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099B1 -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099B1
KR101055099B1 KR1020040011480A KR20040011480A KR101055099B1 KR 101055099 B1 KR101055099 B1 KR 101055099B1 KR 1020040011480 A KR1020040011480 A KR 1020040011480A KR 20040011480 A KR20040011480 A KR 20040011480A KR 101055099 B1 KR101055099 B1 KR 101055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message
unit
phone numb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876A (ko
Inventor
정상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0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는 메모를 메시지 서비스로 전송하는 것으로, 메모메뉴에서 전송할 특정 메모가 선택되면 화면에 해당 메모에 관련된 서브항목들을 표시하고, 상기 서브항목중에서 메모전송항목이 선택되면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전화번호 입력창을 표시하며, 상기 전화번호 입력창에서 전화번호 입력이 완료되면 화면에 편집을 위하여 상기 선택된 메모의 전체 내용을 표시하여, 상기 화면에서 메모편집이 종료될 때 해당 메모를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문자 메시지 메뉴를 통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메모를 문자 메시지처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SENDING MEMO MESSAGE FOR MOBILE PHONE}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메모 메시지 전송 상태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무선부 110 : 제어부 120 : 메모리부
130 : 메모부 140 : 메시지처리부 150 : 입출력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기록을 위하여 입력된 메모 내용을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수 기지국(BS: BASE STATION)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안에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 제어(CONTROLLING) 및 스위칭 (SWITCHING)에 따라 때와 장소와 관계없이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휴대기기이다.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이 작고, 통신을 위한 대기(STANDBY) 상태로 휴대하는 시간이 대부분이므로 실제 사용시간 또는 운용률이 낮은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의 낮은 운용률 또는 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와 휴대단말기 생산자(MAKER)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부가기능이 있다.
일 예로, 부가서비스에는, 온라인 게임(ONLINE GAME), 무선인터넷(WIRELESS INTERNET) 접속, 문자메시지 전송, 영상메시지 전송 등등이 있고, 부가기능(이하 부가서비스라 함)에는, 전화번호부(PHONE-BOOK) 관리, 메모 작성, 스케줄 관리, 게임, 카메라, 전자계산기, 시간관리, 알람 등등과 같이 다양하다.
상기와 같은 부가서비스 중에서 많이 이용되는 것이 문자 메모작성과 문자 메시지 전송이며, 상기 문자 메시지(MESSAGE)는 기호, 숫자, 문자, 도형, 그래픽 등등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내용을 정확하게 작성하면서도 짧고 간단하며 신속하게 전달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메모작성 서비스는, 평소에 갑자기 생각나는 메모 또는 필요한 메모 또는 기억해야 할 메모 등을 내용의 크기에 관계없이 작성하는 것으로, 필기구와 종이를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필요한 메모를 하는 편리한 기능이다.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방식은, 채널을 점유하는 시간이 매우 짧으므로 통신비용이 저렴하고, 또한, 비실시간 전송방식이므로 상대방의 후크오프(HOOK OFF)에 관련 없이 통신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문자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종류로는, 단문, 중문, 장문의 메시지 전송 서비스가 있고, 각각 전송할 수 있는 문자메시지의 크기와 사용요금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80 바이트(BYTE) 까지의 문자(CHARACTER)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많이 이용하고, 장문 메시지 서비스(LMS: LONG MESSAGE SERVICE)의 경우는 400 바이트(BYTE) 까지의 문자를 작성하여 전송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단문메시지서비스(SMS)를 확장(EXTENDED)한 것으로 이모티콘이나 멜로디 등을 첨부하여 전송하는 확장 단문메시지 서비스(ESMS: EXTENDED SMS), 전송하는 문자 및 배경의 색상을 지정하는 컬러 단문메시지 서비스(COLOR SMS) 등등이 있으며 서비스의 종류는 개발이 계속되어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문자 메시지를 송부하려면, 메시지 서비스 메뉴에 진입하여 작성된 메시지만을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메모 작성메뉴를 통하여 작성된 다양한 메모를 선택하여 메시지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휴대 단말기(MS)(10)는 기지국(BS)(2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30) 안에서 원하는 상대방과 기지국(20)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경로는, 이동교환국(MSC)(40)의 스위칭 처리에 의하여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무선접속된 상대방과 해당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므로 통신이 진행된다.
