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431B1 - 강도퇴치장치 - Google Patents

강도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431B1
KR101057431B1 KR1020110031861A KR20110031861A KR101057431B1 KR 101057431 B1 KR101057431 B1 KR 101057431B1 KR 1020110031861 A KR1020110031861 A KR 1020110031861A KR 20110031861 A KR20110031861 A KR 20110031861A KR 101057431 B1 KR101057431 B1 KR 101057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means
pair
drive shaft
strength
tim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운
Original Assignee
김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운 filed Critical 김형운
Priority to KR1020110031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431B1/ko
Priority to PCT/KR2012/002445 priority patent/WO2012138085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05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by electric shoc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이나 금은방 및 편의점 등의 테이블(2) 내부에 설치되어 위협을 가하는 강도를 용이하게 제압 및 퇴치할 수 있도록 한 강도퇴치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강도퇴치장치(1)는 테이블(2)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패널(10)의 상부에 전후이송모터(20)에 의해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송되며, 좌우이송모터(70)에 의해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송되는 전기충격기(100) 및 전기충격기(100)와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되어 테이블(2)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기충격편(110)을 설치하여 비상버튼(130)을 누를 시 강도가 미처 알아차리기 전에 전기충격편(110)을 테이블(2)의 전방으로 돌출 후 좌우 이송시키면서 전기충격을 가하도록 한 것으로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강도퇴치장치(1)에 의하면 강도를 보다 신속하고 완벽하게 제압 및 퇴치할 수 있으므로 금전적이 손실을 방지하며, 위험 없이 강도를 제압 및 퇴치하여 안전성면에서도 월등히 뛰어나며, 범죄 예방으로 범죄발생률을 줄이며, 민생안정에도 일조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강도퇴치장치{robber eradication device}
본 발명은 강도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은행이나 금은방 및 편의점 등의 테이블 내부에 내입 설치되어 침입한 강도가 다가와 위협을 가할 시 이를 제압 및 퇴치할 수 있도록 한 강도퇴치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상기 강도퇴치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현금이나 귀금속 등의 각종 금품을 취급하는 은행이나 금은방 및 편의점 등에 강도가 침입하여 흉기로 위협을 가할 시 일반적인 사람은 통상 현금이나 귀금속 등의 금품을 내어주고 강도가 돌아가도록 하였으나, 이는 계속적인 손실을 감수해야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금품을 내어주더라도 강도의 얼굴 등 강도 자신의 정보가 유출되면 신고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흉기로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직접적으로 강도의 흉기를 빼앗은 후 강도를 제압하거나, 통상적으로 널리 보급된 휴대용 전기충격기나 가스총을 사용하여 강도를 퇴치하고 있었으나 흉기 등을 빼앗다가 잘못하면 심하게 상해를 입거나 목숨이 위험하게 되고, 휴대용 전기충격기나 가스총은 강도가 금방 알아채고 피하게 되면 강도를 더욱 흥분시키게 되어 더 큰 위해를 당할 수 있었던 것으로 강도를 직접적으로 제압하거나 퇴치하는 방법 역시 바람직하지 않았으며, 직접적인 제압이나 퇴치 외에 은행, 금은방, 편의점 등에 강도의 침입 및 흉기로 위협을 가할 시 테이블에 미리 설치되어 있던 비상벨을 눌러서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거나, 미리 무선으로 연결된 관할 파출소나 경찰서 및 보안업체에 강도의 침입을 알리도록 하여 긴급하게 경찰 및 보안요원이 출동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이 역시 출동 시 도로여건과 거리에 따라서 출동시간이 지체되어 신속한 강도의 검거나 제압 및 퇴치가 곤란하여 안전성에 상당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강도퇴치장치는 상기한 은행, 금은방 및 편의점 등의 손님 응대용 테이블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가 강도가 침입하여 테이블의 앞에서 흉기 등으로 위협을 가할 시 테이블에 미리 설치된 버튼을 누르면 강도가 미처 알아차리기도 전에 전기충격을 가하여 강도를 실신 등으로 제압 및 퇴치할 수 있도록 한 강도퇴치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강도퇴치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강도퇴치장치는 