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577B1 -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및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및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577B1
KR101062577B1 KR1020090063454A KR20090063454A KR101062577B1 KR 101062577 B1 KR101062577 B1 KR 101062577B1 KR 1020090063454 A KR1020090063454 A KR 1020090063454A KR 20090063454 A KR20090063454 A KR 20090063454A KR 101062577 B1 KR101062577 B1 KR 101062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call
call list
li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024A (ko
Inventor
송민우
문성목
정혜윤
우아미
나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06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5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화목록과 주소록을 연계 시킴으로써, 최근 통화한 연락처 순으로 주소록이 정렬되도록 하고, 특정 통화목록을 선택하는 경우, 주소록 내 정보를 표시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및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은, 발생된 착발신 이벤트와 연관되는 제1 필드를 주소록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제1 필드에 대해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필드 검색부와, 상기 검색된 제1 필드를 포함하여 통화목록을 작성하되, 상기 착발신 이벤트의 발생 이전에 작성된 통화목록이 있는 경우, 상기 통화목록에 상기 제1 필드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하고,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통화목록에서 상기 제1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여 갱신하는 목록 관리부, 및 상기 이력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통화목록에 포함되는 제2 필드 중에서 리마크필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리마크필드를 안내하는 연락처아이템을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아이템 표시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63454
통화목록, 착발신, 주소록, 연락처

Description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및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OF CALL LIST}
통화목록과 주소록을 연계하는 발명을 개시한다.
이동단말에서 제공되는 통화목록은, 음성, 영상, 메시지 수발신 내역 등을 단말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작성된다.
다만, 기존의 통화목록은 통화 연결의 내역 만을 단말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 통화 연결된 통화대상자에 관한 정보(예,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에 대해서는 통화목록 자체로서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통화목록을 확인한 단말이용자가 통화 연결의 내역에 따라, 관련 통화대상자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주소록을 호출하여 관련된 정보를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상존한다.
또한, 기존의 통화목록은 통화 연결된 내역이 매번 기록으로 남아, 특정 통화대상자와의 통화 연결에 대한 통계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단말이용자에게 단편적인 정보 만을 제공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통화목록을 중심으로 주소록을 유기적으로 결합 함으로써, 통화목 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시작하는 이용자 그룹과, 주소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시작하는 이용자 그룹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등장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화목록을 주소록과 관련된 필드로 구성 함으로써 착발신에 관한 수신 내역과, 착발신한 통화대상자에 대한 연락처정보를 단일의 선택을 통해 단말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발신 이벤트의 발생시마다 필드를 반복하여 통화목록에 포함시키는 것이 아니라, 통화 내역을 통화목록 내 필드별로 관리되도록 하여, 해당 통화대상자로의 통화 내역 전체 정보가 일목요원하게 단말이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및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룹별로 정리되어 갱신된 통화목록을 표시화면으로 표시 함으로써, 각 그룹에 소속된 통화대상자에 대한 용이한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그룹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접속시, 일괄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편리한 인터페이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은, 발생된 착발신 이벤트와 연관되는 제1 필드를 주소록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제1 필드에 대해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필드 검색부와, 상기 검색된 제1 필드를 포함하여 통화목록을 작성하되, 상기 착발신 이벤트의 발생 이전에 작성된 통화목록이 있는 경우, 상기 통화목록에 상기 제1 필드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하고,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통화목록에서 상기 제1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여 갱신하는 목록 관리부, 및 상기 이력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통화목록에 포함되는 제2 필드 중에서 리마크필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리마크필드를 안내하는 연락처아이템을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아이템 표시부를 포함하여 개시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으로서,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은,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발생된 착발신 이벤트와 연관되는 제1 필드를 주소록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상기 검색된 제1 필드에 대해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상기 검색된 제1 필드를 포함하여 통화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상기 이력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통화목록에 포함되는 제2 필드 중에서 리마크필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리마크필드를 안내하는 연락처아이템을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착발신 이벤트의 발생 이전에 작성된 통화목록이 있는 경우, 상기 검색된 제1 필드를 포함하여 통화목록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목록에 상기 제1 필드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하고,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통화목록에서 상기 제1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개시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목록을 주소록과 관련된 필드로 구성 함으로써 착발신에 관한 수신 내역과, 착발신한 통화대 상자에 대한 연락처정보를 단일의 선택을 통해 단말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착발신 이벤트의 발생시마다 필드를 반복하여 통화목록에 포함시키는 것이 아니라, 통화 내역을 통화목록 내 필드별로, 즉 통화대상자별로 관리되도록 하여, 해당 통화대상자로의 통화 내역 전체 정보가 일목요원하게 단말이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룹별로 정리되어 갱신된 통화목록을 표시화면으로 표시 함으로써, 각 그룹에 소속된 통화대상자에 대한 용이한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그룹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접속시, 일괄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편리한 인터페이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목록 내 필드의 선택 만으로 통화 연결에 따른 과거 통화 연결 내역을 단말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와 함께 관련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시켜, 통화대상자와의 통화 연결이 바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아이들 상태의 표시화면 상에 리마크필드를 안내하는 연락처아이템을 표시 함으로써, 단말이용자가 메뉴 카테고리를 찾아 접속을 할 필요없이, 대기 화면에서 이동하지 않고 간단한 선택 만으로 즉각적인 전화통화, 메시지전송, 메일 전송 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연락처아이템 중 실제 통화 연결하고자 하는 통화대상자의 연락처아이템을 선별적으로 크기 확대시켜, 단말이용자로 하여금 다수 통화대상자와 동시 접속된 상황에서도 통화대상자를 혼동하지 않고 통화 연결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이용자가 선택하는 통화목록 내 제2 필드에 대한 현황 정보를 선택필드아이템을 통해 용이하게 인지하게 하여, 통화목록의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부재 중 전화를 부재중알림아이템을 통해 용이하게 인지하게 하여, 부재 중 전화에 대해 단말이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시 통화 연결의 필요성이 있는 통화대상자를, 전화알람아이템을 통해 단말이용자에게 알림으로써, 회의나 급한 용무 등으로 통화 연결을 미룬 통화대상자이라도 일정한 시간 이후 빠짐없이 통화 연결이 다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이벤트'는 이동단말을 소정의 기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어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화통화, 메시징, 이메일 등의 통화 착신 또는 통화 발신으로 이동단말을 기능시키는 '착발신 이벤트', 통화목록을 읽어 필드 및 필드의 정보를 이동단말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호출 이벤트', 호요청에 대해 실제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 를 기록하는 '부재 이벤트', 통화 연결된 통화대상자에 대해 추가적인 통화 연결의 필요성을 알리는 '알람 이벤트' 등을 이벤트로서 예시하고 있다.
