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411B1 - 골프공 마커 - Google Patents

골프공 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411B1
KR101064411B1 KR1020080118491A KR20080118491A KR101064411B1 KR 101064411 B1 KR101064411 B1 KR 101064411B1 KR 1020080118491 A KR1020080118491 A KR 1020080118491A KR 20080118491 A KR20080118491 A KR 20080118491A KR 101064411 B1 KR101064411 B1 KR 101064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ball marker
marker
groove
polariz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062A (ko
Inventor
김태은
이성복
Original Assignee
이성복
김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복, 김태은 filed Critical 이성복
Priority to KR1020080118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4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1Heads with visual indicators for aligning the golf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7Golf ball position mark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3Golf ball position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골프공 마커에 관한 것으로, 상면에 방향 지시선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골프공 마커를 특정 방향에서 바라볼 때에만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 표시를 포함하는 편광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퍼는 자신의 퍼팅 차례가 돌아올 때까지 골프공 마커를 이용하여 자신과 골프공과 홀컵이 정확하게 일직선을 형성하는 퍼팅 방향을 잡는 것이 가능하다.
골프공 마커, 퍼팅 방향, 편광 필름

Description

골프공 마커 {MARKER FOR GOLF BALL}
본 발명은 골프공 마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퍼가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마커를 이용하여 자신이 홀컵을 향해 골프공을 퍼팅해야 하는 방향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공 마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골프 경기에서는 골프공 마커가 사용되어 왔다. 골프 경기 중 홀컵이 위치한 그린 위에 골프공을 올려놓은 경우, 다른 골퍼의 퍼팅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홀컵과 골프공이 일직선을 형성하는 방향에서 골프공의 바로 뒤 지면에 골프공 마커를 놓음으로써 자신의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해 두고, 이후 골퍼들은 보통 홀컵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순서대로 자신의 골프공 마커를 치우고 그 자리에 골프공을 놓고서 홀컵을 향한 퍼팅을 하게 된다.
그런데, 그린은 통상적으로 굴곡이 있고 지형마다 경사도가 틀리기 때문에, 그린 위에서 퍼팅할 때 골퍼는 ⅰ) 먼저 골프공과 홀컵 간에 일직선을 형성하는 방향, 즉 기준 퍼팅 방향을 잡고, ⅱ) 이 기준 퍼팅 방향과 지형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실제 퍼팅하게 될 방향을 잡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평지에서 연습타를 치는 경우라면 기준 퍼팅 방향대로 퍼팅하면 된다. 부언하자면, 본 명세서에서 "퍼팅 방 향"이라 함은 기준 퍼팅 방향과 실제 퍼팅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골퍼가 골프공을 타격할 때에는 아래로 골프공을 바라보면서 스윙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골프공을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타격하기 위하여 골프공의 중앙에는 통상적으로 라인이 그려져 있다.
그린 위에서의 퍼팅은 통상적으로 위와 같은 원리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골프공 마커를 단순히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용도가 아니라 상술한 기준 퍼팅 방향을 효과적으로 잡는데 사용하려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예로는 "골프용 볼 마커"에 관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2913호(이하, "선행문헌1")를 들 수 있으며, 도 1에 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문헌1에 따른 골프용 볼 마커(100)는 그 상면에 방향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의 방향 지시선(110)을 포함하며, 방향 지시선(1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별 물질(120)이 도포되어 있어 방향 지시선(110)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블록 형태의 방향 지시선(110)은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기 때문에, 마감캡(130)을 마련하여 방향 지시선(110)이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고, 볼 마커(100)의 상면에는 심미감을 위해 장식 홈(140)이 형성되어 있다.
선행문헌1에 의하면, 골퍼는 그린에 놓인 자신의 골프공 대신 그 자리에 상술한 골프용 볼 마커(100)를 놓아 퍼팅할 골프공의 위치를 그린에 표시하고, 이후 자신의 퍼팅 차례가 되면 그린에 놓여진 볼 마커(100)의 방향 지시선(110)을 슬라 이딩시켜서 최종 목표점인 홀컵과 일직선이 되도록 맞추고, 홀컵을 향한 방향 지시선(110)의 전방에 위치한 가상의 일직선 상에 골프공을 놓은 후 골프공을 퍼팅하면 된다.
