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549B1 -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및 그 뒷굽이 설치된 신발 - Google Patents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및 그 뒷굽이 설치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549B1
KR101063549B1 KR1020100024040A KR20100024040A KR101063549B1 KR 101063549 B1 KR101063549 B1 KR 101063549B1 KR 1020100024040 A KR1020100024040 A KR 1020100024040A KR 20100024040 A KR20100024040 A KR 20100024040A KR 101063549 B1 KR101063549 B1 KR 101063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s
adjustment
heel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원에프알에스 filed Critical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to KR102010002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뒤꿈치에 부위별로 부분적인 탄성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중과 다리체형 및 보행습관, 그리고 체중의 변화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임산부 등 사용자에 따라 보행 시 최적의 충격흡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인체 무릎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을 고르게 분산 및 흡수하여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발바닥의 피로를 최소화함으로써 신발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및 그 뒷굽이 설치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가 공간이며 하중이 전달될 경우 신축되는 탄성부재의 내부에는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신축정도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조절부재에 형성된 통공에는 조절노브가 유입 설치되어 이루어진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와, 상기 탄성부재의 절반이 유입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부가 형성된 제1안치부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하부몸체와, 상기 탄성부재의 나머지 절반이 유입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부가 형성된 제2안치부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부몸체와, 상기 제1, 제2안치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요홈부에 유입 설치되어 상기 조절노브의 유동을 방지하는 노브고정부가 형성된 지지틀체가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및 그 뒷굽이 설치된 신발{Heel capable of controlling partial elasticity and shoes using it}
본 발명은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및 그 뒷굽이 설치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뒤꿈치에 부위별로 부분적인 탄성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중과 다리체형(안장다리, 팔자다리) 및 보행습관, 그리고 체중의 변화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임산부 등 사용자에 따라 보행 시 최적의 충격흡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인체 무릎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을 고르게 분산 및 흡수하여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발바닥의 피로를 최소화함으로써 신발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및 그 뒷굽이 설치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에 대하여 개발되는 주된 기술 내용은 걷거나 뛰는 경우 인체 무릎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을 최대한 흡수 및 분산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특수한 소재를 사용하여 신발의 중량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신발내부에 통풍을 원활히 하여 땀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술적인 사항에 중점을 두고 있다.
상기 보행자의 무릎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는 신발의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의 뒤꿈치부분에 에어백와 같은 충격흡수부재를 설치하여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과 하중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에어백을 설치하여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흡수와 하중분산을 기하는 신발은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하나의 에어백만이 고정 유입 설치되어 부분적으로 탄성정도를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신발의 사이즈에 따라 일괄적으로 동일한 탄성력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과 보행조건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게 되어 충격흡수와 하중분산이라는 원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체중과 다리체형(안장다리, 팔자다리) 및 보행습관에 따라 보행 시 발뒤꿈치의 착지점이 다를 수 있으며, 특히 임산부의 경우 임신기간 동안 15Kg 내외의 체중변화가 일어나게 되고, 이 체중변화에 따라 걸음걸이가 달라지게 되어 보행 시 발뒤꿈치의 착지점이 다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충격과 하중이 달리 전달될 수 있으나 신발제조 시 상기의 요건을 모두 고려하면서 제작하기에는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신발 뒷굽에 뒤꿈치의 부위별로 부분적으로 수많은 종류의 탄성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가 설치된 탄성조절 뒷굽과, 그 뒷굽이 설치된 신발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체중, 다리체형(안장다리, 팔자다리) 및 보행습관, 그리고 체중의 변화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임산부 등 사용자에 따라 보행 시 최적의 충격흡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인체 무릎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을 고르게 분산 및 흡수하여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발바닥의 피로를 최소화함으로써 신발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가 