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984B1 - Block for the quay and the structure of the qua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lock for the quay and the structure of the quay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984B1
KR101061984B1 KR1020100064541A KR20100064541A KR101061984B1 KR 101061984 B1 KR101061984 B1 KR 101061984B1 KR 1020100064541 A KR1020100064541 A KR 1020100064541A KR 20100064541 A KR20100064541 A KR 20100064541A KR 101061984 B1 KR101061984 B1 KR 101061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quay wall
quay
wal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5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8338A (en
Inventor
조기환
Original Assignee
조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빈 filed Critical 조수빈
Publication of KR20110088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3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8Fender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Abstract

안벽용 블록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은, 해안에 선박이 접안하도록 하는 안벽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안벽용 블록으로서, 안벽용 블록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되, 몸체에는 몸체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돌기; 몸체의 하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 몸체의 양 측면에 몸체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도 형성부 및 몸체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어도 형성부는, 몸체의 양측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며 몸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인입홈을 형성하도록 몸체 양측면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 위치되며 전후방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및 인입홈이 몸체의 후방측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몸체의 후방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막음부를 포함한다. A block for a quay wall is disclosed. The quaysid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quayside block for forming a quayside structure for docking the vessel on the coast, the quayside block includes a body having a hexahedral shap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body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Guide groove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On both sides of the body is formed an esophagus forming portion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and a communication hole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body, the esophagus forming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ide from both sides of the body a predetermined depth and predetermined from the front of the body to the rear side A pair of protrusions locat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dy and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to form a lengthwise inlet groove; And a blocking portion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body so that the inlet groove does not extend to the rear side of the body.

Description

안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안벽 구조물{Block for quay wall and quay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Block for quay and quay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Block for quay wall and quay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안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항만의 안벽을 형성하기 위한 친환경 안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안벽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for a quay and a quay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to an eco-friendly quay block for forming a quay of the harbor and a quay structure using the same.

안벽이란 하역시 정박을 위하여 선박을 계류하는 시설로서 선박에 접하는 쪽은 벽면이고 그 뒤는 토압에 견딜 수 있는 벽상구조로서 중력식, 널말뚝식, 선박식이 있다. 안벽은 구조양식에 따라 중력식, 널말뚝식, Cell식, 잔교식, 부잔교식, Dolphin, 계선부표 등으로 나눈다. A quay wall is a facility for mooring ships for anchoring at unloading. The side facing the ship is the wall surface, and the wall structure that can endure earth pressure is gravity, board pile, and vessel type. The quay wall is divided into gravity, board pile, cell type, bridge type, buzan type, Dolphin, mooring buoy according to the structural style.

이 중 블록식 구조를 갖는 중력식 안벽은 블록의 제작시 콘크리트 블록 내부에 블록 이동을 위한 철골 구조를 구비하며, 이와 같은 철골 구조 중 일부가 콘크리트 블록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철골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블록은 바다 속에 잠긴 상태에서 적층된 형태로 안벽 구조물을 형성한다. Among them, the gravity-type quay wall having a block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steel structure for moving the block inside the concrete block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block, some of such steel structure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upper side of the concrete block. Concrete blocks having such a steel structure forms a quay wall structure in a stacked form in the state submerged in the sea.

그러나, 이와 같은 철골 구조를 구비한 콘크리트 안벽 구조체는 바다속에 오래 잠겨 있는 동안 철골 구조가 녹이 슬거나 부식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철골 구조가 녹슨 부분의 콘크리트 블록이 파손되므로, 콘크리트 블록의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crete quay wall structure having such a steel structure is impossible to reuse because the steel structure is rusted or corroded during long periods of immersion in the sea, and the concrete block of the rusty portion of the steel structure is damaged, it is impossible to recycle the concrete block There is a problem.

또한, 안벽이 설치되는 항만에도 바다속에 서식하는 수중 생물이나 치어와 같은 물고기들이 때를 지어 배회하는데 선박들이 지속적으로 드나드는 항만에는 치어들이 산란하거나 서식할 수 있는 장소가 마땅히 제공되지 아니하였는 바, 영구적으로 생태계 보호 및 어족 자원 보호를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벽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harbor where the quay is installed, fish such as aquatic creatures and fry in the sea circulate at times, but there is no place where the fry can spawn or inhabit the harbor where the ships continue to enter.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quay tha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permanently protecting ecosystems and fish stock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친환경 안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안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manently reusable eco-friendly wall block and a quay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류 및 해초류가 자생할 수 있으며, 수중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친환경 안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안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o-friendly wall block and a quay-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which can inhabit fish and seaweeds, and can provide a space for aquatic lif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친환경 안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안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o-friendly quarry block and a quay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that can be installed in a simple mann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안에 선박이 접안하도록 하는 안벽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안벽용 블록으로서, 상기 안벽용 블록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돌기; 상기 몸체의 하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도 형성부 및 상기 몸체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어도 형성부는, 상기 몸체의 양측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며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인입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 양측면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 위치되며 전후방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및 상기 인입홈이 상기 몸체의 후방측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의 후방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막음부를 포함하는 안벽용 블록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quay wall block for forming a quay wall structure for docking the vessel on the coast, the quay wall block includes a body of a hexahedral shap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body of the body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Guide groove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Both sides of the body are formed with an airway forming portion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and a communication hole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body, the fishery forming portion, a predetermined depth drawn into the inner side from both sides outside of the body and the body A pair of protrusions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and position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dy to form an inlet groov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front side to a rear side of the body; And it is provided a block for the wall including a blocking portion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body so that the inlet groove does not extend to the rear side of the body.

