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327B1 -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327B1
KR101057327B1 KR1020080076197A KR20080076197A KR101057327B1 KR 101057327 B1 KR101057327 B1 KR 101057327B1 KR 1020080076197 A KR1020080076197 A KR 1020080076197A KR 20080076197 A KR20080076197 A KR 20080076197A KR 101057327 B1 KR101057327 B1 KR 101057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protective equipment
wearing
driving mechanism
hard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242A (ko
Inventor
나거성
Original Assignee
나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거성 filed Critical 나거성
Priority to KR102008007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3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15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라인스케이트, 퀵보드, 자건거 등의 주행기구를 사용할 때, 안전모를 비롯한 보호장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게 할 수 있는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는 주행기구와 보호장구 사이의 이격거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주행기구와 보호장구 사이의 이격거리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수단;을 포함한다.
인라인스케이트. 주행기구. 경보음. 안전모.

Description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ALARM APPARATUS FOR PUTTIN ON SAFETY CAP}
본 발명은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라인스케이트, 퀵보드, 자건거 등의 레저용 주행기구를 사용할 때, 보호장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게 할 수 있는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가생활의 증가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라인 스케이트 등 속도감을 즐길 수 있는 레저 용품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속도감을 즐길 수 있는 레저 용품은 안전을 위하여 반드시 안정 용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용하여야 한다. 특히, 안전 용구 중에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안전모는 사용자의 생명과 직결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안전 용구이다.
이러한 안전 용구를 착용하지 않고 인라인 스케이트 등의 레저 용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매우 큰 위험에 노출되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어린이들이 이러한 레저 용구를 많이 이용함에 불구하고, 안전모를 비롯한 안전 용구를 거의 착용하지 아니하여 사회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인라인 스케이트, 퀵보드, 자전거, 오토바이 등 속도감을 즐길 수 있는 레저 용품을 사용하는 경우 안전 및 생명의 보호를 위하여 반드시 안전모를 비 롯한 안정 용품을 착용하도록 하는 강제 장치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라인스케이트, 퀵보드, 자건거 또는 오토바이 등의 주행기구를 사용할 때, 안전모를 비롯한 보호 장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게 할 수 있는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는 주행기구와 보호장구 사이의 이격거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주행기구와 보호장구 사이의 이격거리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행기구는 인라인스케이트, 퀵보드, 스케이트보드, 자전거 및 오토바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호장구는 안전모, 손목 보호대, 무릎 보호대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값은 2m ~ 4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라인스케이트, 퀵보드, 자건거 또는 오토바이 등의 주행기구를 사용할 때, 안전모를 필수적으로 착용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경보장치는 안전모 뿐만아니라, 손목 보호대, 무릎 보호대 등 다양한 보호 장구에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주행기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안전사고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모와 인라인스케이트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경보장치는 안전모 뿐만아니라 손목 보호대, 무릎 보호대 등 다양한 보호장구 그리고 퀵보드, 자전거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안전모 및 인라인스케이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전모(10)와 인라인스케이트(20)에는 이들의 이격거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11,21)이 장착된다. 이러한 검출수단(11, 21)은 안전모(10)와 인라인스케이트(20) 사이의 이격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칩을 이용하여 양자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검출수단(11,21)의 측정결과에 따라 인라인스케이트(20)와 안전모(10) 사이의 이격거리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수단(미도시)이 상기 안전모(10) 또는 인라인스케이트(20)의 소정위치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보음은 매우 큰 소음 또는 혐오음으로 구성되는 것이, 사용자로 하여금 반드시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강제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물론 이 경보수단은 안전모(10) 및 인라인스케이트(20)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이 경보수단은 인라인 스케이트(20)에는 반드시 설치되어야 한다. 이 경보수단이 인라인스케이트에 설치되어야만, 안전모를 착용하지 아니한 사용자가 인라인스케이트를 타는 동안에 소음에 의하여 불편 내지는 창피함을 느껴서 안전모 착용을 강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예를 들어, 설정값을 3m로 설정한 경우, 사용자가 인라인스케이트(20)를 발에 착용한 상태에서 안전모(10)를 착용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 인라인스케이트(20)와 안전모(10)의 거리가 3m를 초과하게 되어 안전모(10)에 장착된 경보수단에서는 경보음이 발생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경보음을 통해 안전모(10) 미착용을 상기하게 되어 안전모(10)를 착용하게 되면, 안전모(10)와 인라인스케이트(20)의 이격거리가 설정값인 3m 이내에 들어오기 때문에 경보음이 자동 소멸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모의 미착용을 사용자에게 상기시키고, 강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5)