테이블의 내부에 고정 설치토록 구비된 베이스패널의 상부 후방에 베이스패널에 고정 설치된 전후이송모터의 원동축과 제1연동수단에 의해서 연동되는 구동축을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 좌우에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한 쌍의 제2연동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한 쌍의 제2연동수단에 의해 베이스패널 좌우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전후슬라이딩가이드를 타고 전후로 슬라이드 이송되는 한 쌍의 전후이송슬라이더를 설치하며, 상기 좌우 한 쌍의 전후이송슬라이더 사이에 일측 전후이송슬라이더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좌우이송모터의 원동축과 연동되는 제3연동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제3연동수단에 의해 한 쌍의 전후이송슬라이더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좌우슬라이딩가이드를 타고 좌우로 슬라이드 이송되는 좌우이송슬라이더를 설치하며, 상기 좌우이송슬라이더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전기충격기와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된 상하 한 쌍의 전기충격편을 좌우이송슬라이더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하며, 상기 강도퇴치장치는 상기 전후이송모터와 좌우이송모터 및 전기충격기의 작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컨트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된 비상버튼을 테이블 일측에 고정 설치하여 상기 비상버튼을 누를 시 강도가 미처 알아차리기 전에 전기충격편을 테이블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좌우 이송 시 전기충격을 가하도록 한 것이며, 이와 더불어서 상기 강도퇴치장치는 정전 시에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컨트롤러의 내부에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되게 충전지를 설치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현금이나 귀금속 등의 각종 금품을 취급하는 은행이나 금은방 및 편의점 등에 강도가 침입하여 테이블 앞으로 다가와 흉기 등으로 위협을 가할 시 비상버튼을 한 번 눌러주면 테이블 내부에 설치되어 있던 강도퇴치장치의 전기충격편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좌우로 이송되면서 강도가 미처 알아차리기도 전에 전기충격을 가하여 실신 등을 하게 하여 제압 및 퇴치할 수 있으므로 금품을 내어 줄 필요가 없어서 금전적이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강도를 직접적으로 제압하거나 퇴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성면에서 월등히 뛰어나며, 경찰이나 보안요원 등이 교통여건이나 거리 등에 의해 출동이 늦더라도 굳이 기다릴 필요 없이 은밀하고 신속하게 강도를 전기충격으로 제압 및 퇴치할 수 있어서 강도를 퇴치함에 있어서 용이성, 편의성, 안전성 등을 두루 발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범죄를 예방하여 범죄발생률을 줄여서 민생안정에도 일조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인 일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강도퇴치장치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강도퇴치장치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강도퇴치장치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
상기한 도면들과 더불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강도퇴치장치(1)가 테이블(2)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일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강도퇴치장치(1)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강도퇴치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종 금품을 취급하는 은행이나 금은방 및 편의점 등에 구비된 테이블(2)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강도퇴치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강도퇴치장치(1)는 테이블(2)의 내부에 베이스패널(1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패널(10)의 상부 후방에 전후이송모터(20)의 원동축(21)과 제1연동수단(30)으로 연동되는 구동축(40)이 설치되며, 상기 제1연동수단(30)은 전후이송모터(20)의 원동축(21)에 고정되게 축설치된 제1원동타이밍기어(31)와, 구동축(40)의 일측에 고정되게 축설치된 제1구동타이밍기어(32)와, 상기 전후이송모터(20)의 원동축(21)의 회전력을 구동축(40)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제1원동타이밍기어(31)와 제1구동타이밍기어(32)에 체결 결합된 제1타이밍벨트(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패널(10)의 상부 좌우에 상기 구동축(40)의 양단에 각각 구동축(4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한 쌍의 