성형단계와, 성형된 판재를 이용하여 함체를 형성하는 함체형성단계와, 성형된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함체의 상하좌우측 중 어느 일측의 판재와 상접되는 다른 함체의 판재를 결속하는 결속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판재성형단계는 성형물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에 다수개의 내력벽이 형성되며, 성형물의 일단에서 외측면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단차지는 외측면에 결속홈이 형성되도록, 성형물을 압출하여 판재를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된 판재를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형태로 되어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봉안함 제조방법{CINERARY URN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봉안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상하좌우로 연결되는 구조에 의해 상하로 적층 및 좌우로 증설이 가능하여 납골의 수에 따라 구조변경이 용이한 봉안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유교적 관습에 따라, 화장보다는 매장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매장 관습에 따라, 전 국토의998㎢이 묘지로 뒤덮여 있고, 2000만 기의 묘지가 산재해 있으며, 이 중 40%는 무연고 묘지로서 방치되고 있다. 또한, 매년 여의도 면적의 1.2배에 달하는 땅이 묘지로 변경되고 있다.
이러한 묘지는 활용 가능한 땅에 위치한 경우가 많아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와 이용을 어렵게 만들 뿐만 아니라, 그렇지 아니한 경우라도 묘지조성으로 인한 산림 훼손, 자연생태계 파괴, 환경파괴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급기야 정부에서는 묘지의 사용기한을 15년으로 제한하고, 매장시한이 지나면 화장 후 납골당으로 이전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개인묘지는 9평으로 제한하는 등 강력한 '장사법에 관한 법률'개정안을 제정 공포하였다.
이에 따라, 시신을 화장하여 남은 유골분말을 납골함에 넣어 보관하는 납골당을 이용한 유골안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시신을 화장 후 남은 유골을 분말 형태로 분쇄한 다음 그 분쇄된 유골을 수용할 수 있는 함체나 용기 형태의 납골함으로 넣고, 그 납골함과 위패를 다시 옥외 또는 옥내로 설치되는 납골함 안치대로 안치하여 참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납골당이 시대적인 추세에 있다.
그에 따라 분말 형태의 유골을 넣도록 하는 여러 형태의 납골함과, 그 납골함이 안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납골함 안치대 등이 안출되어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납골당에는 납골함 안치단이 건축되며 이러한 납골함 안치단은 주로 돌 또는 나무 등의 소재와 철재를 혼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돌이나 인조대리석, 나무 등의 소재를 이용한 납골함 안치단은 화려함을 지향할 수는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어 시공비가 너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돌로 제작된 납골함안치단은 돌의 특성상 이미지가 매우 차고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무로 제작된 납골함안치단은 나무의 특성상 휘거나 비틀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납골함안치단은 다수개의 납골이 안치되도록 다수의 구획된 공간이 형성되는 안치단을 기립되게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납골의 수에 따라 안치단의 구조를 변경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형태로 조립되는 구조에 의하여 조립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봉안함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판재들을 박스형태로 조립하고 상하좌우로 연결되는 구조에 의해 대규모의 안치단을 형성하여 많은 수의 납골을 각각 안치할 수 있는 봉안함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또 다른 목적은 상하좌우로 연결되는 구조에 의해 상하로 적층 및 좌우로 증설이 가능하여 납골의 수에 따라 구조변경이 용이한 봉안함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스형태의 안치단이 대규모로 형성될 때, 자체하중에 대응하도록, 구조가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제조된 판재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구조를 봉안함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스형태의 내부를 상하좌우로 분리하거나 합치하여 개개의 납골이 각각 안치되거나 부부납골이 함께 안치될 수 있는 봉안함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성형물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에 다수개의 내력벽이 형성되며, 성형물의 일단에서 외측면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단차지는 외측면에 결속홈이 형성되도록, 성형물을 압출하여 판재를 성형하는 단게와 성형된 판재를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판재성형단계와, 결속수단을 성형하는 결속수단성형단계와, 성형된 판재를 이용하여 함체를 형성하는 함체형성단계와, 성형된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함체의 상하좌우측 중 어느 일측의 판재와 상접되는 다른 함체의 판재를 결속하는 결속단계로 이루어지는 봉안함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성형단계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양측에 복수개의 결속돌기가 형성되도록, 성형물을 압출하여 결속부재를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된 결속부재를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형태로 되어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판재들을 박스형태로 조립하고 상하좌우로 연결되는 구조에 의해 대규모의 안치단을 형성하여 많은 수의 납골을 각각 안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하좌우로 연결되는 구조에 의해 상하로 적층 및 좌우로 증설이 가능하여 납골의 수에 따라 구조변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박스형태의 안치단을 대규모로 형성될 때, 판재의 구조에 의해 자체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박스형태의 내부를 분리하여 서로 다른 납골이 각각 안치되거나, 내부를 합치하여 부부 납골이 함께 안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체결수단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결속수단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조립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완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조과정을 보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후면판재(11)와, 후면판재(11)의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판재(13)와, 후면판재(11) 및 복수개의 판재(13)를 체결하는 복수개의 체결수단(15)으로 구성된다. 즉, 후면판재(11)는 정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후면판재(11)의 전면에서 외측에 복수개의 판재(13)가 사각형상이 되도록 배열시킨다. 이어서, 판재(13)들의 내측을 복수개의 체결수단(15)으로 결합시키면 전면이 개방되는 함체(10)가 완성된다.