또한, '필드'는 이동단말의 단말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통화대상자에게 할당되는 저장 영역일 수 있고, 통화대상자의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개인페이지주소 등 통화대상자를 식별할 수 있는 연락처정보와, 상기 통화대상자가 속하는 그룹정보 등을 등록하는 저장 영역을 지칭한다. 필드는, 데이터베이스 형태일 수 있는 주소록에 유지되며, 본 발명에서는 통화목록에 포함되어 표시화면으로 연락처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제한된 화면크기를 갖는 표시화면에서는 가능한 많은 수의 필드를 표시 함으로써, 단말이용자가 알고자하는 통화대상자를 신속하게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통화대상자의 이름을 우선 표기하여 표시화면 상에 표시되고, 이후 단말이용자가 선택하면 표시화면이 전환되면서 해당 통화대상자의 모든 연락처정보를 표시하는 저장영역을 필드로서 정의하고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필드는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이후 선택에 따라 모든 연락처정보를 표시화면 상으로 표시하는 저장영역을 지칭한다. 이러한 정의는 발명의 설명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필드에 대한 정의를 본 명세서를 통해 당업자가 유추할 수 있는 범위로 제한없이 확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제1 필드'는 최근 발생한 착발신 이벤트와 관련되어 통화목록에 포함되어야 할 필드로서 정의하며, '제2 필드'는 통화목록에 이미 포함되는 필드로 정의한다. 통화목록으로 포함된 제1 필드는 제2 필드로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은 이동단말이 정해진 특정 기능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명령 수단, 또는 상기 특정 기능에 의해 산출되는 결과 정보를 총칭하여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착발신 빈도가 높은 필드(리마크필드)를 안내하여 해당 필드의 통화대상자와 간편한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이미지 형태의 '연락처아이템', 통화목록 내 필드(제2 필드) 중 선택이 있는 필드를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텍스트 형태의 '선택필드아이템', 부재 이벤트와 관련되는 통화목록 내 필드를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텍스트 형태의 '부재중알림아이템', 알람 이벤트와 관련되는 통화목록 내 필드를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이미지 형태의 '전화알람아이템' 등을 아이템으로서 예시하고 있다. 특히, 연락처아이템은 아이들(idle) 상태에서 표시화면 상에 표시되며, 주소록 또는 통화목록에 대한 호출없이도, 단말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기 화면에서 즉각적인 접속(전화통화, 메시지전송, 메일 전송 등)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필드 검색부(110), 목록 관리부(120), 목록 표시부(130), 아이템 표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필드 검색부(110)는 발생된 착발신 이벤트와 연관되는 제1 필드를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50)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50)는, 이동단말의 단말이용자에 의해 등록된 통화대상자 별 필드를 저장하는 수단이며, 통화대상자에 대한 신규등록, 등록삭제, 연락처정보의 변경 등에 따라, 저장하는 필 드에 대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50)는, 상기 필드 검색부(110)에 의한 필드 검색 요청에 따라, 특정 통화대상자에 대응하여 저장되는 필드를 검색 결과로서 필드 검색부(11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필드 검색부(110)는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통화 착신 또는 통화 발신이 이루어진 통화대상자에 대해 할당된 필드를, 통화목록으로 포함해야 할 제1 필드로서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필드 검색부(110)는 검색된 제1 필드에 대해 이력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이력정보는 통화 착신, 통화 발신 등을 포함한 통화 연결된 착발신시각, 통화대상자별 통화 연결의 빈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추후 리마크필드(remark field)를 결정하는 기준 정보로 활용된다. 예컨대, 필드 검색부(110)는 제1 필드로서 검색된 '구준표' 관련 필드에, 이력정보 '착신시각 3분전' '통화빈도 2회'를 대응시켜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이력정보는 그 내역이 검색된 제1 필드에 직접 표기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50) 내 해당 필드에 대응되어 유지될 수도 있다.
목록 관리부(120)는 검색된 제1 필드를 포함하여 통화목록을 작성한다. 상기 통화목록은 전화통화, 메시징, 이메일 등과 관련한 이벤트 발생 현황을 기록하여 목록화한 것이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검색된 필드를 이용하여 주소록으로도 기능한다.
즉, 본 발명의 통화목록은 연락처정보를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 하여 작성되며, 포함되는 필드가 단말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후술하는 목록 표시부(130)에 의해 선택된 필드에 유지되던 통화대상자의 연락처정보를 표시화면 전체를 통해 제공하는 수단이다.
목록 관리부(120)는 최초의 레이어 1(layer 1)에서 통화대상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필드를 제공하고, 단말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환된 레이어 2(layer 2)에서 선택된 필드에 유지하는 연락처정보를 제공하는 통화목록을 작성한다. 이때, 레이어 2의 통화목록은, 선택된 필드로부터 추출되는 연락처정보가 목록 표시부(130)에 의해 표시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작성된다.
작성된 통화목록은 이동단말에 구비되는 상주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보관될 수 있으며, 이후 호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목록 표시부(130)에 의해 상주 메모리로부터 추출되어 표시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목록 관리부(120)는, 통화대상자의 이름과 함께, 이력정보의 착발신시각 및 통화빈도를 표기하는 필드를 이용하여 레이어 1의 통화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서는 레이어 1의 통화목록 만으로도 착발신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단말이용자에게 제공하고, 관련된 통화대상자로의 검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목록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어 1의 통화목록은, 통화대상자의 이름을 비롯하여, 착발신시각, 통화빈도에 관한 정보를 표기하는 필드를, 표시화면의 크기를 고려하여 소정 개수 포함하고 있다. 예컨대, 통화목록에 대한 메뉴선택신호에 의 해 '최근'탭이 선택된 조건하에서, 레이어 1의 통화목록은, 이름 '구준표', 착발신시각 '3분전 착신', 통화빈도 '2회(지난 24시간)'을 표기하는 '구준표' 관련 필드를 포함한, 복수개의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준표' 관련 필드는, 가장 최근 착발신 이벤트가 발생하여, 통화목록에 포함된 필드, 즉 제1 필드가 되고, 이에 따라 통화목록 내 최상위 배열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구준표' 관련 필드에 대한 단말이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짐에 따라, 통화목록은 레이어 2로 전환되고, 표시화면으로는 선택된 필드에 유지되는 연락처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연락처정보는 후술하는 목록 표시부(130)에 의해, 레이어 2의 통화목록을 통해 제공된다. 즉, 레이어 2의 통화목록은 선택된 특정 필드가 유지하는, 등록된 통화대상자의 연락처정보를 표시화면 전체를 통해 제공한다.
