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297B1 - 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apparatus with semi-dry multilayered coating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apparatus with semi-dry multilayered coa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297B1
KR101067297B1 KR1020110035758A KR20110035758A KR101067297B1 KR 101067297 B1 KR101067297 B1 KR 101067297B1 KR 1020110035758 A KR1020110035758 A KR 1020110035758A KR 20110035758 A KR20110035758 A KR 20110035758A KR 101067297 B1 KR101067297 B1 KR 10106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mid
semi
forming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철
Original Assignee
이원철
주식회사 이룸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철, 주식회사 이룸쿡 filed Critical 이원철
Priority to KR102011003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2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2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경제적으로 코팅층의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기구의 본체 내면에 형성된 산화피막층 상측으로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고 가열 건조하는 제1단계;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상면에 제1미드 코팅층을 형성하고 반건조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미드 코팅층 상면에 제2미드 코팅층을 형성하고 가열 건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미드 코팅층의 상면에 탑코팅층을 형성하고 가열 건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구성이 개선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economically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oating layer,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forming a primer coating layer and heat-dried above the oxide film lay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ookware; Forming a first mid coating layer on the top surface of the primer coating layer and semi-drying the second coating layer; A third step of forming a second mid-coating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mid-coating layer and drying it by heating; And a fourth step of forming a top coating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id-coating layer and heating and drying the same.

Description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apparatus with semi-dry multilayered coating}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apparatus with semi-dry multilayered coating}

본 발명은 조리기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제적으로 코팅층의 내구성이 개선된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okwar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okware having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economically improved durability of the coating layer.

일반적으로, 조리기구는 프라이팬, 냄비 등과 같은 음식물을 담아 조리하는 용기로서, 그 구성은 볼(Bowl)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를 취급하기 편리하도록 손잡이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거나 탈착가능한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고, 조리기구에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피막층을 코팅한다. 상세히, 상기 보호피막층 코팅액으로 불소 수지계열의 테프론이 가장 널리 사용되며, 세라믹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코팅액이 사용되어 진다. In general, a cooking utensil is a container for cooking food such as a frying pan, a pot, etc., and its configuration is a bowl-shaped main body and a handl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r a detachable handle to facilitate handling of the main body. It consists of, coating a protective film layer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cookware. In detail, Teflon of fluororesin series is most widely used as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coating liquid, and various kinds of coating liquids such as ceramics are used.

도 1은 종래의 조리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oking utensil.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기구(100)는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지는 본체와 손잡이(130)로 구성되고, 본체에는 음식물의 눌러 붙음을 방지하면서 세척시에는 눌은 때가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조리면(110a)에 한층 이상의 보호피막층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oking utensil 100 includes a main body and a handle 130 through which food is cooked, and a cooking surface so that the pressed time can be easily removed during washing while preventing the food from sticking to the main body. At least one protective film layer is formed on 110a).

상세히, 종래에는 상기 보호피막층은 불소 수지 등과 같은 화학조성물을 용융하여 프라이머 코팅층, 미드 코팅층, 탑 코팅층과 같이 다층의 코팅층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구매자들이 주방기구의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조리기구 표면의 디자인인 즉, 문양코팅층을 형성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의 예로서, 전사지를 이용하여 상기 미드코팅층의 외면에 문양코팅층을 형성하였다. In detail, in the related art,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is formed of a multilayer coating layer such as a primer coating layer, a mid coating layer, a top coating layer by melting a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a fluororesin. In addition, as buyers' demands for the design of the kitchen utensils are diversified,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form the design of the cooking utensil surface, that is, the pattern coating layer. As an example of such an attempt, a pattern coating layer wa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dcoat layer using a transfer pape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리기구의 보호피막층은 오랜 사용에 따라 긁히거나 마모되는 등의 손상으로 조리기구를 빈번히 교체하여야 하였다. 특히, 손상의 정도가 프라이머 코팅층으로 진행된 경우 그 하측에 존재하는 산화피막층의 입자가 노출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of the conventional cooking utensils has to be frequently replaced with the cookware due to damage such as scratching or abrasion with long use. In particular, when the degree of damage is advanced to the primer coating layer, there is a problem that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when the particles of the oxide film layer existing below it is exposed.

이에, 상기 보호피막층을 이루는 각 코팅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경우 불소 수지와 같은 화학조성물의 소요량이 현저히 증대되어 경제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us, an attempt has been made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each coating layer constituting the protective film layer,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quired amount of a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fluorine resin is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by lowering the economic efficiency.

더욱이,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상기 미드층을 10 ㎛ 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였는데,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두꺼운 코팅층은 내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경화시 표면에 미세한 크랙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코팅층의 내구성이 오히려 더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more, in the related art, the mid layer is generally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0 μm or more. In this relatively thick coating layer, fine cracks are generated on the surface during curing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and thus the durability of the coating layer is rather high. There was a problem that is further degrad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조리기구의 표면에 보호피막층을 형성시, 상대적으로 두꺼운 보호피막층의 내외부 온도차이로 인하여 경화시 발생되는 크랙을 없애고, 내구성이 향상된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when forming a protective film layer on the surface of the cookware, eliminating the cracks generated during curing due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elatively thick protective film layer, solved to provide a cookware with improved durability It is a task.

아울러, 상기 보호피막층 내부에 입체화된 문양코팅층이 더욱 세련된 패턴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utensil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ed coating layer is formed in a more sophisticated pattern inside the protective film layer.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조리기구의 본체 내면에 형성된 산화피막층 상측으로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고 가열 건조하는 제1단계;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상면에 2 ~ 5 ㎛ 두께로서 불소 수지 분산액을 포함하는 제1미드 코팅층을 형성하고 180 ~ 220℃에서 5~10분간 반건조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미드 코팅층 상면에 2 ~ 5 ㎛ 두께로서 불소 수지 분산액을 포함하는 제2미드 코팅층을 형성하고 230 ~ 270℃에서 10분 이상 가열 건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미드 코팅층의 상면에 탑 코팅층을 형성하고 가열 건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forming a primer coating layer on the upper side of the oxide film lay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heat-dried; A second step of forming a first mid-coating layer including a fluororesin dispersion liquid at a thickness of 2 to 5 μ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er coating layer and semi-drying at 180 to 220 ° C. for 5 to 10 minutes; A third step of forming a second mid-coating layer including a fluororesin dispersion in a thickness of 2 to 5 μm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mid-coating layer and heating and drying at 230 to 270 ° C. for at least 10 minutes; And a fourth step of forming a top coating layer on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mid-coating layer and heating and drying the fourth coating layer.

