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408B1 - 수밀도의 조정이 가능한 초장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밀도의 조정이 가능한 초장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408B1
KR101067408B1 KR1020090022516A KR20090022516A KR101067408B1 KR 101067408 B1 KR101067408 B1 KR 101067408B1 KR 1020090022516 A KR1020090022516 A KR 1020090022516A KR 20090022516 A KR20090022516 A KR 20090022516A KR 101067408 B1 KR101067408 B1 KR 101067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solution
nanowires
hours
zinc oxide
pre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233A (ko
Inventor
추지준
박세정
김형국
황윤회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22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40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9/00Compounds of zinc
    • C01G9/02Oxides; Hyd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1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one dimension, e.g. needle-like
    • C01P2004/16Nanowires or nanorods, i.e. solid nanofibres with two nearly equal dimensions between 1-100 nanometer

Abstract

본 발명은 열수용액에서 예열처리 과정과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을 도입하여 수십 마이크로에 이르는 초장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나노 와이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징크 나이트라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 (zinc nitrate hexahydrate) (Zn(NO3)2ㆍ 6H2O)와 헥사메틸렌테트라민(hexamethylenetetramine) (HMT)을 증류수에 녹여 혼합 수용액을 만들고 여기에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의 첨가량을 0.9 mL 내지 1.1 mL로 하여 전구체 수용액을 만들고, 전구체 수용액의 농도를 0.04 M로 하고, 전구체 수용액의 총량을 150 mL로 하며, 상기 전구체 수용액을 밀봉하고 95 ℃에서 1 내지 6 시간 동안 오븐에서 가열하는 예열처리(pre-heating process)하고;
상기 예열처리 이후 산화아연 씨드 층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씨드 층 형성면이 아래를 향하게 하여 예열 처리된 상기 전구체 수용액 속에 담그고 밀봉하여;
밀봉된 상기 전구체 수용액을 95 ℃에서 2 내지 24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초장 나노와이어, 예열처리, 폴리에틸렌이민, 솔라셀

Description

수밀도의 조정이 가능한 초장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 제조 방법 {Fabrication of Ultralong ZnO nanowire arrays with tunable density}
본 발명은 산화아연 초장 나노 와이어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별하게는 열수용액에서 예열처리 과정과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을 도입하여 수십 마이크로에 이르는 초장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화아연은 중요한 반도체 물질 중 하나로 전자공학, 광전자공학, 센서공학, 그리고 광학 등의 소자 응용에 다양한 응용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다양한 소자의 수행력은 산화아연 물질의 형태, 크기 그리고 차원 등에 깊이 관련되어 있으며 산화아연 물질의 광학적, 기계적 특성 뿐 아니라 열적, 전기적 수송 능력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화아연은 {0001} 방향과 13 가지의 성장 방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wurtzite 구조의 산화아연은 나노 선, 나노 막대, 나노 비늘, 나노 브릿지, 나노 프리즘, 나노 튜브, 나노 벨트, 나노 링, 나노 수염, 나노 빗 등의 다양한 모양의 나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모양과 크기가 잘 제어된 산화아연 나노 구조물의 제작과 기본 성질에 관한 연구는 산화아연을 기초로 한 나노 소 자의 개발에 중요한 부분이 된다.