그리고, 함체(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판(30)과, 커버판(30)을 함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즉, 함체(10)의 내부에 납골을 안치한 상태에서 함체(10)의 전면에 커버판(30)을 위치시킨 후에 고정부재(50)로 커버판(30)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커버판(30)은 투명, 반투명 및 불투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함체(10)의 내부에 별도의 조명(도시생략)을 설치하면 야간에 함체(10)에 안치된 납골이 육안으로 확인되게 된다.
도 3은 두 개의 판재(13)가 서로 배면이 마주되어 겹쳐진 상태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판재(13)는 내측이 중공(13a)으로 형성되고, 중공(13a)에는 다수개의 내력벽(13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판재(13)는 중공(13a)에 의해 구조가 가벼워지면서 중공(13a)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내력벽(13b)에 의해 내구성은 증대되게 된다. 이에 의해 판재(13)들로 이루어지는 함체(10)가 적층되어도 그 형상은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안치된 납골은 안정되게 보관된다.
이와 같은 판재(13)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되, 압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판재(13)는 변색 및 변형에 강하며, 압출성형되는 판재(13)를 일정길이로 절단하면 규격화된 판재(13)를 얻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15)은 직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판재(13)들 내측에 지지되는 지지체(15a)와, 판재(13)와 지지체(15a)를 픽싱하는 픽싱부재(15b)로 구성된다.
이때, 지지체(15a)는 직각으로 절곡되는 면이 형성되도록 삼각형상 또는 엘보형상으로 형성되되, 판재(13)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체(15a)도 압출성형하여 판재(13)의 길이만큼의 규격으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15a)는 삼각형상에서 일측으로 돌출편(15c)이 돌출되거나 또는 “T”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15c)이 판재(13)와 함체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픽싱부재(15b)로 픽싱되면 체결력은 더욱 증대되게 된다.
그리고, 픽싱부재(15b)는 스크류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크류나사를 판재(13)와 지지체(15a)관통시켜 체결시키고, 후면판재(11)의 후면에서 지지체(15a)의 후면으로 관통시켜서 체결시키는 것으로, 후면판재(11)와 판재(13)들은 함체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후면판재(11)와 판재(13)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함체(10)가 완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는 서로 겹쳐지는 복수개의 판재(13)를 함께 결속하는 결속수단(1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속수단(17)에 의해 서로 겹쳐지는 복수개의 판재(13)가 함께 결속되므로, 함체(10)는 상하좌우로 더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결속수단(17)은 판재의 일단에서 외측면에 형성되는 결속홈(17a)과, 상기 결속홈(17a)에 결합되는 결속부재(17b)로 구성된다.
먼저, 결속홈(17a)은 판재(13)의 양단에서 외측면에 대칭되게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속홈(17a)의 외측에는 수용공간(17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용공간(17c)은 판재(13)의 일단이 결속부재(17b)의 두께만큼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속부재(17b)가 결속홈(17a)에 결속되면 결속부재(17b)가 속홈(17a)의 외측면이 결속부재(17b)의 두께만큼 단차지게 형성되는 수용공간(17c)에 수용되므로, 결속부재(17b)의 외측면이 판재(13)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결속부재(17b)는 지지대(17b1)와, 지지대(17b1)의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속돌기(17b2)로 구성된다.