한편, 선행문헌1과 마찬가지로 골프공 마커를 퍼팅 방향을 잡는데 활용하는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7-0042259호(이하, "선행문헌2")를 들 수 있다.
도 2는 선행문헌2에 따른 골프공 마커(2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선행문헌2에 따른 골프공 마커(20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선행문헌2의 골프공 마커(200)는, 그린에 안착되는 몸체(210) 및 이 몸체(210) 내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레이저 빔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발진부로 구성되고, 발진부는 레이저 다이오드(220), 레이저 다이오드(220)의 조사방향의 전방에 위치하여 레이저 빔을 특정 형상으로 변환하여 조사하는 패턴 렌즈(미도시), 레이저 다이오드(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 및 전원 공급부(미도시)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220)에 공급하기 위한 ON/OFF 스위치부(230)로 구성된다. 또한, 선행문헌2에 따른 골프공 마커(200)는 몸체(210)의 상부면에 수준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써 골프 초보자라도 그린의 경사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문헌2의 골프공 마커(200)에 의하면, 골프 경기 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팅 시에 그린의 경사도나 잔디 상태 등을 감안하여 머리속으로 미리 그린의 퍼팅 라인을 따라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퍼팅 라인의 상태를 보다 면밀하게 살펴볼 수 있고, 또한 퍼팅 라인에 따른 퍼팅 방향의 연 장선의 특정 위치에 레이저 빔을 조사한 상태로 골프공의 바로 뒤에 골프공 마커(200)를 위치시킨 후, 골프공 자체에 표시된 라인과 레이저 빔을 평행하게 해 놓은 상태에서 골프공 마커(200)를 들어올린 다음 골프공의 가이드 라인을 참조하여 양발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퍼팅을 하면 된다.
그러나, 선행문헌1,2에 따른 골프공 마커(100, 2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선행문헌1에 따른 골프공 마커(100)에 의하여 홀컵을 향한 퍼팅 방향을 잡는 경우에는, 골퍼가 골프공 마커(10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홀컵을 바라보았을 때 골퍼의 눈과 골프공 마커와 홀컵의 3개 포인트가 일직선을 이루는 방향으로 방향 지시선(110)이 향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어렵다. 골프공 마커(100)에 방향 지시선(110)이 구비되어는 있지만, 이것을 홀컵을 향해 맞추는 작업은 눈짐작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방향 지시선(110)을 이용하여 맞추어 놓은 홀컵 방향이 실제의 기준 퍼팅 방향과 일치할 것이라고 신뢰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선행문헌2에 따른 골프공 마커(200)는 레이저의 발진을 위한 다이오드, 렌즈, 배터리, 스위치 등의 전기적 및 기계적 구성이 골프공 마커(100)에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골프공 마커(200)의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레이저에 의하여 퍼팅 방향을 맞추는 경우에는 전방에 레이저의 진행을 방해하는 물체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는데, 골프 경기에 있어서 그린의 지면 위에 놓인 골프공 마커(200)의 전방에 잔디 등나 볼록한 지형 등 레이저의 진행을 방해하는 물체가 없는 경우가 오히려 드물기 때문에, 선행문헌2에 따른 골프공 마커 (200)는 제작 비용에 비하여 실제로 사용 가능한 경우가 많지 않을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골퍼가 골프공 마커를 이용하여 얻은 기준 퍼팅 방향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실용성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한 골프공 마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골프공 마커에 있어서, 상면에 방향 지시선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골프공 마커를 특정 방향에서 바라볼 때에만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 표시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시각적 표시는 색상 혹은 글씨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각적 표시는 상기 방향 지시선과 중첩되어 보이는 라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몸체의 상면을 전부 혹은 일부 덮도록 형성하여도 