나노 구조물 중에서도 수직으로 잘 정렬된 산화아연 나노 막대 다발은 아주 큰 부피 대비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서 많은 연구가 수행 중이며 나노 제너레이터, 나노 레이저, 태양 전지의 투명 전극, 가스 센서, 습기 센서, 바이오 센서, 그리고 나노구조제작의 지지대로 이용된다. 이러한 다양한 응용성으로 인해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길면서 기판에 수직적으로 정렬이 잘 된 나노 막대의 특성 연구와 나노 막대 길이가 소자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조사가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산화아연 나노 막대 다발을 제작하는 다양한 합성법이 개발되었으며 크게 기상 과정과 습식 화학 과정으로 분류된다. 기상 과정은 분자 빔 에피탁시(molecular beam epitaxy, MBE), 금속 유기 화학 기상 증착법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스퍼터링 법, 펄스 레이저 증착 법(pulsed laser deposition, PLD), 적외선 투사(infrared irradiation), 열분해 법(thermal decomposition), 열증발/응집 법(thermal evaporation and condensation)과 같은 것이 있다. 기상 과정은 질적으로 우수한 구조물을 얻을 수 있으나 고온, 고압, 엄격한 과정과 비싼 장비를 요구하므로 대량 생산이 요구될 때 소자 개발에 많은 제한을 받게 된다. 이에 비해 습식 화학법은 수용액을 사용하고 구조물 제작이 상향식(bottom-up) 과정에 기초를 두고 있어서 산화아연 나노 막대 다발을 제작하는데 매우 효과적이고 편리하며 성장 온도가 낮고 비용이 적게 들어 대량 생산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현재까지 열수용액 분해, 전기화학적 반응, 템플릿을 이용한 솔-젤 방법이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와 나노 막대를 제작하는데 이용되었으 나 대부분의 습식 화학방법은 밀도가 조정되는 초장 산화아연 나노 막대/와이어 다발을 제작하는데 실패하였다. 그러므로 습식 화학적 방법으로 산화아연 나노 막대/와이어 다발의 밀도도 조절할 수 있고 길이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까지 산화아연 나노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 다섯 가지의 방법이 개발되었다.
1) 산화아연 박막을 씨드 층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핵형성층과 기판 사이의 계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줄여 직경이 작은 산화아연 나노 막대를 제작하는 방법으로 산화아연 나노 막대의 방향을 기판에 수직하도록 하기 위하여 씨드의 방향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이다.
2)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과 같은 유기 계면활성제를 첨가, 결정면에 PEI가 먼저 부착되어 표면의 자유 에너지와 구조물의 성장률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높은 나노 와이어 밀도를 가지게 된다.
3) 물보다 낮은 끓는점과 높은 증기압을 가진 에탄올 또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액을 물로 대체한 제작 방법으로, 높은 종횡비(high aspect ratio)를 가진 산화아연 나노 막대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제작할 수 있다.
4) 반응 물질의 농도를 줄여 산화아연 나노 막대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산화아연 나노 막대의 길이의 감소도 함께 나타나는 문제가 생긴다.
5) 긴 산화아연 나노 막대를 제작하기 위해 새로운 용액으로 반복적으로 교 환하는 방법이 있으나 산화아연 나노 막대의 직경이 용액의 교환횟수에 따라 증가하게 되어 나중에는 박막 또는 후막으로 형성될 수 있어 문제가 된다.
포토 리소그라피, 전자 빔 리소그라피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라피, 나노스피어 리소그라피, 다공성 알루미나를 이용한 마스크 리소그라피 등과 같은 리소그라피 기술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기판 위에 산화아연 나노 막대의 밀도와 위치를 제어한다 하더라도 이 방법들은 매우 비싸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일반적으로 작은 영역의 실험에만 사용된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저비용으로 산화아연 나노 막대 다발의 분포와 밀도를 제어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추가적인 과정 없이 효율적이고 저비용 기술인 예열처리와 PEI를 도입한 열수용액 법으로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밀도를 제어할 수 있는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예열처리 시간, 성장 시간, 전구체 용액의 농도 등의 제작 조건을 조절하여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의 길이를 수십 마이크로 이상으로 성장시키고, 산화아연 수밀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제어한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징크 나이트라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 (zinc nitrate hexahydrate)(Zn(NO3)2·6H2O)와 헥사메틸렌테트라민(hexamethylenetetramine) (HMT)을 증류수에 녹여 각각의 농도가 0.1 M 이 되도록 혼합 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 수용액에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을 첨가하여 전구체 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전구체 수용액을 밀봉하고 95 ℃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오븐에서 가열하는 예열처리(pre-heating process) 단계;
상기 예열처리 단계 이후 산화아연 씨드 층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씨드 층 형성면이 아래를 향하게 하여 예열 처리된 상기 전구체 수용액 속에 담그고 밀봉하는 단계;및