여기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탑 코팅층의 가열 건조 후 상기 조리기구의 바닥면을 270 ~ 300 kgf/㎡ 으로 가압 프레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ourth step is preferably mad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es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utensil to 270 ~ 300 kgf / ㎡ after the heat drying of the top coating layer.

그리고, 상기 제2단계 및 상기 제3단계 중 어느 한 단계는, 나노자성체 입자가 혼합된 수지를 도포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 복수개의 자석이 맞닿는 지점에 형성되는 분극선에 의해 설정된 패턴의 자력을 제공하는 자력발생수단을 배치하여 자력에 의해 상기 설정된 패턴을 따라 상기 나노자성체 입자가 재배열되되, 상기 나노자성체 입자가 상기 분극선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재배열된 분포 밀도가 높고 상기 분극선에서 멀어질수록 분포 밀도가 낮아짐으로써 입체화된 초박형 문양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And, in any one of the second step and the third step, the magnetic force of the pattern set by the polarization line which is formed at the point where a plurality of magnets abut the coating of a resin mixed with nano-magnetic material particles,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By arrang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for providing a magnetic force to rearrange the nano-magnetic material particles along the set pattern by the magnetic force, the nano-magnetic particles are rearrang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polarization line is high in the polarization line The farther away the distribution density i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ultra-thin pattern coating layer.

삭제delete

더욱이, 상기 제2단계 및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1미드 코팅층을 형성한 후 색소가 함유된 문양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second step and the third step is preferably formed b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pattern coating layer containing a pigment after forming the first mid-coating layer.

본 발명은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through the above solution.

첫째, 본 발명은 상기 조리기구의 산화피막층 상측으로 도포되는 보호피막층을 완전건조와 반건조 상태로 혼합코팅하여 도막 경계면에 유동성과 접착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보호피막층에서 발생되던 미세한 크랙 현상을 없애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산화피막층 또는 보호피막층의 박리에 따른 건강에 대한 위해 내지 위생적인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minute crack phenomenon generated in the protective film layer by improving the fluidity and adhesive strength by coating the protective film layer applied to the oxide film layer of the cookware in a completely dry and semi-dry state to improve the fluidity and adhesion strength of the coating film interface Can be improved. Through this, the user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harm to health or hygiene problems due to peeling of the oxide film or the protective film layer.

둘째, 상기 조리기구의 보호피막층이 형성된 바닥층을 가압하여 보호피막층이 두꺼워지지 않으면서도 접착강도가 높은 보호피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의 조리기구 보호피막층은 박리현상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으며, 조리기구의 내구성 향상 및 제품의 수명을 현저히 늘릴 수 있다.Second, by pressing the bottom layer on which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of the cooking utensil is formed, a protective coating layer having a high adhesive strength can be formed without thickening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Through this, the cooking utensil protective film lay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peeling phenomen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cookware and significantly increase the life of the product.

셋째, 상기 조리기구의 내구성 향상과 아울러, 다단으로 형성되는 제1미드 코팅층 및 제2미드 코팅층에 각각 자성입자에 의한 입체화된 문양층을 다단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세련된 패턴의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Third, in addition to improving durability of the cookware, a three-dimensional patterned pattern formed by magnetic particles may be formed in multiple stages in the first and second mid-coated layers formed in multiple stages, thereby providing a more refined aesthetics of the pattern.

도 1은 종래의 조리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자성체에 의해 입체화된 초박형 문양코팅층 및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자성체에 의해 입체화된 초박형 문양코팅층 및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자성체에 의해 입체화된 초박형 문양코팅층 및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oking utensil.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ware having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cooking appliance with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okware having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okware having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utensil having an ultra-thin pattern coating layer and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stereoscopically formed by a nanomagnetic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oking utensil having an ultra-thin pattern coating layer and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stereoscopically formed by a nanomagnetic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and 8B are photographs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oking utensil having an ultra-thin pattern coating layer and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stereoscopically formed by a nanomagnetic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 제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okw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리기구"라는 용어는 프라이팬, 각종 냄비 등,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생각할 수 있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용구를 모두 포함한다. The term "cooking utensi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tools for cooking food that can be considere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such as a frying pan and various pot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에 형성된 보호피막층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utensil provided with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rotective film layer formed on the cooking utensi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 본체(10)와 상기 본체(20) 바닥의 산화피막층과 상기 본체 바닥 표면에 형성된 보호피막층(30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and 3, the cooking appliance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xide film layer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0 and a protective film layer 30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

여기서, 상기 본체(20)는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내면에 산화피막층과 보호피막층(30a)이 형성된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가열수단에 의해 하면이 가열되어 전도열이 원활 전달되도록 알루미늄 내지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Here, the main body 20 is made of a container shape formed with an oxide film layer and a protective film layer (30a) on the inner surface so that food is accommodated, the lower surface is heated by a heating means, such as aluminum to stainless steel, such that the conductive heat is transferred smoothly It is made of material.

상기 본체(20)는 가스레인지(gas range), 핫플레이트(hot plate), 인덕션히터(induction heater) 등의 가열수단의 상면에 놓여 그 바닥면이 가열되는 방식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피막층(30a)을 이루는 코팅액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되, 인체에 무해한 불소수지 코팅액, 세라믹 코팅액, 테프론 코팅액,티타늄 코팅액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상기 보호피막층(30a)은 높은 비활성을 갖는 테플론 수지 등과 같은 불소 수지 계열의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The main body 20 is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a heating means such as a gas range, a hot plate, an induction heater, or the like to cook food contained therein by heating the bottom surface thereof. . Here, the coating liquid constituting the protective film layer (30a)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t may include any one of fluorine resin coating liquid, ceramic coating liquid, Teflon coating liquid, titanium coating liquid harmless to the human body. Among these, the protective film layer (30a) is preferably made of a coating layer mainly composed of fluororesin-based synthetic resin such as Teflon resin having a high inertness.

