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047B1 - 메타물질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 Google Patents

메타물질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047B1
KR101059047B1 KR1020090081610A KR20090081610A KR101059047B1 KR 101059047 B1 KR101059047 B1 KR 101059047B1 KR 1020090081610 A KR1020090081610 A KR 1020090081610A KR 20090081610 A KR20090081610 A KR 20090081610A KR 101059047 B1 KR101059047 B1 KR 101059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transmission line
ground plate
omnidirectional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618A (ko
Inventor
박병철
이정해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81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0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8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radiating a circular polarised wa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원형 버섯구조의 패치와;
상기 패치와 단락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평판형상의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과 패치 사이에 위치하는 전송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패치는 4개의 단위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패치의 한 지점에 급전을 행하는 단일 급전점이 형성된다. 상기 각 단위구조는 구부러진 가지가 각각 부착되고, 상기 각 단위구조와 상기 구부러진 가지 사이에는 위상지연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방향성 원형편파특성을 가지며, 종래의 전방향성 안테나에 비해 크기가 감소하였으며 별도의 90° 위상천이기나 이중급전의 필요없이 간단하게 디자인이 가능하다.
메타, 물질, 영차공진, 전송선로, DNG, ENG, CRLH

Description

메타물질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Metamaterial Omnidirectional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타물질 전송선로의 영차공진을 이용한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는 그 안테나가 가지는 장점 때문에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안테나의 전방향성과 원형편파 특성은 안테나 간의 정렬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GPS, 위성통신, 개인 휴대 단말기 등에 매우 유용하다. 종래의 전방향성 원형편파안테나는 두개의 선형안테나가 90°의 위상차가 나도록 설계하여 만들거나 하나의 원형편파 특성을 가지는 안테나를 배열 형태로 배치하여 전방향에서 원형편파가 나타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들은 전기적 크기가 비교적 크며 평면형태의 안테나가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 통신시스템에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소형이며, 평면형태의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는,
원형 버섯구조의 패치와;
상기 패치와 단락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평판형상의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과 패치 사이에 위치하는 전송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패치는 4개의 단위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각 단위구조는 구부러진 가지가 각각 부착되고, 상기 각 단위구조와 상기 구부러진 가지 사이에는 위상지연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치의 한 지점에 급전을 행하는 단일 급전점이 형성된다.
상기 각 단위구조는 상기 접지판에 대해 수직편파가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각 구부러진 가지는 상기 접지판에 대해 수평 편파가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구부러진 가지는 상기 단위구조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송선로는 CRLH(composite right and left handed) 전송선로, DNG(double nagative) 전송선로, ENG(epsilon negative) 전송선로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방향성 방사패턴과 수직편파를 얻기 위해 원형 버섯구조의 영차공진을 이용하였고, 수평편파를 얻기 위해 각각의 단위구조에 구부러진 가지를 부착하였다. 또한 수직편파와 수평편파간의 90°위상차이를 위해 구부러진 가지와 원형 버섯구조 사이에 위상지연선로를 삽입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전방향성 원형편파특성을 가지며, 종래의 전방향성 안테나에 비해 크기가 38% 감소하였으며 별도의 90°위상천이기나 이중급전의 필요 없이 간단하게 디자인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바주카 발룬을 사용시에 임피던스 정합과 좋은 방사패턴을 얻을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는, 기판(70), 패치, 접지판(50), 전송선로를 포함한다. 기판(70)위에 접지판(50)이 형성되고, 그 위에 패치가 형성되며, 전송선로는 접지판(50)과 패치사이에 위치한다.
상기한 패치는 구리(Cu)박판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전기전도가 우수하고 성형성과 가공성이 좋은 은(Ag) 또는 알루미늄(Al) 등의 금속박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송선로는 메타 물질 예를 들면, CRLH(composite right and left handed) 전송선로, DNG(double nagative) 전송선로, ENG(epsilon negative) 전송선로중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접지판(50)은 기판(70)위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도전성 물질로는 구리(Cu)나 알루미늄(Al) 등과 같이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재료를 사용한다. 접지판(50)은 유전체의 기판(22)에 스크린 인쇄나 증착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도포한다. 기판(22)의 형태는 패치와 같이 원형으로 할 수도 있고 사각형으로 할 수도 있으며, 최종 제품 적용시에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패치는 원형의 버섯구조로서, 4개의 단위구조(10, 20, 30, 40)를 포함하며, 각 단위구조(10, 20, 30, 40)는 구부러진 가지(11, 21, 31, 41)가 각각 부착되고, 각 단위구조(10, 20, 30, 40)와 구부러진 가지(11, 21, 31, 41) 사이에는 위상지연선로(13, 23, 33, 43)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단위구조(10, 20, 30, 40)에는 비아홀(12, 22, 32, 42)이 형성되고, 급전점(60)은 하나이다.
