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901B1 -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901B1
KR101062901B1 KR1020100103780A KR20100103780A KR101062901B1 KR 101062901 B1 KR101062901 B1 KR 101062901B1 KR 1020100103780 A KR1020100103780 A KR 1020100103780A KR 20100103780 A KR20100103780 A KR 20100103780A KR 101062901 B1 KR101062901 B1 KR 101062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hinge
umbrella support
tripod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식
Original Assignee
정인식
형제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식, 형제테크(주) filed Critical 정인식
Priority to KR102010010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제품의 기능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용 삼각대의 지지프레임의 외주에 클램핑되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중앙에 관통홀부가 형성된 클램핑부; 내측에 우산 취급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우산지지부; 및 상기 클램핑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힌지연결부와 상기 우산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회동부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되, 상기 회동되는 각도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힌지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가 구비된 카메라용 삼각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detachable umbrella supporting apparatus for tripod}
본 발명은 카메라용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 지지장치가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우천시에 사진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용 삼각대는 사진을 촬영할 때 피사체를 흔들림 없이 촬영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로서, 카메라가 장착되는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세 방향으로 벌려지는 하부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받침대와 상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위는 자유로이 회전되는 회전체가 구비되어 있어 카메라를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장착시킨 후 피사체에 카메라의 렌즈 초점을 맞추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는 촬영 순간에 사용자에 의해서 카메라가 떨리게 되어 피사체에 대한 영상이 초점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카메라를 움직이지 않고 고정시킨 뒤에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의 사용 시에 비가 올 때는 제대로 된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의 사용을 포기하거나, 사진 촬영을 포기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태양 빛을 마주보는 역광 촬영 시에 초보자들은 제대로 된 사진 촬영을 하지 못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우천시에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를 이용한 촬영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카메라에 비를 막기 위하여 우산을 들고 촬영을 하여 원하는 사진을 구하기가 힘들었으며, 원하는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보조자를 대동하여 우산을 받치게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뜨거운 여름 날인 경우, 야외에서 햇빛에 그대로 노출된 채로 사진 작업을 오랜 시간 하면 작업자의 일사병 유발 등의 위험성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산 지지장치가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우천시에 사진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가 구비된 카메라용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카메라용 삼각대의 지지프레임의 외주에 클램핑되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중앙에 관통홀부가 형성된 클램핑부; 내측에 우산 취급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우산지지부; 및 상기 클램핑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힌지연결부와 상기 우산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회동부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되, 상기 회동되는 각도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힌지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부에 연결된 상기 우산지지부가 회동되면 상기 관통홀부에 선택적으로 상기 우산지지부가 삽탈되도록, 상기 관통홀부는 상기 우산지지부의 회동궤적 상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우산지지부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되, 내측 상단 및 하단에 구속돌출부가 구비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되, 상기 외부케이스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구속돌출부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구속턱부가 구비되며 상기 우산 취급부가 삽입되도록 하부가 폐쇄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상기 클램핑부는 힌지연결부가 일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반원 형상의 제1클램핑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주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반원 형상의 제2클램핑부재와, 상기 제1클램핑부재 및 상기 제2클램핑부재의 각각의 일단부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각각의 타단부를 구속 및 해제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조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회동부와 상기 힌지연결부 중 어느 일측의 일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대향되는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개재되는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고정부는 상기 결합홈의 테두리 및 상기 돌기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고정부재와, 상기 힌지고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홈의 테두리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가 구비된 카메라용 삼각대는 상기 우산 지지장치가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의 지지프레임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러므로, 우천시에도 카메라의 손상없이 원하는 사진 작업을 할 수 있고, 따로 우산을 받치는 번거로움도 줄어들어 제품의 기능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가 구비된 카메라용 삼각대는 상기 우산 지지장치를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에서 분리하여 부피를 줄여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아 비가 오지 않는 날에도 휴대가 용이하며 보관 장소에도 크게 구애받지 않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가 구비된 카메라용 삼각대는 상기 우산 지지장치 및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의 결합 방식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갑작스러운 날씨 변화에도 빠른 시간 내에 누구나 쉽게 상기 우산 지지장치를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가 구비된 카메라용 