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384B1 - 통신단말장치, 액세스 제어방법, ic 카드 - Google Patents

통신단말장치, 액세스 제어방법, ic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384B1
KR101066384B1 KR1020080115154A KR20080115154A KR101066384B1 KR 101066384 B1 KR101066384 B1 KR 101066384B1 KR 1020080115154 A KR1020080115154 A KR 1020080115154A KR 20080115154 A KR20080115154 A KR 20080115154A KR 101066384 B1 KR101066384 B1 KR 101066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
data
file
data fi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703A (ko
Inventor
히데토시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05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implemented by means of portable electronic direct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인증모듈이 보유하는 전화번호부정보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액세스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가입자 인증모듈(2)에 대표전화번호부(DS)를 정의한다. 전화번호부의 등록안건X의 등록정보를 읽어낼 때에는, 휴대전화기(1)로부터 대표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1)에 대해서 등록안건(X)의 검색요구를 행하고, 다음에, 대표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1)에 대하여 읽기 요구를 행한다. 가입자 인증 모듈(2)측에서는, 검색요구를 받아, 전화번호부로부터 등록안건(X)이 저장되어 있는 레코드를 검색하여, 이것과 대표전화부(DS)의 레코드(1)를 관련지어, 이들 레코드의 레코드 데이터를 일치시킨다. 읽기 요구가 통지되었을 때에는, 대표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1)로부터 그 레코드 데이터를 읽어낸다.

Description

통신단말장치, 액세스 제어방법, IC 카드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ESS CONTROLLING METHOD, AND SMART CARD}
본 발명은, 통신단말 및, 이 통신단말과 통신을 행하는 외부기억매체를 구비한 통신단말장치, 이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액세스 제어방법, 및 IC 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발행하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혹은, SIM(Subscriber Identify Module)과 같은, 탈착이 자유로운 가입자 인증 모듈을, 가입자측의 휴대 전화기에 장착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소정의 휴대 전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가입자 인증 모듈은, 통신사업자 및 휴대전화회사 양쪽으로부터 발행될 수 있는 것이다.
가입자 인증 모듈에는, 휴대 전화 서비스에 관련된 가입자 식별 번호 외에, 가입자 자신의 개인정보나, 전화번호부 등의 기타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동일한 가입자 인증 모듈을 다른 휴대 전화기에 장착함으로써 단일의 유저가 복수의 휴대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복수의 유저가 각자의 가입자 인증 모듈을 단일의 휴대 전화기에 장착함으로써 단일의 휴대 전화기를 복수의 유저가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입자 인증 모듈에 기억시킬 수 있는 메모리 영역은, 휴대 전화기에 기억시킬 수 있는 메모리 영역과 비교해서 일반적으로 적다.
이 때문에, 복수의 가입자 인증 모듈의 식별 번호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을 휴대 전화기 내부에 설치하여, 복수의 유저에 대해서 보다 많은 메모리 영역을 제공하도록 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휴대 전화기 내부가 아니라 네트워크상에 메모리 영역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휴대 전화기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4-336719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7-60231호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 내부에 가입자 인증 모듈마다 메모리 영역을 설치하는 방법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즉, 가입자 인증 모듈을 구성하는 높은 시큐리티 성능(내(耐)탬퍼 성능)을 가진 IC(Integrated Circuit) 칩과 비교하여, 휴대 전화기 등에 범용으로 이용되는 메모리용 IC 칩은, 시큐리티 성능이 낮다. 이 때문에, 이 휴대 전화기 내부의 메모리용 IC 칩이 해석되어 그 기억 정보가 제3자에게 읽힐 가능성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휴대 전화기간에 정보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통신을 행하는 것이 필수 불가결하다. 이 때문에, 휴대 전화기가 권외가 되는 장소에 있는 경우 등, 통신을 행할 수 없는 환경하에 있는 경우에는, 이 기능을 활용할 수 없다. 또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고 해도, 통신 속도에 따라서 사용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정보 취득까지 시간이 걸려 유저에게 위화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최근, 가입자 인증 모듈을 구성하는, 높은 시큐리티 성능을 가진 IC 칩의 메모리 단가는 염가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입자 인증 모듈에 저장이 가능한 정보량은 증가해 오고 있다.
현재, 규격화 단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정리된 규격인, TS(Technical Specification) 11.11 사양, 또는 31.102 사양에 따르면, SIM이면 254건, USIM이면 254건을 넘는 건수의 전화번호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등록 건수가 많은 전화번호부의 경우, 전화번호부에의 액세스 시간이 걸린다.
이 때문에, 휴대 전화기의 전원을 투입할 때에, 이 시점에서 가입자 인증 모듈내에 기억하고 있는 전화번호부의 전체 건의 데이터를 휴대 전화기의 메모리 영역에 전송하여 휴대 전화기 내에서 전화번호부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전화번호부에의 액세스 요구가 이루어졌을 때에는 가입자 인증 모듈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부가 아니라, 휴대 전화기 내의 전화번호부에 대해서 액세스하는 것에 의해, 액세스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휴대 전화기의 전원 투입시에 휴대 전화기 내에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했다고 해도, 전화번호부에의 등록 건수가 많아질수록 그만큼 전송 시간도 길어진다. 게다가 휴대 전화기와 가입자 인증 모듈 사이의 통신 속도가 낮을수록 처리 시간도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입자 인증 모듈이 보유하는 전화번호부 정보에 대해서 효율적으로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단말장치, 이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액세스 제어방법, IC 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 데이터를 가진 레코드가 저장되어 이루어진 데이터 파일(예를 들면 도 2의 전화번호부 D1∼DN)을 구비한 외부기억매체(예를 들면 도 1의 가입자 인증 모듈(2))와, 상기 데이터 파일을 참조하는 통신단말(예를 들면 도 1의 휴대 전화기(1))을 구비한 통신단말장치로서, 상기 외부기억매체는, 상기 데이터 파일의 레코드와 관련된 레코드가 저장되어 이루어진 대표 파일(예를 들면 도 2의 대표 전화번호부(DS))와, 상기 통신단말로부터의 처리 요구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파일 또는 상기 대표 파일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가입자 인증 모듈(2)의 제어부(21))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단말은, 상기 대표 파일을 지정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에 대한 처리 요구를 행하는 처리요구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휴대 전화기(1)의 제어부(14) 및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통신단말로부터의 처리 요구에 따라 외부기억매체의 액세스 수단으로 행하고, 그 결과가 통신단말에 전송된다. 