예컨대, 도 2와 같이, 상기 '구준표' 관련 필드에 대해, 선택이 이루어지는 경우, 통화목록은 레이어 2로 전환되면서 통화대상자 '구준표'의 등록된 전화번호, 이메일, 블로그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레이어 2의 통화목록은 통화대상자 '구준표'가 속하는 그룹정보 '친구'에 대해서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록 관리부(120)에 의해서는 통화목록을 주소록과 관련된 필드로 구성 함으로써 착발신에 관한 수신 내역과, 착발신한 통화대상자에 대한 연락처정보를 단일의 선택을 통해 단말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목록 관리부(120)는 발생한 착발신 이벤트의 발생 이전에 작성된 통화목록이 있는 경우, 통화목록에 제1 필드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하고,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통화목록에서 상기 제1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여 통화목록 을 갱신한다. 즉, 목록 관리부(120)는 기작성된 통화목록에서, 검색된 제1 필드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고, 통화목록에 제1 필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제1 필드에 상당하는 필드를 조정하여 배열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는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앞선 도 2와 같은 통화목록이 작성되는 환경에서, '김태희' 관련 필드에 대해 새로운 착발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목록 관리부(120)는 제1 필드로 식별된 '김태희' 관련 필드가, 기작성된 통화목록 내에 존재함을 확인한다. 이어서, 목록 관리부(120)는 '김태희' 관련 필드의 배열위치를, 통화목록 내 최상단으로 조정하여, 통화목록을 갱신 처리한다.
또한, 목록 관리부(120)는 '김태희' 관련 필드에 대한, 착발신시각 및 통화빈도에 대해서도, 기존 '32분전 메시징, 10회(24시간동안)'을 '1분전 발신, 11회(24시간동안)'으로 갱신 처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록 관리부(120)에 의해서는 착발신 이벤트의 발생시마다 필드를 반복하여 통화목록에 포함시키는 것이 아니라, 통화 내역을 통화목록 내 필드별로, 즉 통화대상자별로 관리되도록 하여, 해당 통화대상자로의 통화 내역 전체 정보가 일목요원하게 단말이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목록 표시부(130)는 호출 이벤트에 따라, 작성된 통화목록, 또는 갱신된 통화목록을 표시화면에 표시한다. 호출 이벤트는 통화목록을 표시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명령어 신호이며, 예컨대 이동단말에 구비되는 '통 화 버튼'이 단말이용자에 의해 푸시 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즉, 목록 표시부(130)는 통화목록을 제공받고자 하는 단말이용자의 명령어 입력에 따라, 통화목록을 표시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 따라, 호출 이벤트와 관련되는 메뉴선택신호가 함께 입력될 수 있고, 이 경우 목록 관리부(120)는 상기 메뉴선택신호에 따라 통화목록에 포함되는 제2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여 통화목록을 갱신하고, 상기 목록 표시부(130)는 갱신된 통화목록을 표시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메뉴선택신호는, 통화목록 내 제2 필드를 배열하는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통화순서', '즐겨찾기검색', '그룹별표시' 등에 관한 메뉴선택신호를 예시한다. 실제 구현에서, 상기 메뉴선택신호는 통화목록과 함께 제공되는 탭의 선택에 따라 발생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메뉴선택신호의 입력에 따라 통화목록을 갱신하여 이를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통화순서에 관한 메뉴선택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통화목록을 갱신하여 표시하는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말이용자에 의해, 이동단말의 통화 버튼이 푸시되면, 이동단말에서는 호출 이벤트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이동단말의 상주 메모리로부터 기작성된 통화목록을 추출한다. 이때, 단말이용자에 의해 '최근'탭에 대한 선택, 즉 통화순서에 관한 메뉴선택신호가 입력되면, 목록 관리부(120)는 추출된 통화목록 내 제2 필드에 표기되는 착발신시각에 관한 정 보(착발신시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한다.
즉, 목록 관리부(120)는 '최근'탭이 선택된 조건하에서, 각 제2 필드에 표기되는 착발신시각정보를 비교하고, 착발신시각 순으로 통화목록 내 제2 필드에 대한 배열위치를 조정한다.
도 4에서 목록 관리부(120)는 가장 빠른 착발신시각을 표기하는 '김태희' 관련 필드를 통화목록 내 최상단 배열위치에 배열하고, 상대적으로 늦은 착발신시각을 표기하는 '구준표' 관련 필드와, 'LG텔레콤' 관련 필드를 순차적으로 이하의 배열위치에 배열하여 통화목록을 갱신한다.
목록 표시부(130)는 갱신된 통화목록을 표시화면으로 표시하여, 단말이용자로 하여금 최근에 통화 착신 또는 통화 발신한 통화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일목요원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즐겨찾기검색에 관한 메뉴선택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통화목록을 갱신하여 표시하는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호출 이벤트 발생에 연동하여 통화목록이 추출되고, 단말이용자에 의해 '즐겨찾기'탭에 대한 선택, 즉 즐겨찾기검색에 관한 메뉴선택신호가 입력되면, 목록 관리부(120)는 추출된 통화목록 내 제2 필드 중 즐겨찾기의 설정에 관한 정보(즐겨찾기설정정보)를 표기하는 제2 필드를 검색한다. 상기 즐겨찾기설정정보는 통화 연결이 빈도있게 이루어져, 단말이용자에 의해 자주거는 대상으로 지정되는 통화대상자의 필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도 5에서는 즐겨찾기설정정보로서 특수기호 '*'를 활용하여, 자주거는 대상으로 지정되는 통화대상자의 필드를 구분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후, 목록 관리부(120)는 상기 검색된 즐겨찾기설정정보를 표기하는 제2 필드를 북마크필드(bookmark field)로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북마크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여 통화목록을 갱신한다.
