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001B1 - 회전식 당구대 - Google Patents

회전식 당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001B1
KR101063001B1 KR1020100007864A KR20100007864A KR101063001B1 KR 101063001 B1 KR101063001 B1 KR 101063001B1 KR 1020100007864 A KR1020100007864 A KR 1020100007864A KR 20100007864 A KR20100007864 A KR 20100007864A KR 101063001 B1 KR101063001 B1 KR 101063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ard table
billiard
support portion
side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116A (ko
Inventor
김동옥
Original Assignee
김동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옥 filed Critical 김동옥
Priority to KR102010000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0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4Billiard tables convertible into other tables, or the like
    • A63D15/045Billiard tables convertible into other tables, or the like into different kinds of billiard tables, e.g. converting a pocket billiard table into a carom billiard table

Landscapes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당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당구대의 일면에는 3구 또는 4구를 칠 수 있는 당구부가 구성되고 당구대의 이면에는 포켓볼을 칠 수 있는 포켓부가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하나의 당구대를 이용하여 3구 또는 4구 또는 포켓볼을 선택하여 즐길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크게 증대되고, 당구대가 원심축을 중심으로 양방향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당구경기를 위한 당구대의 일면 또는 이면을 상부측에 위치시키기가 용이하여 여성 사용자도 쉽게 당구 경기를 즐길 수 있어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며 하부에 큐대나 당구볼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더 구성됨으로써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회전식 당구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나의 당구대를 이용하여 3구 또는 4구 및 포켓볼을 선택하여 즐길 수 있는 당구대에 있어서, 일면에 3구 또는 4구를 칠 수 있는 당구부(11)가 구성되고 이면에는 포켓볼을 칠 수 있는 포켓부(12)가 구성되며 양측면(13) 중앙에 각각 원심축(14)이 구성되며 상기 원심축(14)의 양측에 각각 2개의 고정홈(15)(16)이 형성된 당구대(10)와; 상기 당구대(10)의 양측면 중앙에 각각 구성된 원심축(14)이 축설되는 지지베어링(20)과; 상기 지지베어링(20)이 양측 상단에 구성되고 상기 당구대(10)의 고정홈(15)(16)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양측에 각각 체결공(31)(31)들이 통공된 상단지지부(32)와, 상기 상단지지부(32)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하단지지부(33)와, 상기 상단지지부(32)와 하단지지부(33)의 중앙측을 수직 연결하고 하면에 보조걸이공(34)이 통공된 중앙지지부(35)와, 상기 중앙지지부(35)의 양측에 수직 형성되어 상기 상단지지부(32)와 하단지지부(33)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양측지지부(36)(36)로 구성되는 2개의 지지체(30)(30)와; 상기 지지체(30)의 상단지지부(32) 중앙에 고정편(41)에 의해 고정되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체인(4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지지체(30)의 상단지지부(32)에 통공된 체결공(31)(31)들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당구대(10)의 고정홈(15)(16)에 끼워져 상기 당구대(10)를 고정하는 고정핀(4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지지체(30)(30) 하부에 구성되는 하단지지부(33) 사이에는 내부에 큐대나 당구볼이 수용되는 수용부(5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50)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50)를 개방하는 덮개(51)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회전식 당구대{ROTATION TYPE BILLIARD TABLE}
