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447B1 -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447B1
KR101056447B1 KR1020100066260A KR20100066260A KR101056447B1 KR 101056447 B1 KR101056447 B1 KR 101056447B1 KR 1020100066260 A KR1020100066260 A KR 1020100066260A KR 20100066260 A KR20100066260 A KR 20100066260A KR 101056447 B1 KR101056447 B1 KR 101056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hook
type
ground plane
cir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금철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6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01Q1/227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associated to expansion card or bus, e.g. in PCMCIA, PC cards, Wireless US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0Element having extended radiat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는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의 제1면에 형성된 접지면; 상기 제1면의 나머지 공간에 원 모양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후크형 안테나; 상위 공진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해 상기 후크형 안테나에서 뻗어나오고, 독립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끝단이 상기 후크형 안테나의 안쪽을 향하는 모노폴 패치; 및 상기 후크형 안테나로부터 상기 접지면 방향으로 뻗어나온 부분과 상기 접지면을 연결하는 급전 케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기판의 일면에만 그라운드 및 복사 패치를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안테나를 소형화하면서도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하나의 안테나로 다양한 서비스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Hook shape multiband anten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중대역 무선 USB 동글용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USB(Universal Serial Bus)는 유선 USB의 성공을 발판으로 삼아, 무선 기술과 유선 USB기술을 결합한 기술로서, PC, 가전기기 및 이동 통신 기기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USB 장치 드라이버(device driver)와 호환성을 유지하고 기기 인증 및 데이터 암호화 기능을 가지며 동시에 여러 기기간 무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무선 USB 기술의 전송 속도는 3 m내에서 유선 USB 2.0 규격의 속도와 같은 480 Mbps, 10 m 이내에서 110 Mbps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WiMAX, 블루투쓰(Bluetooth), WLAN, WiMAX, S-DMB, WiBro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 통신 기술과 무선 USB의 기술발전으로 USB포트에 무선 통신이 가능한 USB 동글 장치를 결합시켜 WiBro, 블루투쓰, WLAN, WiMAX, 위성 DMB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기기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안테나가 하나의 기기 안에 구현되어야 한다. 현재까지 무선 USB 동글 장치는 주로 단일 대역 안테나를 사용하여 단일 서비스 대역을 제공하였지만, 이동통신 기술 발전으로 인해 다중 대역 또는 광대역 안테나가 요구된다. 즉 WiBro, WLAN, WiMAX 및 위성 DMB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다양한 주파수의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중 대역의 USB 동글 안테나가 요구된다.
종래에도 이러한 다중 대역의 신호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장치에 이용되는 다중 대역의 안테나 구조들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안테나 구조들은 USB 동글 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대규모인 전용 통신 단말기에 최적화되도록 설계되었으므로, 소형의 USB 동글 장치에 적용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일반적인 소형화 방법으로는 λ/10 이하의 크기로 안테나 구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광대역 또는 다중 대역 특성을 얻기 어렵다.