공간이며 하중이 전달될 경우 신축되는 탄성부재의 내부에는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신축정도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조절부재에 형성된 통공에는 조절노브가 유입 설치되어 이루어진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와, 상기 탄성부재의 절반이 유입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부가 형성된 제1안치부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하부몸체와, 상기 탄성부재의 나머지 절반이 유입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부가 형성된 제2안치부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부몸체와, 상기 제1, 제2안치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요홈부에 유입 설치되어 상기 조절노브의 유동을 방지하는 노브고정부가 형성된 지지틀체가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상기 조절노브 일측 둘레에는 상.하측과 좌.우측에 각각 꼭지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절노브의 회전에 의해 꼭지점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탄성부재의 신축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조절부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조절노브 일측 둘레에는 두께에 따라 휘어짐을 달리하는 다수의 탄성편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절노브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편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신축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조절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조절노브 일측 둘레에 자체 탄성력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의 탄성조절부재 내부에 내경이 서로 다른 탄성조절공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절노브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조절공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신축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가 공간이며 하중이 전달될 경우 신축되는 탄성부재의 내부에는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신축정도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조절부재에 형성된 통공에는 조절노브가 유입 설치되어 이루어진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와, 상기 탄성부재의 절반이 유입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부가 형성된 제1안치부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하부몸체와, 상기 탄성부재의 나머지 절반이 유입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부가 형성된 제2안치부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부몸체와, 상기 제1, 제2안치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요홈부에 유입 설치되어 상기 조절노브의 유동을 방지하는 노브고정부가 형성된 지지틀체가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정부재로 구성된 탄성조절 뒷굽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조절 뒷굽이 신발의 아웃솔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몸체와 아웃솔을 일체로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발 뒷굽에 뒤꿈치의 부위별로 부분적으로 수많은 종류의 탄성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가 설치된 탄성조절 뒷굽과, 그 뒷굽니 설치된 신발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체중, 다리체형(안장다리, 팔자다리) 및 보행습관, 그리고 체중의 변화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임산부 등 사용자에 따라 보행 시 최적의 충격흡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인체 무릎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을 고르게 분산 및 흡수하여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발바닥의 피로를 최소화함으로써 신발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의 분해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에 있어 지지틀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이 아웃솔에 설치된 상태의 정단면도.
(나)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이 아웃솔에 설치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4a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에 있어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의 확대 정단면도.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
도 4b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에 있어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나)는 도 4b (가)의 B-B선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에 있어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 및 도 5c의 (가), (나)는 도 5a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에 있어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b 및 도 6c의 (가), (나)는 도 6a의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및 그 뒷굽이 설치된 신발을 첨부된 도 1a 내지 도 6c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에 있어 지지틀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이 아웃솔에 설치된 상태의 정단면도이고, (나)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이 아웃솔에 설치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은 보행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뒤꿈치의 부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20)와, 상기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20)를 절반씩 감싸 보호하기 위한 제1, 제2안치부(4a~4d)(8a~8d)가 형성된 상.하부몸체(2)(1)와, 상기 상.하부몸체(2)(1)의 제1, 제2안치부(4a~4d)(8a~8d)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20)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24)로 구성된다.