좋고,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몸체의 상면 사이에는 형광 물질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몸체는 소정의 두께와 소정의 지름을 갖는 동전 형상이고, 상기 방향 지시선은 상기 몸체의 상면에 소정 깊이의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홈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골프공 마커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골프공 마커에 편광 필름을 적용하는 것은 골퍼가 특정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만 골프공 마커에 특정 표시가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골퍼에게 자신이 골프공 마커를 바라보는 방향이 기준 퍼팅 방향인지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편광 필름 대신 골퍼가 특정 방향에서만 기준 퍼팅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골프공 마커에 있어서, 상면에 방향 지시를 위한 홈이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홈의 저면은 벽면과 다른 색상의 물질로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골프공 마커의 상면은 상기 홈의 저면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물질로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골프공 마커에 있어서, 상면에 방향 지시를 위한 홈이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어 있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홈의 저면과 상기 골프공 마커의 상면 중 상기 홈이 형성된 부분의 주위에는 불투명 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홈은 상기 골프공 마커의 상면에 복수개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공 마커의 상면에 편광 필름을 입히는 지극히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골퍼가 매우 정확한 퍼팅 방향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골퍼는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상면에 표시되어 있는 방향 지시선을 이용하여 눈짐작으로 홀컵 방향을 정해 놓고, 골프공 마커로부터 떨어진 지점에서 홀컵과 자신과 골프공 마커의 3개 포인트가 일직선을 이루는 지점에서 골프공 마커를 바라보았을 때 골프공 마커에서 색상의 변화나 글씨의 표시 등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자신이 눈짐작으로 맞추었던 방향 지시선이 실제 기준 퍼팅 방향이라고 확신할 수 있다.
또한, 편광 필름과 몸체의 상면 사이에 형광 물질층을 형성함으로써 특정 방향에서 편광 필름을 통해 나타나는 시각적 표시의 시인성을 더욱 좋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골프공 마커에 홈을 마련해 놓고 편광 필름을 이 홈의 저부에 설치함으로써, 특정 방향 이외의 방향에서는 편광 필름의 시각적 표시가 확실하게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 골프공 마커를 이용하여 얻은 퍼팅 방향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골프공 마커의 상면에 지름을 가로지르는 홈을 형성하여 상술한 방향 지시선의 역할을 하도록 하고, 골프공 마커의 상면과 홈의 저면에는 동일한 색상 처리를 함과 동시에 홈의 벽면은 홈의 저면과 다른 색상 처리를 하는 매우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골퍼는 자신과 홀컵과 골프공 마커가 일직선을 이루는 위치에서 골프공 마커를 바라봄으로써 골프공 마커가 정확하게 홀컵을 향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골프공 마커의 상면에 형성된 홈의 저면 색상과 벽면 색상이 다르기 때문에, 골프공 마커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에서 골프공 마커를 바라보았을 때 홈이 가리키는 방향과 자신이 골프공 마커 및 홀컵을 바라보는 방향이 조금만 불일치하더라도 골퍼에게 홈의 벽면 색상이 보이게 되고, 따라서 골퍼는 홈의 벽면 색상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골프공 마커의 위치를 조금씩 조정함으로써 골프공 마커의 홈이 가리키는 방향이 기준 퍼팅 방향이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지름을 가로지르는 홈이 형성된 골프공 마커를 투명 재질로 형성하고, 그 홈의 저면과 골프공 마커의 상면의 일부만을 특정 색상으로 처리해 놓음으로써, 골퍼는 홈의 투명한 벽면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골프공 마커의 위치를 조금씩 조정함으로써 골프공 마커의 홈이 가리키는 방향이 기준 퍼팅 방향이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투명한 