한편, 상기 보호피막층(30a)은 프라이머 코팅층(30), 제1미드 코팅층(40), 제2미드 코팅층(50), 그리고 탑 코팅층(60)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protective film layer 30a includes a primer coating layer 30, a first mid coating layer 40, a second mid coating layer 50, and a top coating layer 60.

여기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30)은 14.8 ~ 16.8 중량%의 폴리아미드의 nmp용해 혼합물, 3.1 ~ 5.1 중량%의 물, 62.2 ~ 72.2 중량%의 불소 수지 분산액, 2.5 ~ 4.5 중량%의 카본블랙 분산액, 7.4 ~ 9.4 중량%의 실리카 분산액이 포함된 조성비율로 할 수 있다. Here, the primer coating layer 30 is a nmp soluble mixture of 14.8 to 16.8% by weight of polyamide, 3.1 to 5.1% by weight of water, 62.2 to 72.2% by weight of fluororesin dispersion, 2.5 to 4.5% by weight of carbon black dispersion, The composition ratio may include a silica dispersion of 7.4 to 9.4% by weight.

또한, 상기 제1미드 코팅층(40) 및 제2미드 코팅층(50) 코팅액의 조성비율은 77.75 ~ 85.75 중량%의 불소 수지 분산액, 7.72 ~ 10.72 중량%의 물, 2.14 ~ 4.14 중량%의 방향족 탄화수소, 0.36 ~ 0.56 중량%의 트리에틸아민, 0.36 ~ 0.56 중량%의 올레인산, 0.28 ~ 0.38 중량%의 계면활성제, 2.35 ~ 4.35 중량%의 카본블랙 분산액, 운모 1.04 ~ 2.04 중량%의 운모가 포함된 조성비율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미드 코팅층(40)은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30)의 완전 건조 후 도포되며, 상기 제2미드 코팅층(50)은 상기 제1미드 코팅층(40)의 반건조 후에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coating solution of the first mid coating layer 40 and the second mid coating layer 50 is 77.75 to 85.75% by weight of fluorine resin dispersion, 7.72 to 10.72% by weight of water, 2.14 to 4.14% by weight of aromatic hydrocarbon, Composition ratio containing 0.36 to 0.56 wt% triethylamine, 0.36 to 0.56 wt% oleic acid, 0.28 to 0.38 wt% surfactant, 2.35 to 4.35 wt% carbon black dispersion, and mica 1.04 to 2.04 wt% mica You can do At this time, the first mid coating layer 40 is applied after the complete drying of the primer coating layer 30, the second mid coating layer 50 is preferably applied after semi-drying of the first mid coating layer (40). .

아울러, 상기 탑 코팅층(60)의 코팅액 조성비율은 87.15 ~ 91.35 중량%의 불소 수지 분산액, 5.53 ~ 7.53 중량%의 물, 0.79 ~ 1.39중량%의 방향족 탄화수소, 0.22 ~ 0.42 중량%의 트리에틸아민, 0.22 ~ 0.42 중량%의 올레인산, 0.15 ~ 0.35 중량%의 계면활성제, 1.74 ~ 2.74 중량%의 운모가 포함된 조성비율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ating liquid composition ratio of the top coating layer 60 is 87.15 ~ 91.35% by weight of fluorine resin dispersion, 5.53 ~ 7.53% by weight of water, 0.79 ~ 1.39% by weight of aromatic hydrocarbon, 0.22 ~ 0.42% by weight of triethylamine, The composition ratio may include 0.22 to 0.42 wt% oleic acid, 0.15 to 0.35 wt% surfactant, and 1.74 to 2.74 wt% mica.

상세히, 주재료로 쓰이는 PTFE는 폴리에틸렌의 수소원자가 모두 불소원자로 치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폴리에틸렌에 비하여 화학적 결합이 월등히 안정하다고 볼 수 있다.In detail, PTFE, which is used as a main material, has a structure in which all hydrogen atoms of polyethylene are substituted with fluorine atoms, and chemical bonds are much more stable than polyethylene.

또한, 원자반경이 큰 불소 원자에 의해 기본 골격인 탄소원자가 구속되어 고온, 고압, 약품 등 주변의 가혹한 상황에서도 그 기본구조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한 구조로 현존하는 고분자 재료 중에서는 화학적으로 가장 불활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기구 바닥층에 비점착성(nonstict)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rbon atom, which is the basic skeleton, is constrained by fluorine atoms with a large atomic radius, and thus the basic structure is not affected by severe conditions such as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and chemicals. Can be considered to have Therefore, non-stickiness can be improved in the bottom layer of the cookware.

이러한, 상기 비점착성(nonstict)이 향상된 조리기구의 바닥층에는 가열하여도 음식물이 눌러 붙지 않고, 물이나 기름이 달라붙지 않기 때문에 청소가 용이하며, 많은 경우 자동적으로 청결이 유지된다. 아울러, 매우 얇은 코팅 피막에서도 비점착성(nonstick)을 나타내므로,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얇고 접착강도가 높은 보호피막층(30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n-stickt improved cookware is easy to clean because food does not stick to the bottom layer of the cookware and does not stick to water or oil even when heated, and in many cases, cleanliness is automatically maintained. In addition, since it shows nonstick even in a very thin coating film, it is desirable to form a protective film layer 30a that is thin and high in adhesive strength, if technically possible.

이에, 상기 보호피막층(30a)의 각각의 코팅층은 도포 목적에 따라 주재료인 불소 수지 분산액을 첨가 후 각각의 코팅액 성분과 조성을 바꾸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호피막층(30a) 경계면에 음식물이 닿을 때, 가급적 달라붙지 않기 위하여 외측 경계면인 탑 코팅층(60)의 도포액은 높은 비율의 불소 수지 분산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us, each coating layer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30a) is preferably to change the composition and composition of each coating solution after addition of the fluororesin dispersion liquid as the main material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urpose. That is, when foo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undary layer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30a, the coating liquid of the top coating layer 60, which is the outer boundary surface, preferably contains a high proportion of fluorine resin dispersion so as not to stick.

