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028B1 -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고안 방법 - Google Patents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고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028B1
KR101068028B1 KR1020097020714A KR20097020714A KR101068028B1 KR 101068028 B1 KR101068028 B1 KR 101068028B1 KR 1020097020714 A KR1020097020714 A KR 1020097020714A KR 20097020714 A KR20097020714 A KR 20097020714A KR 101068028 B1 KR101068028 B1 KR 101068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ification
lens
region
myopia
eq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885A (ko
Inventor
제프리 에이치 로프만
필립 에프 주빈
티모시 알 폴링
마이클 스키너
쉐일라 힉슨-커랜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10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8Special mathematical desig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안 교정용으로 유용한 렌즈를 고안하는 방법, 이러한 디자인을 도입한 렌즈 및 이러한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렌즈는 다초점 영역 내에서 원시 배율 및 근시 배율의 분포가 우수하여, 시력 및 착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다초점 안과용 렌즈, 근시 배율, 원시 배율, 분포도, 시력, 착용자 만족도

Description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고안 방법{Methods for designing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광학 배율 또는 초점 길이를 사용하는 렌즈를 제공하며, 노안을 교정하는 데 유용하다.
사람은 나이가 들어 감에 따라, 눈은 관찰자에 비교적 근접한 물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천연 렌즈를 보다 덜 적응시키거나 굴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노안으로서 알려져 있다. 추가로, 천연 렌즈가 제거되고 대체물로서 삽입된 인공 수정체를 갖는 사람에게는 적응하는 능력이 전혀 없다.
적응하려는 안구의 기능상실을 교정하는데 사용되는 방법들 중에서, 개인이 근시를 위한 하나의 콘택트 렌즈와 하나의 원시용 렌즈를 착용하는 단안시 시스템(mono-vision system)이 있다. 단안시 시스템은 렌즈 착용자가 원거리 물체와 근거리 물체를 구별하도록 하지만, 이는 심층 인지력의 상당한 손실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불편하다.
또 다른 형태의 다초점 콘택트 렌즈에서, 각 렌즈의 광학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배율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광학 영역은 안구가 동시에 사용하는 원거리 배율 및 근거리 배율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이들 방법 중의 어떠한 방법도 시력 및 렌즈 착용자 만족도 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착용자의 적응 능력을 교정하고 공지된 렌즈의 단점의 일부 또는 모두를 해결하는 렌즈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노안을 교정하는 데 유용한 렌즈를 고안하는 방법, 이러한 디자인을 도입한 렌즈 및 이러한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근시 배율 및 원시 배율의 다초점 영역이 진폭, 위치 및 너비에 따라 변하도록 한다. 이러한 변동 결과로 다초점 영역 내에서 원시 배율 및 근시 배율의 우수한 분포도가 존재하여, 시력 및 착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고안은 하드 렌즈 또는 소프트 렌즈인 콘택트 렌즈의 제조에 유용하다. 이러한 렌즈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물질로 제조된 소프트 콘택트 렌즈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렌즈는, 원거리 및 근거리 광학 배율 이외에도, 표면 위에 혼입되는 임의의 각종 교정 광학 특징, 예를 들면, 원주형 배율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영역의 위치, 진폭 및 너비가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다초점 배율 영역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다초점 배율 영역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다초점 배율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영역을 포함하고, 광학 영역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광학 영역으로 이루어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제공한다.