현재 시판중인 USB 동글용 안테나는 단일 대역만을 서비스하고, 외장형 안테나로 다소 큰 편이다. 이는 2.4 GHz 대역에 필요한 공진 주파수를 얻으려면 한 파장의 길이(약 60 mm)에 해당하는 공간을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인데, 이를 위해서 외장형 혹은 장치의 기판 양면 및 측면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해야 한다. 이는 추가적인 제조 공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다중 대역 안테나를 소형화하면서도 성능을 유지하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를 구비한 안테나 내장형 USB 동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세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첫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는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의 제1면에 형성된 접지면; 상기 제1면의 나머지 공간에 원 모양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후크형 안테나; 상위 공진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해 상기 후크형 안테나에서 뻗어나오고, 독립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끝단이 상기 후크형 안테나의 안쪽을 향하는 모노폴 패치; 및 상기 후크형 안테나로부터 상기 접지면 방향으로 뻗어나온 부분과 상기 접지면을 연결하는 급전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의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내장형 USB 동글 장치는 접지을 공통 그라운드로 사용하는 USB 동글용 부품들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의 제1면에 형성된 접지면; 상기 제1면의 나머지 공간에 원 모양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후크형 안테나; 상위 공진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해 상기 후크형 안테나에서 뻗어나오고, 독립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끝단이 상기 후크형 안테나의 안쪽을 향하는 모노폴 패치; 및 상기 후크형 안테나로부터 상기 접지면 방향으로 뻗어나온 부분과 상기 접지면을 연결하는 급전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의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제조 방법은 유전체 기판의 제1면에 접지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면의 나머지 공간에, 원 모양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후크형 안테나를 형성하고, 상위 공진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해 상기 후크형 안테나에서 뻗어나와서 끝단이 상기 후크형 안테나의 안쪽을 향하는 모노폴 패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후크형 안테나로부터 상기 접지면 방향으로 뻗어나온 부분과 상기 접지면을 급전 케이블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기판의 일면에만 그라운드 및 복사 패치를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안테나를 소형화하면서도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하나의 안테나로 다양한 서비스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크형 안테나(100)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모노폴 패치가 추가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도 3a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a에 따라 제작된 시제품을 보여준다.
도 5a는 본 발명에서 모노폴 패치의 유무에 따른 반사계수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서 후크형 안테나의 길이에 영향을 주는 개방각을 변경함에 따라 반사계수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5c는 도 4의 시제품을 이용하여 반사계수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시제품을 이용하여 방사패턴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후크형 패치를 사용하여 2 GHz의 공진 서비스 대역을 유도하고, 독립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모노폴 패치를 확장하여 802.11a 무선랜 대역(5.15-5.825 GHz)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WiBro 대역(2.3-2.4 GHz), 블루투쓰 대역(2.4~2.484 GHz), WiMAX 대역(2.5-2.7 GHz), 위성 DMB 대역(2.605-2.655 GHz), 및 무선랜 802.11b/g/a WLAN대역(2.4-2.485 GHz, 5.15-5.825 GHz)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단일 안테나를 통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크형 안테나(100)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유전체 기판에서 접지면(120)이 형성되는 면(이하 '제1면')에 후크형 안테나(100)가 형성된다. 후크형 안테나(100)는 원 모양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후크형 안테나(100)와 접지면(120)은 급전 케이블(110)을 통해 연결된다. 즉, 급전 케이블(110)은 후크형 안테나(100)로부터 접지면(120) 방향으로 뻗어나온 부분과 접지면(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후크형 안테나(100)는 반지름이 큰 원이 바깥 모서리를 결정하고, 큰 원과 이심원인 반지름이 작은 원이 안쪽 모서리를 결정하는 형태이다. 즉, 후크형 안테나(100)는 수학식 1의 원에서 수학식 2의 원을 제외(subtraction)하고 각도 2π-θ 만큼 그린 것이다.
Figure 112010044414912-pat00001
Figure 112010044414912-pat00002
여기서, θ를 개방각이라고 하는데, 개방각은 후크형 안테나(100)의 길이에 영향을 준다. 후크형 안테나(100)는 안테나 상의 위치에 따라 폭이 달라지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모노폴 패치가 추가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모노폴 패치는 상위 공진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해 후크형 안테나(100)에서 뻗어나와서 끝단이 후크형 안테나(100)의 안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모노폴 패치의 방향은 독립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게 하여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모노폴 패치의 길이는 도 2에서 c와 d의 길이를 더한 값인데, 여기에 후크형 안테나(100)와 만나는 점에서 급전 점까지의 길이를 더하면, 모노폴 패치로 커버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대역에 대응하는 안테나의 길이가 나오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전체 기판(121)의 제1면에는 접지면(120)이 형성된다.
제1면의 나머지 공간에는 후크형 안테나(100)와 모노폴 패치(101)가 형성되는데, 후크형 안테나(100)는 원 모양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일 예로, 후크형 안테나는 2.3 내지 3 GHz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길이이고, 모노폴 패치는 5.15 내지 6.15 GHz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길이일 수 있다.