한편, 상기 완전 건조와 반건조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complete drying and semi-drying may be represented as follows.

상세히, 고분자 수지의 접착은 고분자의 표면화학 중 중요한 현상의 하나로써 코팅층의 접착에서 불소 수지의 혼합액 상태는 용융상태이며 물체에 접촉되면 젖음 현상(wetting)이 일어난다. 물질을 접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접착제를 도포해야 하지만, 어떤 타입의 접착제라도 도포시에는 액상이다. 불소 수지 혼합액은 액상 상태로서 유동성을 가지며 피착재의 구석구석까지 침투가 가능할 것이다. 이에 피착재의 경계면에 고르게 젖음 현상이 발생되고, 그 후에 건조시키는 단계로 접어든다. In detail, the adhesion of the polymer resin is one of the important phenomena in the surface chemistry of the polymer. In the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the mixed liquid state of the fluororesin is in a molten state and wetting occurs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n object. The adhesive must first be applied to bond the material, but any type of adhesive is liquid at the time of application. The fluororesin mixture is fluid and fluid and can penetrate every corner of the adherend. The wet phenomenon occurs evenly on the interface of the adherend, and then enters the drying step.

따라서, 건조 온도와 건조 시간을 조절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와 짧은 건조 시간으로 피착재에 도포되어진 코팅층이 아직 완전히 딱딱해지지 않은 상태로 그 표면에 유동성과 접착성이 남아 있는 반건조 상태에서, 상기 반건조 피막층 상측으로 도포된 코팅층은 반건조 표면에서 젖음 현상이 일어나며 피착재와 접착제가 일체로 융합되어 접착력이 개선된 상태로 단계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접착표면에서 건조시 액상의 접착제는 경화 수축을 일으킬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방법은 피착재인 반건조 상태의 코팅층 상측에 액상 수지를 도포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반건조 상태의 점성과 유동성을 이용해 액상 수지와 경화 수축시 발생 될 수 있는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in the semi-dry state in which the coating layer applied to the adheren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a short drying time by controlling the drying temperature and drying time is not yet completely hardened, and fluidity and adhesiveness remain on the surface thereof, The coating layer applied over the dry coating layer may be wetted on a semi-dry surface, and may be dried step by step in which the adherend and the adhesive are integrally fused to improve adhesion. When drying on the adhesive surface, the liquid adhesive may cause curing shrinkage, bu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thod of applying the liquid resin to the upper side of the semi-dry coating layer, which is an adherend, and uses the viscosity and fluidity of the semi-dry state to form a liquid resin. And it can be made in a way to minimize the frictional forces that can be generated during curing shrinkage.

이와 반대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긴 건조 시간으로 피착재에 도포되어진 코팅층이 완전히 굳어있는 상태로 유동성과 접착성이 없도록 경화된 상태를 완전 건조 상태라고 볼 수 있다. On the contrary, a state in which the coating layer applied to the adherend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a long drying time is completely hardened and hardened so as to have no fluidity and adhesiveness can be regarded as a completely dry stat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반건조 상태의 상면에 도포되는 코팅층은 반건조 상태의 점성과 접착성으로 인해 피착재인 동시에 접착제의 기능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layer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dry state may function as an adhesive and an adhesive due to the viscosity and adhesiveness of the semi-dry state.

따라서, 상기 반건조와 완전 건조를 나누어서 상기 제1미드 코팅층(40)을 반건조시킨 후 그 상면에 제2미드 코팅층(50)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10 ㎛ 이상의 미드 코팅층의 두께에서 경화수축시 발생 될 수 있었던 미세한 크랙 현상에 의해 장기적으로 조리기구의 내구성과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던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반건조 상태의 제1미드 코팅층(40) 상면이 제2미드 코팅층(50)의 도포시 접착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after semi-drying the first mid-coating layer 40 by dividing the semi-drying and the complete drying, the second mid-coating layer 5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micro cracks can remove elements that could reduce cookware's durability and lifespan in the long run.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id coating layer 40 in the semi-dry state may simultaneously serve as an adhesive when the second mid coating layer 50 is applied.

종래기술과 같이 한 층으로 두껍게 미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건조 및 경화 시 두꺼운 두께의 내외측 온도 차이 발생으로 표면에 미세한 크랙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미드 코팅층을 제1미드 코팅층(40) 반건조와 제2미드 코팅층(50) 완전 건조방식으로 나누어 도포하는 방식으로 2 ~ 5 ㎛의 두께로 두 번으로 나누어서 코팅한다. 상기 제1미드 코팅층(40)이 반건조 상태일 때 경계표면의 상측으로 제2미드 코팅층(50)을 도포하여 완전 건조한다. In the case of forming the mid-coating layer in one layer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durability occurs due to the occurrence of minute cracks on the surface due to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hick thickness during drying and cur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by dividing the mid coating layer into two to a thickness of 2 to 5 μm in a manner of dividing the mid coating layer into a semi-drying method of the first mid coating layer 40 and the complete drying method of the second mid coating layer 50. When the first mid coating layer 40 is in a semi-dry state, the second mid coating layer 50 is a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landmark surface and completely dried.

이와 같이, 두 번으로 나누어 코팅하기 때문에 경화 수축으로 인한 미세한 크랙의 발생을 없애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조리기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As such, since the coating is divided into two,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occurrence of minute cracks due to curing shrinkage and to improve durability to extend the life of the cookware.

또한, 문양코팅층은 제1미드 코팅층(40) 또는 제2미드 코팅층(5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미드 코팅층(40)을 반건조시키고 상측으로 문양코팅층 형성하되, 색깔과 문양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안료를 수지에 혼합하여 도포함으로써 문양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 제조시 다양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 상기 문양코팅층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제2미드 코팅층을 도포하여 준다.In addition, the pattern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mid coating layer 40 or the second mid coating layer 50. Semi-drying the first mid-coating layer 40 and a pattern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he color and the pattern can be of various designs. In this case, various methods may be selected in manufacturing, such as a method of forming a pattern coating layer by mixing and applying a pigment to a resin. Subsequently, the pattern coating layer is formed and a second mid coating layer is applied upwar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okware having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산화피막층을 세척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의 물리개질을 통하여 미크로(micro)상태에 어서 접착에 필요한 분자간의 거동거리를 얻게 할 수 있다(S210). 따라서, 산화피막층과 프라이머 코팅층과의 접착강도를 현저히 높여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first, the oxide film layer formed on the main body is washed to remove contaminants, and the distance between molecules required for adhesion may be obtained in a micro state through physical modification of the surface (S210). ). Therefore,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oxide film layer and the primer coating layer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to increase durability.