삭제delete

이 때, 상기 인입홈의 내측면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될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groove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width becomes narrower as it is drawn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이 때, 상기 몸체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인입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면의 상기 한쌍의 돌출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 1 홈과 연결된 제 2 홈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a first groov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epth inwardly and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pair of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bod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nd of the A second groove connected to the first groove may be form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안에 선박이 접안하도록 하는 안벽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안벽용 블록으로서, 상기 안벽용 블록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돌기; 상기 몸체의 하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도 형성부 및 상기 몸체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상기 어도 형성부는 상기 몸체 양측면의 상측부에 위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 및 상기 몸체의 후방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막음부를 포함하는 안벽용 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block for the quay wall to form a quay wall structure for docking the ship on the coast, the quay wall block includes a body of a hexahedral shap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body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Guide groove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Both sides of the body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 communication hole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body, the fish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h sides of the body protruding portion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block for the quay wall including a blocking portion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body may be provided.

이 때,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각각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인입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면의 상기 돌출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 1 홈들과 연결된 제 2 홈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s formed with a first groov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epth inwardly and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bod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nd of the first groove and Connected second grooves may be formed.

이 때,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상기 몸체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몸체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2개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연통홀은 안벽용 블록이 안벽 구조물을 형성한 상태에서 물고기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 및 상기 몸체가 크레인에 의하여 들어올려질 때 상기 몸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와이어가 관통될 수 있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body,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wo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ody, the two communication holes are the inner wall block is the inner wall It can be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ire for lifting the body can be penetrated when the body is lifted by the crane and the passage for the fish in the form of the structure.

한편,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 내부를 지지하기 위한 철골 구조를 포함하지 않고 콘크리트로만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ody does not include a steel fram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inside of the body may be formed of concrete only.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벽용 블록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고, 좌우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안벽 구조물로서, 하부에 적층되는 안벽용 블록이 상부에 적층되는 안벽용 블록보다 전후방향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안벽 구조물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y wall blocks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quay wall structure formed by connec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rear wall blocks stack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wall block is stack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re is provided a quay wall structure in which is formed longer.

이 때, 상기 안벽 구조물은 상호 이웃하는 안벽용 블록 몸체들이 서로 엇갈려 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quay wall structure may be formed so that the neighboring quay wall block bodies are stacked with each other.