4개의 단위구조(10, 20, 30, 40)로 구성된 원형 버섯구조의 패치의 영차공진은 접지판(50)의 접지면에 대해 수직인 전계장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것은 수직 편파에 기인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구조(10, 20, 30, 40)에 부착된 구부러진 가지(11, 21, 31, 41)는 수평 편파에 기인한다. 그리고 구부러진 가지(11, 21, 31, 41)와 단위구조(10, 20, 30, 40)사이의 길이t가 수직편파와 수평편파간에 90°의 위상차이를 제공해준다. 이것들은 결과적으로 전방향성 원형편파가 발생하는데 기여한다. 이러한 원형편파의 발생 원리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단위 구조(10, 20, 30, 40)에 의해 수직편파가 발생하고, 단위 구조(10, 20, 30, 40)에 붙어있는 4개의 구부러진 가지(11, 21, 31, 41)에 의해 수평편파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전방향성 원형편파가 발생하는데, 4개의 구부러진 가지(11, 21, 31, 41)가 시계 방향으로 배열이 되어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가 좌편파 특성을 가지도록 해 준다. 한편, 구부러진 가지(11, 21, 31, 41)가 반시계 방향으로 배열이 되어있다면, 우편파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위상지연선로(13, 23, 33, 43)에 의해 90°위상 천이기 없이 위상을 천이할 수 있으며, 급전점(60)을 통해 단일 급전만 사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수직편파와 수평편파간의 90°위상차이를 위해 구부러진 가지(11, 21, 31, 41)와 단위구조 사이에 위상지연선로(13, 23, 33, 43)를 삽입 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위상 천이기가 필요없고, 단위구조(10, 20, 30, 40) 및 구부러진 가지(11, 21, 31, 41)에 의해 전방향성 원형편파 특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구부러진 가지(11, 21, 31, 41)는 필요에 따라 개수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수직편파와 균형이 맞춰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90ㅀ 위상 천이기와 이중 급전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간단하게 디자인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에 보고된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F.R. Hsiao and K.L. Wong, "Low-profile omnidirectional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for WLAN access point," Microwave and Optical Technology Letters, Vol.46, No. 3, pp227-231, 2005.)에 비해 전기적 크기가 38%감소하였다. 그리고 비대역폭도 종래의 안테나에 비해 좁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소형화에 유리하고 평면형태이며 전방향에서 원형편파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앞으로 통신시스템에 많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전방향성의 방사패턴과 수직편파를 얻기 위해 전송선로의 영차공진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전송선로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사용되는 CRLH 전송선로의 등가회로를 보여준다.
도 3과 같이 CRLH전송선로는 인위적으로 직렬 커패시턴스와 병렬 인덕턴스가 삽입됨으로서 구현이 가능하다. 전송선로의 전파상수에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를 대입하게 되면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이 유효유전율과 유효투자율을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9053606351-pat00001
Figure 112009053606351-pat00002
영차공진주파수는 오픈-엔디드(open-ended) 경계조건과 공진기의 입력 임피던스를 도입하면 수학식3과 같은 영차공진 주파수를 얻어낼 수 있다.
Figure 112009053606351-pat00003
위의 영차공진을 이용한 안테나들은 공진주파수에서 무한파장특성을 갖기 때문에 접지면에 대해 모든 전계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영차공진을 이용한 안테나는 수평 자계 루프 전류를 형성하게 되어 전방향성 방사패턴을 갖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송선로는 CRLH 전송선로 또는 DNG 전송선 로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및 측면을 보인 사진을 보여준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는 4개의 단위구조로 구성된 둥근 모양의 버섯구조 패치에 기반을 두었다. 버섯구조의 패치는 접지면에 대해 수직인 전계를 생성한다. 따라서 전방향성의 방사패턴을 가진다. 또한 수평 편파를 얻기 위해서 구부러진 가지가 각각의 단위구조에 부착되었다. 그리고 수평편파와 수직편파간의 위상연장선로(길이 t)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중심주파수가 1.5GHz를 가지도록 디자인 되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1.5GHz의 영차공진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부러진 가지가 부착된 직사각형패치의 단위 구조를 이용하여 분산곡선을 구하였다. 이때 직사각형 패치 단위구조의 면적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단위구조 면적은 같도록 하였다.