또한, 상기 샌딩 작업을 통하여 제품의 내측 바닥이 평탄해지고 부드럽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S220). 일반적으로, 샌딩이란 물체의 표면을 개질시켜 도료나 접착제를 도포하기에 적당한 상태로 바꾸어 주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산화피막층에 코팅층을 형성하기 적당한 상태로 바꾸어준 후 보호피막층 형성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inner bottom of the product flattened and smoothed through the sanding operation (S220). In general, sanding may be regarded as an operation of modifying the surface of an object to a state suitable for applying a paint or an adhesive. As such, it is preferable to enter the protective film layer after changing to a suitable state to form a coating layer on the oxide film layer.

이어, 상기의 산화피막층 표면의 상측으로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한 후 완전 건조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230). 여기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4 ~ 6 ㎛의 두께로 조리기구의 본체 내면에 형성된 산화피막층의 상측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완전 건조할 때에는 프라이머 코팅층이 형성된 조리기구를 200℃ ~ 250℃의 온도에서 10분 ~ 20분간 가열시켜서 완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the primer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xide film layer and then completely dried (S230). Here, the primer coating layer is preferably formed of a coating layer on the upper side of the oxide film lay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ookware to a thickness of 4 ~ 6 ㎛. In addition, when drying by heating complet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oking utensil on which the primer coating layer is formed is heated at a temperature of 200 ° C to 250 ° C for 10 minutes to 20 minutes to completely dry it.

또한, 상기의 완전 건조된 프라이머 코팅층 표면의 상측으로 제1미드 코팅층을 형성한 후 반건조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240). 여기서, 제1미드 코팅층은 2 ~ 5 ㎛의 두께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건조할 때에 기존에 코팅층이 형성된 프라이머 코팅층 상측으로 도포된 제1미드 코팅층을 180℃ ~ 220℃의 온도에서 5 ~ 10분간 가열하는 조건에서 반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fter forming the first mid-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completely dried primer coating layer is a step of semi-drying (S240). Here, the first mid coating layer preferably forms a coating layer with a thickness of 2 to 5 μm.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semi-dry under the condition of heating the first mid coating layer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er coating layer on which the coating layer is previously formed at a temperature of 180 ° C. to 220 ° C. for 5 to 10 minutes when drying by heating.

이후, 상기 반건조된 제1미드 코팅층 표면의 상측으로 제2미드 코팅층을 형성한 후 건조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300). 여기서, 상기 제2미드 코팅층은 2 ~ 5 ㎛의 두께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건조할 때에 기존에 코팅층이 형성된 제1미드 코팅층 상측으로 도포된 제2미드 코팅층을 230℃ ~ 270℃의 온도에서 5 ~ 10분간 가열시켜서 완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after, a step of forming a second mid-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emi-dried first mid-coating layer and then drying is performed (S300). Here, the second mid coating layer preferably forms a coating layer with a thickness of 2 to 5 μm.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dry completely by heating the second mid-coating layer a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id-coating layer on which the coating layer is previously formed at a temperature of 230 ° C. to 270 ° C. for 5 to 10 minutes when drying by heating.

이어, 상기의 제2미드 코팅층 표면의 상측으로 탑 코팅층을 형성한 후 완전건조하는 단계를 가진다(S245). 여기서, 상기 탑 코팅층은 4 ~ 6 ㎛의 두께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건조할 때에는 조리기구의 본체 내면에 형성된 제2미드 코팅층 상측으로 탑 코팅층이 형성된 조리기구를 360℃ ~ 400℃의 온도에서 20분 ~ 30분간 가열시켜서 완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after forming the top coating layer to the upper side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mid-coating layer has a step of completely drying (S245). Here, the top coating layer preferably forms a coating layer with a thickness of 4 ~ 6 ㎛. In addition, when drying by heating, the cooking utensil having the top coating layer formed above the second mid coating lay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ooking utensil is heated at a temperature of 360 ° C. to 400 ° C. for 20 minutes to 30 minutes to completely dry it.

또한, 상기의 탑 코팅층 표면을 완전건조시킨 후 상기 조리기구의 바닥면을 270 ~ 300 kgf/㎡ 으로 가압 프레스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 프레스 단계는 보호피막층의 바닥다짐으로 볼 수 있다. 270 ~ 300 kgf/㎡의 압력으로 보호피막층을 누르면 코팅층의 표면은 단단해지고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코팅층의 표면경계에 접착강도가 높아지고 미세 크랙의 발생을 줄이는 효과도 가져 올 수 있다. 아울러, 가압 프레스 단계로 조리기구의 바닥면은 동일한 힘을 받으므로 바닥면의 고른 평탄화와 바닥면이 더욱 매끄러워짐을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completely drying the surface of the top coating lay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ressure press step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ware to 270 ~ 300 kgf / ㎡. The pressing step can be seen as the bottom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When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is pressed at a pressure of 270 to 300 kgf / m 2,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may be hardened and durability may be further improved. Through this, the adhesion strength to the surface boundary of each coating layer can be increased and also the effect of reducing the occurrence of fine cracks. In addition,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utensil is subjected to the same force by the pressing step, it can be expected that the flattening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become smoother.

아울러, 상기의 가압 프레스 단계는 코팅층간의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공기를 없애고, 코팅층간의 접착 경계면을 더욱 넓게 해준다. 따라서, 상기의 가압단계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코팅층간의 접착강도를 높여주며 접착 표면적을 넓게 해줌으로 제품의 내구성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press step eliminates air that may occur on the surfaces between the coating layers, and further widens the adhesive interface between the coating layers. Therefore, the pressing step can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coating layer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and to extend the surface area of the adhesive can extend the durability and life of the product.