밀봉된 상기 전구체 수용액을 95 ℃에서 2 내지 24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나노 와이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징크 나이트라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 (zinc nitrate hexahydrate)(Zn(NO3)2·6H2O)와 헥사메틸렌테트라민(hexamethylenetetramine) (HMT)을 증류수에 녹여 각각의 농도가 0.04 M이 되도록 혼합 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 수용액에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을 0.9 mL 내지 1.1 mL 첨가하여 전구체 수용액을 만들되, 전구체 수용액의 총량을 150 mL로 만드는 단계;
상기 전구체 수용액을 밀봉하고 95 ℃에서 1 내지 6 시간 동안 오븐에서 가열하는 예열처리(pre-heating process) 단계;
상기 예열처리 단계 이후 산화아연 씨드 층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씨드 층 형성면이 아래를 향하게 하여 예열처리된 상기 혼합 수용액 속에 담그고 밀봉하는 단계;및
밀봉된 상기 혼합 수용액을 95 ℃에서 2 내지 24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나노 와이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징크 나이트라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 (zinc nitrate hexahydrate)(Zn(NO3)2·6H2O)와 헥사메틸렌테트라민(hexamethylenetetramine) (HMT)을 증류수에 녹여 각각의 농도가 0.04 M이 되도록 혼합 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나노 와이어의 평균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혼합 수용액에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 1.25 mL 내지 1.5 mL을 첨가하여 전구체 수용액을 만들되, 전구체 수용액의 총량을 150 mL로 만드는 단계;
상기 전구체 수용액을 밀봉하고 95 ℃에서 1 내지 6 시간 동안 오븐에서 가열하는 예열처리(pre-heating process) 단계;
상기 예열처리 단계 이후 산화아연 씨드 층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씨드 층 형성면이 아래를 향하게 하여 예열처리된 상기 혼합 수용액 속에 담그고 밀봉하는 단계;및
밀봉된 상기 혼합 수용액을 95 ℃에서 2 내지 24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초장 나노 와이어의 수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의 첨가량을 1.0 mL로 한 상태에서 상기 예열처리 시간을 4 내지 8 시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나노 와이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의 첨가량을 1.0 mL 로 하고, 예열처리 시간을 1 내지 4 시간으로 한 상태에서 성장 시간을 24 내지 72 시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나노 와이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예열처리 시간을 2 시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형성된 나노 와이어를 증류수로 세척하고 공기 중에서 자연 건조시켜 수용액 성장 후 잔재되어 있는 화학적 요소들을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열처리 과정법은 최초로 마이클 에쉬폴드의 연구팀에 의해 2005년에 보고된 방법이나 산화아연 박막이 코팅된 실리콘 기판 위에서 성장된 산화아연 나노 튜브/ 나노 막대 다발의 길이는 400 nm, 직경은 15∼40 nm 이었다. PEI는 새로운 전구체 수용액을 반복적으로 교환하면서 산화아연 나노 막대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산(acid)은 전구체 수용액의 pH 값 (본 실험에 사용되는 수용액의 pH 값은 PEI가 없는 경우는 약 6∼7이며, PEI가 있는 경우는 약 11이다)을 감소시키고 높은 pH 값에 의해 산화아연 씨드 층의 파괴를 방지하는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산의 도입은 또한 산화아연이 산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 산화아연 씨드 층을 분해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열처리와 PEI의 첨가로 산화아연 씨드 층의 파괴를 차단할 수 있으며, 예열처리 과정을 가진 열수용액 법은 고전적인 열수용액 법과 비교해 보았을 때 잔재된 전구체 수용액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방법이다.
또한, 나노 와이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반복적으로 수용액을 새 것으로 교환할 필요가 없이 단 한 번의 수용액을 밀봉 상태로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므로 매우 간소화된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PEI를 도입하면 길이와 밀도를 다른 과정 없이 제작 조건만으로 제어하여 쉽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 방법은 밀도의 조정이 가능한 초장 나노 와이어 다발의 제작에 매우 큰 잠재성을 보여준다.
그에 따라 산화아연 나노 막대 및 나노 와이어를 기초로 하는 나노 소자, 예를 들어 태양전지 또는 센서 등의 수행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이바지 할 수 있다.
1) 초장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제작 과정
도 1은 초장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를 제작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소개한 것이다.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을 제작하기 위하여 산화아연 박막이 코팅된 일반 유리기판을 사용하였다. 산화아연의 박막을 제작하기 위하여 펄스 레이저 증착법을 사용하였다.
