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232B1 - An electromotor for an electric automobile - Google Patents

An electromotor for an electric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232B1
KR101063232B1 KR1020100071274A KR20100071274A KR101063232B1 KR 101063232 B1 KR101063232 B1 KR 101063232B1 KR 1020100071274 A KR1020100071274 A KR 1020100071274A KR 20100071274 A KR20100071274 A KR 20100071274A KR 101063232 B1 KR101063232 B1 KR 101063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rotor
fixed shaft
engaging portion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계정
Original Assignee
박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계정 filed Critical 박계정
Priority to KR1020100071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2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2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6Structural association of a motor or generator with the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특히, 전기오토바이나 전기스쿠터 등에 주로 사용되는 전기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자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결합,형성되어 림의 측면과 맞닿아 림을 가압하여 결합하는 제1,2림측면결합부를 이용하여 바퀴를 고정하는 림을 결합함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한 작업으로 림을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2림측면결합부를 관통하여 제1림측면결합부에 결속되는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2림측면결합부 및 림을 회전자에 결합함으로써 용접 없이 간단하고 용이한 결합작업으로 림을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어 용접작업으로 인한 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림결합부분과 제2림결합부분은 각각 림의 측면과 맞닿는 제1부분과 림의 밑면과 맞닿는 제2부분의 연결부위가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진원을 이루지 않는 림의 결점을 보완하여 얼라이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부분이 상기 림의 측면을 비스듬히 가압할 수 있도록 일정 부분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림의 측면을 가압시 쐐기효과를 발휘하여 상기 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motor mainly used in electric vehicles, in particular electric motors, electric scooters, etc. More specifically, the coupling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or to contact the side of the rim to press the rim to combine By combining the rim fixing the wheel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rim side coupling portion, the rim can be fixed to the housing by a simple and easy operation, and is coupled to the first rim side coupling portion through the second rim side coupling portion. B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s and the rim to the rotor using bolts, the rim can be fixed to the housing by a simple and easy joining operation without welding,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rim due to the welding operation. The first rim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rim coupling portion are respectively formed in a round shape by connecting portions of the first portion abutting the side of the rim and the second portion abutting the bottom of the rim. Complement the defects of the rim that is not achieved can improve the alignment, and by forming the first portion to be inclined downward to a certain portion so as to press the side of the rim obliquely to exert a wedge effect when pressing the side of the rim It relates to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which can fix the rim more firmly.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An Electromotor for an Electric Automobile}Electric motor for electric vehicle {An Electromotor for an Electric Automobi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등에 주로 사용되는 전기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자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결합,형성되어 림의 측면과 맞닿아 림을 가압하여 결합하는 제1,2림측면결합부를 이용하여 바퀴를 고정하는 림을 결합함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한 작업으로 림을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2림측면결합부를 관통하여 제1림측면결합부에 결속되는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2림측면결합부 및 림을 회전자에 결합함으로써 용접 없이 간단하고 용이한 결합작업으로 림을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어 용접작업으로 인한 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림결합부분과 제2림결합부분은 각각 림의 측면과 맞닿는 제1부분과 림의 밑면과 맞닿는 제2부분의 연결부위가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진원을 이루지 않는 림의 결점을 보완하여 얼라이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부분이 상기 림의 측면을 비스듬히 가압할 수 있도록 일정 부분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림의 측면을 가압시 쐐기효과를 발휘하여 상기 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motor mainly used in electric vehicles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he first and second rim side couplings which are coupled and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to press the rims in contact with the sides of the rims. By combining the rim to secure the wheel using the unit can be fixed to the housing in a simple and easy operation, the first through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using a bolt that is bound to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By combining the rim side coupling portion and the rim to the rotor, the rim can be fixed to the housing by a simple and easy coupling operation without welding,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rim due to the welding operation, and the first rim coupling portion The second and second rim engaging portions each have a rounded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im and the second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rim, to compensate for the defects of the non-round rim. Alignment can be improved, and the first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by a predetermined portion so as to press the side surface of the rim at an angle, thereby exerting a wedge effect when pressing the side surface of the rim to firmly fix the ri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대기오염 문제로 인한 환경의 악영향과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하여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 중 엔진을 주 동력원으로 하고 전기모터를 보조 동력원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자동차나 더 나아가 전기모터만을 주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전기자동차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음에 따라 전기모터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Electric vehicles using electric motors are attracting attention due to the adverse effects of air pollution and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Among them, hybrid cars or even electric motors, which use the engine as the main power source and the electric motor as the auxiliary power source, are attracting attention. As electric vehicles using the bay as a main power source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the utilization of electric motors is increasing.

도 1은 종래의 전기모터에서 고정축의 통공을 통해 전선이 인입되는 구조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전기모터에서 고정축과 지지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전기모터에서 모터의 하우징과 림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전기모터에서 하우징 내부면에 자석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구조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1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wire is drawn through a through hole of a fixed shaft in a conventional electric motor, and FIG. 2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xed shaft and a support in a conventional electric motor, and FIG.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housing and the rim of the motor, Figure 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magnet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 using an adhesive.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모터(특히, 전기자동차나 전기오토바이와 같이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승물에 주로 사용되는 전기모터)에서는 전기모터의 하우징(b)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c)이 회전자(b1)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고정축(a)에 형성된 통공(a1)을 통해 인입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축(a)은 내부에 통공(a1)이 형성되는 공간만큼 내구성이 약해질 수밖에 없으며 특히, 보다 많은 기자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선(c)이 굵어지거나 전선(c)의 개수가 많아지는 경우 그에 따라 상기 고정축(a) 및 그 내부에 형성되는 통공(a1) 역시 커질 수밖에 없어 상대적으로 전기모터의 부피와 중량 역시 커지게 되는 단점을 내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a)의 통공(a1)을 통해 인출되는 전선(c)은 외부에 노출될 수밖에 없으므로, 전기자동차(특히, 전기오토바이)가 사고 등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바퀴에 연결되는 전기모터의 측면이 노면에 쓸리게 되거나 기타 외부요인 등에 의해 전선(c)이 쉽게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 역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ure 1,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 (especially an electric motor mainly used for a vehicle using an electric motor, such as an electric vehicle or electric motorcycle), the electric wire (c) drawn into the housing (b) of the electric motor ) Has a structure in which through the through hole a1 formed in the fixed shaft a form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or b1, the fixed shaft a has a space in which the through hole a1 is formed. The durability is inevitably weakened, and in particular, when the wire (c) is thickened or the number of wires (c) increases in order to generate more magnetism, the fixed shaft (a) and the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1) ) Also has to be large, so that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electric motor also increases. 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wire (c) drawn through the through hole (a1) of the fixed shaft (a) can not onl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electric motor (especially the electric motorcycle) of the electric motor that is connected to the wheel while sliding by an accident, etc. Frequently, the side (c) is easily damaged by the road surface or other external factors are also a problem occurs.

또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모터에서의 고정축(a)과 지지대(d)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고정축(a)을 지지하는 지지대(d)의 일측면에서 상기 고정축(a)에 나사결합되는 너트(e)만을 이용하여 고정축(a)과 지지대(d)를 결합하는 방식에 불과하기 때문에 잦은 운행 등으로 발생하는 운행 충격 등에 의해 상기 너트(e)가 느슨해지는 경우 고정축(a)이 상기 지지대(d)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어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문제 등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looking at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xed shaft (a) and the support (d)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 shown in Figure 2, the fixed shaft (a) on one side of the support (d) for supporting the fixed shaft (a) Fixed shaft (a) and the support (d) by using only the nut (e) screwed to the coupling method because the nut (e) is loosened due to the driving shock caused by frequent driving, etc. (a)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pport (d) is a situation that often occurs due to the problem of safety accidents.

또한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모터에서의 회전자(b1)와 바퀴(g)를 고정하는 림(f)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별도의 앵글(h)과 같은 구성을 사용하여 상기 앵글(h)의 일측은 상기 회전자(b1)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앵글(h)의 타측은 상기 림(f)의 밑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앵글(h)과 회전자(b1) 간을 볼트에 의해 결합하는 작업은 협소한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또한 상기 앵글(h)과 림(f) 간을 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작업은 용접작업 중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앵글(h)은 물론 상기 림(f)에 변형이 발생하여 결합된 림(f)의 형태가 진원의 형태와 더욱 멀어지게 되어 상기 림(f) 및 바퀴(g)의 회전밸런스가 맞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복잡한 공정으로 인해 작업시간 및 비용의 소요로 효율적인 공정이 진행되기 어려운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looking at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rim (f) for fixing the rotor (b1) and the wheel (g)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 shown in Figure 3, us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ngle (h) the angle ( One side of the h) is coupled to the rotor b1 by a bolt or the like, and the other side of the angle h has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im f by welding. The work between h) and the rotor (b1) by bolts is difficult to proceed smoothly due to the narrow space constraint, and also the welding between the angle (h) and the rim (f) for welding The joining operation is a deformation of the angle (h) as well as the rim (f) by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so that the shape of the combined rim (f) is further away from the shape of the round, the rim (f) ) And the rotation balance of the wheel (g) is not a problem, and also Due to the same complex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ceed an efficient process due to the time and cost required.

