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022B1 - 무침 주입기 - Google Patents

무침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022B1
KR101062022B1 KR1020110007799A KR20110007799A KR101062022B1 KR 101062022 B1 KR101062022 B1 KR 101062022B1 KR 1020110007799 A KR1020110007799 A KR 1020110007799A KR 20110007799 A KR20110007799 A KR 20110007799A KR 101062022 B1 KR101062022 B1 KR 101062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chemical liquid
rear end
coupl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티엠
Priority to KR1020110007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46Front-loading type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4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connected to external reservoirs for multiple refil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침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약액 공급부를 통해 연속적인 약액의 주입이 이루어짐과 함께 압력 공급부 동작에 의해 약액의 피부 투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동작 과정에서의 오류발생이 최소화 되는 가운데 효과적인 약액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침 주입기{A WITHOUT NEEDLE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무침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바늘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약액을 피부내로 주입할 수 있는 무침 주입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피하지방에 바늘 끝의 구멍을 위치시킨 다음 주사액을 주입하여야 했다. 바늘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환자의 거부감, 오염물질의 인체 유입, 주사액 주입 시 통증 유발로 인해서 사용자는 큰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무침 방식으로 약액을 주입하는 무침 주입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설계 및 사용방식이 복잡하여 잦은 동작 오류가 발생함은 물론 연속 주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동작 오류 발생없이 순간적인 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피부내로 연속적인 약액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약액을 인잭터부로 공급하는 약액 공급부와, 상기 인잭터부에 공급된 약액을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기 위해 일측에서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압력 공급부로 구성된 무침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약액 공급부는, 공급될 일정량의 약액이 보관되어지는 약액 보관실린더와, 상기 약액 보관실린더에 보관되는 약액을 가압력을 전달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직선방향 유동이 이루어지는 유동로드와, 상기 유동로드 내부에 삽입되어 상호간에 나사 치합이 이루어진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후단부에 연결된 제1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에 회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인잭터부에는 내부의 약액을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기 위한 분사팁이 삽입되어져 있으며; 상기 압력 공급부는, 본체하우징 내에서 전후방향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잭터부내의 분사팁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2추진구와, 상기 본체하우징 내에서 전후방향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우징 내부 공간을 격리시키고 선단부에는 막음판이 구비된 이동격판과, 상기 이동격판의 전후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본체하우징 후단부 중앙에 돌출 구비된 가이드봉과, 상기 본체하우징 내부의 이동격판을 기준으로 양측의 내부공간으로 각각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후단측 내부공간의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밸브와, 상기 본체하우징의 선단부 외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추진구를 원위치로 후진시키는 복원대와, 상기 복원대의 후단부에 연결된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의 후단부에서 나사치합되어 회동력을 전후 유동력으로 변환시키는 회동스크류와, 상기 회동스크류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후단부에 연결된 제2커플러와, 상기 제2커플러에 회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무침 주입기는, 약액 공급부를 통해 연속적인 약액의 주입이 이루어짐과 함께 압력 공급부 동작에 의해 약액의 피부 투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동작 과정에서의 오류발생이 최소화 되는 가운데 효과적인 약액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무침 주입기의 전체적인 기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주입기 선단부의 인잭터부와 인잭터 허브 착탈구조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3a는 분리 상태도.
3b는 결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인잭터 허브의 단차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4a는 분리 사시도.
4b는 동작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주입기의 압력 공급부 부품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 주입기의 약액 공급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주입기의 복원대 전진 이동 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주입기의 약액 주입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침 주입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약액을 인잭터부(100)로 공급하는 약액 공급부(A)와, 상기 인잭터부(100)에 공급된 약액을 토출구(101)를 통해 토출시키기 위해 일측에서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압력 공급부(B)로 나뉘어지게 된다.