한편, 상기의 반건조된 제1미드 코팅층 표면의 상측 내지 제2미드 코팅층의 상측에는 색소가 함유된 불소수지 재질의 문양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attern coating layer of a fluorine resin material containing a pigmen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mi-drying the first mid-coating layer surface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mid-coating layer.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 보호피막층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라이머 코팅층과 탑 코팅층을 반건조 후 다단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okware protective coating la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forming the primer coating layer and the top coating layer in multiple stages after semi-drying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제1프라이머 코팅층을 2㎛ ~ 3㎛의 두께로 형성하여 반건조한 후에, 다시 2㎛ ~ 3㎛의 두께의 제2프라이머 코팅층의 형성하여 완전 건조하는 방법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S330,S335). 이때, 상기 제1프라이머 코팅층은 130℃~170℃의 온도에서 10분~15분간 반건조시키며, 제2프라이머 코팅층은 230℃ ~ 270℃의 온도에서 10분 이상 가열 건조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primer coating layer is semi-dried by forming a first primer coating layer in a thickness of 2 μm to 3 μm, and then completely drying by forming a second primer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 μm to 3 μm. It can be broken down into (S330, S335). In this case, the first primer coating layer may be semi-dried for 10 minutes to 15 minutes at a temperature of 130 ℃ ~ 170 ℃, the second primer coating layer may be heated and dried for more than 1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230 ℃ to 270 ℃.

또한, 상기 탑 코팅할 때에는 제2미드 코팅 표면에 제1탑 코팅층을 2㎛ ~ 3㎛의 두께로 형성하고 반건조한 후에, 다시 2㎛ ~ 3㎛의 두께로 제2탑 코팅층을 형성한 후 가열 건조하는 방법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S350,S355). 이때, 상기 제1탑 코팅층은 130℃ ~ 170℃의 온도에서 5분~10분간 반건조하며, 상기 제2탑 코팅층은 380℃ ~ 438℃의 온도에서 20분 ~ 30분간 가열 건조시킴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top coating, the first top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mid-coated surface to have a thickness of 2 μm to 3 μm and semi-dried, and then the second top coating layer is formed to a thickness of 2 μm to 3 μm and then heated. It may be subdivided by a drying method (S350, S355). At this time, the first tower coating layer is semi-dry for 5 minutes to 1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130 ℃ ~ 170 ℃, the second tower coating layer is preferably heat-dried 20 minutes to 3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380 ℃ ~ 438 ℃. .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자성체에 의해 입체화된 초박형 문양코팅층 및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자성체에 의해 입체화된 초박형 문양코팅층 및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자성체에 의해 입체화된 초박형 문양코팅층 및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각 코팅층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oking utensil provided with an ultra-thin patterned coating layer and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three-dimensionally by a nano-magnetic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oking utensil equipped with an ultra-thin pattern coating layer and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stereoscopically formed by a nanomagnetic material, FIGS. 8A and 8B are ultra-thin patterns stereoscopically formed by a nanomagnetic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oking utensil provided with a coating layer and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Each coating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basic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도 6 및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미드 코팅층(40)과 제2미드 코팅층(50)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의 형성단계에서, 나노자성체 입자(35)가 혼합된 수지를 도포하고,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복수개의 자석(70a)이 맞닿는 지점에 형성되는 분극선(71)에 의해 설정된 패턴의 자력을 제공하는 자력발생수단(70)을 배치하여 자력에 의해 상기 설정된 패턴을 따라 상기 나노자성체 입자(35)가 재배열되되, 상기 나노자성체 입자(35)가 상기 분극선(71)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재배열된 분포 밀도가 높고 상기 분극선에서 멀어질수록 분포 밀도가 낮아짐으로써 보다 선명하게 입체화된 초박형 문양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6 and FIG. 8B, in the step of forming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mid coating layer 40 and the second mid coating layer 50, a resin in which the nano magnetic particles 35 are mixed is coated, A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70 is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20 to provide a magnetic force of a pattern set by a polarization line 71 formed at a point where the plurality of magnets 70a abut. Accordingly, the nanomagnetic particles 35 are rearranged, but the distribution density of the nanomagnetic particles 35 rearrang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polarization line 71 is higher and the distribution density is lower as the polarization line is further away from the polarization lin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forming a more sharply three-dimensional ultra-thin pattern coating layer.

여기서, 상기 나노자성체 입자(35)는 값싸고 독성이 없는 금속·계면활성제 착화합물 등을 서서히 가열한 후 섭씨 300도 이상에서 소정시간 동안 추가로 가열하여, 수시간 만에 12nm(나노미터, 1나노=10억분의 1) 입경으로서 생산되는 균일한 자성체 산화철 나노입자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나노자성체 입자의 생산방법에 관한 기술은 미국 특허 제4,206,094호, 제4,219,411호, 제4,4454,234호, 제4,863,715호 내지 한국등록특허 제967708호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Here, the nano-magnetic material particles 35 are slowly heated and inexpensive and non-toxic metals and surfactant complexes, and then further heated at a temperature of 300 degrees Celsius or more for a predetermined time, 12nm (nano, 1 nanometer in a few hours)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uniform 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produced as a particle size of 1 billion = 1 billion. Techniques for producing such nanomagnetic particles are disclosed in detail in US Pat. Nos. 4,206,094, 4,219,411, 4,4454,234, 4,863,715 and Korean Patent No. 967708.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미드 코팅층(40)과 제2미드 코팅층(50)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의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미드 코팅층(40) 내지 제2미드 코팅층(50)을 이루는 용융된 상태의 수지에 나노자성체 입자(35)를 함유하여 본체(20)에 도포한 후, 상기 본체(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자력발생수단(70)을 배치하여 자력에 의해 상기 설정된 패턴을 따라 상기 나노자성체 입자(35)가 재배열되도록 함으로써 입체화된 초박형 문양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미드 코팅층(40) 및 제2미드 코팅층(50)에 혼합되는 나노자성체 입자의 색상을 상호 다르게 형성하여 혁신적이고 세련된 다층의 입체화된 초박형 문양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자성체 입자는 각 코팅층이 이루는 색상과 구별되도록 형성된다. 6 and 7, in order to form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mid coating layer 40 and the second mid coating layer 50, the first mid coating layer 40 to the second mid coating layer ( After the nanomagnetic particles 35 are contained in the molten resin forming the 50 and applied to the main body 20,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70 is disposed above or below the main body 20, The nanomagnetic particles 35 may be rearranged along the set pattern to form a three-dimensional super-thin pattern coating layer. Furthermore, as shown in FIG. 6, the colors of the nanomagnetic particles mixed in the first mid coating layer 40 and the second mid coating layer 50 are formed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form an innovative and refined multi-dimensional three-dimensional ultra-thin pattern coating layer. can do. In addition, the nanomagnetic particles are form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color of each coating layer.

