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001B1 - 힌지부를 이용하는 유에스비 타입 송수신기 - Google Patents

힌지부를 이용하는 유에스비 타입 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001B1
KR101061001B1 KR1020090033365A KR20090033365A KR101061001B1 KR 101061001 B1 KR101061001 B1 KR 101061001B1 KR 1020090033365 A KR1020090033365 A KR 1020090033365A KR 20090033365 A KR20090033365 A KR 20090033365A KR 101061001 B1 KR101061001 B1 KR 101061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ground
usb
transceiver
usb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795A (ko
Inventor
유태환
최창규
김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90033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00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5Grounding of printed circuits by connection to external grou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부를 이용하여 메인 기판의 접지부를 USB 포트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USB 타입 송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는 제 1 기판,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모듈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포트 및 적어도 일부가 도전체로 이루어진 힌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판의 접지부는 상기 힌지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USB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부 및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모듈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USB 송수신기, 접지, Ground, 힌지, hinge

Description

힌지부를 이용하는 유에스비 타입 송수신기{USB TYPED TRANSCEIVER USING A HINGE ELEMENT}
본 발명은 USB 타입 송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부를 이용하여 메인 기판의 접지부를 USB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USB 타입 송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USB 타입 송수신기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와이브로 통신을 하고자 할 경우 와이브로 모뎀을 내장한 USB 타입 송수신기를 노트북 등에 연결시킨 후 와이브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USB 타입 송수신기는 휴대의 간편함을 의하여 주로 소형으로 구현된다.
이하, 종래의 USB 타입 송수신기의 구조를 살펴보겠다.
도 1은 종래의 USB 타입 송수신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USB 타입 송수신기는 메인 기판(100), USB 포트(102), USB 포트 지지부(104) 및 힌지부(106)로 이루어진다.
메인 기판(100) 상에는 각종 회로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로들로부터의 신호들을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가 연결되는 노트북 등에 전송하기 위하 여, 메인 기판(100)으로부터 USB 포트 지지부(104) 내에 형성된 서브 기판(미도시)으로 라인들(110, 112, 114 및 116)이 연결된다.
국제 표준에 따르면, 라인들(110, 112, 114 및 116) 중 2개는 신호 전송을 위한 신호 라인들이고, 1개는 접지 라인이며, 나머지 1개는 전원 라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접지 라인을 110으로 가정하면, 메인 기판(100)의 접지부가 접지 라인(110)을 통하여 상기 서브 기판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서브 기판이 USB 포트(10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메인 기판(100)의 접지부가 USB 포트(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힌지부(106)는 USB 포트(102)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평상시에는 USB 포트(102)를 접어서 관리하지만 노트북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USB 포트(102)를 외부로 돌출시킨다. 따라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USB 포트(102)는 회전 가능하여야 하며, 이를 가능케 하는 소자가 힌지부(106)이다.
위와 같은 구조의 USB 타입 송수신기를 노트북 등에 연결하여 장시간 사용하면, 메인 기판(100)에 열이 발생하여 메인 기판(100)의 온도가 상승되며, 상기 열을 발산시키지 못하면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성능을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을 발산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를 상기 노트북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메인 기판(100)에서 발생한 열을 접지 라인(110) 및 USB 포트(102)를 통하여 노트북 등의 접지부로 발산시킨다. 그러나, 접지 라인(110)과 상기 서브 기판의 연결이 점 접점이므로 상기 열이 상기 노트북 등의 접지부로 충분히 발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즉,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가 상기 노트북 등의 접지부를 활용하여야 하나 실제적으로 상기 노트북 등의 접지부를 활용하여 못하여 상기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발산시키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가 소형으로 구현되어서 그의 접지부 면적이 작아지게 되므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를 노트북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작은 접지부 면적으로 인하여 신호 특성상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었다.