재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골프공 마커의 투명한 몸통을 통해 투과한 빛이 홈의 벽면에서 굴절하여 골퍼에게 보이기 때문에, 날씨가 흐리거나 야간에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날씨가 맑고 햇볕이 강한 날씨에는 홈에 그림자가 생겨 기준 퍼팅 방향을 잡기가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골프공 마커의 상면에 홈을 복수개 형성할 경우, 골프공 마커를 통해 잡은 기준 퍼팅 방향의 신뢰도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언하자면, 첨부도면에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300)는 대략 동전크기의 지름을 갖는 몸체(31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몸체(310)의 상면에는 방향지시선(320)이 형성되어 있다. 방향 지시선(320)은 골퍼가 골프공 대신에 골프공 마커(300)를 지면에 놓으면서 1차적으로 기준 퍼팅 방향을 잡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몸체(310)의 상면에 라인을 그려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 마커(300)는 몸체(310)의 상면을 전부 혹은 일부 덮는 편광 필름(3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편광 필름(330)은 골퍼가 일정한 위치에서 골프공 마커(300)를 바라볼 때에만 몸체(310)의 상면에 일정한 표시가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 필름(330)의 일정 영역에서 나타나는 색상으로 구성된 시각적 표시(340)일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글씨(350)일 수도 있다. 또한, 편광 필름(330)에 의해 특정 방향에서만 나타나는 시각적 표시는 몸체(3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방향 지시선(320)과 중첩되는 라인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에 홈을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골프공 마커(400)는 몸체(410)의 중앙에 홈을 형성한 실시형태로서, 도 4a는 골프공 마커(400)의 두께를 넘지 않는 깊이를 갖는 홈(460)을 형성한 경우이고, 도 4b는 골프공 마커(400)의 두 께보다도 더 지면 아래로 내려오도록 깊게 홈(470)을 형성한 경우이며, 도 4c는 홈(480)의 지름 방향의 길이가 몸체(410)의 지름보다 짧게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골프공 마커(400)의 경우, 홈(460, 470, 480)의 저면에 도 4a에 예시한 바와 같이 편광 필름(430)을 형성하면 되고, 이 편광 필름(430)과 홈(460, 470, 480)의 저면 사이에 형광 물질층(450)을 형성하여 야간에서의 가시성을 좋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의할 것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골프공 마커(400)의 홈(460, 470, 480)은 골프공 마커(400)의 지름을 가로지르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골프공 마커(300)의 방향 지시선(320)을 형성할 필요 없이 홈(460, 470, 480)을 방향 지시선처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공 마커(5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몸체(510)와, 몸체(510)의 상면에 형성된 홈(52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몸체(510)의 상면 중 전부 또는 일부에는 참조번호 511과 같이 유색 물질이 도포되어 있으며, 홈(520)의 저부(521)에도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색 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몸체(510)의 상면에 도포된 유색 물질(511)의 색상과 홈(520)의 저부(521)에 도포된 유색 물질의 색상은 예컨대 검정색으로 동일하다. 다만, 홈(520)의 벽면(522)은 몸체(510)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몸체(510)를 투과한 빛이 홈(520)의 벽면(522)에서 굴절되도록 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식별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골프공 마커(500)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프공 마커를 바라보는 방향 Y와 방향 지시선의 역할을 하는 홈(520)이 가리키는 방향 X가일치하지 않을 경우 골퍼에게 투명한 벽면(522)이 라인 형태로 보이게 되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프공 마커를 바라보는 방향 Y와 홈(520)이 가리키는 방향 X가 일치하는 경우 골퍼에게는 홈(520)의 저부(521) 및 몸체(510)의 상면에 도포된 검정색의 유색 물질만 보이게 된다.