상기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20)는 내부가 공간부로 형성되며 에어백, 튜브와 같이 하중이 전달될 경우 신축되는 탄성부재(21a~21d)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21a~21d)의 내부에는 통공(23)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1a~21d)의 신축정도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22a~22d)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조절부재(22a~22d)에 형성된 통공(23)에는 조절노브(27)가 유입 설치되어 이 조절노브(27)의 조작에 의해 상기 탄성조절부재(22a~22d)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조절부재(22a~22d)는 상.하측과 좌.우측에 각각 꼭지점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노브(27a~27d)의 회전에 의해 상기 꼭지점의 위치를 변화시켜 탄성부재(21a~21d)의 신축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탄성을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하부몸체(1)는 상면에는 탄성부재(21a~21d)가 절반 유입 설치되는 공간부(2)가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부(3a)(3b)가 형성된 제1안치부(4a~4d)가 각각 돌출 형성된 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5) 저면에는 탄성부재(21a~21d)의 나머지 절반이 유입 설치되는 공간부(7)가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부(6a)(6b)가 형성된 제2안치부(8a~8d)가 각각 돌출 형성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상기 고정부재(24)는 제1, 제2안치부(4a~4d)(8a~8d) 외측에 설치되며 요홈부(3a)(3b)(6a)(6b)에 유입 설치되어 조절노브(27a~27d)의 유동을 방지하는 노브고정부(25)가 형성된 지지틀체(24a~24d)가 구비되고, 이 지지틀체(24a~24d)는 연결부(26a~26d)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26b)(26d)의 상면에는 조절노브(27a~27d)의 타측 끝단부가 설치되는 노브고정대(28a)(28b)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 지지틀체(24a~24d)는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조절부재(22a~22d)와 조절노브(27a~27d)는 실제로 일체로 사출 성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각각 별도로 제작한 후 조립하는 경우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서로 별도로 제작 후,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조절 뒷굽(1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몸체(1)에 형성된 제1안치부(4a~4d)에 탄성조절부재(22a~22d)가 내장된 탄성부재(21a~21d)를 각각 유입 설치한 후, 상기 제1안치부(4a~4d) 외측에 연결부(26a~26d)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지지틀체(24a~24d)를 설치하되, 노브고정부(25)가 요홈부(3a)(3b)에 유입되도록 한 다음, 조절노브(27a~27d)를 노브고정부(25)와 통공(23)에 차례로 유입시키고, 그 끝단부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26b)(26d)의 상면에 형성된 노브고정대(28a)(28b)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21a~21d)의 절반은 요홈부(3a)(3b)에 유입되고, 나머지 절반은 외부에 노출되어 진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21a~21d)가 제1안치부(4a~4d)에 유입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몸체(5)에 형성된 제2안치부(8a~8d)의 공간부(7)에 탄성부재(21a~21d)의 나머지 절반을 유입시킴과 동시에 요홈부(6a)(6b)에 노브고정부(25)를 유입시켜 접착제로서 하부몸체(1)와 상부몸체(5)를 서로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안치부(4a~4d)(8a~8d)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틀체(24a~24d)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노브고정부(25)에 유입 설치되고 탄성조절부재(22a~22d)를 회전시킬 수 있는 조절노브(27a~27d) 만이 외부로 노출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부재(20a)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의 (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에 있어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의 확대 정단면도이고, 도 4b의 (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에 있어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도 4a의 (가), (나)에 도시된 단면도에서는 조절노브(27a)에 설치되며 탄성조절부재(22a)의 상하측에 형성된 꼭지점이 탄성부재(21a)의 상.하면 중앙부에 접촉되어 있어 보행 시 사용자의 체중이 탄성부재(21a)에 전달되더라도 탄성조절부재(22a)에 의해 하강되지 못하여 탄성력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도 4b의 (가), (나)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드라이브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탄성조절 뒷굽(10) 외측에 노출된 조절노브(27a)를 회전시키게 되면 탄성조절부재(22a)의 상하측과 좌우측에 형성된 꼭지점이 탄성부재(21a) 양측 모서리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탄성부재(21a)의 상.하측과 탄성조절부재(22a) 사이에는 공간부(W)가 형성됨으로써 그 공간부(W) 만큼의 탄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4개의 탄성부재(21a~21d)로 이루어진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20)를 구성할 경우 드라이브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탄성조절 뒷굽(10) 외측에 노출된 4개의 조절노브(27a~27d)를 서로 다르게 조정할 경우 탄성부재(21a~21d)의 탄성정도를 달리함에 따라 발뒤꿈치 부분에 수많은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4개의 탄성부재(21a~21d)와, 그 탄성부재(21a~21d) 내부에 상.