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814B1 -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의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의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814B1
KR101067814B1 KR1020090093464A KR20090093464A KR101067814B1 KR 101067814 B1 KR101067814 B1 KR 101067814B1 KR 1020090093464 A KR1020090093464 A KR 1020090093464A KR 20090093464 A KR20090093464 A KR 20090093464A KR 101067814 B1 KR101067814 B1 KR 10106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ordinates
area
enlarg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655A (ko
Inventor
이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90093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814B1/ko
Priority to US12/776,157 priority patent/US20110074829A1/en
Publication of KR2011003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 터치를 입력받아 제1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터치부, 터치부로부터 제1 터치 신호를 전달받아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확대 조건에 따라 본래 영역을 정의하고, 본래 영역을 확대한 확대 영역을 생성하는 화면 확대부, 확대 영역의 좌표를 생성하고,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본래 영역과 확대 영역의 좌표를 맵핑하는 좌표 맵핑부 및 확대 영역의 좌표에 대응되는 본래 영역의 좌표에 위치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터치, 확대, 인터페이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의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touch interface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의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터치 패널은 각종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이용되는 입력장치 중 하나이다. 사용자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과 같은 부가적인 주변기기 없이 사용자의 손이나 펜(Pen)으로 화면을 직접 접촉함으로써 전자기기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다.
기존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터치 입력부분을 확대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터치 입력부분을 확대하는 기능은 사용자가 별도로 설정을 한 영역을 단순히 확대하여 표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에 대하여 확대 기능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제한적으로 이용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터치 입력 시, 화면을 확대한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의 정확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 터치를 입력받아 제1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터치부, 상기 터치부로부터 상기 제1 터치 신호를 전달받아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 상기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확대 조건에 따라 본래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본래 영역을 확대한 확대 영역을 생성하는 화면 확대부, 상기 확대 영역의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본래 영역과 상기 확대 영역의 좌표를 맵핑하는 좌표 맵핑부 및 상기 확대 영역의 좌표에 대응되는 본래 영역의 좌표에 위치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행되는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a) 제1 터치를 입력받아 제1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b) 상기 제1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확대조건에 따라 본래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본래 영역을 확대한 확대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확대 영역의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본래 영역과 상기 확대 영역의 좌표를 맵핑하는 단계 및 e) 상기 확대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터치 입력 시, 화면을 확대한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 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의 구성도에 있어서, 터치부(70), 좌표 산출부(80), 화면 확대부(90) 및 좌표 맵핑부(100)를 제외한 구성부들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공통적으로 포함될 일반 구성에 해당하며, 터치부(70), 좌표 산출부(80), 화면 확대부(90) 및 좌표 맵핑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구현을 위해 특별히 구비되는 구성에 해당하는 바, 전자의 일반 구성들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의 구성도에 있어서, 터치부(70), 좌표 산출부(80), 화면 확대부(90) 및 좌표 맵핑부(100)를 별도의 블록으로 표시한 이유는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보다 명확히 구별시키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즉, 좌표 산출부(80), 화면 확대부(90) 및 좌표 맵핑부(100)가 수행하는 기능 및 역할은 제어부(50)가 통합하여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며, 혹은 터치부(70)의 기능이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60)에 입력부로써 포함될 수도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부(10), 키입력부(20), 송수화부(30), 저장부(40), 제어부(50), 표시부(60), 터치부(70), 좌표 산출부(80), 화면 확대부(90) 및 좌표 맵핑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부(10)는 무선상으로 송신 및 수신되는 RF 신호를 처리한다. 무선부(10)는 영상 및 음성을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키입력부(20)는 영상 또는 일반 통화 요청, 데이터 입력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외부 키를 입력받을 수 있다. 키입력부(170)는 키입력을 받을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송수화부(30)는 음성통화 시 사용되는 구성부로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40)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 메시지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40)는 키입력부(20)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특정 명령을 저장한다.