즉, 목록 관리부(120)는 '즐겨찾기'탭이 선택된 조건하에서, 통화목록 내 제2 필드 중에서 즐겨찾기설정정보를 표기하는 제2 필드를 북마크필드로 선별하고, 선별된 북마크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여, 북마크필드 만을 포함하는 통화목록이 표시화면 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도 5에서, 목록 관리부(120)는 즐겨찾기설정정보 '*'를 포함하는 북마크필드, 즉, '구준표', '김태희', '손담비' 관련 필드 등을 선별하고, 이들 북마크필드에 대한 배열위치를 조정한다. 도 5에서는 한글자모순서가 가장 앞선 '구준표' 관련 필드를 통화목록 내 최상단 배열위치에 배열하고, 다음 한글자모순서에 따라 나머지 북마크필드로 선별된 제2 필드를 순차적으로 이하의 배열위치에 배열하여 통화목록을 갱신하는 목록 관리부(120)를 예시하고 있다.
목록 표시부(130)는 갱신된 통화목록을 표시화면으로 표시하여, 단말이용자로 하여금 자주 통화하는 통화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일목요원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그룹별표시에 관한 메뉴선택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통화목록을 갱신하여 표시하는 또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호출 이벤트 발생에 연동하여 통화목록이 추출되고, 단말이용자에 의해 '그 룹'탭에 대한 선택, 즉 그룹별표시에 관한 메뉴선택신호가 입력되면, 목록 관리부(120)는 추출된 통화목록 내 제2 필드에 표기되는 그룹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필드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이후, 목록 관리부(120)는 각 그룹으로 분류된 제2 필드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필드개수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필드개수정보를 표기하는 제3 필드를 각 그룹별로 생성한다. 여기서 제3 필드는, 그룹을 대표하여 새롭게 마련되는 필드이며, 상술한 제1, 2 필드와 달리, 통화대상자의 연락처정보를 직접적으로 기록하지는 않고,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필드를 치환하여 표시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제3 필드는 그룹정보, 필드개수정보 등을 표기하여 생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목록 관리부(120)는 상기 생성된 제3 필드를 이용하여 통화목록을 재작성 함으로써 통화목록에 대한 갱신 작업을 수행한다.
도 6에서, 목록 관리부(120)는 '그룹'탭이 선택된 조건하에서(선택 '#1" 참조), 그룹정보를 동일하게 갖는 제2 필드를 분류하여 그룹핑하며, 예컨대 그룹 '가족'으로 분류되는 제2 필드를 카운팅하여 필드개수정보 '4명'을 산출한다. 또한, 목록 관리부(120)는 그룹 '가족'에 대해 상기 산출된 필드개수정보 '4명'을 표기하는 제3 필드를 마련하고, 이를 포함하여 통화목록을 갱신한다. 다른 그룹 '친구', '회사'에 대해서도 목록 관리부(120)는 그 각각으로 필드개수정보를 표기하는 제3 필드를 생성하여, 상기 갱신되는 통화목록에 포함한다.
통화목록에 대한 갱신에 있어서, 목록 관리부(120)는 도 6에서 한글자모순서가 가장 앞선 '가족' 관련 제3 필드를 통화목록 내 최상단 배열위치에 배열하고, 다음 한글자모순서에 따라 나머지 제3 필드를 순차적으로 이하의 배열위치에 배열하여 통화목록을 갱신한다.
목록 표시부(130)는 그룹별로 정리되어 갱신된 통화목록을 표시화면으로 표시 함으로써, 각 그룹에 소속된 통화대상자에 대한 용이한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그룹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접속시, 일괄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편리한 인터페이싱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목록 관리부(120)는 특정 제3 필드에 대한 선택(선택 '#2' 참조)에 따라, 통신목록의 레이어를 변경(layer 0 → layer 1)하여, 해당 그룹에 속하는 제2 필드를 포함한 통화목록으로 갱신 처리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가족' 관련 제3 필드에 대해 선택이 발생하면, 그룹 '가족'에 속하는 4개의 제2 필드를 포함하여 통화목록을 갱신하는 목록 관리부(120)를 예시하고 있다. 이후, 특정 제2 필드에 대해 선택이 이루어지면, 목록 관리부(120)는 레이어(layer 1 → layer 2)를 또 변경하면서, 해당 통화대상자에 대한 연락처정보를 포함하는 통화목록을 갱신하고, 이를 목록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화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도 2 참조).
앞에서는 제2 필드에 선택에 따라, 해당 통화대상자에 대한 연락처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통화대상자와의 연결 종류를 고려하여, 연락처정보 이외의 다양한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즉,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의 목록 관리부(120)는, 이력정보로부 터 연결 종류로서, 메일발수신, 메시징, 착발신 등을 확인하고, 확인된 연결 종류를 표기하는 필드를 포함하여 레이어 1의 통화목록을 작성하며, 이를 목록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화면 상에 표시한다.
이후, 통화목록에 대한 선택이 발생하면, 목록 관리부(120)는 선택된 필드에 표시되는 연결 종류에 따른 내역정보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레이어 2의 통화목록을 갱신하며, 이를 목록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화면 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종류에 따른 내역정보는, 연결 종류가 착발신인 필드가 선택되는 경우, 전화통화한 통화대상자에 대한 통화내역정보, 연결 종류가 메시징인 필드가 선택되는 경우, 통화대상자와 교환한 인스턴트 메시지에 대한 메시징내역정보, 연결 종류가 메일발수신인 필드가 선택되는 경우, 수신 또는 발신된 이메일에 대한 메일내역정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통화내역정보, 메시징내역정보, 메일내역정보 등은 그 각각을 유지하기 위해 이동단말 내에 미리 마련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컨대 메시징내역정보는 메시지어플리케이션과 연관하여 마련되는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메시징내역정보를 통화목록에 포함시켜 제공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내역정보를 제공하는 통화목록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레이어 1의 통화목록은, 착발신 이벤트의 발생 순서에 따라, '구준표' 관련 필드를 최상위 배열위치에 배열하고, 나머지 '김태희', 'LG텔레콤' 관련 필드 등을 차순위의 배열위치에 배열하고 있다.