이 때문에, 외부기억매체의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전부를 통신단말측에 전송할 필요는 없고,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회피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 파일에의 액세스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요구수단은, 상기 데이터 파일중의 읽기 대상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파일의 레코드에 관련된 상기 대표 파일의 레코드에 대해서 레코드 데이터의 읽기 요구를 행하고, 상기 액세스 수단은, 상기 읽기 요구가 이루어진 상기 대표 파일의 레코드로부터 그 레코드 데이터를 읽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낼 때는, 읽기 대상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파일의 레코드에 관련된 대표 파일의 레코드로부터 그 레코드 데이터를 읽어내기 때문에, 데이터 파일로부터 읽어내기 대상의 레코드를 검색할 필요는 없고, 효율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요구수단은, 상기 데이터 파일로부터 읽어낸 데이터에 해당하는 상기 대표 파일의 레코드에 대해서 레코드 데이터의 소거 요구를 행하고, 상기 액세스 수단은, 상기 소거 요구가 이루어진 상기 대표 파일의 레코드와 관련된 상기 데이터 파일의 레코드에 액세스하여 이 레코드 데이터를 소거한 후, 상기 소거 요구가 이루어진 상기 대표 파일의 레코드의 레코드 데이터를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읽어낸 데이터를 데이터 파일로부터 소거할 때에는, 소거 요구가 이루어진 대표 파일의 레코드와 관련된 데이터 파일의 레코드에 액세스하여 그 레코드 데이터를 소거하고, 그 후, 소거 요구가 이루어진 대표 파일의 레코드 데이터를 소거하기 때문에, 소거 대상의 레코드를 데이터 파일로부터 검색할 필요는 없고, 효율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요구수단은, 상기 대표 파일의 레코드에 대해서 상기 데이터 파일에의 데이터의 등록 요구를 행하고, 상기 액세스 수단은, 등록 요구가 이루어졌을 때 상기 데이터 파일의 빈 레코드에, 상기 등록 요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파일에 신규 등록을 행할 때는, 데이터 파일의 빈 레코드에 등록 요구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등록 요구된 데이터를 확실하게 데이터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데이터를 가진 레코드가 저장되어 이루어진 데이터 파일 및 상기 데이터 파일의 레코드와 관련된 레코드가 저장되어 이루어진 대표 파일을 가진 외부기억매체와, 상기 데이터 파일을 참조하는 통신단말을 구비한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액세스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통신단말에 있어서 상기 대표 파일을 지정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에 대한 처리 요구를 행하는 처리 요구 스텝(예를 들면 도 4의 스텝 S2, 도 5의 스텝 S12, 스텝 S18, 도 6의 스텝 S32, 도 7의 스텝 S42)와, 상기 외부기억매체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로부터의 처리 요구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파일 또는 상기 대표 파일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예를 들면 도 4의 스텝 S3a, 도 5의 스텝 S13a, 스텝 S19a, 도 6의 스텝 S33a, 도 7의 스텝 S43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통신단말로부터의 처리 요구에 따라 외부기억매체측에서 행하고, 그 결과가 통신단말에 전송된다. 이 때문에, 외부기억매체의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모두를 통신단말측에 전송할 필요는 없고,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회피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 파일에의 액세스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소정 데이터를 가진 레코드가 저장되어 이루어진 데이터 파일(예를 들면 도 2의 전화번호부 D1∼DN)와, 상기 데이터 파일의 레코드와 관련된 레코드가 저장되어 이루어진 대표 파일(예를 들면 도 2의 대표 전화번호부 D8)와, 상기 대표 파일의 레코드를 지정하여 입력되는 상기 데이터 파일에 대한 처리 요구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파일 또는 상기 대표 파일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가입자 인증 모듈(2)의 제어부(21))를 IC 카드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IC 카드에서는, 입력되는 처리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 파일에 대한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처리 요구원의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 파일의 전체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는 없고,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회피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 파일에의 액세스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통신단말로부터의 처리 요구에 따라서 외부기억매체(IC 카드)측에서 행하기 때문에, 통신단말에의,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회피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 파일에의 액세스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단말 및 외부기억매체(IC 카드) 사이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에 수반하는 처리 시간을 단축하여, 사용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통신단말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단말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 통신단말장치는, 통신단말로서의 휴대 전화기(1)와, 이 휴대 전화기(1)에 장착되는 탈착이 가능한 IC 카드 등의 가입자 인증 모듈(2)로 구성되고, 이들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이 가입자 인증 모듈(2)은, SIM 카드 또는 USIM카드와 같은, ISO7816 준거의 IC 카드이다.
휴대 전화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1)와, 무선부(12)와, 표시조작부(13)와, 제어부(14)와, 기억부(15)와,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를 구비한다.
무선부(12)는, 안테나(11)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 처리를 행한다.
표시조작부(13)는, 유저의 키 입력 조작 내용의 표시나, 키 조작에 수반하는 처리 결과의 표시 등을 행한다.
제어부(14)는, 기억부(15)에 기억된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서, 무선부(12), 표시조작부(13), 제어부(14),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의 각 부를 제어하고, 표시조작부(13)에서의 유저의 입력 조작에 따라서, 무선부(12)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14)는,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를 통하여 가입자 인증 모듈(2)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고, 가입자 인증 모듈(2)의 후술하는 기억부(22)에 기억된 가입자 식별 번호를 읽어내어, 가입자 식별 번호가 유효할 때 휴대 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14)는, 표시조작부(13)에서의 유저의 표시 키 입력 조작에 따라, 가입자 인증 모듈 기억부(22)에 기억된 가입자의 개인정보나 전화번호부 정보의 읽어내어, 신규 등록, 갱신, 소거 등을 행한다.
기억부(15)에는, 제어부(14)에서 실행하는 처리 프로그램이나,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필요한 정보 등이 기억된다.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는, 가입자 인증 모듈(2)의 후술의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의 사이에서, 커멘드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즉,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는, 제어부(14)로부터 입력되는 처리 요구에 따른 처리 요구 커멘드를 발행하고 이것을 가입자 인증 모듈(2)에 출력한다. 또한,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는, 처리 요구 커멘드에 대한 응답 커멘드가 가입자 인증 모듈(2)로부터 입력되어,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는 입력된 응답 커멘드에 기초하여 응답 내용을 제어부(14)에 통지한다.
한편, 가입자 인증 모듈(2)은, 제어부(21)와, 기억부(22)와,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를 구비한다.
제어부(21)는,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로부터 입력되는 처리 요구 내용에 따라 기억부(22)에 액세스를 행하고, 처리 요구 내용에 따른 처리를 실행함과 함께, 그 처리 결과를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 통지한다.
기억부(22)에는, 제어부(21)에서 실행하는 처리 프로그램이 기억됨과 함께, 기억 정보로서 전화번호부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휴대 전화 서비스에 관한 가입자 식별 번호 외에, 가입자 자신의 개인정보가 기억된다.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는, 휴대 전화기(1)의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의 사이에 커멘드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을 행하고,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로부터 입력되는 처리 요구 커멘드에 따른 처리 요구 내용을 제어부(21)에 통지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는, 제어부(21)로부터 입력되는, 이 제 어부(21)에서 실행된, 처리 요구 내용으로 지정된 처리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로부터의 처리 요구 커멘드에 대한 응답 커멘드를 발행하고, 이것을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 출력한다.