이 때, 상기 안벽용 블록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상기 안벽용 블록 몸체의 상부측에 적층된 또 다른 안벽용 블록 몸체의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ngaging projec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block body may be formed to fit in the guid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wall block body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block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에 의하여 형성된 안벽 구조물은 해양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기 때문에 자연 친화적이다. The quay wall structure formed by the quaysid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atural because it creates an environment in which marine life can inhab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은 내부에 철골 구조가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해수에서 부식되지 않아 재활용이 가능하다. The quaysid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ycled because it is not corroded in seawater because the steel structure is not inserted there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을 이용하면 안벽을 간단한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다.
Using the block for the quay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in a simple wa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안벽 구조물이 해안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을 쌓아 안벽 구조물을 형성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을 쌓아 안벽 구조물을 형성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을 쌓아 안벽 구조물을 형성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을 인양하기 위하여 인양 와이어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 와이어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 와이어의 다른예이다.
1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quay wall structure constructed using a quay wall b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coas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for a quay wa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quay wall structure is formed by stacking the quay wall block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quay wall structure is formed by stacking the quay wall block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for a quay wa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quay wall structure is formed by stacking the quay wall block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wire is installed to lift the block for the quay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lifting wire for lifting a block for a quay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other example of a lifting wire for lifting a block for a quay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안벽 구조물이 해안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quay wall structure constructed using a quay wall b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coas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을 이용하여 시공된 안벽 구조물(10)은 항만에서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이 때, 안벽 구조물(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을 육지에 인접한 바다에 횡방향으로 배열한 후, 상하 방향으로 10m ~20m 정도의 적층하여 형성한다. 적층된 안벽용 블록(100)의 상부에는 콘크리트로 형성된 상부 구조(20)가 위치된다. 안벽 구조물(10)과 육상(30) 사이에는 자갈 및 모래 등을 채워 안벽 구조물과 육지 사이를 완전히 매립하도록 한다. 상부 구조(20)의 전방 측벽에는 복수의 펜더(40)가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quay wall structure 10 constructed by using the quay block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can be docked by a ship in a harbor. At this time, the quay wall structure 10 is formed by stacking the quay wal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a adjacent to the l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10m ~ 20m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structure 20 formed of concrete is positioned on the stacked top wall blocks 100. Between the quay structure 10 and the land 30 is filled with gravel and sand to completely fill between the quay structure and the land. A plurality of fenders 4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idewall of the upper structure 20.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벽 구조물(10)을 형성하는 안벽용 블록(100)은 이웃하는 블록과 상하좌우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어도(150)가 형성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을 이용하여 형성된 안벽 구조물(10)은 그 내부에 물고기와 같은 해양 생물들이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을 뿐 아니라, 해초류와 같은 수생 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어 자연 친화적인 해안 생태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quay wall block 100 for forming the quay wall structure 10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airway 150 may be formed t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neighboring block is coupled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ly,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quay wall structure 10 formed using the quay wal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nly freely enter marine life such as fish therein In addition, aquatic plants, such as seaweeds, can inhabit them, helping to form natural, coastal ecosystem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을 이용하여 형성된 안벽 구조물(10)은 내부의 어도(150)가 안벽 구조물 전체적으로 상하방향 및 측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 해수의 유출입이 자유롭다. In addition, the quay wall structure 10 formed using the quay wal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ly inflow and outflow of sea water because the inner fish 150 is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as a whole.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은 제작시 내부에 종래와 같은 철골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 재료로 형성된 블록 형태로 제작되므로,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훼손이 잘 되지 않으며 철골의 부식에 따른 부작용의 염려가 없으며, 안벽용 블록의 재사용이 용이하다. In addition, the quay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lock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without using a steel structure as in the prior to the production, it does not damage well even if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no worry of side effects due to corrosion, and it is easy to reuse the wall block.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구조를 도면을 달리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the quay wal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을 쌓아 안벽 구조물을 형성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을 쌓아 안벽 구조물(10)을 형성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한편,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방이란 안벽용 블록(100)이 해양에 설치된 상태에서 바다를 향하는 방향이며, 후방이란 육상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규정하여 이하 설명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100 for a quay wa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quay wall structure is formed by stacking the quay wall block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quay wall structure 10 is formed by stacking the quay wall block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is a direction toward the sea in the state that the block 100 for the wall is installed in the ocean, the rear will be described below to refer to the direction toward the land.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몸체(101)를 포함한다. 이 때 몸체(10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몸체(101)는 콘크리트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철근 구조를 구비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몸체(101)의 크기는 대략 높이가 2m 정도, 폭이 2m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후 방향 길이는 필요에 따라 수m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m X 2m X 수m 로 형성되는 안벽용 블록(100)은 수십 내지 수백 톤의 중량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2 to 4, a block for a quay wa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1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t this time, the body 101 is formed in a shap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body 101 may be formed using a concrete material, and is formed so as not to have a reinforcing structure therein. The body 101 may have a height of about 2 m and a width of about 2 m, and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may be several m as necessary. As such, the block 100 for a quay wall formed of 2m X 2m X several m may be formed to have a weight of several tens to several hundred tons.

안벽용 블록(100)의 몸체(101) 상면에는 결합 돌기(102)가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 때 결합돌기(102)는 사다리꼴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Coupling protrusions 10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1 of the quay wall block 1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 102 is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cross section.

안벽용 블록(100)의 몸체(101) 하면에는 가이드 홈(104)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가이드 홈(104)은 결합돌기(102)에 대응하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The guide groove 104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1 of the quay wall block 100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104 is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jection (102).

결합돌기(102)는 안벽용 블록(100)이 적층될 때 상부에 적층되는 안벽용 블록(100)의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104)이 끼워지는 위치로, 상하로 안벽용 블록(100)이 적층될 때 블록(100)이 올바른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결합돌기(102)와 가이드 홈(104)의 위치는 안벽용 블록(100)의 전방면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좌우 방향, 즉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upling protrusion 102 is a position in which the guide groove 10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wall block 100 is stacked when the inner wall block 100 is stacked, the inner wall block 100 is up and down It serves to guide the block 100 to be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when stacked. For this purpose,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102 and the guide groove 104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is, the transverse direc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the same distanc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quay wall block 10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벽용 블록(100)은 어도 형성부(110)를 포함한다. 어도 형성부(110)는 돌출부(114) 및 막음부(116)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y wall block 100 includes an fisherman forming part (110). The adduct forming unit 110 includes a protrusion 114 and a block 116.