이러한 통화목록에 대해, '김태희' 관련 필드에 대해 통화대상자의 선택이 발생하면, 목록 관리부(120)는 '김태희' 관련 필드로부터 연결 종류 '메시징'을 읽고, 상기 연결 종류 '메시징'과 관련한 메시징내역정보(710)를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목록 관리부(120)는 상기 추출된 메시징내역정보(710)를 포함하는 레이어 2의 통화목록을 갱신한다.
도 7에서는 통화대상자 김태희와 대화한 기록이 42개 있음을 알리고, 각각의 기록을 메시징내역정보(710)로 표시하는 레이어 2의 통화목록을 예시하고 있다.
목록 표시부(130)는 메시징내역정보(710)를 포함하는 통화목록을 표시화면 상에 표시하고, 이를 통해 통화대상자 '김태희'와 과거 인스턴트 메시지 교환하였던 구체 내역을, 단말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목록 표시부(130)는 통화대상자 '김태희'와 인스턴트 메시지 교환이 가능하도록, 메시지어플리케이션(720)을 구동하여, 상기 메시징내역정보(710)와 함께 표시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서는, 통화목록 내 필드의 선택 만으로 통화 연결에 따른 과거 통화 연결 내역을 단말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와 함께 관련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시켜, 통화대상자와의 통화 연결이 바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필드 검색부(110)에 의해 생성되는 이력정보를 고려하여 통화목록에 포함되는 제2 필드 중에서 리마크필드를 결정하는 아이템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리마크필드는 통화대상자와의 통화 연결이 빈번하여, 유지하는 연락처정보를 자주 사용하는 필드, 또는 단말이용자에 의해 주지해야 할 것으로 지정되는 통화대상자의 필드를 지칭할 수 있다.
즉, 아이템 표시부(140)는 통화 연결을 위해 자주 검색하는 통화대상자 관련 필드를 리마크필드로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아이템 표시부(140)는 결정된 리마크필드를 안내하는 연락처아이템을 표시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연락처아이템은 리마크필드의 해당 통화대상자와 통화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일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의 연락처아이템은 대기 화면 상에 배치되어, 단말이용자로 하여금 매체메뉴의 선택 만으로도 통화대상자로의 통화 연결이 간편하게 유도되도록 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연락처아이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아이템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의 ⅰ)에서는, 통화 연결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아, 아이템 표시부(140)에 의해 리마크필드로 결정된 '김태희' 관련 필드를 안내하는 연락처아이템(810)을 예시하고 있다.
도 8의 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락처아이템(810)은 리마크필드로 결정된 '김태희' 관련 필드를 대표하는, 사진이미지, 이름 등을 포함한다. 즉, 아이템 표 시부(140)는 연락처아이템(810)을 통해, 빈도있게 연결되는 통화대상자 또는 상기 통화대상자와 관련되는 필드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연락처아이템(810)에 대한 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아이템 표시부(140)는 목록 관리부(120)와 목록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리마크필드인 '김태희' 관련 필드가 유지하는 연락처정보 등을 표시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표시부(140)는 연락처아이템(810)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연락처아이템(810)과 대응시켜 매체메뉴(820)를 표시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매체메뉴(820)는 통화대상자와 통화 연결하는 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이며, 도 8의 ⅰ)에서는 전화번호에 의한 음성/영상 통화의 '통화하기' 메뉴, 전화번호 또는 URL 어드레스에 의한 인스턴트 메시지/이메일 송부의 '문자보내기' 메뉴, URL 어드레스에 의한 개인블로그 접속의 '홈페이지' 메뉴를 예시한다.
상기 제1 선택은 연락처아이템(810)에 포함될 수 있는 토글버튼(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이템 표시부(140)는 예컨대 토글버튼에 대해 제1 선택이 발생하면 매체메뉴(820)를 표시화면 상에 전개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선택이 재발생하면 표시된 매체메뉴(820)를 다시 접어 표시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표시화면 상에 표시되는 매체메뉴(820)에 대해 제2 선택이 발생하면, 아이템 표시부(140)는 리마크필드로부터 제2 선택된 매체메뉴에 대한 연락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연락처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컨대, 매체메뉴 중 '통화하기' 메뉴에 대해 제2 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아이템 표시부(140)는 리마크필드인 '김태희' 관련 필드에 유지되는 전화번호 '010-8080-1111'을 추출하고, 추출되는 '010-8080-1111'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들 상태의 표시화면 상에 리마크필드를 안내하는 연락처아이템을 표시 함으로써, 단말이용자가 메뉴 카테고리를 찾아 접속을 할 필요없이, 대기 화면에서 이동하지 않고 간단한 선택 만으로 즉각적인 전화통화, 메시지전송, 메일 전송 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대기 화면 상에 복수 개의 연락처아이템(810)을 표시하고, 그 중에서 특정 연락처아이템(810)을 제1 선택하여, 대기화면 상에서 원하는 통화대상자로의 통화 연결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도 8의 ⅱ)에서의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제1 선택한 연락처아이템(830)을 확대하여 표시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연락처아이템(830)을 활용한 통화대상자와의 통화 연결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락처아이템(830)을 확대 표시하는 것은, 다수의 통화대상자와 동시에 접속된 상태에서, 특정 통화대상자와 선택적으로 통화 연결하는 메시징 환경에서 보다 유용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이용자가, 통화대상자 '김태희', '구준표'와 메시지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시 접속된 상태일 경우, 아이템 표시부(140)는 단말이용자의 제1 선택에 따라 '김태희'와 관련되는 연락처아이템(830)을 확대 표시하고, 확대된 연락아 이템(830)을 통해 추출되는 연락처정보를 이용하여 통화대상자 '김태희'와 메시징할 수 있다. 이때, 실제 메시징하지 않는 '구준표'와 관련되는 연락처아이템에 대해, 아이템 표시부(140)는 크기 변화하지 않고, 원래의 크기대로 표시화면 상에 표시한다. 또한, 메시징이 종료되는 '김태희'와 관련되는 연락처아이템에 대해, 아이템 표시부(140)는 확대 표시된 연락처아이템을 원래의 크기로 축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연락처아이템 중 실제 통화 연결하고자 하는 통화대상자의 연락처아이템을 선별적으로 크게 확대시켜, 단말이용자로 하여금 다수 통화대상자와 동시 접속된 상황에서도 통화대상자를 혼동하지 않고 통화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이템 표시부(140)는 통화목록 내 제2 필드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2 필드를 안내하는 선택필드아이템을 표시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선택필드아이템은 단말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필드에 대한 현황을 단말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즉, 아이템 표시부(140)는 통화 목록에 포함되는 제2 필드를 대상으로 단말이용자의 선택을 인지하고, 인지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선택필드아이템을 통해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필드아이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의 ⅰ)은, 단말이용자에 의해, 통화목록 내 '김태희' 관련 필드와 'LG텔레콤' 관련 필드가 선택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때, 아이템 표시부(140)는 단말이용자가 선택한 제2 필드의 개수에 대한 현황을 안내하는 선택필드아이템(910) '현재 선택 2명'을 마련하고, 이를 표시화면에 표시한다(도 9의 ⅱ) 참조).