(전화번호부 정보의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예)
도 2는, 가입자 인증 모듈(2)의 기억부(22)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정보로 이루어진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전화번호부 정보로 이루어진 데이터 베이스는, 복수의 전화번호부(D1∼DN)와, 대표 전화번호부(DS)와, 이들 전화번호부(D1∼DN) 및 대표 전화번호부(DS)를 관리하는 관리 파일(EF-PBR)로 구성된다.
한편, 가입자 인증 모듈(2)로서 SIM를 적용한 경우에는, 단일의 전화번호부 밖에 정의할 수 없지만, USIM를 적용한 경우에는, 복수의 전화번호부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는, 가입자 인증 모듈(2)로서 USIM를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기본적인 사상은 SIM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전화번호부(D1)는, EF-ADN 파일, EF-SNE 파일, EF-EMAIL 파일을 구비한다. 전화번호부(D2∼DN)도 동일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전화번호부를 구성하는 정보, 예를 들면, 이름(표제 문자), 일본식 가나읽기, 전화 번호, 전자메일 주소 등과 같은 정보 요소는, 몇개의 파일로 분할하여 수록된다.
규격화 단체 3GPP의 규격 3GPP TS 31.102에서는, 이름 및 전화 번호는 EF-ADN 파일, 일본식 가나읽기는 EF-SNE 파일, 전자메일 주소는 EF-EMAIL 파일에 각각 저장된다.
한편, 여기서는, 전화번호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름, 전화 번호, 일본식 가나읽기, 전자메일 주소를 정의하고, 전화번호부 정보의 데이터 베이스를, EF-ADN 파일, EF-SNE 파일, EF-EMAIL 파일을 가진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규격 3GPP TS 31.102에서는, 전화번호부의 각 엔트리가, 회사, 친구, 거래처 등과 같은 그룹중에서, 어느 그룹에 속하고 있는지와 같은, 엔트리가 속하는 그룹을 정의하는 EF-GRP 파일 등, 기타 파일도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화번호부 정보는, 그 데이터 베이스가, 상기 EF-ADN 파일, EF-SNE 파일, EF-EMAIL 파일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또 다른 파일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이들 파일 중의 어느 하나 혹은 2이상의 파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대표 전화번호부(DS)는, 전화번호부(D1∼DN)와 동일한 파일 구성을 가진다. 즉, 이름 및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EF-ADN 파일, 일본식 가나읽기를 저장하는 EF-SNE 파일, 전자메일 주소를 저장하는 EF-EMAIL 파일을 가진다.
관리 파일 EF-PBR는, 전화번호부를 구성하는 정보 요소가 어떠한 것인지, 또 이들 정보 요소가 저장되는 각 파일에 어느 파일 주소가 부여되어 있는지 등과 같은 전화번호부의 구성을 규정하는 전화번호부 관리 테이블 정보를 가진다. 이 관리 파일 EF-PBR에서는, 1개의 레코드로 하나의 전화번호부(254건까지)를 정의할 수 있다.
도 3은, 대표 전화번호부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하는, 전화 번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EF-ADN 파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EF-SNE 파일, EF-EMAIL 파일도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EF-ADN 파일은 복수의 레코드로 구성되고, 하나의 레코드에는 1건분의 전화번호부 정보(이후, 엔트리라고도 한다.)가 저장된다. 그리고, EF-ADN 파일의 레코드 1을, 엔트리의 읽기, 갱신(소거)을 위한 전용 레코드로 규정한다. 또한, 레코드 2를, 엔트리의 추가 즉 신규 등록을 위한 전용의 레코드로 규정한다.
(통신순서의 예)
다음에, 휴대 전화기(1)와 가입자 인증 모듈(2)의 사이에서의 통신순서를, 도 4로부터 도 7의 시퀀스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신규 등록)
먼저, 휴대 전화기(1)로부터 가입자 인증 모듈(2)의 전화번호부에 대해서, 신규 등록을 행하는 경우의 통신순서를, 도 4의 시퀀스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유저가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 신규 등록 조작을 행하면, 조작 내용이 표시조작부(13)를 통하여 제어부(14)에 통지된다. 제어부(14)에서는, 이것을 받아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 대해서 전화번호부 등록 요구를 행한다(스텝 S1).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서는, 신규 등록을 지시하는 커멘드로서 UPDATE 커멘드를 발행하고, 이것을 가입자 인증 모듈(2)에 출력한다(스텝 S2). 이 때, 신규 등록처로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엔트리 추가 전용 레코드인 레코드 2를 지정하고, 신규 등록 정보와 함께 UPDATE 커멘드를 출력한다.
가입자 인증 모듈(2)의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서는, UPDATE 커멘드가 입력되면, 등록처로서 엔트리 추가 전용 레코드인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2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신규 등록 요구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등록 요구를 제어부(21)에 통지한다(스텝 S3).
제어부(21)에서는, 등록 요구가 이루어진 것으로부터 등록 처리를 행한다(스텝 S3a). 즉, 우선, 신규 등록처로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2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 입력한 신규 등록 정보를 일단 저장한다.
계속해서, 제어부(21)에서는, 전화번호부(D1∼DN)를 검색하고, 신규 등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빈 레코드를, 각 파일에 대해 검색한다. 예를 들면, 우선 전화번호부(D1)의 각 파일에 대해서 빈 레코드를 검색한다. 빈 레코드가 없으면, 계속해서 전화번호부(D2)에 대하고 검색을 행하여, 파일마다 빈 레코드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한 각 파일의 빈 레코드에,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2에 저장된 신규 등록 정보를 기억한다. 즉, 신규 등록 정보로서 지정된, 이름(표제 문자), 전화 번호는, EF-ADN 파일의 빈 레코드에 저장하고, 일본식 가나읽기는, EF-SNE 파일의 빈 레코드에 저장하며, 전자메일 주소는 EF-EMAIL 파일의 빈 레코드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빈 레코드가 검색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부에, 등록 요구된 신규 등록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계속해서, 제어부(21)에서는, 등록이 완료한 것을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 통지하고(스텝 S4), 계속해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2를 초기화한다(스텝 S5). 이에 따라, 레코드 2에 일시 기억된 신규 등록 정보가 소거된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서는, 정상 종료의 응답 커멘드를 발행하여 이것을 휴대 전화기(1)에 출력한다(스텝 S6).
휴대 전화기(1)의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서는, 정상 종료의 응답 커멘드를 받은 것으로부터, 등록 완료를 제어부(14)에 통지한다(스텝 S7). 이에 따라서, 제어부(14)에서는, 신규 등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인식한다.
