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787B1 -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 Google Patents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787B1
KR101065787B1 KR1020110022325A KR20110022325A KR101065787B1 KR 101065787 B1 KR101065787 B1 KR 101065787B1 KR 1020110022325 A KR1020110022325 A KR 1020110022325A KR 20110022325 A KR20110022325 A KR 20110022325A KR 101065787 B1 KR101065787 B1 KR 101065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wire rope
membrane
strands
stra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110022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16Auxiliary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5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inlay
    • D07B1/167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inlay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7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 D07B1/068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core desig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48Cores characterised by their cross-sectional shape
    • D07B2201/2049Cores characterised by their cross-sectional shape having protrusions extending radially functioning as spacer between strands or wi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71Spacers
    • D07B2201/2073Spacers in circumferencial direction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 개의 스트랜드로 이루어지는 중심 스트랜드부와, 각각이 복수 개의 스트랜드로 이루어져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를 감싸는 복수 개의 외부 스트랜드부와, 상기 외부 스트랜드부를 감싸는 피복부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로프로서, 상기 와이어 로프에는,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와 외부 스트랜부를 분리하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와 외부 스트랜부를 분리하는 코어 막과, 상기 인접한 외부 스트랜드부를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 막의 표면에서 상기 피복부의 내주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날개 막으로 구성되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어, 각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스트랜드부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트랜드부 분리 막에 의해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직접적인 마찰을 배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각 스트랜드부를 개별적으로 피복 처리하거나, 별도의 합성 수지 성형물을 삽입하지 않더라도 와이어 로프가 마찰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트랜드부 분리 막에 의해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에 의해 피복부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와이어 로프가 절단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Wire rope which having membrane for seperating strands}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 개의 스트랜드로 이루어지는 중심 스트랜드부와, 각각이 복수 개의 스트랜드로 이루어져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를 감싸는 복수 개의 외부 스트랜드부와, 상기 외부 스트랜드부를 감싸는 피복부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로프로서, 상기 와이어 로프에는,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와 외부 스트랜부를 분리하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와 외부 스트랜부를 분리하는 코어 막과, 상기 인접한 외부 스트랜드부를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 막의 표면에서 상기 피복부의 내주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날개 막으로 구성되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어, 각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스트랜드부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로프는 각종 기계 장치와 산업 설비 및 건축 구조물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인 와이어 로프는 전체적인 로프의 형태를 유지시키며 중심축 역할을 하는 중심 스트랜드부와,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외부 스트랜드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중심 스트랜드부 및 각 외부 스트랜드부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 묶음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상호 꼬여 단위 스트랜드부를 이루게 된다.
한편, 와이어 로프의 중심 스트랜드부를 구성하는 스트랜드는 스틸 또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스트랜드가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와이어 로프의 형상 유지 능력이 탁월하고 로프의 절단 하중을 높여 줄뿐 아니라, 높은 외압에 잘 견디는 특성이 있어 와이어 로프 직경을 변경하지 않고 절단 하중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나, 와이어 로프의 신율을 작게 하고자 할 경우, 그리고 와이어 로프에 측압이 부여되어 형태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유리하다.
그러나, 스틸 재질의 스트랜드로 와이어 로프의 중심 스트랜드부를 구성하는 경우, 와이어 로프의 형태를 유지하고 와이어 로프의 마모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입되는 윤할유의 함침율이 낮아 스트랜드 사이의 윤활성과 유연성이 떨어져 내피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윤할유의 함침 정도가 낮으면 스트랜드부의 내마모성이 낮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각 스트랜드부 상호 간에 잦은 마찰 작용에 따라 와이어 로프의 일부가 절단되거나 와이어 로프의 피복부가 훼손될 수도 있는데, 이는 와이어 로프의 절단까지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248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2871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602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40493호와 같은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각 기술들은 개별 스트랜드 각각을 피복 처리하거나, 또는 중심 스트랜드부와 외부 스트랜드부 사이에 특정 형상의 성형물을 개재시켜 상호 간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와이어 로프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거니와, 주입되는 윤할유의 기능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어 당초 의도하는 목적 달성 여부가 매우 불투명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248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2871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602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404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와이어 로프를 구성하는 중심 스트랜드부와 외부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와이어 로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스트랜드부에 부가적인 윤할유의 주입이 없더라도 높은 내마모성을 유지할 수 있는 와이어 로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스틸 스트랜드로 이루어지는 중심 스트랜드부와, 각각이 복수 개의 스틸 스트랜드로 이루어져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를 감싸는 복수 개의 외부 스트랜드부와, 상기 외부 스트랜드부를 감싸는 피복부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로프로서, 상기 와이어 로프에는,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와 외부 스트랜부를 분리하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어, 중심 스트랜드부와 외부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스트랜드부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은, 복수 개의 스틸 스트랜드로 이루어지는 중심 스트랜드부와, 각각이 복수 개의 스틸 스트랜드로 이루어져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를 감싸는 복수 개의 외부 스트랜드부와, 상기 외부 스트랜드부를 감싸는 피복부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로프로서,
상기 와이어 로프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와 외부 스트랜부를 분리하는 코어 막과, 상기 인접한 외부 스트랜드부를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 막의 표면에서 상기 피복부의 내주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날개 막으로 구성되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어, 각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스트랜드부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에 있다.
상기 코어 막 및 날개 막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어 막 및 날개 막은 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스트랜드부 분리 막에 의해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직접적인 마찰을 배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각 스트랜드부를 개별적으로 피복 처리하거나, 별도의 합성 수지 성형물을 삽입하지 않더라도 와이어 로프가 마찰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랜드부 분리 막에 의해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에 의해 피복부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와이어 로프가 절단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와이어 로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와이어 로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a는 도 2에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 스트랜드부 분리 막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도.
도 3b는 도 2에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 스트랜드부 분리 막의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와이어 로프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는 중심 스트랜드부(10)와,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10)의 외주 면을 감싸는 외부 스트랜드부(20), 그리고 스트랜드부 분리 막 및 피복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10) 및 외부 스트랜드부(20) 각각은 복수 개의 스트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 스트랜드부(2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10)를 감싼다. 상기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10) 및 외부 스트랜드부(20)의 각 스트랜드는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복부(30)는 외부 스트랜부(20)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피복부(30)는 다양한 재질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재질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스트랜드부 분리 막은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를 구성하는 스트랜드부(10, 20)를 서로 분리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랜드부 분리 막은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코어 막(110)의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코어 막(110) 및 날개 막(120)의 복합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어 막(110)은 중심 스트랜드부(10)를 감싸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10)를 외부 스트랜드부(20)와 분리시키는 부분으로서, 상기 코어 막(110)은 환형의 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코어 막의 두께 및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날개 막(120)은 외부 스트랜드부(20)를 구성하는 각 스트랜드부 상호 간을 서로 다른 공간으로 분리시킨다, 날개 막의 구성은 개시된 것과 같이 인접한 외부 스트랜드부(20) 상호 간을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으면 족하여 어는 특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날개 막(120)은 코어 막(110)의 표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끝단은 피복부(30) 내주면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 막(120)은 외부 스트랜드부의 피치에 대응하여 코어 막(110)의 길이 방향으로 피치를 그리며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구성의 스트랜드부 분리 막은 특히 중심 스트랜드부(10)와 외부 스트랜드부(20) 상호 간의 마찰 및 외부 스트랜드부(20) 상호 간의 마찰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에 따라 각 스트랜드부(10, 20)는 서로 간에 직접적인 마찰 현상이 극히 제한되며, 설사 코어 막 및 날개 막을 통해 인접한 스트랜드부 상호 간에 마찰이 발생하더라도 그 강도는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코어 막 및 날개 막의 복합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코어 막 및 날개 막은 상호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와 달리 서로 분리 구성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도 3a는 이 중에서 코어 막(110) 및 날개 막(120)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3b는 코어 막(112) 및 날개 막(122)이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일례를 보여준다. 코어 막 및 날개 막이 분리되어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날개 막은 도 3b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접철되어 하부가 코어 막과 접하게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스트랜드부 분리 막은 섬유, 고무, 합성수지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재질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겠으나, 이 중에서 특히 종이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중심 스트랜드부 20 : 외부 스트랜드부
30 : 피복부 110 : 코어 막 120 : 날개 막

