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940B1 - 등산용 스틱 - Google Patents

등산용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940B1
KR101056940B1 KR1020110019211A KR20110019211A KR101056940B1 KR 101056940 B1 KR101056940 B1 KR 101056940B1 KR 1020110019211 A KR1020110019211 A KR 1020110019211A KR 20110019211 A KR20110019211 A KR 20110019211A KR 101056940 B1 KR101056940 B1 KR 101056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oil
chamber
gate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아
Original Assignee
이명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아 filed Critical 이명아
Priority to KR1020110019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940B1/ko
Priority to PCT/KR2012/001056 priority patent/WO201212149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油壓)과 공기압(空氣壓)의 상대편차를 이용한 폴대의 신장(伸長)변화를 통해 산행(또는 보행)시의 지형 및 주변상황에 따라 길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행 또는 보행 시 사용자 자신의 신체 의지를 위한 보행보조 도구로 사용하는 통상의 등산용 스틱에 있어서, 오일의 충진 및 기체의 주입으로 내부압력을 갖는 메인폴대와; 상기 메인폴대의 내부 상측에 수용조립된 채 외부 가압에 의한 승강 작용으로 상기 메인폴대 내의 오일 이동 흐름을 유발토록 한 개폐컨트롤러와; 그리고, 상기 메인폴대 하측에 내재수용 상태로 상기 오일 이동 흐름의 영향을 받아 진출·입 작용케 된 다단식 신장폴대와; 상기 신장폴대 내부에 더 조립되어 상기 메인폴대 내의 오일 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유로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등산용 스틱{A stick for mountain climbing}
본 발명은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油壓)과 공기압(空氣壓)의 상대편차를 이용한 폴대의 신장(伸長)변화를 통해 산행(또는 보행)시의 지형 및 주변상황에 따라 길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등산(登山, Mountain climbing)은, 산에 오르는 것 자체를 목적으로 이 일을 통하여 심신을 단련하고 즐거움을 찾는 행위를 말한다. 근대에 들어서 레저·스포츠로서 활발해졌으며,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도전도 겸하여 위험한 산을 슬기와 기술로 등정하는 데서 오는 기쁨과 만족을 주는 동시에 여느 스포츠와는 다른 차원에서 인간의 정신적·체력적 한계를 높여 준다.
때문에, 산의 높이·등반기간·등반방법·계절 및 기상 조건 등등을 고려한 안전한 등산을 위해 여러 가지 등산장비를 구비해야 하는바, 배낭, 스틱, 장갑, 내의, 등산화, 물통, 손전등, 비상식량, 구급약품 등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여기서, 상기한 등산용 스틱(A stick for mountain climbing)이 단순히 지팡이의 역할을 넘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유는, 두 다리에만 의존하는 보행의 노동을 팔에 30% 정도 분담시킴으로써 체력소모를 줄이고 보행속도를 빠르고 안전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즉, 등산로의 빙판이나 고르지 못한 곳에서의 균형을 유지하기 좋고, 하산 시에는 무릎의 충격을 덜어주는 그야말로 안전산행의 일등 도우미이다. 특히, 스틱의 길이는 등산용 스틱을 잡고 섰을 때 팔꿈치 관절의 각도가 90도가 이상적이며 경사로나 언덕을 오를 때는 10~15㎝ 길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하여, 길이조절 수단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 20-0219048호를 포함하여 대부분이 회전식 너트(이하 "조임쇠"라 함.)를 적용한 것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틱의 길이조절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종래의 스틱(9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폴대(910, 이하 "메인폴대"라 함.)의 최말단에 구비결합된 조임쇠(911)를 이용하여 하측폴대(920, 이하 "신장폴대"라 함.)를 가압고정하는바, 상기 스틱(900)의 길이조절을 위해, 상기 조임쇠(911)를 풀어 상기한 메인폴대(910)로부터 신장폴대(920)의 진출·입이 자유롭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신장폴대(920)를 잡아당겨 적당한 길이만큼 진출시킨 후 상기 조임쇠(911)를 조여서 메인폴대(910)가 상기한 신장폴대(920)를 압박하도록 하는 것으로 길이를 조절 및 그 조절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한 조임쇠(911)로써 상기 신장폴대(920)를 단단히 조여놓지 않은 상태로 사용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를 의지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폴대(910)를 부여잡고 스틱(900)을 지면에 내리찍을 경우, 상기 신장폴대(920)가 메인폴대(910) 내부로 진입하게 되는 스틱(900) 길이수축의 문제점을 유발해 왔다.
