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843B1 - 전원 입력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입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843B1
KR101060843B1 KR1020090088108A KR20090088108A KR101060843B1 KR 101060843 B1 KR101060843 B1 KR 101060843B1 KR 1020090088108 A KR1020090088108 A KR 1020090088108A KR 20090088108 A KR20090088108 A KR 20090088108A KR 101060843 B1 KR101060843 B1 KR 101060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filter unit
emi filter
input terminal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0119A (ko
Inventor
장영수
최흥균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8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843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2Means for rapidly discharging a capacitor of the converter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or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입력 회로에 관한 것으로, 제1 입력단(L)과 제2 입력단(N)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제2 입력단(L,N)을 통해 입력되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잡음신호를 차단하는 메인 EMI 필터부(100); 상기 메인 EMI 필터부(100)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원오프시 상기 메인 EMI 필터부(100)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방전 저항(RD); 및 상기 제1 입력단(L)에 연결된 대기전력 공급노드(NST)와 상기 방전 저항(RD) 사이에 형성되어, 정상모드시 온되고, 대기모드시 오프되는 제1 스위치(SW1)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88108
전원, EMI 필터, 대기전력, 대기 소비전력, 방전 저항, 공통 쵸크(CM 쵸크)

Description

전원 입력회로{POWER INPUT CIRCUIT}
본 발명은 전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전원 입력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의 대기모드에서, 방전 저항에 의한 전력소모를 줄이도록 함으로서, 대기 소비전력을 개선할 수 있는 전원 입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파워 산업은 전력소모 및 수명, 친환경성 등에 관련된 측면에서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대기 소비전력을 낮추는 기술에 높은 관심과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최근, 파워 IC 업계에서는 대기 소비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버스트 모드(Burst Mode)로 동작하는 대기전력(ST-BY) IC를 개발하여 IC 자체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고 경부하시 스위칭(Switching) 손실을 최소화하는 등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대기(ST-BY) 전력 IC는, 자체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고 또한 대기(ST-BY) 전압(5Vsb)과 멀티전압(Vmulti) 블록의 이원화, 교류 필터단의 방전저항 증가 및 대기(ST-BY) 전력 IC의 버스트 모드(Burst Mode) 동작으로 대기 소비전력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진행중이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대기 소비전력 규정은 급격하게 낮아지고 있으며, 회로 시퀀스(Sequence)의 복잡화, 가격 저감에 따른 회로 병합(Merge) 등으로 인하여, 대기 소지전력을 더욱 낮추어야 하지만, 종래 전원 장치에서는, 대기 소비전력을 더 떨어뜨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전원의 대기모드에서, 방전 저항에 의한 전력소모를 줄이도록 함으로서, 대기 소비전력을 개선할 수 있는 전원 입력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제1 입력단과 제2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제2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잡음신호를 차단하는 메인 EMI 필터부;
상기 메인 EMI 필터부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원오프시 상기 메인 EMI 필터부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방전 저항;
상기 제1 입력단에 연결된 대기전력 공급노드와 상기 방전 저항 사이에 형성되어, 정상모드시 온되고, 대기모드시 오프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입력단과 상기 대기전력 공급노드 사이에, 상기 제1 입력단과 제2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제2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EMI 잡음신호를 차단하는 입력 EMI 필터부;
상기 입력 EMI 필터부와 상기 대기전력 공급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정상모드시 온되고, 대기모드시 오프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에 병렬로, 상기 입력 EMI 필터부와 제2 스위치 사이의 입력노드와 상기 대기전력 공급노드 사이에 연결된 부온도특성 써미스터를 제안한다.
삭제
삭제