Figure 112009060729052-pat00001
위의 수학식 1에서,
Y는 표면 위의 특정 지점 x에서의 부가 배율(add power)이고,
x는 렌즈 표면 위의 한 지점이고,
a는 0.5이고,
k는 배율이 최대인 배율 영역내의 지점이고,
P는 배율 영역의 너비를 조절하는 계수로서, 약 0 초과 약 15 미만이고,
S는 영역의 주변에서 진폭 및 이의 감소를 조절하는 계수로서, 약 0 초과 약 30 미만이고,
부가 배율은 렌즈의 근시 배율과 원시 배율 사이의 배율 차와 같거나 그 미만의 값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안과용 렌즈(ophthalmic lens)"란 콘택트 렌즈 또는 인공 수정체 등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렌즈는 콘택트 렌즈이다. "위치"란 동공에 관한 배율 영역 위치를 의미한다. "진폭"이란 배율 영역 내에서의 배율 진행의 정도 또는 범위를 의미한다. "원시 배율"이란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을 목적하는 정도로 교정하는 데 필요한 굴절률의 양을 의미한다. "근시 배율"이란 착용자의 근거리 시력을 교정하는 데 필요한 굴절률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렌즈에서, 다초점 배율 영역은 물체 측면, 또는 전면, 표면, 눈의 측면 또는 후면, 표면 또는 양쪽 표면 위에 존재할 수 있다. 다초점 배율 영역은 원시 배율 및 근시 배율 사이를 교호하는 상이한 배율을 갖는 2개 이상의 영역, 바람직하게는 근시, 원시 및 중간 시야 배율 사이를 교호하는 3개의 영역을 갖는다. 원거리 배율 영역 및 근거리 배율 영역 각각은 다른 원거리 및 근거리 영역의 배율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중간 배율은 근시 영역 및 원시 영역 배율 피크 사이의 배율 진행 결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중간 배율 영역은 또한 수학식 1을 사용하여 고안될 수 있다.
다초점 배율 영역은 렌즈의 광학 영역 내의 특정 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다. 다초점 배율 영역은 동축이고, 공통 축은 Z축이고, 바람직하게는 회전적으로 대칭적이다. 본 발명의 렌즈에서, 근거리, 원거리 및 중간 광학 배율은 구형 또는 원환체 배율이다. 추가로, 원거리, 근거리 및 중간 광학 배율 영역은 바람직하고 실용적인 차수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4개의 상이한 다초점 배율 영역 디자인에서의 배율 진행을 그래프로 묘사한 것이다. 각각의 디자인에서, 근시 배율이 영역의 중앙에 존재하고, 원시 배율은 영역의 주변부에 또는 주변부를 향해 존재한다. 주변부는,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영역 또는 면적을 의미한다. 각각의 디자인에 대해 수학식 1에 사 용된 값을 표 1에 나타낸다.
디자인 A 디자인 B 디자인 C 디자인 D
부가 배율 2.50D 2.50D 2.50D 2.50D
a 0.50 0.50 0.50 0.50
k 0.0 0.0 0.0 0.0
P 1.0 2.5 5.0 10.0
S 2.000 2.000 2.000 2.000
도 2는 5개의 배율 영역을 갖는 다초점 배율 영역에서의 배율 진행을 그래프로 묘사한 것이다. 도 2의 복합 디자인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에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생성된 값의 합을 취함으로써 달성된다.
경우 A 경우 B
부가 배율 2.50D 2.50D
A 0.50 0.50
k -1.5 -2.5
P 3.5 5.0
S 4.000 6.283
복합 디자인을 사용하여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에 가장 근접한 영역을 의미하는 내부 배율 영역의 특성이 외부, 또는 주변 영역의 특성과 상이한 다초점 배율 영역을 생성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부가 배율이 하나의 근시 배율 영역으로부터 다른 근시 배율 영역까지 상이한 다중 영역 복합 디자인의 배율 진행을 그래프로 묘사한 것이다. 복합 디자인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에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생성된 값의 합을 취함으로써 달성된다.
경우 C 경우 D
부가 배율 2.50D 1.75D
A 0.50 0.50
k -1.5 -2.5
P 3.5 5.0
S 4.000 6.283
이러한 고안의 이점은 근시 배율이 광학 영역의 주변 부분에서 감소되므로 렌즈 착용자에서 야간 시야가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원시 배율로부터 근시 배율 및 근시 배율로부터 원시 배율의 배율 변화의 변화율 및 윤곽(contour)이 변하는 렌즈 고안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렌즈가 제공된다. 이러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근시 배율 및 원시 배율을 포함하고, 근시 배율 및 원시 배율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근시 배율 및 원시 배율로 이루어진 광학 영역을 포함하고, 광학 영역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광학 영역으로 이루어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제공하며, 원시 배율과 근시 배율 사이의 배율 변화의 변화율 및 윤곽이 수학식 2 및 수학식 3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수학식에 따라 결정된다.