도 4와 같이 분산곡선에서 영차공진 주파수가 1.4GHz에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설계된 안테나의 중심주파수인 1.5GHz와 잘 일치함을 볼 수 있다. 도 4의 분산 곡선은 무한주기구조를 이용하여 상용 시뮬레이션 도구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다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제작하여 방사특성을 측정하였다.
도 1에서 제작된 안테나의 수치는 D=56mm(0.2800
Figure 112009053606351-pat00004
), d=40mm(0.2000
Figure 112009053606351-pat00005
), t=13mm(0.0650
Figure 112009053606351-pat00006
), w=1.5mm(0.0080
Figure 112009053606351-pat00007
), L=24mm(0.1200
Figure 112009053606351-pat00008
) 이며 사용된 기판은 유전율이 2.2인 RT/Duroid 5880이고 그 높이는 3.175mm이다. 제안된 원형편파 안테나의 임피던스 정합과 좋은 방사특성을 위해 바주카 발룬을 사용하였다.
도 6a와 도 6b는 발룬을 사용하기 전과 후의 반사계수를 보여준다. 도 6b와 같이 발룬을 사용 하였을 때가 발룬을 사용하기 전과 비교하여 볼 때 임피던스 정합이 잘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b와 같이 측정된 10dB기준 비대역폭은 0.6%, 중심주파수 1.518 GHz이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10dB기준 비대역폭이 0.5%, 중심주파수가 1.510 GHz로 나왔다. 결과적으로 시뮬레이션과 측정 결과가 매우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방사패턴 또한 발룬을 장착한 후의 결과가 시뮬레이션 결과와 잘 일치함을 도 7a 및 도 7b로부터 알 수 있다. 도 7a의 발룬이 없을때의 방사패턴에 비해 도 7b와 같이 발룬이 있을 때 x-y평면에서 측정된 좌편파 이득은 -5.6~0.4 dBic이며, 시뮬레이션된 좌편파 이득은 -0.6 ~2.2dBic로 나타났다. 도 7a 및 도 7b의 우측은 x-z 평면이다.
도 8은 x-y평면에서의 축비를 나타낸다. x-y평면에서 측정된 축비는 0.3~ 11.0dB이며 3dB 축비를 만족하는 구간은 95~212 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축비를 개선하기 위해 파라미터 t와 L에 대해서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원형 편파를 얻기 위해서는 서로 수직인 전계 성분 사이에 90°의 위상차이와 같은 전계 크기가 필요하다.
Figure 112009053606351-pat00009
위의 표 1을 살펴보게 되면 t가 9mm에서 17mm로 증가함에 따라 전계의 위상차이와 크기비가 같이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위상차이가 거의 90°에 가까운 값을 보여준다. 이는 파라미터 t가 수직편파와 수평편파간의 위상차이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반면에 L을 26mm에서 34mm로 증가하였을 때에는 전계의 크기비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파라미터 t는 전계의 위상차이가 90°에 가까운 13mm로 최적화 되었고, 파라미터 L은 평균 축비가 0dB에 가까운 30mm로 최적화 되었다. 따라서 최적화 후에 평균 1.1dB의 축비를 기대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최적화 된후의 방사패턴과 축비를 각각 보여준다. 최적화 결과 L의 길이가 30mm로 결정 되었었다. 그러나 실험적으로 튜닝한 결과 L의 길이가 26mm일 때 가장 좋은 축비가 측정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최적화 후의 방사패턴과 축비는 모두 L이 26mm일 때 결과들이다. 도 9에서와 같이 x-y평면에서 측정된 좌편파 이득은 -6.5~0.7dBic이며 시뮬레이션된 좌편파 이득은 -1.9~1.9dBic로 나타났다. 도10에서 알 수 있듯이 최적화 후의 x-y평면에서의 축비는 0.0~16.0dB로 측정 되었으며 특히, 3dB를 만족하는 축비 구간은 86~282°로 측정되었다. 최적화하기 전에는 3dB 축비를 만족하는 구간이 95~212° 즉, 117°구간에서만 3dB 축비를 만족했으나 최적화 이후에는 86~282°로 196°구간에서 3dB 축비를 만족하는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구부러진 가지가 부착된 원형버섯구조의 패치를 이용한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를 제공하였다. 전방향성 방사패턴과 수직편파를 얻기 위해 원형 버섯구조의 영차공진을 이용하였고, 수평편파를 얻기 위해 각각의 단위구조에 구부러진 가지를 부착하였다. 또한 수직편파와 수평편파간의 90°위상차이를 위해 구부러진 가지와 원형 버섯구조 사이에 위상지연선로를 삽입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전방향성 원형편파특성을 가진다. 또한, 안테나는 종래의 전방향성 안테나(F.R. Hsiao and K.L. Wong, "Low-profile omnidirectional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for WLAN access point," Microwave and Optical Technology Letters, Vol.46, No. 3, pp227-231, 2005.)에 비해 크기가 38% 감소하였으며 별도의 90ㅀ 위상천이기나 이중급전의 필요 없이 간단하게 디자인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안테나는 임피던스 정합과 좋은 방사패턴을 위해 바주카 발룬을 사용하였고, x-y평면에서 3dB 축비를 좀 더 개선하기 위해 최적화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x-y평면에서 3dB축비를 만족하는 구간이 86~282°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전송선로를 ENG 전송선로를 변형하여 사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는, 기판(71), 패치, 접지판(51), 전송선로를 포함한다. 기판(71)위에 접지판(50)이 형성되고, 그 위에 패치가 형성되며, 전송선로는 접지판(51)과 패치사이에 위치한다.