여기서, 상기 자력발생수단(70)은 설정된 패턴의 분극선(71)을 갖도록 복수개의 독립적인 자석(70a)의 조합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나노자성체 입자(35)가 상기 분극선에 대응되는 지점(도 8a 및 도 8b의 36)에서는 재배열된 분포 밀도가 높고 상기 분극선에서 멀어진 부분(37)에서는 분포 밀도가 낮아짐으로써 입체감이 뚜렷하고 분포밀도의 차이가 선명한 초박형 문양코팅층이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70 is provided with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ndependent magnets (70a) to have a polarization line 71 of a set pattern, the point where the nanomagnetic particles 35 correspond to the polarization line In FIG. 8A and FIG. 8B, the rearranged distribution density is high and in the portion 37 away from the polarization line, the distribution density is lower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orm an ultra-thin pattern coating layer having a clear three-dimensional appearance and a clear difference in distribution density.

상세히,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그 중심점에서 자력이 강하여 재배열된 분포 밀도가 높고 그로부터 멀어질수록 분포 밀도가 연속적으로 낮아지는 분극선(71)은 독립적인 자석들(70a)의 N극 및 S극이 맞닿는 지점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개별 자석(70a)이 맞닿는 지점에 형성되는 분극선(71)에서는 2개의 자석의 자력이 결합되어 증폭되어, 상기 분극선(71)에서는 단일의 자석에 의한 자력보다 현저히 강한 자력을 제공한다. In detail, as shown in FIG. 7, in general, the polarization line 71 having the high magnetic force at its center point and the rearranged distribution density is higher and the distribution density is continuously lowered away from the polarization line 71 of the independent magnets 70a. It is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pole and the S pole abut. As described above, in the polarization line 71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plurality of individual magnets 70a abuts, the magnetic forces of the two magnets are combined and amplified. In the polarization line 71, the magnetic force is significantly stronger than the magnetic force of a single magnet. To provide.

이를 통해, 상기 분극선(71)에 대응되는 지점에서는 나노자성체 입자(35)의 재배열된 분포 밀도가 높고 상기 분극선(71)에서 멀어질수록 분포 밀도가 낮아짐으로써 입체감이 뚜렷하고 분포밀도의 차이가 현저히 선명한 입체화된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코팅층의 전체 두께가 수십 ㎛ 이내로 제한되어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보는 각도에 따라 투시되는 빛의 음영이 변화되는 것처럼 입체화된 형상을 나타내므로, 관찰자에게 상기 나노자성체 입자(35)가 재배열에 의해 집중 분포되는 영역이 시각적으로 뚜렷한 입체감이 부여되어 고품격의 새로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As a result,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polarization line 71, the rearranged distribution density of the nano-magnetic material particles 35 is high, and as the distance from the polarization line 71 increases, the distribution density is lowered, resulting in a sharp three-dimensional appearance and a difference in distribution density. Can form remarkably clear three-dimensionalized patterns. That is, even though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is limited to within several tens of micrometers, the nanoparticle particles 35 may be rearranged by the rearranger because the nanostereous particles 35 may be stereoscopically shaped as the shade of the light is changed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Areas that are concentrated in distribution can be visually provided with a clear three-dimensional appearance, thereby providing a new high quality appearance.

부연하면, 상기 나노자성체 입자(35)가 집중 분포되는 영역이 자력에 의해 재배열되어, 그의 분포밀도 변화가 연속적이므로 상기 나노자성체 입자(35)에 투사된 빛의 반사도가 연속적으로 변화되어 보는 각도에 따라 보다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음각 내지 양각과 같은 입체감이 부여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area in which the nanomagnetic particles 35 are concentrated is rearranged by magnetic force, and since the distribution density change is continuous, the reflectance of the light projected on the nanomagnetic particles 35 is changed continuously. As a result, a more realistic and natural three-dimensional feeling such as intaglio or embossing can be provid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본체 30: 프라이머 코팅층
35: 나노자성체 입자 40: 제1미드 코팅층
50: 제2미드 코팅층 60: 탑 코팅층
70: 자력발생수단 71: 분극선
20: main body 30: primer coating layer
35: nanomagnetic particles 40: first mid coating layer
50: second mid coating layer 60: top coating layer
70: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71: polarization line

Claims (5)

