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589B1 -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589B1
KR101056589B1 KR1020040023827A KR20040023827A KR101056589B1 KR 101056589 B1 KR101056589 B1 KR 101056589B1 KR 1020040023827 A KR1020040023827 A KR 1020040023827A KR 20040023827 A KR20040023827 A KR 20040023827A KR 101056589 B1 KR101056589 B1 KR 101056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ervice
home
contro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560A (ko
Inventor
구명완
정영준
김학균
김원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2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58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6Protocol convers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능망서비스(예를 들면, 1582 음성다이얼서비스)에 VXML 기반의 홈넷제어 시나리오를 추가하고 홈관리서버(또는 홈게이트웨이)와의 연동을 통해 제어프로토콜을 공유함으로써 간단히 음성인식기반의 홈넷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능망 내에 VXML(Voice eXtensible Markup Language) 음성 처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홈관리서버 또는 홈게이트웨이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지능망에 대한 접속 시, 초기 서비스 시나리오를 VXML 스크립트 서버를 통해 로딩(loading)하는 로딩 단계; 상기 로딩 단계를 통해 로딩된 스크립트 파일을 해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대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시나리오(스크립트 파일)를 상기 홈관리서버 또는 상기 홈게이트웨이를 통해 로딩하여 해석한 후, 세부 메뉴에 대한 음성안내 및 사용자 음성제어명령을 대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음성제어명령을 제어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제어프로토콜을 해당하는 홈네트워크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제어 결과를 상기 홈관리서버 또는 상기 홈게이트웨이에서 음성처리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음성처리 코드에 따라 처리결과를 음성안내하고 다음 명령을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지능망, VXML, 홈네트워크, 음성인식, 시나리오, VXML 해석기

Description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Home network control service method for using speech recognition function}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능망 기반의 음성인식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의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절차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의 음성명령 메뉴체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에 따른 VXML 홈넷 기기 제어 시나리오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로컬 교환기 12 : SSP
13 : SCP 14 : AIP
15 : VXML 스크립트 서버 16 : 홈관리서버
17 : 홈게이트웨이 18 : 제어대상 기기
21 : 음성인식서버 22 : 음성합성서버
23 : VXML 해석기 24 : 초기 서비스 시나리오
25 : 서비스 URL DB 26 : 홈넷서비스 시나리오
27 : 음성/제어프로토콜 변환부 28 : 사용자 DB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이하, 홈넷이라 함) 서비스에서의 가전/정보 제품에 대한 제어를 원격지에서 전화망을 통하여 VXML(Voice 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지능망서비스 인프라(예 : 음성인식기/합성기/VXML 해석기)에 VXML 기반의 홈넷 제어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홈관리서버(또는 홈게이트웨이)에 탑재하고, 두 시스템 사이를 인터넷으로 연동함으로써 간단히 음성인식기반의 홈넷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격지에서의 전화망을 이용한 홈넷 기기 제어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첫째, 댁내 홈오토시스템에 전화로 접속해서 제어하는 방법, 둘째 최근 무선망사업자가 제공하는 플랫폼과 건설업체측의 홈관리서버와의 연동을 통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셋째 홈관리서버에 음성인식/합성기를 두고 일반 전화망을 이용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홈오토시스템에 전화로 접속해서 제어하는 방법은 음성인식기능을 수용하기 어려운데, 첫째 높은 하드웨어(H/W) 사양으로 음성인식/합성엔진 및 VXML 해석기가 탑재되어야 하고, 둘째 임베디드 음성처리기술이 아직은 서버에서의 처리기술보다는 약한 한계성을 안고 있으며, 셋째 댁내 기기가 추가/변경될 경우 제어시나리오의 변경 등 관리가 어려운 점이 있다.
그리고 무선망사업자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즉, 무선망사업자가 제공하는 플랫폼과 건설업체측의 홈관리서버와의 연동을 통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화면에 나타나는 아이콘을 통해 제어할 수 있어 가시적인 제어가 가능한 점과 다양한 제어 프로토콜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첫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특정 무선망사업자의 서비스에 가입을 해야 하고, 둘째 음성인식 기능을 수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음성인식의 장점인 간단한 제어(메뉴의 깊이가 얕다)가 어려우며, 셋째 댁내 기기의 변경에 따른 서비스 변경이 쉽지 않다.