급전점(111)은 후크형 안테나(100)로부터 접지면(120) 방향으로 뻗어나온 부분과 접지면(120)이 급전 케이블(110)을 통해 연결되는 부분이다.
도 3b는 도 3a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후크형 안테나(100), 모노폴 패치(101), 접지면(120)이 유전체 기판(121)의 일면에만 형성된다. 또한, 안테나 패치 부분은 3차원적인 구조가 아니라, 접지면(120)과 같이 평면 구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는 다음의 순서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유전체 기판의 제1면에 접지면을 형성한다. 제조상의 필요에 따라, 후크형 안테나와 모노폴 패치를 유전체 기판의 일부에 먼저 형성한 후에 동일한 면의 나머지 공간에 접지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 제1면의 나머지 공간에, 원 모양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후크형 안테나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상위 공진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해 후크형 안테나에서 뻗어나와서 끝단이 상기 후크형 안테나의 안쪽을 향하는 모노폴 패치도 함께 형성한다. 후크형 안테나와 모노폴 패치는 하나의 식각 공정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후크형 안테나로부터 접지면 방향으로 뻗어나온 부분과 접지면을 급전 케이블로 연결한다.
도 3a에 따라 시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예시적인 파라미터는 표 1과 같다.
Figure 112010044414912-pat00003
도 4는 도 3a에 따라 제작된 시제품을 보여준다.
도 4의 안테나는 두께가 0.8 mm이고, 10 mm * 49.5 mm인 유전체 기판에 제작되었다. 2.3-2.7 GHz의 공진을 생성하기 위해서 전체 길이 약 25mm인 후크형 패치가 형성되고, 802.11a 무선랜 서비스 대역(5.15-5.825 GHz)의 추가적인 공진을 유도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모노폴 패치가 결합되었다. 10 mm * 9.5 mm인 면에 안테나 패치가 형성되고, 패치 아래에 시스템 접지면이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 기판은 상대 유전 상수가 4.6이며 loss tangent가 0.025인 FR-4를 사용하였다. 안테나 급전은 50-Ω 동축케이블로 구현되었다. 이렇게 구현된 안테나는 실제 USB 동글 장치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케이스와 결합하더라도 쿼터 달러 동전과 비교되는 것과 같이 매우 소형이므로 내장형 USB 동글용 안테나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서 모노폴 패치의 유무에 따른 안테나의 반사계수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모노폴 패치가 없는 경우, 후크형 안테나의 전체 길이는 약 25 mm로 2.3 GHz(0.21 λ)와 3.5 GHz(0.29 λ)에서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주파수 비율이 1:1.4 인 인접한 2개의 공진 주파수가 발생함으로써 스태그 동조형(stagger-tuned)의 광대역 공진 주파수가 생성됨을 알 수 있다.
모노폴 패치가 있는 경우, 802.11a 무선랜 서비스 대역(5.15-5.825 GHz)의 추가적인 공진이 유도된다. 즉, 도 5a에서 보듯이 2 GHz 공진 서비스 대역을 유지하면서도, 5.15-6 GHz에서 추가적인 공진 주파수가 발생한다.
도 5b에서는 후크형 안테나 길이에 영향을 주는 θ에 따른 안테나 공진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θ의 크기를 변화시켜가며 반사계수를 확인해 보았다. 반사계수 S11≤10 dB 기준으로 θ가 77.4°, 73.4°, 68.6°로 작아질수록 2 GHz대의 대역폭이 줄어드는 반면 5 GHz 대역의 서비스대역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θ 길이의 변화만으로 2 GHz 대역의 독립적 주파수 튜닝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θ=77.4°일 때 WiBro (2.3-2.39 GHz), WLAN (2.4 -2.483 GHz), WiMAX (2.5-2.7 GHz), S-DMB (2.605-2.655 GHz), ISM/블루투쓰 (2.4-2.480 GHz)의 2 GHz 대역의 서비스를 만족하고, 802.11a 무선랜 서비스(5.15-5.825 GHz)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독립적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모노폴 패치의 끝이 후크형 안테나의 안쪽을 향하도록 꺾여있는 형태와 관련이 있다.