상기 기지국(20)은 각각 고유의 서비스 영역(30)을 형성하고, 다수의 기지국(20)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배치되므로 전국을 서비스 영역(30)으로 형성하여 전국 어디에서나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상대방 휴대단말기(10)와 음성신호를 이용하는 음성통신, 문자메시지를 이용하는 문자메시지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신호에 음성신호와 문자메시지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멀티미디어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음성 통신과 멀티미디어 통신은 통신채널을 실시간 점유하여야 하므로 채널 점유 비용이 비교적 비싸고, 상기 문자메시지의 데이터 통신은 유휴 상태의 채널을 점유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실시간 채널 점유방식이므로 채널 점유 비용이 비교적 많이 싸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문자메시지 모드(MODE)를 설정 또는 문자메시지 메뉴(MENU)에 진입하여 숫자, 기호, 문자, 그래픽 이미지 등으로 메시지를 작성하여 저장하고, 수신할 상대방을 지정하여 무선전송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문자메시지 메뉴에서만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고, 메모 메뉴에서 작성한 메모들은 문자메시지로 전송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는 특정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사를 문자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S10), 문자메시지 메뉴를 선택하여 진입한다(S20). 상기 문자 메시지 메뉴에서 사용자는 전송할 의사 내용을 숫자, 문자, 기호, 그래픽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문자 메시지는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다(S30). 또한 사용자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상대방의 고유번호를 입력하고(S40), 할당된 송신 키버튼을 입력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지정된 상대방의 고유번호 정보와 작성된 문자메시지 정보를 기지국(20)에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20)으로 전송된 문자 메시지는 이동교환국(40)으로 전달되며, 상기 이동교환국(40)은 상대방 고유번호를 분석하고 스위칭(SWITCHING) 처리하여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문자메시지를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문자메시지 모드 또는 메뉴에 진입하여 메시지를 작성하고, 그 작성된 메시지를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메모 모드에서 작성된 메모나 메시지 등을 문자메시지로 작성 및 전송하기 위하여서는, 문자메시지 모드 또는 메뉴에 진입한 후 동일한 내용을 다시 작성하여 전송하여야 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메모 모드에서 작성된 메모를 해당 메뉴에서 바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는, 입력되는 메모를 저장하는 메모부와; 메시지 또는 메모를 상대방 고유번호와 연계시키는 메시지처리부와; 메모메뉴에서 메모부에 저장된 메모중에서 특정 메모가 선택되면, 해당 메모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항목들을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메모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방법은, 메모메뉴에서 전송할 특정 메모가 선택되면 화면에 해당 메모에 관련된 서브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항목중에서 메모전송항목이 선택되면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전화번호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번호 입력창에서 전화번호 입력이 완료되면 화면에 편집을 위하여 상기 선택된 메모의 전체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에서 메모편집이 종료되면 해당 메모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는 무선부(100), 제어부(110), 메모리부(120), 메모부(130), 메시지 처리부(140) 및 입출력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부(100)는 이동통신 기지국(BS)과 무선접속하여 메시지 신호를 무선 송수신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메모를 전송할 경우 메모부(130)의 메모를 메시지 처리부(140)에 인가하여 수신할 상대방의 고유번호가 포함되는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단문메시지 또는 장문메시지로 무선부(100)로 출력한다.
삭제
상기 메모리부(120)는 휴대단말기의 운용 프로그램과 운용 데이터는 물론 문자 메시지 및 메모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부(130)는 입력되는 메모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것으로, 입출력부(150)를 통하여 숫자, 문자, 기호로 이루어지는 메모를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한다. 상기 메모부(130)는 메모리부(120)내에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시지처리부(140)는 입출력부(150)를 통하여 문자 메시지 또는 숫자, 문자, 기호로 이루어지는 메모를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수신할 상대방의 고유번호가 포함되는 메시지로 변환한다.