본 발명은 회전식 당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면과 이면에 각각 4구 또는 3구를 칠 수 있는 당구부와 포켓볼을 칠 수 있는 포켓부가 구성되되, 이 당구부와 포켓부가 구성된 당구대를 회전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당구대를 회전시켜 4구 또는 3구 또는 포켓볼을 번갈아 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당구대가 좌우측면에 구성된 원심축에 의해 원심회전되도록 하여 쉽게 당구대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당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라 함은 부드러운 천을 깐 당구대(테이블) 위에 상아로 된 공을 올려놓고 큐대로 쳐서 승부를 가리는 구기 경기 종목의 하나로서, 이러한 당구를 즐기기 위해서는 당구대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당구대는 경기 종목에 따라 4구경기와 쓰리큐션이라 불리는 3구경기를 할 때의 당구대와 포켓볼을 할 때의 당구대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으며, 4구 또는 3구를 치는 당구대는 평판형의 당구부로 구성되어 있고, 포켓볼을 치는 당구대는 평판형의 가장자리측과 중앙측에 각각 볼이 인입되는 홀이 형성된 포켓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당구를 즐기는 사용자가 3구 또는 4구를 치고자 할 경우에는 평판형 당구부가 형성된 당구대를 사용하여야 하고, 포켓볼을 치고자 할 경우에는 가장자리측과 중앙측에 홀이 형성된 평판형 포켓부가 구성된 당구대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당구장의 경우에는 3구 또는 4구를 치기 위한 평판형 당구부를 갖는 당구대와 홀이 형성된 평판형 포켓부를 갖는 당구대가 각각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 다른 당구경기를 할 수 있지만, 당구장이 아닌 가정이나 휴식실 등에서는 가격의 고가인 당구대를 각각 종류별로 구비할 수 없기 때문에, 대개 3구나 4구를 칠 수 있는 평판형 당구부가 구성된 당구대를 주로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당구인구의 증가로 인해 가정에서도 쉽게 당구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당구대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조립식 당구대 역시 3구 또는 4구를 즐길 수 있는 당구대와 포켓볼을 즐길 수 있는 당구대가 각각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 2가지 종류의 조립식 당구대를 구입해야 할 경우에 가계비용에 큰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근자들어서는 당구가 여성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구기 종목으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고, 여성들의 경우에는 3구나 4구 보다는 치기 쉬운 포켓볼을 많이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 2가지 종류의 당구대 모두를 구입할 수 없어 부득이하게 포켓볼을 치기 위해서는 근처의 당구장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당구대의 일면에는 3구나 4구를 칠 수 있도록 하고 이면에는 포켓볼을 칠 수 있도록 한 당구대가 안출된 바 있다.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23150호인 캐럼 당구대와 포켓 당구대로 상호 변형 가능한 당구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면에 다수의 공이 얹혀지며, 다수의 지점에 공이 투입되는 포켓이 형성된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각 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댐퍼와, 상기 댐퍼의 내측에 포켓볼 게임에 사용되는 공의 직경과 대응하는 높이로 설치되며, 테이블의 포켓을 노출시킬 수 있는 길이로 댐퍼에 결합된 포켓게임 쿠션유닛과, 상기 댐퍼의 내측에 캐럼볼 게임에 사용되는 공의 지경과 대응하는 높이로 설치되며, 테이블의 포켓을 은폐시킬 수 있는 길이로 댐퍼에 결합된 캐럼게임 쿠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포켓게임 쿠션유닛과 캐럼게임 쿠션유닛은 각각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것이 댐퍼에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캐럼게임 즉 3구나 4구를 치거나 또는 포켓볼을 치고자 할 경우에는 테이블에 쿠션유닛을 조립하거나 조립된 쿠션유닛을 분리하여 테이블에 형성된 포켓 즉 볼이 인입되는 홀을 막거나 개방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쿠션유닛을 조립하거나 분리함에 따른 번거로움이 야기되고 쿠션유닛의 잦은 조립 및 분리작업에 의해 쿠션유닛이 닳게 되어 쿠션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당구대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당구대의 일면에는 3구 또는 4구를 칠 수 있는 당구부를 구성하고, 당구대의 이면에는 포켓볼을 칠 수 있는 포켓부를 구성하되, 상기 당구대가 하부의 지지다리를 중심으로 원심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당구 경기를 쉽게 즐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당구대의 회전에 의해 포켓볼과 3구 또는 4구의 당구경기를 하나의 당구대를 이용하여 즐길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며 지지다리의 하부측에 큐대 및 당구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케이스를 