증류수에 징크 나이트라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zinc nitrate hexahydrate) (Zn(NO3)2ㆍ6H2O)와 헥사메틸렌테트라민(hexamethylenetetramine) (HMT)을 그 농도가 각각 0.1 M이 되도록 혼합하여 전구체 수용액을 만든다. 그리고 혼합수용액인 전구체 수용액을 밀봉하고 95 ℃에서 1∼4 시간 정도 오븐에서 데운다. 이것을 예열처리 과정(pre-heating process)이라고 일컫는다.
이러한 예열처리는 산화아연 씨드 층에 산이 침입하여 씨드 층을 파괴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하 실험 예들에서 알 수 있듯이 나노 와이어의 길이, 종횡비, 직경, 수밀도 등에 영향을 미친다.
예열처리 과정을 마치면 산화아연 씨드 층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상기 씨드 층 형성 면이 아래를 향하게 하여 혼합 용액 속에 담그고 밀봉한다.
이 상태에서 95 ℃의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며 젓는 과정을 생략하고 열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열처리를 통한 나노 구조물의 성장 시간은 2 시간에서부터 24 시간까지 증가시켰다.
나노 구조물이 형성되면 나노 구조물을 증류수로 세척하고 공기 중에서 자연 건조시킨 다음 200 ℃에서 550 ℃ 내의 온도에서 약 2 시간 동안 진공이나 공기 중에서 열처리하여 수용액 성장 후 잔재되어 있는 화학적 요소들을 증발시킨다.
1) 실험 예 1: PEI가 없는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의 모양에 예열처리 시간이 미치는 영향 조사
도 2의 (a)와 (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예열처리 과정이 없는 경우에도 산화아연이 코팅된 유리 기판 위에 수직으로 잘 배열된 산화아연 나노 막대 다발을 형성할 수 있으며 100 ∼ 150 nm에 걸쳐 넓은 범위에서 약 120 nm 정도의 평균 직경을 가지며 약 20∼30 정도의 작은 종횡비 (aspect ratio)를 보였다. 그러나 6 시간 동안 예열처리 과정을 한 후에는 도 2 (c)와 (d)에서 보이듯이 직경이 약 70 nm, 길이가 10 μm인 높은 종횡비(>150)를 가진 잘 정렬된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을 비교적 짧은 성장 시간인 약 10 시간 동안에 제작할 수 있었다.
이 초장 나노 와이어는 균일한 직경과 기판에 수직으로 정렬된 모양을 가지고 있으므로 나노 소자 제작이나 전자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기 위한 필요 요소를 갖추고 있다.
또한 직경과 종횡비를 예열처리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실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 (e)는 예열처리 시간을 7 시간으로 늘린 경우이다.
직경이 50 nm이고 길이가 8 μm에 달하는 고밀도 나노 와이어를 얻었으나 도 2 (f)에서 보이는 것처럼 나노 와이어들이 반경 2∼3 μm 내에서 서로 중심부분에 나노 와이어의 끝이 모여 짚단 모양의 다발을 형성하였으며 나노 와이어의 뿌리 부분은 기판 위에 여전히 붙어 있었다. 이와 동시에 각 다발의 중심에 있는 나노 막대는 기판에 수직으로 서 있으며 중심 나노 막대를 둘러싼 나머지 다른 나노 와이어들은 피라미드 모양의 마이크로 패턴처럼 중심 나노 와이어를 향해 굽어 있었다. 이러한 피라미드 모양의 마이크로 패턴의 형성은 건조 과정 동안 나노 와이어들의 기계적인 구부러짐과 모세관 상호작용이 서로 균형을 이루며 발생한 결과이다. 이와 더불어 벌집 모양의 마이크로 패턴을 가진 저 밀도 초장 나노 와이어 다발도 예열처리 과정 8 시간 후에 형성되었다.
도 2 (g)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긴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들은 벌집모양 같은 독특한 마이크로 패턴을 형성하였으며 기판 위에 약 5∼20 μm의 크기를 가졌다. 도 2 (g)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좀 더 확대시켜 전자 주사 현미경 이미지를 얻은 것이다.
