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901B1 - 유압구동식 쟁기 - Google Patents

유압구동식 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901B1
KR101056901B1 KR1020090003282A KR20090003282A KR101056901B1 KR 101056901 B1 KR101056901 B1 KR 101056901B1 KR 1020090003282 A KR1020090003282 A KR 1020090003282A KR 20090003282 A KR20090003282 A KR 20090003282A KR 101056901 B1 KR101056901 B1 KR 101056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blades
support frame
tracto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942A (ko
Inventor
백남준
Original Assignee
백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준 filed Critical 백남준
Priority to KR1020090003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9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36Ploughs mounted on tractors
    • A01B3/40Alternating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023Lateral adjustment of thei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구동식 쟁기에 관한 것으로서, 3련 또는 4련형태를 이루는 가운데 유압 구동에 의해 쟁기날의 위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트랙터를 이용하여 인삼밭을 갈아주는 작업시 밭 갈리는 폭을 최대로 증대시켜줌과 함께 미경지의 발생없이 전체적으로 고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쟁기는, 트랙터(1)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10)과; 상기 지지 프레임(10)에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이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3개의 쟁기날(21,22,23)이 일정 간격을 이루며 구성되어져 있는 본체 프레임(20)과; 상기 본체 프레임(20)의 좌우 유동을 위해 지지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어져 있으며, 구동로드(31)의 단부는 본체 프레임(20)에 연결 구비되어지는 유압실린더(3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3련, 유압, 쟁기, 트랙터, 인삼밭, 밭갈이

Description

유압구동식 쟁기{A OIL PRESSURE MOVEMENT TYPE PLOW}
본 발명은 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삼밭 등에서 트랙터와 연결 사용됨으로 땅을 뒤집어서 두둑을 만드는 작업시 쟁기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많은 작업이 요구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작업 중 가장 기초적인 작업으로는 작물이 경작되는 흙의 고른 영양공급과 토양의 지력향상 및 비옥도를 높이기 위해 쟁기나 로터리를 통한 작업을 하게 된다. 특히, 인삼재배를 위해서는 흙을 적정한 높이로 퍼 올려 밭고랑을 형성하는 한편 흙을 부드럽게 갈아주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용도를 위해 트랙터와 같은 기계에 장착되는 쟁기는 일반적으로 소정 형상의 메인프레임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이들 다리부의 하단에 보습과 볏이 고정설치되어, 트랙터가 전진하면 이와 연결된 쟁기가 견인되면서 양측방향으로 농경지의 흙을 갈아엎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트랙터용 쟁기의 경우 지지프레임이 일정 길이를 이루는 가 운데 다수의 쟁기날이 사선형태로 구비되어진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지면이 굴곡이 있는 경우 선단측 날과 후단측 날이 균일한 깊이를 흙을 갈아엎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쟁기날 상호간의 간격이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밭의 가장자리 부위까지 세밀하게 작업을 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날이 일렬로 장착되어지는 가운데 쟁기날의 위치를 유압을 이용하여 유동시킬 수 있는 유압 구동형 쟁기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밭 전체를 균등하게 갈아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랙터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이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다수의 쟁기날이 일정 간격을 이루며 구성되어져 있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좌우 유동을 위해 지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져 있으며, 구동로드의 단부는 본체 프레임에 연결 구비되어지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쟁기는, 트랙터 진행방향에 대해 다수의 쟁기날이 가로방향 일렬 형태로 장착되어져 있기 때문에 기존의 세로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이루는 종래 쟁기 구조에 비해 밭 갈리는 폭이 2배로 증대 되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쟁기날의 위치가 유압 실린더에 의해 유동 가능하기 때문에 밭의 미경지 발생 없이 전체적으로 고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쟁기날 선단에 강성의 선단탭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서, 쟁기 날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선단탭 파손발생시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항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른 3련형 쟁기 구조를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트랙터(1)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10)에는 상부 연결대(12)와 하부 연결대(13)가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지지 프레임(10)에는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본체 프레임(20)이 끼워진 형태로 장착되어져 있다.
그리고, 본체 프레임 하부에는 3개의 쟁기날(21,22,23)이 일정 간격을 이루며 구성되어져 있는데, 3개의 쟁기날(21,22,23)은 트랙터 전진방향에 대해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지되, 3개의 쟁기날(21,22,23)중 중간에 위치하는 날을 포함하여 2개의 날(21,22)는 양측 대칭형태의 양날형태로 구비되어지며, 나머지 1개의 날(23)은 내측 일측에만 날이 형성되어진 단날형태로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양날형태를 이루는 2개의 쟁기날(21,22) 선단부에는 돌과의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처리 되어진 고강도의 선단탭(21a,22a)이 체결볼트(도면부호 미표시)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지며, 상기 선단탭(21a,22a)의 중심에는 파여져 상승된 흙을 파쇄하여 양측으로 분리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벽(24)이 돌출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본체 프레임(20)의 좌우 유동을 위해 유압실린더(30)가 지지 프레 임(10)에 고정 설치되어져 있는데, 구동로드(31)의 단부는 본체 프레임(20)에 연결 구비되어져 있다.
특히, 유압실린더(30)는 양측으로 각각 구동로드(31)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2개의 구동로드(31)는 같은 방향으로 신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0) 하부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본체 프레임(20)의 좌우 유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안내로울러(11)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안내로울러(11)로 인해 본체 프레임(20)는 지지프레임(10)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 되어질 수 있게 되어 보다 원활한 좌우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쟁기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 쟁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1)와는 상부 연결대(12) 및 양측 하부연결대(13) 즉, 3부분에서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트랙터(1)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가운데 인삼밭을 갈아주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3련형 쟁기는 트랙터(1)로 부터 거리가 종래 쟁기에 비해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회전 반경이 감축되어 작업이 용이하고,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며, 덜컹거림 등의 현상을 최소화하여 굴곡진 밭의 작업깊이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3갱의 쟁기날(21,22,23) 중 일측 1개의 날(23)은 내측 일측에만 날이 형성되어진 단날형태로 구비되어져 있기 때문에, 왕복 갈이 작업을 통해 작업진행방향의 오른쪽 부분은 내측으로만 갈려진 흙이 이동되어지게 되어 흙쏠림현상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2개의 쟁기날(21,22)은 선단부에 돌과의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고강도의 선단탭(21a,22a)이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굳은 땅 뿐만 아니라 돌이 많이 섞여 있는 땅도 원활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또한 선단탭(21a,22a)의 중심에는 파여진 흙을 양측날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벽(24)이 돌출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파여진 흙이 보다 잘게 쪼개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특히, 선단탭(21a,22a)은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파손 또는 변형시 해당 부품만 교체함으로서 쟁기의 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쟁기날(21,22,23)이 구성되어져 있는 본체 프레임(20)은 유압실린더(30)의 동작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되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작업 과정에서 밭갈이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에는 쟁기를 지면으로 부터 상승시킨 상태에서 유압실린더(30)를 동작시키면 도 7에서와 같이 본체 프레임(20) 전체가 좌,우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지면서 쟁기날(21,22,23)의 위치가 이동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쟁기날(21,22,23)의 위치 조절을 통해 밭 양측의 미경지 부분이 해소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유압구동형 쟁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3련형 쟁기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4련형 쟁기로 제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쟁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쟁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쟁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1의 B-B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쟁기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쟁기의 유압구동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프레임 11 : 안내로울러
12 : 상부 연결대 13 : 하부연결대
20 : 본체 프레임 21,22,23 : 쟁기날
21a,22a : 선단탭 24 : 가이드벽
30 : 유압실린더 31 : 구동로드