즉, 이 실시형태는 골프공 마커(500)에 형성된 홈(520)의 벽면(522)과 저부(521)의 색상 차이를 이용하되 몸체(510)를 투명한 재질로 하여 색상 차이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한 것으로서, 몸체(510)가 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는 경우 빛이 투명한 몸체(510)를 통과하여 벽면(522)을 밝게 하기 때문에 흐린 날이나 홈(520)에 그림자가 생겨 어두운 때에도 방향 X와 방향 Y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몸체(510)의 상면 및 저부(501)와 벽면(522) 간에 발생하는 색상 차이가 명확하게 되어 골퍼가 기준 퍼팅 방향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를 변형하여 몸체(510), 벽면(522) 및 저부(521)를 모두 유색 물질로 형성하되, 벽면(522)과 저부(521)의 색상을 다르게 하고 저부(521)와 골프공 마커(500)의 상면의 색상은 동일하게 처리함으로써(예컨대, 저부(521)와 몸체(510)의 상면은 검정색으로 하고, 벽면(522)과 몸체(510) 자체의 색상은 흰색으로 하는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투명한 몸체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기준 퍼팅 방향에 맞지 않는 방향으로 홈(520)이 향해 있는 경 우, 골퍼에게 보이는 저부(521)와 벽면(522) 간의 색상 차이(예컨대, 검정색과 흰색의 색상 차이)를 이용하여 기준 퍼팅 방향을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예에서는 홈(520)의 깊이가 골프공 마커(500)의 몸체(510)의 높이보다도 깊게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홈(520)을 몸체(510)의 높이 범위 내에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홈(520)의 깊이가 너무 얕고 폭이 너무 넓을 경우에는 골퍼가 투명한 벽면(522)을 통과하는 빛을 인식하기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홈(520)의 폭과 깊이는 골프공 마커(500)의 몸체(510)의 높이와 지름, 시인성 등을 고려해서 방향 X와 방향 Y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투명한 벽면(522)으로부터의 빛이 골퍼에게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도 방향 X와 방향 Y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투명한 벽면(522)으로부터의 빛이 골퍼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몸체(510)의 높이의 1/2 이상의 폭과 깊이로 홈(5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를 이용한 퍼팅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골퍼는 자신의 골프공이 그린 위에 안착한 경우에 골프공을 치우고 그 자리에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300)를 놓는다. 이때, 골프공 마커(300)에 형성되어 있는 방향 지시선(320)을 홀컵 B를 향하여(방향 X) 눈짐작으로 맞춘다.
다음으로, 골프공 마커(300)로부터 떨어진 위치로서 홀컵 B와 골프공 마커(300)와 골퍼의 눈이 일직선으로 되는 위치 A에 서서 골프공 마커(300)를 바라보는 데, 만약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 지시선(320)이 홀컵 B를 정확하게 향하지 않고 방향 Y를 향하고 있다면, 위치 A에서 골프공 마커(300)를 바라보더라도 아무런 시각적 표시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후 도 6b와 같이 다시 골프공 마커(300)의 위치를 조정하여 방향 지시선(320)을 홀컵 B를 향해 맞추고, 다시 위치 A에서 골프공 마커(300)를 바라본다면, 위치 A로부터 골프공 마커(300)를 거쳐서 홀컵 B를 향하는 일직선의 방향에서 방향 X와 Y가 일치하고 있으므로, 골프공 마커(300)를 특정 방향에서 바라볼 때에만 나타나는 시각적 표시(도 6b의 경우에는 "OK"라는 글씨 형태의 시각적 표시)가 보이게 된다.