제2연동수단(50)이 설치되며, 상기 제2연동수단(50)은 구동축(40)의 양단에 고정되게 축설치된 한 쌍의 제2구동타이밍기어(51)와, 베이스패널(10)의 상부 좌우 전방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한 쌍의 제2종동타이밍기어(52)와, 상기 구동축(40)의 회전력에 의해서 자유 회전되도록 좌우 제2구동타이밍기어(51)와 자유 회전하는 제2종동타이밍기어(52)에 각각 체결 결합된 한 쌍의 제2타이밍벨트(53)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제2연동수단(50)에 의해서 베이스패널(10)의 좌우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전후슬라이딩가이드(61)를 타고 전후로 슬라이드 이송되는 한 쌍의 전후이송슬라이더(60)가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전후이송슬라이더(60)는 제2타이밍벨트(53)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동축(40)의 회전 시 제2구동타이밍기어(51)가 회전하면서 제2종동타이밍기어(52)를 구동시켜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일측의 전후이송슬라이더(60)의 상부에 좌우이송모터(7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좌우 한 쌍의 전후이송슬라이더(60) 사이에 좌우이송모터(70)의 원동축(71)과 연동되는 제3연동수단(80)이 설치되며, 상기 제3연동수단(80)은 좌우이송모터(70)의 원동축(71)에 고정되게 축설치된 제3원동타이밍기어(81)와, 좌우이송모터(70)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 전후이송슬라이더(60)의 상부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제3종동타이밍기어(82)와, 상기 좌우이송모터(70)의 원동축(71)의 회전력에 의해서 자유 회전되도록 제3원동타이밍기어(81)와 자유 회전하는 제3종동타이밍기어(82)에 각각 체결 결합된 제3타이밍벨트(83)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의 전후이송슬라이더(60)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좌우슬라이딩가이드(91)의 양단이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좌우슬라이딩가이드(91)상에 상기의 제3연동수단(80)에 의해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송되는 좌우이송슬라이더(90)가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송슬라이더(90)의 상부에 전기충격기(100)가 설치되며, 상기 좌우이송슬라이더(90)의 전방으로 전기충격기(100)와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된 상하 한 쌍의 전기충격편(110)이 돌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전기충격기(100)는 일반적으로 DC전원을 공급하면 증폭회로에 의해서 고전압이 방출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전기충격기(100)를 본 발명에 맞게 일부 개조하거나 통상의 전기충격기(100)에서 일부만을 취사선택하여 설치한 것으로 관련분야의 누구나 쉽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상기 강도퇴치장치(1)의 베이스패널(10)이나 테이블(2) 내부 일측에 상기한 전후이송모터(20)와 좌우이송모터(70) 및 전기충격기(100)의 작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21)를 갖는 컨트롤러(120)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공급선(122)과 연결토록 하여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2)의 일측에 컨트롤러(120)와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된 비상버튼(130)이 고정 설치되어 강도가 테이블(2)의 전방으로 와서 위협하는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시에 비상버튼(130)을 누르면 컨트롤러(120)가 작동하여 제어부(121)에 의해서 전후이송모터(20)와 전기충격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며, 전후이송모터(20)에 의해 전기충격편(110)이 테이블(2)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3) 일측으로 돌출된 후 좌우이송모터(7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돌출된 전기충격편(110)이 좌우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강도퇴치장치(1)는 도 3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항시 충전되도록 컨트롤러(120)의 내부에 별도의 충전지(140)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정전에 의하여 외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강도퇴치장치(1)가 작동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강도퇴치장치(1)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강도를 제압하거나 퇴치하지 않아도 되고, 휴대용 전기충격기나 가스총과는 달리 강도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상태에서 보다 신속하고 완벽하게 강도를 제압 및 퇴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의 구체적인 작동을 도 4a 내지 4c와 더불어서 하기에 상세히 기술토록 한다.