Claims (5)

  1. 삭제
  2. 트랙터(1)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10)과; 상기 지지 프레임(10)에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이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다수의 쟁기날(21,22,23)이 일정 간격을 이루며 구성되어져 있는 본체 프레임(20)과; 상기 본체 프레임(20)의 좌우 유동을 위해 지지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어져 있으며, 구동로드(31)의 단부는 본체 프레임(20)에 연결 구비되어지는 유압실린더(3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유압구동식 쟁기에 있어서,
    상기 쟁기날(21,22,23)은 3개로 구비되어 트랙터 전진방향에 대해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지되, 3개의 쟁기날(21,22,23)중 중간에 위치하는 날을 포함하여 2개의 날(21,22)는 양측 대칭형태의 양날형태로 구비되어지며, 나머지 1개의 날(23)은 내측 일측에만 날이 형성되어진 단날형태로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구동식 쟁기.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날형태를 이루는 2개의 쟁기날(21,22) 선단부에는 돌과의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고강도의 선단탭(21a,22a)이 체결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지며, 상기 선단탭(21a,22a)의 중심에는 파여져 상승된 흙을 파쇄하여 양측날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벽(24)이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구동식 쟁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 하부에는 본체 프레임(20)의 좌우 유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안내로울러(11)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구동식 쟁기.
KR1020090003282A 2009-01-15 2009-01-15 유압구동식 쟁기 KR101056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282A KR101056901B1 (ko) 2009-01-15 2009-01-15 유압구동식 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282A KR101056901B1 (ko) 2009-01-15 2009-01-15 유압구동식 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942A KR20100083942A (ko) 2010-07-23
KR101056901B1 true KR101056901B1 (ko) 2011-08-12

Family

ID=4264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282A KR101056901B1 (ko) 2009-01-15 2009-01-15 유압구동식 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37B1 (ko) * 2013-01-08 2014-06-05 백남준 위치 가변형 휴립 복토 정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763B1 (ko) * 2009-01-20 2011-09-14 백남준 일렬형 쟁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821Y1 (ko) * 2002-04-22 2002-07-27 헌 호 임 트랙터용 쟁기의 폭 및 위치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821Y1 (ko) * 2002-04-22 2002-07-27 헌 호 임 트랙터용 쟁기의 폭 및 위치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37B1 (ko) * 2013-01-08 2014-06-05 백남준 위치 가변형 휴립 복토 정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942A (ko) 201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2120C (en) Tillage point
CN105393654A (zh) 一种振动深松机
CN203984895U (zh) 机引农田深松铲
CA2692321C (en) Agricultural implement with improved tillage point
KR101056901B1 (ko) 유압구동식 쟁기
CN103959947A (zh) 可调式破茬耕地机
KR101064763B1 (ko) 일렬형 쟁기
RU2494589C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орудия для безотвальной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CN210406097U (zh) 一种犁地起垄机
BR102014028266A2 (pt) escarificador para aragem em faixas profundas
DE60028203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odendesinfizierung
KR101472630B1 (ko) 폭 가변 조절이 가능한 쟁기
RU75822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CN110073737B (zh) 一种具有减阻仿生表面的仿生深松铲
RU2536890C2 (ru) Способ основной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и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CN208370146U (zh) 一种旋耕机
CN205883866U (zh) 旋耕机
CN206077975U (zh) 旋耕刀组
ES2739423T3 (es) Máquina mejorada para el tratamiento de un campo de agricultura
KR102627989B1 (ko) 고랑 제초장치
CN205040201U (zh) 一种沙质土壤开沟覆土一体式手动开沟器
CN218526736U (zh) 一种铲刀组合式开沟器
US2353485A (en) Weeder attachment
RU209520U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орудия для безотвальной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RU139363U1 (ru) Дискороторный глубокорыхл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