이제 골퍼는 골프공 마커(300)의 방향 지시선(320)이 가리키는 Y 방향이 홀컵 B를 향한 기준 퍼팅 방향 X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으며, 골프공 마커(300)의 방향 지시선(320)과 골프공(600)에 그려져 있는 골프공 라인(610)이 일치하게끔 골프공(600)을 지면 위에 놓은 상태에서 골프공 마커(300)를 제거하고 그린의 지형과 경사도를 고려하여 퍼팅을 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개조나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선행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골프공 마커에 수준기를 적용하는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채택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골프공 마커를 이용하여 기준 퍼팅 방향을 잡은 다음에 다시 골프공 마커에 설치된 수준기를 이용하여 경사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골프공 마커의 방향 지시선이나 골프공 마커의 홈이 1개인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를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골퍼가 골프공 마커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게 기준 퍼팅 방향을 잡도록 할 수 있으며, 편광 필름에 의해 특정 방향에서만 나타나는 색상 표시나 문자 표시도 2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첨부한 도면에서는 골프공 마커가 모두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각형이나 타원형 등 어떠한 형상으로 골프공 마커의 몸체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에 홈을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를 이용하여 퍼팅 방향을 잡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골프공 마커
300, 400, 500 골프공 마커
310, 410, 510 몸체
320 방향 지시선
330, 430 편광 필름
340 색상에 의한 시각적 표시
350 글씨에 의한 시각적 표시
450 형광 물질층
460, 470, 480, 520 홈
600 골프공
610 골프공 라인

Claims (9)

  1.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골프공 마커에 있어서,
    상면에 방향 지시선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골프공 마커를 특정 방향에서 바라볼 때에만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 표시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표시는 색상 혹은 글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표시는 상기 방향 지시선과 중첩되어 보이는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몸체의 상면을 전부 혹은 일부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몸체의 상면 사이에는 형광 물질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소정의 두께와 소정의 지름을 갖는 동전 형상이고, 상기 방향 지시선은 상기 몸체의 상면에 소정 깊이의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홈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118491A 2008-11-27 2008-11-27 골프공 마커 KR101064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491A KR101064411B1 (ko) 2008-11-27 2008-11-27 골프공 마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491A KR101064411B1 (ko) 2008-11-27 2008-11-27 골프공 마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062A KR20100060062A (ko) 2010-06-07
KR101064411B1 true KR101064411B1 (ko) 2011-09-14

Family

ID=4236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491A KR101064411B1 (ko) 2008-11-27 2008-11-27 골프공 마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131A (ko) 2020-11-25 2022-06-02 윤석중 기능성 거친면을 갖는 골프공 마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37Y1 (ko) * 2013-06-10 2013-11-14 이정열 시인성이 우수한 야광 골프공 마커
KR102413567B1 (ko) * 2020-07-21 2022-06-24 박순백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914Y1 (ko) * 2005-09-03 2005-12-08 박충기 골프용 볼 마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914Y1 (ko) * 2005-09-03 2005-12-08 박충기 골프용 볼 마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131A (ko) 2020-11-25 2022-06-02 윤석중 기능성 거친면을 갖는 골프공 마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062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7226B1 (en) Golf putter having alignment apparatus
US6422949B1 (en) Golf ball and putter alignment combination
US5437446A (en) Method for aligning a golf putting stroke
US20060293113A1 (en) Golf ball marking system
US5476258A (en) Golf ball position marker with slope indicator
US5356146A (en) Gauged golf tee
US7670231B1 (en) Golf ball alignment device having physical and optical alignment members
US6503152B1 (en) Putting trainer
KR101064411B1 (ko) 골프공 마커
GB2423723A (en) A golf putter insert
US20110053711A1 (en) Golf ball marker and alignment tool
JPH04276274A (ja) 整合標識を付したゴルフクラブ
KR101707994B1 (ko) 퍼팅라인을 알려주는 골프용 볼마커 및 마커홀더
US6912802B2 (en) Golf alignment system and method
US20060258475A1 (en) Sphere and needle alignment indicia for head of golf putter
US20100222160A1 (en) Putting alignment tool, aiming tool and ball marker and method of use
US6007436A (en) Method for employing light from a laser generator beam to assist in aiming a golf ball and apparatus therefor
KR20140012619A (ko) 골프 훈련을 위한 시각 표지의 사용방법
US20080207356A1 (en) Ball marker used to ascertain grain direction of a putting surface
US20140004978A1 (en) Golf Ball Incorporating Alignment Indicia
US20030144068A1 (en) Golf ball markings for 3-dimensional putting alignment
US9333410B1 (en) Putter alignment aid
US20100222161A1 (en) Putting alignment and aiming tool and method of use
GB2202155A (en) Golf course distance markers
KR200327662Y1 (ko) 길이가 표시된 골프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