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577B1 -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577B1
KR101061577B1 KR1020090034037A KR20090034037A KR101061577B1 KR 101061577 B1 KR101061577 B1 KR 101061577B1 KR 1020090034037 A KR1020090034037 A KR 1020090034037A KR 20090034037 A KR20090034037 A KR 20090034037A KR 101061577 B1 KR101061577 B1 KR 101061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ired
wireless
devices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5457A (ko
Inventor
이종남
이근식
양회준
안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루션
Priority to KR102009003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577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무선 랜카드를 구비하여, 서로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로컬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디바이스; 및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가 액세스하여 데이터세션이 연결되면, WAN포트 또는 WWAN포트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수의 LAN포트 및 다수의 WiFi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간에 데이터의 공유를 이루도록 하는 유무선통합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유무선통합단말은, 하나의 WAN포트와, 다수의 LAN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WAN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는 IP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LAN포트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콘솔박스; 상기 콘솔박스와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콘솔박스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 하나의 WWAN포트와, 다수의 WiFi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WWAN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WiFi포트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통신장치;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 및 상기 콘솔박스와 결합된 상기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콘솔박스에 액세스한 다수의 디바이스와 공유하도록 상기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콘솔박스를 제어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결합된 상기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액세스한 다수의 디바이스와 공유하도록 상기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와 WiFi(Wireless Fidelity), WWAN와 LAN, WAN과 LAN, WAN과 WiFi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며, 유선인터넷의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서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며, 유선인터넷 환경이 원활하지 않은 곳에 유무선통합단말의 설치를 통해 고속의 무선 인터넷 환경을 제공한다.
유무선, 통합, 로컬네트워크

Description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System for structuring home network using cable and wireless intergr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홈네크워크 구성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과 유선에 대한 상호 조합하여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중개함으로써, 유선인터넷의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서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며, 유선인터넷 환경이 원활하지 않은 곳에 유무선통합단말의 설치를 통해 고속의 무선 인터넷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종래의 방법은 핸드폰을 통한 방법과 AP와 무선 램을 통해 노트북 컴퓨터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크게 이분할 수 있다. 이중 핸드폰을 통한 방법은 현재 핸드폰 중계 기지의 확산으로 넓은 지역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접속자의 수에 상관없이 서비스 속도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작아서 보기에 불편하고 웹 페이지의 요소를 모두 구현할 수 없으며, 또한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과 전송 주파수의 정보량 저장 문제 및 고용량시 전송 속도의 문제로 고용량의 정보를 전송받는데 애로가 있어 일반 적인 인터넷웹을 모두 구현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다.
무선 인터넷을 통해 노트북 컴퓨터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은 유선을 통한 방법과 같은 웹 페이지 구성을 할 수 있고, 인터넷 사용에 필요한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과 정보 전송 속도의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AP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아직 충분한 AP가 설치되지 못한 상황이고 향후에도 많은 설비 투자가 있어야 실현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접속자 수 한정으로 인한 사용의 불편함과 접속 불량의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런 무선 인터넷 사용의 불편함을 두 가지 대표적인 기기의 장점을 결합하기 위해 유무선공유단말을 이용해 무선 인터넷 사용을 유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유무선공유단말을 이용하여 유선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환경을 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무선과 유선에 대한 상호 조합하여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중개하며, 출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에 연결시 마우스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은, 유무선랜 카드를 구비하여, 서로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로컬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디바이스; 및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가 액세스하여 데이터세션이 연결되면, WAN포트 또는 WWAN포트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수의 LAN포트 및 다수의 WiFi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간에 데이터의 공유를 이루도록 하는 유무선통합단말; 을 포함한다.
상기 유무선통합단말은, 하나의 WAN포트와, 다수의 LAN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WAN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는 IP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LAN포트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콘솔박스; 상기 콘솔박스와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콘솔박스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 하나의 WWAN포트와, 다수의 WiFi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WWAN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WiFi포트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통신장치;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 및 상기 콘솔박스와 결합된 상기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콘솔박스에 액세스한 다수의 디바이스와 공유하도록 상기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콘솔박스를 제어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결합된 상기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액세스한 다 수의 디바이스와 공유하도록 상기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유무선통합단말은, 상기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와 상기 무선통신장치가 분리되고 외부의 단말이 결합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광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광마우스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방법은, 유무선통합단말은 외부로부터 콘솔박스의 WAN포트 및/또는 무선통신장치의 WWAN포트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유무선통합단말은, 다수의 디바이스가 상기 콘솔박스의 LAN포트에 연결된 경우 상기 콘솔박스의 LAN포트를 통해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WiFi포트에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WiFi포트를 통해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콘솔박스의 LAN포트와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WiFi포트에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가 동시에 연결된 경우, 상기 유무선통합단말은 상기 콘솔박스의 LAN포트와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WiFi포트 각각을 통해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와 WiFi(Wireless Fidelity), WWAN와 LAN, WAN과 LAN, WAN과 WiFi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인터넷의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서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며, 유선인터넷 환경이 원활하지 않은 곳에 유무선통합단말의 설치를 통해 고속의 무선 인터넷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디바이스(10), 유무선통합단말(20), 통신망(30)을 포함한다.