나노 와이어의 종횡비는 150 이상으로 매우 크며 직경이 50 nm이고 길이가 약 8 μm이다. 그리고 벌집 구조는 두 인접한 영역 사이에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들이 반대 방향으로 서로 뭉치고(bundling), 구부러져 본 모양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예열처리 시간을 조절하여 나노 와이어의 길이, 종횡비, 직경을 어느 정도 제어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 실험 예 2: PEI 농도가 산화 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 모습에 미치는 영향 조사
도 3(a) 내지 (d)의 경우, 상기한 전구체 수용액의 농도를 0.04 M 로 하고, 예열처리 시간을 1 시간으로 한 상태에서 PEI 첨가량을 변화시켜 본 결과를 도시한다.
도 3(a)는 PEI 없이 1 시간의 예열처리 과정을 거쳐 24 시간 동안 성장시켜 길이가 약 2 μm 정도의 잘 정렬된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을 형성한 그림이다. PEI의 함량을 1.0 mL(0.008 M농도)까지 증가 할수록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의 길이는 2 μm에서 10 μm까지 확연하게 증가하였으나(도 3(b) 참조), PEI를 1.0 mL(약 0.0011 M)에서 1.5 mL(0.012 M농도)까지 증가시켰을 때 길이는 10 μm에서 7 μm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도 3(c) 및 (d) 참조).
그리고 PEI의 함량이 1.5 mL를 넘어설 때 기판에서 어떤 것도 관찰하지 못했다.
또한, 전구체 수용액 농도와 예열처리 시간은 동일하게 하고, PEI의 함량을 1.25 mL에서 1.5 mL로 증가시키자,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의 평균 직경이 150 nm에서 110 nm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PEI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의 직경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실험 예 3: PEI를 이용한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 모습 변화에 예열처리 시간이 미치는 영향 조사
도 4(a) 내지 (d)는 상기한 전구체 수용액의 농도를 0.04 M 로 하고, PEI 첨가량을 1.0 mL로 하여, 예열처리 시간을 1 시간으로부터 8 시간까지 변화시켜 본 것에 대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4 (a)와 (b)는 예열처리 시간을 1 시간에서 2 시간으로 증가시켰을 때의 산화아연 나노 막대의 길이가 10 μm에서 20 μm로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예열처리 시간을 4 시간까지 증가시켰을 때 길이는 5 μm로 감소하였으며 예열처리 시간을 그보다 더 증가시켰을 때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의 길이는 더 이상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예열 처리 시간이 4 시간 이상이 되면 산화아연 나노 막대의 길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도 4(c) 및 (d) 참조).
그러나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의 분포 밀도(수 밀도)는 분명하게 감소하였음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PEI를 첨가한 상태에서 예열처리 시간을 조절하여 나노 막대의 길이와 분포 밀도를 제어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4) 실험 예 4: PEI를 가진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의 모습과 성장 시간과의 관계 조사
도 5(a) 내지 (d)의 경우, 상기한 전구체 수용액의 농도를 0.04 M 로 하고, 예열처리 시간을 1 시간으로 하고 PEI 첨가량을 1.0 mL로 하여 성장시간을 변화시켜 본 결과를 도시한다.
성장 시간을 2 시간(도 5(a) 참조)으로 부터 24 시간(도 5(d) 참조)까지 증가시켰을 때 나노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의 길이는 10 μm까지 증가하였다. 성장시간을 72 시간까지 증가시킨 경우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의 길이가 30∼40 μm까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구체 수용액의 예열처리와 PEI의 첨가 상태에서 나노 와이어의 성 장 시간을 장기화 시키면 초장 나노 와이어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장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를 제작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2(a) 내지 (d)는 여러 가지 예열처리 시간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 모습 변화를 보여주는 결과도.
(a)와 (b)는 예열처리과정이 없는 경우, 도 2 (c)와 (d)는 예열처리 6 시간, (e)와 (f)는 예열처리 7 시간, (g)와 (h)는 예열처리 8 시간
도 3(a) 내지 (d)는 다양한 PEI 함량을 가진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 길이 변화를 나타내는 결과도.