Figure 112009060729052-pat00002
Figure 112009060729052-pat00003
위의 수학식 2 및 3에서,
A는 부가 배율이고,
P는 0 내지 1의 동공 인자이고,
X는 0 초과, 바람직하게는 1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2, π 또는 2π이다.
수학식 2 및 3의 목적상, P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최대 및 최소 동공 직경을 최소 내지 최대의 간격 단계와 함께 선택한다. 선택된 간격 단계(interval step)는 고안자에 따라 임의로 선택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컴퓨터 수치 제어 선반(computer numerical controlled lathe)에 의해, 렌즈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에 적합하다. 최대 직경으로부터, 전체 직경 P의 백분율(%)이 한정된다.
수학식 2는 원시 배율이 광학 영역의 중앙에 있고 근시 배율이 광학 영역의 주변에 있는 중심 원거리 렌즈 고안에 사용된다. 수학식 3은 중심 근거리 렌즈 고안에 사용되거나, 근시 배율이 중앙에 있고 원거리 시야가 주변에 있는 렌즈에 사용된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원시 배율부터 근시 배율 및 근시 배율로부터 원시 배율의 배율 변화의 변화율 및 윤곽은 수학식 4 및 수학식 5 중의 하나의 수학식에 따라 변한다.
Figure 112009060729052-pat00004
Figure 112009060729052-pat00005
위의 수학식 4 및 5에서,
A는 부가 배율이고,
t는 90 내지 180°의 동공 인자이고,
X는 0 초과, 바람직하게는 1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2, π 또는 2π이다.
수학식 4 및 수학식 5의 목적상, t는 최대 및 최소 동공 직경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 최소 직경은 선형 간격에서 90°이고, 최대 직경은 180°이다.
수학식 4는 중심 원거리 고안에 사용되고, 수학식 5는 중심 근거리 렌즈에 사용된다. 따라서,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원시 배율과 근시 배율 사이의 배율 변화의 변화율 및 윤곽이 수학식 4 및 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수학식에 따라 결정되는 근시 배율 및 원시 배율을 포함하고, 근시 배율 및 원시 배율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근시 배율 및 원시 배율로 이루어진 광학 영역을 포함하고, 광학 영역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광학 영역으로 이루어진 다초점 안과용 렌즈를 제공한다.
수학식 4
Figure 112009060729052-pat00006
수학식 5
Figure 112009060729052-pat00007
위의 수학식 4 및 5에서,
A는 부가 배율이고,
t는 90 내지 180°의 동공 인자이고,
X는 0 초과, 바람직하게는 1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2, π 또는 2π이다.
도 4는 각종 고안에 대한 배율 진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고안 A 내지 D는 수학식 3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고안 E 내지 G는 수학식 5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두 수학식은 동일한 간격(0,1)으로 만들고, 동일한 값(A 및 0)으로 시작되고 끝난다. 그러나, Sin(t)는 선형 함수가 아니므로, 생성되는 진행 속도는 상이하다. 따라서, 다른 수학식 대신 하나의 수학식을 사용하여 수학식 2 및 수학식 4와 유사한, 주어진 동공 크기에 대하여 부가 배율의 양을 바꿀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는 통상의 방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에 형성된 다초점 영역은 교호 반경을 사용하는 다이아몬드-터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당해 영역은 본 발명의 렌즈의 성형을 위해 사용되는 금형에서 다이아몬드-터닝될 수 있다. 이어서, 적합한 액체 수지를 금형 사이에 놓고, 압착시키고, 수지를 경화시켜 본 발명의 렌즈를 성형한다. 그렇지 않으면, 영역은 렌즈 하단으로 다이아몬드 터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고안된, 너비가 상이한 다초점 시야 배율 영역에서 배율 진행(power progression)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묘사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고안된 5개의 배율 영역 디자인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묘사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5개의 배율 영역 디자인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묘사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고안된 4개의 다초점 배율 영역에서 배율 진행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묘사한 도면이다.