삼각대는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의 상기 클램핑부 및 상기 우산지지부는 고정되는 구조물의 외면의 형상 및 단면적에 상관없이 고정 가능하도록 조절장치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의 지지프레임이 아닌 곳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우산 취급부의 종류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가 구비된 카메라용 삼각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지지부의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고정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부에 삽입된 우산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는 상단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장착대상물을 카메라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장착대상물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가 구비된 카메라용 삼각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가 구비된 카메라용 삼각대(40)는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가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40)의 지지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해, 우천시의 사진 작업에도 우산(50)을 따로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 없이 상기 우산(50)을 고정시킨 채 사용자는 카메라(60)를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는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40)의 하부받침대에 장착되어 고정되지만, 그의 장착 위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40)를 구성하는 모든 지지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는 클램핑부(30), 우산지지부(10) 및 힌지고정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클램핑부(30)에 카메라용 삼각대의 지지프레임의 외주에 클램핑되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중앙에 관통홀부(31)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클램핑이란, 클램프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원통형 구조물에 지지되도록 고정함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부(30)의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30)는 제1클램핑부재(33), 제2클램핑부재(35) 및 조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클램핑부재(33)는 힌지연결부(21)가 일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힌지연결부(21)는 후술하는 힌지고정부(20)에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클램핑부재(35)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주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임장치는 상기 제1클램핑부재(33) 및 상기 제2클램핑부재(35)의 각각의 일단부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37)와, 상기 각각의 타단부를 구속 및 해제시키는 조임부(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클램핑부재(33) 및 상기 제2클램핑부재(35)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37)에 의하여 상기 제1클램핑부재(33) 및 상기 제2클램핑부재(35)의 각각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부(39)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타단부가 구속 및 해제된다.
즉, 상기 조임부(39)의 일단부는 상기 제1클램핑부재(3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그의 타단부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제2클램핑부재(35)의 회동을 구속 및 해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클램핑부재(35)가 상기 지지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클램핑부재(35)의 일단부에 결합된 상기 연결부재(37)에 의하여 회동하고 상기 제2클램핑부재(3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클램핑부재(35)의 타단부를 상기 조임부(39)가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30)를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조임부(39)를 회동시켜 상기 제2클램핑부재(35)의 구속을 해제시키면 상기 제2클램핑부재(35)가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임부(39) 및 상기 제1클램핑부재(33)의 결합은 나사결합 및 핀결합 등을 포함한 회동 가능한 결합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7)도 상기 제1클램핑부재(33) 및 상기 제2클램핑부제에 회동 가능한 결합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클램핑부재(33) 및 상기 제2클램핑부재(35) 사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고정될 수 있는 상기 관통홀부(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부(31)의 내주면에는 신축성 재질의 신축부재(36)가 용접 또는 접착을 포함한 결합 방식의 의하여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 상기 제1클램핑부재(33) 및 상기 제2클램핑부제의 상호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클램핑부(30)의 가압력을 증대시켜 상기 지지프레임의 고정 및 지지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면적이 비교적 작더라도 상기 신축부재의 가압에 의하여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조임부(39)에는 일측에 다단으로 가압이 가능한 조임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면적 및 단면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우산지지부(10)에는 내측에 우산 취급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우산 취급부란, 상기 우산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한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우산지지부(10)의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지지부의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우산지지부(10)는 상기 외부케이스(11) 및 상기 내부케이스(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케이스(11)는 상하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되, 내측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내부케이스(1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속돌출부(1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케이스(13)는 상기 외부케이스(11)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외부케이스(11)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구속돌출부(15)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구속턱부(17)가 구비되며 상기 우산 취급부가 삽입되도록 하부가 폐쇄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케이스(11) 및 상기 내부케이스(13)는 상기 우산 취급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우산지지부(10)에 상기 우산 취급부가 삽입되면 상기 외부케이스(11)에 삽입된 상기 내부케이스(13)가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11) 하단에 구비된 상기 구속돌출부(15)에 상기 내부케이스(13) 상부 테두리에 구비된 상기 구속턱부(17)가 접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1) 하측으로 이탈됨 없이 상기 우산 취급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산 취급부가 삽입되지 않을 시에는 상기 내부케이스(13)를 상기 외부케이스(11)의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11) 상단에 구비된 상기 구속돌출부(15)에 상기 