다수의 디바이스(10)는 유무선랜카드를 구비하여, 유무선통합단말(20)을 통해 서로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로컬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다수의 디바이스(10)는 유무선랜카드를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유선 및 무선인터넷과 같은 멀티미 디어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IPTV, PC, 노트북, PDA, GSM폰, W-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 폰, PMP, 스마트폰, 핸드헬드 컴퓨터, 디지털 액자와 같이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 유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는 유무선 단말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유무선통합단말(20)은 다수의 디바이스(10)가 액세스(Access)하여 데이터세션이 연결되면, 통신망(30)을 통해 유선 및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하는 AP(Access Point)의 역할을 수행한다. 유무선통합단말(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에서 하도록 한다.
통신망(30)은 초고속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는 유선망과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며 인터넷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실행하는 포괄적 개념의 네트워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망(30)은 유무선통합단말(20)과 다수의 서비스서버(미도시)간의 데이터전송, 정보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IP망(31), 게이트웨이(33) 및 이동통신망(35)을 포함할 수 있다. IP망(31)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이며, 예컨대, 인터넷(Internet)이 될 수 있다. 또한, IP망(31)은 ALL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망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G/W, 33)는 프로토콜 변환기의 하나이며, 이동통신망(35)을 통해 무선으로 접속하는 무선단말과, IP망(31)을 통해 유선으로 접속하는 유선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게이트웨이(33)는 왑게이트웨이(Wap Gateway)로서, IP망(31)과 이동통신망(35) 상호간에 액세스(Aceess)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35)은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35)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및 비동기식 MSC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이동통신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도 2는 도 1의 유무선통합단말(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무선통합단말(20)은 콘솔박스(21),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22), 제어부(23),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24), 무선통신장치(27), 광마우스모듈(28)을 포함한다.
콘솔박스(21)는 WAN(Wide Area Network)과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포트와,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유선 로컬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다수의 LAN 포트를 구비한 유닛을 의미한다. 콘솔박스(21)의 WAN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10)는 IP망(31)에 액세스(Access)하여 다수의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인터넷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콘솔박스(21)의 LAN포트에 연결된 다수의 디바이스(10)는 WAN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10)와의 데이터공유를 통해 IP망(31)에 연결된 다수의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인터넷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22)는 콘솔박스(21)와 결합 및 분리되며, 콘솔박 스(21)를 통해 IP망(31)과 연결된 웹서버, WAN과 연결된 다른 유선단말과의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며, 수신된 데이터를 자신의 LAN 영역에 속하는 다수의 디바이스(10)간의 데이터공유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22)는 24핀 커넥터(24Pin Connector)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22)는 웹서버, WAN과 연결된 다른 유선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3)로 전송한다.
제어부(23)는 콘솔박스(21)와 결합된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2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3)는 수신된 데이터를 콘솔박스(21)에 액세스(Access)한 다수의 디바이스(10)와 공유하도록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22)를 통해 콘솔박스(21)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3)는 무선통신장치(27)와 결합된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24)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3)는 수신된 데이터를 무선통신장치(27)에 액세스(Access)한 다수의 디바이스(10)와 공유하도록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22)를 통해 무선통신장치(27)를 제어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23)는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22)와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24)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므로, 콘솔박스(21)를 통해 IP망(31)과 연결된 웹서버, WAN과 연결된 다른 유선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신의 WiFi영역에 속하는 다수의 디바이스(10)간의 데이터공유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부(23)는 무선통신장치(27)를 통해 이동통신망(35)과 연결된 왑서버, WWAN과 연결된 다른 이동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신의 LAN 영역에 속하는 다수의 디바이스(10)간의 데 이터공유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부(23)는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와 WiFi(Wireless Fidelity), WWAN와 LAN, WAN과 LAN, WAN과 WiFi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24)는 무선통신장치(27)와 결합 또는 분리되며, 무선통신장치(27)를 통해 이동통신망(35)과 연결된 왑서버, WLAN과 연결된 다른 이동단말과의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며, 수신된 데이터를 자신의 WiFi영역에 속하는 다수의 디바이스(10)간의 데이터공유를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24)는 USB 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24)는 왑서버, WWAN과 연결된 다른 이동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3)로 전송한다.
