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374B1 -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374B1
KR101058374B1 KR1020090094343A KR20090094343A KR101058374B1 KR 101058374 B1 KR101058374 B1 KR 101058374B1 KR 1020090094343 A KR1020090094343 A KR 1020090094343A KR 20090094343 A KR20090094343 A KR 20090094343A KR 101058374 B1 KR101058374 B1 KR 101058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wiring
switch
breaker
wiring enclosur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075A (ko
Inventor
문진엽
Original Assignee
문진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진엽 filed Critical 문진엽
Priority to KR1020090094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3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6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power network being locally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를 포함하여 과전류 또는 누전에 대한 차단기능을 갖는 차단기와, 차단기를 포함하는 캐비넷과, 캐비넷을 밀폐하는 도어부와, 차단기의 스위치를 ON/OFF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글리퍼와, 도어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글리퍼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캐비넷 또는 도어부에 설치되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와, 캐비넷 또는 도어부에 설치되고 개폐 감지부와 연결되며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하나 이상의 부하로 분배하는 전기배선함체와, 전기배선함체로부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서 이를 별도의 출력유닛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별도의 입력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전기배선함체로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서버를 이용하여 전기배선함체의 차단기의 ON/OFF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전기배선함체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자동으로 스위치를 ON/OFF 시킬 수 있으므로, 중앙 제어에 의한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직접 전기배선함체를 열어서 수동으로 스위치를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배전반, 분전반, 수전반, 차단기