그중, 약액 공급부(A)는, 공급될 일정량의 약액이 보관되어지는 약액 보관실린더(10)와, 상기 약액 보관실린더(10)에 보관되는 약액을 가압력을 전달하는 피스톤(11)과, 상기 피스톤(11)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직선방향 유동이 이루어지는 유동로드(12)와, 상기 유동로드(12) 내부에 삽입되어 상호간에 나사 치합이 이루어진 스크류(13)와, 상기 스크류(13)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후단부에 연결된 제1커플러(14)와, 상기 제1커플러(14)에 회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15)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인잭터부(100)에는 내부의 약액을 토출구(101)를 통해 토출시키기 위한 분사팁(110)이 삽입되어지게 되며, 인잭터부(100) 선단에는 토출구(101)가 피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원통형상을 이루는 인잭터 허브(200)가 도 3에서와 같은 형태로 끼워져 구성되게 된다.(도 3에서 이점쇄선은 피부를 가상선으로 나타낸 것임)
특히, 인젝터 허브(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젝터부(100)의 연결튜브(16) 체결부에 돌출 구비된 돌기부(120)가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안착홈(210)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각각의 안착홈(210)은 각기 높이(d)를 달리하여 형성됨으로 토출구(101)와 피부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각 안착홈(210)의 단차를 달리하여 압의 크기가 틀려지도록 함으로서, 환자의 피부상태(각질층)에 따라 적절한 약액 주입강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압력 공급부(B)는, 본체하우징(20) 내에서 전후방향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잭터부(100)내의 분사팁(110)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2추진구(30,40)와, 상기 본체하우징(20) 내에서 전후방향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우징 내부 공간을 격리시키고 선단부에는 막음판(53)이 구비된 이동격판(50)과, 상기 이동격판(50)의 전후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본체하우징(20) 후단부 중앙에 돌출 구비된 가이드봉(60)과, 상기 본체하우징(20) 내부의 이동격판(50)을 기준으로 양측의 내부공간(a,b)으로 각각 압축펌프(미도시)로 부터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21,22)와, 상기 후단측 내부공간(a)의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밸브(23)와, 상기 본체하우징(20)의 선단부 외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추진구(30)를 원위치로 후진시키는 복원대(75)와, 상기 복원대(75)의 후단부에 연결된 연결로드(70)와, 상기 연결로드(70)의 후단부에서 나사치합되어 회동력을 전후 유동력으로 변환시키는 회동스크류(80)와, 상기 회동스크류(80)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후단부에 연결된 제2커플러(85)와, 상기 제2커플러(85)에 회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90)로 구성되었다.
특히, 복원대(75)에는 제1추진구(30)의 외벽면에 돌출 구성된 돌출봉(32)이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형성하는 안내장공(76)이 형성되었다.
또한, 이동격판(50)의 배면 중앙에는 가이드봉(60)이 삽입 지지되도록 가이드홈(52)이 형성되었다.
또한, 본체하우징(20)에는 도 2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막음판(53)의 전진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24)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제1추진구(30) 선단에는 끼움홈(미도시)을 형성하여 분사팁(110)이 일체로 결합 구성되어짐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5' 및 90'는 각각 감속기이고, 31,41,51은 각각 제1,2추진구(30,40) 및 이동격판(50)의 상호간 간격 지지를 위한 지지로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무침 주입기의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인잭터부(100)에 끼워진 인잭터 허브(200)를 환자의 피부에 밀착시켜서 인잭터부(100)의 토출구(101)가 피부와 일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동작전원이 인가되어지면, 도 6에서와 같이 약액 공급부(A)의 제1구동모터(15) 구동에 의해 스크류(13)가 회전되어지고, 이로인해 스크류(13)와 나사 치합되어져 있는 유동로드(12)가 전진 이동되어짐에 따라 피스톤(11)이 전진되어 약액보관 실린더(10)에 있는 약액을 연결튜브(16)를 통해 인잭터부(100)로 일정량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인잭터부(100)로의 약액의 공급이 완료되면 압력 공급부(B)가 동작되어 약액을 토출구(101)를 통해 고압으로 분사시키게 된다.