상기 입출력부(150)는 메모 신호, 문자메시지 신호, 다이얼링 신호 및 제어명령 신호를 입력하고 휴대단말기의 운용정보와 수신되는 문자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메모메뉴에 진입한 후 입출력부(150)를 통해 메모를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메모를 화면에 표시함과 함께 메모부(130)에 저장하고, 상대방에게 전송할 메시지의 경우에도 상기 입출력부를 통하여 입력되고 제어부를 경유하여 메시지처리부(140)에 저장한다.
즉, 상대방에게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입출력부(150)를 통해 상대방의 고유번호를 함께 입력하고 입력된 고유번호는 메시지처리부(140)에 저장된 해당 메시지와 연계되어 저장된다. 상기 입출력부(150)로부터 지정된 상대방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메시지처리부(140)에 저장된 메시지를 연계된 고유번호와 함께 무선부(100)에 출력함으로써 해당 메시지가 기지국(BS) 및 이동교환국(MSC)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도 있으나, 평소 기록할 목적으로 상기 메모부(130)에 기록저장하는 메모의 경우에도 상대방을 지정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입출력부(150)를 통해 메모 전송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메모부(130)에 저장된 메모 내용이 메시지처리부(140)에 인가되는 동시에 상기 입출력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상대방 고유번호와 연계처리되어,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무선부(100)에 인가되므로, 상기와 같이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메모를 작성하는 경우(S100), 사용자는 입출력부(150)를 통하여 기록할 메모를 입력하고, 입력된 메모는 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됨과 함께 메모부(130)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된다(S110). 이후 제어부(110)는 휴대단말기로 문자메시지를 특정 상대방에게 전송할 것인지 판단한다(S120).
만약 사용자가 메모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메모과정의 처음(S100)으로 궤환(FEEDBACK)하여 메모작성 입력상태를 유지하고, 메모전송을 수행하는 경우는, 메모부(130)에 저장된 메모를 선택하여 메시지로 처리하고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할 것인지 또는 아닌지를 판단한다(S130).
상기 판단(S130)에서 메모부(130)에 저장된 메모를 선택하여 메시지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메모부(130)를 검색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메모를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수신하는 상대방의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연계되도록 부가하고, 상기 입출력부(150)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제어명령 신호에 따라 무선부(100)를 통해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180).
일 예로, 상기 메모부(130)의 메모 크기가 80 바이트(BYTE) 이하이면 단문메시지 서비스(SMS)로 전송하고, 80 바이트 이상 400 바이트 이내 이면 장문메시지 서비스(LMS)로 전송하며,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메모가 400 바이트 이상이면 400 바이트 단위로 나누어서 여러 번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확인과정(S130)에서 사용자가 메모부(130)에 저장된 메모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는, 제어부(110)는 입출력부(150)를 통하여 직접 입력되는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처리부(140)에 저장하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상대방의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부가하며(S170) 해당 제어명령 신호에 의하여 무선부(100)를 통해 상대방으로 전송한다(S180).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면, 메모부(130)에 기록저장된 메시지를 검색 선택하여 상대방 고유번호를 부가하며 전송하는 상태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메모 메시지 전송의 상태 설명도이다. 즉, 도 5에는 메모부(130)에 저장된 메모를 검색하고 선택된 메모를 상대방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메시지로 전송하는 상태가 용이하게 이해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는 메모메뉴에서 작성된 메모 또는 저장된 메모중에서 전송하고 싶은 메모를 선택한다. 일단 특정 메모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해당 메모에 관련된 서브 항목인 1. 삭제, 2. 메모전송, 3.메모검색, 4.메모지설정, 5,메모초기화 항목들을 표시한다. 상기 서브항목은 팝-업형태로 표시되거나 해당 메모 밑에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상기 서브항목중에서 사용자가 "메모전송"을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전송하고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고, 해당 화면에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확인"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선택한 메모의 전체 내용을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화면에서 사용자는 상기 메모의 내용을 편집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편집을 종료하고 "전송"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메시지가 전송되고 있음을 화면에 표시하고, 메모의 전송이 종료디면 화면에 "전송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가 80 바이트 범위 이내 인지 또는 400 바이트 범위 이내 인지를 판단하여, 80 바이트 이내 인 경우는 단문메시지 서비스(SMS)로 무선전송하며, 80 바이트 범위를 넘는 동시에 400 바이트 이내 인 경우는 장문메시지 서비스(LMS)로 무선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기록을 위하여 입력하고 저장하는 메모를 선택하여 지정한 상대방에게 메시지로 전송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지정한 상대방에게 전송하거나 또는 기록을 위하여 메모부에 저장한 메모 내용을 선택하여 장문메시지로 상대방에 전송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작성한 또는 저장한 메모를 메모메뉴에서 바로 지정한 상대방에게 메시지 서비스의 전송 가능한 바이트 크기로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표과가 있다.