추가적으로, 선택필드아이템(910)은 선택된 필드에 대해 선택해제를 위한 명령어 생성 메뉴(예, '김태희 (선택해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특정 필드에 대해 선택해제를 원하는 단말이용자가 통화목록을 다시 보면서 해당 필드를 찾아 선택해제해야 하는 기존의 불편함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서는, 단말이용자가 선택하는 통화목록 내 제2 필드에 대한 현황 정보를 선택필드아이템(910)을 통해 용이하게 인지하게 하여, 통화목록의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통화목록 내 제2 필드와 관련하여 발생되는 착발신 이벤트에 대해 부재 이벤트가 더 발생하는 경우, 목록 관리부(120)는 부재 이벤트와 관련한 상기 제2 필드에 부재설정정보를 표기하여 통화목록을 갱신한다.
이때, 아이템 표시부(140)는 상기 부재설정정보를 고려하여 부재필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재필드를 안내하는 부재중알림아이템을 표시화면에 표시한다.
즉, 아이템 표시부(140)는 착발신이벤트가 발생하였으나, 실제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아 부재이벤트가 발생된 통화목록 내 제2 필드를, 부재필드로서 결정하고, 상기 부재필드를 안내하는 부재중알림아이템을 표시하여, 단말이용자에게 부재 중 전화를 알리는 기능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재중알림아이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통화목록에 포함되는 제2 필드와 관련하여, 소정 통화대상자로부터 호요청이 입력됨에 따라, 이동단말은 착발신 이벤트를 발생한다. 이후 선정된 시간 동안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호요청이 무효화되면서 이동단말에서는 부재 이벤트를 발생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목록 관리부(120)는 발생한 부재 이벤트와 관련한 제2 필드에 부재설정정보, 즉 해당 필드의 통화대상자와 통화 연결이 실패했음을 식별하는 정보를 대응시켜, 통화목록을 갱신한다.
통화목록의 갱신에 따라, 아이템 표시부(140)는 통화목록으로부터 부재설정정보가 포함된 부재필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부재필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중알림아이템(1010)을 표시화면에 표시한다.
부재중알림아이템(1010)의 표시 위치는 이동단말의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으나, 단말이용자가 자주 접해 부재중 전화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대기 화면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부재중알림아이템(1010)은 부재중 전화시의 통화대상자의 호요청 시각, 통화대상자가 메시지 전송한 메시지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각 부재중 전화에 대해 확인란을 대응시켜, 부재중 전화 각각에 대해 누락없는 단말이용자의 확인이 유도되도록 한다.
도 10에서는 대기 화면 내 하단에 위치하며, 통화대상자 '금잔디'로부터의 부재중 전화에 관한 호요청 시각, 통화대상자 '송우빈'으로부터의 미확인 메시지 내역 등을 포함하는 부재중알림아이템(1010)을 예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재 중 전화를 부재중알림아이템(1010)을 통해 용이하게 인지하게 하여, 부재 중 전화에 대해 단말이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전화알람아이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통화목록에 포함되는 제2 필드와 관련하여, 착발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관련한 통화대상자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단말이용자에 의해, 알람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목록 관리부(120)는 발생한 알람 이벤트와 관련한 제2 필드에 알람설정정보를 대응시켜, 통화목록을 갱신한다. 여기서 알람설정정보는 상기 알람 이벤트에 의해 생성되고, 통화 중인, 또는 통화를 완료한 통화대상자와 다시 통화 연결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전화알람아이템을 호출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도 11의 ⅰ)에서는 통화대상자 '구준표'와 통화 연결한 이후, 단말이용자가 소정의 '추후 연락' 버튼을 푸시하면, 이동단말에서는 알람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에 연동하여 목록 관리부(120)는 '구준표' 관련 필드에, 알람설정정보('소형싸이렌' 마크)를 표기하여 통화목록을 갱신한다.
이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 후, 아이템 표시부(140)는 알람설정 필드를 선택하여, '구준표' 관련 필드로부터 연락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연락처정보를 안내하는 전화알람아이템('대형싸이렌' 마크)을 표시화면에 표시한다(도 11의 ⅱ) 참조). 전화알람아이템이 표시된 이후, 목록 관리부(120)는 '구준표' 관련 필드에서 알람설정정보를 제거하여 통화목록을 다시 갱신할 수 있다.
전화알람아이템은 '추후 연락' 버튼을 푸시한 통화대상자와의 통화 연결 필요성을 단말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이며, 통화대상자의 연락처정보, 알람설정정보의 재설정을 위한 '다시 알림'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화알람아이템이 호출되는 시간격은 시스템 환경 또는 단말이용자에 의해 유연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시 통화 연결의 필요성이 있는 통화대상자를, 전화알람아이템을 통해 단말이용자에게 알림으로써, 회의나 급한 용무 등으로 통화 연결을 미룬 통화대상자이라도 일정한 시간 이후 빠짐없이 통화 연결이 다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은 상술한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발생된 착발신 이벤트와 연관되는 제1 필드를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50)에서 검색한다(1210). 본 단계(1210)는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통화 착신 또는 통화 발신이 이루어진 통화대상 자에 대해 할당된 필드를, 통화목록으로 포함해야 할 제1 필드로서 검색하는 과정이다.
