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859B1 -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Google Patents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1859B1 KR101061859B1 KR1020100086853A KR20100086853A KR101061859B1 KR 101061859 B1 KR101061859 B1 KR 101061859B1 KR 1020100086853 A KR1020100086853 A KR 1020100086853A KR 20100086853 A KR20100086853 A KR 20100086853A KR 101061859 B1 KR101061859 B1 KR 1010618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room
- branch
- walk
- subs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 H02B7/06—Distribution substations, e.g. for urban network
- H02B7/08—Underground subst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실을 지상이 아닌 지하에 매립시켜 지상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walk-in) 타입의 변전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작업자가 출입가능한 출입실과, 적어도 일부가 지하에 매립되고, 상기 작업자가 왕래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출입실의 하단부와 연통 연결되며, 적어도 일면에 하나의 연통구를 구비하는 분기실과, 지하에 매립되고, 배전반이 내부에 수용되어 보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모듈부로 왕래하도록 상기 모듈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연통구와 직접 연통 연결되고, 다른 모듈부는 상기 연통구와 직접 연통 연결된 모듈부와 순차적으로 연통 연결되어 상기 분기실로부터 분기된 적어도 하나의 보관실을 포함하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지하에 매립함으로써 지상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하공간은 온도 및 습도의 변화가 적으므로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출입실과 보관실 사이에 상호 연통하고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분기실을 설치하되, 상기 보관실이 상기 분기실을 중심으로 분기되도록 함으로써 보관실의 크기와 상관없이 작업자의 동선(이동) 거리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작업자가 출입가능한 출입실과, 적어도 일부가 지하에 매립되고, 상기 작업자가 왕래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출입실의 하단부와 연통 연결되며, 적어도 일면에 하나의 연통구를 구비하는 분기실과, 지하에 매립되고, 배전반이 내부에 수용되어 보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모듈부로 왕래하도록 상기 모듈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연통구와 직접 연통 연결되고, 다른 모듈부는 상기 연통구와 직접 연통 연결된 모듈부와 순차적으로 연통 연결되어 상기 분기실로부터 분기된 적어도 하나의 보관실을 포함하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지하에 매립함으로써 지상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하공간은 온도 및 습도의 변화가 적으므로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출입실과 보관실 사이에 상호 연통하고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분기실을 설치하되, 상기 보관실이 상기 분기실을 중심으로 분기되도록 함으로써 보관실의 크기와 상관없이 작업자의 동선(이동) 거리를 크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워크-인(walk-in) 타입의 변전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듈화된 조립식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립되어 지상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차단기나 소형 발전기 등의 각종 전기장치를 수용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옥내에 설치될 경우에는 소형의 캐비넷으로 제작되어 캐비넷의 내부에 각종 전기장치들이 설치되도록 하고 있고, 옥외에 설치될 경우에는 배전반의 상부측으로 지붕을 형성하여 빗물이 배전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여 침수에 의한 누전 및 화재 등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옥외 배전반은 변전실의 건물 없이 외부의 열악한 환경에 방치되어 기기 및 부품의 열화에 의한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설비의 사용연한이 짧아지고 있고, 설비 사고 및 오동작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설치 후 5년 이상의 경과시점부터 유지·보수비용의 급격한 증가 등 구조적인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또한 현장 사정으로 인하여 악천후에서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 안전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향후 증설 및 이설 시에도 복잡하고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옥외 배전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워크-인(walk-in) 타입의 변전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은 배전반을 눈, 비, 바람 등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지붕과, 배전반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 골격을 이루는 앵글 프레임과, 이 앵글 프레임에 부착되는 패널(panel)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타입의 변전실에서는 그 내부에 배전반을 탑재함으로써 하우스 개념의 변전실로서 사람이 이동하면서 배전반을 점검 및 관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규모의 지상 공간이 필요하므로, 지상 공간의 활용도 측면에서 효율성이 저하되고, 또한, 변전실이 설치될 지상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별도로 지상 공간의 땅을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은 내부에 수용된 배전반, 예를 들면 전력장비들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공기의 자연 대류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 방식은 냉각 효율이 떨어져 고온에 의해 전력장비의 오작동이 발생되거나 작동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변전실을 지상이 아닌 지하에 매립시켜 지상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지상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하에 매립된 변전실의 증설 및 이설이 가능한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지상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변전실이 지하에 매립되는 경우 발생되는 냉각, 습도, 침수(방수), 내구성, 시공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지상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변전실이 지하에 매립되는 경우 변전실의 내부로 진입이 용이하고, 증설된 변전실의 크기와 무관하게 작업자의 동선이 단축될 수 있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작업자가 출입가능한 출입실과, 적어도 일부가 지하에 매립되고, 상기 작업자가 왕래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출입실의 하단부와 연통 연결되며, 적어도 일면에 하나의 연통구를 구비하는 분기실과, 지하에 매립되고, 배전반이 내부에 수용되어 보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모듈부로 왕래하도록 상기 모듈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연통구와 직접 연통 연결되고, 다른 모듈부는 상기 연통구와 직접 연통 연결된 모듈부와 순차적으로 연통 연결되어 상기 분기실로부터 분기된 적어도 하나의 보관실을 포함하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입실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체결된 앵글 프레임과, 상기 앵글 프레임에 부착된 벽체패널과, 상기 벽체패널의 일면에 마련된 출입구와, 상기 앵글 프레임과 체결된 지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기실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박스(box)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통구는 상기 출입실과 연통 연결된 방향과 수직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기실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통구는 상기 출입실과 연통 연결된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기실은 상단부에 체결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 