우선 은행이나 금은방 및 편의점 등에 강도가 침입하여 테이블(2) 앞으로 다가와서 각종 흉기로 위협을 가할 시 사용자가 테이블(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비상버튼(130)을 누르면, 외부 전원이 공급되던 컨트롤러(120)가 작동하게 되는바, 먼저 제어부(121)에 설정된 전원 인가방법에 따라서 전기충격기(100)와 전후이송모터(20)에 전원을 먼저 인가시켜서 전기충격기(100)는 고압전류가 전기충격편(110)으로 흐르도록 워밍업하게 하고, 전원이 인가된 전후이송모터(20)는 원동축(21)을 회전시켜서 원동축(21)에 고정되게 축설치된 제1원동타이밍기어(31)를 회전시켜서 제1원동타이밍기어(31)와 제1타이밍벨트(33)로 연결된 제1구동타이밍기어(32)를 회전시키므로 제1구동타이밍기어(32)가 고정되게 축설치된 구동축(40)을 회전시키게 되며, 구동축(40)이 상기와 같이 제1연동수단(30)에 의해서 전후이송모터(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게 되면 구동축(4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게 축설치된 한 쌍의 제2구동타이밍기어(51)가 회전하게 되며, 제2구동타이밍기어(51)가 회전하면 제2구동타이밍기어(51)와 제2타이밍벨트(53)로 연동되게 베이스패널(10)의 상부 전방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제2종동타이밍기어(5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타이밍벨트(53)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전후이송슬라이더(60)가 베이스패널(1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된 전후슬라이딩가이드(61)를 타고 제2연동수단(50)에 의해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송되어 테이블(2)의 개구(3) 일측으로 전기충격편(110)이 돌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컨트롤러(120)의 제어부(121)에서 설정된 대로 일측 전후이송슬라이더(60)의 상부에 설치된 좌우이송모터(70)에 전원을 인가시켜서 작동케 하면 좌우이송모터(70)의 원동축이 회전하면서 원동축(71)에 고정되게 축설치된 제3원동타이밍기어(81)가 회전하게 되며, 제3원동타이밍기어(81)와 제3타이밍벨트(83)에 의해서 연동되는 타측 전후이송슬라이더(60)의 상부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제3종동타이밍기어(82)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제3타이밍벨트(83)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좌우이송슬라이더(90)가 제3연동수단(80)에 의해서 좌우 중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송되며, 이에 따라서 좌우이송슬라이더(9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전기충격편(110)이 좌측이나 우측 중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송되면서 강도의 허벅지 등의 신체에 전기충격을 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강도를 실신시켜서 제압 및 퇴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비상버튼(130)을 재차 누르거나 자동으로 제어부(121)에 설정된 메모리에 의해서 전후이송모터(2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서 전후이송슬라이더(60)를 후방으로 작동시켜 전기충격편(110)을 테이블(2) 내부로 내입시키면 원상태로 복귀되어 다음번에 다시 강도 등의 침입 시 비상버튼(130)을 누르면 상기와 같이 강도퇴치장치(1)가 작동하여 강도를 제압 및 퇴치할 수 있다.
상기 전기충격편(110)의 작동은 컨트롤러(120)의 제어부(121)에 설정된 것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 후방에 내입된 상태에서 전후이송모터(20)와 제1연동수단(30)에 의해서 구동축(40)을 회전시켜서 제2연동수단(50)에 의해 테이블(2)의 개구(3) 전방 일측으로 돌출(①)시킨 후 좌우이송모터(70)와 제3연동수단(80)에 의해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송(②)시킨 다음, 다시 전후이송모터(20)와 제1연동수단(30) 및 제2연동수단(50)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송(③)시켜서 테이블(2) 내부로 내입토록 한 후 다시 좌우이송모터(70)와 제3연동수단(80)에 의해서 좌측으로 이송(④)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 후방에 내입된 상태에서 전후이송모터(20)와 제1연동수단(30) 및 제2연동수단(50)에 의해서 전기충격편(110)을 테이블(2)의 개구(3) 전방 일측으로 돌출(①)시킨 후 좌우이송모터(70)와 제3연동수단(80)에 의해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송(②)시킨 다음, 다시 좌우이송모터(70)와 제3연동수단(80)에 의해서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송(③)시킨 후 전후이송모터(20)와 제1연동수단(30) 및 제2연동수단(50)에 의해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송(④)시켜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 후방에 내입된 상태에서 전후이송모터(20)와 제1연동수단(30) 및 제2연동수단(50)에 의해서 전기충격편(110)을 테이블(2)의 개구(3) 전방 일측으로 돌출(①)시킨 후 좌우이송모터(70)와 제3연동수단(80)에 의해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송(②)시킨 다음, 전후이송모터(20)와 제1연동수단(30) 및 제2연동수단(50)에 의해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송(③)시켜서 완료하고, 다음 강도의 제압이나 퇴치 시에는 우측 후방에 내입된 상태에서 전후이송모터(20)와 제1연동수단(30) 및 제2연동수단(50)에 의해서 전기충격편(110)을 테이블(2)의 개구(3) 전방 일측으로 돌출(④)시킨 후 좌우이송모터(70)와 제3연동수단(80)에 의해서 반대편인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송(⑤)시킨 다음, 전후이송모터(20)와 제1연동수단(30) 및 제2연동수단(50)에 의해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송(⑥)시켜서 