또한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모터에서 회전자(b1) 내주면에 자석(i)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종래에는 회전자(b1)의 내주면에 일일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자석(i)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을 하기 때문에 접착제를 사용한 부착공정이 복잡하여 제조시간 및 비용면에 있어 비효율적이며, 상기 자석(i)을 정확하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 역시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누적공차 등을 고려할 때 거의 불가능하여 상기 자석(i)에서 발생되는 자기장 및 그로 인한 기자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특히 운행 충격 등에 의해 운행 중 상기 자석(i)이 상기 회전자(b1) 내에서 탈리되는 경우 탈리된 자석(i)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자석(i)을 회전자(b1) 내주면에 부착하는 방식에서는 상기 회전자(b1)를 포함한 하우징(b)을 반드시 스틸로 제조하여야 하는바, 그로 인해 하우징(b)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져 과중량으로 인한 비효율성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attaching the magnet i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b1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 illustrated in FIG. 4 by using an adhesive, in the related art, uses a single adhesiv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b1. Since i) is formed by attaching at regular intervals, the attaching process using an adhesive is complicated, which is inefficient in terms of manufacturing time and cost. In view of the cumulative tolerance,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 (i) and the resulting magnetic force are deteriorated. Of course, the magnet (i) is the rotor (b1) during operation due to a driving shock. In the case of detachment in the above), a problem of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detached magnet (i) occurs, and in the method of attaching the magnet (i)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b1) Party bar, housing thereby that the housing (b) containing (b1) must be made of a steel (b) a situation which also caused problems of its own weight and the weight becomes heavier due to in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자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결합,형성되어 림의 측면과 맞닿아 림을 가압하여 결합하는 제1,2림측면결합부를 이용하여 바퀴를 고정하는 림을 결합함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한 작업으로 림을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and easy by engaging the rim fixing the wheel using the first and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which is coupled and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to press the rim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im One task is to provide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fix the rim to a hous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2림측면결합부를 관통하여 제1림측면결합부에 결속되는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2림측면결합부 및 림을 회전자에 결합함으로써, 용접 없이 간단하고 용이한 결합작업으로 림을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어 용접작업으로 인한 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s and the rim to the rotor using a bolt that penetrates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and binds to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thereby making it simple and easy without welding. One coupling opera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fix the rim to the housing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rim due to wel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1림결합부분과 제2림결합부분은 각각 림의 측면과 맞닿는 제1부분과 림의 밑면과 맞닿는 제2부분의 연결부위가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진원을 이루지 않는 림의 결점을 보완하여 얼라이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rst rim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rim engaging portion are formed in a round shape with connecting portions of the first portion abutting the side of the rim and the second portion abutting the bottom of the rim, respectively. It is to provide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improve the alignment by supplementing the defects of the rim that is not achiev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1부분이 상기 림의 측면을 비스듬히 가압할 수 있도록 일정 부분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림의 측면을 가압시 쐐기효과를 발휘하여 상기 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downward inclined portion to the first portion to press the side of the rim obliquely, thereby exerting a wedge effect when pressing the side of the rim to more firmly fix the rim It is to provide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결합고정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바퀴를 고정하는 림의 측면과 맞닿게 되는 제1림측면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을 따라 끼워져 상기 제1림측면결합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림의 타측면과 맞닿게 되는 제2림측면결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2림측면결합부가 회전자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2림측면결합부가 동시에 림의 측면을 가압하여 림을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shaft; And a housing including a stator coupled to the fixed shaft and a rotor rotating about the fixed shaft, wherein the rotor i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be in contact with a side of a rim fixing the wheel. And a second rim side coupling part, the second rim side coupling part insert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im side coupling part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rim. While the rim sid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rotor, the first and second rim side coupling portions simultaneously press the sides of the rim to fix the rim to the hous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 있어 상기 제2림측면결합부는 제2림측면결합부를 관통하여 제1림측면결합부에 결속되는 볼트를 이용하여 회전자에 결합됨으로써, 용접 없이 간단하고 용이한 결합작업으로 림을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and uses a bolt that is bound to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By being coupled to, characterized in that the rim can be fixed to the housing by a simple and easy coupling operation without wel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 있어 상기 제1림측면결합부에서 림의 측면과 맞닿는 제1림결합부분과, 상기 제2림측면결합부에서 림의 측면과 맞닿는 제2림결합부분은 각각 림의 측면과 맞닿는 제1부분과 림의 밑면과 맞닿는 제2부분의 연결부위가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진원을 이루지 않는 림의 결점을 보완하여 얼라이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im engag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im at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and the rim at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The second rim engaging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im, is formed in a round shape with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first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im, and the second par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rim, respectively. It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 있어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림의 측면을 비스듬히 가압할 수 있도록 일정 부분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림의 측면을 가압시 쐐기효과를 발휘하여 상기 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rtion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ownward slope to press the side of the rim at an angle, so that the side of the rim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fix the rim more firmly by exerting a wedge effect when pressurized.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above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회전자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결합,형성되어 림의 측면과 맞닿아 림을 가압하여 결합하는 제1,2림측면결합부를 이용하여 바퀴를 고정하는 림을 결합함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한 작업으로 림을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and easy operation by combining the rim fixing the wheel using the first and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which is coupled and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to press the rim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im This has the effect of fixing the rim to the housing.

본 발명은 제2림측면결합부를 관통하여 제1림측면결합부에 결속되는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2림측면결합부 및 림을 회전자에 결합함으로써, 용접 없이 간단하고 용이한 결합작업으로 림을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어 용접작업으로 인한 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and easy joining operation without welding by joining the first and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s and the rim to the rotor using bolts that penetrate through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s and bound to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s. As a result, the rim can be fixed to the housing, thereby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rim due to the welding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 제1림결합부분과 제2림결합부분은 각각 림의 측면과 맞닿는 제1부분과 림의 밑면과 맞닿는 제2부분의 연결부위가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진원을 이루지 않는 림의 결점을 보완하여 얼라이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im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rim engaging portion are formed in a round shape, respectively,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abutting the side of the rim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rim is not rounded.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lignment by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본 발명은 상기 제1부분이 상기 림의 측면을 비스듬히 가압할 수 있도록 일정 부분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림의 측면을 가압시 쐐기효과를 발휘하여 상기 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portion so as to press the side of the rim at an angle, thereby exerting a wedge effect when pressing the side of the rim to more firmly fix the rim. Has

도 1은 종래의 전기모터에서 고정축의 통공을 통해 전선이 인입되는 구조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전기모터에서 고정축과 지지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종래의 전기모터에서 모터의 하우징과 림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종래의 전기모터에서 하우징 내부면에 자석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구조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서 고정축결합부에서 전선이 인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고정축결합부에서 인출된 전선이 지지대에 의해 보호되는 모습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서 하우징의 외부에 밸런싱웨이트를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서 고정축과 지지대가 결합하는 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지지대와 결속유지부가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고정축의 타측에서 제2지지대와 제2결속유지부가 결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서 회전자의 외주면에 림이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 13은 제1,2림측면결합부와 림이 결합되는 부분을 확대도시한 참고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서 회전자의 내주면에 자석을 삽입한 코어가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 15는 자석삽입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코어를 도시한 참고도
1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wire is drawn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xed shaft in a conventional electric motor
2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xed shaft and the support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
3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housing and a rim of a motor in a conventional electric motor
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magnet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 using an adhesiv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ate that the wire is drawn in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in the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ate that the wire drawn out from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is protected by the support
8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lancing weight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in the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in which the fixed shaft and the support in the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upport and the binding holding part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FIG. 9;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support and the second binding retain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ed shaft;
12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that the rim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or in the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nlarged referenc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rim side coupling portions and the rim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
1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in which the core is inserted into the magnet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or in the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core in which the magnet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서 고정축결합부에서 전선이 인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7은 고정축결합부에서 인출된 전선이 지지대에 의해 보호되는 모습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서 하우징의 외부에 밸런싱웨이트를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wire drawn from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in the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ate, Figure 7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ate that the wire drawn from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is protected by the support, Figure 8 is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figure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alancing weight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는 고정축(10)과, 고정자(220)와 회전자(210)를 포함하는 하우징(20)을 포함한다. 5 to 8,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0 including a fixed shaft 10, a stator 220, and a rotor 210.

상기 고정축(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모터의 중심을 관통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회전자(210)가 고정축(10)에 베어링 결합되어 고정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전기모터의 회전중심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축(10)은 운행충격 등에도 견고하게 회전자(210)를 포함하는 하우징(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fixed shaft 10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or 21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fixed shaft 10 is rotated about the fixed shaft 10 by electric The rotation center of the motor is achiev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cure durability so that the fixed shaft 10 can firmly support the housing 20 including the rotor 210 even in a driving shock.