프레임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출입실의 하단부에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듈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모듈부 간 상호 연결을 위해 종단부에 체결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 프레임들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체결되는 상기 체결 프레임들 사이를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 프레임들 사이에 패킹(packing)이 개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입실, 상기 분기실 또는 상기 모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입실과, 상기 분기실과, 상기 모듈부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또는 천)와 접착제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듈부는 상기 배전반을 지지하는 하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관실 및 상기 분기실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배기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장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보관실과 상기 분기실 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팬과 상기 배기덕트를 연결하며, 상기 배기덕트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팬으로 전달하는 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기팬은 상기 보관실과 상기 분기실의 내부 온도에 대응하여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입실의 벽체 패널에 설치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보관실과 대향하는 상기 분기실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보관실로 유입되게 하는 제2 유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관실 내에 설치되어,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기와, 상기 누수 감지기와 연동되어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관실 및 상기 분기실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습온도 측정장치와, 상기 보관실 및 상기 분기실의 내부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카메라와, 상기 출입실의 외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배전반, 상기 습온도 측정장치 및 상기 무인 카메라로부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상기 배전반의 동작상태, 상기 보관실과 상기 분기실 내부의 온도, 습도 및 내부 공간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장치와 인접하도록 상기 출입실의 외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배전반과 상기 보관실 및 상기 분기실의 이상유무를 외부에 알리는 알람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지하에 매립함으로써 지상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하공간은 온도 및 습도의 변화가 적으므로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출입실과 보관실 사이에 상호 연통하고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분기실을 설치하되, 상기 보관실이 상기 분기실을 중심으로 분기되도록 함으로써 보관실의 크기와 상관없이 작업자의 동선(이동) 거리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에 매립되는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에 배기장치와 유입구 등을 설치하여 변전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습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에 매립되는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에 누수 감지기와 배수펌프를 설치함으로써 변전실 내부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전반의 누전 및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에 매립되는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에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변전실 내부 상태(배전반 이상유무, 침수, 누수 등)를 외부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변전실의 관리가 용이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에 매립되는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에 알람장치를 설치하여 변전실 내부 상태(배전반 이상유무, 침수, 누수 등)의 이상유무를 변전실 외부의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경고함으로써 변전실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에 매립되는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에서 지하에 매설되는 보관실을 원통형 구조로 형성하여 보관실로 가해지는 압축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압축하중에 의해 보관실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에 매립되는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에서 지하에 매설되는 보관실을 FRP(Fiber Reinforced Plastic)로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고, 습기의 침투가 방지되고, 습도 조절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변전실의 관리에 있어서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에 매립되는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에서 지하에 매설되는 보관실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부로 제작하고, 각 모듈부를 상호 결합하여 보관실을 확장시킴으로써 변전실의 시공이 편리하고, 필요에 따라 변전실의 증설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서는 내부 공간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어 효용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출입실(10)과 분기실(20)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분기실(20)과 보관실(31~34)이 상호 연결되어 지하에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매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출입실(10)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분기실(20)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보관실(32-4)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출입실(10)과 분기실(20)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분기실(20)과 보관실(31~34)이 상호 연결되어 지하에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매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출입실(10)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분기실(20)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보관실(32-4)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출입실(10)과 분기실(2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분기실(20)과 보관실(31~34)이 상호 연결되어 지하에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매립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은 출입실(10)과, 분기실(20)과, 복수개의 보관실(31~34)을 포함한다.
출입실(10)은 작업자가 분기실(20)을 통해 보관실(31~34)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구로서 기능한다. 출입실(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200)에 설치되고, 하우징(housing)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출입실(10)이 하우징 구조로만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출입실(10)은 하우징 구조가 아닌 박스(box) 구조, 원통(cylinder) 구조 등과 같이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만, 작업자가 출입하여 분기실(20)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배기장치 등과 같은 기타 부속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출입실(10)은 지상에 설치되거나 혹은 적어도 일부가 지하에 매립될 수도 있다.