Claims (2)

  1. 영역의 위치, 진폭 및 너비가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다초점 배율 영역을 함유하는 광학 영역을 포함하는, 다초점 안과용 렌즈.
    수학식 1
    Figure 112011007675528-pat00008
    위의 수학식 1에서,
    Y는 표면 위의 특정 지점 x에서의 부가 배율(add power)이고,
    x는 렌즈 표면 위의 한 지점이고,
    a는 0.5이고,
    k는 배율이 최대인 배율 영역 내의 한 지점이고,
    P는 0 초과 15 미만이고,
    S는 0 초과 30 미만이고,
    부가 배율은 렌즈의 근시 배율과 원시 배율 사이의 배율 차와 같거나 그 미만의 값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소프트 콘택트 렌즈인 렌즈.
KR1020097020714A 2001-08-14 2002-07-29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고안 방법 KR101068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29,667 2001-08-14
US09/929,667 US6520638B1 (en) 2001-08-14 2001-08-14 Methods for designing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PCT/US2002/024024 WO2003016985A2 (en) 2001-08-14 2002-07-29 Methods for designing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993A Division KR100928404B1 (ko) 2001-08-14 2002-07-29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고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885A KR20090110885A (ko) 2009-10-22
KR101068028B1 true KR101068028B1 (ko) 2011-09-28

Family

ID=254582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993A KR100928404B1 (ko) 2001-08-14 2002-07-29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고안 방법
KR1020097020714A KR101068028B1 (ko) 2001-08-14 2002-07-29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고안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993A KR100928404B1 (ko) 2001-08-14 2002-07-29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고안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520638B1 (ko)
EP (1) EP1446692A1 (ko)
JP (1) JP2005500569A (ko)
KR (2) KR100928404B1 (ko)
CN (3) CN100565279C (ko)
AR (1) AR035118A1 (ko)
AU (1) AU2002324554B2 (ko)
BR (1) BR0211935A (ko)
CA (3) CA2771949C (ko)
TW (1) TW594100B (ko)
WO (1) WO200301698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9103B1 (en) * 2002-10-31 2004-03-2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s for designing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US7370962B2 (en) 2002-10-31 2008-05-1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upil regulated multifocal contact lenses
SE0203564D0 (sv) 2002-11-29 2002-11-29 Pharmacia Groningen Bv Multifocal opthalmic lens
US7896916B2 (en) * 2002-11-29 2011-03-01 Amo Groningen B.V. Multifocal ophthalmic lens
DE102004025712A1 (de) * 2004-05-26 2005-12-15 Rupp + Hubrach Optik Gmbh Gleitsichtlinse
BRPI0517017A (pt) * 2004-10-25 2008-09-30 Advanced Medical Optics Inc lente oftálmica com múltiplas placas de fase
US7922326B2 (en) 2005-10-25 2011-04-12 Abbott Medical Optics Inc. Ophthalmic lens with multiple phase plates
WO2006054986A1 (en) * 2004-11-16 2006-05-2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ES2302437B1 (es) * 2006-07-10 2009-05-01 Fundacio Privada Catalana D'oftalmologia Grimaldi Lentilla para corregir defectos oculares.