상기 메인 EMI 필터부는, 상기 방전저항에 병렬로 연결된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에 병렬로 형성된 공통 쵸크를 갖는 제1 CM 쵸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 EMI 필터부는, 상기 제1 입력단과 제2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에 병렬로 형성된 공통 쵸크를 갖는 제2 CM 쵸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패시터는 100nF 보나 낮은 값을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의 대기모드에서, 방전 저항에 의한 전력소모를 줄이도록 함으로서, 대기 소비전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 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입력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입력회로는, 제1 입력단(L)과 제2 입력단(N)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제2 입력단(L,N)을 통해 입력되는 EMI 잡음신호를 차단하는 메인 EMI 필터부(100)와, 상기 메인 EMI 필터부(100)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원오프시 상기 메인 EMI 필터부(100)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방전 저항(RD)과, 상기 제1 입력단(L)에 연결된 대기전력 공급노드(NST)와 상기 방전 저항(RD) 사이에 형성되어, 정상모드시 온되고, 대기모드시 오프되는 제1 스위치(SW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입력회로는, 상기 제1 입력단(L)과 상기 대기전력 공급노드(NST) 사이에, 상기 제1 입력단(L)과 제2 입력단(N)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제2 입력단(L,N)을 통해 입력되는 EMI 잡음신호를 차단하는 입력 EMI 필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입력회로는, 상기 입력 EMI 필터부(200)와 상기 대기전력 공급노드(NST) 사이에 연결되어, 정상모드시 온되고, 대기모드시 오프되는 제2 스위치(SW2)와, 상기 제2 스위치(SW2)에 병렬로, 상기 입력 EMI 필터부(200)와 제2 스위치(SW2) 사이의 입력노드(LI)와 상기 대기전력 공급노드(NST) 사이에 연결된 부온도특성(NTC) 써미스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온도특성(NTC) 써미스터(300)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저항이 낮아지는 특성을 갖는 소자이다.
상기 메인 EMI 필터부(100)는, 상기 방전저항(RD)에 병렬로 연결된 제1 커패시터(C1)와, 상기 제1 커패시터(C1)에 병렬로 형성된 공통 쵸크(CM 쵸크부)를 갖는 제1 CM 쵸크부(LCH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EMI 필터부(200)는, 상기 제1 입력단(L)과 제2 입력단(N) 사이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C2)와, 상기 제2 커패시터(C2)에 병렬로 형성된 공통 쵸크(CM 쵸크부)를 갖는 제2 CM 쵸크부(LCH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패시터(C2)는 1nF 이상 100nF 이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커패시터의 값이 설정되는 경우, 방전 저항이 필요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입력회로에서, 정상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정상모드에서는, 전원 공급을 위해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가 온상태로 되고, 이와 달리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대기모드에서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상기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가 오프상태로 된다.
먼저, 정상모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SW1,SW2)가 온상태이므로, 제1 및 제2 입력단(L,N)을 통한 전원은 입력 EMI 필터부(200)를 통한 후, 제1 및 제2 스위치(SW1,SW2)를 통하고, 이후 메인 EMI 필터부(100)를 통해 정류부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 EMI 필터부(200)를 통한 전원은, 온상태인 제2 스위치(SW2)와 일정한 저항을 갖는 부온도특성(NTC) 써미스터(300)중에서 상대적으로 저항이 낮은 제2 스위치(SW2)를 통해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입력 EMI 필터부(200) 및 메인 EMI 필터부(100)는 제1,제2 입력단(L,N)을 통한 전자기 간섭 잡음신호를 차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입력 EMI 필터부(200)의 제2 커패시터(C2) 및 제2 CM 쵸크부(LCH2)가 잡음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병렬공진하고, 이에 따라 잡음신호의 주파수에서 가장 임피던스가 높아져서 상기 잡음신호가 차단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상기 메인 EMI 필터부(100)의 제1 커패시터(C1) 및 제1 CM 쵸크부(LCH1)가 잡음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병렬공진하고, 이에 따라 잡음신호의 주파수에서 가장 임피던스가 높아져서 상기 잡음신호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원 입력회로를 통하면 간섭 잡음이 없는 전원이 정류부에 전달되므로, 내부 회로 및 내부 소자가 보호될 수 있다. 즉, 입력 EMI 필터부(200) 및 메인 EMI 필터부(100)가 이중으로 간섭 잡음 신호를 차단할 수 있으므 로, 내부 회로 및 소자 보호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 대기모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SW1,SW2)가 오프상태이므로, 제1 및 제2 입력단(L,N)을 통한 전원은 입력 EMI 필터부(200)를 거친 후, 제1 및 제2 스위치(SW1,SW2)가 오프된 상태이므로, 부온도특성 써미스터(300)를 통하여 그 다음 대기전력 공급노드(NST)를 거쳐 대기전력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부온도특성 써미스터(300)는 초기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높은 저항을 가지므로, 초기 돌입전류(inrush current)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부온도특성 써미스터(300)는 점차적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온도가 높아지면서 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이때, 대기모드에서는, 제1 스위치(SW1)가 오프되어 전원이 방전저항(RD)을 거치지 않으므로, 방전저항에 의한 전력소모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입력회로의 회로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메인 EMI 필터부 200 : 입력 EMI 필터부
300 : 부온도특성(NTC) 써미스터 L : 제1 입력단
N : 제2 입력단 RD : 방전 저항
NST : 대기전력 공급노드 SW1 : 제1 스위치
SW2 : 제2 스위치