분기실(20)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상호 연결되어 확장된 보관실(31~34)이 분기하는 곳으로서, 작업자가 분기실(20)을 통해 분기된 모든 보관실(31~34)의 도달 목표지점으로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분기실(20)은 4각 박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분기실(20)이 4각 박스 구조만으로 제한된 것은 결코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분기실(20)은 6각형 또는 8각형 등과 같이 5각형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출입실(10)과 마찬가지로 출입실을 통해 출입한 작업자가 보관실(31~34)로 용이하게 진입하고, 왕래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분기실(20)에는 기타 부속장치 이외에 별도의 배전반이 수용될 수도 있으며, 지하에 매립되거나 혹은 일부는 지하에 매립되고, 일부는 지상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실(20) 내에는 작업자가 출입실(10)로부터 분기실(2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별도의 이동부재(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재(70)는 설치와 이동이 간편한 사다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다리는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분기실(20)의 내측벽 중 일측벽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보관실(31~34)은 다양한 전력장비들을 포함하는 배전반(100)이 수용되고,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배전반들을 관리(점검, 고장수리)하는 곳으로서, 수용되는 배전반들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단일 모듈부를 포함한다. 모듈부(31-1~31-3, 32-1~32-4, 33-1~33-6, 34-1~34-3)의 크기는 각 모듈부 내에 수용되는 배전반들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모듈부의 크기 및 개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듈부(31-1~31-3, 32-1~32-4, 33-1~33-6, 34-1~34-3)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배전반(100)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각 보관실(31~34)을 구성하는 모듈부의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 보관실은 동일 개수의 모듈부로 구성되거나, 서로 다른 개수의 모듈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관실(31~34)은 분기실(20)에 형성된 연통구에 대응하여 4방위, 8방위 혹은 그 이상의 방위로 분기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출입실(1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출입실(10)은 베이스 프레임(11), 베이스 프레임(11)과 수직방향으로 체결된 앵글 프레임(12)과, 앵글 프레임(12)에 부착된 벽체 패널(13)과, 벽체 패널(13)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된 출입구(15)와, 앵글 프레임(12)과 체결된 지붕(14)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은 분기실(20)의 체결 프레임(24)과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어 출입실(10)과 분기실(20) 간의 연통 체결을 구현한다. 베이스 프레임(11)에는 체결 프레임(24)과 체결부재로 볼트 체결방식을 이용하여 체결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구멍(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체결구멍(11-1)은 체결 프레임(24)에 형성된 체결구멍(24-1)과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볼트 체결시, 베이스 프레임(11)과 체결 프레임(24)은 체결구멍(11-1, 24-1)이 서로 대향되도록 밀착된 후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이들 프레임(11, 24) 사이에는 프레임(11, 24) 간에 기밀을 유지하고, 침수시 물, 습기 또는 이물질들이 유입되지 않도록 패킹(packing)이 개재될 수도 있다.
앵글 프레임(12)은 베이스 프레임(11)과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 또는 일체화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앵글 프레임(12)에는 벽체 패널(13)이 부착된다. 벽체 패널(13)에 의해 출입실(1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4각 박스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하지만, 출입실(10) 구조는 4각 박스 구조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분기실(20)의 형상에 따라 6각형, 8각형 구조와 같이 5각형 이상의 다각형 구조 또는 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분기실(20) 간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어도 1면의 개방영역은 분기실(20)의 개방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벽체 패널(13)의 일측면에는 작업자가 출입실(10) 내부로 출입하도록 출입구(1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는 출입구(15)가 벽체 패널(13)의 일측면에 1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의 출입구가 설치될 수 있다.
지붕(14)은 앵글 프레임(12) 상부에 안착된다. 지붕(14)은 체결부재를 통해 앵글 프레임(12)과 체결될 수 있으며, 그 상부면은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제작되어 물 또는 눈과 같은 이물질이 지붕 위에 쌓이지 않도록 한다. 지붕(14)의 각 측부에는 기중기를 이용한 이송시 출입실(10)을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한 이송 고리(17)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분기실(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분기실(20)은 출입실(10)과 연통하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부가 밀폐된 구조를 갖는 4각 박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기실(20)은 바닥 패널(21), 베이스 프레임(22)과, 연통구(23-1)를 구비한 벽체 패널(23)과, 체결 프레임(24)을 포함한다.