WO2009022025A1 (es) * 2007-08-03 2009-02-19 Fundació Privada Catalana D'oftalmología Grimaldi Lentilla para corregir defectos oculares
US20090157179A1 (en) * 2007-12-11 2009-06-18 Pinto Candido D Ophthalmic Lenses Providing an Extended Depth of Field
US8646908B2 (en) * 2008-03-04 2014-02-1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Rotationally stabilized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their design
US8331048B1 (en) 2009-12-18 2012-12-11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s of designing lenses having selected depths of field
MY189707A (en) 2012-02-03 2022-02-28 Coopervision Int Ltd Multifocal contact lenses and related methods and uses to improve vision of presbyopic subjects
WO2013114208A1 (en) 2012-02-03 2013-08-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ultifocal contact lenses and related methods and uses to improve vision of presbyopic subjects
SG11201404584YA (en) 2012-02-03 2014-08-28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Multifocal contact lenses and related methods and uses to improve vision of presbyopic subjects
KR101858788B1 (ko) 2012-02-03 2018-05-16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노안 대상체의 시력을 개선하기 위한 다초점 콘택트 렌즈 및 관련 방법 및 용도
TWI588560B (zh) 2012-04-05 2017-06-21 布萊恩荷登視覺協會 用於屈光不正之鏡片、裝置、方法及系統
CA2883712A1 (en) 2012-08-31 2014-03-06 Amo Groningen B.V. Multi-ring lens,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ed depth of focus
US9201250B2 (en) 2012-10-17 2015-12-01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ense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refractive error
KR102199677B1 (ko) 2012-10-17 2021-01-08 브리엔 홀덴 비전 인스티튜트 리미티드 굴절 오류를 위한 렌즈들,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시스템들
WO2016040331A1 (en) 2014-09-09 2016-03-17 Staar Surgical Company Ophthalmic implants with extended depth of field and enhanced distance visual acuity
US10881504B2 (en) 2016-03-09 2021-01-05 Staar Surgical Company Ophthalmic implants with extended depth of field and enhanced distance visual acuity
CA3013857A1 (en) 2016-02-09 2017-08-17 Amo Groningen B.V. Progressive power intraocular len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WI595286B (zh) * 2016-06-07 2017-08-11 Continuous zoom contact lenses
CA3056707A1 (en) 2017-03-17 2018-09-20 Amo Groningen B.V. Diffractive intraocular lenses for extended range of vision
US11523897B2 (en) 2017-06-23 2022-12-13 Amo Groningen B.V. Intraocular lenses for presbyopia treatment
WO2019002384A1 (en) 2017-06-28 2019-01-03 Amo Groningen B.V. DIFFRACTIVE LENSES AND INTRAOCULAR LENSES ASSOCIATED WITH THE TREATMENT OF PRESBYOPIA
AU2018292030B2 (en) 2017-06-28 2024-02-08 Amo Groningen B.V. Extended range and related intraocular lenses for presbyopia treatment
US11327210B2 (en) 2017-06-30 2022-05-10 Amo Groningen B.V. Non-repeating echelettes and related intraocular lenses for presbyopia treatment
CN112867944A (zh) 2018-08-17 2021-05-28 斯塔尔外科有限公司 呈现折射率纳米梯度的聚合物组合物
CA3166308A1 (en) 2019-12-30 2021-07-08 Amo Groningen B.V. Lenses having diffractive profiles with irregular width for vision treat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079A (ko) * 1998-07-30 2000-02-25 워필드 마크 진행성 상가 렌즈
KR20000071332A (ko) * 1999-02-04 2000-11-25 워필드 마크 굴절 광학 배율이 감소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점진적 굴절광학 배율 증가 렌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9155B (en) 1982-10-13 1987-05-20 Ng Trustees & Nominees Ltd Bifocal contact lenses
DE3246306A1 (de) * 1982-12-14 1984-06-14 Titmus Eurocon Kontaktlinsen Gmbh & Co Kg, 8750 Aschaffenburg Bifokallinse vom bivisuellen typ
US4580882A (en) 1983-04-21 1986-04-08 Benjamin Nuchman Continuously variable contact lens
FR2573876A1 (fr) 1984-11-26 1986-05-30 Vinzia Francis Lentille multifocale, procede de preparation de cette lentille et utilisation comme lentille de contact ou comme implant intra-oculaire pour remplacer le cristallin
US4752123A (en) * 1985-11-19 1988-06-21 University Optical Products Co. Concentric bifocal contact lens with two distance power regions
FR2642854B1 (fr) 1989-02-03 1991-05-03 Essilor Int Lentille optique a vision simultanee pour la correction de la presbytie
US5139325A (en) * 1991-01-25 1992-08-18 Oksman Henry C Wide depth of focus power add to intraocular and contact lenses
WO1993014434A1 (en) * 1992-01-06 1993-07-22 Seiko Epson Corporation Contact lens
US5448312A (en) * 1992-12-09 1995-09-05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Pupil-tuned multifocal ophthalmic lens
NZ250359A (en) * 1992-12-09 1996-07-26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Multifocal ophthalmic lens pair
FR2701770B1 (fr) 1993-02-18 1995-05-12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à vision simultanée pour la correction de la presbytie et jeu de deux telles lentilles ophtalmiques pour un même porteur .