Description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for Electric Wiring Box}
본 발명은 전기배선함체의 차단기 개폐상태를 원격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는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배선함체는 배전반, 수전반 또는 분전반 중의 어느 하나를 가리킨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로서, 전기배선함체(100)는 스위치(15)를 포함하여 과전류나 누전에 대한 차단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차단기(10)와, 차단기(10)를 포함하는 캐비넷(20)과, 캐비넷(20)을 밀폐하는 도어부(30)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하나 이상의 부하로 해당 전력을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과전류나 누전 등에 의한 정전 발생시, 비상용 자가발전에 의한 전력인입을 위해 차단기(10)의 ON/OFF 상태를 제어하고, 또한 복전시 원상태의 전력인입을 위해 차단기(10)의 ON/OFF 상태를 제어해야 한다. 그런데, 비상발전 가동시 또는 복전시 차단기(10)의 ON/OFF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직접 전기배 선함체(100)의 도어부를 열어서 차단기(10)의 ON/OFF 상태를 제어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리자가 직접 차단기(10)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고압 전압에 의한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앙 제어에 의한 전기배선함체의 통합적인 관리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기배선함체의 각 차단기의 스위치를 관리서버의 입력신호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하여 ON/OFF 시킬 수 있는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기배선함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은, 스위치를 포함하여 과전류 또는 누전에 대한 차단기능을 갖는 차단기와, 차단기를 포함하는 캐비넷과, 캐비넷을 밀폐하는 도어부와, 차단기의 스위치를 ON/OFF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글리퍼와, 도어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글리퍼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캐비넷 또는 도어부에 설치되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와, 캐비넷 또는 도어부에 설치되고 개폐 감지부와 연결되며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하나 이상의 부하로 분배하는 전기배선함체와, 전기배선함체로부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서 이를 별도의 출력유닛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별도의 입력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전기배선함체로 이동장치 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장치는, 도어부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제1 스크류축과, 제1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와, 제1 스크류축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대응 나선부를 갖추고 제1 스크류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부와, 수평이동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제2 스크류축과, 제2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와, 제2 스크류축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대응 나선부를 갖추고 제2 스크류축의 회전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글리퍼는 수직이동부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은 관리서버로부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서 이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관리서버로 전기배선함체의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PC, PDA 또는 휴대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서버를 이용하여 전기배선함체의 차단기의 ON/OFF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전기배선함체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자동으로 스위치를 ON/OFF 시킬 수 있으므로, 중앙 제어에 의한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전기배선함체를 열어서 수동으로 스위치를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으며, 또한, 정전과 복전시 배전차단기를 신속하게 제어함으로써 전기배 선함체 외의 전력설비의 기능을 최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전력서비스의 신속한 복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압 전압의 전력 관리를 무인화함으로써, 전력관리에 대한 인명 보호 및 인력을 감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은 전기배선함체(200)와, 전기배선함체(200)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되는 관리서버(40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전기배선함체(200)는 도 3에서와 같이, 스위치(110)를 포함하여 과전류 또는 누전에 대한 차단기능을 갖는 차단기(120)와, 차단기(120)를 포함하는 캐비넷(130)과, 캐비넷(130)을 밀폐하는 도어부(140)와, 차단기(120)의 스위치(110)를 ON/OFF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글리퍼(150)와, 도어부(140)의 내면에 부착되어 글리퍼(150)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캐비넷(130) 또는 도어부(140)에 설치되며 차단기(120)의 스위치(110)의 ON/OFF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170)와, 캐비넷(130) 또는 도어부(140)에 설치되고 개폐 감지부(170)와 연결되며 관리서버(400)의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하나 이상의 부하로 전력을 분배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400)는 전기배선함체(200)로부터 차단기(120)의 스위치(110)의 ON/OFF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서 이를 별도의 출력유닛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별도의 입력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전기배선함체(200)로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제어신호는 차단기에 대한 차단명령 신호, 차단해제명령 신호, 또는 리셋명령 신호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은 관리서버(400)로부터 차단기(120)의 스위치(110)의 ON/OFF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서 이를 표시부(미도시)에 출력하고, 관리서버(400)로 전기배선함체(200)의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PC, PDA 또는 휴대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차단기에 대한 차단명령 신호, 차단해제명령 신호, 또는 리셋명령 신호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4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단말기(개인용 컴퓨터, PDA 또는 휴대폰)(500)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장치는, 도어부(140)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제1 스크류축(210)과, 제1 스크류축(210)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220)와, 제1 스크류축(210)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대응 나선부를 갖추고 제1 스크류축(210)의 회전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부(230)와, 수평이동 부(230)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제2 스크류축(240)과, 제2 스크류축(240)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250)와, 제2 스크류축(240)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대응 나선부를 갖추고 제2 스크류축(240)의 회전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이동부(260)를 포함한다. 이때, 글리퍼(150)는 수직이동부(260)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동부(230)는 수평가이드부(215)에 고정되어 제1 스크류축(210)의 회전에 따라 수평이동부(230)가 같이 회전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수직이동부(260)도 수직가이드부(245)에 고정되어 제2 스크류축(240)의 회전에 따라 수직이동부(260)가 같이 회전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 스크류축(210) 및 제2 스크류축(240)은 각각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고정축(280)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수평가이드부(215)의 고정축(290)은 수평 가이드부(215)를 수평방향으로 고정시킨다. 미도시되었으나, 수직가이드부(245)도 동일하게 고정축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이동장치는 차단기의 스위치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도어부에 부착되어 설계되나, 별도의 지지체에 의해서 고정설계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제1 모터(220) 및 제2 모터(250)의 회전에 따른 수평이동부(230)와 수직이동부(260)의 이동 거리 정보와, 각 차단기의 위치정보가 설정되어 있어서, 관리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수평이동부(230) 및 수직이동부(260)를 이동시킴으로써 글리퍼(150)가 차단기(120)의 스위치(110)를 자동으로 ON/OFF시킬 수 있고, 개폐감지부(170)를 통하여 스위치(110)의 ON/OFF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제어부(180)가 관리서버(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수평이동부(230) 및 수직이동부(260)를 이동시켰으나, 스위치(110)가 상기 관리서버(400)의입력 신호에 따른 상태로 변경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수평이동부(230) 및 수직이동부(260)를 초기 설정위치로 리셋시킬 수 있으며, 또는 관리서버(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수평이동부(230) 및 수직이동부(260)를 초기 설정위치로 리셋시킬 수도 있다.
도 4의 (a),(b),(c),(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스위치를 ON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와 수직이동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단, 도 4의(a),(b),(c),(d)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동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하였으며, 제어부 및 개폐감지부 등의 구성은 생략하였으나, 구체적으로는 도 3에서와 같다.
도 4(a)와 같이, 수평이동부(380) 및 수직이동부(370)가 초기 설정위치에 있고, 1번 차단기(310), 2번 차단기(320), 3번 차단기(330), 4번 차단기(340) 및 6번 차단기(360)의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어 있고, 5번 차단기(350)가 OFF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관리서버(400)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5번 차단기(350)의 스위치(355)를 ON 상태로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4(b)와 같이, 제어부는 설정값에 따라 수직이동부(37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수직이동부(370)는 글리퍼가 수평으로 이동시켰을 때 5번 차단기(350)의 스위치(355)와 겹치지 않도록 스위치(355)보다 아랫방향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도 4(c)에서와 같이 수평이동부(38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5번 차단기(350)의 스위치(355)와 동일 수직선상 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도 4(d)에서와 같이, 수직이동부(370)를 이동시켜 글리퍼가 스위치를 ON 상태로 변경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서와 같이, 글리퍼(150)의 상단부가 수직이동부(260)의 이동에 따라 차단기(350)의 스위치(355)를 ON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후, 이동장치는 초기설정위치로 이동한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이동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로서,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글리퍼(150)는, 차단기의 스위치와 맞닿는 부분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수직이동부(260)에 압축 스프링(152, 154)을 이용하여 상하적으로 탄력을 갖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롤러(156)가 글리퍼(150)의 스위치와 맞닿는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롤러(156)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글리퍼(150)는 스위치를 ON 시키기 위한 용도의 글리퍼(150b)와, OFF시키기 위한 용도의 글리퍼(150a)를 구비하여 수직이동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제어를 하는 경우, 스위치를 ON 시키기 위한 용도의 글리퍼(150b)와, OFF시키기 위한 용도의 글리퍼(150a)의 사이에 제어하고자 하는 차단기의 스위치가 위치하도록 하여, 수직이동부의 수직이동에 따라 글리퍼(150b)가 해당 스위치를 ON 방향으로 밀어내거나, 글리퍼(150a)가 해당 스위치를 OFF 방향으로 밀어낸다.
여기서, 이동장치는 스크류축과 모터를 이용한 이동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이동장치 또는 랙피니언 기어를 이용한 이동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장치에서 수평이동부 상에 수직이동부가 위치하여 글리퍼가 수직이동부 상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수직이동부 상에 수평이동부가 위치하여 글리퍼가 수평이동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서버를 이용하여 전기배선함체의 차단기의 ON/OFF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전기배선함체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자동으로 스위치를 ON/OFF 시킬 수 있으므로, 중앙 제어에 의한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전기배선함체를 열어서 수동으로 스위치를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으며, 또한, 정전과 복전시 배전차단기를 신속하게 제어함으로써 전기배선함체 외의 전력설비의 기능을 최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전력서비스의 신속한 복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압 전압의 전력 관리를 무인화함으로써, 전력관리에 대한 인명 보호 및 인력을 감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과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청구범위를 한정하도록 이해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선함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4의 (a),(b),(c),(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스위치를 ON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와 수직이동부의 측면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이동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기배선함체 110 : 스위치
120 : 차단기 130 : 캐비넷
140 : 도어부 150 : 글리퍼
170 : 개폐감지부 180 : 제어부
210 : 제1 스크류축 215, 245 : 가이드부
220 : 제1 모터 230 : 수평이동부
240 : 제2 스크류축 250 : 제2 모터
260 : 수직이동부 280 : 고정축
400 : 관리 서버 500 : 단말기