상기 하우징(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모터의 내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축(10)에 결합고정되는 고정자(220)와 상기 고정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자(210)를 포함한다. The housing 20 is configured to form the inner and outer skeleton of th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or 220 is coupled to the fixed shaft 10 and the rotor rotating around the fixed shaft 10 ( 210).

상기 고정자(220)는 상기 고정축(10)에 결합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축(10)을 둘러싸며 고정축(10)에 결합고정되는 고정축결합부(223)와, 상기 고정축결합부(223)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되어 후수할 전기자코일(222)이 권선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철심(221)과, 상기 전기자철심(221)에 권선되어 전류가 공급될 경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기자코일(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자철심(221)은 자력선을 잘 통과시키고 맴돌이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해 얇은 규소강판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측에는 상기 전기자코일(222)이 권선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자코일(222)은 상기 전기자철심(221)(바람직하게는 전기자철심(221)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권선되면서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이 가능하고 Δ결선이나 Y결선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전기자코일(222)에는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전선(60)이 연결되는데, 상기 전선(60)을 통해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전기자코일(222)에는 자기장이 발생되며, 상기 전기자코일(222)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은 후술할 회전자(2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자석(214)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기자력이 발생되고, 이 기자력에 의하여 후술할 회전자(210)는 상기 고정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 stator 220 is a part fixed to the fixed shaft 10,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 is fixed to the fixed shaft 10 and coupled to the fixed shaft 10, the fixed shaft coupling An electric magnetic core 221 tha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unit 223 to allow the electric magnetic coil 222 to be wound, and an electric magnetic coil that is wound around the electric magnetic core 221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when a current is supplied. 222. The armature core 221 is preferably formed by laminating a thin silicon steel sheet in order to pass the magnetic field lines well and reduce the eddy current, and a groove may be formed at one side so that the armature coil 222 may be wound. . The armature coil 222 is wound around the armature core 221 (preferably a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armature core 221) while being able to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and using either Δ or Y connections. A wire 60 is connected to the armature coil 222 so that a current can be supplied. When the current is supplied through the wire 60,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armature coil 222, and the armature coil 222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interacts with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 214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tor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generate magnetic force, and the rotor 210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by the magnetic force. It is rotated about the axis 10.

상기 회전자(210)는 상기 고정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분으로, 크게 일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고정축(10)과 고정자(220)가 삽입될 수 있는 통상 원통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1회전자(210-1)와, 상기 제1회전자(210-1)의 개방된 일면에 탈부착결합되어 제1회전자(210-1) 내부에 고정축(10)과 고정자(220)를 삽입한 이후에 전기모터의 하우징(20)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회전자(210-2)가 상호 결합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자(2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회전자(210-1)의 원통형 내주면에는 자석(214)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극성이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기자코일(222)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기전력으로 자석(214)을 포함한 회전자(210) 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자(2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회전자(210-1)의 원통형 외주면에는 바퀴(80)를 고정하는 림(70)(이는 통상적으로 휠이라고 불리우는 구성임)이 결합하게 되면서 상기 회전자(210)의 회전에 따라 바퀴(8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회전자(210-1)는 상기 고정축(10)에, 상기 제2회전자(210-2)는 상기 고정축(10)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상기 고정축결합부(223)에 각각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축(1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The rotor 210 is a portion that rotates about the fixed shaft 10, the surface is largely open to form a generally cylindrical space in which the fixed shaft 10 and the stator 220 can be inserted therein. The first rotor 210-1 and the first rotor 210-1 are detachably coupled to an open surface of the first rotor 210-1 to fix the shaft 10 and the stator 220 inside the first rotor 210-1. After the insertion, the second rotor 210-2 to close the housing 20 of the electric mot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magnetic fields generated in the armature coil 222 ar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rotor 210-1 so that the magnets 214 cross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Due to the electromotive force by the interaction with the entire rotor 210 including the magnet 214 is rotated. In addition, the rotor 210, more specifically, the cylindrical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tor (210-1) rim 70 for fixing the wheel 80 (this is a configuration commonly referred to as a wheel) is combined The wheels 80 may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or 210.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tor 210-1 is fixed to the fixed shaft 10, and the second rotor 210-2 is fixed shaft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than the fixed shaft 10.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23 as a bearing, the fixed shaft 10 is rotated to the center of rotation.

특히,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자(220)가 상기 고정축결합부(223)에 전선(60)이 인입될 수 있는 별도의 전선인입공(2231)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축(10)에 전선(60)의 인입을 위한 별도의 통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고정축(10)의 직경을 키우지 않으면서도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모터의 문제점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모터(특히, 전기오토바이에 주로 사용되는 전기모터)에서는 전기모터의 하우징(b)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c)이 회전자(b1)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고정축(a)에 형성된 통공(a1)을 통해 인입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축(a)은 내부에 통공(a1)이 형성되는 공간만큼 내구성이 약해질 수밖에 없으며 특히, 보다 많은 기자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선(c)이 굵어지거나 전선(c)의 개수가 많아지는 경우 그에 따라 상기 고정축(a) 및 그 내부에 형성되는 통공(a1) 역시 커질 수밖에 없어 통공(a1)의 직경이 커지는 만큼 고정축(a)의 내구성이 약화되거나 이를 만회하기 위해 고정축(a) 자체의 직경을 키우는 경우 상대적으로 전기모터의 부피와 중량 역시 커지게 되는 단점을 내포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고정축결합부(223)에 전선(60)이 인입될 수 있는 별도의 전선인입공(2231)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축(10)에 전선(60)의 인입을 위한 별도의 통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전기모터는 물론 바퀴 전체의 구심점이 되는 고정축(10)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S. 5 to 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or 220 includes a separate wire entry hole 2231 into which the wire 60 may be inserted into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 By not forming a separate through hol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wire 60 in the fixed shaft 10 is characterized in that to maintain a high strength without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fixed shaft (10). As described above with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 show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 (especially, an electric motor mainly used for an electric motor), the wire (c) drawn into the housing (b) of the electric motor is Since the inlet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a1 formed in the fixed shaft a that form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or b1, the fixed shaft a is as durable as a space in which the through hole a1 is formed. In addition, the fixed shaft (a) and the through-hole (a1) formed therein according to the thickening of the wire (c) or the number of wires (c) in order to generate more magnetism, in particular As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1) increases, the durability of the fixed shaft (a) is weakened, or when the diameter of the fixed shaft (a) itself is increased to make up for it,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electric motor are also increased. Connot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forming a separate wire inlet hole (2231) into which the wire 60 can be inserted into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 the fixed shaft (10) ) So that a separate through hol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wire 60 is not formed, so as to ensure durability of the fixed shaft 10, which is the center of the wheel as well as the electric motor.

상기 고정축결합부(2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0)의 일부분을 둘러싸며 고정축(10)에 결합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자(220)의 골격기초를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앞서 설명한 제2회전자(210-2)는 상기 고정축(10)에 결합고정된 상기 고정축결합부(223)에 베어링 결합되어 상기 고정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고정축(10)은 상기 고정축결합부(223)가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는지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직경을 형성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fixed shaft coupling part 223 surrounds a part of the fixed shaft 10 and is fixed to the fixed shaft 10 to form a skeleton foundation of the stator 220. do. For reference, the second rotor 210-2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fixed shaft coupling part 223 fixed to the fixed shaft 10 to rotate about the fixed shaft 10. The fixed shaft 10 always forms a constant diameter regardless of whether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 is formed or not.