벽체 패널(23)에는 분기되는 보관실(31~34)에 대응하여 각각 하나씩 연통구(23-1)가 형성되며, 이 연통구(23-1)의 외측벽을 구성하는 벽체 패널(23)에는 보관실(31~34)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첫번째 모듈부(31-1, 32-1, 33-1, 34-1)와 연통 체결을 위한 체결 프레임(25)이 형성된다. 체결 프레임(25)에는 모듈부(31-1, 32-1, 33-1, 34-1)와 볼트 체결방식으로 체결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 구멍(2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벽체 패널(22)의 내측벽에는 기중기를 이용한 이송시 출입실(10)을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한 이송 고리(26)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송 고리(26)가 형성되는 위치가 벽체 패널(22)의 내측벽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벽체 패널(22)의 외측벽과 같이 이송과 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분기실(20) 내부에는 각 보관실(31~34) 내에 수용된 배전반들을 관리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전략장비들 또는 제어장비들 등이 수용될 수도 있다. 이때, 별도의 전략장비 또는 제어장비들은 바닥 패널(21) 상부에 지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보관실(31~34)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일례로 보관실(32)의 각 모듈부 중 최종단에 설치되는 4번째 모듈부(32-4)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듈부(32-4)는 보관실이 분기되는 방향으로 좌우측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지하에 매립시 가해지는 압축하중으로부터 외형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통형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지하에서 발생하는 압축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모듈부(32-4)가 압축하중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압축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킴으로써 모듈부(32-4), 즉 보관실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모듈부의 형상이 원통형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분산실(20)과 같이 사각형 박스 구조,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부(32-4)는 내부에 수용되는 배전반의 부피에 대응하여 배전반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제작된다.
모듈부(32-4)는 플라스틱 재질 혹은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형성할 수 있다. 혹은 인장강도와 압축강도가 우수한 카본 재질의 탄소강(carbon steel)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의 재료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구성과 내식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재질로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를 사용할 수 있다. FRP는 'Fiber Reinforced Plastics',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Fibrous Glass Reinforced Plastics' 등의 약칭으로 유리 섬유 등의 강화재, 보강재로 보강된 플라스틱을 의미하며, 섬유강화 플라스틱 또는 강화플라스틱이라 불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화재로서는 유리 섬유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매트릭스에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은 그 열적 성질과 분자구조로부터 열경화성수지(Thermosets 또는 Thermosetting Resin)와 열가소성수지(Thermoplastics 또는 Thermoplastic Resin)로 분류되므로 FRP는 열경화성수지를 사용한 섬유강화 열경화성 플라스틱 FRTS(Fiberglass Reinforced Thermosets) 또는 GRP (Glassfiber Reinforced Plastics)와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한 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FRTP (Fiberglss Reinforced Thermoplastics) 또는 GRTP(Glass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로 대별된다.
특히 GFRP는 일반적인 적용에 있어 케이스 형태로 다른 구조재료에 사용되거나, 또는 하중에 잘 견디는 구조벽판 또는 하중에 견디지 못하는 벽판에 없어서는 안 될 부분으로 사용되었다. 창문틀, 탱크, 욕조, 파이프 및 도관 등은 그 일반적인 예가 된다. 1960년 중엽부터 보트 선체는 주로 GFRP로 만들어져 왔다. 현재 GFRP는 화학산업(예, 저장탱크, 송유관, 그리고 가공된 용기 등)에서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레일과 도로운송산업 및 우주항공산업에서도 GFRP는 상당히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FRP는 우수한 내부식성과 높은 강도를 동시에 갖는다. 또한, 단열성이 우수하고, 성형 작업이 간편하며, 습기가 침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FRP를 사용하여 각 모듈부를 제작하는 경우, 각 모듈부의 내부식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며, 각 모듈부의 제작시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각 모듈부의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지 않으므로 습기로 인한 배전반의 누전 및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듈부(34-2)는 일정 크기 또는 수용되는 배전반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제작되어,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모듈부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보관실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보관실을 구성하는 모듈부의 개수를 조정하여 필요에 따라 각 모듈부를 결합하여 변전실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변전실의 증설이 용이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실(32)을 구성하는 각 모듈부(32-1, 32-2) 사이에는 패킹(53)이 더 개재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킹(53)을 통해 각 모듈부(32-1, 32-2) 간에 상호 결합시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패킹(5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모듈부의 각 체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결합하는 모듈부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고, 이를 통해 모듈부 내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패킹(53) 재료로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피혁, 석면 기타의 비강체 물질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철, 구리, 납 및 이들의 합금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과 같이, 모듈부(32-4)의 종단부에는 이웃하는 모듈부와 상호 체결 결합되기 위하여 체결 프레임(32-4a, 32-4b)이 구비되고, 각 체결 프레임(32-4a, 32-4b)에는 볼트 체결방식으로 체결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체결구멍(32-4c, 32-4d)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모듈부 