돌출부(114)는 안벽용 블록(100)의 양 측면 상측부 및 하측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안벽용 블록(10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Protruding portion 114 is a portion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ide wall block 100, is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inner wall block 100.

막음부(116)는 안벽용 블록(100)의 후방면에 인접하게 돌출된 부분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The blocking portion 116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portion protruding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quay wall block 100.

이에 따라 돌출부(114)와 막음부(116)는 'ㄷ'자를 뒤집어 놓은 형태로 안벽용 블록(100)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돌출부(114)와 막음부(116) 사이에 형성된 움푹 들어간 부분을 본 실시예에서는 인입홈(112)이라 칭한다. 인입홈(112)은 안벽용 블록(100)이 이웃하는 안벽용 블록과 접하여 안벽을 형성하였을 때 이웃하는 안벽용 블록의 마주보는 인입홈과 함께 어도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Accordingly, the protruding portion 114 and the blocking portion 116 are formed to protrude on the side of the quay wall block 100 in the form of the 'c' upside down. At this time, the recess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114 and the blocking portion 116 is referred to as the inlet groove 1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let groove 112 is a portion which forms an esophagus together with the inlet groove facing the neighboring inner wall block when the inner wall block 100 forms an inner wall in contact with the neighboring inner wall block.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114)와 막음부(116)가 인입홈(112)을 형성하는 내측면은 상기 몸체(101)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될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안벽용 블록(100)이 결합하여 어도(150)를 형성하는 경우 어도(150)는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육각형의 길을 형성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안벽 구조물(10)에 있어서, 어도(150)의 폭은 대략 1m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의 수생 생물 및 해초류들이 어도 내에 자유로이 서식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14 and the blocking portion 116 forming the inlet groove 112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width becomes narrower as it is drawn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101. Accordingly, when the two inner wall blocks 100 are combined to form the fisherman 150, the fisherman 150 forms a substantially hexagonal road, as can be seen in FIG. 3. At this time, in the quay wall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of the fish 150 may be approximately 1m, and thus can be formed so that marine aquatic organisms and seaweeds can freely inhabit and move in the fish. .

한편, 몸체(101)의 상면(103) 및 하면(10)에는 제 1 홈(130)이 형성된다. 제 1 홈(130)은 몸체(101)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하면에 전후 방향으로 3개로 형성된다. 제 1 홈(130)의 단면은 사다리꼴의 형태를 이룬다. Meanwhile, a first groove 130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03 and the lower surface 10 of the body 101. The first groove 13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ody 101, and is formed in thre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groove 130 forms a trapezoidal shape.

제 1 홈(130)이 위치되는 상면(103) 및 하면(107)의 양 측부에는 3개의 제 2 홈(140)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 2 홈(140)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 2 홈(140)은 몸체(101)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돌출부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 1 홈(130)은 제 2 홈(140)을 지나 인입홈(112)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Three second grooves 14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103 and the lower surface 107 where the first groove 130 is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groove 140 is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cross section. The second groove 140 is formed at the protrusions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body 101, and thus the first groove 13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inlet groove 112 through the second groove 140.