한편,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2의 초기화 처리는, 예를 들면, 레코드를 초기화하기 위한 데이터열, 예를 들면, "FFh…FFh"를 레코드 2에 갱신 기억하는 것에 의해서 초기화하면 좋다. 또한, 레코드가 미사용인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미사용 플래그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미사용을 표시한 값으로 변경함으로써 초기화해도 좋고, 이 미사용 플래그의 설정과 초기화하기 위한 데이터열의 갱신 기억의 양방을 더 행하는 것에 의해 레코드 2의 초기화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신규 등록 정보를, 대표 전화번호부(DS)에 일시 보존한 후, 전화번호부에 저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신규 등록 정보를, 대표 전화번호부(DS)에 저장하지 않고,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 설치되어 있는, 입력되는 신규 등록의 요구 커멘드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버퍼 영역 등에, 신규 등록 정보를 일시 기억한 채로 전화번호부의 빈 레코드를 검색하고, 검색한 빈 레코드에, 버퍼 영역의 신규 등록 정보를 직접 쓰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대표 전화번호부 2에 신규 등록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텝 S5에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2를 초기화하는 처리를 행할 필요는 없다.
(등록 정보의 읽기)
다음에, 전화번호부로부터 원하는 등록 안건의 등록 정보를 읽어내는 경우의 통신순서를, 도 5의 시퀀스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유저가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 등록 안건 X의 읽기 조작을 행하면, 조작 내용이 표시조작부(13)를 통하여 제어부(14)에 통지된다. 제어부(14)에서는, 이것을 받아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 대해서, 먼저 읽기 대상으로서 지정된 등록 안건 X의 검색 요구를 행한다(스텝 S11).
이것을 받아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서는, 검색을 지시하는 커멘드로서 SEARCH 커멘드를 발행하여 이것을 가입자 인증 모듈(2)에 출력한다(스텝 S12). 이 때, SEARCH 커멘드와 함께, 검색 대상의 등록 안건 X를 지정하는 정보, 예를 들면, 이름이나, 표제어 등을 지정하는 검색 정보도 출력한다.
가입자 인증 모듈(2)의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서는, 입력된 SEARCH 커멘드에 기초하여, 등록 안건 X의 검색 요구가 이루어진 것을 제어부(21)에 통지하고(스텝 S13), 제어부(21)에서는 등록 안건 X의 검색 처리를 행한다(스텝 S13a). 즉, 예를 들면 전화번호부 D1로부터 순서대로, 각 파일에 대해서, 지정된 검색 정보(등록 안건 X)에 해당하는 레코드를 검색한다.
그리고, 해당하는 레코드를 검색했으면, 이것을 대표 전화번호부(DS)의 엔트 리 읽기·갱신(소거) 전용의 레코드 1과 관련짓는 동시에, 이들 레코드의 레코드 데이터를 일치시킨다(스텝 S13b). 예를 들면, 등록 안건 X에 해당하는 각 파일의 레코드의 레코드 데이터를, 대표 전화번호부(DS)의 각 파일의 레코드 1의 레코드 데이터로서 복사함으로써, 이들을 관련짓는 동시에, 이들 레코드의 레코드 데이터를 일치시킨다.
한편,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로 검색한 레코드를 관련짓는 방법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에, 이 레코드 1이 등록 안건 X에 해당하는 각 파일의 레코드와 관련되어 있는 것을 표시한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에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때는 관련 정보로 특정되는 전화번호부의 레코드에 대해서 액세스하는 것에 의해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로 검색한 레코드를 관련짓는 동시에, 이들 레코드간에 레코드 데이터를 일치시키도록 해도 좋다.
계속해서, 제어부(21)는 검색이 종료하고, 검색 결과를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에 저장한 것을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 통지한다(스텝 S14).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서는, 검색이 정상적으로 종료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응답 커멘드를 발행하고, 이 응답 커멘드와 함께, 검색 결과의 저장처로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인 것을 휴대 전화기(1)에 출력한다(스텝 S15).
휴대 전화기(1)의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는, 입력되는 응답 커멘드에 기초하여, 검색이 정상 종료한 것을 제어부(14)에 통지한다(스텝 S16).
제어부(14)에서는, 검색 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인식하면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 대해서 읽기 요구를 행한다(스텝 S17).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는, 읽기를 지시하기 위한 READ 커멘드를 발행하여 이것을 가입자 인증 모듈(2)에 출력한다. 이 때, 읽을 곳으로서, 앞의 검색 요구에 대한 응답 커멘드로 통지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을, 읽을 곳으로서 지정하여 READ 커멘드를 출력한다(스텝 S18).
가입자 인증 모듈(2)의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는, 입력된 READ 커멘드에 기초하여,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의 읽기를 요구가 이루어진 것을 제어부(21)에 통지하고(스텝 S19), 제어부(21)는, 읽기 처리를 행한다(스텝 S19a). 즉, 제어부(21)는 지정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각 파일의 레코드 1로부터 레코드 데이터를 읽어내고, 이것을 읽어낸 결과로서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 통지한다(스텝 S20).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는, READ 커멘드에 대한 응답 커멘드로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의 레코드 데이터를 휴대 전화기(1)에 출력한다(스텝 S21).
휴대 전화기(1)의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는, 입력되는 응답 커멘드에 기초하여, 읽어낸 결과로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의 레코드 데이터를 제어부(14)에 통지하고(스텝 S22), 제어부(14)에서는, 대표 전화번호부(DS)의 각 파일의 레코드 1의 레코드 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각 파일의 레코드 1에는, 스텝 S13의 처리에서 검색한, 읽기 대상으로서 지정한 등록 안건 X의 레코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 다. 따라서, 제어부(14)는, 읽기 대상으로서 지정한 등록 안건 X의 레코드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읽어낸 등록 안건 X의 등록 정보를, 표시조작부(13)에 의해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유저는 읽기 요구한 등록 안건 X의 등록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등록 정보의 갱신)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읽어낸 등록 안건 X의 등록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의 통신순서를, 도 6의 시퀀스도를 수반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 시점에서는, 대표 전화번호부(DS)의 각 파일의 레코드 1에는, 등록 안건 X의 레코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의 제어부(14)는, 읽어낸 등록 안건 X에 대해서 유저에 의해 갱신 조작이 이루어지면,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 대해서, 읽어낸 등록 안건 X의 전화번호부 정보의 갱신 요구를 행한다(스텝 S31).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서는, 등록 정보의 갱신을 지시하기 위한 UPDATE 커멘드를 발행하여 이것을 가입자 인증 모듈(2)에 출력한다. 이 때,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서는, 갱신 대상으로서, 엔트리 읽기·갱신(소거) 전용 레코드인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을 지정하여 UPDATE 커멘드를 출력한다(스텝 S32).
가입자 인증 모듈(2)의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서는, UPDATE 커멘드가 입력되면 등록 정보의 갱신 요구가 이루어진 것을 제어부(21)에 통지하고(스텝 S33), 제어부(21)에서는 갱신 처리를 행한다(스텝 S33a).