반대로, 상기 조임쇠(911)를 과다한 힘으로 조여놓고 오랜 기간 사용할 경우에는, 차후 상기 조임쇠(911)를 풀어내는데 여성이나 노약자(및 장애인)는 차치하더라도 건장한 남성까지도 쉽게 풀어낼 수 없는 상당한 악력(握力)을 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조임쇠(911)를 풀기 위한 별도의 공구(파이프렌치 등)를 구비할 수밖에 없는 번거로움은 물론 공구 활용시 스틱(900) 외관의 흠집발생과 같은 장비 훼손의 폐단을 감수해야만 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폴대의 내부압력 발생매체로써 오일과 기체를 사용하는 한편 버튼조작을 통한 오일의 이동 흐름 유발로 상기 메인폴대로부터 신장폴대를 진출·입 시킬 수 있게 된 개폐컨트롤러를 구비함으로써, 단순히 버튼의 조작만으로도 길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등산용 스틱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개폐컨트롤러에 오일의 흐름 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게이트로더를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메인폴대로부터 상기한 신장폴대의 진출·입 속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등산용 스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산행 또는 보행 시 사용자 자신의 신체 의지를 위한 보행보조 도구로 사용하는 통상의 등산용 스틱에 있어서,
오일의 충진 및 기체의 주입으로 내부압력을 갖는 메인폴대와; 상기 메인폴대의 내부 상측에 수용조립된 채 외부 가압에 의한 승강 작용으로 상기 메인폴대 내의 오일 이동 흐름을 유발토록 한 개폐컨트롤러와; 그리고, 상기 메인폴대 하측에 내재수용 상태로 상기 오일 이동 흐름의 영향을 받아 진출·입 작용케 된 다단식 신장폴대와; 상기 신장폴대 내부에 더 조립되어 상기 메인폴대 내의 오일 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유로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등산용 스틱은, 별도의 공구 또는 사용자의 악력을 이용하여 조이거나 풀거나 하는 번거로움 없이 버튼을 단순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스틱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오일의 흐름 량을 자유자재로 조절함이 가능함에 따라,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 등과 같은 사용환경에 간편하고도 신속히 대응함과 같은 사용성의 극대화 및 편의성 증대의 효과를 발휘하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틱의 길이조절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스틱의 전체구조를 구분하여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스틱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요부발췌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스틱의 신장관계를 나타낸 실시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스틱의 전체구조를 구분하여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스틱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요부발췌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스틱의 신장관계를 나타낸 실시예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스틱(A)은, 오일 및 기체의 충진으로 내부압력을 갖는 메인폴대(1)와, 상기 메인폴대(1) 하측에 내재수용된 상태에서 상기한 오일 이동 흐름의 영향을 받아 진출·입 작용을 이루게 된 다단식 신장폴대(2)와, 상기 메인폴대(1)의 내부 상측에 수용조립된 채로 사용자 조작시 승강 작동하여 상기 메인폴대(1) 내의 오일 이동 흐름을 유발시키도록 한 개폐컨트롤러(3)와, 상기 신장폴대(2) 내부에 더 조립되어 상기 메인폴대(1) 내의 오일 유통이 원활토록 한 유로파이프(4)로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한 오일과 기체는, 영하 20℃ 이내에서는 동결(凍結)되지 않는 특성을 발휘하면서도 시중에서도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식용유 및 일반기체(공기)를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공업용 오일이나 질소가스 사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유해가스 누출 및 폐유의 처리와 같은 환경오염의 원인을 단번에 해소할 수 있다.