도 5c는 도 4의 시제품을 이용하여 반사계수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측정된 안테나의 반사계수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제작된 안테나는 Agilent 8719A의 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되었고 그 결과 반사계수 S11=-10 dB인 공진 주파수가 시뮬레이션 결과와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작된 단일 안테나는 2.3-3 GHz(26.4%)와 5.15-6.15 GHz(17.7%)를 만족하므로, WiBro (2.3-2.39 GHz), WLAN (2.4-2.483 GHz, 5.15-5.825 GHz), WiMAX (2.5-2.7 GHz), S-DMB (2.605-2.655 GHz), ISM/블루투쓰 (2.4-2.48 GHz)의 다양한 무선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시제품을 이용하여 방사패턴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전자파 무반사실에서 측정한 결과 2.3 GHz, 2.5 GHz, 5.3 GHz, 5.5 GHz에서 거의 전방향성의 방사 패턴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는 측정된 방사 효율과 이득을 나타낸 것이다.
Freq.(GHz) 2.3 2.5 2.7 5.2 5.4 5.6 5.8
Efficiency(%) 88.76 89.34 85.23 77.6 84.14 77.96 77.03
Peak gain(dBi) 4.93 5.06 5.44 4.05 4.37 4 4.16
방사효율은 전 주파수대역에서 77% 이상이고, 이득은 2.7 GHz에서 5.44 dBi로 가장 높고, 5.6 GHz에서 4 dBi로 가장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작된 안테나는 전 주파수 대역에서 거의 전방향성의 방사 패턴을 보이고, 높은 방사 효율과 고 이득을 가지므로 다중대역 무선 USB 동글용 내장형 안테나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테나는 다중 대역 무선 USB 동글 내부에 실장이 가능한 후크형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는 전자 기기에 부착이 쉬운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의 USB 동글 안테나로서, 유전체 단면에만 설계되기 때문에 간단한 공정을 통해 쉽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내장형 안테나의 실장 환경을 고려한 크기의 기판에 접지면이 차지하는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안테나 패치가 형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무선 USB 동글 장치는 외장형이고, 단일 서비스 대역만을 지원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는 내장형이면서도 다중대역의 특성을 나타내므로 초소형 무선 USB 동글용 안테나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는 다른 두 패치의 상호결합으로 이루어져 독립적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고 WiBro (2.3-2.39 GHz), WLAN (2.4-2.483 GHz, 5.15-5.825 GHz), WiMAX (2.5-2.7 GHz), S-DMB (2.605-2.655 GHz), ISM/블루투쓰 (2.4-2.480 GHz) 등 다중 서비스 대역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의 제1면에 형성된 접지면;
    상기 제1면의 나머지 공간에 원 모양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후크형 안테나;
    상위 공진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해 상기 후크형 안테나에서 뻗어나오고, 독립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끝단이 상기 후크형 안테나의 안쪽을 향하는 모노폴 패치; 및
    상기 후크형 안테나로부터 상기 접지면 방향으로 뻗어나온 부분과 상기 접지면을 연결하는 급전 케이블을 포함하는,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 안테나는
    반지름이 큰 원이 바깥 모서리를 결정하고, 상기 큰 원과 이심원인 반지름이 작은 원이 안쪽 모서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 안테나는 안테나 상의 위치에 따라 폭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 안테나는 2.3 내지 3 GHz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폴 패치는 5.15 내지 6.15 GHz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 안테나는
    가로 10mm, 세로 9.5mm인 공간에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7. 접지면을 공통 그라운드로 사용하는 USB 동글용 부품들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유전체 기판;
    상기 유전체 기판의 제1면에 형성된 접지면;
    상기 제1면의 나머지 공간에 원 모양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후크형 안테나;
    상위 공진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해 상기 후크형 안테나에서 뻗어나오고, 독립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끝단이 상기 후크형 안테나의 안쪽을 향하는 모노폴 패치; 및
    상기 후크형 안테나로부터 상기 접지면 방향으로 뻗어나온 부분과 상기 접지면을 연결하는 급전 케이블을 포함하는, 안테나 내장형 USB 동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 안테나는
    반지름이 큰 원이 바깥 모서리를 결정하고, 상기 큰 원과 이심원인 반지름이 작은 원이 안쪽 모서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내장형 USB 동글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 안테나는 안테나 상의 위치에 따라 폭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내장형 USB 동글 장치.