더 구성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식 당구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회전식 당구대는, 하나의 당구대를 이용하여 3구 또는 4구 및 포켓볼을 선택하여 즐길 수 있는 당구대에 있어서, 일면에 3구 또는 4구를 칠 수 있는 당구부가 구성되고 이면에는 포켓볼을 칠 수 있는 포켓부가 구성되며 양측면 중앙에 각각 원심축이 구성되며 상기 원심축의 양측에 각각 고정홈이 형성된 당구대와; 상기 당구대의 양측면 중앙에 각각 구성된 원심축이 축설되는 지지베어링과; 상기 지지베어링이 양측 상단에 구성되고 상기 당구대의 고정홈이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양측에 각각 체결공이 통공된 상단지지부와, 상기 상단지지부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하단지지부와. 상기 상단지지부와 하단지지부의 중앙측을 수직 연결하고 하면에 보조걸이공이 통공된 중앙지지부와, 상기 중앙지지부의 양측에 수직 형성되어 상기 상단지지부와 하단지지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양측지지부로 구성되는 2개의 지지체와; 상기 상단지지부의 중앙에 고정되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지지체의 상단지지부에 통공된 체결공으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당구대의 고정홈에 끼워져 상기 당구대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2개의 지지체 하부에 구성되는 하단지지부 사이에는 내부에 큐대나 당구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더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는 덮개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회전식 당구대는, 당구대의 일면에는 3구 또는 4구를 칠 수 있는 당구부가 구성되고 당구대의 이면에는 포켓볼을 칠 수 있는 포켓부가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하나의 당구대를 이용하여 3구 또는 4구 또는 포켓볼을 선택하여 즐길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크게 증대되고, 당구대가 원심축을 중심으로 양방향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당구경기를 위한 당구대의 일면 또는 이면을 상부측에 위치시키기가 용이하여 여성 사용자도 쉽게 당구 경기를 즐길 수 있어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며 하부에 큐대나 당구볼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더 구성됨으로써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회전식 당구대의 당구부가 상부측에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회전식 당구대의 포켓부가 상부측에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회전식 당구대의 회전을 위해 고정핀이 빠진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회전식 당구대의 일면이 수직되게 뒤집어져 회전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회전식 당구대의 이면이 수직되게 뒤집어져 회전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회전식 당구대의 수용부 구성을 나타낸 당구대를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회전식 당구대는, 하나의 당구대를 이용하여 3구 또는 4구 및 포켓볼을 선택하여 즐길 수 있는 당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에 3구 또는 4구를 칠 수 있는 당구부(11)가 구성되고 이면에는 포켓볼을 칠 수 있는 포켓부(12)가 구성되며 양측면(13) 중앙에 각각 원심축(14)이 구성되며 상기 원심축(14)의 양측에 각각 2개의 고정홈(15)(16)이 형성된 당구대(10)와, 상기 당구대(10)의 양측면 중앙에 각각 구성된 원심축(14)이 축설되는 지지베어링(20)과, 상기 지지베어링(20)이 양측 상단에 구성되고 상기 당구대(10)의 고정홈(15)(16)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양측에 각각 체결공(31)(31)들이 통공된 상단지지부(32)와, 상기 상단지지부(32)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하단지지부(33)와, 상기 상단지지부(32)와 하단지지부(33)의 중앙측을 수직 연결하고 하면에 보조걸이공(34)이 통공된 중앙지지부(35)와, 상기 중앙지지부(35)의 양측에 수직 형성되어 상기 상단지지부(32)와 하단지지부(33)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양측지지부(36)(36)로 구성되는 2개의 지지체(30)(30)와, 상기 지지체(30)의 상단지지부(32) 중앙에 고정편(41)에 의해 고정되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체인(4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지지체(30)의 상단지지부(32)에 통공된 체결공(31)(31)들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당구대(10)의 고정홈(15)(16)에 끼워져 상기 당구대(10)를 고정하는 고정핀(4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회전식 당구대의 크기는 경기용이나 