메인폴대(1)는, 산행(등반)시 사용자 자신의 신체의지를 위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Grip, g)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신장폴대(2) 진출에 필요한 압력발생 수단으로, 오일 충진을 위한 상부챔버(11a)가 내부에 마련된 상부폴(11)과, 상기 상부폴(11) 하단에 일부수용 상태로 연장조립되어 상기 스틱(A)의 최소 길이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신장폴대(2)를 내재수용시킬 수 있게 공관(空罐)형 하부폴(12)의 조립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폴(11) 내부에는, 차후 후술될 상기 개폐컨트롤러(3)의 피스톤뭉치 내재로, 기체 주입으로 공기압을 갖는 공압실(11a-1)이 상기 상부챔버(11a)의 상측에 분할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상부챔버(11a)와 공압실(11a-1) 상호 간의 압력편차로 인한 상기 피스톤뭉치의 위치변동으로 오일의 이동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폴(11)의 상,하단 개구부에는, 상기 공압실(11a-1)의 밀폐를 위한 상부코크(111) 및 상기 상부챔버(11a)의 밀폐와 더불어 상기한 하부폴(12)의 연계조립을 위한 제1폴캡(121)이 각각 끼움 조립된다.
신장폴대(2)는, 상기 상부챔버(11a)에 충진된 오일의 이동 흐름 유발시 상기 메일폴대(1)로부터 진출·입 작용하는 상기 스틱(A)의 길이조절을 위한 수단으로, 상기 상부챔버(11a)의 오일 유입압력에 의해 우선 진출하는 1차신장폴(21)과, 상기 1차신장폴(21)을 거쳐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으로 추가 진출이 가능케 된 2차신장폴(22)과, 상기 2차신장폴(22) 말단에 연계조립됨으로써 상기 스틱(A)을 지면에 찍어 내릴 경우 눈이나 흙 속으로 상기 2차신장폴(22)이 필요 이상으로 파고들지 않게 하기 위한 통상의 스파이크(2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2차신장폴(22) 내부에는, 상기 상부챔버(11a)와 더불어 오일의 항시 충진 상태를 유지하는 하부챔버(22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1차신장폴(21)의 상,하단 개구부에는, 상기 하부폴(12) 상측에 내재 상태로 상기 상,하부챔버(11a)(22a)의 오일 압력변동시 상기 1차신장폴(21)과 함께 상,하로 동시 이동케 된 밀폐형 유동코크(211)와, 상기 2차신장폴(21)의 연계조립을 목적으로 한 제2폴캡(212)이 각각 구비결합된다.
상기 2차신장폴(22)의 상,하단 개구부에는, 상기 1차신장폴(21) 상측에 내재 상태로 상기 상,하부챔버(11a)(22a)의 오일 압력변동시 상기 2차신장폴(21)과 함께 상,하로 동시 이동케 된 밀폐형 유동홀더(221)와, 상기 하부챔버(22a)의 마감을 위한 하부코크(222)가 각각 구비결합된다.
상기 스파이크(23)는, 스파이크홀더(231)에 의해 상기 2차신장폴(22) 최말단에 연계조립되되, 상기 스파이크홀더(231) 내에 수용조립되는 완충스프링(232)에 의해 상기 스틱(A)의 바닥 치기로 손목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개폐컨트롤러(3)는, 상기 상,하부챔버(11a)(22a)의 상호 연통에 의한 오일의 이동 흐름 유발을 통해 상기 메인폴대(1)로부터 상기 신장폴대(2)가 진출·입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상부폴(11)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삽입된 상태로 사용자 조작에 의한 하강 이동으로 상기 상,하부챔버(11a)(22a)를 상호 연통시킬 수 있도록 된 게이트샤프트(31)와, 상기 상부챔버(11a)의 밀폐를 목적으로 상기 상부폴(11) 최말단에 끼움조립되되, 상기 게이트샤프트(31)의 하 선단 관통을 위한 통공(32a)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내부가 빈 하단 개구형 게이트홀더(32)가 구성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게이트샤프트(31) 상측으로부터 외부 돌출을 이루도록 연계조립됨에 따라 외부 가압에 의한 상기 게이트샤트프(31)의 하강은 물론 상기 공압실(11a-1)로 기체 주입을 가능케 된 밸브로더(33)와, 상기 상부폴(11)에 내재결합됨에 따른 상기 공압실(11a-1)의 마련 및 상기 개폐컨트롤러(3) 조작시 상기 상부챔버(11a)와 공압실(11a-1)의 상대압력 편차에 대응하여 상기 게이트샤프트(31)를 타고 상,하로 이동작용을 이루는 피스톤뭉치(34)로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샤프트(31) 상단에는, 상기 공압실(11a-1)로 기체 주입을 이룰 수 있는 연통로(31a)가 일정깊이 내향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31a)의 종료지점에는 상기 공압실(11a-1)과 연통하는 연통공(31b)이 양 방향으로 관통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샤프트(31)의 하측 말단부에는, 상기 상,하부챔버(11a)(22a) 상호 간의 연통을 목적으로 내부가 빈 공관형의 게이트로더(311)가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로더(311)의 최말단에는 상기 게이트샤프트(31)의 상승 제한 및 상기 게이트홀더(32) 내면과 긴밀(緊密)하는 확장두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로더(311)의 상,하측에는, 상기 상부챔버(11a)와 연통하는 상부통공(311a)과, 상기 하부챔버(11a)와 연통하는 하부통공(311b)이 각각 관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통공(311b)은, 상기 게이트로더(311)의 하강 정도에 따라 오일의 유출량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1차개방공(311b-1) 및 2차개방공(311b-2)으로 관통형성되되, 상기 상부통공(31a)과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이트홀더(32)의 내부 중앙부에는, 구멍이 천공된 자릿쇠(와셔, 321)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자릿쇠(321)의 하측으로는 상기 게이트로더(311)의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마감코크(322)가 매립된다.