Claims (5)

  1. 제1 입력단과 제2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제2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잡음신호를 차단하는 메인 EMI 필터부;
    상기 메인 EMI 필터부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원오프시 상기 메인 EMI 필터부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방전 저항;
    상기 제1 입력단에 연결된 대기전력 공급노드와 상기 방전 저항 사이에 형성되어, 정상모드시 온되고, 대기모드시 오프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입력단과 상기 대기전력 공급노드 사이에, 상기 제1 입력단과 제2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제2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EMI 잡음신호를 차단하는 입력 EMI 필터부;
    상기 입력 EMI 필터부와 상기 대기전력 공급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정상모드시 온되고, 대기모드시 오프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에 병렬로, 상기 입력 EMI 필터부와 제2 스위치 사이의 입력노드와 상기 대기전력 공급노드 사이에 연결된 부온도특성 써미스터를 포함하는 전원 입력회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EMI 필터부는,
    상기 방전저항에 병렬로 연결된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에 병렬로 형성된 공통 쵸크를 갖는 제1 CM 쵸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입력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EMI 필터부는,
    상기 제1 입력단과 제2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에 병렬로 형성된 공통 쵸크를 갖는 제2 CM 쵸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패시터는
    100nF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입력회로.
KR1020090088108A 2009-09-17 2009-09-17 전원 입력회로 KR101060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108A KR101060843B1 (ko) 2009-09-17 2009-09-17 전원 입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108A KR101060843B1 (ko) 2009-09-17 2009-09-17 전원 입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119A KR20110030119A (ko) 2011-03-23
KR101060843B1 true KR101060843B1 (ko) 2011-08-31

Family

ID=4393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108A KR101060843B1 (ko) 2009-09-17 2009-09-17 전원 입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095B1 (ko) * 2012-08-10 202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장치
CN110401336A (zh) * 2019-08-02 2019-11-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交流输入电路及空调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9474A (ja) * 2001-12-03 2003-06-13 Toshiba Corp 電源装置
KR100822342B1 (ko) * 2008-01-23 2008-04-16 김현섭 절전형 전원 안정화 및 전원 자동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9474A (ja) * 2001-12-03 2003-06-13 Toshiba Corp 電源装置
KR100822342B1 (ko) * 2008-01-23 2008-04-16 김현섭 절전형 전원 안정화 및 전원 자동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119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6842B2 (en) Inrush current suppression circuit
JP6787989B2 (ja) オープン出力保護を備えるドライバ
US6445165B1 (en) Circuit for limiting inrush current to a power source
US20080192396A1 (en)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20110058299A1 (en) Transient voltage protection circuit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8541987B2 (en) Low loss discharge circuits for EMI filter capacitors
US9722486B2 (en) Protection circuit
KR20100014787A (ko) 전자식 동작 장치의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TWI405396B (zh) 升壓型電源轉換裝置
KR101927645B1 (ko) 충전 회로와 모바일 단말기
CN101710686B (zh) 电路断路器的电子跳闸单元
JP2015535678A (ja) 過電圧保護装置および方法
US8879216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control device
US20110110121A1 (en) Power supply circuit
KR20160038648A (ko) 과전압 보호장치
KR101060843B1 (ko) 전원 입력회로
US9547621B1 (en) Hot swap decoupling for noise reduction and failure prevention
US20100232193A1 (en) Capacitive power supply
US10187055B2 (en) Output discharge techniques for load switches
EP2067235A2 (en) Power supply and electronic ballast with auxiliary protection circuit
CN112534668A (zh) 升压转换器短路保护
CN105322773A (zh) 缓启动电路及其操作方法
US20060158811A1 (en) Protection circuit
JP2004140994A (ja) 電子回路
JP2005094573A (ja) 電源ライン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