또한,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검색된 제1 필드에 대해 이력정보를 생성한다(1220). 본 단계(1220)는 추후 리마크필드를 결정하는 기준으로서,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상기 이력정보는 통화 착신, 통화 발신 등을 포함한 통화 연결된 착발신시각, 통화대상자별 통화 연결의 빈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예컨대, 제1 필드로서 검색된 '구준표' 관련 필드에, 이력정보 '착신시각 3분전' '통화빈도 2회'를 대응시켜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상기 발생한 착발신 이벤트의 발생 이전에 작성된 통화목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1230)하고, 기작성된 통화목록 내에 제1 필드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1240). 본 단계들(1230, 1240)은, 제1 필드로서 검색된 필드와 관련한 통화목록이 이미 작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결과에 따라 통화목록을 새로 작성할지, 아니면 기작성된 통화목록을 갱신해야 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과정이다.
기작성된 통화목록이 존재하고, 또한 통화목록 내에 제1 필드가 존재하면(단계 1230에서 'YES', 단계 1240에서 'YES' 방향),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기작성된 통화목록에서 확인된 제1 필드에 상당하는 필드를 조정하여 배열시킨다(1250). 즉,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단계 1250에서, 발생된 상기 착발신 이벤트와 관련한 제1 필드를, 통화목록 내 최상단으로 배열위치를 조정하여, 통화목록을 갱신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서는 착발신 이벤트의 발생시마다 필드를 반복하여 통화목록에 포함시키지 않고, 해당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여 통화목록을 갱신 함으로써, 해당 통화대상자로의 통화 내역 전체 정보가 일목요원하게 단말이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기작성된 통화목록이 존재하지 않거나(단계 1230에서 'NO' 방향), 또는 통화목록 내에 제1 필드가 존재하지 않으면(단계 1240에서 'NO' 방향),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검색된 제1 필드를 포함하여 통화목록을 작성한다(1260). 즉,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단계 1260에서, 제1 필드를 포함하여 통화목록을 새로 작성하며, 단말이용자로 하여금 착발신 이벤트가 발생된 필드에 대한 통화 연결의 내역을, 작성된 통화목록을 통해 인지되도록 한다.
단계 1260에서 작성된 통화목록은 최상단의 배열위치에 배열되는 상기 제1 필드를 비롯하여,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하여 작성되며, 포함되는 필드가 단말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필드에 유지되던 통화대상자의 연락처정보, 통화내역정보, 메시징내역정보, 메일내역정보 등을 표시화면 전체를 통해 제공한다.
또한,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이력정보를 고려하여 통화목록에 포함되는 제2 필드 중에서 리마크필드를 결정한다(1270). 본 단계(1270)는 통화대상자와의 통화 연결이 빈번하여, 유지하는 연락처정보를 자주 사용하는 필드, 또는 단말이용자에 의해 주지해야 할 것으로 지정되는 통화대상자의 필드를 리마크필드로 결정하는 과정이다.
계속해서,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결정된 리마크필드를 안내 하는 연락처아이템(810)을 표시화면에 표시한다(1280). 연락처아이템(810)은 리마크필드의 해당 통화대상자와 통화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일 수 있으며, 단계 1280에서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연락처아이템(810)을 통해, 빈도있게 연결되는 통화대상자 또는 상기 통화대상자와 관련되는 필드를 안내한다.
또한,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100)은, 연락처아이템(810)에 대한 선택에 따라, 연락처아이템(810)과 대응시켜 매체메뉴(820)를 표시화면에 표시 함으로써 매체메뉴(820)에 대한 단말이용자의 선택으로 통화대상자와 통화 연결하는 수단이 보다 다양하고 간편하게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은, 단말이용자의 제2 선택에 따라 연락처아이템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구성, 통화순서, 즐겨찾기검색, 그룹별표시에 관한 메뉴선택신호에 상응하여 통화목록 내 제2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는 구성, 메시징내역정보와 관련한 제2 필드에 대한 선택에 따라 메시지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구성, 제2 필드에 대한 선택에 따른 선택필드아이템을 표시하는 구성, 부재 이벤트와 관련한 부재필드를 안내하는 부재중알림아이템을 표시하는 구성, 알람 이벤트와 관련한 통화대상자의 연락처정보를 안내하는 전화알람아이템을 표시하는 구성 등으로 실시예를 확장할 수 있으며, 그 각각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도 2 내지 도 1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러한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에 의해서는 통화목록을 주소록과 관련된 필드로 구성 함으로써 착발신에 관한 수신 내역과, 착발신한 통화대상자에 대한 연 락처정보를 단일의 선택을 통해 단말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에 따르면, 아이들 상태의 표시화면 상에 리마크필드를 안내하는 연락처아이템을 표시 함으로써, 단말이용자가 메뉴 카테고리를 찾아 접속을 할 필요없이, 대기 화면에서 이동하지 않고 간단한 선택 만으로 즉각적인 전화통화, 메시지전송, 메일 전송 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목록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는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통화순서에 관한 메뉴선택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통화목록을 갱신하여 표시하는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즐겨찾기검색에 관한 메뉴선택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통화목록을 갱신하여 표시하는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그룹별표시에 관한 메뉴선택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통화목록을 갱신하여 표시하는 또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내역정보를 제공하는 통화목록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아이템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필드아이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부재중알림아이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전화알람아이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110 : 필드 검색부
120 : 목록 관리부
130 : 목록 표시부
140 : 아이템 표시부

Claims (24)

  1. 발생된 착발신 이벤트와 연관되는 필드를 주소록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필드에 대해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필드 검색부;
    상기 검색된 필드를 포함하여 통화목록을 작성하되, 상기 착발신 이벤트에 대해 알람 이벤트가 더 발생하는 경우, 상기 필드에 알람설정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통화목록을 갱신하는 목록 관리부; 및
    설정된 시간이 도래함에 따라, 상기 알람설정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로부터 연락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연락처정보를 안내하는 전화알람아이템을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아이템 표시부
    를 포함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표시부는,
    상기 이력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통화목록으로부터 리마크필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리마크필드를 안내하는 연락처아이템을 표시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연락처아이템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상기 연락처아이템과 대응시켜 매체메뉴를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매체메뉴에 대한 제2 선택에 따라 상기 리마크필드로부터 연락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연락처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표시부는,
    상기 연락처아이템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상기 연락처아이템을 확대하여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확대된 연락처아이템에 포함되는 상기 매체메뉴에 대한 제2 선택에 따라 상기 리마크필드로부터 연락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연락처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호출 이벤트에 따라, 상기 통화목록을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목록 표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록 관리부는,
    상기 호출 이벤트와 관련되어 입력되는 메뉴선택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는 착발신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대한 착발신시각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선택신호로서 통화순서에 관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목록 관리부는,
    상기 착발신시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선택신호로서 즐겨찾기검색에 관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목록 관리부는,
    상기 필드 중에서, 즐겨찾기설정정보를 포함하는 북마크필드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북마크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는 그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선택신호로서 그룹별표시에 관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목록 관리부는,
    상기 그룹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드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으로 분류된 필드의 개수에 관한 필드개수정보를 포함하는 제3 필드를 상기 그룹별로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3 필드를 포함하여 상기 통화목록을 갱신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 표시부는,
    상기 표시된 통화목록 내 필드에 대한 선택에 따라, 연락처정보, 통화내역정보, 메시징내역정보 또는 메일내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 표시부는,
    상기 표시된 통화목록 내, 메시징내역정보와 관련한 필드에 대한 선택에 따라, 메시지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메시징내역정보와 함께,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표시부는,
    상기 표시된 통화목록 내 필드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필드를 안내하는 선택필드아이템을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와 관련하여 발생되는 착발신 이벤트에 대해 부재 이벤트가 더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목록 관리부는,
    부재 이벤트와 관련한 상기 필드에 부재설정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통화목록을 갱신하고,