간의 체결은 볼트 체결방식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너트 체결방식 또는 용접 체결방식과 같이 다양한 체결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모듈부(32-4)가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경우, 그 내부의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기 때문에 배전반을 수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부 내에는 하부패널(51)과 지지대(52)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패널(51)은 평탄한 상부면을 가지며, 배전반(1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단단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패널(51)은 지지대(52)를 통해 모듈부의 바닥면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지지대(52)를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는 볼트 또는 리벳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하부패널(51) 상부면에는 작업자가 작업시 전도(顚倒)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52)는 하부패널(51)을 지지하기 위하여 하부패널(51)과 모듈부의 바닥면 사이에 체결되며, 하부패널(51)과 마찬가지로 하부패널(51)을 지지하기 위하여 단단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52)는 하부패널(51) 또는 모듈부의 바닥면과 볼트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거나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52)는 하부패널(51) 상부에 안착 수용되는 배전반(100)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부(32-4)는 모듈 커버(32-5)에 의해 밀폐된다. 물론, 보관실의 최종단에 설치되는 다른 모듈부(31-3, 32-4, 33-6, 34-3) 또한 해당 모듈 커버(31-4, 32-5, 33-7, 34-4)에 의해 밀폐된다. 일례로 모듈 커버(32-5)는 각 모듈부와 마찬가지로 체결 프레임(32-5a)을 구비하고, 체결 프레임(32-5a) 내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구멍(32-5b)을 통해 해당 모듈부의 체결 프레임과 체결 결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최종단에 설치되는 모듈부에는 제작시 일체형으로 모듈 커버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변전실은 배기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장치(40)는 배기팬(41), 배기팬(41)의 구동에 따라 보관실(31~34)과 분기실(20) 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배기덕트(43)와, 배기팬(41)과 배기덕트(43)를 연결하며, 배기덕트(43)에서 유입된 공기를 배기팬(41)으로 전달하는 배기관(42)를 포함한다.
배기팬(4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실(10)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분기실(20)과 보관실(31~34)의 내부 온도에 연동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기실(20)과 보관실(31~34) 내부의 적재적소에 습온도 측정장치(미도시)를 설치하고, 습온도 측정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내부 온도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통해 배기팬(4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분기실(20)과 보관실(31~34)의 내부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인 경우 배기팬(41)을 구동하고,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 배기팬(41)의 구동을 중지한다. 물론, 배기팬(41)은 작업자의 스위칭 동작을 통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배기덕트(43)는 배기팬(41)의 구동에 따라 분기실(20)과 보관실(31~34)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즉, 배기덕트(43)는 배기관(42)과 체결 또는 일체형으로 연통되고, 분기실(20)과 보관실(31~34) 내부의 적재적소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배기팬(41)의 구동에 따라 분기실(20)과 보관실(31~34)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관(42)으로 전달한다. 각 모듈부에 설치되는 배전반에 따라 열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많은 열이 발생되는 배전반이 설치되는 장소에 배기덕트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관(42)은 배기팬(41)과 배기덕트(43)를 상호 연결하며, 배기덕트(43)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배기팬(41)으로 전달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배기관(42)은 출입실(10)에서 분기실(20)을 경유하여 보관실(31~34)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4개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관(42)은 배기덕터(43)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용이하게 전달시켜 외부로 배출하고, 보관실 내에서 작업자의 동선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분기실(20)과 보관실(31~34)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배기관(42)은 배기팬(41)과 배기덕트(43)를 최단 거리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팬(41)과 배기덕트(43)를 최단 거리로 연결함으로써 배기 능력을 향상시켜 보관실(31~34)의 내부 온도를 신속하게 낮출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변전실은 제습장치와 냉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장비를 포함하는 배전반(100)은 과도한 습기로 인하여 누전 또는 화재가 발생하므로, 제습장치를 이용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분기실(20)과 보관실(31~34)의 내부 온도를 보다 신속하게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변전실은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유입구(44, 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입구(44)는 출입실(10)의 벽체패널(13)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분기실(20)과 보관실(31~34)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제2 유입구(45)는 보관실(31~34)과 대향하는 분기실(20)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제1 유입구(44)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보관실(31~34)로 유입되게 한다. 이를 통해, 배전반(10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 온도를 낮추게 된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변전실은 지하에 매립됨에 따라 지하에 매립되는 분기실(20)과 보관실(31~34)의 내부에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누수 감지기(61)와 배수펌프(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수 감지기(61)는 보관실(31~34)과 분기실(2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누수를 감지한다. 배수펌프(62)는 보관실(31~34)과 분기실(2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고, 누수 감지기(61)와 연동되어 물을 외부로 배수한다.