상기 전선인입공(22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0)을 둘러싸는 상기 고정축결합부(223)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외부에서 전선(60)이 상기 전선인입공(2231)을 통해 하우징(2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축결합부(223)에 별도로 형성된 상기 전선인입공(2231)을 통해 전선(60)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축(10)에는 종래와 다르게 전선(60)의 인입을 위한 별도의 통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고정축(10)의 내구성을 확보한다. 상기 전선인입공(22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되는 전선(60)의 개수에 맞추어 다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고 전선(60)의 직경에 맞추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앞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모터의 문제점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 상기 고정축(a)의 통공(a1)을 통해 인출되는 전선(c)은 외부에 노출될 수밖에 없어 전기자동차(특히, 전기오토바이)가 사고 등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바퀴에 연결되는 전기모터의 측면이 노면에 쓸리게 되거나 기타 외부요인 등에 의해 전선(c)이 쉽게 손상을 입게 되는 단점을 내포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인입공(2231)의 외부로 향하는 측의 말단이 상기 고정축(10)에 결합되는 지지대(40)(이는 고정축(10)을 지지하며 전기자동차의 프레임(5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후술하는 설명을 참조)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전선인입공(2231)의 외부로 향하는 측의 말단에서 인출된 전선(6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에 의해 보호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충격으로부터 전선(60)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전선인입공(2231)은 전선인입공(2231)으로부터 인출된 전선(60)이 상기 지지대(40)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전선인입공(2231)이 형성되는 방향이 상기 지지대(40)의 형성방향과 일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전선인입공(2231)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지지대(40)를 따라 구부러지는 전선(60)이 절곡되는 지점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선인입공(2231)의 외부로 향하는 측의 말단이 전선(60)이 구부러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wire introduction hole 2231 penetrates through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 surrounding the fixed shaft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wire 60 from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wire introduction hole ( In order to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20 through the 2231, the fixed by the wire 60 through the wire entry hole (2231) formed separately in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 to the fixed The shaft 10 is secured to the durability of the fixed shaft 10 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a separate through-hol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wire 60, unlike the conventional.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wire drawing holes 2231 may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wires 60 drawn therein, or may have a large diameter in accordance with the diameter of the wires 60.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with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 shown in FIG. 1, the electric wire (c) drawn through the through hole (a1) of the fixed shaft (a) inevitably be exposed to the outside to the electric vehicle ( In particular, the side of the electric motor that is connected to the wheel is swept by the road while the electric motorcycle is slipped due to an accident or the like, or the wire (c) is easily damaged by other external factor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shown in FIGS. 5 to 7, the end of the s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wire inlet hole 2231 is coupled to the fixed shaft 10 (40, which is a fixed shaft ( 1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rame 50 of the electric vehicle, it is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reference to be described later, the wire drawn out from the end of the s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wire entry hole (2231) ( 60) As shown in FIG. 7, by being protected by the support 4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60 from being easily damaged from external shock. In this case, the wire entry hole 2231 may have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entry hole 2231 is formed so that the wire 60 drawn out from the wire entry hole 2231 can be more effectively protected by the support 40. It is preferable to coincide with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upport 40, and also to prevent the wire 60, which is drawn out from the wire introduction hole 2231 and bent along the support 40, is damaged at the bending point. An end of the wire inlet 2223 toward the outside may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60 is bent.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20)이 상기 회전자(210)의 원주방향으로 밸런싱웨이트(216)를 삽입할 수 있는 밸런싱웨이트홈(215)을 포함하여, 상기 밸런싱웨이트(216)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자(210)의 회전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8,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20 includes a balancing weight groove 215 capable of inserting the balancing weight 21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or 210. 216 to adjust the rotational balance of the rotor (210).

상기 회전자(2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축(10)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구성으로, 특히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 상기 회전자(210)는 회전시 회전밸런스가 맞아야 원활하게 고속으로 회전을 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상기 회전자(210)의 외주면에 고정결합하여 함께 회전하게 되는 바퀴(80) 역시 전기자동차 몸체를 롤링시키지 않고 회전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회전자(210) 내부에는 자석(214)을 포함한 다수의 구성들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는 회전자(210)가 그 자체로 회전밸런스가 맞추어져 있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자(210)의 외측에서 회전자(210)의 원주방향으로 밸런싱웨이트(216)를 삽입할 수 있는 밸런싱웨이트홈(215)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밸런싱웨이트홈(215)에 삽입되어 회전자(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밸런싱웨이트(216)의 무게를 각각 조절하여 그 자체로 회전밸런스가 맞지 않은 상기 회전자(210)의 회전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The rotor 210 is configured to rotate about the fixed shaft 10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he rotor 210 that is rotated at high speed rotates smoothly at high speed when the rotation balance is correct during rotation. And, so that the wheel 80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is rotated together also can be rotated without rolling the electric vehicle body, the magnet inside the rotor 210 Since many configurations, including 214, are attached, it is difficult for the rotor 210, which includes these configurations, to be balanced by itself.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ancing weight groove 215 to include a balancing weight groove 215 which can insert the balancing weight 21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or 210 from the outside of the rotor 210. Inserted in and adjust the weight of the plurality of balancing weights 216 to be position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or 210 to adjust the rotational balance of the rotor 210 is not rotating balance itself by itself do.

상기 밸런싱웨이트홈(215)은 상기 회전자(210)의 원주방향으로 밸런싱웨이트(216)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회전자(210)의 회전밸런스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다수 개의 밸런싱웨이트(216)가 삽입되어야 하는바, 상기 밸런싱웨이트홈(215)은 상기 회전자(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밸런싱웨이트홈(215)이 회전자(2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밸런싱웨이트(215)를 외부에서 탈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The balancing weight groove 215 is formed to be inserted to insert the balancing weight 21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or 210, in order to precisely adjust the rotation balance of the rotor 210 Bar balancing weight 216 is to be inserted, the balancing weight groove 215 is preferably formed a pluralit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or 210, the balancing weight groove 215 is a rotor ( It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210 to make the balancing weight 215 detachable from the outside to facilitate the coupling operation.

상기 밸런싱웨이트(216)는 상기 밸런싱웨이트홈(215)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자(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삽입결합됨으로써 그 자체로 회전밸런스가 맞지 않은 상기 회전자(210)의 회전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각각 다른 무게를 갖는 다수 개의 밸런싱웨이트(216)을 적절하게 상기 밸런싱웨이트홈(215)에 삽입하여 회전밸런스를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회전자(210)의 일 측의 무게가 타 측의 무게보다 적음으로써 회전자(210)의 회전밸런스가 맞지 않은 경우에는, 회전자(210)의 일 측에 위치하는 밸런싱웨이트홈(215)에는 무게가 상대적으로 큰 밸런싱웨이트(216)를 삽입하고, 회전자(210)의 타 측에 위치하는 밸런싱웨이트홈(215)에는 무게가 상대적으로 작은 밸런싱웨이트(216)를 삽입하여 상기 회전자(210)의 회전밸런스를 조절하게 된다.
The balancing weight 216 is inserted into the balancing weight groove 215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plur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or 210 by itself rotational balance of the rotor 210 does not match the rotation balance In order to adjust the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balancing weights 216 each having a different weight may be properly inserted into the balancing weight groove 215 to adjust the rotational balance. For example, when the weight of one side of the rotor 210 is less than the weight of the other side, when the rotation balance of the rotor 210 is not matched, the balancing weight groove located on one side of the rotor 210 The balancing weight 216 is inserted into the balancing weight 216 having a relatively large weight, and the balancing weight 216 having a relatively small weight is inserted into the balancing weight groove 215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rotor 210. The rotational balance of the rotor 210 is adjust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서 고정축과 지지대가 결합하는 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지지대와 결속유지부가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고정축의 타측에서 제2지지대와 제2결속유지부가 결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in which a fixed shaft and a support are coupled to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support and the second binding support unit are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fixed shaft.

도 5, 9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는 상기 고정자(220)가 상기 고정축결합부(223)의 말단면에 고정축(10)을 지지하며 전기자동차의 프레임(50)에 연결되는 지지대(40)가 결속될 수 있는 별도의 지지대결속부(223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대결속부(2232)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40)와 고정축결합부(223)의 말단면을 덮어씌워 지지대(40)로부터 고정축(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유지부(30)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결속유지부(30)가 결합수단(321)에 의해 상기 지지대(40)와 결합하여 지지대(40)에서 고정축(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모터에서의 고정축(a)과 지지대(d)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고정축(a)을 지지하는 지지대(d)의 일측면에서 상기 고정축(a)에 나사결합되는 너트(e)만을 이용하여 고정축(a)과 지지대(d)를 결합하는 방식에 불과하기 때문에 잦은 운행 등으로 발생하는 운행 충격 등에 의해 상기 너트(e)가 느슨해지는 경우 고정축(a)이 상기 지지대(d)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어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문제 등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인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결속유지부(30)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결속유지부(30)가 결합수단(321)에 의해 상기 지지대(40)와 결합하여 지지대(40)에서 고정축(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5, 9 to 11, the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or 220 supports the fixed shaft 10 on the end surface of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 and the frame of the electric vehicle The support 40 which is connected to the support (50) includes a separate support for binding unit 2232 that can be bound, the support 40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40 is bound to the support binding unit 2232 And a binding retaining portion 30 which covers the end surface of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 to prevent the fixed shaft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40. Coupled with the support 40 by the coupling means 32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shaft 10 from the support 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Looking at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xed shaft (a) and the support (d)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 shown in Figure 2, the fixed shaft (a) on one side of the support (d) for supporting the fixed shaft (a) Since only the nut (e) is screwed to the fixed shaft (a) and the support (d) is only a method of combining the fixed shaft (e) when the nut (e) is loosened by the driving shock caused by frequent driving, etc. a)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pport (d) is a situation that often occurs due to the problem of safety accid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binding holding unit 30 is ad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cluding so that the binding holding unit 30 is coupled to the support 40 by the coupling means 321 to prevent the fixed shaft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40.

상기 지지대(40)는 일단은 고정축(10)을 지지하며 타단은 전기자동차의 프레임(50)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축(10)이 전기자동차의 프레임(50)과 일체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축(10)을 지지하는 지지대(40)의 일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0)이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고정축삽입홈(410)을 형성하는 제1단부(420)와 제2단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축삽입홈(410)의 직경은 상기 고정축(10)의 직경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고정축(10)의 삽입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40 has one end supporting the fixed shaft 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rame 50 of the electric vehicle so that the fixed shaft 10 can be fixed integrally with the frame 50 of the electric vehicle. In one configuration, one end of the support 40 for supporting the fixed shaft 10 is fixed shaft insertion groove 410 is formed is embedded so that the fixed shaft 10 can be inserted and coupled as shown in FIG. It may include a first end 420 and the second end 430 to form a. The diameter of the fixed shaft insertion groove 410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fixed shaft 10 to facilitate the insertion coupling of the fixed shaft (10).