    상기 아이템 표시부는,
    상기 부재설정정보를 고려하여 부재필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재필드를 안내하는 부재중알림아이템을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12. 삭제
  13.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발생된 착발신 이벤트와 연관되는 필드를 주소록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상기 검색된 필드에 대해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상기 검색된 필드를 포함하여 통화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상기 착발신 이벤트에 대해 알람 이벤트가 더 발생하는 경우, 상기 필드에 알람설정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통화목록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설정된 시간이 도래함에 따라, 상기 알람설정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로부터 연락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연락처정보를 안내하는 전화알람아이템을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상기 이력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통화목록으로부터 리마크필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리마크필드를 안내하는 연락처아이템을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상기 연락처아이템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상기 연락처아이템과 대응시켜 매체메뉴를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상기 매체메뉴에 대한 제2 선택에 따라 상기 리마크필드로부터 연락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연락처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상기 연락처아이템에 대한 제1 선택에 따라 상기 연락처아이템을 확대하여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호출 이벤트에 따라, 상기 통화목록을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필드를 포함하여 통화목록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 이벤트와 관련되어 입력되는 메뉴선택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는 착발신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대한 착발신시각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선택신호로서 통화순서에 관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착발신시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선택신호로서 즐겨찾기검색에 관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필드 중에서, 즐겨찾기설정정보를 포함하는 북마크필드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북마크필드의 배열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는 그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선택신호로서 그룹별표시에 관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검색된 필드를 포함하여 통화목록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드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각 그룹으로 분류된 필드의 개수에 관한 필드개수정보를 포함하는 제3 필드를 상기 그룹별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3 필드를 포함하여 상기 통화목록을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목록을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통화목록 내 필드에 대한 선택에 따라, 연락처정보, 통화내역정보, 메시징내역정보 또는 메일내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목록을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통화목록 내, 메시징내역정보와 관련한 필드에 대한 선택에 따라, 메시지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메시징내역정보와 함께,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호출 이벤트에 따라, 상기 통화목록을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상기 표시된 통화목록 내 필드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필드를 안내하는 선택필드아이템을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와 관련하여 발생되는 착발신 이벤트에 대해 부재 이벤트가 더 발생하는 경우,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부재 이벤트와 관련한 상기 필드에 부재설정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통화목록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에서, 상기 부재설정정보를 고려하여 부재필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재필드를 안내하는 부재중알림아이템을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24. 삭제
KR1020090063454A 2009-07-13 2009-07-13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및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KR101062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454A KR101062577B1 (ko) 2009-07-13 2009-07-13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및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454A KR101062577B1 (ko) 2009-07-13 2009-07-13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및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024A KR20110006024A (ko) 2011-01-20
KR101062577B1 true KR101062577B1 (ko) 2011-09-06

Family

ID=4361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454A KR101062577B1 (ko) 2009-07-13 2009-07-13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및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538A (ko) * 2012-10-29 2014-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화 도메인 정보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566B1 (ko) * 2011-12-06 2014-06-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다이나믹 터치 인터렉션을 이용한 순차적 화면 전환 표시방법 및 그 장치
KR101598044B1 (ko) * 2014-06-24 2016-02-29 한국과학기술원 지능형 커뮤니케이션 관리자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694416B1 (ko) * 2016-09-29 2017-01-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연락처추천장치 및 연락처 추천을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823B1 (ko) * 2005-11-07 200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목록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823B1 (ko) * 2005-11-07 200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목록 관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538A (ko) * 2012-10-29 2014-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화 도메인 정보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KR101980204B1 (ko) * 2012-10-29 2019-05-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화 도메인 정보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024A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1472B2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for an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program
US11269909B2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for an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program
KR101420545B1 (ko) 모바일 디바이스상에 구현되는 연락처들 리스트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엔트리들을 명확화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6721402B2 (en) Apparatus, method, and record medium for automatically categorizing received mail messages
US87390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display and management
US719730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ion method for destination of communication, and computer progra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1509759B2 (en) System, a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grated management of message information
US983854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communications
US8116745B2 (en) Method for displaying caller information of portable device
US20070032267A1 (en) Contact-centric user-interface features for computing devices
KR20130135283A (ko) 자동 분류함 통지들 및 모바일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동기화
KR10141901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 및장치
CN106656757A (zh) 一种智能终端装置及其未读消息管理的方法
KR101062577B1 (ko)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시스템 및 통화목록 인터페이싱 방법
JP2018185816A (ja) 受信メッセージ表示方法、メッセージ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モバイル端末機
JP2020516205A (ja) スマートフォンを用いた通話中の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725770A1 (en) Advanced calling
KR1003599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자동 관리방법
US20090141879A1 (en) Message Forwarding System
US84172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honebook in a portable terminal
EP21664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KR1006658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번호 검색을 이용한 문자메시지표시장치 및 방법
KR1006015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메시지 관리 방법
KR20060103620A (ko) 메시지 수신함의 관리기능을 가진 이동전화 단말기 및 그관리 방법
JP5772368B2 (ja) 情報通知方法、情報通知装置および情報通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