따라서, 결속돌기(17b2)가 결속홈(17a)에 결속되면 지지대(17b1)의 외측은 판재(13)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함체(10)의 외측면이 미관상 깨끗하며, 함체(10)들이 상호 간섭되지 않으면서 적재되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판재(13)들의 배면이 접촉되도록 배치시키면 판재(13)들에 각각 형성되는 결속홈(17a)은 서로 대향되면서 외측을 향하게 된다. 그러면, 복수개의 결속돌기(17b2)가 서로 대향되는 복수개의 결속홈(17a)에 삽입되어 결속되게 된다.
이와 같이, 후면판재(11)의 전면에 복수개의 판재(13)들을 사각형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이 판재(13)들의 외측에 다른 판재(13)들을 배치시킨 후에, 4개의 결속부재(17b2)를 각각의 판재(13)들에 결속시킨다.
그러면, 지지대(17b1)들이 판재(13)들의 전면으로 사각형상으로 돌출되게 되므로, 지지대(17b1)들에 의해 커버판(30)의 상하좌우가 지지되게 된다. 이어서, 고정부재(50)를 지지대(17b1)들의 끝단에 고정설치하면 커버판(30)은 함체(10)의 전면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함체(10)가 완성되어 안치되는 납골이 보관되게 된다.
한편, 함체(10)의 외측에 다른 판재(13)들이 함체형상으로 연결되면서 결속부재(17b)에 의해 고정되므로, 다수개의 함체(10)가 상하좌우로 증대되게 되어 다수의 납골이 각각 안치되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0)는 겹쳐진 판재(13) 2개의 두께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고정판(51)과, 고정판(51)을 지지대(17b1)에 고정시키는 고정핀(53)으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핀(53)은 지지대(17b1)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함체(10)의 4모서리에 설치되는 고정부재(50)에 의해 커버판(30)의 4모서리가 지지되므로, 커버판(30)은 고정부재(50)에 의해 고정되어서 함체(10)의 전방을 폐쇄하게 된다.
한편, 함체(10)들이 상하좌우로 연결될 때, 상하로 설치되는 지지대(17b1)들의 길이는 함체(10)의 내측높이만큼 설정하고, 좌우로 설치되는 지지대(17b1)들의 길이는 함체(10)의 외측높이만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핀(53)이 고정되는 홀은 함체(10)의 4모서리에 위치되도록 좌우로 설치되는 지지대(17b1)들의 양 끝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는 함체(10)의 내측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101)와, 복수개의 결합부재(101)에 상단 및 하단이 각각 결합되는 벽체(10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결합부재(101)는 함체(10)의 내측깊이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되, 벽체(103)가 삽입되는 홈이 결합부재(10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복수개의 결합부재(101)를 함체의 내측에 대칭되게 설치한 후에 복수개의 결합부재(101)에 벽체(103)를 슬라이딩시켜서 설치하게 된다. 이때, 결합부재(101)는 합성수지 또는 철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접착제 또는 민머리나사로 함체(10)에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벽체(103)에 의해 함체(10)의 내부는 분리되게 되므로, 하나의 함체(10)에 두 개의 납골을 각각 안치시키게 된다. 또한, 함체(10)의 내부에 가로로 벽체(103)를 설치하여 함체(10)의 내부를 상하로 분리하고, 가로로 설치된 벽체(103)의 상하에 세로로 벽체(103)들를 각각 설치하면 하나의 함체(10)는 4칸으로 분리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판재(13)를 성형하는 판재성형단계(S1)와, 결속수단(17)을 성형하는 결속수단성형단계(S3)와, 성형된 판재(13)를 이용하여 함체(10)를 형성하는 함체형성단계(S5)와, 성형된 결속수단(17)을 이용하여 함체(10)의 상하좌우측 중 어느 일측의 판재(13)와 상접되는 다른 함체의 판재(13)를 결속하는 결속단계(S7)로 이루어진다.
즉, 판재(13)를 성형하고 성형된 판재(13)와 후면판재(11) 및 복수개의 체결수단(15)을 이용하여 함체(10)를 형성한다. 그리고, 결속수단(17)을 성형한 후에, 성형된 결속수단(17)을 이용하여 함체(10)와 인접된 다른 함체(10)를 결속시키기 위하여 2개의 함체(10) 사이에 상접하는 판재(13)들을 결속시킨다.