일반용 또는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의 크기로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크기는 각각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면에 당구부(11)가 구성되고 이면에 포켓부(12)가 구성된 당구대(10) 및 상기 당구대(10)를 지지하여 주는 지지체(20)의 재질은 원목이나 합성수지 또는 석재 또는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회전식 당구대는, 당구대의 일면과 이면에 각각 3구 또는 4구를 칠 수 있는 당구부(11)와 포켓볼을 칠 수 있는 포켓부(12)가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당구경기를 하나의 당구대를 이용하여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 및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더욱이, 하나의 공간에 구비되는 본 발명인 회전식 당구대에 의해 3구 및 4구 또는 포켓볼과 같은 서로 다른 종류의 당구경기를 모두 즐길 수 있어 당구경기를 위한 공간활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인 회전식 당구대는 상기 당구대(10)가 지지체(20)의 내측에서 원심되게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체(30)의 상단지지부(32) 상면에 구성된 지지베어링(20)에 끼워지는 상기 당구대(10)의 양측면에 구성된 원심축(14)을 중심으로 당구대(10)의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원하는 당구경기를 즐기기 위해 당구대(10)의 일면 또는 이면을 상부측에 노출되도록 위치시켜 3구 및 4구는 물론 포켓볼을 간편하게 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당구대(10)의 원심축(14)이 상기 지지베어링(20)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지지베어링(20)에 의해 원심축(14)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당구대(10)의 회전이 쉽게 진행되어 여성이나 청소년 및 노인들도 쉽게 당구대(10)의 당구부(11) 또는 포켓부(12)의 위치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당구대(10)를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당구대(10)의 고정홈(15)(16)과 상기 상단지지부(32)의 체결공(31)에 끼움고정된 상기 고정핀(40)을 완전히 빼냄으로써 쉽게 당구대(1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당구대(10)의 당구부(11) 또는 포켓부(12) 중 원하는 면이 상부측에 위치되면 상기 고정핀(40)을 다시 상단지지부(32)의 체결공(31)에 관통시킨 후 상기 체결공(31)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상기 당구대(10)의 고정홈(15)(16)의 내측으로 인입하여 당구대(10)를 다시 견고하게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인 회전식 당구대는 당구대(10)를 수직되게 회전시켜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당구대(10)를 수직되게 회전시킬 경우에는 상기 고정홈(15)(16)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에 끼워져 있는 고정핀(40)을 빼내어 상기 중앙지지부(35)에 통공된 보조걸이공(34)에 인입시켜 수직회전된 당구대(10)를 고정하면된다.
상기 당구대(10)가 수직되게 회전되면 당구대(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홈(15)(16)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이 상기 중앙지지부(35)에 형성된 보조걸이공(34)에 대응되게 위치되기 때문에 고정핀(40)을 이용하여 수직 회전된 당구대(10)의 고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당구대(10)를 수직회전시키면 당구대(10)의 폭이 협소해짐으로써 보관장소를 크게 차지 하지 않기 때문에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2개의 지지체(30)(30) 하부에 구성되는 하단지지부(33) 사이에는 내부에 큐대나 당구볼이 수용되는 수용부(5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50)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50)를 개방하는 덮개(51)가 더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은 큐대나 당구볼을 상기 수용부(50)의 내부에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주변환경을 어지럽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변을 깔끔하게 정리 정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당구대 11 : 당구부
12 : 포켓부 13 : 당구대 양측면
14 : 원심축 15, 16 : 고정홈
20 : 지지베어링 30 : 지지체
31 : 체결공 32 : 상단지지부
33 : 하단지지부 34 : 보조걸이공
35 : 중앙지지부 36 : 양측지지부
40 : 고정핀 50 : 수용부 51 : 덮개

Claims (2)

  1. 하나의 당구대를 이용하여 3구 또는 4구 및 포켓볼을 선택하여 즐길 수 있는 당구대에 있어서,