조리기구의 본체 내면에 형성된 산화피막층 상측으로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고 가열 건조하는 제1단계;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상면에 2 ~ 5 ㎛ 두께로서 불소 수지 분산액을 포함하는 제1미드 코팅층을 형성하고 180 ~ 220℃에서 5~10분간 반건조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미드 코팅층 상면에 2 ~ 5 ㎛ 두께로서 불소 수지 분산액을 포함하는 제2미드 코팅층을 형성하고 230 ~ 270℃에서 10분 이상 가열 건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미드 코팅층의 상면에 탑 코팅층을 형성하고 가열 건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A first step of forming a primer coating layer over the oxide film lay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ooker and heating and drying the primer coating layer;
A second step of forming a first mid-coating layer including a fluororesin dispersion liquid at a thickness of 2 to 5 μ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er coating layer and semi-drying at 180 to 220 ° C. for 5 to 10 minutes;
A third step of forming a second mid-coating layer including a fluororesin dispersion in a thickness of 2 to 5 μm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mid-coating layer and heating and drying at 230 to 270 ° C. for at least 10 minut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okware having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comprising a fourth step of forming a top coating layer on a top surface of the second mid coating layer and heating and drying the fourth coat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탑 코팅층의 가열 건조 후 상기 조리기구의 바닥면을 270 ~ 300 kgf/㎡ 으로 가압 프레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ourth step of the cooking utensil having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es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ware to 270 ~ 300 kgf / ㎡ after the heat drying of the top coating layer. Manufacturing metho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및 상기 제3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는, 나노자성체 입자가 혼합된 수지를 도포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 복수개의 자석이 맞닿는 지점에 형성되는 분극선에 의해 설정된 패턴의 자력을 제공하는 자력발생수단을 배치하여 자력에 의해 상기 설정된 패턴을 따라 상기 나노자성체 입자가 재배열되되,
상기 나노자성체 입자가 상기 분극선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재배열된 분포 밀도가 높고 상기 분극선에서 멀어질수록 분포 밀도가 낮아짐으로써 입체화된 초박형 문양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second and third steps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 resin in which nanomagnetic particles are mixed, and applying a magnetic force of a pattern set by a polarization line formed at a point where a plurality of magnets contac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By arrang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to provide rearrangement of the nano-magnetic material particles along the set pattern by the magnetic force,
The nanomagnetic particles are rearrang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polarization line has a high distribution density and the farther away from the polarization line, the distribution density is lowered, thereby forming a three-dimensional ultra-thin pattern coating layer comprising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okware having a dry multilayer coat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및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1미드 코팅층을 형성한 후 색소가 함유된 문양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tep and the third step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oking utensil with a semi-dry multi-layer coating lay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 pattern coating layer containing a pigment after forming the first mid coating layer.
KR1020110035758A 2011-04-18 2011-04-18 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apparatus with semi-dry multilayered coating KR1010672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758A KR101067297B1 (en) 2011-04-18 2011-04-18 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apparatus with semi-dry multilayered co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758A KR101067297B1 (en) 2011-04-18 2011-04-18 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apparatus with semi-dry multilayered coa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297B1 true KR101067297B1 (en) 2011-09-23

Family

ID=4495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758A KR101067297B1 (en) 2011-04-18 2011-04-18 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apparatus with semi-dry multilayered coa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297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310B1 (en) 2011-10-27 2012-04-26 (주)드림셰프 Method for coating kitchen container
KR101161818B1 (en) 2011-11-15 2012-07-03 (주)드림셰프 Method for coating kitchen container
KR101856100B1 (en) * 2017-09-29 2018-05-09 주식회사 이룸쿡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 non-stick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52045B1 (en) * 2017-12-19 2019-02-25 김진규 Frying pan manufacturing method
WO2020075891A1 (en) * 2018-10-12 2020-04-16 주식회사 티와이에스 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vessel
JP2023037413A (en) * 2021-09-03 2023-03-15 紅艶 朴 Frying pa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8967A (en) 2003-09-19 2005-04-07 Toyo Seikan Kaisha Ltd Container having patterned coat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0639275B1 (en) 2005-07-12 2006-10-30 이성재 Cooking vessel with marble coa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90576B1 (en) 2005-10-27 2007-03-09 강효섭 The Cooking device with nano-sliver marble coating and The method there of
KR100926516B1 (en) 2009-06-03 2009-11-12 (주)코리아마그네슘 Method for manufacturing vessel coated lacquer poison and vessel manufacture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8967A (en) 2003-09-19 2005-04-07 Toyo Seikan Kaisha Ltd Container having patterned coat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0639275B1 (en) 2005-07-12 2006-10-30 이성재 Cooking vessel with marble coa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90576B1 (en) 2005-10-27 2007-03-09 강효섭 The Cooking device with nano-sliver marble coating and The method there of
KR100926516B1 (en) 2009-06-03 2009-11-12 (주)코리아마그네슘 Method for manufacturing vessel coated lacquer poison and vessel manufactured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310B1 (en) 2011-10-27 2012-04-26 (주)드림셰프 Method for coating kitchen container
KR101161818B1 (en) 2011-11-15 2012-07-03 (주)드림셰프 Method for coating kitchen container
KR101856100B1 (en) * 2017-09-29 2018-05-09 주식회사 이룸쿡 cooking vessel equipped with a non-stick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52045B1 (en) * 2017-12-19 2019-02-25 김진규 Frying pan manufacturing method
WO2020075891A1 (en) * 2018-10-12 2020-04-16 주식회사 티와이에스 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vessel
JP2023037413A (en) * 2021-09-03 2023-03-15 紅艶 朴 Frying pa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29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apparatus with semi-dry multilayered coating
TWI537345B (en) Ceramic paints and protective coatings
CN102407638B (en) Article including sol-gel coating equipped with functional design and process for producing such article
US11058252B2 (en) Method of producing a cooking vessel comprising an interior surface of partially coated stainless steel
US20050208272A1 (en) Non-stick cook surface
FI93205C (en) Enamel coating containing glass beads for the bottom of pans and coated pans
JP2014506817A (en) Cookware with a non-stick coating hav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CN106536417B (en) Non-sticking lining comprising at least one functionalization decorative layer and the article with such coating
KR20100031440A (en) Heating vessel with fixed thermal conductivity and coating method thereof
KR20130026049A (en) Coating structure of pot and the method for coating the pot
CN107495826A (en) A kind of non-stick pan with anti-sticking structure
JP5659273B2 (en) Inner pot for electric rice coo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K2515729T3 (en) KITCHEN EQUIPMENT INCLUDING AN EXTERNAL NONSTICK COATING INCLUDING AN EXTERNAL BASE DECORATION AND PROCEDURE FOR ITS MANUFACTURING
JP2006015115A (en) Cookware
KR101225226B1 (en) Rice cooker
JP4682831B2 (en) rice cooker
CN110859519A (en) Non-stick coating, po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oking utensil
WO2020007800A1 (en) Temperature indicator
KR101796459B1 (en) Ceramic coating method and its coated kitchenware having intaglio and relief pattern
CN115474829A (en) Cooker with pure inorganic non-stick coa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36947B1 (en) Xtrema T composition for coating providing iron-like texture to aluminum-based cookware and method for coating using the same
CN110665779B (en) Thermochromic coating, preparation method thereof, heating appliance and cooking equipment
JP2006040815A (en) Cooker plate set
KR101216686B1 (en) Inner pot for an electric rice cooker
KR101648947B1 (en) Frying pan comprising nonstick protective coating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