  10. 유전체 기판의 제1면에 접지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면의 나머지 공간에, 원 모양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후크형 안테나를 형성하고, 상위 공진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해 상기 후크형 안테나에서 뻗어나와서 끝단이 상기 후크형 안테나의 안쪽을 향하는 모노폴 패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후크형 안테나로부터 상기 접지면 방향으로 뻗어나온 부분과 상기 접지면을 급전 케이블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 안테나는
    반지름이 큰 원이 바깥 모서리를 결정하고, 상기 큰 원과 이심원인 반지름이 작은 원이 안쪽 모서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 안테나는 안테나 상의 위치에 따라 폭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제조 방법.
KR1020100066260A 2010-07-09 2010-07-09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56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260A KR101056447B1 (ko) 2010-07-09 2010-07-09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260A KR101056447B1 (ko) 2010-07-09 2010-07-09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447B1 true KR101056447B1 (ko) 2011-08-12

Family

ID=4493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260A KR101056447B1 (ko) 2010-07-09 2010-07-09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018B1 (ko) * 2015-09-18 2017-09-19 세종공업 주식회사 Dpf 재생시점 진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2701A (ja) 1985-05-01 1986-11-10 Yagi Antenna Co Ltd 円偏波発生ル−プアンテナ
KR20090024330A (ko) *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동글 타입 rfid 리더용 안테나 및 동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2701A (ja) 1985-05-01 1986-11-10 Yagi Antenna Co Ltd 円偏波発生ル−プアンテナ
KR20090024330A (ko) *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동글 타입 rfid 리더용 안테나 및 동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018B1 (ko) * 2015-09-18 2017-09-19 세종공업 주식회사 Dpf 재생시점 진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15678B (zh) 全向式天线
US7385556B2 (en) Planar antenna
CA2720512C (en) Compact multiple-band antenna for wireless devices
Wang et al. An internal triple-band WLAN antenna
JP6297337B2 (ja) アンテナアセンブリ及び該アンテナアセンブリを備える通信装置
US7209087B2 (en) Mobile phone antenna
EP1453137A1 (en) Antenna for portable radio
US7554488B2 (en) Planar antenna
US10476163B2 (en) Ultra-small planar antennas
US20130009836A1 (en) Multi-band antenna and methods for long term evolution wireless system
JP2007502562A (ja) アンテナ装置、並びに前記アンテナ装置を有するモジュール及び無線通信装置
TW201524001A (zh) 多頻天線結構
TW202002407A (zh) 通訊裝置
Franchina et al. A 3D LTE antenna for vehicular applications
KR101584764B1 (ko) 다중 안테나
KR100998524B1 (ko) 변형된 시어핀스키 프랙탈을 이용한 이중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
KR101056447B1 (ko) 후크형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58408A (ko)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내장형 안테나
KR102357671B1 (ko) 모서리 안테나
KR100640339B1 (ko)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
JP6527865B2 (ja) 無線周波数信号を送受信するための装置
KR101200308B1 (ko) 무선 usb 동글용 평면형 안테나
KR101015557B1 (ko) 초소형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안테나 내장형 usb 동글 장치
US7541980B2 (en) Printed antenna
TWI573320B (zh) 天線模組及具有該天線模組的無線通訊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