상기 밸브로더(33)에는, 상기 공압실(11a-1)로의 공기주입을 위한 기체주입밸브(331)가 내재조립되는 한편, 사용자 손가락을 이용한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게이트샤프트(31)를 강제로 하강시킬 수 있는 누름버튼(332)을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유로파이프(4)는, 상기 상,하부챔버(11a)(22a)의 오일 이동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마감코크(322)에 상측 선단이 관통결합됨에 따라 상기 게이트홀더(32)에 고정조립되되, 상기 상,하부챔버(11a)(22a) 간의 충진 오일이 상호 출입 가능토록 1차진입로(41a)가 내부에 마련된 공관형 고정파이프(41)와, 상기 고정파이프(41)가 내부 수용되고 상기 유동코크(211)의 중앙에 상측 선단이 끼움 조립됨으로써 상기 1차신장폴(21)의 진출·입시 동시 이동되되, 상기 고정파이프(41)를 통과하는 오일이 상기 상부챔버(11a) 혹은 하부챔버(22a)로 원활히 흘러들어갈 수 있게 한 2차진입로(42a)가 내부에 마련된 공관형 신장파이프(4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파이프(41) 상단에는, 상기 자릿쇠(321)와 마감코크(322)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한 고정파이프(41)의 고정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한 활개단부(411)가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o)는 오일이나 기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통상의 오링이고, (s)는 눈이나 흙 속으로 스파이크가 완전히 파묻히지 않도록 하는 통상의 스노링(Snow ring)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스틱(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챔버(11a)(22a)로 오일을 충진시키는 반면 상기 공압실(11a-1)로는 기체를 주입하는 것으로써, 상기 상,하부챔버(11a)(22a)에 내부압력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332) 가압에 의한 상기 게이프샤프트(31)의 하강으로 상기 게이트홀더(32)의 상,하부통공(311a)(311b)이 상기 상,하부챔버(11a)(22a)에 각각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그로 인한 오일의 이동 흐름 유발에 따른 상기 신장폴대(2)의 1,2차신장폴(21)(22)의 단계적으로 진출·입을 통해 본 발명의 상기 스틱(A) 길이조절을 자동으로 간편히 이룰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최초 상기 상부폴(11)에 구비된 그립(g)을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개폐컨트롤러(3)의 누름버튼(332)을 가압함을 통해 상기 게이트샤프트(31)가 하강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게이트샤프트(31)의 하측 말단에 형성된 상기 게이트로더(311)가 동시 하강케 되어, 상기 게이트로더(311)의 상부통공(311a)은 상부챔버(11a)와 연통하고, 상기 하부통공(311b)은 상기한 게이트홀더(32)의 내부공간 및 상기 하부챔버(22a)와 연통함에 의해, 상기 상,하부챔버(11a)(22a)의 상호 소통에 의한 오일의 이동 흐름이 유발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의 스틱(A)의 길이 신장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장폴대(2)가 어디에도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한 스틱(A)을 들어올린 상태로 상기 누름버튼(332)을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게이트샤프트(31)를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로더(311)가 동시에 하강하여 상기의 상,하부통공(311a)(311b)을 통해 오일이 상기한 유로파이프(4)의 1,2차신장폴(21)(22)을 거쳐 상대적으로 내부압력이 약한 상기 하부챔버(22a)로 흘러들어가게 되고, 이러한 오일의 이동 흐름으로 상기 하부챔버(22a)의 내부압력이 점차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하부폴(12)로부터 상기한 신장폴대(2)가 진출되는 스틱(A)의 신장이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하부챔버(22a)로 오일이 흘러들어감에 따른 상기 상부챔버(11a) 내부의 압력저하시, 기체 주입으로 형성된 상기 공압실(11a-1)의 내부압력에 의해 상기한 피스톤뭉치(34)가 상기 상부챔버(11a) 측으로 밀려나가는 작용으로 상기한 상부챔버(11a)의 내부압력이 저하되지 않음으로써 오일의 이동 흐름을 지속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한 오일의 이동 흐름으로 인해 상기 하부챔버(22a)의 내부압력이 점차 상승케 되며 결국 상기 메인폴대(1)의 하부폴(13)로부터 상기 신장폴대(2)가 진출하게 된다.