제 1 홈(130) 및 제 2 홈(1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이 상하 및 좌우로 적층되었을 때 안벽용 블록(100)의 양측부에 인입홈(112)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앙 어도(152)가 안벽 전체에 걸쳐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 통로를 형성한다. 이 때 제 1 홈(1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결 통로는 도 4에서 볼 때 횡방향 어도(154)를 형성하고, 제 2 홈(140)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결통로는 도 4에서 볼 때 상하 방향 어도를 형성한다. 이 때 제 1 홈(130) 및 제 2 홈(140)이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있어 제 1 홈(130) 및 제 2 홈(140)에 의하여 형성되는 횡방향 어도(154) 및 상하 방향 어도는 중앙 어도(152)와 유사하게 6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어도(152) 및 횡방향 어도(154) 그리고 상하 방향 어도가 전체적으로 6각형 단면을 가지기 때문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안벽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어도가 벌집 형태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구조물(10)은 어도(150)에 의하여 내부에 빈 공간이 생김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groove 130 and the second groove 140 are recessed grooves 112 at both sides of the quay wall block 100 when the quay wal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e central fishery 152 formed by) forms a connecting passage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over the entire inner wall.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assage formed by the first groove 130 forms a transverse direction 154 as seen in FIG. 4, and the connecting passage formed by the second groove 140 is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 Form an esophagus. At this time, the first groove 130 and the second groove 140 has a trapezoidal cross-section so that the horizontal groove 154 and the vertical groove formed by the first groove 130 and the second groove 140 are formed. Is formed to have a hexagonal cross section similar to the central fish 15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entral fish 152, the lateral fish 154 and the vertical fish have a hexagonal cross section as a whole, fish formed through the inner wall of the concrete can be made similar to the honeycomb form. have. Accordingly, the quay wall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rigid structure despite the empty space therein by the fish 1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에 의하여 형성된 안벽은 중앙 어도(152)와 상하 방향 어도 및 횡방향 어도(154)가 상호 연결되어 있어 해양 생물 및 해초류가 안벽의 내부에 자유로이 서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quay wall formed by the quay wal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ntral fishery 152 and an up and down fishery and a transverse fishery 154 interconnected so that marine life and seaweeds are freely inside the inner wall. It is formed to inhabi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에는 연통홀(120)이 형성된다. 연통홀(120)은 안벽용 블록(100)의 몸체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대략적으로 몸체(101)의 중간 정도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연통홀(120)의 크기는 20cm~ 30cm 정도 일 수 있다. 연통홀(120)은 안벽이 형성된 상태에서 해양 생물들이 지나다니는 통로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을 이동하기 위한 인양 와이어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로 이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hole 120 is formed in the block 100 for the quay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hole 120 is formed to penetrate the body of the inner wall block 10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may be located approximately at the middle height of the body 101.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communication hole 120 may be about 20cm ~ 30cm. The communication hole 120 may not only be a passage through which marine life passes in the state where the inner wall is formed, and may be used as a coupling tool to which a lifting wire for moving the inne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

본 실시예에서 연통홀(120)은 몸체(101)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2개로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연통홀(120)을 전방측 및 후방측에 2개로 형성할 경우 대략 수십 ~ 수백 톤에 이르는 안벽용 블록(100)을 용이하게 인양 와이어를 걸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In this embodiment, two communication holes 120 are formed at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ody 101. As such, when two communicating holes 120 are formed at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it is convenient because the lifting block 100 for approximately tens to hundreds of tons can be easily walked by the lifting wire.

연통홀(120)의 수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안벽용 블록(100)의 전후방향 길이가 길어 2개의 인양 와이어 만으로는 무게를 지지하기 어려운 경우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number of the communication holes 120 may be formed as two or more, if necessary, 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lock 100 for the wall is difficult to support the weight only by the two lifting wires.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안벽용 블록(100)을 적층하여 바다속에 형성된 안벽의 결합된 상태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The combined state of the quay wall formed in the sea by stacking the quay wall block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S. 3 and 4.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을 안벽 구조물(10)로 쌓아 올리는 경우 안벽용 블록(100)은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기 배열되도록 적층된다. 이와 같이 엇갈리게 배열되됨으로써 적층되는 안벽용 블록(10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안벽용 블록(100) 하나의 무게가 수십 내지 수백 톤에 이르므로, 안벽이 적층된 상태에서 중력의 힘에 의하여 안벽용 블록(100)은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 자체 중량에 의하여 안벽 구조물(10)을 형성한다. 이 때, 안벽 구조물(10)의 형태가 잘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01)에 가이드 홈(104) 및 결합 돌기(102)를 형성하여 상하 및 좌우로 결합되는 안벽용 블록(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였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when the quay wal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with the quay wall structure 10, the quay wall blocks 100 are stacked to b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us arranged by staggered blocks for the quay wall 100 can be more firmly coupled. At this time, since the weight of one of the blocks for the wall 100 reaches several tens to hundreds of tons, the wall block 100 by the force of gravity in the state in which the inner wall is stacked the quay wall structure by its own weight without a separate coupling means To form (10). At this time,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quay wall structure 10 as described above to form a guide groove 104 and the engaging projection 102 in the body 101 is a block for the quay wall coupl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The position of the (100) can be easily fitted.