즉, 제어부(21)에서는, 갱신 대상으로서 지정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의 레코드 데이터를, UPDATE 커멘드로 지정된 데이터로 갱신한다. 또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의 갱신후의 레코드 데이터를, 이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과 대응된 레코드, 즉 등록 안건 X가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의 레코드에 복사하여, 전화번호부의 등록 안건 X의 레코드 데이터와,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의 레코드 데이터를 일치시킨다. 이에 따라서, 등록 안건 X의 전화번호부 정보가 갱신되게 된다.
제어부(21)에서는, 갱신 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등록 완료를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 통지하고(스텝 S34),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서는, UPDATE 커멘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정상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응답 커멘드를 발행하여 이것을 휴대 전화기(1)에 출력한다(스텝 S35).
휴대 전화기(1)의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서는, 입력된 응답 커멘드에 기초하여, 갱신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한 것을 인식하여 이것을 제어부(14)에 통지한다(스텝 S36). 이에 따라, 제어부(14)에서는, 등록 안건 X의 등록 정보의 갱신이 정상적으로 종료한 것을 인식한다.
(등록 정보의 소거)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읽어낸 등록 안건 X를 전화번호부로부터 소거하는 경우에는, 도 7의 시퀀스도에 도시한 통신순서로 통신을 행한다.
휴대 전화기(1)의 제어부(14)는, 읽어낸 등록 안건 X의 등록 정보에 대해서 유저에 의해 등록 안건 X의 소거 조작이 이루어지면,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 부(16)에 대해서, 읽어낸 등록 안건 X의 등록 정보의 전화번호부로부터의 소거 요구를 행한다(스텝 S41).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서는, 등록 정보의 소거를 지시하기 위한 UPDATE 커멘드를 발행하여 이것을 가입자 인증 모듈(2)에 출력한다. 이 때,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서는, 소거 대상으로서, 엔트리 읽기·갱신(소거) 전용 레코드인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을 지정하여 UPDATE 커멘드를 발행하여 이것을 가입자 인증 모듈(2)에 출력한다. 또한, 갱신 데이터로서 레코드 1을 초기화하기 위한 데이터열(예를 들면, "FFh…FFh"의 연속 데이터)을 지정한다(스텝 S42).
한편, 이 경우도, 레코드 1이 미사용인지의 여부를 표시한 미사용 플래그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미사용 플래그를 미사용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초기화하도록 해도 좋다.
가입자 인증 모듈(2)의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서는, UPDATE 커멘드가 입력되면, 등록 정보의 갱신(소거) 요구가 이루어진 것을 제어부(21)에 통지하고(스텝 S43), 제어부(21)에서는 갱신(소거) 처리를 행한다(스텝 S43a).
즉, 제어부(21)에서는, UPDATE 커멘드의 갱신 데이터로서 초기화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로부터 이에 관련되어 있는 등록 안건 X의 저장처의 레코드를 특정하고, 이 특정한 레코드의 레코드 데이터를 초기화용 데이터에 갱신 설정한다. 이에 따라, 등록 안건 X의 레코드는 초기화되고, 즉, 등록 안건 X가 전화번호부로부터 소거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21)에서는, 전화번호부로부터의 등록 안건 X의 소거가 완료한 것을,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 통지함과(스텝 S44) 함께,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을 초기화한다. 즉, 정보 초기화용의 데이터열(예를 들면, "FFh…FFh")을 기억한다.
이에 의해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이 초기화된다. 즉,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의 레코드 데이터가 소거되고, 이와 함께 이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과 관련되어 있는 전화번호부의 레코드의 관련짓기가 해제된다(스텝 S45).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는, 등록 안건 X의 소거 완료가 통지된 것으로부터, 소거 요구 커멘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소거가 정상 종료한 것을 통지하는 응답 커멘드를 발행하고, 이것을 휴대 전화기(1)에 출력한다(스텝 S46).
휴대 전화기(1)의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는, 입력되는 응답 커멘드에 기초하여, 소거가 완료한 것을 제어부(14)에 통지한다(스텝 S47). 이에 따라 제어부(14)는, 등록 안건 X의 소거가 정상적으로 종료한 것을 인식한다.
(정리)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입자 인증 모듈(2)의 전화번호부 정보를, 전원 투입시에 휴대 전화기(1)측에 전송하지 않고, 전화번호부에 대해서 액세스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입자 인증 모듈(2)에 대해서, 비교적 시큐리티 성능이 낮은 휴대 전화기(1)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전화번호부 정보가 제3자에게 읽힐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어, 시큐리티 성능을 향상시 킬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와 가입자 인증 모듈(2)의 사이에서 수수되는 정보는, 처리 요구가 이루어진 안건의 등록 정보나, 커멘드 데이터로서,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 전체 건의 등록 정보를 읽어내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정보량은 적다. 이 때문에, 휴대 전화기(1)와 가입자 인증 모듈(2)의 사이의 통신 속도가 늦은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의 상태가 나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휴대 전화기(1)와 가입자 인증 모듈(2) 사이의 통신 방법으로서, ISO7816 표준 규격의 커멘드 인터페이스가 이용되고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휴대 전화기(1)와 가입자 인증 모듈(2) 사이의 통신은, 커멘드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ISO7816 표준 규격의 커멘드 인터페이스에 의해 가입자 인증 모듈(2)과 통신을 행하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 동일한 커멘드 인터페이스 통신으로 실현할 수 있고, 대폭적인 변경을 수반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 인증 모듈(2)측에서는, 대표 전화번호부(DS)를 설치하여, 이 대표 전화번호부(DS)의 각 레코드와 처리 요구가 이루어진 등록 안건에 해당하는 레코드를 관련짓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동일한 등록 안건에 대해서 그 읽기 혹은 데이터 갱신, 소거 등의 처리가 계속해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대표 전화번호부(DS)에 액세스함으로써, 그때마다 해당하는 레코드를 전화번호부로부터 검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그 만큼, 처리 대상으로 해당하는 레코드를 검색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어, 전화번호 부에 액세스할 때의 액세스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대표 전화번호부(DS)에 있어서, 레코드 1은 엔트리 읽기·갱신(소거) 전용 레코드로 하고, 레코드 2는, 엔트리 추가 전용 레코드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측에서는, 요구되는 처리 내용이, 엔트리의 읽기, 갱신 또는 소거인지, 혹은, 신규 등록인지를 판별함으로써, 대표 전화번호부(DS)가 액세스할 곳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액세스 제어방법)
상술한 통신단말장치에서는, 이하와 같은 액세스 제어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즉, 소정 데이터를 가진 레코드가 저장되어 이루어진 데이터 파일 및 상기 데이터 파일의 레코드와 관련된 레코드가 저장되어 이루어진 대표 파일을 가진 외부기억매체와, 상기 데이터 파일을 참조하는 통신단말을 구비한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액세스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통신단말에 대해 상기 데이터 파일에 대한 처리 요구를 행하고, 또한, 처리 요구 대상의 레코드가 상기 대표 파일에 관련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대표 파일을 지정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에 대한 처리 요구를 행하는 처리 요구 스텝(예를 들면 도 4의 스텝 S2, 도 5의 스텝 S12, 스텝 S18, 도 6 의 스텝 S32, 도 7의 스텝 S42)과, 상기 외부기억매체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로부터의 처리 요구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파일 또는 상기 대표 파일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예를 들면 도 4의 스텝 S3a, 도 5의 스텝 S13a, 스텝 S19a, 도 6의 스텝 S33a, 도 7의 스텝 S43a)을 구비한 액세스 제어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통신단말로부 터의 처리 요구에 따라 외부기억매체측에서 행하고, 그 결과가 통신단말에 전송된다. 이 때문에, 외부기억매체의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전부를 통신단말측에 전송할 필요는 없고,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회피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 파일에의 액세스를 행할 수 있다.