또한, 메모부에 기록된 내용을 문자메시지와 같이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메모 메뉴에서 작성된 메모를 저장하는 메모부와;
    메모 전송 시 전송할 메모를 수신할 상대방 전화번호와 연계시키는 메시지처리부와;
    상기 메모 메뉴에서 상기 작성된 메모 또는 상기 메모부에 저장된 메모에 대한 전송이 선택되면, 상기 메시지처리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메모와 입력 받은 상대방 전화번호를 연계시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의 전송이 선택되면 전화번호 입력창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전화번호 입력창에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편집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모의 내용을 표시하며,
    상기 메모의 내용이 편집되면, 편집된 메모의 데이터 크기를 이용하여 전송 방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전송 방법에 의하여 상기 편집된 메모를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메모 메뉴에서 현재 작성된 메모 또는 메모부에 저장된 메모가 선택되면 화면에 해당 메모에 관련된 서브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항목들 중에서 메모전송항목이 선택되면 상대방 전화번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전화번호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번호 입력창에 상대방 전화번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화면에 편집을 위하여 상기 선택된 메모의 전체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에서 상기 메모의 편집이 종료되면, 편집된 메모의 데이터 크기를 이용하여 전송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전송 방법에 의하여 상기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상기 메모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항목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항목들을 팝-업형태로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40011480A 2004-02-20 2004-02-20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055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480A KR101055099B1 (ko) 2004-02-20 2004-02-20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480A KR101055099B1 (ko) 2004-02-20 2004-02-20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876A KR20050082876A (ko) 2005-08-24
KR101055099B1 true KR101055099B1 (ko) 2011-08-08

Family

ID=3726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480A KR101055099B1 (ko) 2004-02-20 2004-02-20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58B1 (ko) * 2013-07-10 2020-02-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모 기능이 연동된 메시지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618A (ja) * 2001-09-17 2003-03-2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電話機
JP2003099368A (ja) * 2001-09-25 2003-04-04 Ha Telecom Corp 携帯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30045304A (ko) * 2001-12-03 200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모 입력 및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618A (ja) * 2001-09-17 2003-03-2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電話機
JP2003099368A (ja) * 2001-09-25 2003-04-04 Ha Telecom Corp 携帯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30045304A (ko) * 2001-12-03 200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모 입력 및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876A (ko) 200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2654B2 (ja) 携帯端末機でアバターを用いたメッセージ処理装置及び方法
US9377930B2 (en) Emoticon input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200700970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d transmitting handwritten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633699B2 (ja) 無線通信メッセージでピクチャ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プロトコル
US8584040B2 (en) Mobile terminal
CN101361353A (zh) 用于通信通道选择的方法和设备
US10175872B2 (en) Method for editing a media clip in a mobile terminal device, a terminal device utilizing the method and program mean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114741146A (zh) 多设备协作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JP4502635B2 (ja) 入力支援装置、メッセージ送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9353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055099B1 (ko) 휴대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69198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072024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비젼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2004664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전송방법
KR20080025979A (ko) 펜마우스형 단말기
KR2003003732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전송 방법
KR101006688B1 (ko) 휴대단말기 및 그의 태그메시지 입력 방법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JP2000174858A (ja) 電話機
KR1006300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이메일 전송 방법
KR101314606B1 (ko)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표시 방법
KR101129270B1 (ko)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편집장치 및 방법
KR100874096B1 (ko) 특정키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 그 방법 및기록매체
KR2002004639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의 회신번호 저장 방법
KR20060026129A (ko) 이동단말기의 바탕화면에 특정인으로부터의 문자메시지를표시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