작동을 완료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전기충격편(110)의 작동방법은 상기한 3가지의 방법 이외에도 다양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에서와 같이 컨트롤러(120)의 내부에 별도의 충전지(140)를 설치하여 우연히 정전이 되거나 강도가 계획적으로 정전 및 단전을 시키더라도 본 발명의 강도퇴치장치(1)가 항시 작동되도록 하므로 언제라도 강도의 위협이 있을 시 전기충격으로 강도를 제압 및 퇴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상버튼(130)을 누를 시 강도퇴치장치(1)를 가동시켜서 강도를 제압 및 퇴치함과 더불어서 은행이나 금은방 및 편의점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벨을 누를 시 미리 유선 및 무선방식 등으로 연결되어 관할 파출소나 경찰서 및 보안업체로 위험을 고지하던 방범고지장치를 접목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 비상버튼(130)을 누르면 강도퇴치장치(1)가 작동하여 전기충격으로 강도를 제압함과 동시에 관할 파출소나 경찰서 및 보안업체로 위험상황을 고지하여 경찰관이나 보안요원이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도록 하여 강도퇴치장치(1)에 의해 전기쇼크를 당한 강도를 검거까지 할 수 있도록 한다.
1:강도퇴치장치 2:테이블
3:개구 10:베이스패널
20:전후이송모터 21:원동축
30:제1연동수단 31:제1원동타이밍기어
32:제1구동타이밍기어 33:제1타이밍벨트
40:구동축 50:제2연동수단
51:제2구동타이밍기어 52:제2종동타이밍기어
53:제2타이밍벨트 60:전후이송슬라이더
61:전후슬라이딩가이드 70:좌우이송모터
71:원동축 80:제3연동수단
81:제3원동타이밍기어 82:제3종동타이밍기어
83:제2타이밍벨트 90:좌우이송슬라이더
91:좌우슬라이딩가이드 100:전기충격기
110:전기충격편 120:컨트롤러
121:제어부 122:전원공급선
130:비상버튼 140:충전지

Claims (5)

  1. 테이블(2)의 내부에 고정 설치토록 구비되며, 일측에 전후이송모터(20)가 설치된 베이스패널(10)과,
    베이스패널(10)의 상부 후방으로 전후이송모터(20)와 제1연동수단(30)에 의해서 연동되게 설치된 구동축(40)과,
    베이스패널(10)의 상부 좌우에 구동축(40)의 양단과 각각 연동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제2연동수단(50)과,
    한 쌍의 제2연동수단(50)에 의해 베이스패널(10) 좌우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전후슬라이딩가이드(61)를 타고 전후로 슬라이드 이송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전후이송슬라이더(60)와,
    좌우 한 쌍의 전후이송슬라이더(60) 사이에 일측 전후이송슬라이더(6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좌우이송모터(70), 및 좌우이송모터(70)와 연동되게 설치된 제3연동수단(80)과,
    제3연동수단(80)에 의해 좌우의 전후이송슬라이더(60)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좌우슬라이딩가이드(91)를 타고 좌우로 슬라이드 이송되게 설치된 좌우이송슬라이더(90)와,
    좌우이송슬라이더(9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전기충격기(100), 및 전기충격기(100)에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되어 좌우이송슬라이더(9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상하 한 쌍의 전기충격편(110)과,
    전후이송모터(20)와 좌우이송모터(70) 및 전기충격기(100)에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1)가 구비된 컨트롤러(120)와,
    컨트롤러(120)와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되어 강도퇴치장치(1)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비상버튼(1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퇴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동수단(30)은,
    전후이송모터(20)의 원동축에 고정되게 축설치된 제1원동타이밍기어(31)와,
    구동축(40)의 일측에 고정되게 축설치된 제1구동타이밍기어(32)와,
    전후이송모터(20)의 원동축의 회전력을 구동축(40)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제1원동타이밍기어(31)와 제1구동타이밍기어(32)에 체결 결합된 제1타이밍벨트(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퇴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연동수단(50)은,
    구동축(40)의 양단에 고정되게 축설치된 한 쌍의 제2구동타이밍기어(51)와,
    베이스패널(10)의 상부 좌우 전방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한 쌍의 제2종동타이밍기어(52)와,
    구동축(40)의 회전력에 의해서 자유 회전되도록 좌우 제2구동타이밍기어(51)와 자유 회전하는 제2종동타이밍기어(52)에 각각 체결 결합된 한 쌍의 제2타이밍벨트(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퇴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연동수단(80)은,
    좌우이송모터(70)의 원동축에 고정되게 축설치된 제3원동타이밍기어(81)와,
    좌우이송모터(70)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 전후이송슬라이더(60)의 상부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제3종동타이밍기어(82)와,
    좌우이송모터(70)의 원동축의 회전력에 의해서 자유 회전되도록 제3원동타이밍기어(81)와 자유 회전하는 제3종동타이밍기어(82)에 각각 체결 결합된 제3타이밍벨트(8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퇴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항시 충전되도록 컨트롤러(120)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된 충전지(14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퇴치장치.