(응용예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관리 파일 EF-PBR에, 대표 전화번호부(DS)의 전화번호부 관리 테이블 정보만을 저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대표 전화번호부(DS)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부의 데이터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모든 전화번호부에 대한 전화번호부 관리 테이블 정보를 관리 파일 EF-PBR에 등록해도 좋다.
이와 같이 모든 전화번호부 관리 테이블 정보에 대해서도 관리 파일 EF-PBR에 등록하는 것에 의해서, 종래의 휴대 전화기(1)와 가입자 인증 모듈(2)의 사이에서의 ISO7816 표준 규격의 커멘드 인터페이스에 있어서의 통신순서로, 가입자 인증 모듈(2)의 각 전화번호부에 대해서 액세스할 수 있다. 즉, 가입자 인증 모듈(2)의 전화번호부 정보를 전부 휴대 전화기(1)측에서 읽어내어, 휴대 전화기(1)측에서 등록 정보의 갱신 등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ISO7816 표준 규격의 커멘드 인터페이스에 있어서의 통신순서에서의 전화번호부에의 액세스 방법과, 상술의 대표 전화번호부(DS)를 이용한 전화번호부에의 액세스 방법의 양방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입자 인증 모듈(2)에 대표 전화번호부(DS)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종래의 통신순서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에의 액세스를 행할 수 있고, 그만큼, 쓰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응용예 2)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엔트리의 읽기·갱신(소거) 전용 레코드와 하나의 레코드를 설정하고, 마찬가지로 신규 등록용의 레코드로서 하나의 레코드를 설정하고, 한 번에 하나의 안건을 처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표제어가 「ア(아)」인 등록 안건을 읽어내는 경우 등, 복수의 등록 안건에 대해서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엔트리의 읽기·갱신(소거) 전용 레코드로서 복수의 레코드, 예를 들면, 레코드 1로부터 10을 규정하고, 마찬가지로 신규 등록용의 레코드로서 복수의 레코드, 예를 들면 레코드 11로부터 20을 규정하면 좋다.
이와 같이, 엔트리의 읽기·갱신(소거) 전용 레코드, 및 신규 등록용의 레코드로서 복수의 레코드를 규정하는 것에 의해서, 표제어가 「아」로 시작되는 등록 안건을 전체건 읽어내는 경우 등, 복수의 등록 안건에 대해서 동시에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복수 읽어낸 등록 안건 중의 어느 하나에 대해서 등록 정보의 갱신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갱신 대상의 등록 안건에 해당하는 정보는,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복수의 엔트리의 읽기, 갱신 소거 전용 레코드 중의 어느 하나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갱신 대상의 등록 안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부의 레코드와, 이들 전화번호부의 레코드와 관련된 대표 전화번호부의 레코드의 관련 정보를 휴대 전화기(1)측에서 보유하고, 이 관련 정보로부터, 갱신 대상의 등록 안건 X에 해당하는 대표 전화번호부의 레코드를 특정하고, 이 대표 전화번호부의 레코드를 지정하여 갱신 대상의 등록 안건에 대한 갱신 요구 커멘드를 출력하면 좋다.
혹은, 가입자 인증 모듈(2)측에서, 대표 전화번호부의, 복수의, 엔트리의 읽기, 갱신 소거 전용 레코드중에서, 갱신 대상으로서 특정된 등록 안건에 대응하는 레코드가 어느 레코드에 해당하는지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레코드에 대해서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좋다.
(응용예 3)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1)와 가입자 인증 모듈(2) 사이에서, ISO7816 표준 규격의 커멘드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통신단말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1)에 USB 기술 등을 이용한 고속 인터페이스가 탑재되어, 휴대 전화기(1)와 가입자 인증 모듈(2)의 사이에서, 고속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 가능한 휴대 전화기(1)라 하더라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전화기(1)에 장착되는 가입자 인증 모듈(2)이 대표 전화번호부(DS)를 구비하고 있으면, 이 대표 전화번호부(DS)를 개재하여 커멘드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전화번호부에의 액세스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한편, 가입자 인증 모듈(2)이 고속 인터페이스에 대응하고 있으면 고속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전화번호부에의 액세스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대표 전화번호부(DS)를 구비하지 않은 가입자 인증 모듈(2)이라 하더라도 종래와 같은 순서로 각 전화번호부에 대해서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되는 가입자 인증 모듈(2)이, 고속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수 있는지, 대표 전화번호부(DS)를 개재한 통신을 행할 수 있는지, 혹은 이들 중에 아무 쪽도 아닌지 등에 따라서, 각 가입자 인증 모듈(2)에 적합한 통신순서로 효율적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응용예 4)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표 전화번호부(DS)에 있어서, 레코드 1을 엔트리 읽기하고, 갱신(소거) 전용 레코드, 레코드 2를 엔트리 추가 전용 레코드로 규정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처리 요구가 이루어졌을 때에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빈 영역을 검색하고, 이 빈 영역과 처리 요구 대상의 레코드를 관련짓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읽기 요구가 이루어지고, 대표 전화번호부(DS)의 어느 하나의 레코드와 읽기 요구 대상의 레코드가 관련되어 있는 그 응답 커멘드가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측에 통지되었을 때에,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 있어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와 읽기 요구 대상의 레코드의 관련 정보를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 보유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제어부(14)로부터 처리 요구 대상의 레코드에 대해서 읽기 요구가 이루어졌을 때에는,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16)에서는, 보유하고 있는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읽기 대상의 레코드에 대응하는 대표 전화번호부(DS) 의 레코드를 특정하고, 이 특정한,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를 지정하여, READ 커멘드를 발행하면 좋다.