누수 감지기(61)는 도 7에 도시된 모듈부 내에 설치된 하부패널(51)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배수펌프(62)는 누수 감지기(61)와 마찬가지로 하부패널(51) 하부에 설치되고, 누수 감지기(61)와 연동되어 구동된다. 즉, 누수 감지기(61)에 의해 물이 유입된 것으로 감지되면, 이와 연동하여 구동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물론, 배수펌프(62)는 작업자에 의해 내부에 물이 유입된 경우 수동으로 조작하여 물을 배출할 수도 있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변전실은 무인 카메라(미도시), 표시장치(63)와 알람장치(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63)는 출입실(10)의 외측벽에 설치되고, 배전반(100), 상기 습온도 측정장치 및 상기 무인 카메라로부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배전반(100)의 동작상태, 보관실(31~34)과 분기실(20)의 내부온도, 습도 및 내부 공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또한, 표시장치(63)는 배기장치(40), 누수 감지기(61), 배수펌프(62)의 구동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장치(63)에는 입력수단(미도시)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작업자가 배전반(100), 배기장치(40), 누수 감지기(61), 배수펌프(62) 등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6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63)의 입력수단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람장치(64)는 긴급상황 발생시 이를 외부로 알리기 위한 것으로서, 표시장치(63)와 마찬가지로 출입실(10)의 외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알람장치(64)는 표시장치(63)와 연동하여 배전반(100)과 보관실(31~34) 및 분리실(20)의 이상유무를 외부에 알린다. 예를 들면, 배전반(100)이 오동작하거나 동작이 중지된 경우, 보관실(31~34)과 분리실(20)의 내부 온도, 습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 동작한다. 또한 배기장치(40), 누수 감지기(61) 및 배수펌프(62) 등이 오동작하거나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동작한다.
실시예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분기실을 추가하여 수평방향으로 보관실을 증설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변전실은 실시예1에 따른 변전실을 포함하고, 분기실(120)과, 분기실(120)로부터 분기된 보관실(131~133)이 더 증설된 구조를 갖는다. 분기실(120)은 분기실(20)로부터 분기된 보관실(32)을 통해 분기실(20)과 연통하며, 분기실(20)과 다르게 상부에 덮개부(120-1)가 설치되어 밀봉된다.
실시예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출입실과 분기실을 추가하여 수평방향으로 보관실을 증설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변전실은 실시예2에 따른 변전실을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분기실(220) 상부에 출입실(110)을 설치한다. 출입실(110)은 실시예1을 통해 설명된 출입실(10)과 동일한 구성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출입실(110)의 구성 및 구조가 실시예1에 따른 출입실(10)의 구성 및 구조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그 용도에 따라 축소 또는 증축될 수도 있다. 실시예3에서와 같이, 출입실(110)을 추가하는 이유는 보관실(231~233)의 증설에 따라 증가되는 작업자의 동선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실시예4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분기실을 추가하여 수직방향으로 보관실을 증설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변전실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변전실과 달리 수평방향으로 분기실이 증설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방향으로 증설되는 구조를 갖는다. 실시예4에 따른 변전실은 실시예1에 따른 변전실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이에 더하여 분기실(20) 하부에 또 다른 분기실(320)을 추가 설치한다. 이를 통해 추가되는 분기실(320)로부터 복수개의 보관실(331~334)을 추가 증설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볼트 체결방식을 통해 출입실, 분기실 및 각 모듈부 등이 결합 체결되었으나, 다른 다양한 체결방식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너트 체결방식 또는 용접 체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더욱 바람직한 체결방식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모듈부 뿐만 아니라 출입실과 분기실 또한 FRP로 제작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이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FRP 접착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접착제를 이용한 체결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각 모듈부의 연결부에 별도의 체결 프레임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 체결방식을 위해서는 원통형 구조의 각 모듈부의 연결부에 별도의 체결 프레임을 형성해야 하지만, 접착제를 이용한 체결방식에서는 이러한 체결 프레임이 필요 없기 때문에 별도로 체결 프레임을 성형할 필요가 없어 성형이 용이하고, 접합 강도를 강화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접착제로는 반응형 접착제로서, 내약품성이 좋은 가교형의 아크릴 재료가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제를 이용한 방식은 각 모듈부의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간에 화학적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웃하는 모듈부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학적 접합을 통해 각 모듈부를 상호 연결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그 접합강도가 강하다.
또한, 각 모듈부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한 후 그 접합부위에 FRP로 방수처리할 수도 있다. FRP 방수는 FRP 방수는 유리 섬유의 부직포를 보강재로 하고, 주제와 경화제의 2성분으로 구성된 수지계 도막재를 흙손, 주걱, 스퀴지 및 솔 등을 사용해서 도포하여 방수층을 만든다. 또한, 접합특성과 방수특성을 함께 개선시키기 위하여 접합부위에 스트랜드(strand)를 짧게 절단하여 얇은 시트형태로 제작한 촙스트랜드매트(chopped strand mat)(이하, 매트라 함)로 덮어주는 형태로 보완할 수도 있다.