마지막으로, 홈관리서버에서 음성을 처리하는 방법은 VXML 기반이 아닌 일반 코딩에 의한 시나리오의 구현으로 댁내 기기의 변동 등에 의한 변경이 용이하지 않고, 별도의 호처리기능과 음성인식기 및 합성기를 구축하여야 하며, 서비스 지역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지능망서비스(예를 들면, 1582 음성다이얼서비스)에 VXML 기반의 홈넷제어 시나리오를 추가하고 홈관리서버(또는 홈게이트웨이)와의 연동을 통해 제어프로토콜을 공유함으로써 간단히 음성인식기반의 홈넷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지능망 내에 VXML(Voice eXtensible Markup Language) 음성 처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홈관리서버 또는 홈게이트웨이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지능망에 대한 접속 시, 초기 서비스 시나리오를 VXML 스크립트 서버를 통해 로딩(loading)하는 로딩 단계; 상기 로딩 단계를 통해 로딩된 스크립트 파일을 해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대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시나리오(스크립트 파일)를 상기 홈관리서버 또는 상기 홈게이트웨이를 통해 로딩하여 해석한 후, 세부 메뉴에 대한 음성안내 및 사용자 음성제어명령을 대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음성제어명령을 제어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제어프로토콜을 해당하는 홈네트워크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제어 결과를 상기 홈관리서버 또는 상기 홈게이트웨이에서 음성처리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음성처리 코드에 따라 처리결과를 음성안내하고 다음 명령을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홈넷 기기의 제어를 위해 음성인식 및 VXML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의 간편함과 제어 시나리오 작성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이러한 기능을 갖춘 서버를 지능망이라는 보편화된 통신망에 둠으로써, 통신망이나 통신기기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지 원격으로 홈넷 기기(댁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지능망을 사용자 접속망으로 이용하고, 이 지능망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의 하나인 1582 음성다이얼서비스를 활용하여 음성인식 홈넷 기기 제어 기능을 추가하여 홈관리서버와 연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지능망을 이용한 간단한 접속수단과 음성인식을 이용한 손쉬운 기기 제어, 그리고 홈관리업체에게는 저렴하고 쉬운 홈넷 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VXML은 AT&T, 모토로라(Motorola), IMB 등으로 구성된 VXML 포럼(Forum)이 제안한 음성 입출력 기반의 음성서비스 시나리오의 표준이다. 음성 인식 및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음성 입출력이 가능한 대화형 음성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고, 웹 기반 기술을 음성서비스에 접목시킬 수 있어 음성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VXML을 통해 서비스 플랫폼과 서비스 시나리오가 분리된다. 서비스 플랫폼은 전화망 인터페이스, VXML 문서를 해석하고, 시나리오의 플로우에 따라 음성 인식기 및 합성기 등을 활성화시키는 VXML 해석기, 음성 인식기, 음성 합성기 및 기타 툴 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 시나리오가 VXML 표준에 따라 작성되면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음성 대화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서비스 플랫폼과 시나리오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서비스의 추가, 변경 등의 관리가 편한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VXML의 특성, 즉 VXML 서비스 플랫폼과 서비스 시나리오를 분리할 수 있는 점을 이용하여 통신망으로 확장한 서비스 구조를 갖는다. 즉, 통신망 내에 VXML 문서를 처리(문서해석, 음성인식/합성)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서비스 시나리오는 실제 홈넷 기기를 관리하는 홈서버 또는 홈게이트웨이에 파일 형태로 저장해두고 이 둘 사이를 인터넷으로 연동하는 서비스 구조이다.