더욱이,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를 상기 노트북 등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경우, 전원 노이즈, 클록 노이즈(Clock noise) 등과 같은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접지부의 면적이 넓어야 하나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접지부 면적이 작기때문에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없었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발열 문제 및 노이즈 문제 등으로 인하여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성능이 저하되면,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를 노트북 등에 연결하여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중에 무선 통신이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부의 면적을 증가시켜 그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USB 타입 송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 송수신기는 제 1 기판;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모듈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포트; 및 적어도 일부가 도전체로 이루어진 힌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판의 접지부는 상기 힌지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USB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부 및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모듈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 송수신기는 제 1 기판; USB 포트; 상기 USB 포트와 결합된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접지부와 상기 제 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지 라인; 및 상기 접지 라인과 별도로 상기 제 1 기판의 접지부를 상기 제 2 기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핀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핀과 상기 제 2 기판은 면접촉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USB 타입 송수신기는 그의 접지부를 힌지부를 통하여 노트북 등의 접지부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접지부가 소정 폭을 가지는 접촉핀들과 힌지부를 통하여 면접촉을 하므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노트북 등의 접지부를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접지부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기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노트북 등의 접지부로 원활하게 발산되고 노이즈가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를 상기 노트북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 송수신기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본 실시예의 USB 타입 송수신기는 USB를 이용하여 노트북, 차량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소자로서,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을 위하여 안테나 및 모뎀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를 예를 들어 노트북 등에 연결한 후 와이브로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는 와이브로뿐만 아니라, HSDPA, WCDMA, TDMB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는 무선 통신 기능 외에도 외장 메모리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USB 타입 송수신기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겠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USB 타입 송수신기는 제 1 기판(메인 기판, 200), USB 포트(202), 제 2 기판(서브 기판, 204), 힌지부(206) 및 접지 라인(208) 을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 라인 등이 더 포함되나 도시하지는 않았다.
제 1 기판(200)은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주동작을 관리하는 메인 기판으로서,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다.
이러한 제 1 기판(200) 위에는 각종 회로들 및 접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접지로서 역할을 하며,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가 노트북 등에 연결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노트북 등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가 노트북 등의 접지부를 그의 접지로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실제 사용 접지 면적이 증가되었다고 할 수 있다.
USB 포트(202)는 노트북 등에 실제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도전체이다. 여기서, USB 포트(202)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200)의 접지부에 연결되므로, 제 1 기판(200)의 접지부가 USB 포트(202)를 통하여 상기 노트북 등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기판(204)은 서브 기판으로서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이며, USB 포트(202)와 결합한다.
이러한 제 2 기판(204) 상에도 소정 회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 1 기판(200) 상의 회로들로부터 신호 라인들을 통하여 전송된 신호들을 USB 포트(202)를 통하여 노트북 등으로 전송시키고, 제 1 기판(200)의 접지부를 USB 포트(20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힌지부(206)는 USB 포트(20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로서, USB 포 트(202)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한 그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즉, 힌지부(206)는 종래의 힌지부 구조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졌던 종래의 USB 타입 송수신기의 힌지부와 달리, 본 실시예의 힌지부(206)는 금속, 즉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물론, 힌지부(206) 전체가 도전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일부만이 도전체일 수도 있다.
접지 라인(208)은 제 1 기판(200)의 접지부를 제 2 기판(204)에 연결시킨다. 여기서, 제 2 기판(204)이 USB 포트(202)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1 기판(200)의 접지부는 접지 라인(208), 제 2 기판(204) 및 USB 포트(202)를 통하여 노트북 등의 접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접지 라인(208)은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굵기의 전선으로 구현된다.
국제 표준에 따르면,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접지 라인(208) 외에 2개의 신호 라인들과 하나의 전원 라인이 제 1 기판(200)과 제 2 기판(204) 사이에 연결된다.