무선통신장치(27)는 WWAN과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포트와 WiFi를 통해 무선 로컬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다수의 WiFi 포트를 구비한 유닛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장치(27)의 WWAN 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10)는 이동통신망(35)에 액세스(Access)하여 다수의 왑서버에 접속하여 인터넷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장치(27)의 WiFi 포트에 연결된 다수의 디바이스(10)는 WWAN 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10)와의 데이터공유를 통해 이동통신망(35)에 연결된 다수의 왑서버에 접속하여 인터넷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장치(27)는 컴퓨터의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장치인 동글(dongle)개념의 USB단자를 갖는 장치이다.
광마우스모듈(28)은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24)와 무선통신장치(27)가 분리되고 외부의 노트북과 같은 단말이 결합하면,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광마우스의 기 능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유무선통합단말(20)은 외부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S40).
유무선통합단말(20)는 주기적 확인 결과 데이터 수신이 확인되면, 수신된 데이터가 콘솔박스(21)의 WAN포트에서 수신되었는지, 무선통신장치(27)의 WWAN포트로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1).
판단결과 콘솔박스(21)를 통해 수신한 경우, 유무선통합단말(20)은 콘솔박스(21)의 WAN포트를 통해 IP망(31)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S42a).
판단결과 무선통신장치(27)를 통해 수신한 경우, 유무선통합단말(20)은 무선통신장치(27)의 WWAN포트를 통해 이동통신망(35)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S42b).
이후, 유무선통합단말(20)은 다수의 디바이스(10)가 콘솔박스(21)의 LAN포트 에 연결되었는지, 무선통신장치(27)의 WiFi포트에 연결되었는지, 또는 콘솔박스(21)의 LAN포트와 무선통신장치(27)의 WiFi포트와 동시에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3).
판단결과 콘솔박스(21)의 LAN포트에 연결된 경우, 유무선통합단말(20)은 콘솔박스(21)의 LAN포트를 통해 다수의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44a).
판단결과 무선통신장치(27)의 WiFi포트에 연결된 경우, 유무선통합단말(20)은 무선통신장치(27)의 WiFi포트를 통해 다수의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44c).
한편, 판단결과 콘솔박스(21)의 LAN포트와 무선통신장치(27)의 WiFi포트에 동시에 연결된 경우, 유무선통합단말(20)은 콘솔박스(21)의 LAN포트와 무선통신장치(27)의 WiFi포트를 통해 다수의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44b).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사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 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2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200)은 제1 로컬네트워크에 구성된 다수의 디바이스(110), 제1 유무선통합단말(120)과, 통신망(130), 제2 로컬네트워크에 구성된 제2 유무선통합단말(140), 다수의 디바이스(150)를 포함한다.
제1 로컬네트워크에 구성된 다수의 디바이스(제1 디바이스-1 내지 제n 디바이스-n, 110)는 유무선랜카드를 구비하여, 제1 유무선통합단말(120)을 통해 서로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로컬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다수의 디바이스(110)는 유무선랜카드를 통해 통신망(130)에 접속하여 유선 및 무선인터넷과 같은 멀티미디어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유무선통합단말(120)은 다수의 디바이스(110)가 액세스(Access)하여 데이터세션이 연결되면, 통신망(130)을 통해 유선 및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하는 AP(Access Point)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유무선통합단말(120)은 다수의 디바이스(110)와의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로컬 네트워크는 한 가정의 홈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제1 유무선통합단말(120)은 유선 인터넷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 설치되는 중계기와 같은 역할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무선통합단말(120)은 SOHO 사무실에 적합한 고속의 무선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고, 다수의 디바이스(110) 에 IP주소할당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VOIP 용으로도 소용되어 모바일 핫스팟(Hotspot)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통신망(130)은 초고속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는 All IP망일 수 있으며, 유선망과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며 인터넷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하는 포괄적 개념의 네트워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망(130)은 제1 및 제2 유무선통합단말(120. 140)과 다수의 서비스서버(미도시)간의 데이터전송, 정보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IP망(131), 게이트웨이(133) 및 이동통신망(135)을 포함할 수 있다. IP망(131)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이며, 예컨대, 인터넷(Internet)이 될 수 있다. 또한, IP망(131)은 ALL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망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G/W, 133)는 프로토콜 변환기의 하나이며, 이동통신망(135)을 통해 무선으로 접속하는 무선단말과, IP망(131)을 통해 유선으로 접속하는 유선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게이트웨이(133)는 왑게이트웨이(Wap Gateway)로서, IP망(131)과 이동통신망(135) 상호간에 액세스(Aceess)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135)은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35)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및 비동기식 MSC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이동통신망으로 변경될 수 있음 은 주지의 사실이다.