하측과 좌우측에 꼭지점이 형성되는 탄성조절부재(22a~22d)에 의해 수많은 종류의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 다리체형(안장다리, 팔자다리) 및 보행습관, 그리고 체중의 변화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임산부 등 사용자에 따라 보행 시 최적의 충격흡수 기능을 가짐으로써 무릎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을 고르게 분산 및 흡수하여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발바닥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의 (가), (나)에서와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조절 뒷굽(10)을 아웃솔(30)의 뒤꿈치부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아웃솔(30)과 상부몸체(2)를 사출 성형으로 일체화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에 있어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b 및 도 5c의 (가), (나)는 도 5a의 동작상태도로서 조절노브(27a)에 설치되는 탄성조절부재(22a)를 두께에 따라 휘어지는 정도를 달리하는 다수의 탄성편(29a~29e)을 등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성편(29a~29e)의 위치에 따라 탄성부재(21a)의 탄성정도를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5b의 (가), (나)에서와 같이 조절노브(27a)의 조작에 의해 휘어짐이 제일 적은 두꺼운 탄성편(29a)이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보행 시 사용자의 체중이 탄성부재(21a)에 전달되더라도 휘어짐이 제일 적은 두꺼운 탄성편(29a)에 의해 바닥면에서는 탄성력이 발생되지 않게 되나, 이때에는 두께가 서로 다른 두 개의 탄성편(29c)(29d) 끝단부가 탄성부재(21a) 상측부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21a)는 탄성편(29c)(29d)의 탄성정도에 따라 신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 5c의 (가), (나)에서와 같이 조절노브(27a)의 조작에 의해 두께가 제일 얇아 휘어짐이 높은 탄성편(29e)이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사용자의 체중이 탄성편(29e)에 그대로 전달됨에 따라 바닥면에서도 탄성편(29e)에 비례하는 탄성을 가지게 되며, 이때에는 두께가 서로 다른 두개의 탄성편(29b)(29c) 끝단부가 탄성부재(21a) 상측부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21a)는 탄성편(29b)(29c)의 탄성정도에 따라 신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는 일정한 휘어짐을 갖는 재질의 경우 두께가 두꺼울수록 잘 휘어지지 않고, 두께가 얇을수록 잘 휘어지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며,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탄성조절부재(22a~22d)의 꼭지점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경우 사용자의 발바닥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한 것으로써 두께가 서로 다른 탄성편(29a~29e)의 개수가 5개임을 예를 들었으나 그 개수는 제한하지 않으며, 3개, 5개, 7개 등과 같이 홀수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에 있어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b 및 도 6c의 (가), (나)는 도 6a의 동작상태도로서 조절노브(27a)에 설치되는 탄성조절부재(22a)를 자체 탄성력을 갖는 원통형의 구성하되, 상기 원통형의 탄성조절부재(22a)에 내경이 서로 다른 탄성조절공(29f~29k)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이 탄성조절공(29f~29k)의 위치에 따라 탄성부재(21a)의 탄성정도를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6b의 (가), (나)에서와 같이 조절노브(27a)의 조작에 의해 내경이 제일 적은 탄성조절공(29k)이 탄성부재(21a)의 저면에 위치해 있을 경우 상기 탄성조절공(29k)의 적은 내경으로 인해 탄성조절부재(22a) 자체의 탄성력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보행 시 사용자의 체중이 탄성부재(21a)에 전달되더라도 탄성력이 많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도 6c의 (가), (나)에서와 같이 조절노브(27a)의 조작에 의해 내경이 제일 큰 탄성조절공(29f)이 탄성부재(21a)의 저면에 위치해 있을 경우 상기 탄성조절공(29f)의 큰 내경으로 인해 탄성조절부재(22a) 자체의 탄성력이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보행 시 사용자의 체중이 탄성부재(21a)에 그대로 전달됨으로서 가장 높은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1 : 하부몸체 2, 7 : 공간부
3a, 3b, 6a, 6b : 요홈부 4a~4d : 제1안치부
5 : 상부몸체 8a~8d : 제2안치부
10 : 탄성조절 뒷굽 20 :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
21a~21d : 탄성부재 22a~22d : 탄성조절부재
23 : 통공 24a~24d : 지지틀체
25 : 노브고정부 26a~26d : 연결부
27a~27d ; 조절노브 28a, 28b : 노브고정대
29a~29e : 탄성편 29f~29k : 탄성조절공
30 : 아웃솔 40 : 미드솔

Claims (6)

  1. 내부가 공간이며 하중이 전달될 경우 신축되는 탄성부재(21a~21d)의 내부에는 중앙부에 통공(23)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1a~21d)의 신축정도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22a~22d)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조절부재(22a~22d)에 형성된 통공 (23)에는 조절노브(27)가 유입 설치되어 이루어진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20)와,
    상기 탄성부재(21a~21d)의 절반이 유입 설치되는 공간부(2)가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부(3a)(3b)가 형성된 제1안치부(4a~4d)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하부몸체(1)와,
    상기 탄성부재(21a~21d)의 나머지 절반이 유입 설치되는 공간부(7)가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부(6a)(6b)가 형성된 제2안치부(8a~8d)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부몸체(5)와,
    상기 제1, 제2안치부(4a~4d)(8a~8d)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요홈부(3a)(3b) (6a)(6b)에 유입 설치되어 상기 조절노브(27a~27d)의 유동을 방지하는 노브고정부(25)가 형성된 지지틀체(24a~24d)가 연결부(26a~26d)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정부재(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부재(22a~22d)는,
    상기 조절노브(27a~27d) 일측 둘레에는 상.하측과 좌.우측에 각각 꼭지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절노브(27a~27d)의 회전에 의해 꼭지점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탄성부재(21a~21d)의 신축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부재(22a~22d)는,
    상기 조절노브(27a~27d) 일측 둘레에는 두께에 따라 휘어짐을 달리하는 다수의 탄성편(29a~29e)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절노브(27a~27d)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편(29a~29e)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탄성부재(21a~21d)의 신축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부재(22a~22d)는,