한편,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방식은 시공이 불편한 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Flowtite Technology 사에서 채택하고 있는 내수 및 내염수성이 좋은 EPDM계 고무재료로 이루어진 고무 오링(O-ring)을 활용한 'bell-and-spigot'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누수와 시공 용이성, 그리고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환경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다양한 접합방식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변전실의 증설시 추가되는 출입실, 분기실, 보관실, 그리고 각 모듈부의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내부에 수용되는 배전반, 그리고 변전실이 수용되는 지하 면적, 그리고 확장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 출입실
20, 120, 220, 320 : 분기실
31~34, 131~133, 231~233, 331~334 : 보관실
31-1~31-3, 32-1~32-4, 33-1~33-6, 34-1~34-3 : 모듈부
31-4, 32-5, 33-7, 34-4 : 모듈 커버
11, 22 : 베이스 프레임
11-1, 22-1, 24-1, 25-1, 32-4d, 32-4c, 32-5b : 체결 구멍
12 : 앵글 프레임
13 : 벽체패널
14 : 지붕
15 : 출입구
17, 26 : 이송고리
24, 25, 32-4a, 32-5a, 32-4b : 체결 프레임
23-1 : 연통구
100 : 배전반
51 : 하부패널
52 : 지지대
53 : 패킹
40 : 배기장치
41 : 배기팬
42 : 배기관
43 : 배기덕트
44 : 제1 유입구
45 : 제2 유입구
61 : 누수 감지기
62 : 배수펌프
63 : 표시장치
64 : 알람장치
20, 120, 220, 320 : 분기실
31~34, 131~133, 231~233, 331~334 : 보관실
31-1~31-3, 32-1~32-4, 33-1~33-6, 34-1~34-3 : 모듈부
31-4, 32-5, 33-7, 34-4 : 모듈 커버
11, 22 : 베이스 프레임
11-1, 22-1, 24-1, 25-1, 32-4d, 32-4c, 32-5b : 체결 구멍
12 : 앵글 프레임
13 : 벽체패널
14 : 지붕
15 : 출입구
17, 26 : 이송고리
24, 25, 32-4a, 32-5a, 32-4b : 체결 프레임
23-1 : 연통구
100 : 배전반
51 : 하부패널
52 : 지지대
53 : 패킹
40 : 배기장치
41 : 배기팬
42 : 배기관
43 : 배기덕트
44 : 제1 유입구
45 : 제2 유입구
61 : 누수 감지기
62 : 배수펌프
63 : 표시장치
64 : 알람장치
Claims (15)
- 작업자가 출입가능한 출입실;
적어도 일부가 지하에 매립되고, 상기 작업자가 왕래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출입실의 하단부와 연통 연결되며, 적어도 일면에 하나의 연통구를 구비하는 분기실; 및
지하에 매립되고, 배전반이 내부에 수용되어 보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모듈부로 왕래하도록 상기 모듈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연통구와 직접 연통 연결되고, 다른 모듈부는 상기 연통구와 직접 연통 연결된 모듈부와 순차적으로 연통 연결되어 상기 분기실로부터 분기된 적어도 하나의 보관실
을 포함하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실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체결된 앵글 프레임;
상기 앵글 프레임에 부착된 벽체패널;
상기 벽체패널의 일면에 마련된 출입구; 및
상기 앵글 프레임과 체결된 지붕
을 포함하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실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박스(box)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통구는 상기 출입실과 연통 연결된 방향과 수직한 면에 형성된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실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통구는 상기 출입실과 연통 연결된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된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실은,
상단부에 체결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 프레임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출입실의 하단부에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호 체결된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모듈부 간 상호 연결을 위해 종단부에 체결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 프레임들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체결된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체결되는 상기 체결 프레임들 사이를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 프레임들 사이에 패킹(packing)이 개재된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실, 상기 분기실 또는 상기 모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로 형성된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실과, 상기 분기실과, 상기 모듈부는,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합된 후 FRP(Fiber Reinforced Plastic)로 방수처리된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는,
상기 배전반을 지지하는 하부패널; 및
상기 하부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실 및 상기 분기실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배기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장치는,
배기팬;
상기 배기팬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보관실과 상기 분기실 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배기덕트; 및
상기 배기팬과 상기 배기덕트를 연결하며, 상기 배기덕트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팬으로 전달하는 배기관
을 포함하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은,
상기 보관실과 상기 분기실의 내부 온도에 대응하여 구동되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실의 벽체 패널에 설치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 및
상기 보관실과 대향하는 상기 분기실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보관실로 유입되게 하는 제2 유입구
를 더 포함하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실 내에 설치되어,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기; 및
상기 누수 감지기와 연동되어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
를 더 포함하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실 및 상기 분기실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습온도 측정장치;