따라서 글로벌한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고, 플랫폼은 홈 측의 기기변동과는 전혀 무관하게 단지 홈서버에 대한 정보만을 관리하면 되며, 홈관리서버에서는 각각의 가입자들에게 특화된 시나리오로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고, 홈넷기기 변동 사항을 서비스 시나리오 스크립트의 변경만으로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능망 기반의 음성인식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예시도로서, 지능망의 구조와 여기에 탑재되어 있는 음성인식기기부, 홈관리서버와의 연동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11"은 로컬 교환기, "12"는 SSP(Service Switching Point), "13" 은 SCP(Service Control Point), "14"는 AIP(Advanced Intelligent Peripheral), "15"는 VXML 스크립트서버, "16"은 홈관리서버, "17"은 홈게이트웨이, "18"은 제어대상기기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유무선망을 이용하여 지능망(1582 음성 다이얼서비스)에 접속하면 로컬교환기(11)는 지능망 서비스임을 알고 처리를 SSP(12)로 넘겨준다.
이에, SSP(12)가 SCP(13)에 1582 음성다이얼서비스임을 알려주면, SCP(13)는 1582 서비스 시나리오(VXML 스크립트)가 있는 서버의 위치(URL)를 AIP(14)로 전달한다. AIP(14)에서는 SCP(13)로부터 전달받은 1582 서비스 시나리오가 있는 서버의 위치(URL)에 따라, VXML 스크립트 서버(15)로부터 초기 서비스 스크립트(로직)(24)를 전달받아 해석하여 서비스 초기 안내음성을 내보낸다.
이때, 초기 서비스 시나리오는 홈넷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이어서,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자가 서비스 메뉴 중 홈넷 서비스를 발화하면, VXML 스크립트 서버(15)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접속 시 제공되는 CID(Caller ID)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미리 등록된 홈넷 서비스 시나리오(26)의 URL을 서비스 URL 데이터베이스(25)에서 찾아, 해당하는 홈관리서버(또는 홈게이트웨이)(16,17)로 접속한다.
홈관리서버(16)는 CID와 실제 사용자 DB를 비교하여 각각의 사용자에 특화된 서비스 시나리오를 VXML 해석기(23)로 보내고, 해당 시나리오를 해석하면서 홈넷 제어 서비스를 시작한다.
사용자의 음성제어명령은 AIP(14)의 음성 인식 서버(21)에서 인식된 결과를 음성 합성 서버(22)를 통해 합성음으로 들려주고, 제어명령은 홈관리서버(16)에서 음성/제어 프로토콜 변환부(25)를 통하여 변환되어 해당 홈넷 기기를 제어하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의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절차도로서, 음성처리부의 상세구조와 서비스 시나리오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능망 내의 AIP(14)는 음성 인식/합성 서버(21, 22), VXML 해석기(23)를 포함하고, VXML 스크립트 서버(15)는 초기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한 스크립트 파일(24)과, 특정 CID에 매핑되는 서비스 URL DB(25)를 포함한다.
그리고 홈넷 서비스 시나리오(26), 음성/제어프로토콜 변환부(27) 및 사용자 DB(28)는 홈관리서버 또는 홈게이트웨이(16,17)에 위치한다.
여기서, 음성/제어프로토콜 변환부(27)는 인식된 음성명령결과 코드를 홈넷기기제어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제어결과 코드를 음성안내 코드로 변환한다.
또한, 음성/제어프로토콜 변환부(27)는 웹서버프로그램 형태의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예 : CGI, ASP, JSP 등)로 작성되어 있으며, 음성인식(명령) 결과(예: “전등 켜”)에 따라 해당하는 스크립트를 실행시켜 실제 홈넷 기기를 제어하고, 그 결과로 만들어진 VXML 문서를 VXML 해석기(23)로 전달하면, VXML 해석기(23)에서 음성 합성 서버(22)를 구동하여 결과를 알려준다(예 : ”전등이 켜졌습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지능망서비스(1582 음성다이얼서비스)에 접속하면(301)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302), 초기메뉴 안내 및 사용자의 음성명령 입력을 요구(예를 들어, "원하시는 서비스를 말씀해주세요."라고 요구)한다(303).