상기 지지대결속부(2232)는 상기 고정축결합부(223)의 말단면에 상기 지지대(40)가 결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부분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대(40)의 제1단부(420)와 제2단부(4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호 평행하게 함입되는 홈부(22321)를 형성하는데, 상기 홈부(22321)의 사이에는 고정축(10)이 돌출되게 되어 상기 홈부(22321)에 결속되는 상기 지지대(40)의 제1단부(420)와 제2단부(430)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고정축삽입홈(410)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앞서 설명한 상기 전선인입공(2231)이 상기 전선인입공(2231)으로부터 인출된 전선(60)이 상기 지지대결속부(2232)에 결속되는 지지대(40)에 의해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선인입공(2231)이 형성되는 위치가 상기 지지대결속부(2232)의 홈부(22321)가 형성되는 위치로 되도록 하여 상기 전선인입공(2231)으로부터 인출된 전선(60)이 자연스럽게 상기 지지대결속부(2232)에 결속된 지지대(40)에 의해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binding unit 2232 is a portion formed so that the support 40 can be bound to the distal end of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 the support 40 is inserted as shown in FIG. A groove portion 22321 is formed to be reces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end portion 420 and the second end portion 430 of the support 40 can be inserted along the direction, and between the groove portion 22321 is fixed shaft. 10 is protruded to be fitted into the fixed shaft insertion groove 410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portion 420 and the second end portion 430 of the support 40 which is coupled to the groove portion 22321. do. In particular, the wire entry hole 2231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by the support 40, the wire 60 drawn out from the wire entry hole 2231 is bound to the support binding unit 2232. In order to ensure that the wire entry hole (2231) is formed to the position where the groove portion 22321 of the support binding unit 2232 is formed so that the wire 60 drawn from the wire entry hole (2231) naturally It is preferable to be protected from an external shock by the support 40 bound to the support binding unit 2232.

상기 결속유지부(30)는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대결속부(2232)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40)와 고정축결합부(223)의 말단면(외측면)을 덮어씌워 지지대(40)로부터 고정축(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유지부(30)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축(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유지부(30)의 양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대(40)의 제1단부(420)와 제2단부(430)가 상기 홈부(22321)에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양측으로는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제1단부(420)와 제2단부(430)를 포함한 지지대(40)의 외측면을 덮어씌우는 제1돌출단(310)과 제2돌출단(3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단(310)은 상기 결속유지부(30)에서 상기 지지대(40)의 말단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돌출단(310)이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지지대(40)의 말단까지를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돌출단(320)은 상기 결속유지부(30)에서 고정축(10)이 관통되는 통공을 중심으로 상기 제1돌출단(310)과 대향되는 위치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40)의 외측면을 덮어씌우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결속유지부(30)에서 상기 제1돌출단(310)과 제2돌출단(320) 사이의 측면은 상기 고정축결합부(223)의 외면을 둘러싸므로 상기 고정축결합부(223)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40)의 결속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binding holding unit 30 covers the end surfac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40 and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40 is bound to the support binding unit 2232. In the configuration to prevent the fixed shaft 10 is separated from the 40, as shown in Figure 9, the central portion of the binding holding portion 30 is formed through the hole so that the fixed shaft 10 can pass through On both sides of the binding holding part 30, more specifically, both sides of the first end portion 420 and the second end portion 430 of the support 40 are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oove portion 22321 is inserted. A first protruding end 310 and a second protruding end 320 may be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40 including the first end 420 and the second end 430. have. The first protruding end 310 is a portion formed by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binding holding part 30 toward the distal side of the support 40, and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protruding end 310 is the support ( It is preferably formed to a length that can cover the end of the 40). The second protruding end 320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to a position facing the first protruding end 310 around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10 penetrates in the binding holding unit 30. It is a part which covers the outer surface of 4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ide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310 and the second protrusion 320 in the binding holding portion 30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 As an example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s shown in Figure 9 is formed in a round shape to perform the function of maintaining the binding of the support 40.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속유지부(30)가 결합수단(321)에 의해 상기 지지대(40)와 결합하여 지지대(40)에서 고정축(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결합수단(321)은 상기 결속유지부(30)와 지지대(40)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이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는 한 특정수단에 국한하지는 않으나(즉, 관통공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볼트나 핀 등의 수단도 활용할 수 있음),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상기 결속유지부(30)의 저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결속유지부(30)에서 상기 지지대(40)의 외측면과 맞닿게 되는 면에서는 일정 길이 돌출되는 결합돌기(3211)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3211)와 맞닿게 되는 상기 지지대(40)의 외측면에서는 상기 결합돌기(3211)의 돌출된 길이에 상응한 길이로 함입되는 결합홈(3212)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기(3211)가 상기 결합홈(3212)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속유지부(30)와 지지대(40)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결합돌기(3211)와 결합홈(3212)을 형성하는 구조를 취하게 되면 별도의 구성없이 상기 결속유지부(30)를 정위치에 결속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상기 결속유지부(30)와 지지대(40) 상호 간을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수단(321)에 의해 상기 결속유지부(30)를 상기 지지대(40)에 결합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10)에 결합되는 볼트를 이용해 결속유지부(30) 및 지지대(40)와 지지대결합부()의 결합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결속유지부(30)는 운행 충격 등에 볼트의 결합이 다소 느슨해지는 경우더라도 상기 고정축(10)이 상기 지지대(40)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holding unit 30 is coupled to the support 40 by the coupling means 321 to prevent the fixed shaft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40, The coupling means 321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eans as long as it implements such a function as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the binding holding portion 30 and the support 40 to each other (that is, a coupling bol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r a pin or the like), 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binding retaining portion 30, more specifically, the abutment holding portion 30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40 The surface forms a coupling protrusion 3211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4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3211 into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oupling protrusion 3211. The coupling groove 3212 is formed to form the Whereby the engaging projection 321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212 can be applied to a structure for coupling the coupling the holding portion 30 and the support 40 between each other. Particularly, when the structure of forming the coupling protrusion 3211 and the coupling groove 3212 is taken, the binding holding unit 30 is merely a simple operation of binding the binding holding unit 30 to a proper position without a separate configuration. ) And the support 40 will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mbine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coupling holding part 30 is coupled to the support 40 by the coupling means 321, the binding holding part 30 is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40 using bolts coupled to the fixed shaft 10. Upon completion of the coupling of the support 40 and the support coupling portion (1), the binding holding portion 30 is easily fixed from the support 40 even when the coupling of the bolt is loosened somewhat, such as driving shoc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arture.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대(40)의 상기 제1단부(420)와 제2단부(430)가 사용 중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유지부(30)가 상기 제1돌출단(310)의 양측에 각각 절곡부(311)을 형성하여, 상기 결속유지부(30)가 상기 지지대(40)와 고정축결합부(223)의 말단면(외측면)을 덮어씌운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311)을 이용하여 상기 제1단부(420)와 제2단부(430)의 양측에 결속될 수 있도록 하여 절곡된 제1돌출단(310)의 양측이 상기 지지대(40)의 제1,2단부(420,43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2단부(420,430)의 말단부측 측면에는 후술할 절곡부(311)가 정확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길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단부함입부(미도시)와 같은 구성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ing holding part 30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first end 420 and the second end 430 of the support 40 from being opened during use. The bent portions 31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ne protruding end 310 so that the binding holding portion 30 covers the end surfaces (outer surfaces) of the support 40 and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 Both sides of the bent first protruding end 310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end 420 and the second end 430 by using the bent part 311. The first and second ends 420 and 430 may be prevented from spreading. For reference, the end portion sid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ends 420 and 430 is further formed with a configuration such as an end recess (not shown) which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bent portion 311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accurately fitted. May be