(응용예 5)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표 전화번호부(DS)에 있어서, 레코드 1을 엔트리 읽기, 갱신(소거) 전용 레코드, 레코드 2를 엔트리 추가 전용 레코드로 규정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코드 3 이하의 소정수의 레코드를 이력 레코드로서 규정하고, 여기에, 레코드 1 혹은 레코드 2에 일단 등록된 엔트리중에서, 최신의 것으로부터 소정수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보존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읽기, 등록 혹은 삭제 등의 처리에 수반하는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1에의 액세스가 종료하고, 레코드 1을 초기화할 때, 혹은, 신규 등록에 수반하는 대표 전화번호부(DS)의 레코드 2에의 액세스가 종료하고, 레코드 2를 초기화할 때에, 이들 초기화를 하기 전에, 레코드 1 또는 레코드 2에 관련되어 있는 레코드를, 최신의 이력을 저장하는 레코드 예를 들면 레코드 3과 관련짓는다. 그리고, 이들 관련을 표시한 관련 정보를 레코드 3에 등록하고, 레코드 1와 관련되어 있던 레코드가 관련되는 곳을, 레코드 1 또는 레코드 2로부터, 레코드 3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그 후에, 이들 레코드를 초기화한다.
그리고, 다음에, 레코드 1 또는 레코드 2에 새롭게 대응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레코드 3에 관련되어 있던 정보를 레코드 4로 이동하고, 빈 영역이 된 레코드 3에 새롭게 레코드 1 또는 레코드 2에 대응되어 있던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레코 드 1 또는 레코드 2에 새롭게 대응이 이루어질 때마다 이 처리를 동일하게 행하고, 레코드 3을 최신의 이력으로서 레코드 3 이하에 소정수만큼의 이력을 저장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대표 전화번호부(DS)에 이력 레코드가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등록 안건의 읽기, 갱신 혹은 소거 요구를 했을 때에는,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23)에서는, 먼저, 대표 전화번호부(DS)의 이력 레코드를 검색한다.
그리고, 이 이력 레코드에 처리 요구 커멘드로 지정된 처리 대상의 등록 안건이 등록되어 있으면, 이 이력 레코드의 레코드 데이터 및 관련 정보를 레코드 1에 복사하고, 처리 대상의 등록 안건에 대응하는 레코드에 관련되는 곳을, 이력 레코드로부터 레코드 1로 전환한다. 혹은, 해당하는 이력 레코드를 레코드 1에 더 관련지어도 좋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서, 가입자 인증 모듈(2)측에서는, 비교적 건수가 많은 전화번호부 정보중에서 소망한 등록 안건에 해당하는 등록 정보를 검색하지 않고도, 비교적 건수가 적은 이력 레코드로부터 소망한 등록 안건에 해당하는 등록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그만큼 처리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응용예 6)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단말로서 휴대 전화기(1)를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음성 통화 이외의 통신만을 행하도록 한 통신단말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 파일로서 전화번호부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입자 인증 모듈(2)측에 저장되 는 데이터 베이스로서, 휴대 전화기(1)측으로부터 데이터 베이스 중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에 대해서 액세스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면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단말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가입자 인증 모듈(2)의 전화번호부 정보의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대표 전화번호부를 구성하는 EF-ADN 파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전화번호부에의 신규 등록시의 통신순서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5는 전화번호부로부터의 읽기시의 통신순서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6은 전화번호부의 등록 정보의 갱신시의 통신순서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전화번호부의 등록 정보의 소거시의 통신순서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은 대표 전화번호부를 구성하는 EF-ADN 파일의 기타예이다.
[부호의 설명]
1: 휴대 전화기 2: 가입자 인증 모듈 16: 가입자 인증 모듈 인터페이스부
23: 휴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 D1∼DN: 전화번호부 DS: 대표 전화번호부

Claims (9)

  1. 외부기억매체(2)와, 상기 외부기억매체(2)가 탈착가능한 통신단말(1)을 구비한 통신단말장치로서,
    상기 외부기억매체(2)는, 소정 데이터를 가진 제 1의 레코드를 저장되어 이루어진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과, 제 2의 레코드를 저장하는 대표 파일인 제 2의 데이터 파일(DS)을 가지는 기억부(22)와,
    수신한 처리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파일(DS)에 액세스하고, 상기 처리요구에 대한 처리결과를 상기 통신단말에 통지하는 제어부(21)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단말(1)은, 상기 통신단말에의 조작내용에 따라서, 상기 외부기억매체(2)에 액세스하기 위한 상기 처리요구를 통지하는 제어부(14)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기억매체(2)의 상기 제어부(21)는, 수신한 상기 처리요구가 상기 외부기억매체(2)에 저장되는 레코드 데이터의 읽기 요구인 경우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의 상기 제 1의 레코드로부터 상기 레코드 데이터를 검색하고, 수신한 상기 처리요구가 레코드 데이터의 새로운 등록요구인 경우는 상기 레코드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데이터 파일(DS)의 상기 제 2의 레코드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처리요구가 상기 레코드 데이터의 상기 읽기요구인 경우, 상기 외부기억매체(2)의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제 1의 레코드로부터 상기 레코드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제 2의 데이터 파일(DS)의 상기 제 2의 레코드에, 검색된 상기 제 1의 레코드의 상기 레코드 데이터를 관련되도록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처리요구가 상기 레코드 데이터의 소거요구인 경우, 상기 외부기억매체(2)의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파일(DS)의 상기 제 2의 레코드와 관련된 상기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의 상기 제 1의 레코드에 액세스하여 이 레코드 데이터를 소거하고, 상기 제 2의 데이터 파일(DS)의 제 2의 레코드로서 저장된 상기 레코드 데이터를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처리요구가 레코드 데이터의 새로운 등록요구인 경우, 상기 외부기억매체(2)의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레코드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데이터 파일(DS)의 상기 제 2의 레코드로서 저장하고, 상기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의 빈 레코드에, 상기 제 2의 레코드로서 저장된 상기 레코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5. 소정 데이터를 가진 제 1의 레코드가 저장되어 이루어진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 및 상기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의 상기 제 1의 레코드와 관련된 레코드가 저장되어 이루어진 제 2의 레코드를 저장하는 대표 파일인 제 2의 데이터 파일(DS)을 가진 외부기억매체(2)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데이터 파일을 참조하는 통신단말(1)을 구비한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액세스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통신단말(1)에의 조작 내용에 따라서, 상기 외부기억매체(2)에 액세스하기 위한 처리요구를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외부기억매체(2)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1)로부터의 상기 처리 요구에 따라 상기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파일(DS)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과,
    상기 처리요구에 대한 처리결과를 상기 통신단말(1)에 통지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액세스 스텝에 있어서, 상기 처리요구가 상기 외부기억매체(2)에 저장되는 레코드 데이터의 읽기 요구인 경우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의 상기 제 1의 레코드로부터 상기 레코드 데이터를 검색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스텝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처리요구가 레코드 데이터의 새로운 등록요구인 경우는 상기 레코드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데이터 파일(DS)의 상기 제 2의 레코드로서 저장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방법.