표시부(60)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및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60)는 본 발명에 따라 본래 영역에 대응하는 확대 영역을 표시함으로써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무선부(10), 키입력부(20), 송수화부(30), 저장부(40), 제어부(50) 및 표시부(60)를 제어한다. 제어부(50)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70), 좌표 산출부(80), 화면 확대부(90) 및 좌표 맵핑부(1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터치부(70)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터치를 입력받아 터치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입력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부로써 상술한 키입력부(20)와 터치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70)는 표시부(60) 상에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70)는 최초에 입력되는 제1 터치에 대하여 제1 터치 신호를 발생한다. 터치부(70)는 화면 상에 설정된 소정의 좌표에 따라 배치된 센서에 의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는 터치 입력을 감지 함으로써, 터치 위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70)는 근접 센서 모듈(75)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 모듈(75)은 근접 판단 기준에 따라 터치수단의 근접을 판단하여 제1 터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근접 판단 기준은 이동통신단말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근접 판단 기준은 터치수단이 접근하는 거리범위 또는 거리범위에 접근 후 유지한 시간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터치수단은 터치부(10)를 터치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람의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터치도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판단 기준이2mm 접근 거리 내에 3초이상 유지하는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근접 센서 모듈(75)은 손가락이 2mm 거리 내에 3초이상 유지하는 경우, 제1 터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 터치 신호가 발생된 위치의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획득하고,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현재 표시된 화면에서 소정의 본래 영역에 대한 확대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점은 이후 좌표 산출부(80), 화면 확대부(90) 및 좌표 맵핑부(100)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터치부(70)는 표시된 확대 영역에서 제2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부(70)는 제2 터치에 대한 제2 터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좌표 산출부(80)는 터치부(70)로부터 제1 터치 신호를 전달받아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좌표 산출부(80)는 터치부(70)로부터 제2 터치 신호를 전달받아 확대 영역의 좌표를 이용하여 제2 터치 위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확대 영역을 생성한 후, 확대 영역의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화면 확대부(90)는 확대 조건에 따라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중심으로 정의된본래 영역을 확대한 확대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확대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본래 영역의 크기 또는 모양, 확대 영역의 확대 비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확대부(90)는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중심으로 위/아래 및 좌/우로 각각 5mm 길이의 사각형 모양을 갖는 본래 영역을 2배의 비율로 확대한 확대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확면 확대부(90)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로써,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확면 확대부(90)는 제1 터치 위치 좌표에 위치한 포인터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포인터는 확대 영역에서 제2 터치에 대한 제2 터치 위치 좌표에 위치할 수 있다.
좌표 맵핑부(100)는 화면 확대부(90)에 의해 생성된 확대 영역의 좌표를 생성하고, 확대 영역과 본래 영역의 좌표를 맵핑할 수 있다. 여기서, 본래 영역은 제1 터치에 의하여 산출된 제1 터치 위치 좌표에 상응하는 영역이다. 좌표 맵핑부(100)는 본래 영역과 확대 영역의 각 좌표가 대응되도록 좌표를 맵핑할 수 있다.
또한, 좌표 맵핑부(100)는 확대 영역과 본래 영역의 좌표를 맵핑하여 맵핑 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좌표 맵핑부(100)는 맵핑 테이블을 저장부(40) 에 저장하거나, 맵핑 테이블을 좌표 맵핑부(100)에 별도로 저장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좌표 맵핑부(100)는 확대 영역에서 제2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좌표 산출부(80)로부터 제2 터치 위치 좌표를 전달받아 제2 터치 위치 좌표에 대응되는 본래 영역의 좌표를 제어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본래 영역의 좌표에 해당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화면 확대 모드를 실행한다(S210). 여기서, 화면 확대 모드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설정된 모드일 수 있다. 즉, 화면 확대 모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그 기능이 설정 또는 해제 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자에 의해 구현된 기본 기능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 터치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215).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최초에 감지되는 터치를 제1 터치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는 최근 입력에 대한 처리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대기모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이동통신단말기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입력되는 터치를 제1 터치로 인식할 수 있다.
S215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1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산출한다(S220). 이동통신단말기는 화면 상에 미리 설정된 좌표에 따라 배치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를 감지한다. 그래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 터치를 입력받아 제1 터치 신호를 발생하고,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터치부(70)에 근접 센서 모듈(75)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 모듈(75)은 근접 판단 기준에 따라 터치 수단의 근접을 판단할 수 있다. 근접 센서 모듈(75)은 터치 수단의 근접이 판단되는 경우, 이를 제1 터치로 인식하고, 제1 터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근접 판단 기준은 터치수단이 접근하는 거리범위 또는 거리범위에 접근 후 유지한 시간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터치수단은 터치부(10)를 터치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람의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터치도구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산출된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확대 영역을 생성하여 표시한다(S225). 이때,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 터치 위치 좌표에 위치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터는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를 인식할 수 인터페이스로써, 이후에 입력되는 터치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확대 영역은 본래 영역을 확대 조건에 따라 확대한 것이다. 본래 영역은 확대 조건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확대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본래 영역의 크기 또는 모양, 확대 영역의 확대 비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는 확대 조건에 따라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중심으로 본 래 영역을 정의하고, 정의된 본래 영역을 확대한 확대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생성된 확대 영역의 좌표를 생성하고, 본래 영역과 확대 영역의 좌표를 맵핑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는 본래 영역과 확대 영역의 좌표를 맵핑하여 맵핑 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제2 터치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230). 이동통신단말기는 확대 영역을 생성하여 표시한 후, 확대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제2 터치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일정 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하여(S260),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S250 단계로 진입한다.