그리고, 판재성형단계(S1)는 성형물의 내부에 중공(13a)이 형성되고, 중공(13a)에 다수개의 내력벽(13b)이 형성되며, 성형물의 일단에서 외측면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단차지는 외측면에 결속홈이 형성되도록, 성형물을 압출하여 판재(13)를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된 판재(13)를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속수단성형단계(S3)는 지지대(17b1)와, 지지대(17b1)의 양측에 복수개의 결속돌기(17b2)가 형성되도록, 성형물을 압출하여 결속부재(17b)를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된 결속부재(17b)를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성형된 판재(13)와 결속부재(17b)를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함체(10)를 형성하게 되므로, 다수개의 함체(10)의 제조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되게 된다.
또한, 함체(10)의 내부를 분리하기 위해 벽체(103)가 사용된다. 이때, 복수개의 결합부재(101) 및 벽체(103)를 압출하여 성형하고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은 하나의 함체(1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의 납골만 안치하거나, 부부 납골을 함께 안치할 수도 있고, 벽체(103)를 이용하여 함체(10)의 공간을 분리하여 다수의 납골을 각각 안치할 수도 있으므로, 납골당에 적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함체
11 : 후면판재
13 : 판재
15 : 체결수단
17 : 결속수단
30 : 커버판
50 : 고정부재

Claims (2)

  1. 성형물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에 다수개의 내력벽이 형성되며, 성형물의 일단에서 외측면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단차지는 외측면에 결속홈이 형성되도록, 성형물을 압출하여 판재를 성형하는 단게와 성형된 판재를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판재성형단계와, 결속수단을 성형하는 결속수단성형단계와, 성형된 판재를 이용하여 함체를 형성하는 함체형성단계와, 성형된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함체의 상하좌우측 중 어느 일측의 판재와 상접되는 다른 함체의 판재를 결속하는 결속단계로 이루어지는 봉안함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성형단계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양측에 복수개의 결속돌기가 형성되도록, 성형물을 압출하여 결속부재를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된 결속부재를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함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00107212A 2010-10-29 2010-10-29 봉안함 제조방법 KR101068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212A KR101068478B1 (ko) 2010-10-29 2010-10-29 봉안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212A KR101068478B1 (ko) 2010-10-29 2010-10-29 봉안함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983A Division KR101005921B1 (ko) 2010-06-16 2010-06-16 봉안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478B1 true KR101068478B1 (ko) 2011-09-28

Family

ID=4495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212A KR101068478B1 (ko) 2010-10-29 2010-10-29 봉안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4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095B1 (ko) * 2007-06-15 2008-07-17 김수진 납골함안치단의 납골함수납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095B1 (ko) * 2007-06-15 2008-07-17 김수진 납골함안치단의 납골함수납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966B2 (en) Interlocking panels, modules with interlocking panels, and a modular display case with interlocking modules with interlocking panels
USD584053S1 (en) Transparent shoe storage box
USD631374S1 (en) Watch case
USD860649S1 (en) Storage box
US8046881B2 (en) Cremation urn, kit and system for retaining cremation remains
USD531961S1 (en) Vertically-mounted, weatherproof, while-in-use, electrical receptacle cover assembly
CN103796552B (zh) 储物阁的改进
USD555399S1 (en) Storage cube
KR101743396B1 (ko) 조립식 배양 플레이트
USD591173S1 (en) Salad kit
US20200247584A1 (en) Decorative planter box with removable faces
KR101068478B1 (ko) 봉안함 제조방법
KR101068785B1 (ko) 봉안함
KR101005921B1 (ko) 봉안함
KR100780569B1 (ko) 봉안단의 연결구조
CN101188990B (zh) 用纸板、木材或类似材料制成的带有侧向入口的棺材
USD554896S1 (en) Drawer and frame system
KR20100006075U (ko) 자석 종이블록
USD786444S1 (en) Box for a dental kit
USD538352S1 (en) Yard sign with trimmed edges
CN2889256Y (zh) 一种拆装式竹制棺材
JP2020058746A (ja) 組立式の個室箱型ベッド
CA2976666A1 (en) Ornamental structure for cremains container
KR20140005743U (ko) 판상물 직립식 보관함
JP3213597U (ja) こた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