IL117937A0 (en) * 1995-05-04 1996-08-04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Combined multifocal toric lens designs
US5864379A (en) 1996-09-27 1999-01-26 Dunn; Stephen A. Contact lens and process for fitting
FR2772489B1 (fr) * 1997-12-16 2000-03-10 Essilor Int Lentilles ophtalmiques multifocales a aberration spherique variable suivant l'addition et l'ametropie
US6030077A (en) * 1998-03-11 2000-02-29 Menicon Co., Ltd. Multifocal ocular lens having intermediate region with continuously varying optical power
US6286956B1 (en) * 1998-10-19 2001-09-11 Mencion Co., Ltd. Multifocal ocular lens including intermediate vision correction region between near and distant vision correction regions
AU2365300A (en) * 1998-12-16 2000-07-03 Wesley-Jessen Corporation Multifocal contact lens with aspheric surf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079A (ko) * 1998-07-30 2000-02-25 워필드 마크 진행성 상가 렌즈
KR20000071332A (ko) * 1999-02-04 2000-11-25 워필드 마크 굴절 광학 배율이 감소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점진적 굴절광학 배율 증가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185A (ko) 2004-05-22
AR035118A1 (es) 2004-04-14
JP2005500569A (ja) 2005-01-06
WO2003016985A2 (en) 2003-02-27
CN100565279C (zh) 2009-12-02
CN1618036A (zh) 2005-05-18
CA2771949C (en) 2013-09-24
CN100380174C (zh) 2008-04-09
US6520638B1 (en) 2003-02-18
CA2772025A1 (en) 2003-02-27
CN100573235C (zh) 2009-12-23
CA2456539C (en) 2012-05-29
CA2772025C (en) 2013-09-24
TW594100B (en) 2004-06-21
CN101004488A (zh) 2007-07-25
WO2003016985A8 (en) 2004-06-03
CA2456539A1 (en) 2003-02-27
CN101004489A (zh) 2007-07-25
BR0211935A (pt) 2004-09-14
AU2002324554B2 (en) 2007-07-12
KR100928404B1 (ko) 2009-11-26
CA2771949A1 (en) 2003-02-27
KR20090110885A (ko) 2009-10-22
EP1446692A1 (en)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028B1 (ko)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고안 방법
EP1381908B1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 with induced aperture
KR100700651B1 (ko) 누진 감소면을 포함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82288B1 (ko) 안용 하이브리드 굴절성 복굴절 다초점 렌즈
US7178918B2 (en) Ophthalmic lenses with induced aperture and redundant power regions
AU2002324554A1 (en) Methods for designing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JP4674346B2 (ja) プログレッシブアディション・レンズ
JP2000105358A (ja) 漸進的付加型レンズ
JP2013518309A (ja) 連続的な度数グラデーションを有するレンズ
CA2332330C (en) Contact lenses with contoured edges
WO2000072051A2 (en)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ith modified channel power profiles
WO2003054616A2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JP2005062805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4475652B2 (ja) 累進屈折力レンズの製造方法
CA2471856C (en) Contact lenses with off-center sphere surface
KR20000010765A (ko) 굴절률 구배 렌즈
MXPA00011631A (en) Contact lenses with contoured e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