상기 절곡부(311)는 상기 결속유지부(30)의 제1돌출단(310)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유지부(30)가 상기 지지대(40)와 고정축결합부(223)의 말단면(외측면)을 덮어씌운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311)가 상기 제1단부(420)와 제2단부(430)의 말단부측 측면에 결속될 수 있도록 하여 절곡부(311)가 상기 지지대(40)의 제1,2단부(420,430)가 운행충격이나 외부충격 등에 의해 쉽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31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유지부(30)의 제2돌출단(320)의 양측에도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ent portion 311 is a portion extending and bent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projection end 310 of the binding holding portion 30, as shown in Figure 10 the binding holding portion 30 is the support ( The bent portion 311 may be coupled to the distal end side sides of the first end portion 420 and the second end portion 430 while covering the distal end surface (outer side surface) of the 40 and the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 The bent portion 311 may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ends 420 and 430 of the support 40 from being easily opened by the driving impact or the external impact. In addition, the bent portion 311 may be furth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rojection end 320 of the binding holding portion 30, as shown in FIG.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축(10)의 타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앞서 설명한 고정축결합부(223)나 지지대(40) 등이 결합되는 일단의 반대측 단에서 고정축(10)과 캘리퍼(90)를 지지하며 전기자동차의 프레임(50)에 연결되는 제2지지대(40')가 고정축(10)의 타단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지지대(40')의 일면(외측면)을 덮어씌우며 결합수단(321)에 의해 상기 제2지지대(40')와 결합하여 제2지지대(40')에서 고정축(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결속유지부(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2지지대(40')와 제2결속유지부(30')는 각각 앞서 설명한 상기 지지대(40) 및 결속유지부(30)와 전체적인 형상에서만 다소 상이할 뿐, 그 기능 및 각 구성들은 상기 고정축삽입홈(410), 제1단부(420), 제2단부(430), 제1돌출단(310), 제2돌출단(320), 절곡부(311) 및 결합수단(321)과 동일한 것인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제2결속유지부(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에 있어 상기 결속유지부(30)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2결속유지부(30')의 제2지지대(40')에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321)의 결합돌기(3211)와 결합홈(3212)와 동일한 제2결합돌기(3211')와 제2결합홈(3212')이 제2결속유지부(30')의 일측에 추가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결합돌기(3211')와 제2결합홈(3212')는 상기 고정축(10)의 전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상기 고정축(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1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fixed shaft 10, more specifically, the fixed shaft ( 10)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40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40' supporting the caliper 90 and connected to the frame 50 of the electric vehicle supports the other end of the fixed shaft 10. A second binding retaining portion covering the (outer side) and engaging with the second support 40 'by the coupling means 321 to prevent the fixed shaft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support 40'. 30 'may be further included, wherein the second support 40' and the second engagement holding portion 30 'are formed only in the overall shape with the above-described support 40 and the binding holding portion 30, respectively. Somewhat different, the function and the components are the fixed shaft insertion groove 410, the first end 420, the second end 430, the first protruding end 310, the second protruding end 320, Bends 311 and Texture The same as the combining means 321,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reference, the second binding holding portion 30 ′ may be larger than the binding holding portion 30 in the shape as shown in FIG. 11, in which case the second binding holding portion 30 ′. As shown in FIG. 11,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211 is the same as the coupling protrusion 3211 and the coupling groove 3212 of the coupling means 321 to securely couple the 30 'to the second support 40'. ')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3212' may be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inding holding portion 30 '.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211 ′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3212 ′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shaft 10,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211 ′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211 ′ may additionally prevent the fixed shaft 10 from being separated. It becomes possibl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서 회전자의 외주면에 림이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13은 제1,2림측면결합부와 림이 결합되는 부분을 확대도시한 참고도이다.
12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m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or in the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the first and second rim side coupling portion and the rim is coupled Reference is an enlarged view of the part.

도 5, 12 및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는 상기 회전자(210)가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바퀴(80)를 고정하는 림(70)의 일측면과 맞닿게 되는 제1림측면결합부(211)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210)의 외주면을 따라 끼워져 상기 제1림측면결합부(211)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림(70)의 타측면과 맞닿게 되는 제2림측면결합부(212)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2림측면결합부(212)가 회전자(210)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2림측면결합부()가 동시에 림(7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림(70)을 하우징(20)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모터에서의 회전자(b1)와 바퀴(g)를 고정하는 림(f)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별도의 앵글(h)과 같은 구성을 사용하여 상기 앵글(h)의 일측은 상기 회전자(b1)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앵글(h)의 타측은 상기 림(f)의 밑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앵글(h)과 회전자(b1) 간을 볼트에 의해 결합하는 작업은 협소한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또한 상기 앵글(h)과 림(f) 간을 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작업은 용접작업 중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앵글(h)은 물론 상기 림(f)에 변형이 발생하여 결합된 림(f)의 형태가 진원의 형태와 더욱 멀어지게 되어 상기 림(f) 및 바퀴(g)의 회전밸런스가 맞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복잡한 공정으로 인해 작업시간 및 비용의 소요로 효율적인 공정이 진행되기 어려운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인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접작업 없이 별도의 제1,2림측면결합부(211,212)가 동시에 림(7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림(70)을 하우징(2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용접작업에 의한 소재의 변형이나 복잡한 공정으로 인한 비효율성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5, 12 and 13, the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with one side of the rim 70, the rotor 210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ix the wheel 80. It includes a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211 which is in contact, and is fit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2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other side of the rim (70)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212 further includes abutmen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s 212 are coupled to the rotor 210 at the same time. By pressing both sides of the rim (70) is characterized in that to fix the rim (70) to the housing (20). Looking at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rim (f) for fixing the rotor (b1) and the wheel (g)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 shown in Figure 3, the angle (h) us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ngle (h) Since one side of the) is coupled to the rotor (b1) by a bolt or the like, and the other side of the angle (h)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im (f) by welding, the angle (h) ) And the rotor (b1) between the work by the bolt is difficult to work smoothly due to the narrow space constraints, and also by welding the angle (h) and the rim (f) by welding The joining operation is a deformation of the angle (h) as well as the rim (f) by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is the shape of the combined rim (f) is further away from the shape of the round rim (f)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tation balance of the wheel (g) does not fit, and also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complicated process, it is difficult to proceed an efficient process due to the time and cost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separate first and second rim side coupling parts without welding work ( 211 and 212 simultaneously pressurize both sides of the rim 70 to fix the rim 70 to the housing 20 so as to solve the inefficiency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material by the welding operation or a complicated process.

상기 제1림측면결합부(211)는 상기 회전자(210)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바퀴(80)를 고정하는 림(70)의 일측면과 맞닿게 되는 부분으로, 도 1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자(210)의 외주면에서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돌출된 부분의 일 측면에 상기 림(70)의 측면과 맞닿는 제1림결합부분(2111)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211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im 70 for fixing the wheel 8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outer rim of the rotor 210 is formed to protrude a certain heigh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ay form a first rim engaging portion 2111 contacting the side of the rim 70 on one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have.

상기 제1림결합부분(2111)은 상기 제1림측면결합부(211)의 돌출된 일 측면에 상기 림(70)이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부분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림(70)의 일측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대략 수직방향으로 면을 이루는 제1부분(21111)과, 상기 림(70)의 밑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면을 이루는 제2부분(2111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21111)은 상기 제1림결합부분(2111)에서 상기 림(70)의 일측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대략 수직방향으로 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특히 상기 제1부분(21111)이 정확한 수직(연직)을 이루는 것보다는 상기 림(70)의 일측면을 비스듬히 가압할 수 있도록 일정 부분 하향 경사(θ)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할 제2림결합부분(2121)의 제1부분(21211)과 함께 상기 림(70)의 측면을 가압시 쐐기효과를 발휘하여 상기 림(7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부분(21112)은 상기 제1림결합부분(2111)에서 상기 림(70)의 밑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기 제2부분(21112)은 후술할 제2림결합부분(2121)의 제2부분(21212)과 함께 상기 림(70)이 상기 제1림측면결합부(211)와 제2림측면결합부(212) 사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림(70) 밑면의 폭과 동일한 너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부분(21111)과 제2부분(21112)의 연결부위가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림측면결합부(211)와 제2림측면결합부(212) 사이에 안착되는 상기 림(70)이 일측에 끼이거나 불안정하게 안착되지 않고 최대한 정렬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연결되는 림(70)과 바퀴(80)의 얼라이먼트를 양호하게 설정,유지시킬 수 있다. The first rim engaging portion 2111 is a portion formed so that the rim 70 abuts on a protruding side of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211, as shown in FIG. 13. A first portion 21111 forming a plane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70, and a second portion 21112 forming a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rim 70. It may be formed to include. The first portion 21111 is a portion that forms a surface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im 70 in the first rim engaging portion 2111, in particular the first portion 21111 is Rather than forming an exact vertical (vertical), it is preferable to form a predetermined downward inclination (θ) so that one side of the rim 70 can be pressed at an angle. This is to exert a wedge effect when pressing the side of the rim 70 together with the one part 2211 to more firmly fix the rim 70. The second portion 21112 is a portion that forms a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rim 70 in the first rim engaging portion 2111, the second portion 21112 will be described later The rim 70 together with the second portion 221212 of the rim engaging portion 2121 may be seated between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211 and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212. 70) Make the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base.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21111 and the second portion 21112 is formed in a round shape, so that between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211 and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212. The alignment of the rim 70 and the wheel 80 to be connected can be satisfactorily set and maintained by allowing the rim 70 to be seated on one side to be aligned as much as possible without being caught on one side or unstable.

상기 제2림측면결합부(212)는 상기 회전자(210)의 외주면을 따라 끼워져 상기 제1림측면결합부(211)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림(70)의 타측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부분으로, 도 1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자(210)의 외주면을 따라 끼워질 시 상기 회전자(210)의 외주면보다 일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된 부분의 일 측면에 상기 림(70)의 타측면과 맞닿는 제2림결합부분(2121)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212 is fit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2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rim 70. As shown in FIG. 12, when the rim is fit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the rim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that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The second rim engaging portion 2121 may b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70.