패치는 원형의 버섯구조로서, 4개의 단위구조(15, 25, 35, 45)를 포함하며, 각 단위구조(15, 25, 35, 45)는 구부러진 가지(16, 26, 36, 46)가 각각 부착되고, 각 단위구조(15, 25, 35, 45)와 구부러진 가지(16, 26, 36, 46) 사이에는 위상지연선로(17, 27, 37, 47)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단위구조(15, 25, 35, 45)에는 비아홀(18, 28, 38, 48)이 형성된다. 그리고 급전점(61)이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안테나의 수치는 D=56mm, d=40mm, t=11mm, w=1.5mm, L=24mm 이며 사용된 기판은 유전율이 2.2인 RT/Duroid 5880이고 그 높이는 3.175mm이다
이러한 수치는 제1 실시예에 비해 위상지연선로의 길이가 2mm 정도 짧고, 구부러진 가지의 길이가 1mm 정도로 줄어들었으며, 나머지 수치는 동일하다.
그러나 이러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의 길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제1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며, 원형 버섯구조에 기반을 두었다. 또한, ENG전송선로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비하여 단위구조 사이에 틈이 없어 좀더 간단한 디자인이 가능하다. ENG 전송선로의 등가회로는 도 3에서 CL이 제거된 것과 같으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서도 원형 버섯구조의 영차공진은 접지면에 대해 수직인 전계장을 형성하고 이것은 수직 편파에 기인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구조에 부착된 구부러진 가지는 수평 편파에 기인한다. 그리고 구부러진 가지와 원형 버섯구조 사이의 길이t가 수직편파와 수평편파간에 90°의 위상차이를 제공해준다. 이것들은 결과적으로 전방향성 원형편파가 발생하는데 기여 한다. 각각의 단위 구조에 붙어있는 4개의 구부러진 가지가 시계 방향으로 배열이 되어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제안된 안테나가 좌편파 특성을 가지도록 해 준다. 만약 반시계 방향으로 배열이 되어있다면, 우편파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도 소형화에 유리하고 평면형태이며 전방향에서 원형편파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앞으로 통신시스템에 많이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송선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의 분산 곡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의 평면 및 측면을 보인 사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에 발룬이 있을때와 없을때의 S-파라미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와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에 발룬이 있을 때와 없을 때의 방사패턴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에서 x-y 평면에서의 축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의 최적화후의 방사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의 최적화후의 축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Claims (9)

  1. 원형 버섯구조의 패치와;
    상기 패치와 단락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평판형상의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과 패치 사이에 위치하는 전송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패치는 4개의 단위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각 단위구조는 구부러진 가지가 각각 부착되고, 상기 각 단위구조와 상기 구부러진 가지 사이에는 위상지연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의 한 지점에 급전을 행하는 단일 급전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구조는 상기 접지판에 대해 수직편파가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각 구부러진 가지는 상기 접지판에 대해 수평 편파가 발생되도록 하는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진 가지는 상기 단위구조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로는 CRLH 전송선로 또는 DNG 전송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진 가지의 길이와 구부러진 가지의 폭에 따라 상기 안테나의 수평 또는 수직 편파 성분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7. 원형 버섯구조의 패치와;
    상기 패치와 단락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평판형상의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과 패치 사이에 위치하는 ENG 전송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패치는 4개의 단위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각 단위구조는 구부러진 가지가 각각 부착되고, 상기 각 단위구조와 상기 구부러진 가지 사이에는 위상지연선로가 형성되며,
    상기 패치의 중앙에 급전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구조는 상기 접지판에 대해 수직편파가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각 구부러진 가지는 상기 접지판에 대해 수평 편파가 발생되도록 하는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진 가지는 상기 단위구조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좌편파 또는 우편파인 수평편파를 발생하는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KR1020090081610A 2009-08-31 2009-08-31 메타물질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KR101059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610A KR101059047B1 (ko) 2009-08-31 2009-08-31 메타물질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610A KR101059047B1 (ko) 2009-08-31 2009-08-31 메타물질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618A KR20110023618A (ko) 2011-03-08
KR101059047B1 true KR101059047B1 (ko) 2011-08-24

Family