S23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제2 터치가 입력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확대영역에서 제2 터치 위치 좌표를 산출한다(S235).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본래 영역의 좌표를 산출한다(S240). 즉, 이동통신단말기는 확대 영역에서 산출된 제2 터치 위치 좌표에 맵핑된 본래 영역의 좌표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산출된 본래 영역의 좌표를 이용하여 좌표에 위치하는 명령을 수행한다(S245).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확대 영역을 해제한다(S250).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종료 여부를 판단하여(S255), 종료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300)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300)은 X축 및 Y축의 좌표값(36)이 설정될 수 있다. 확대 영역(320)은 본래 영역(310)을 소정의 비율로 확대하여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제1 터치 위치 좌표는 (X2, Y2)가 될 수 있고, 이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크기 및 모양으로 본래 영역(310)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확대 영역(320)은 본래 영역(310)을 미리 설정된 확대 비율로 확대하여생성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는 화면(300)에서 제1 터치를 입력받아 제1 터치 위치 좌표(X2, Y2)를 산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본래 영역(310)을 정의하고, 정의된 본래 영역(310)을 미리 설정된 확대 비율로 확대한 확대 영역(32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본래 영역(310)과 확대 영역(320)의 맵핑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본래 영역(310)에 대응되는 확대 영역(320)을 생성하고, 확대 영역(320)의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는 본래 영역(310)과 확대 영역(320)의 각 좌표를 서로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래 영역(310)의 각 좌표 와 확대 영역(320)의 좌표를 각각 대응시켜 맵핑 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래 영역(310)의 점과 확대 영역(320)을 점을 대응시킨 점선은 각 좌표를 대응시킨 예를 나타낸다.
맵핑 테이블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 1]
본래영역 좌표 확대영역 좌표
X49, Y51 X48, Y52
X50, Y51 X50, Y52
X51, Y51 X52, Y52
X49, Y50 X48, Y50
X50, Y50 X50, Y50
X51, Y50 X52, Y50
X49, Y49 X48, Y48
X50, Y49 X50, Y48
X51, Y49 X52, Y48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은 화면(300)에 웹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웹페이지를 다운로딩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터치를 입력받으면, 포인터(330)를 터치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는 확대 조건에 따라 본래 영역(310)을 정의한다.
이후, 이동통신단말기는 확대 조건에 따라 확대 비율로 확대된 확대 영역(320)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포인터(330)는 제1 터치 위치 좌표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확대 영역(320)에서 포인터(330)를 이용하여 웹페이지에서 보고자 하는 링크를 클릭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는 제2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는 확대 영역(320)에서 포인터(330)가 다른 영역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300)에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300)에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웹브라우져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손가락이 근접한 특정 영역만 확대함으로써 링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이미지 뷰어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전체 이미지에서 손가락이 근접한 특정 부분만을 확대하여 이미지 수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뮤직플레이어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악 실행 시 진행바에 손가락이 근접하면, 진행바를 확대하여 세밀하게 감기, 되감기 기능을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메뉴 트리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손가락이 근접한 특정 메뉴를 확대함으로써 세밀하게 메뉴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리스트창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손가락이 근접한 스크롤바의 부분만을 확대함으로써 세밀하게 스크롤링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

Claims (9)

  1.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제1 터치를 입력받아 제1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터치부;
    상기 터치부로부터 상기 제1 터치 신호를 전달받아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
    상기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확대 조건에 따라 본래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본래 영역을 확대한 확대 영역을 생성하는 화면 확대부;
    상기 확대 영역의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본래 영역과 상기 확대 영역의 좌표를 맵핑하는 좌표 맵핑부; 및
    상기 확대 영역의 좌표에 대응되는 본래 영역의 좌표에 위치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부는
    상기 제1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근접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 모듈은 상기 터치부에 미리 설정된 거리범위 내로 터치수단이 접근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상기 확대 영역에서 제2 터치를 입력받아 제2 터치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좌표 산출부는 상기 제2 터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확대 영역의 좌표를이용하여 제2 터치 위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표 맵핑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터치 위치 좌표에 대 응되는 본래 영역의 좌표의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맵핑부는 상기 본래 영역과 상기 확대 영역의 좌표를 맵핑하여 맵핑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확대부는 상기 제1 터치 위치 좌표에 위치한 포인터를 생성하고, 상기 포인터는 상기 확대 영역에서 제2 터치의 입력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조건은 본래 영역의 크기 또는 모양, 확대 영역의 확대 비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행되는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제1 터치를 입력받아 제1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b) 상기 제1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제1 터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확대조건에 따라 본래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본래 영역을 확대한 확대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확대 영역의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본래 영역과 상기 확대 영역의 좌표를 맵핑하는 단계; 및
    e) 상기 확대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 터치 신호는 미리 설정된 거리범위 내로 터치수단이 접근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확대 영역에서 제2 터치를 입력받아 제2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2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확대 영역에서 제2 터치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터치 위치 좌표에 대응되는 상기 본래 영역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본래 영역의 좌표에 해당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인터 페이스 제공 방법.