한편,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구조물(10)에 있어서, 상하로 배열되는 안벽용 블록(100)은 하측에 위치되는 안벽용 블록(100)의 전후 방향 길이가 상측에 위치되는 안벽용 블록(100)의 전후 방향 길이에 비하여 길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측에 위치되는 안벽용 블록(100)의 전후 방향 길이가 상측에 위치되는 안벽용 블록(100)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인 안벽의 구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in Figure 4, in the quay wall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y wall block 100 arranged up and down is before and after the quay wall block 10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direction length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lock 100 for the quay wall located on the upper side. As such,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quayside block 100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are formed longer than the quayside block 100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entire quay wall can be made stable.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을 쌓아 안벽 구조물을 형성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을 설명한다. 이 때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100 for a quay wa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quay wall structure is formed by stacking the quay wall block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block for a quay wa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At this time, i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과 비교할 때 양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 중 하측부에 위치되는 돌출부가 생략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양 측면의 돌출부(114)가 양측면의 상측부에만 위치된 경우 적층된 형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측면의 돌출부(114)가 양측면의 상측부에만 형성된 경우 중앙 어도(152)는 전방에서 볼 때 5각형의 형태를 지니게 되며, 중앙 어도(152)의 하측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횡방향 어도(154) 및 상하 방향 어도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6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을 쌓아 안벽 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최하측 단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quay wall block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jection which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projections formed on both sides as compared with the bar wall block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can be seen in FIG. Is made in an omitted form. As such, when the protrusions 114 on both sides are positioned only on the upper sides of both sides, the stacked form is illustrated in FIG. 6. As can be seen in FIG. 6, when the protrusions 114 of both sides are formed only on the upper sides of both sides, the central fisherman 152 has a pentagon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fisherman 152 is It can be made flat. In this case, the horizontal fish 154 and the vertical fish may be formed in a hexagonal shap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case, when the quay wall structure is formed by stacking the quay wall block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lowermost end may be formed as the quay wall blo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을 인양하여 바다속에 설치하기 위하여는 안벽용 블록(100)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인양 와이어(200)를 이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lift and install the quay wall block 1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a, a lifting wire 200 for lifting the quay wall block 100 by a crane may be used.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을 인양하기 위하여 인양 와이어(200)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 와이어(200)의 구성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wire 200 is installed to lift the block 100 for the quay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lifting wire 200 for lifting a block 100 for a quay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100)을 들어올리기 위한 인양 와이어(200)는 제 1 와이어(210) 및 제 2 와이어(2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7 and 8, the lifting wire 200 for lifting the quay wal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ire 210 and a second wire 220. Can be.

이 때 제 1 와이어(210)의 단부에는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걸림부(240)가 형성되며, 제 2 와이어(220)의 단부에는 링 형태의 걸림부(240)에 걸릴 수 있는 고리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리부(250)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an end portion of the first wire 210 is formed with a hook portion 240 which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wire 220 is a ring member that may be caught by a ring portion hooked portion 240. A ring portion 250 that can be made is formed.

제 1 와이어(210) 및 제 2 와이어(220)는 고리형태의 크레인 연결부(26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wire 210 and the second wire 2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ook-shaped crane connection 260.

이와 같은 인양 와이어(200)는 한쌍의 제 1 와이어(210) 및 제 2 와이어(220)를 이용하여 하나의 안벽용 블록(100)을 들어올릴 수 있다. The lifting wire 200 may lift one block 100 for the wall using a pair of the first wire 210 and the second wire 220.

즉,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와이어(210)를 안벽용 블록(100)의 일 측벽의 제 2 홈(140) 및 하면의 제 1 홈(130)을 지나도록 걸친 후 타측벽에서 제 2 와이어(220)가 제 2 홈(140)을 지나도록 하여 타측벽과 하면의 모서리부에서 고리부(250)에 걸림부(240)를 체결하도록 한다. 또는 제 1 와이어(210)가 연통홀(120)을 관통하여 지나도록 한 상태에서 제 2 와이어(220)가 제 1 와이어(210)에 체결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 1 및 제 2 와이어(210, 220)가 안벽용 블록(100)의 전방 및 후방 측에서 이와 같이 체결되도록 한 후 크레인 연결부(230)를 크레인이 들어올리면 무거운 중량의 안벽용 블록(100)이 용이하게 들어올려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안벽용 블록(100)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그대로 바다 속의 안벽 설치 위치에 내려 놓음으로써 안벽의 설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안벽용 블록(100)이 설치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걸림부(240)와 고리부(250)를 체결 해제함으로써 안벽용 블록(1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안벽용 블록(100)을 설치하기 위한 인양 와이어(200)는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개의 걸림부(240)가 양측단에 위치한 연결부(250)에 제 1 와이어 및 제 2 와이어(210, 220)가 각각 체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first wire 210 extends past the second groove 140 on one sidewall of the quay wall block 100 and the first groove 130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n on the other side wall. The second wire 220 passes through the second groove 140 so as to fasten the locking part 240 to the ring part 250 at the corners of the other side wall and the lower surface. Alternatively, the second wire 220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wire 210 in a state where the first wire 210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20. As such, after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wires 210 and 220 are fastened in such a way as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quay wall block 100, the crane linkage 230 lifts the heavy weight of the quay wall. The dragon block 100 can be easily lifted, and in this way the installation of the inner wall can be made by laying down the position in the sea wall installation in the sea as the block 100 is lif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quayside block 100 is installed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operator may release the engaging portion 240 and the ring portion 250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quayside block 100. As can be seen in Figure 9, the lifting wire 200 for installing the quay wall block 100,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 210 and 220 may be configured to be fastened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용 블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철골 구조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며, 안벽용 블록이 중량체로서 바다속에 놓인 상태로 안벽 구조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안벽 구조물 자체가 해양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안벽이 설치된 상태에서 안벽의 내부에 해양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자연 친화적인 장점을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block for the quay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cycled because it does not have a steel structure therein, and the quay wall block forms the quay wall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it is placed in the sea as a weight body. The structure itself does not pollute the ocean. It has a natural friendly advantage because a space for marine life is formed inside the inner wall with the inner wall installed.