Claims (3)

  1. 스위치를 포함하여 과전류 또는 누전에 대한 차단기능을 갖는 차단기와, 차단기를 포함하는 캐비넷과, 캐비넷을 밀폐하는 도어부와, 차단기의 스위치를 ON/OFF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글리퍼와, 도어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글리퍼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캐비넷 또는 도어부에 설치되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와, 캐비넷 또는 도어부에 설치되고 개폐 감지부와 연결되며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하나 이상의 부하로 분배하는 전기배선함체와;
    전기배선함체로부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 별도의 출력유닛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별도의 입력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전기배선함체로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도어부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제1 스크류축과, 제1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와, 제1 스크류축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대응 나선부를 갖추고 제1 스크류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부와, 수평이동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제2 스크류축과, 제2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와, 제2 스크류축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대응 나선부를 갖추고 제2 스크류축의 회전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글리퍼는 수직이동부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차단기 스위치의 ON/OFF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 표시부에 출력하고, 관리서버로 전기배선함체의 이동장치를 작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PC, PDA 또는 휴대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
KR1020090094343A 2009-10-05 2009-10-05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 KR101058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343A KR101058374B1 (ko) 2009-10-05 2009-10-05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343A KR101058374B1 (ko) 2009-10-05 2009-10-05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075A KR20110037075A (ko) 2011-04-13
KR101058374B1 true KR101058374B1 (ko) 2011-08-22

Family

ID=4404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343A KR101058374B1 (ko) 2009-10-05 2009-10-05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3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625B1 (ko) * 2017-09-11 2018-05-28 주식회사 유시스 함체용 분리결합형 전원안전공급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CN108761268B (zh) * 2018-07-13 2024-02-09 国家电网公司 有载分接开关控制箱无线远程控制系统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899B1 (ko) 2006-01-12 2007-06-08 강필구 차단기용 온/오프 스위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899B1 (ko) 2006-01-12 2007-06-08 강필구 차단기용 온/오프 스위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075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84419A1 (en) Electrical system controlling devi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link
EP2850628B1 (en) Hinged electronic safety switch
KR102043441B1 (ko) IoT 기반 이동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 장치
KR101058374B1 (ko) 전기배선함체의 원격제어시스템
CN106783417A (zh) 断路器
US7999416B2 (en) Module for controlling a switch in a high voltage electrical substation
KR20180051834A (ko) 배선용 차단기
CN108597949B (zh) 真空跌落式开关
KR20220116126A (ko)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진공차단기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084058B1 (ko) 차단기 자동 제어 기능을 구비한 특고전압 수전설비
KR20190108438A (ko) 배전반 내 차단기 관리 시스템
CN113555948A (zh) 供电控制系统、供电控制方法以及通信设备
KR101082959B1 (ko) 전기배선함체
KR100895218B1 (ko) 디지털화된 gis 현장 제어 시스템
CN104217873A (zh) 电路开关装置
EP2202773B1 (en) Field configurable rating plug using communication and control signal
CN201478729U (zh) 户内箱式金属封闭环网柜
CN204834471U (zh) 三工位隔离开关
KR100883429B1 (ko) 배전선로의 누전방지형 커넥터
US11551894B2 (en) Intelligent fuseless switch with vibration detection
KR20180075348A (ko) 전류감시보드 및 그 제어 방법
KR100826887B1 (ko) 변전소 작동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디지탈 모니터링시스템의 모듈화된 스위치모듈을 이용한 차단기 전원제어장치
CN202111526U (zh) 用于高压开关设备的智能监控装置
KR102691142B1 (ko) 셔터 제어 장치
CN203839712U (zh) 可远程报告供电故障的住宅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