즉, 이때에는 제2구동모터(90) 구동에 의해 제2커플러(85)로 연결된 회동스크류(80)가 회전되어지면, 회동스크류(80)와 후단부가 나사치합되어져 있는 연결로드(70)가 전진되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복원대(75)가 일정 거리로 전진되어지면서 안내장공(76)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도 7에서와 같이 제1추진구(30)의 돌출봉(32)에 대한 스토퍼 작용이 해제되어짐으로서 제1추진구(30)의 전진방향 이동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압력 공급부(B)측 본체하우징(20)의 내부공간(a,b)으로 압축공기 공급부(21,22)를 통한 고압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에는 먼저 제1공간(a)부로 압축공기 공급이 이루어진 후 제2공간(b)으로 압축공기 공급이 이루어짐으로서 막음판(53)이 걸림턱(24) 부위에 밀착되어 내부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내부공간(a,b)에 고압의 공기가 충진되어진 상태에서 배기밸브(23)를 열어주게 되면, 제1공간(a)에 충진된 공기의 배기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격판(50)을 기준으로 제1공간(a)과 제2공간(b)의 압력균형이 깨지면서 이동격판(50)이 후진 이동되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이동격판(50) 선단에 결합된 막음판(53)이 걸림턱(24) 부위로 부터 떨어짐에 따라 도 8에서와 같이 제2공간(b)에 있던 압축공기가 저압상태인 선단측으로 순간적으로 이동되어지면서 제1,2추진구(30,40)를 가압하여 밀어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1,2추진구(30,40)의 순간 가압력에 의해 분사팁(110)이 전진되어짐으로서 인잭터부(100)에 채워져 있는 약액을 토출구(101)를 통해 고압으로 분사시키게 됨으로서 피부를 통한 약액의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1차적인 약액 주입이 이루어진 후에는 다음 약액 주입동작을 위해 전진 이동된 제1,2추진구(30,40)를 원위치로 후진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다시 제2구동모터(15)의 역방향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회동스크류(80)와의 작용에 의해 연결로드(70)가 서서히 후진되어짐으로서 복원대(75)가 함께 후진되면서 안내장공(76)에 걸려진 돌출봉(32)이 함께 후진되어짐으로서 제1,2추진구(30,40)의 원위치 복원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분사팁(110)도 제1추진구(30)와 함께 원위치로 후진되어지게 된다.
이후, 도 6에서와 같은 약액 공급과정과, 도 7의 복원대(75) 전진 및 도 8의 압축공기 공급 과정이 다시 이루어지는 반복 과정을 통해 연속적인 약액 주입이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무침 주입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약액보관 실린더 11 : 피스톤
12 : 유동로드 13 : 스크류
14 : 제1커플러 15 : 제1구동모터
15': 제1감속기 16 : 연결튜브
20 : 본체하우징 21,22 : 압축공기 공급부
23 : 배기밸브 24 : 걸림턱
30 : 제1추진구 31,41,51 : 지지로드
32 : 돌출봉 40 : 제2추진구
50 : 이동격판 52 : 가이드홈
53 : 막음판 60 : 가이드봉
70 : 연결로드 71 : 작동구
75 : 복원대 76 : 안내장공
80 : 회동스크류 85 : 제2커플러
90 : 제2구동모터 90': 제2감속기
100 : 인잭터부 101 : 토출구
110 : 분사팁 200 : 인잭터 허브
a: 제1공간 b: 제2공간
A : 약액 공급부 B : 압력 공급부

Claims (6)

  1. 약액을 인잭터부(100)로 공급하는 약액 공급부(A)와, 상기 인잭터부(100)에 공급된 약액을 토출구(101)를 통해 토출시키기 위해 일측에서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압력 공급부(B)로 구성된 무침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약액 공급부(A)는, 공급될 일정량의 약액이 보관되어지는 약액 보관실린더(10)와, 상기 약액 보관실린더(10)에 보관되는 약액을 가압력을 전달하는 피스톤(11)과, 상기 피스톤(11)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직선방향 유동이 이루어지는 유동로드(12)와, 상기 유동로드(12) 내부에 삽입되어 상호간에 나사 치합이 이루어진 스크류(13)와, 상기 스크류(13)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후단부에 연결된 제1커플러(14)와, 상기 제1커플러(14)에 회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15)로 구성되고;
    상기 인잭터부(100)에는 내부의 약액을 토출구(101)를 통해 토출시키기 위한 분사팁(110)이 삽입되어져 있으며;