접지 라인(208)과 제 1 기판(200) 및 제 2 기판(204)과의 연결을 살펴보면, 점 접점 방식이므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지 라인(208)만으로는 충분한 접지 면적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USB 타입 송수신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206)를 활용하여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접지부의 면적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기판(200)과 힌지부(206) 사이에 제 1 접촉핀(First contact pin, 300)이 결합된다. 즉, 제 1 접촉핀(300)이 제 1 기판(200)을 힌지부(206)에 연결시킨다. 여기서, 제 1 접촉핀(300)과 힌지부(206)가 도전체이므로, 제 1 기판(200)의 접지부가 힌지부(2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힌지부(206)는 제 1 접촉핀(300)이 접촉하는 부분만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접촉의 안정성을 고려할 때 힌지부(206) 전체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힌지부(206)와 제 2 기판(204) 사이에 제 2 접촉핀(302)이 결합된다. 즉, 제 2 접촉핀(302)이 힌지부(206)를 제 2 기판(204)에 연결시킨다. 여기서, 제 2 접촉핀(302) 또한 도전체이므로, 힌지부(206)와 제 2 기판(204)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기판(200)의 접지부가 제 2 기판(2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제 2 기판(204)이 USB 포트(202)와 연결되고 USB 포트(202)가 노트북 등의 접지부와 연결되므로, 제 1 기판(200)의 접지부가 노트북 등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접지부 사용 면적이 상기 노트북 등의 접지부를 이용함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부(206)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400)와 회전부(40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회전부(402)는 몸체부(400)와 결합되며, USB 포트(202)가 회전하면 몸체부(400)는 고정된 채로 회전부(402)만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USB 타입 송수신기는 이러한 힌지부(206)의 구조를 이용하여 제 1 기판(200)의 접지부를 USB 포트(202)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세하게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촉핀(300)은 힌지부(206)의 몸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접촉핀(302)은 힌지부(206)의 회전부(4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202)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힌지부(206)의 몸체부(400)는 고정되므로, 몸체부(400)와 연결된 제 1 접촉핀(300)은 USB 포트(202)의 회전과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접촉핀(300)과 몸체부(400)의 결합 방법은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특정 나사를 통하여 제 1 접촉핀(300)의 종단이 몸체부(40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몸체부(400)에 홀이 형성되고 제 1 접촉핀(300)의 종단이 상기 홀로 삽입될 수도 있다. 물론, 제 1 접촉핀(300)과 몸체부(400)의 결합 방법은 제 1 접촉핀(300)이 몸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회전부(402)를 살펴보면, USB 포트(202)의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고정되어 있는 몸체부(400)와 달리 힌지부(206)의 회전부(402)는 USB 포트(202) 회전에 응답하여 함께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USB 포트(202)의 회전에 의해 제 2 접촉핀(302)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제 2 접촉핀(302)은 회전부(402)를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402)가 직육면체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제 2 접촉핀(302)은 'ㄷ'자 형성을 가지고 회전부(402)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제 2 접촉핀(302)은 회전부(402)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제 2 접촉핀(302)과 힌지부(206)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ㄷ'자 형상 을 가지고 제 2 접촉핀(302)이 힌지부(206)의 회전부(402)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 접촉핀(302)이 힌지부(206)를 둘러싸면, 제 2 접촉핀(302)은 힌지부(206)와 면접촉하게 된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USB 타입 송수신기는 접지 라인(208)을 통하여 제 1 기판(200)의 접지부를 USB 포트(20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뿐만 아니라 힌지부(206) 및 접촉핀들(300 및 302)을 이용하여 제 1 기판(200)의 접지부를 USB 포트(20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가 노트북 등에 연결되어 사용되면, 상기 노트북 등의 접지부가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접지로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접지부 면적이 실질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작은 면적의 접지부로 인하여 발열 문제 및 노이즈 문제 등을 일으켰던 종래의 USB 타입 송수신기와 달리, 본 실시예의 USB 타입 송수신기에서는 발열 문제 및 노이즈 문제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세하게는,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를 노트북 등에 연결하여 오랫동안 사용함에 의해 메인 기판으로부터 상당한 열이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열은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접지부를 통하여 상기 노트북 등의 접지부로 발산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에서 발열 문제가 해결되며, 따라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를 상기 노트북 등에 연결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특성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USB 통신 송수신기는 상기 노트북 등에 연결된 상태로 장애 없이 원활한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접지부 면적으로 인하여 노이즈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던 종래의 USB 타입 송수신기와 달리, 본 실시예의 USB 타입 송수신기에서는 접지부의 면적이 크므로 노이즈 문제가 발생되지 않거나 상당히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위에서는, 특정 형태의 USB 타입 송수신기만을 도시하였으나, USB 타입 송수신기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4의 구조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USB 타입 송수신기가 힌지부를 이용하여 제 1 기판의 접지부를 노트북 등의 접지부에 연결시키는 한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힌지부와 USB 포트의 구조 및 연결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 송수신기에 사용되는 힌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힌지부는 몸체부(500) 및 회전부(502)로 이루어지되, 회전부(502)는 도 4의 제 2 접촉핀(30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본 실시예의 USB 타입 송수신기에서는 제 2 접촉핀없이 상기 힌지부가 제 2 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