내부케이스(13) 상부 테두리에 구비된 상기 구속턱부(17)가 접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1)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그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11)에 상기 내부케이스(13)를 삽입하여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돌출부(15)는 상기 내부케이스(1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외부케이스(11)의 내주면에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돌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케이스(13)의 내주면은 상기 우산 취급부가 삽입되어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우산 취급부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우산 취급부가 단면이 육각형으로 이루진 육각기둥 형상이라면 상기 우산 취급부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13)의 내주면은 여섯개의 각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산 취급부의 단면적 및 외면의 형상이 다른 만큼, 상기 외부케이스(11) 또는 상기 내부케이스(13)의 측면에 고정볼트(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는 고정홀(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삽입된 상기 우산 취급부의 단면적이 상기 내부케이스(13)의 내부 면적에 비하여 작을 시 상기 고정볼트를 조여 상기 우산 취급부를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볼트 및 고정홀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1)에 삽입된 내부케이스(13)의 슬라이딩 이동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우산 취급부의 길이에 알맞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고정부(20)는 힌지연결부(21) 및 회동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상기 힌지고정부(20)의 구조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고정부(20)는 상기 클램핑부(3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힌지연결부(21)와 상기 우산지지부(10)로부터 연장되는 회동부(23)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되, 상기 회동되는 각도를 선택적으로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부(23)와 상기 힌지연결부(21) 중 어느 일측의 일단부에는 결합홈(29)이 형성되고, 대향되는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홈(29)에 개재되는 돌기부(29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힌지고정부(20)는 상기 결합홈(29)의 테두리 및 상기 돌기부(29a)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고정부재(25)와, 상기 힌지고정부재(25)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홈(29)의 테두리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가압장치(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동부(23)에는 상기 우산지지부(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회동부(23)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연결부(21)가 삽입가능하도록 결합홈(2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29)의 양측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게 다른 관통홀이 형성된 상기 힌지연결부(21)의 돌기부(29a)는 상기 결합홈(29)에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홈(29) 및 돌기부(29a)에 형성된 관통홀을 상기 힌지고정부재(25)가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관통된 힌지고정부재(25)의 노출부에는 상기 결합홈(29)의 테두리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가압장치(27)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힌지고정부(20)에는 상기 결합홈(29) 및 상기 돌기부(29a) 사이에 신축성 마찰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홈(29) 및 상기 돌기부(29a)의 회동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가압장치(27)로 가압시에 가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고정부재(25)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압장치(27)는 내주면이 상기 힌지고정부재(25)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힌지고정부재(25) 및 가압장치(27)는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힌지연결부(21) 및 상기 회동부(23) 간의 회동각도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구조로도 구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면에는 상기 회동부(23)에 상기 결합홈(29)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부(21)에 상기 돌기부(29a)가 형성되지만 그 구조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힌지연결부(21)에 상기 결합홈(29)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23)에 상기 돌기부(29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힌지고정부(20)는 선택적으로 회동각도의 고정이 가능하여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의 지지프레임이 지면에 수직을 이루고 있지 않더라도 상기 우산지지부(10)를 회동시켜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는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에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데, 그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부(31)에 삽입된 우산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는 상기 우산지지부(10)를 상기 클램핑부(30)의 관통홀부(31)에 삽입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관통홀부(31)는 상기 우산지지부(10)가 선택적으로 삽탈되도록 상기 우산지지부(10)의 회동 반경에 대응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우산지지부(10)는 상기 제1클램핑부재(33)에서 연장 형성된 상기 힌지연결부(21)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상기 회동부(23)에 의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부(31)는 상기 우산지지부(10)의 회동 반경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동부(23)가 상측으로 회동하면 상기 회동부(23)에 연결된 상기 우산지지부(10)가 상기 관통홀부(31)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산지지부(10)가 상기 관통홀부(31)에 삽입되면 그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압장치(27)로 상기 회동부(23)의 결합홈(29)을 가압하여 상기 회동부(23)의 회동을 구속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부(30)의 조임장치에 의해서 상기 우산지지부(10)를 고정시켜 상기 우산지지부(10)가 상기 관통홀부(31)에서 이탐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는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에서 분리 가능하며, 분리된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는 상기 우산지지부(10)를 상기 관통홀부(31)에 삽입하여 부피가 줄어들어 그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의 우산지지부(10), 힌지고정부(20), 클램핑부(30)를 포함한 구조물들은 사출 성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클램핑부재(3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힌지연결부(21)는 상기 제1클램핑부재(33)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 따로 사출 성형되어 용접 및 접착을 포함한 결합 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23)는 상기 우산지지부(10)의 