지금까지 전술한 상기 스틱(A)의 신장작용은, 상기 누름버튼(332)의 가압상태를 해지시켜 하부통공(311b)이 상기 게이트홀더(32)의 단부 상측으로 복귀되거나 상기 공압실(11a-1)과 상부챔버(11a) 상호 간의 내부압력이 대등해질 때까지 이어진다.
한편, 상기 누름버튼(332)의 가압상태를 해지케 되면, 상기 공압실(11a-1)의 내부압력 발생으로 외부배출을 이루려는 기체 이동특성에 의해 상기 개폐컨트롤러(3)의 자동 상승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버튼(332)의 가압시, 상기 하부통공(311b)을 구성하는 1,2차개방공(311b-1)(311b-2)이 상기한 게이트홀더(32)의 단부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 배치되는바, 상기 2차개방공(311b-2)을 제외하고 1차개방공(311b-1)만을 상기 게이트홀더(32)의 단부 하측에 이동 배치시키거나 혹은 상기한 1,2차개방공(311b-1)(311b-2) 모두가 상기 게이트홀더(32)의 단부 하측으로 이동 배치되도록 상기 누름버튼(332)을 끝까지 가압함을 통해, 상기 상,하부챔버(11a)(22a)로 흐름이 이어지는 오일의 이동속도를 달리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스틱(A) 길이를 짧게 조절하기 위하여는, 역시 상기한 누름버튼(332)을 가압하여 상기 게이트홀더(32)의 상기 하부통공(311b)이 상기 게이트홀더(32)의 단부 하측으로 이동 배치되도록 한 후, 사용자가 그립(g)을 파지한 상태로 스틱(A)을 지면에 강하게 찍어눌러 상기 상부챔버(11a) 및 공압실(11a-1)에 형성된 내부압력보다 상기 하부챔버(22a)의 내부압력이 커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챔버(22a)에 충진된 오일이 보다 낮은 압력을 형성하는 상기 상부챔버(11a)로 이동 흐름을 갖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하부챔버(22a)에 충진되어 있던 오닐이 상기한 유로파이프(4)의 신장파이프(42)과 고정파이프(41)를 지나 상기 게이트홀더(32)의 하부통공(311b)과 상부통공(311a)을 연이어 통과 후 상기 상부챔버(11a)로 들어차도록 함에 의해 상기 하부폴(12) 안으로의 신장폴대(2) 수용으로 상기한 스틱(A)의 길이가 짧아지는 길이조절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관계는, 상기 누름버튼(332)의 가압을 해지시켜 오일의 이동 흐름을 차단거나 또는 상기 공압실(11a-1)과 상부챔버(11a)의 내부압력이 대등해질 때까지 이어진다.