위에서는, 힌지부가 모두 존재하는 USB 타입 송수신기를 언급하였으나, 제품 특성상 USB 포트의 회전이 필요없어서 힌지부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소정 폭의 접촉핀을 이용하여 제 1 기판의 접지부를 직접적으로 제 2 기판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USB 타입 송수신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 송수신기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 송수신기에 사용되는 힌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7)

  1. USB 타입 송수신기에 있어서,
    제 1 기판;
    상기 USB 타입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모듈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포트; 및
    적어도 일부가 도전체로 이루어진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판의 접지부는 상기 힌지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USB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부 및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모듈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타입 송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USB 포트와 결합된 제 2 기판;
    도전체로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힌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접촉핀; 및
    도전체로서, 상기 힌지부와 상기 제 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2 접촉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타입 송수신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된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접촉핀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 1 기판의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 2 접촉핀은 상기 회전부와 결합 된 상태로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회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USB 포트가 회전할 때 상기 몸체부는 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타입 송수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접촉핀은 'ㄷ'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타입 송수신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 1 기판의 접지부와 상기 제 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지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타입 송수신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USB 포트와 결합된 제 2 기판;
    도전체로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힌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된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 2 기판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타입 송수신기.
  7. 제 1 기판;
    USB 포트;
    상기 USB 포트와 결합된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접지부와 상기 제 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지 라인; 및
    상기 접지 라인과 별도로 상기 제 1 기판의 접지부를 상기 제 2 기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핀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핀과 상기 제 2 기판은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타입 송수신기.
KR1020090033365A 2009-04-16 2009-04-16 힌지부를 이용하는 유에스비 타입 송수신기 KR101061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65A KR101061001B1 (ko) 2009-04-16 2009-04-16 힌지부를 이용하는 유에스비 타입 송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65A KR101061001B1 (ko) 2009-04-16 2009-04-16 힌지부를 이용하는 유에스비 타입 송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795A KR20100114795A (ko) 2010-10-26
KR101061001B1 true KR101061001B1 (ko) 2011-09-01

Family

ID=4313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365A KR101061001B1 (ko) 2009-04-16 2009-04-16 힌지부를 이용하는 유에스비 타입 송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0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048B1 (ko) * 2001-09-19 2004-05-12 하스넷주식회사 컴퓨터의 무선 송수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048B1 (ko) * 2001-09-19 2004-05-12 하스넷주식회사 컴퓨터의 무선 송수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795A (ko) 201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1716A1 (en) Adapter for connecting a portable memory unit to a host, and a memory device having the adapter
US20090088024A1 (en) High speed connector and receptacle with backward compatibility to usb 2.0
US20120052709A1 (en) Standard Receptacle Connector with Plug Detecting Functions and Sink-Type Receptacle Connector with Plug Detecting Functions
US7632139B2 (en) Connector having USB and eSATA interfaces
US20090079661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ntenna function
US20110007483A1 (en) Electronic device and sata extension board thereof
US8368603B2 (en) Flexible antenna device
US20120094507A1 (en) Connector
US8111207B2 (en) Antenna structure and related expansion card and computer apparatus
TWI713263B (zh) 彈簧針的調整控制機構
US7357643B1 (en) Card connector assembly adapted for use with different wireless module cards
US20180090865A1 (en) Adaptor for use in storage device
EP2328241B1 (en) Rotatable connector for data card
US20030171035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USB
KR101061001B1 (ko) 힌지부를 이용하는 유에스비 타입 송수신기
US20070293267A1 (en) Multi-function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US20100125692A1 (en) Computer interface kit and computer interface device thereof
TWM445791U (zh) 萬用電路板模組及使用該萬用電路板模組的連接器
US20120071086A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separable communications elements and electronic system having the same
US8046606B2 (en) Host computer with shared storage device
US20140085826A1 (en) Electronic device and plug and play unit thereof
US9465765B2 (en) All-in-one SATA interface storage device
US696375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8014160B2 (en) Universal serial bus memory device
JP2007103508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