Claims (5)

  1. 삭제
  2. 복수 개의 스틸 스트랜드로 이루어지는 중심 스트랜드부와, 각각이 복수 개의 스틸 스트랜드로 이루어져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를 감싸는 복수 개의 외부 스트랜드부와, 상기 외부 스트랜드부를 감싸는 피복부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로프로서,
    상기 와이어 로프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 스트랜드부와 외부 스트랜부를 분리하는 코어 막과, 상기 인접한 외부 스트랜드부를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 막의 표면에서 상기 피복부의 내주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날개 막으로 구성되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어, 각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스트랜드부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막 및 날개 막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막 및 날개 막은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
  5. 삭제
KR1020110022325A 2011-03-14 2011-03-14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KR101065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325A KR101065787B1 (ko) 2011-03-14 2011-03-14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325A KR101065787B1 (ko) 2011-03-14 2011-03-14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787B1 true KR101065787B1 (ko) 2011-09-19

Family

ID=4495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325A KR101065787B1 (ko) 2011-03-14 2011-03-14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7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11559A1 (en) 1988-05-19 1989-11-30 Bridon Plc Cores for wire ropes
WO1994003672A1 (en) 1992-08-03 1994-02-17 Bridon Plc Improved core for wire ro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11559A1 (en) 1988-05-19 1989-11-30 Bridon Plc Cores for wire ropes
WO1994003672A1 (en) 1992-08-03 1994-02-17 Bridon Plc Improved core for wire ro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1450B1 (en) Coated wire rope
US9045856B2 (en) Hybrid ro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2507591C (en) Double jacketed wire rop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WO2014097666A1 (ja) 高強力繊維線材及び該高強力繊維線材を有してなる複合材
EP2669426A3 (en) Hybrid core rope
JP4989703B2 (ja) ワイヤロープ
US9896307B2 (en) Elevator rope and elevator apparatus that uses same
US10619767B2 (en) Tubular pipe with a composite holding strip
NL2016586B1 (en) Hoisting rope.
US20140305532A1 (en) Unbonded flexible pipe
US20170370046A1 (en) Stranded wire rope
US20100043381A1 (en) Multi-strand steel wire rope
JP6077941B2 (ja)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
JP5768568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ロープ
KR101065787B1 (ko) 스트랜드부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스트랜드부 분리 막이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CN110761097A (zh) 一种涂塑钢丝绳
KR200461231Y1 (ko) 개량형 충진재 도포식 컴파운드 와이어 로프
KR101261810B1 (ko) 와이어로프 중심
US2022683A (en) Rope
KR200224819Y1 (ko) 내구성이 향상된 와이어 로프
ITMI20072281A1 (it) Fune metallica a caratteristiche migliorate
US11578458B2 (en) Synthetic rope
JP2013170322A (ja) ワイヤロープ
US975541A (en) Wire rope.
KR20040024283A (ko) 와이어 로프용 합성수지 코팅 코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