ID=4393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610A KR101059047B1 (ko) 2009-08-31 2009-08-31 메타물질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0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799B1 (ko) 2019-04-30 2020-10-0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 구조 기반 이중대역 원형편파 안테나 및 그 설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928B1 (ko) * 2011-05-23 2013-09-11 주식회사 굿텔 발룬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기반의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KR101242389B1 (ko) * 2011-08-10 2013-03-15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물질 하이브리드 패치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5546B1 (ko) * 2011-09-01 2013-10-0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물질 이중 대역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CN102868007B (zh) * 2012-09-18 2015-04-01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基于手性人工电磁结构的双频圆极化器
CN102931479B (zh) * 2012-11-02 2014-12-31 大连海事大学 一种紧凑型平面双频全向圆极化天线
CN104037496B (zh) 2013-03-08 2016-03-16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全向圆极化天线
GB2514993B (en) * 2013-03-22 2016-03-30 Lamda Guard Technologies Ltd Optical diode
KR101852071B1 (ko) 2016-12-28 2018-04-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자기파 필터를 위한 메타물질
CN107154529B (zh) * 2017-04-20 2020-03-10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超小型低剖面全向圆极化天线
KR101939948B1 (ko) * 2018-06-18 2019-01-1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형편파 특성이 개선된 소형 예루살렘 십자형 패치 안테나
JP6923490B2 (ja) * 2018-07-05 2021-08-18 株式会社Soken アンテナ装置
KR102535406B1 (ko) * 2021-02-05 2023-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 이동체 적용을 위한 전방향성 수직빔 방향 제어 안테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799B1 (ko) 2019-04-30 2020-10-0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 구조 기반 이중대역 원형편파 안테나 및 그 설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618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047B1 (ko) 메타물질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Zhang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SIW cavity backed dual-band antennas with a dual-mode triangular-ring slot
Pan et al. Wideband and low-profile omnidirectional circularly polarized patch antenna
Arand et al. Design of a phased array in triangular grid with an efficient matching network and reduced mutual coupling for wide-angle scanning
Zhang et al. Octagonal ring antenna for a compact dual-polarized aperture array
Chen et al. Symmetric-aperture antenna for broadband circular polarization
EP1711980A2 (en) Multi frequency magnetic dipole antenna structures and methods of reusing the volume of an antenna
Gupta et al. Dual-band miniature coupled double loop GPS antenna loaded with lumped capacitors and inductive pins
Khandelwal et al. Design, modeling and analysis of dual-feed defected ground microstrip patch antenna with wide axial ratio bandwidth
Chang et al. A novel dual-polarized wideband and miniaturized low profile magneto-electric dipole antenna array for mmWave 5G applications
Caso et al. Dual-polarised slot-coupled patch antenna excited by a square ring slot
Karami et al. Broadband and efficient patch array antenna fed by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feed network for Ku‐band satellite applications
Sayed et al. Design of a compact dual band microstrip antenna for ku-band applications
Ghaloua et al. Mutual coupling reduction and miniaturization arrays antennas using new structure of EBG
Alharbi et al. Ultra-wideband monopole antenna with U and L shaped slotted patch for applications in 5G and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s
Pradeep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a circularly polarized omnidirectional slotted patch antenna at 2.4 GHz
Ullah et al. Polarisation-dependent electromagnetic bandgap incorporating a slanted sheet via
Meng et al. Bandwidth extension of a printed square monopole antenna loaded with periodic parallel-plate lines
Sheeja et al. Compact tri-band metamaterial antenna for wireless applications
Chen et al. A compact wideband Quasi-Yagi antenna for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Patel et al. Surface mountable compact printed dipole antenna for gps/WiMAX applications
Kim et al. A surface micromachined high directivity GPS patch antenna with a four-leaf clover shape metamaterial slab
Mukherjee et al. A novel hemispherical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with rectangular slot and defected ground structure for low cross polar and wideband applications
Jadhav et al. Planar inverted-f antenna using defected ground surface for mobile application
Kumar et al. Miniaturized bent slotted patch antenna over a reactive impedance surface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