    상기 압력 공급부(B)는, 본체하우징(20) 내에서 전후방향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잭터부(100)내의 분사팁(110)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2추진구(30,40)와, 상기 본체하우징(20) 내에서 전후방향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우징 내부 공간을 격리시키고 선단부에는 막음판(53)이 구비된 이동격판(50)과, 상기 이동격판(50)의 전후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본체하우징(20) 후단부 중앙에 돌출 구비된 가이드봉(60)과, 상기 본체하우징(20) 내부의 이동격판(50)을 기준으로 후단측에 형성된 내부공간(a) 및 선단측에 형성된 내부공간(b)으로 각각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21,22)와, 상기 후단측에 형성된 내부공간(a)의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밸브(23)와, 상기 본체하우징(20)의 선단부 외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추진구(30)를 원위치로 후진시키는 복원대(75)와, 상기 복원대(75)의 후단부에 연결된 연결로드(70)와, 상기 연결로드(70)의 후단부에서 나사치합되어 회동력을 전후 유동력으로 변환시키는 회동스크류(80)와, 상기 회동스크류(80)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후단부에 연결된 제2커플러(85)와, 상기 제2커플러(85)에 회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침 주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잭터부(100) 선단에는 토출구(101)가 피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원통형상을 이루는 인잭터 허브(200)가 끼워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침 주입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원대(75)에는 제1추진구(30)의 외벽면에 돌출 구성된 돌출봉(32)이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형성하는 안내장공(7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침 주입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격판(50)의 배면 중앙에는 가이드봉(60)이 삽입 지지되도록 가이드홈(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침 주입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20)에는 막음판(53)의 전진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침 주입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 허브(200)는 인젝터부(100)에 돌출 구비된 돌기부(120)가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안착홈(210)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각각의 안착홈(210)은 각기 높이(d)를 달리하여 형성됨으로 토출구(101)와 피부의 거리 조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침 주입기.
KR1020110007799A 2011-01-26 2011-01-26 무침 주입기 KR101062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799A KR101062022B1 (ko) 2011-01-26 2011-01-26 무침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799A KR101062022B1 (ko) 2011-01-26 2011-01-26 무침 주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022B1 true KR101062022B1 (ko) 2011-09-05

Family

ID=4495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799A KR101062022B1 (ko) 2011-01-26 2011-01-26 무침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02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632B1 (ko) 2013-01-18 2013-10-02 한국기계연구원 무침 주사기
WO2014014239A1 (ko) 2012-07-19 2014-01-23 (주)아모레퍼시픽 노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형 주입 장치
WO2015174659A1 (ko) * 2014-05-14 2015-11-19 함종욱 주사액 정량 주사용 스토퍼를 갖는 주사기
KR20160060489A (ko) * 2014-11-20 2016-05-30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분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분사노즐이 구비된 에어젯 핸드피스