또한 안벽용 블록을 설치하기 위한 안벽용 블록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 바, 향후 우리나라의 항만에 적용되었을 때, 연간 수백억의 경제적 효과 및 바다를 살릴 수 있는 환경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easy installation and separation of the quay wall block for installing the quay wall block, when applied to the port of Korea in the future, it can bring the economic effect of tens of billions annually and environmental effect to save the sea will b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안벽 구조물 20 상부 구조
30 육상 40 펜더
100 안벽용 블록 101 몸체
102 결합돌기 103 상면
104 가이드홈 105 측면
107 저면 110 어도 형성부
120 연통홀 130 제 1 홈
140 제 2 홈 150 어도
200 인양 와이어 210 제 1 와이어
220 제 2 와이어 230 크레인 연결부
240 걸림부 250 고리부
260 연결부
10 Quay Structure 20 Superstructure
30 Athletics 40 Fender
100 Body Block 101 Body
102 Combination Projection 103 Top
104 Guide groove 105 Side
107 Bottom 110 Fish Canal Formation
120 Communication hole 130 1st groove
140 Second Home 150 Edo
200 lifting wire 210 first wire
220 Second wire 230 Crane connection
240 hook 250 hook
260 connections

Claims (12)

삭제delete 해안에 선박이 접안하도록 하는 안벽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안벽용 블록으로서,
상기 안벽용 블록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돌기;
상기 몸체의 하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도 형성부 및
상기 몸체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어도 형성부는,
상기 몸체의 양측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며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인입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 양측면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 위치되며 전후방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및
상기 인입홈이 상기 몸체의 후방측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의 후방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막음부를 포함하는 안벽용 블록.
As a block for the quay wall to form a quay wall structure for docking the ship on the coast,
The quay wall block includes a body of a hexahedron shap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body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Guide groove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n odor form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ody;
Communication holes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body are formed,
The fish forming portion,
A pair of protrusions which extend i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dy to form an inlet groov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side of both sides of the body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of the body; And
A block for a quay wall including a blocking portion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body so that the inlet groove does not extend to the rear side of the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홈의 내측면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될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안벽용 블록.
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groove is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width becomes narrower as it is drawn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인입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면의 상기 한쌍의 돌출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 1 홈과 연결된 제 2 홈이 형성되는 안벽용 블록.
The method of claim 3,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first grooves extending inwardly and extending in a transverse direction inwardly,
The pair of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bod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nd of the block for the wall is formed with a second groove connected to the first groov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상기 몸체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몸체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2개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연통홀은 안벽용 블록이 안벽 구조물을 형성한 상태에서 물고기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 및 상기 몸체가 크레인에 의하여 들어올려질 때 상기 몸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와이어가 관통될 수 있는 통로로 사용되는, 안벽용 블록.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body,
The communication holes are formed in two at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ody, the two communication holes are the passage for the fish flow in the state in which the block for the wall formed the wall structure and the body is lifted by the crane A block for a quay wall,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a wire for lifting the body when penetrated can be penetrated.
해안에 선박이 접안하도록 하는 안벽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안벽용 블록으로서,
상기 안벽용 블록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돌기;
상기 몸체의 하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도 형성부 및
상기 몸체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어도 형성부는
상기 몸체 양측면의 상측부에 위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 및
상기 몸체의 후방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막음부를 포함하는 안벽용 블록.
As a block for the quay wall to form a quay wall structure for docking the ship on the coast,
The quay wall block includes a body of a hexahedron shap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body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Guide groove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n odor form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ody;
Communication holes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body are formed,
The fish forming portion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th sides of the body and the protrusion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Block for the quay wall including a blocking portion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bod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각각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인입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면의 상기 돌출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 1 홈들과 연결된 제 2 홈이 형성되는 안벽용 블록.
The method of claim 6,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s formed with a first groove extending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respectively introduced into a predetermined depth inwards,
The protruding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d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nd of the block for the wall is formed with a second groove connected to the first groov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은 상기 몸체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몸체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2개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연통홀은 안벽용 블록이 안벽 구조물을 형성한 상태에서 물고기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 및 상기 몸체가 크레인에 의하여 들어올려질 때 상기 몸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와이어가 관통될 수 있는 통로로 사용되는 안벽용 블록.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body,
The communication holes are formed in two at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ody, the two communication holes are the passage for the fish flow in the state in which the block for the wall formed the wall structure and the body is lifted by the crane A block for a quay wall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a wire for lifting the body when penetrated can be penetrated.
제 2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 내부를 지지하기 위한 철골 구조를 포함하지 않고 콘크리트로만 형성되는, 안벽용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8,
The body does not include a steel fram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inside of the body is formed of concrete, the quay wall block
제 2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벽용 블록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고, 좌우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안벽 구조물로서,
하부에 적층되는 안벽용 블록이 상부에 적층되는 안벽용 블록보다 전후방향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안벽 구조물.
A quay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8 i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quay wall structure,
A quay wall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length blocks are formed longer than the quay wall blocks stacked on the bottom.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벽 구조물은 상호 이웃하는 안벽용 블록 몸체들이 서로 엇갈려 쌓이도록 형성되는, 안벽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0,
The quay wall structure is formed so that the neighboring quarry block bodies are stacked with each other, the quay wall structur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벽용 블록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상기 안벽용 블록 몸체의 상부측에 적층된 또다른 안벽용 블록 몸체의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안벽 구조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block body is formed to fit in the guid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wall block body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block body, the quay wall structure.
KR1020100064541A 2010-01-26 2010-07-05 Block for the quay and the structure of the quay using the same KR10106198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166 2010-01-26
KR20100007166 2010-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338A KR20110088338A (en) 2011-08-03
KR101061984B1 true KR101061984B1 (en) 2011-09-05