참고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등산용 스틱(A)은,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 조절용 또는 책상 다리 조절용 등과 같은 길이조절을 위하는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스틱, 1 : 메인폴대, 2 : 신장폴대
3 : 개폐컨트롤러, 4 : 유로파이프, 11 : 상부폴
11a : 상부챔버, 11a-1 : 공압실, 12 : 하부폴
21 : 1차신장폴, 22 : 2차신장폴, 22a : 하부챔버
23 : 스파이크, 31 : 게이트샤프트, 31a : 연통로
31b : 연통공, 32 : 게이트홀더, 32a : 통공
33 : 밸브로더, 34 : 피스톤뭉치, 41 : 고정파이프
41a : 1차진입로, 42 : 신장파이프, 42a : 2차진입로
111 : 상부코크, 121 : 제1폴캡, 211 : 유동코크
212 : 제2폴캡, 221 : 유동홀더, 222 : 하부코크
231 : 스파이크홀더, 232 : 완충스프링, 311 : 게이트로더
311a : 상부통공, 311b : 하부통공, 311b-1 : 1차개방공
311b-2 : 2차개방공, 312 : 확장두부, 321 : 자릿쇠
322 : 마감코크, 331 : 기체주입밸브, 332 : 누름버튼
411 : 활개단부

Claims (7)

  1. 산행 또는 보행 시 사용자 자신의 신체 의지를 위한 보행보조 도구로 사용하는 통상의 등산용 스틱에 있어서,
    오일의 충진 및 기체의 주입으로 내부압력을 갖는 메인폴대와;
    상기 메인폴대의 내부 상측에 수용조립된 채, 외부 가압에 의한 승강 작용으로 상기 메인폴대 내의 오일 이동 흐름을 유발토록 한 개폐컨트롤러와; 그리고,
    상기 메인폴대 하측에 내재수용 상태로, 상기 오일 이동 흐름의 영향을 받아 진출·입 작용케 된 다단식 신장폴대와;
    상기 신장폴대 내부에 더 조립되어, 상기 메인폴대 내의 오일 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유로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폴대는, 오일 충진에 의한 내부압력을 갖는 상부챔버가 내부에 마련된 상부폴과; 상기 상부폴 하단에 일부수용 상태로 연장조립되고, 상기 신장폴대를 내재수용시킬 수 있는 공관형 하부폴의 조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장폴대는, 상기 상부챔버의 내부압력으로 상기 하부폴로부터 우선 진출하는 1차신장폴과, 상기 1차신장폴을 거쳐 유입되는 오일 압력으로 추가 진출되되 오일이 항시 충진되는 하부챔버가 마련된 2차신장폴의 조립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컨트롤러는, 상기 상부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삽입된 상태로, 사용자 조작에 의한 하강으로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를 상호 연통시킬 수 있게 된 게이트샤프트와,
    상기 상부챔버의 밀폐를 목적으로 상기 상부폴 최말단에 끼움조립되되, 상기 게이트샤프트의 하 선단 관통을 위한 통공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내부가 빈 하단 개구형 게이트홀더와,
    상기 게이트샤프트 상측으로부터 외부 돌출을 이루도록 연계조립됨에 따라, 외부 가압에 의한 상기 게이트샤트프의 하강은 물론 상기 상부폴 내부로 기체 주입이 가능케 된 밸브로더와,
    상기 상부폴에 내재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부챔버 상측에 공압실이 추가로 마련되도록 하되, 상기 개폐컨트롤러의 조작시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공압실의 상대압력 편차에 대응하여 상기 게이트샤프트를 타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뭉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파이프는, 상기 상,하부챔버 간의 충진 오일이 상호 출입 가능토록 한 1차진입로가 내부에 마련된 공관형 고정파이프와,
    상기 고정파이프를 내부수용하고 상기 1차신장폴의 상,하단 개구부에 형성된 유동코크의 중앙에 상측 선단이 끼움 조립됨으로써 상기 1차신장폴의 진출·입시 동시 이동되되, 상기 고정파이프를 통과하는 오일이 상기 상부챔버 혹은 상기 하부챔버로 원활히 흘러들어갈 수 있게 한 2차진입로가 내부에 마련된 공관형 신장파이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샤프트 상단에는, 상기 공압실로 기체 주입을 이룰 수 있는 연통로가 일정깊이 내향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의 종료지점에는, 상기 공압실과 연통하는 연통공이 양 방향으로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샤프트의 하측 말단부에는,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 상호 간의 연통을 목적으로 내부가 빈 공관형의 게이트로더가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로더의 최말단에는, 상기 게이트샤프트의 상승 제한 및 상기 게이트홀더 내면과 긴밀하는 확장두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로더의 상,하측에는, 상기 상부챔버와 연통하는 상부통공 및 상기 하부챔버와 연통하는 하부통공이 각각 관통형성되되,
    상기 하부통공은, 상기 게이트로더의 하강 정도에 따라 오일의 유출량을 달리할 수 있는 1차개방공 및 2차개방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통공과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KR1020110019211A 2011-03-04 2011-03-04 등산용 스틱 KR101056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211A KR101056940B1 (ko) 2011-03-04 2011-03-04 등산용 스틱