    상기 조절노브(27a~27d) 일측 둘레에 자체 탄성력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의 탄성조절부재(22a~22d) 내부에 내경이 서로 다른 탄성조절공(29f~29k)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절노브(27a~27d)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조절공(29f~29k)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탄성부재(21a~21d)의 신축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5. 내부가 공간이며 하중이 전달될 경우 신축되는 탄성부재(21a~21d)의 내부에는 중앙부에 통공(23)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1a~21d)의 신축정도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22a~22d)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조절부재(22a~22d)에 형성된 통공 (23)에는 조절노브(27)가 유입 설치되어 이루어진 부위별 탄성 조절장치(20)와,
    상기 탄성부재(21a~21d)의 절반이 유입 설치되는 공간부(2)가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부(3a)(3b)가 형성된 제1안치부(4a~4d)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하부몸체(1)와,
    상기 탄성부재(21a~21d)의 나머지 절반이 유입 설치되는 공간부(7)가 형성되고 양측면 중앙부에 요홈부(6a)(6b)가 형성된 제2안치부(8a~8d)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부몸체(5)와,
    상기 제1, 제2안치부(4a~4d)(8a~8d)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요홈부(3a)(3b) (6a)(6b)에 유입 설치되어 상기 조절노브(27a~27d)의 유동을 방지하는 노브고정부 (25)가 형성된 지지틀체(24a~24d)가 연결부(26a~26d)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정부재(24)로 구성된 탄성조절 뒷굽(10)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조절 뒷굽(10)이 신발의 아웃솔(30)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뒷굽이 설치된 신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5)와 아웃솔(30)을 일체로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뒷굽이 설치된 신발.
KR1020100024040A 2010-03-18 2010-03-18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및 그 뒷굽이 설치된 신발 KR101063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040A KR101063549B1 (ko) 2010-03-18 2010-03-18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및 그 뒷굽이 설치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040A KR101063549B1 (ko) 2010-03-18 2010-03-18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및 그 뒷굽이 설치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549B1 true KR101063549B1 (ko) 2011-09-07

Family

ID=4495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040A KR101063549B1 (ko) 2010-03-18 2010-03-18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및 그 뒷굽이 설치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330B1 (ko) * 2019-06-28 2020-02-20 장 홍 영 탄성력 조절이 용이한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8560A (en) 1995-11-15 1998-07-14 Diadora S.P.A. Stablizing support, particularly for controlling pronation in sports shoes
KR200242095Y1 (ko) 2001-04-26 2001-10-12 김선수 신발의 미끄럼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8560A (en) 1995-11-15 1998-07-14 Diadora S.P.A. Stablizing support, particularly for controlling pronation in sports shoes
KR200242095Y1 (ko) 2001-04-26 2001-10-12 김선수 신발의 미끄럼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330B1 (ko) * 2019-06-28 2020-02-20 장 홍 영 탄성력 조절이 용이한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
WO2020262882A1 (ko) * 2019-06-28 2020-12-30 장홍영 탄성력 조절이 용이한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8995B2 (ja) 歩行矯正用靴底
TWI721675B (zh) 具有可調適配合度的鞋類物品
US20220079290A1 (en) Article with sole structure having multiple components
CN110063544A (zh) 具有肋的外底和凹口的中底的鞋类制品
CN104717897B (zh) 具有交替弹簧层和阻尼层的鞋底结构
JP4511515B2 (ja) 調整可能な特性を備えたソール構造を有するソー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フットウェア製品
US8458930B2 (en) Footwear outsole
CA2609635C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JP2018110889A (ja)
AU2006310782A1 (en) Shoe, in particular sports shoe
US20060265902A1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US11478043B2 (en) Manual and dynamic shoe comfortness adjustment methods
BRPI0412452B1 (pt) Estrutura de sola de um artigo de calçado
US10463103B2 (en) Midsole with incorporated orthotic support
JP5227713B2 (ja) 履き物及び内部構造体
KR101063549B1 (ko)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및 그 뒷굽이 설치된 신발
KR20110004572A (ko) 건강을 위한 신발 밑창
KR101625917B1 (ko) 기능성 신발물품
WO2013032051A1 (ko) 부위별 탄성조절이 가능한 신발 뒷굽 및 그 뒷굽이 설치된 신발
KR100368619B1 (ko) 운동화용 신발창
KR101095573B1 (ko)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TWI806564B (zh) 鞋子以及鞋子中底的成形方法
KR101007606B1 (ko) 발바닥 압력 분산을 위한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 이를 가진 중창 및 구두
KR101269569B1 (ko) 신발 바닥용 공기 블럭을 구비한 신발
KR20090002729U (ko)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