KR1020110031861A 2011-04-06 2011-04-06 강도퇴치장치 KR101057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861A KR101057431B1 (ko) 2011-04-06 2011-04-06 강도퇴치장치
PCT/KR2012/002445 WO2012138085A2 (ko) 2011-04-06 2012-04-02 강도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861A KR101057431B1 (ko) 2011-04-06 2011-04-06 강도퇴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431B1 true KR101057431B1 (ko) 2011-08-19

Family

ID=4493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861A KR101057431B1 (ko) 2011-04-06 2011-04-06 강도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391B1 (ko) 2011-08-26 2011-12-15 김형운 강도퇴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873A (ja) 2002-06-27 2004-01-29 Julius Blum Gmbh 家具の移動可能な部分を作動する装置
KR100658444B1 (ko) 2006-03-06 2006-12-20 황길연 범죄의 예방과 체포장치
KR100986421B1 (ko) 2008-09-25 2010-10-08 권용길 복합기능 방범 및 호신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873A (ja) 2002-06-27 2004-01-29 Julius Blum Gmbh 家具の移動可能な部分を作動する装置
KR100658444B1 (ko) 2006-03-06 2006-12-20 황길연 범죄의 예방과 체포장치
KR100986421B1 (ko) 2008-09-25 2010-10-08 권용길 복합기능 방범 및 호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391B1 (ko) 2011-08-26 2011-12-15 김형운 강도퇴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431B1 (ko) 강도퇴치장치
US10271412B2 (en) Case of personal terminal device with electric shocking function and finger scan
CN105741411B (zh) 保险柜自主封闭、防撬的防护机构
CN108517802A (zh) 一种具有物品通道的闸机
KR20140142397A (ko) 보안 도어로크
CN204490011U (zh) 一种交易系统的工作站、交易系统的服务提供站及气动管道交易系统
WO2017103829A1 (en) A safe apparatus for discouraging theft of banknotes
WO2012138085A2 (ko) 강도퇴치장치
KR101535149B1 (ko) 안전지대를 구비한 공중전화 부스
KR101532696B1 (ko)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
KR101094391B1 (ko) 강도퇴치장치
US3298765A (en) Cash drawer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207200015U (zh) 一种误入带电间隔防护系统
CN204703669U (zh) 一种金融电子存放箱
CN204370980U (zh) 金融电子装置
KR200477808Y1 (ko) 보안 도어로크
CN213844290U (zh) 一种带有监控功能且方便零钱取换的收银箱
CN202689792U (zh) 一种防抢运钞箱
KR102128019B1 (ko) 화재 발생시 자동문 개폐장치
CN204663277U (zh) 一种金融电子保险箱
EP2458126B1 (en) Security device, particularly for banknotes, with means for making banknotes unusable in case of robbery
CN210536253U (zh) 一种输电线路防外力破坏装置
CN204663274U (zh) 一种多功能金融电子保险箱
CN101775935A (zh) 一种钞箱的锁合装置
JP3103487U (ja) 非常事態の通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