  9. 삭제
KR1020090093464A 2009-09-30 2009-09-30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의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06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464A KR101067814B1 (ko) 2009-09-30 2009-09-30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의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12/776,157 US20110074829A1 (en) 2009-09-30 2010-05-0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ouch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464A KR101067814B1 (ko) 2009-09-30 2009-09-30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의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655A KR20110035655A (ko) 2011-04-06
KR101067814B1 true KR101067814B1 (ko) 2011-09-27

Family

ID=4377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464A KR101067814B1 (ko) 2009-09-30 2009-09-30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의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74829A1 (ko)
KR (1) KR101067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0974A1 (de) 2011-08-18 2013-02-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edienen einer elektronischen Einrichtung und/ oder Applikationen
DE102012014910A1 (de) * 2012-07-27 2014-01-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dienschnittstelle, Verfahren zum Anzeigen einer eine Bedienung einer Bedienschnittstelle erleichternden Information und Programm
CN103793164A (zh) * 2012-10-31 2014-05-14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触摸屏显示处理的方法、装置和浏览器
DE102012022312A1 (de) 2012-11-14 2014-05-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Informationswiedergabesystem und Verfahren zur Informationswiedergabe
CN104020871B (zh) * 2013-03-01 2017-04-12 宏碁股份有限公司 触碰检测方法及装置
US20150317098A1 (en) * 2014-05-01 2015-11-05 Wuunet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nteracted with external device
JP6514521B2 (ja) * 2015-02-19 2019-05-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CN104820544A (zh) * 2015-04-15 2015-08-05 深信服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菜单显示放大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5265A (ja) * 1994-12-28 1996-07-16 Fujitsu Ltd 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
KR20060035383A (ko) * 2004-10-22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커싱 영역 확대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8077272A (ja) 2006-09-20 2008-04-03 Sanyo Electric Co Ltd 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5512B1 (en) * 2002-02-07 2006-07-11 Palmsource, Inc.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ng a display screen for locating a desired item of information
US8381135B2 (en) * 2004-07-30 2013-02-19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JP4257356B2 (ja) * 2006-09-26 2009-04-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US8031170B2 (en) * 2007-05-09 2011-10-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photo tag
US8312387B2 (en) * 2009-08-10 2012-11-13 Microsoft Corporation Target element zoo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5265A (ja) * 1994-12-28 1996-07-16 Fujitsu Ltd 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
KR20060035383A (ko) * 2004-10-22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커싱 영역 확대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8077272A (ja) 2006-09-20 2008-04-03 Sanyo Electric Co Ltd 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74829A1 (en) 2011-03-31
KR20110035655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814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의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0169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124169B2 (ja) 表示装置
US10073585B2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KR102032449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197485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AU2013276998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CN108733303B (zh) 便携式终端的触摸输入方法和设备
US20120173983A1 (en) Sc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20100302152A1 (en) Data processing device
JPH10269022A (ja) 通信機能付き携帯型情報処理装置
AU2014200468B2 (en) Scrol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79829A (ko) 제스처에 기반한 대화 처리 방법, 장치, 단말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CN109933252B (zh) 一种图标移动方法及终端设备
US8922351B2 (e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recording medium and television receiver
CN111158540A (zh) 一种应用图标的位置调整方法及电子设备
US20150160731A1 (en) Method of recognizing gesture through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50055292A (ko)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입력 처리 방법
US9658865B2 (en) Method of edit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JP2011186734A (ja) 表示装置及び画面表示方法
KR20140112911A (ko) 표시부 미확인 모드에서 액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28031A1 (en) Contents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CN111104236A (zh) 一种粘贴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20140100705A (ko) 터치키 동작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18091B1 (ko) 오브젝트에 대한 사전 실행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