제2 로컬네트워크에 구성된 다수의 디바이스(제1 디바이스-2 내지 제n 디바이스-2, 150)는 유무선랜카드를 구비하여, 제2 유무선통합단말(120)을 통해 서로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로컬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다수의 디바이스(110)는 유무선랜카드를 통해 통신망(130)에 접속하여 유선 및 무선인터넷과 같은 멀티미디어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2 유무선통합단말(140)은 다수의 디바이스(150)가 액세스(Access)하여 데이터세션이 연결되면, 통신망(130)을 통해 유선 및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하는 AP(Access Point)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유무선통합단말(140)은 다수의 디바이스(150)와의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로컬 네트워크는 한 가정의 홈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제2 유무선통합단말(140)은 유선 인터넷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 설치되는 중계기와 같은 역할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무선통합단말(140)은 SOHO 사무실에 적합한 고속의 무선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고, 다수의 디바이스(150)에 IP주소할당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VOIP 용으로도 사용되어 모바일 핫스팟(Hotspot)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유무선통합단말(140)은 자신의 로컬 네트워크 영역에 있는 각각의 다수의 디바이스(110, 150)간의 데이터교환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의 제1 및 제2 유무선통합단말(120, 140)의 구성은 도 2의 유무선통합단말(20)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때, 제1 및 제2 유무선통합단말(120, 140)의 제어부 는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와 연결된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제1 및 제2 유무선통합단말(140)의 로컬 네트워크 영역에 있는 각각의 다수의 디바이스(110, 150)간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무선통합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다수의 디바이스 20: 유무선통합단말
21: 콘솔박스 22: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
23: 제어부 24: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
27: 무선통신장치 28: 광마우스모듈
30: 통신망

Claims (5)

  1. 유무선랜카드를 구비하여, 서로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로컬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디바이스; 및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가 액세스하여 데이터세션이 연결되면, WAN포트 또는 WWAN포트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수의 LAN포트 및 다수의 WiFi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간에 데이터의 공유를 이루도록 하는 유무선통합단말;로 구성된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통합단말은,
    하나의 WAN포트와, 다수의 LAN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WAN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는 IP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LAN포트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콘솔박스;
    상기 콘솔박스와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콘솔박스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
    하나의 WWAN포트와, 다수의 WiFi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WWAN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WiFi포트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통신장치;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 및
    상기 콘솔박스와 결합된 상기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콘솔박스에 액세스한 다수의 디바이스와 공유하도록 상기 제1 송수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콘솔박스를 제어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결합된 상기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액세스한 다수의 디바이스와 공유하도록 상기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통합단말은,
    상기 제2 송수신인터페이스와 상기 무선통신장치가 분리되고 외부의 단말이 결합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광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광마우스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34037A 2009-04-20 2009-04-20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 KR101061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037A KR101061577B1 (ko) 2009-04-20 2009-04-20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037A KR101061577B1 (ko) 2009-04-20 2009-04-20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457A KR20100115457A (ko) 2010-10-28
KR101061577B1 true KR101061577B1 (ko) 2011-09-02

Family

ID=4313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037A KR101061577B1 (ko) 2009-04-20 2009-04-20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5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9338A1 (en) * 2004-08-18 2006-02-23 Mike Kwon Integration of a wireless wide-area network (WAN) data terminal with a network processor for interfacing with local-area network (LAN) nod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9338A1 (en) * 2004-08-18 2006-02-23 Mike Kwon Integration of a wireless wide-area network (WAN) data terminal with a network processor for interfacing with local-area network (LAN) n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457A (ko)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2363B2 (en) Multiplexed communication between host computer and smartphone used as wireless modem
EP238720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Fi Service by Wi-Fi Device
JP524063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ュアル基地局
US8711817B2 (en) Low cost mesh network capability
WO2015151962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5035081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haring network
US895357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obile network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P1958386A1 (en) Wlan combo access point device for interface with wimedia uwb based wireless usb and software layer structure of combo access point device
CN103068066A (zh) 一种智能移动通信终端及其无线网络接入方法、系统
US896463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070266178A1 (en) Secondary channel in multiplexed communication between host computer and smartphone
US20160309481A1 (en) Reduction of channel access delay in wireless systems
CN110121902A (zh) 一种通信建立的方法及终端
CN104936258A (zh) 网络连接方法、终端及系统
US20090213824A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packet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US20100189128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00274874A1 (en) Service discovery protocol enhancement
CN103078931A (zh) 嵌入式监控设备和嵌入式监控设备实现网络共享的方法
KR20070095662A (ko) 원격 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5292645B2 (ja) ワイヤレス通信装置および異なるセキュリティレベルを有するサービスの伝送方法
CN114885039B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17172995A1 (en) Techniques and systems for logical mesh networks
KR101061577B1 (ko) 유무선통합단말을 이용한 로컬네트워크 구성시스템
EP26256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16684216B (zh) 一种通信方法、可读介质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