외부케이스(11)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외부케이스(11)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 따로 사출 성형되어 용접 및 접착을 포함한 결합 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는 우천시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비에 의한 부식에 강하고,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가벼운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가 구비된 카메라용 삼각대는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가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의 지지프레임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우천시 사진작업을 할 때 비에 의한 카메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따로 우산을 지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줄어들어 제품의 기능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는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의 지지프레임에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된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는 상기 우산지지부(10)를 상기 클램핑부(30)의 관통홀부(31)에 삽입하여 부피를 줄여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는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의 지지프레임에 클램핑부(30)의 간단한 구조를 통해 수월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갑자기 비가 오는 날에도 빠른 시간 안에 용이하게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를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의 지지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100)의 상기 클램핑부(30) 및 상기 우산지지부(10)는 고정되는 구조물의 외면의 형상 및 단면적에 상관없이 고정 가능하도록 조절장치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카메라용 삼각대의 지지프레임이 아닌 곳에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우산지지부 11: 외부케이스
13: 내부케이스 15: 구속돌출부
17: 구속턱부 20: 힌지고정부
21: 힌지연결부 23: 회동부
25: 힌지고정부재 27: 가압장치
29: 결합홈 29a: 돌기부
30: 클램핑부 31: 관통홀부
33: 제1클램핑부재 35: 제2클램핑부재
36: 신축부재 37: 연결부재
39: 조임부 40: 카메라용 삼각대
50: 우산 60: 카메라
100: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

Claims (5)

  1. 카메라용 삼각대의 지지프레임의 외주에 클램핑되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중앙에 관통홀부가 형성된 클램핑부;
    내측에 우산 취급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우산지지부; 및
    상기 클램핑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힌지연결부와 상기 우산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회동부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되, 상기 회동되는 각도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힌지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부에 연결된 상기 우산지지부가 회동되면 상기 관통홀부에 선택적으로 상기 우산지지부가 삽탈되도록, 상기 관통홀부는 상기 우산지지부의 회동궤적 상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지지부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되, 내측 상단 및 하단에 구속돌출부가 구비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되, 상기 외부케이스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구속돌출부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구속턱부가 구비되며 상기 우산 취급부가 삽입되도록 하부가 폐쇄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힌지연결부가 일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반원 형상의 제1클램핑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주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반원 형상의 제2클램핑부재와,
    상기 제1클램핑부재 및 상기 제2클램핑부재의 각각의 일단부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각각의 타단부를 구속 및 해제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조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와 상기 힌지연결부 중 어느 일측의 일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대향되는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개재되는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고정부는
    상기 결합홈의 테두리 및 상기 돌기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고정부재와,
    상기 힌지고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홈의 테두리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
KR1020100103780A 2010-10-25 2010-10-25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 KR101062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780A KR101062901B1 (ko) 2010-10-25 2010-10-25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780A KR101062901B1 (ko) 2010-10-25 2010-10-25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901B1 true KR101062901B1 (ko) 2011-09-07

Family

ID=4495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780A KR101062901B1 (ko) 2010-10-25 2010-10-25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9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353Y1 (ko) * 1997-06-09 2000-04-15 최병규 비계용 클램프
KR200368367Y1 (ko) * 2004-09-02 2004-11-18 서상원 안전장치가 구비된 카메라삼각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353Y1 (ko) * 1997-06-09 2000-04-15 최병규 비계용 클램프
KR200368367Y1 (ko) * 2004-09-02 2004-11-18 서상원 안전장치가 구비된 카메라삼각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9548A1 (en) Panoramic camera mount
US20160091139A1 (en) Selfie device holder
US7665698B2 (en) Articulated support assembly
US9451817B2 (en) Accessory mount with friction hinge plate
EP1813852A1 (en) Support for a photo/video recording equipment or camera
US20140103181A1 (en) Universal mounting system
US8620152B1 (en) Auxiliary lens positioning system for portable cameras
AU2019201695B1 (en) An anti-shake selfie stick
US7457535B2 (en) Flash bracket
US7668458B2 (en) Protection device for photographic apparatus
KR101062901B1 (ko) 삼각대용 착탈식 우산 지지장치
JP2008546000A (ja) ビデオおよび写真カメラなどの写真機器の小型支持体
CA2625570C (en) Body mounted support system for photo and video camera
KR20220154983A (ko)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CN204494013U (zh) 自拍附件支架
CN220016654U (zh) 瞄准摄影支架
CN216976343U (zh) 支架及自拍装置
GB2220767A (en) Camera support having clamp and ball joint
JPH1164968A (ja) カメラ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