(a) PEI=0 mL (b) PEI=1.0 mL, (c) PEI=1.25 mL (d) PEI=1.5 mL ([Zn2+]=[HMT]=0.04 M, 예열처리 시간 =1 시간)
도 4(a) 내지 (d)는 다양한 예열처리 시간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 길이 변화를 나타내는 결과도.
예열처리 시간이 (a) 1 시간, (b) 2 시간 (c) 4 시간 (d) 8 시간 ([Zn2+]=[HMT]=0.04 M, PEI = 1.0 mL첨가)
도 5(a) 내지 (d)는 다양한 성장 시간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 길이 변화를 나타내는 결과도.
성장시간이 (a) 2 시간 (b) 4 시간 (c) 8 시간 (d) 24 시간 ( [Zn2+]=[HMT]=0.04 M, 예열처리 시간=1 시간, PEI = 1.0 mL 첨가)

Claims (7)

  1. 징크 나이트라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 (zinc nitrate hexahydrate)(Zn(NO3)2·6H2O)와 헥사메틸렌테트라민(hexamethylenetetramine) (HMT)을 증류수에 녹여 각각의 농도가 0.1 M이 되도록 혼합 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 수용액에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을 첨가하여 전구체 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전구체 수용액을 밀봉하고 95 ℃에서 1 내지 6 시간 동안 오븐에서 가열하는 예열처리(pre-heating process) 단계;
    상기 예열처리 단계 이후 산화아연 씨드 층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씨드 층 형성면이 아래를 향하게 하여 예열처리 된 상기 혼합 수용액 속에 담그고 밀봉하는 단계; 및
    밀봉된 상기 혼합 수용액을 95 ℃에서 2 내지 24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
  2. 나노 와이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징크 나이트라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 (zinc nitrate hexahydrate)(Zn(NO3)2·6H2O)와 헥사메틸렌테트라민(hexamethylenetetramine) (HMT)을 증류수에 녹여 각각의 농도가 0.04 M이 되도록 혼합 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 수용액에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을 0.9 mL 내지 1.1 mL 첨가하여 전구체 수용액을 만들되, 전구체 수용액의 총량을 150 mL로 만드는 단계;
    상기 전구체 수용액을 밀봉하고 95 ℃에서 1 내지 6 시간 동안 오븐에서 가열하는 예열처리(pre-heating process) 단계;
    상기 예열처리 단계 이후 산화아연 씨드 층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씨드 층 형성면이 아래를 향하게 하여 예열처리된 상기 혼합 수용액 속에 담그고 밀봉하는 단계;및
    밀봉된 상기 혼합 수용액을 95 ℃에서 2 내지 24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
  3. 나노 와이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징크 나이트라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 (zinc nitrate hexahydrate)(Zn(NO3)2·6H2O)와 헥사메틸렌테트라민(hexamethylenetetramine) (HMT)을 증류수에 녹여 각각의 농도가 0.04 M이 되도록 혼합 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나노 와이어의 평균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혼합 수용액에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 1.25 mL 내지 1.5 mL을 첨가하여 전구체 수용액을 만들되, 전구체 수용액의 총량을 150 mL로 만드는 단계;
    상기 전구체 수용액을 밀봉하고 95 ℃에서 1 내지 6 시간 동안 오븐에서 가열하는 예열처리(pre-heating process) 단계;
    상기 예열처리 단계 이후 산화아연 씨드 층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씨드 층 형성면이 아래를 향하게 하여 예열처리된 상기 혼합 수용액 속에 담그고 밀봉하는 단계;및
    밀봉된 상기 혼합 수용액을 95 ℃에서 2 내지 24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초장 나노 와이어의 수밀도(number density)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예열처리 시간을 4 내지 8 시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나노 와이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예열처리 시간을 1 내지 4 시간으로 한 상태에서 성장 시간을 24 내지 72 시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나노 와이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예열처리 시간을 2 시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
  7. 제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성된 나노 와이어를 증류수로 세척 하고 공기 중에서 자연 건조시켜 수용액 성장 후 잔재되어 있는 화학적 요소들을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장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
KR1020090022516A 2009-03-17 2009-03-17 수밀도의 조정이 가능한 초장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제조 방법 KR101067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516A KR101067408B1 (ko) 2009-03-17 2009-03-17 수밀도의 조정이 가능한 초장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516A KR101067408B1 (ko) 2009-03-17 2009-03-17 수밀도의 조정이 가능한 초장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233A KR20100104233A (ko) 2010-09-29