    일면에 3구 또는 4구를 칠 수 있는 당구부(11)가 구성되고 이면에는 포켓볼을 칠 수 있는 포켓부(12)가 구성되며 양측면(13) 중앙에 각각 원심축(14)이 구성되며 상기 원심축(14)의 양측에 각각 2개의 고정홈(15)(16)이 형성된 당구대(10)와;
    상기 당구대(10)의 양측면 중앙에 각각 구성된 원심축(14)이 축설되는 지지베어링(20)과;
    상기 지지베어링(20)이 양측 상단에 구성되고 상기 당구대(10)의 고정홈(15)(16)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양측에 각각 체결공(31)(31)들이 통공된 상단지지부(32)와, 상기 상단지지부(32)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하단지지부(33)와, 상기 상단지지부(32)와 하단지지부(33)의 중앙측을 수직 연결하고 하면에 보조걸이공(34)이 통공된 중앙지지부(35)와, 상기 중앙지지부(35)의 양측에 수직 형성되어 상기 상단지지부(32)와 하단지지부(33)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양측지지부(36)(36)로 구성되는 2개의 지지체(30)(30)와;
    상기 지지체(30)의 상단지지부(32) 중앙에 고정편(41)에 의해 고정되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체인(4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지지체(30)의 상단지지부(32)에 통공된 체결공(31)(31)들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당구대(10)의 고정홈(15)(16)에 끼워져 상기 당구대(10)를 고정하는 고정핀(4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당구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체(30)(30) 하부에 구성되는 하단지지부(33) 사이에는 내부에 큐대나 당구볼이 수용되는 수용부(5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50)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50)를 개방하는 덮개(51)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당구대.
KR1020100007864A 2010-01-28 2010-01-28 회전식 당구대 KR101063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864A KR101063001B1 (ko) 2010-01-28 2010-01-28 회전식 당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864A KR101063001B1 (ko) 2010-01-28 2010-01-28 회전식 당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116A KR20110088116A (ko) 2011-08-03
KR101063001B1 true KR101063001B1 (ko) 2011-09-06

Family

ID=4492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864A KR101063001B1 (ko) 2010-01-28 2010-01-28 회전식 당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642U (ko) 2020-01-08 2021-07-16 박성호 당구 테이블의 쿠션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642U (ko) 2020-01-08 2021-07-16 박성호 당구 테이블의 쿠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116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6278B2 (en) Game table having a pivoting table section for chess and backgammon and having storage compartments therein
US6616141B2 (en) Foldable play-table multi-game assembly
CN108201694B (zh) 游戏桌
KR101063001B1 (ko) 회전식 당구대
US4549737A (en) Pool-type marble game
US20230390632A1 (en) Rotating Assembly and Movable Puzzle Platform Using the Same
US20230390633A1 (en) Movable Puzzle Platform
US735995A (en) Game apparatus.
US20080156753A1 (en) Cue Pod
US6893017B1 (en) Combined shuffle board and pool game assembly
KR200450824Y1 (ko) 투척 게임기구
JP2021522869A (ja) ボールケース
JP3138102U (ja) 剣玉玩具
US11506440B2 (en) Cooler with game lid
US4923200A (en) Apparatus for playing card games
KR200484100Y1 (ko) 구슬치기놀이 게임용구
US20050067778A1 (en) Game table with rotationally convertible table faces
KR200429703Y1 (ko) 축구 및 농구 겸용 운동기구
TWI528919B (zh) 多功組合桌
KR100333146B1 (ko) 회전형 간이소형당구대
US20050062225A1 (en) Hockey playing table
CN104258548A (zh) 一种隔墙式乒乓球桌装置
US11844999B2 (en) Billiard table with dining table conversion-top
CN200973966Y (zh) 空气球、台球之二合一球台
US3014726A (en) Combination bowling and sliding ball for g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