  6. 소정 데이터를 가진 제 1의 레코드가 저장되어 이루어진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과, 제 2의 레코드가 저장되어 이루어진 대표 파일인 제 2의 데이터 파일(DS)을 가진 기억부(22)와,
    통신단말로부터의 처리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 또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파일(DS)인 상기 대표 파일에 액세스하고, 상기 처리요구에 대한 처리결과를 상기 통신단말에 통지하는 제어부(21)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21)는, 수신한 상기 처리요구가 IC 카드에 저장되는 레코드 데이터의 읽기요구인 경우는 상기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의 상기 제 1의 레코드로부터 상기 레코드 데이터를 검색하고, 수신한 상기 처리요구가 레코드 데이터의 새로운 등록요구인 경우는 상기 레코드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데이터 파일(DS)의 상기 제 2의 레코드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에 이용되는 IC 카드.
  7. 제 2 항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처리요구가 상기 레코드 데이터의 갱신요구인 경우, 상기 외부기억매체(2)의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파일(DS)의 상기 제 2의 레코드로서 저장된 상기 레코드 데이터에 갱신처리를 행한 후, 상기 갱신된 레코드 데이터를 상기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의 상기 제 1의 레코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의 상기 제 1의 레코드의 내용을 상기 제 2의 레코드를 저장한 상기 제 2의 데이터 파일(DS)에 복사하는 것에 의해, 관련되도록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데이터 파일(D1~DN)의 상기 제 1의 레코드의 내용이 상기 제 2의 레코드를 저장하는 상기 제 2의 데이터 파일(DS)에 관련되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KR1020080115154A 2007-11-22 2008-11-19 통신단말장치, 액세스 제어방법, ic 카드 KR101066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02556 2007-11-22
JP2007302556A JP5209281B2 (ja) 2007-11-22 2007-11-22 通信端末装置、アクセス制御方法、icカー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703A KR20090053703A (ko) 2009-05-27
KR101066384B1 true KR101066384B1 (ko) 2011-09-20

Family

ID=4041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154A KR101066384B1 (ko) 2007-11-22 2008-11-19 통신단말장치, 액세스 제어방법, ic 카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138426A1 (ko)
EP (1) EP2063614A1 (ko)
JP (1) JP5209281B2 (ko)
KR (1) KR101066384B1 (ko)
CN (1) CN1014428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98069A (en) * 2009-04-07 2015-08-31 Verint Systems Ltd A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communication terminals to users by spatially correlated
CN101692746B (zh) * 2009-09-18 2012-09-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电话簿进行操作的方法及装置
WO2012116613A1 (zh) * 2011-03-01 2012-09-07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通知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3870865B (zh) * 2012-12-10 2018-04-27 上海华虹集成电路有限责任公司 用于非接触式ic卡的射频电路
US20150111557A1 (en) * 2013-10-23 2015-04-23 Acer Incorporated Method of managing contact information for mobile devices according to network messag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0638A1 (en) * 2006-05-02 2007-11-08 Nokia Corporation Commands for the handling of large fil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8439B2 (en) * 1999-08-19 2009-08-25 E2Interactive,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stored value card transactions
EP1143688A1 (en) * 2000-03-02 2001-10-10 Client Electronics GmbH Mobile services on the basis of a smart card
US20060143180A1 (en) * 2000-03-09 2006-06-29 Pk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nd managing computer archive files
EP1255416B1 (en) * 2001-05-04 2011-04-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medium for storing and accessing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information
JP4747451B2 (ja) * 2001-07-12 2011-08-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携帯可能情報記録媒体へのデータアクセス方法
EP1320006A1 (en) * 2001-12-12 2003-06-18 Canal+ Technologies Société Anonyme Processing data
US7200756B2 (en) * 2002-06-25 2007-04-03 Microsoft Corporation Base cryptographic service provider (CSP) methods and apparatuses
EP1469692B1 (en) * 2003-04-16 2008-01-16 Nec Corporation A mobile terminal, management method of information in the same, and a computer program for the information management
JP2004336719A (ja) 2003-04-16 2004-11-25 Nec Corp 携帯端末及びその情報管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165727B2 (en) * 2004-02-24 2007-01-23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 application onto a smart card
CN1741016A (zh) * 2004-08-27 2006-03-01 雅斯拓(北京)智能卡科技有限公司 智能卡数据与存储在外部服务器中的数据的有效同步
US7243856B2 (en) * 2005-03-24 2007-07-17 Sandisk Il Ltd.. Loading internal applications on a smartcard
US20070023507A1 (en) * 2005-07-26 2007-02-01 Microsoft Corporation Contact data structure and management
JP4661455B2 (ja) 2005-08-24 2011-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そのデータ共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962369B2 (en) * 2006-09-29 2011-06-14 Einar Rosenberg Apparatus and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US7558907B2 (en) * 2006-10-13 2009-07-07 Spansion Llc Virtual memory card controller
JP2007302556A (ja) 2007-07-26 2007-11-22 Tosoh Corp Ito焼結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0638A1 (en) * 2006-05-02 2007-11-08 Nokia Corporation Commands for the handling of large fil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TSI TS 131 102 V7.10.0, UMTS; Characteristics of the USIM application (3GPP TS 31.102 version 7.10.0 Release 7), 2007-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38426A1 (en) 2009-05-28
EP2063614A1 (en) 2009-05-27
CN101442833A (zh) 2009-05-27
JP5209281B2 (ja) 2013-06-12
CN101442833B (zh) 2012-02-01
JP2009129143A (ja) 2009-06-11
KR20090053703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128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use-history information
EP1786229B1 (en) Mobile terminal device, noncontact card function management system, and noncontact card function acquisition system
KR100735341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의 데이터 리드 속도 개선 방법 및 장치
KR101066384B1 (ko) 통신단말장치, 액세스 제어방법, ic 카드
US73248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US8688171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telephone directory
US20040131173A1 (en) Remote management of an external phonebook
US20040235467A1 (en) Method for updating a personal data file in mobile units of communication networks
TWI566566B (zh) 電話薄管理方法
JP5011738B2 (ja) Icカード、プログラム
CN102404242A (zh) 一种用户信息更新装置、电子设备及用户信息更新方法
KR100891776B1 (ko)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및 방법
JP3663058B2 (ja) 移動体通信用端末装置
EP1069749B1 (en) A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stored in phone systems
JP4661455B2 (ja) 携帯端末、そのデータ共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46836B1 (ko) 내부 파일 시스템을 이용해 가입자 식별 정보를 로딩하는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7002525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장착카드 데이터 복사 방법 및 그이동 통신 단말기
JP2002342319A (ja) 携帯電話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KR102101649B1 (ko)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75742B1 (ko) 범용 집적회로 카드의 폰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기
GB2373679A (en) Accessing bookmarks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2004020368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adding a dictionary thereto
KR20010034951A (ko) 이동 통신 장치를 이용한 전화 번호 정보 검색 시스템 및그 검색 방법
JP4576803B2 (ja) 電話帳管理方法および携帯通信端末
JP4897903B2 (ja) データ閲覧端末及びデータ閲覧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