KR101067408B1 true KR101067408B1 (ko) 2011-09-27

Family

ID=4300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516A KR101067408B1 (ko) 2009-03-17 2009-03-17 수밀도의 조정이 가능한 초장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2820A (zh) * 2013-01-31 2013-05-22 中国科学院上海技术物理研究所 纳米颗粒与纳米棒杂化结构的一步合成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8332B (zh) * 2010-11-26 2012-02-01 北京化工大学 半导体纳米线基有机/无机复合太阳能电池的制备方法
CN103288122B (zh) * 2013-05-28 2014-11-05 浙江大学 一种菱形氧化锌纳米棒阵列及其制备方法
KR101767236B1 (ko) * 2015-01-16 2017-08-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다공성 고분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CN113937182A (zh) * 2020-07-13 2022-01-14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具有柔性基底的尺寸可控的氧化锌基光电器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549A (ko) * 2009-02-26 2010-09-03 전자부품연구원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박막 실리콘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549A (ko) * 2009-02-26 2010-09-03 전자부품연구원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박막 실리콘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2820A (zh) * 2013-01-31 2013-05-22 中国科学院上海技术物理研究所 纳米颗粒与纳米棒杂化结构的一步合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233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sai et al. Zinc oxide superstructures: recent synthesis approaches and application for hydrogen production via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Gu et al. Aligned ZnO nanorod arrays grown directly on zinc foils and zinc spheres by a low-temperature oxidization method
Kim et al. Polymer‐templated hydrothermal growth of vertically aligned single‐crystal ZnO nanorods and morphological transformations using structural polarity
Amin et al. Influence of pH, precursor concentration, growth time, and temperature on the morphology of ZnO nanostructures grown by the hydrothermal method
Dick et al. Synthesis of branched'nanotrees' by controlled seeding of multiple branching events
Aspoukeh et al. Synthesis, properties and uses of ZnO nanorods: a mini review
CN104145340B (zh) 具有石墨烯顶部电极和底部电极的纳米线装置以及制造该装置的方法
Wang et al. Epitaxial growth of shape-controlled Bi2Te3− Te heterogeneous nanostructures
Zhang et al. Controlled synthesis and photonics applications of metal halide perovskite nanowires
Samal et al. Room-temperature chemical synthesis of silver telluride nanowires
KR101552721B1 (ko) 가지형 나노와이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89123B1 (ko) 무기 반도체 물질의 나노구조물, 전자 디바이스, 화합물 반도체 물질의 나노구조물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제조 방법
KR101067408B1 (ko) 수밀도의 조정이 가능한 초장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다발의제조 방법
JP2007260896A (ja) 多孔性ガラステンプレートを用いたシリコンナノワイヤー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形成されたシリコンナノワイヤーを含む素子
KR101475524B1 (ko) 실리콘 풍부산화물을 포함하는 나노와이어 및 그의제조방법
KR20110111105A (ko) 고밀도 금속 나노클러스터 함유 실리콘 나노와이어 및 그의 제조방법
Zou et al. Fabrication, optoelectronic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some composite oxide nanostructures
Chu et al. Facile synthesis, characterization of ZnO nanotubes and nanoflowers in an aqueous solution
EP2912208B1 (en) Method to grow nanometer sized structures by pulsed laser deposition
Yang et al. Hierarchical three-dimensional ZnO and their shape-preserving transformation into hollow ZnAl2O4 nanostructures
KR20100007255A (ko) 실리콘 나노닷 함유 실리카 나노 와이어 및 그의 제조방법
US7914850B2 (en) Method for producing nanostructures on a substrate
KR20120067249A (ko) 금속 마스킹을 이용한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산화아연 나노와이어 부재
KR101084764B1 (ko) 산화아연 입자 제조방법 및 산화아연 로드 제조방법
KR20070104034A (ko) 전계방출용 팁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전계방출용팁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