상기 제2림결합부분(2121)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의 상기 제1림결합부분(2111)에서와 대응되게 상기 림(70)의 일측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대략 수직방향으로 면을 이루는 제1부분(21211)과, 상기 림(70)의 밑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면을 이루는 제2부분(2121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21211)과 제2부분(21212)은 각각 상기 제1림결합부분(2111)의 제1부분(21111) 및 제2부분(2111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2림측면결합부(212)는 도 1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림측면결합부(212)의 외측면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1림측면결합부(211)까지 관통하여 체결되는 별도의 볼트(볼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결합수단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에 의해 체결되면서 상기 제1림측면결합부(211)와 함께 각각 상기 림(7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회전자(210)의 외주면에 림(70)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인바,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함으로써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도 림(70)을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단축하고 외부에서 보이는 미관도 개선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림(70)의 밑면과 회전자(210)가 인접한 부위의 협소한 공간에서의 (연결)작업이 아닌 상기 제2림측면결합부(212)의 외측면에서 이루어지는 연결작업(볼트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림(70)의 밑면부가 아닌 측면부를 통해 림(70)과 회전자(210)가 가압결합되기 때문에 회전자(210)에 결합되는 림(70)의 형태가 진원과 다소 일치하지 않는 경우더라도 최종 연결된 림(70) 및 바퀴(80)의 얼라이먼트를 양호하게 설정,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3, the second rim engaging portion 2121 has a surface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im 70 to correspond to the first rim engaging portion 2111. And a second portion 221212 forming a surf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rim 70. Since the first portion 221211 and the second portion 221212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first portion 21111 and the second portion 21112 of the first rim coupling portion 2111, respectively, The description is omitted.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212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212, as shown in Figure 13, etc. to be penetrated to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211 through The rotor (210) by pressing both sides of the rim (70) together with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211 while being fastened by a bolt (not to exclude the coupling means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bolt) In this structure, the rim 70 can be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 By taking such a structure, the rim 70 can be firmly fastened without a separate welding operation, thereby shorte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mproving the aesthetics seen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212, rather than the (connection) operation in a narrow space of the adjacent portion of the rim 70 and the rotor 210 as in the prior art (Bolt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If the shape of the rim 70 coupled to the rotor 210 does not coincide somewhat with the round since the rim 70 and the rotor 210 are pressurized through the side portion rather than the bottom of the rim 70. Even if the alignment of the rim 70 and the wheel 80 is finally connected can be set and maintained well.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에서 회전자의 내주면에 자석을 삽입한 코어가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15는 자석삽입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코어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14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in which a core inserted with a magnet is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rotor in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core in which magnet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Reference is also shown.

도 5, 14 및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는 상기 회전자(2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회전자(210-1)이나 제2회전자(210-2)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의 내주면에 결합고정되면서 자석(214)을 삽입할 수 있는 자석삽입홈(21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코어(213)를 추가로 포함하여, 모터의 작동 중 자석(214)의 탈리로 인한 안전성 문제를 방지하고 자석(214) 간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여 기자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모터에서 회전자(b1) 내주면에 자석(i)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종래에는 회전자(b1)의 내주면에 일일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자석(i)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을 하기 때문에 접착제를 사용한 부착공정이 복잡하여 제조시간 및 비용면에 있어 비효율적이며, 상기 자석(i)을 정확하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 역시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누적공차 등을 고려할 때 거의 불가능하여 상기 자석(i)에서 발생되는 자기장 및 그로 인한 기자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특히 운행 충격 등에 의해 운행 중 상기 자석(i)이 상기 회전자(b1) 내에서 탈리되는 경우 탈리된 자석(i)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자석(i)을 회전자(b1) 내주면에 부착하는 방식에서는 자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회전자(b1)를 포함한 하우징(b)을 반드시 스틸로 제조하여야 하는바, 그로 인해 하우징(b)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져 과중량으로 인한 비효율성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인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석(214)을 삽입할 수 있는 자석삽입홈(21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별도의 코어(213)를 상기 회전자(210)의 내주면에 결합고정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모터의 작동 중 자석(214)의 탈리로 인한 안전성 문제를 방지하고 자석(214) 간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여 기자력을 최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코어(213)를 제외한 회전자(210)를 포함한 하우징(20)은 스틸이 아닌 보다 가벼운 재질로 형성할 수 있어 과중량으로 인한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5, 14 and 15, a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otor 21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rotor 210-1 or the second rotor 210-2. The magnetic insertion groove 2131 for inserting the magnet 214 while being fixed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 214 may be further inclu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magnetic force by preventing the safety problem due to detachment and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magnets 214 accurately. Referring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magnet i i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b1 using an adhesive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 shown in FIG. 4, the magnet i is conventionally used by using an adhesiv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b1. ) Is formed by attaching at regular intervals, and thus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adhesive is complicated, which is inefficient in terms of manufacturing time and cost, and forming the magnet (i) accurately at regular intervals also occu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nsidering the cumulative tolerance and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 (i) and its magnetic force are deteriorated, and, in particular, the magnet (i) is operated by the driving shock, etc. When detached from within, a problem of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detached magnet (i) occurs, and in the method of attaching the magnet (i)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or (b1), In order to ensure that the housing (b) including the rotor (b1) to be made of steel, thereby causing the weight of the housing (b) itself heavy, there is also a problem of inefficiency due to overweigh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agnet insertion groove 2131 into which the magnet 214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to form a separate core 213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y taking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problems due to detachment of the magnet 214 during operation of the motor and to accurately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magnets 214 to maximize the magnetic force, as well as the rotor 210 except the core 213. The housing 20 may be formed of a lighter material than steel, thereby improving inefficiency due to overweight.

상기 코어(213)는 상기 회전자(210)의 내주면에 결합고정되면서 자석(214)을 삽입할 수 있는 자석삽입홈(21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 경우 상기 코어(213)가 자석(214)의 자로를 형성하게 되어 기자력을 높이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213)는 전체적으로 상기 회전자(210)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도록 원통형을 이루는 튜브형상을 형성하는데, 상기 코어(213)의 외주면의 직경은 삽입되는 상기 회전자(210)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다소 크게 형성되어야 상기 회전자(210)의 내주면에 결합고정시 압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회전자(210)의 내주면보다 다소 큰 직경을 형성하는 상기 코어(213)를 회전자(210)의 내주면에 결합고정시에는 회전자(210)의 내주면에 열을 가한 후 상기 코어(213)를 삽입(이때, 필요에 따라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음)하게 되면 회전자(210) 내주면이 냉각됨에 따라 삽입된 코어(213)가 회전자(210) 내부에서 견고하게 압입되게 된다. 상기 코어(213)의 내부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향하여 관통되며 자석(214)을 삽입할 수 있는 자석삽입홈(213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코어(213)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자석(214)을 회전자(210)의 내주면에 직접 부착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자(210) 나아가 하우징(20)의 재질을 스틸이 아닌 알루미늄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전기모터 전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core 213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and the magnet insertion groove 2131 for inserting the magnet 21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is case the core 213 is By forming the magnetic path of the magnet 214 to increase the magnetic force. As shown in FIG. 15, the core 213 forms a tubular tube shape that is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as a whole.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213 is inserted into the core 213.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n 210 is equal to or preferably larger than tha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n 210 so as to be firmly fixed by being push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When the core 213 forming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heat is appli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and then the core 213 is applied. When inserted (in this case, an adhesive may be used as necessary), the inner core surface of the rotor 210 is cooled, so that the inserted core 213 is firmly pressed in the rotor 210. The inside of the core 213 penetrates from one side toward the other side and has a magnet insertion groove 2131 into which the magnet 214 can be inser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gnet 214 is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by using the core 213, the material of the rotor 210 and the housing 20 may be made of aluminum instead of steel. Since the weight of the entire electric motor can be reduced,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상기 자석삽입홈(2131)은 상기 코어(213)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향하여 관통되며 자석(214)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213)의 반경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균일한 형태의 다수 개의 자석삽입홈(2131)이 정렬되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자석삽입홈(2131)은 상기 코어(213)의 반경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특히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한 자석삽입홈(2131)끼리 서로 상반되는 경사각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V'자 형태가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면적에서의 자속량을 늘려 기자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코어(213)의 둘레를 따라 삽입되는 자석(214)의 면적이 커질수록 자석(214)에서 발생하는 자속량이 늘어나게 되므로 이를 위해 상기 자석삽입홈(2131)이 형성되는 형상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한 자석삽입홈(2131)끼리 서로 상반되는 경사각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V'자 형태가 반복되도록 하여 코어(213)의 둘레를 따라 상기 자석삽입홈(2131)에 삽입되는 자석(214)의 전체적인 면적을 늘려 발휘되는 지자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자석삽입홈(2131)이 형성된 코어(213)를 활용하는 경우 회전자(210)의 내주면에 결합하는 자석(214)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자석(214)이 운행충격 등에 의해 쉽게 탈리되는 것 역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자석(214)을 회전자(210)의 내주면에 직접 부착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자(210) 나아가 하우징(20)의 재질을 스틸이 아닌 알루미늄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전기모터 전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magnet insertion groove 2131 penetrates from one side of the core 213 toward the other side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magnet 214 can be inserted. The core 213 is illustrated in FIG. 15. A plurality of magnet insertion grooves 2131 having a uniform shape at regular interval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 are arranged to be aligned. The magnet insertion groove 2131 may be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re 213,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By repeating the shape, it can be formed to maximize the magnetic force by increasing the amount of magnetic flux in the same area. That is, the magnetic flux generated from the magnet 214 increases as the area of the magnet 214 inser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ame core 213 increases, so that the magnet insertion groove 2131 is formed in FIG. 15. As shown, the magnets 214 inserted into the magnet insertion grooves 2131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re 213 are formed such that mutually adjacent magnet insertion grooves 2131 mutually incline to each other to form a 'V' shape. Increase the overall area of the) to increase the geomagnetic force exer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utilizing the core 213 having the magnet insertion groove 2131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magnets 214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may be maintained uniformly, as well as the magnets 214. Easily detached by this driving shock, etc. also ha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magnet 214 is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the material of the rotor 210 and the housing 20 can be formed of aluminum instead of steel,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entire electric motor. This can improve the efficiency.