PCT/KR2012/001056 WO2012121492A2 (ko) 2011-03-04 2012-02-13 등산용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211A KR101056940B1 (ko) 2011-03-04 2011-03-04 등산용 스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940B1 true KR101056940B1 (ko) 2011-08-12

Family

ID=4493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211A KR101056940B1 (ko) 2011-03-04 2011-03-04 등산용 스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6940B1 (ko)
WO (1) WO2012121492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229B1 (ko) 2012-07-25 2013-01-10 이명아 등산용 스틱
KR101261788B1 (ko) 2013-03-14 2013-05-07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261783B1 (ko) 2013-01-11 2013-05-07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276577B1 (ko) 2012-04-26 2013-06-18 김경원 등산용 스틱
WO2022010307A1 (ko) * 2020-07-10 2022-01-13 강성만 셀카봉 기능을 갖는 등산 스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2137A (en) * 1978-01-12 1981-02-24 Cohen Fernand Abramino Continuously length adjustable crutch
JP2000175716A (ja) 1998-12-18 2000-06-27 Well Haamonii:Kk 杖 類
KR20080112162A (ko) * 2007-06-20 2008-12-24 김홍수 보행보조용 지팡이
US7882847B2 (en) 2005-07-06 2011-02-08 Thomas Edward Coe Adjustable crutch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518A (ko) * 2010-01-06 2010-02-01 전병준 등산용 지팡이의 이물질 자동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2137A (en) * 1978-01-12 1981-02-24 Cohen Fernand Abramino Continuously length adjustable crutch
JP2000175716A (ja) 1998-12-18 2000-06-27 Well Haamonii:Kk 杖 類
US7882847B2 (en) 2005-07-06 2011-02-08 Thomas Edward Coe Adjustable crutch
KR20080112162A (ko) * 2007-06-20 2008-12-24 김홍수 보행보조용 지팡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577B1 (ko) 2012-04-26 2013-06-18 김경원 등산용 스틱
WO2013162180A1 (ko) * 2012-04-26 2013-10-31 Kim Kyung-Won 등산용 스틱
KR101220229B1 (ko) 2012-07-25 2013-01-10 이명아 등산용 스틱
KR101261783B1 (ko) 2013-01-11 2013-05-07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261788B1 (ko) 2013-03-14 2013-05-07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WO2022010307A1 (ko) * 2020-07-10 2022-01-13 강성만 셀카봉 기능을 갖는 등산 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1492A2 (ko) 2012-09-13
WO2012121492A3 (ko)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940B1 (ko) 등산용 스틱
KR101220229B1 (ko) 등산용 스틱
KR101261783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CN205549418U (zh) 多功能组合式登山杖
CN110122014A (zh) 一种便携式气压旋转下压施肥器
KR200452258Y1 (ko) 등산용 스틱
KR101261788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CN203873080U (zh) 一种松土鞋
KR20110006520U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등산용 스틱
CN207678976U (zh) 一种用于登山的多功能手杖
CN209950532U (zh) 一种防滑拐杖
CN207219310U (zh) 一种浇水铲
CN208113306U (zh) 一种植株幼苗栽种器
CN206413388U (zh) 一种林业手提式钻坑机
CN207519077U (zh) 一种绿化用多功能铲
CN205755487U (zh) 一种草莓种植器
KR200451012Y1 (ko) 지팡이용 마개
CN216019541U (zh) 一种多功能旅游拐杖
CN204260074U (zh) 一种背包的背带结构
CN209750030U (zh) 一种适用于软硬地质山体的登山拐杖
CN201631937U (zh) 一种降落器
CN206527690U (zh) 一种园林地井阀门开关快速组合扳手
CN212754600U (zh) 一种多功能轻便型防滑带座椅伸缩拐杖
CN214046941U (zh) 一种园林养护用起苗铲
CN220044163U (zh) 一种根茎类药材移栽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