이어서, 사용자의 음성이 인식(예를 들어, "홈넷 서비스"라고 말함)되었는지 확인하여(304) 인식되지 않았으면 초기메뉴 안내 및 사용자의 음성명령 입력을 요구하는 과정(303)으로 진행하고, 사용자 음성이 인식되었으면 서브메뉴에 대한 음성안내를 하고 사용자의 음성명령 입력을 요구(예를 들어, "조정할 기기를 말씀해주세요."라고 요구)한다(305).
이에, 사용자가 요구한 메뉴가 인식되었는지를 확인(예를 들어, "에어컨 켜"라고 말함)하여(306) 인식되지 않았으면 서브메뉴에 대한 음성안내를 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 입력을 요구하는 과정(305)으로 진행하고, 사용자 음성이 인식되어 제어대상기기가 가동되면 초기상태 안내 및 조절명령 입력을 요구(예를 들어, "에어컨이 가동되었습니다." "현재 온도는 XX도 입니다." "온도를 조정하시려면 #, * 버튼을 눌러주세요.")한다(307). 즉, 상기의 과정은 제어대상기기에 따라 세부 제어가 필요한 경우로, DTMF를 활용하여 제어하는 예로서, 에어컨을 가동시키면 초기상태를 안내해 주고 온도조절 명령을 기다린다.
이어서, 사용자로부터 조절 명령이 입력(예를 들어, "#"이 입력됨)되었는지를 확인하여(308) 입력되지 않았으면 서브메뉴에 대한 음성안내를 하고 사용자의 음성명령 입력을 요구하는 과정(305)으로 진행하고, 조절 명령이 입력되었으면 조절결과를 통보(눌러진 온도조절 버튼에 따라 결과를 알려줌. 예를 들어, "YY도로 조정되었습니다."라고 통보)한 후(309) 입력한대로 조절이 되었는지 확인하여(310) 입력한대로 조절이 되지 않았으면 초기상태 안내 및 조절명령 입력을 요구하는 과정(307)으로 진행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의 음성명령 메뉴체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메뉴(41) 밑에 홈 내 제어기기 목록에 대한 메뉴(42)가 있고, 필요한 경우 중복이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어기기 각각은 제어대상 공간/위치에 따라 세부메뉴(43)로 나누어진다. 메뉴의 마지막은 기기의 최종 상태변화 명령(44)으로 기기목록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명령어로 구성될 수 있다. 최종 조절명령 중에 상세한 조정이 필요한 경우는 DTMF를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조절(45)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전체 메뉴에 대한 DTMF 처리도 음성명령과 병행 가능하다.
또한, 서브메뉴(42 내지 45)는 하나의 음성명령(예 : 안방 전등 켜)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에 따른 VXML 홈넷 기기 제어 시나리오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주 시나리오(main.asp)와 결과처리시나리오(result.asp)로 나누어 작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시나리오에서는 사용자의 정해진 문법(51)에 따라 음성명령을 인식하여 그 결과에 맞는 결과처리시나리오를 호출(52)하고, 결과처리시나리오는 현재의 명령에 따른 실제 홈넷 기기를 제어(54)한 후 그 결과를 텍스트(TEXT) 형태의 문장으로 만들어(55) 주 시나리오로 돌려준다.