상기 회전자(210)에 삽입되는 상기 코어(21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자(210)의 최외곽측 내주면에 결합고정되는 제1코어(213-1)와, 상기 회전자(210)의 중심부측 내주면에 결합고정되는 제2코어(2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코어(213-1)와 제2코어(213-2)는 그 크기 및 설치되는 위치에 있어서만 상이할 뿐, 회전자(210)에 결합되는 방식이나 상기 자석삽입홈(2131)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코어(213-1)와 제2코어(213-2)를 동시에 상기 회전자(210)의 내주면에 결합고정(즉, 앞서 설명한 상기 전기자코일(222)과 자석(214)이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함으로써, 하나의 전기모터에서 발생하는 기자력을 최대화하여 큰 토크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re 213 inserted into the rotor 210 includes a first core 213-1 coupled to and fixed to the outermo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as shown in FIG. 14, and the rotor. The second core 213-2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210. The first core 213-1 and the second core 213-2 differ only in the size and the installed position of the first core 213-1 and the second core 213-2, and are coupled to the rotor 210 or the magnet insertion groove 2131. In including, it is the same structure. As such, the first core 213-1 and the second core 213-2 are simultaneously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210 (that is, the armature coil 222 and the magnet 214 described above) It can be formed in multiple stages, thereby maximiz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in one electric motor to exert a large torque.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within the scope.

10: 고정축 20: 하우징
210: 회전자(210-1: 제1회전자, 210-2: 제2회전자)
211: 제1림측면결합부 2111: 제1림결합부분 21111: 제1부분 21112: 제2부분
212: 제2림측면결합부 2121: 제2림결합부분 21211: 제1부분 21212: 제2부분
213: 코어(213-1: 제1코어, 213-2: 제2코어) 2131: 자석삽입홈 214: 자석
220: 고정자 221: 전기자철심 222: 전기자코일
223: 고정축결합부 2231: 전선인입공 2232: 지지대결속부 22321: 홈부
30: 결속유지부(30': 제2결속유지부) 310: 제1돌출단 311: 절곡부
320: 제2돌출단 321: 결합수단
3211: 결합돌기 (3211': 제2결합돌기) 3212: 결합홈(3212': 제2결합홈)
40: 지지대(40': 제2지지대) 410: 고정축삽입홈
420: 제1단부 430: 제2단부
50: 프레임 60: 전선 70: 림 80: 바퀴 90: 캘리퍼
*종래기술에 관련된 부호
a: 고정축 a1: 통공
b: 하우징 b1: 회전자
c: 전선 d: 지지대 e: 너트 f: 림 g: 바퀴
h: 앵글 i: 자석
10: fixed shaft 20: housing
210: rotor (210-1: first rotor, 210-2: second rotor)
211: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2111: first rim engaging portion 21111: first portion 21112: second portion
212: second rim side coupling portion 2121: second rim coupling portion 21211: first portion 21212: second portion
213: core (213-1: first core, 213-2: second core) 2131: magnet insertion groove 214: magnet
220: stator 221: armature core 222: armature coil
223: fixed shaft coupling portion 2231: wire entry hole 2232: support rod binding portion 22321: groove portion
30: binding holding unit (30 ': second binding holding unit) 310: first protrusion 311: bent portion
320: second protrusion 321: coupling means
3211: coupling protrusion (3211 ': second coupling protrusion) 3212: coupling groove (3212': second coupling groove)
40: support (40 ': second support) 410: fixed shaft insertion groove
420: first end 430: second end
50: frame 60: wire 70: rim 80: wheel 90: caliper
* Code related to the prior art
a: fixed shaft a1: through hole
b: housing b1: rotor
c: wire d: support e: nut f: rim g: wheel
h: angle i: magnet

Claims (4)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결합고정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바퀴를 고정하는 림의 측면과 맞닿게 되는 제1림측면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을 따라 끼워져 상기 제1림측면결합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림의 타측면과 맞닿게 되는 제2림측면결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2림측면결합부가 회전자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2림측면결합부가 동시에 림의 측면을 가압하여 림을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
A fixed shaft; And a housing including a stator coupled to the fixed shaft and a rotor rotating about the fixed shaft.
The rotor includes a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which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buts the side of the rim fixing the wheel,
Further comprising a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rim,
The second rim sid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rotor while the first and second rim side coupling portions simultaneously press the sides of the rim to fix the rim to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림측면결합부는 제2림측면결합부를 관통하여 제1림측면결합부에 결속되는 볼트를 이용하여 회전자에 결합됨으로써,
용접 없이 간단하고 용이한 결합작업으로 림을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rotor using a bolt that penetrates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and is bound to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m can be fixed to the housing by a simple and easy joining operation without weld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림측면결합부에서 림의 측면과 맞닿는 제1림결합부분과, 상기 제2림측면결합부에서 림의 측면과 맞닿는 제2림결합부분은 각각 림의 측면과 맞닿는 제1부분과 림의 밑면과 맞닿는 제2부분의 연결부위가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진원을 이루지 않는 림의 결점을 보완하여 얼라이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rim engag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im in the first rim side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rim engag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im in the second rim side engaging portion, respectively, the first portion and rim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im.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electric mo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round shape, to improve the alignment by compensating for the defects of the non-round ri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림의 측면을 비스듬히 가압할 수 있도록 일정 부분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림의 측면을 가압시 쐐기효과를 발휘하여 상기 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전기모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downward slope so as to press the side of the rim obliquely, it is possible to exert a wedge effect when pressing the side of the rim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rim Electric motors for electric vehicles.
KR1020100071274A 2010-07-23 2010-07-23 An electromotor for an electric automobile KR1010632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274A KR101063232B1 (en) 2010-07-23 2010-07-23 An electromotor for an electric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274A KR101063232B1 (en) 2010-07-23 2010-07-23 An electromotor for an electric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232B1 true KR101063232B1 (en) 2011-09-07

Family

ID=4495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274A KR101063232B1 (en) 2010-07-23 2010-07-23 An electromotor for an electric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23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824Y1 (en) 2004-11-18 2005-03-11 강세환 Light Emitting Display Whe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824Y1 (en) 2004-11-18 2005-03-11 강세환 Light Emitting Display Whe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108B1 (en) An Electromotor for an Electric Automobile
KR101063230B1 (en) An electromotor for an electric automobile
EP2106948A1 (en) Housing structure of in-wheel motor
US8701805B2 (en) Motor having rotors arranged concentrically and driving apparatus having the motor
WO2004017488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CN111601728B (en) In-wheel motor driving apparatus
GB2522021A (en) A rotor for an electric motor or generator
JP2006187116A (en) Electric wheel
JP2007028854A (en) Rotary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 wheelchair
CN103155361A (en) Spring element for mechanically fixing magnets in a rotor
EP3199438A2 (en) An electric vehicle
CN104600889A (en) Hub motor power generation integrated machine
US20160156245A1 (en) Cantilever stator
KR101063232B1 (en) An electromotor for an electric automobile
KR101152728B1 (en) An Electromotor for an Electric Automobile
KR101331696B1 (en) Apparatus of Driving Wheels for in-wheel System
US20230398856A1 (en) Wheel system for a vehicle, vehicle and wheel rim
TWI712248B (en) Generator for bicycle
US20150048701A1 (en) Rotor Including Segmented Yoke
KR100675944B1 (en) Motor board
CN105914976B (en) Generator of bicycle
KR101754038B1 (en) A Hub Motor of Electric Automobile
JP2022102368A (en) Generator for human-driven vehicle, stator for gen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213521437U (en) Radial magnetizing direction rotor structure an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traction machine
CN104742724A (en) Double-function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