상기 보관실 및 상기 분기실의 내부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카메라;
상기 출입실의 외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배전반, 상기 습온도 측정장치 및 상기 무인 카메라로부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상기 배전반의 동작상태, 상기 보관실과 상기 분기실 내부의 온도, 습도 및 내부 공간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표시장치와 인접하도록 상기 출입실의 외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배전반과 상기 보관실 및 상기 분기실의 이상유무를 외부에 알리는 알람장치
를 더 포함하는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6853A KR101061859B1 (ko) | 2010-09-06 | 2010-09-06 |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6853A KR101061859B1 (ko) | 2010-09-06 | 2010-09-06 |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61859B1 true KR101061859B1 (ko) | 2011-09-02 |
Family
ID=4495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6853A KR101061859B1 (ko) | 2010-09-06 | 2010-09-06 |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185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419129A4 (en) * | 2016-02-15 | 2019-03-20 | Aragüez Del Corral, Inés | MODULAR UNDERGROUND TRANSFORMATION CENTER WITH RESISTANCE TO DISASTERS AND DIFFICULT CIRCUMSTANCES |
KR20200041192A (ko) * | 2018-10-11 | 2020-04-21 | 주식회사 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단지 내 배전반 |
KR20200128690A (ko) * | 2020-07-21 | 2020-11-16 | 난징 즈진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서비스 센터 | 스마트 배전함 |
CN111947259A (zh) * | 2020-08-19 | 2020-11-17 | 江苏区宇能源有限公司 | 一种与变电站合建的区域能源站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16429A (ja) | 2005-07-06 | 2007-01-25 | Hinode Ltd | マンホール筒状体 |
JP2007082288A (ja) | 2005-09-12 | 2007-03-29 | Toshiba Corp | 高電圧変電装置 |
-
2010
- 2010-09-06 KR KR1020100086853A patent/KR1010618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16429A (ja) | 2005-07-06 | 2007-01-25 | Hinode Ltd | マンホール筒状体 |
JP2007082288A (ja) | 2005-09-12 | 2007-03-29 | Toshiba Corp | 高電圧変電装置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419129A4 (en) * | 2016-02-15 | 2019-03-20 | Aragüez Del Corral, Inés | MODULAR UNDERGROUND TRANSFORMATION CENTER WITH RESISTANCE TO DISASTERS AND DIFFICULT CIRCUMSTANCES |
US10693283B2 (en) | 2016-02-15 | 2020-06-23 | Inés ARAGÜEZ DEL CORRAL | Underground modular transformation centre that is resistant to disasters and adverse conditions |
KR20200041192A (ko) * | 2018-10-11 | 2020-04-21 | 주식회사 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단지 내 배전반 |
KR102171880B1 (ko) | 2018-10-11 | 2020-10-29 | (주)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단지 내 배전반 |
KR20200128690A (ko) * | 2020-07-21 | 2020-11-16 | 난징 즈진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서비스 센터 | 스마트 배전함 |
KR102301789B1 (ko) * | 2020-07-21 | 2021-09-14 | 지앙수 글로벌 조유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 스마트 배전함 |
CN111947259A (zh) * | 2020-08-19 | 2020-11-17 | 江苏区宇能源有限公司 | 一种与变电站合建的区域能源站 |
CN111947259B (zh) * | 2020-08-19 | 2021-07-02 | 江苏区宇能源有限公司 | 一种与变电站合建的区域能源站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041321A1 (en) | Building Systems | |
EP2870303B1 (en) | Building system and panel for a building system | |
KR101061859B1 (ko) | 지하 매립형 워크-인 타입의 변전실 | |
US8156702B2 (en) | Waterproof ceiling | |
WO2014159566A1 (en) | Building systems | |
WO2007119986A1 (en) |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tructure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 |
CN206128370U (zh) | 一种集成墙板及组装房 | |
CA3157093A1 (en) | Platform conditioning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 |
US20230383517A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structing and interconnecting prefabricated building modules | |
CN101342911A (zh) | 模块化铁路信号机械室及其箱体结构 | |
RU65924U1 (ru) | Модульное здание (варианты) и средство доставки модульного здания на строительную площадку | |
EP4031731A1 (en) | Utility pole for providing utility resources | |
JP2021147969A (ja) | 居住用ユニットの連結構造 | |
CN112196093A (zh) | 一种带有钢框架的装配式钢结构建筑基础 | |
CN206319652U (zh) | 一种组装gis的移动式铠甲挂装防尘棚 | |
JP2021147967A (ja) | 居住用ユニットの連結方法 | |
JP2021147970A (ja) | 居住用ユニットの連結方法及びパネル吊り上げ装置 | |
JP2006233579A (ja) | 構造物の基礎 | |
CN112211284B (zh) | 一种装配式钢结构建筑施工建造方法 | |
CN211201303U (zh) | 一种室外小型化机房 | |
CN214740229U (zh) | 一种撬装设备房体结构 | |
CN219343475U (zh) | 一种模块化拼装式建筑结构 | |
KR102357003B1 (ko) | 철골조 공동주택 건축물의 외단열 시스템 제공방법 | |
CN214005958U (zh) | 一种装配式墙体角端定位外墙 | |
CN105804445A (zh) | 一种撬装化可移动控制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