Family

ID=4492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541A KR101061984B1 (en) 2010-01-26 2010-07-05 Block for the quay and the structure of the quay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98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017B1 (en) 2015-08-25 2017-01-17 현대건설주식회사 Underwater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piling retaining-wall structure using automatic stripping formwork
KR20210124650A (en) 2020-04-07 2021-10-15 윤용직 Construction method of pier and its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351Y1 (en) * 2004-07-01 2004-10-11 김춘옥 Vegetation Revetment fish load block
KR200367377Y1 (en) * 2004-08-20 2004-11-10 덕산콘크리트(주) Green ecological fish blo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351Y1 (en) * 2004-07-01 2004-10-11 김춘옥 Vegetation Revetment fish load block
KR200367377Y1 (en) * 2004-08-20 2004-11-10 덕산콘크리트(주) Green ecological fish blo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017B1 (en) 2015-08-25 2017-01-17 현대건설주식회사 Underwater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piling retaining-wall structure using automatic stripping formwork
KR20210124650A (en) 2020-04-07 2021-10-15 윤용직 Construction method of pier and its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338A (en)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092B1 (en) Prefabricated caisson blocks and breakwater, seawall using it
KR101774693B1 (en) Mooring System for Near Shore Floater
RU2710433C1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caisson blocks and structure from caisson blocks
KR101061984B1 (en) Block for the quay and the structure of the quay using the same
KR101806855B1 (en) Modular revetment structureand construction method
CN201649036U (en) Pipe pile platform used for building dock
CN113653000A (en) Caisson and caisson combination
JP5646978B2 (en) Construction method of transmission type sea area control structure
KR20170141724A (en) A scour prevention portion for the underwater floor along the side of the wall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cour prevention portion
CN113914366B (en) Water surface floating construction method of box-type water intake structure
CN216194608U (en) Water surface floating construction structure of box-type water intake structure
KR101252708B1 (en) Offshore floating-type structure constructing method having underwater space
KR102601005B1 (en) Interlocking block And Port structure using interlocking blocks And Construction method of port structure using interlocking block
KR100979145B1 (en) Floating structure of moving and controlling position
JP5587489B1 (en) Wavebreak block, wavebreak block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26773B1 (en) Harbor Structures Easily respond to Differential Settlement
KR101792995B1 (en) Cable protection block assembly for marine ecosystem topography
CN214875449U (en) Hoop operation platform on water
CN104790368A (en) Offshore building structure capable of achieving self-floating and tow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offshore building structure
KR101469118B1 (en) Block for ship's berth
CN215972005U (en) Hydraulic floating row lifting device in large-diameter steel pipe pile
KR200333395Y1 (en) Assembly type caisson structure for ship comes alongside the pier
KR102012214B1 (en) Block for submairine cable protecting and block mattress using block
KR100967887B1 (en) Dock displacement structure and vessel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30156471A (en) Floating concrete break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