KR101863355B1 (ko) * 2016-12-01 2018-06-01 한국기계연구원 인젝션 량이 가변조절되는 증압식 무침주사기
KR20180132219A (ko) *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비즈엔몰드 피부 약물 주입장치
KR101958170B1 (ko) * 2018-11-07 2019-03-15 주식회사 바이오에이치 마이크로젯 주입 장치
KR102047084B1 (ko) * 2018-05-30 2019-12-03 최종수 자동 약물 주사기
KR20220054951A (ko) * 2020-10-26 2022-05-03 미라클스코프(주) 약물주입단자를 구비한 무침주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6689A (ja) 2006-10-05 2008-04-17 Shimadzu Corp 針無注射器
KR100888831B1 (ko) 2008-06-02 2009-03-19 (주)클래시스 무바늘 분출 주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6689A (ja) 2006-10-05 2008-04-17 Shimadzu Corp 針無注射器
KR100888831B1 (ko) 2008-06-02 2009-03-19 (주)클래시스 무바늘 분출 주사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239A1 (ko) 2012-07-19 2014-01-23 (주)아모레퍼시픽 노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형 주입 장치
US9956354B2 (en) 2012-07-19 2018-05-01 Amorepacific Corporation Nozzle device and minimally invasive injection device comprising same
KR101313632B1 (ko) 2013-01-18 2013-10-02 한국기계연구원 무침 주사기
WO2015174659A1 (ko) * 2014-05-14 2015-11-19 함종욱 주사액 정량 주사용 스토퍼를 갖는 주사기
KR20160060489A (ko) * 2014-11-20 2016-05-30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분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분사노즐이 구비된 에어젯 핸드피스
KR101631288B1 (ko) * 2014-11-20 2016-06-16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분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분사노즐이 구비된 에어젯 핸드피스
KR101863355B1 (ko) * 2016-12-01 2018-06-01 한국기계연구원 인젝션 량이 가변조절되는 증압식 무침주사기
KR20180132219A (ko) *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비즈엔몰드 피부 약물 주입장치
KR102021934B1 (ko) 2017-06-02 2019-09-17 주식회사 비즈엔몰드 피부 약물 주입장치
KR102047084B1 (ko) * 2018-05-30 2019-12-03 최종수 자동 약물 주사기
KR101958170B1 (ko) * 2018-11-07 2019-03-15 주식회사 바이오에이치 마이크로젯 주입 장치
KR20220054951A (ko) * 2020-10-26 2022-05-03 미라클스코프(주) 약물주입단자를 구비한 무침주사기
KR102463473B1 (ko) 2020-10-26 2022-11-04 미라클스코프(주) 약물주입단자를 구비한 무침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022B1 (ko) 무침 주입기
JP4621664B2 (ja) 無針インジェクタ
JP7094295B2 (ja) 自動流体注入装置
JP4780034B2 (ja) 針無注射器
US9220835B2 (en) Device for drug infusion
US6508788B2 (en) Medication delivery device with telescopic piston rod
KR101121082B1 (ko) 약물 주입 장치
CN103816588A (zh) 无针注射装置
CZ20023824A3 (cs) Lékařské zařízení
TW201722492A (zh) 用於接合注射器柱塞與注入器之系統及方法
US20090292239A1 (en) Injector System for Needleless, High Pressure Delivery of a Medicament
JP2009247762A (ja) 針無注射器
CN106902422B (zh) 可连续注射的无针注射器
CN212214316U (zh) 一种脉冲式无针注射器
KR101165768B1 (ko) 무바늘 연속주사장치
CN103977481A (zh) 一种气动蓄能式无针注射器
CN211536161U (zh) 组合式妇科推药器
KR20190126520A (ko) 무통 주사기용 약액주입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통 주사기
CN108969841B (zh) 单人机械自助注射泵
KR101879388B1 (ko) 약물 주입장치
JP7171908B2 (ja) エアロゾルディスペンサのためのテンショニング装置およびエアロゾルディスペンサ
CN2933434Y (zh) 无针注射器
JP7264558B1 (ja) 無針注射器
CN105126225A (zh) 无痛微量麻醉剂注射器
KR20160142710A (ko) 마이크로 니들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