만일, 홈 측의 홈넷 기기에 변동이 생겼을 때(예를 들어, 현재는 ‘전등’만 제어할 수 있는데 여기에 ‘에어컨’이 추가되었을 때) 서비스 시나리오의 변동은 먼저 주 시나리오의 문법(51)에 에어컨에 대한 음성명령(예 : 에어컨켜/에어컨꺼)을 추가하고, 전등제어 시 사용된 스크립트의 틀을 복사/추가(53)한 후, 추가된 기기의 명칭(에어컨)과 코드(예 : AirCon)를 변경한다. 결과처리시나리오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전등제어처리에 사용된 스크립트 틀을 복사/추가한 다음, 추가된 기기에 맞게 코드를 변경하고 처리결과에 대한 텍스트 문장만 바꾸어 주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홈넷 서비스가 홈넷 기기 제조업체나 특정 무선망사업자에 가입된 사용자에게만 제공되고 있는 제약점을 지능망이라는 보편화된 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하고 투명한 서비스 접속과 음성인식으로 편리하게 홈넷 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VXML로 제어 시나리오도 간단하게 구축/변경할 수 있어 서비스 구축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에도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지능망 내에 VXML(Voice eXtensible Markup Language) 음성 처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홈관리서버 또는 홈게이트웨이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지능망에 대한 접속 시, 초기 서비스 시나리오를 VXML 스크립트 서버를 통해 로딩(loading)하는 로딩 단계;
    상기 로딩 단계를 통해 로딩된 스크립트 파일을 해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대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시나리오(스크립트 파일)를 상기 홈관리서버 또는 상기 홈게이트웨이를 통해 로딩하여 해석한 후, 세부 메뉴에 대한 음성안내 및 사용자 음성제어명령을 대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음성제어명령을 제어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제어프로토콜을 해당하는 홈네트워크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제어 결과를 상기 홈관리서버 또는 상기 홈게이트웨이에서 음성처리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음성처리 코드에 따라 처리결과를 음성안내하고 다음 명령을 대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관리서버는,
    CID(Caller ID)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DB)를 비교하여 각 사용자에 특화된 서비스 시나리오를 VXML 해석기로 전송하고, 상기 VXML 해석기를 통해 해당 시나리오를 해석하면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의 변동 사항을 서비스 시나리오 스크립트의 변경만으로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VXML 해석기와 음성 인식 서버 및 음성 합성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지능망 내에 구축되어 운용되는,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나리오는,
    VXML 표준에 따라 작성되고, 상기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음성 대화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
  6. 삭제
KR1020040023827A 2004-04-07 2004-04-07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 KR101056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827A KR101056589B1 (ko) 2004-04-07 2004-04-07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827A KR101056589B1 (ko) 2004-04-07 2004-04-07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560A KR20050098560A (ko) 2005-10-12
KR101056589B1 true KR101056589B1 (ko) 2011-08-11

Family

ID=3727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827A KR101056589B1 (ko) 2004-04-07 2004-04-07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355A1 (ko) * 2016-12-28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172B1 (ko) * 2006-08-04 2007-1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티브이 폰
CN105652674A (zh) * 2015-12-30 2016-06-08 生迪智慧科技有限公司 无线语音透传器和控制终端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2002.0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355A1 (ko) * 2016-12-28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560A (ko)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548B1 (ko) 통신 시스템용 보이스 브라우저 다이얼로그 인에이블러
JP3936718B2 (ja) インターネットコンテンツのアクセスに関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74213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voice control of software applications
EP1116373A1 (en) Method and system of configuring a speech recognition system
US20020094067A1 (en) Network provided information using text-to-speech and speech recognition and text or speech activated network control sequences for complimentary feature access
US20070077919A1 (en) Voice tagging of automated menu location
US20050086382A1 (en) Systems amd methods for providing dialog localization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and enabling conversational communication using generalized user gestures
WO2003063137A1 (en) Multi-modal information delivery system
US20030202504A1 (en) Method of implementing a VXML application into an IP device and an IP device having VXML capability
US6898424B2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server, data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010051903A (ko) 음성인식에 기초한 무선장치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S7054421B2 (en) Enabling legacy interactive voice response units to accept multiple forms of input
KR101056589B1 (ko)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방법
EP1376418B1 (en) Service mediating apparatus
US70622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 network using voice recognition
KR100372007B1 (ko) 음성 포탈서비스를 위한 보이스엑스엠엘 텔레게이트웨이시스템
JP4813798B2 (ja) ネットワークのオーディオデータ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行する装置
CN105118507A (zh) 声控系统及其控制方法
US20040208190A1 (en)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field equipment and operating equipment
US20080114589A1 (en) Method For The Flexible Decentralized Provision Of Multilingual Dialogues
KR20040026935A (ko) Vxml을 이용한 교환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506750B1 (ko) 인터넷 전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0501472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speech service using a terminal device and a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Steglich et al. Towards I-centric User Interaction.
Tomala et al. Interactive multimedia module into danger alert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