  1. 주행기구에 RFID 칩 형태로 설치되며, 주행기구와 보호장구 사이의 이격거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주행 기구 및 보호 장구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검출수단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주행기구와 보호장구 사이의 이격거리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구는 인라인스케이트, 퀵보드, 스케이트보드 및 자전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구는 안전모, 손목 보호대 및 무릎 보호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2m ~ 4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 치.
  5. 삭제
KR1020080076197A 2008-08-04 2008-08-04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 KR101057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97A KR101057327B1 (ko) 2008-08-04 2008-08-04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97A KR101057327B1 (ko) 2008-08-04 2008-08-04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242A KR20100015242A (ko) 2010-02-12
KR101057327B1 true KR101057327B1 (ko) 2011-08-22

Family

ID=4208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197A KR101057327B1 (ko) 2008-08-04 2008-08-04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383B1 (ko) * 2016-06-08 2018-03-13 강동락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6300A1 (en) 1988-06-10 1989-12-13 I.DE.A. S.p.A. INSTITUTE OF DEVELOPMENT IN AUTOMOTIVE ENGINEERING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the use of a motor cycle, particularly a moped, by a user without a helmet
WO1997028710A1 (en) 1996-02-07 1997-08-14 Marco Panunzio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motorcyclists with devices interacting between vehicle and crash helmet
JP2007538169A (ja) * 2004-05-19 2007-12-27 ノウ ハウ ソチエタ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テ オートバイの事故防止用ヘルメットのための安全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6300A1 (en) 1988-06-10 1989-12-13 I.DE.A. S.p.A. INSTITUTE OF DEVELOPMENT IN AUTOMOTIVE ENGINEERING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the use of a motor cycle, particularly a moped, by a user without a helmet
WO1997028710A1 (en) 1996-02-07 1997-08-14 Marco Panunzio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motorcyclists with devices interacting between vehicle and crash helmet
JP2007538169A (ja) * 2004-05-19 2007-12-27 ノウ ハウ ソチエタ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テ オートバイの事故防止用ヘルメットのための安全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383B1 (ko) * 2016-06-08 2018-03-13 강동락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242A (ko)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0170B2 (en) Monitoring apparatus for a helmet
US5539935A (en) Sports helmet
US20170127736A1 (en) Wearable garment
US20110219852A1 (en) Impact monitoring apparatus
US9024770B2 (en) Electronic football concussion avoidance training module
US20150238142A1 (en) Mouth guard with Visual Concussion Indicator System
CN206880170U (zh) 全方位智能安全帽
WO2019053757A1 (en) HELMET WITH DISPLAY AND SAFETY FUNCTION FOR SPORTS ACTIVITIES
KR101057327B1 (ko) 보호장구 착용을 위한 경보장치
CN204335934U (zh) 自行车头盔
KR101699817B1 (ko) 보호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전 장치의 잠금 상태 제어 방법
KR20170012510A (ko) 자전거
GB2583473A (en) Impact detection arrangement
Decalzi et al. Overview of cycling injuries: results of a cycling club survey
KR102006107B1 (ko) 어린이 안전장비 조립체
Preboth AAP statement on skateboard and scooter injuries
US20170055622A1 (en) High visibility, high ventilation bicycle helmet with minimally sized face protection
KR102543711B1 (ko)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CN107240225A (zh) 一种滑雪头盔和监测系统
KR20190013184A (ko) 우블렉을 이용한 어린이용 무릎 보호대
KR101153207B1 (ko) 방향 표시형 고글
US20240108093A1 (en) Interactive inflatable bladder mounted on outside of helmets and other protective equipment
KR200351655Y1 (ko) 인라인스케이트 바퀴장착용 u벨트
Cooper et al. Sledging in childhood: just harmless fun?
KR200336604Y1 (ko) 울림쇠가 부착된 롤러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