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993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993B1
KR101054993B1 KR1020030052319A KR20030052319A KR101054993B1 KR 101054993 B1 KR101054993 B1 KR 101054993B1 KR 1020030052319 A KR1020030052319 A KR 1020030052319A KR 20030052319 A KR20030052319 A KR 20030052319A KR 101054993 B1 KR101054993 B1 KR 101054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authenticated
joint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3764A (ko
Inventor
김기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2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99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다중 사용자 환경을 구축하고 지문인식에 의해 단말기의 사용자를 구분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이 한 대의 단말기를 공유하면서 자신만의 환경을 구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단말기를 여러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 공동 사용자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증된 공동 사용자가 아닐 경우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공동 사용자로 판단될 경우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로딩하여 환경 설정을 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기 이용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로딩된 데이터베이스에 계속 누적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MULTIPLE USER CONFIGURATION SET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사용자 환경을 갖는 단말기의 전화 수신 시 발신자 정보 표시 과정을 보인 순서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 다중 사용자 환경을 구축하고 지문인식에 의해 단말기의 사용자를 구분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이 한 대의 단말기를 공유하면서 자신만의 환경을 구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개념으로서, 일반 유선 전화와 달리 하나의 단말기를 여러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다.
즉, 일반 유선 전화의 경우 단지 통화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할 뿐, 사용자 개인에 관련된 정보(전화번호부 등)나 기능(신용카드 기능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개인을 위한 단말기로서 다른 사람에게 누출되면 않되는 개인적인 정보와 기능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가족이나 형제, 친구들간에 단말기를 빌려주거나 함께 사용하고 싶어도, 개인적인 정보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공동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가령, 실제 전화 사용량이 많지 않은 가족이나 임의의 단체 구성원이, 개인적인 정보가 포함되는 이유로 각기 단말기를 소지할 경우, 전화 기본료 등 오로지 단말기를 소유하는 비용으로 많은 지출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다중 사용자 환경을 구축하고 지문인식에 의해 단말기의 사용자를 구분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이 한 대의 단말기를 공유하면서 자신만의 환경을 구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단말기를 여러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 공동 사용자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증된 공동 사용자가 아닐 경우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공동 사용자로 판단될 경우 해당 사용자의 데 이터베이스를 로딩하여 환경 설정을 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기 이용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로딩된 데이터베이스에 계속 누적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지문인식 시스템을 도입하여 한 대의 단말기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요지가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해 단말기를 집을 경우 지문인식에 의한 간단한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쳐 전화 통화 시간이나 단문 메시지 송신 회수, 전화 번호부, 벨소리 설정 등 모든 기능이 해당 사용자가 등록한 기능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즉, 단말기 내부의 각종 기능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다중으로 구성한 후 등록된 각 사용자에게 할당함으로써, 인증된 사용자는 단말기의 모든 기능에 대해서 자신만의 환경을 구축하고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인증은 비밀번호에 의해 수행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기억하여 직접 버튼을 입력해야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롭고 비밀번호가 누출되거나 잊어버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나, 지문인식을 이용할 경우 그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고, 지문인식 센서를 단말기의 사이드나 폴더 윗면에 부착할 경우, 단말기를 집는 것만으로 간단히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므로 편리하고, 사용자 인증 즉시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로딩하여, 이후 단말기 제어에 따른 정보가 계속 누적된다.
참고로,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해 주로 사용 하는 방법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홍채를 인식하거나, 지문을 인식하는 방법 등이다.
상기 방법 중에서 가장 손쉬운 사용자 인증 방법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인데, 그런 만큼 비밀번호가 누출될 경우 보안성이 가장 취약한 방법이기도 하며, 홍채 인식 방법은 현재로서는 보안성이 가장 양호한 방식이지만, 시스템의 부피가 다소 크고 많은 구축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구축이 용이하고 비용이 비교적 적게 소요되는 지문 인식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지문인식 시스템을 도입하여 허가된 사용자를 판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지문을 스캔하여 얻은 정보를 이미 저장해놓은 정보와 비교하여 같으면 시스템 접속을 허락하는 방법 또는, 외부의 독립적인 지문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접속하고자 하는 시스템과 연결하여 시스템 접속을 하는 방법이 있으나, 본 발명의 요지가 지문인식 시스템에 있지 않으며 다만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인식하는데 있으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지문인식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을 이용해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지문을 검출하여(S101) 기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지문과 대조하는 단계(S102)와, 상기 대조 결과 등록된 지문이 아닐 경우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등록된 지문일 경우(S103)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로딩하는 단계(S104)와, 사용자의 단말기 이용에 관련된 제어 및 설정 정보를 상기 로딩된 데이터베이스에 계속 누적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과정은 지문인식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데이터베이스를 로딩하여 이후부터의 단말기 이용 및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으로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큰 관련이 없는 전화 통화와 단문 메시지 전송에 대해서는 사용자 인증없이 이용하게 하고, 기타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한 기능에 대해서만 사용자 인증을 통해 이용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 권한을 위한 지문인식과는 별도로 각 사용자 별로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단말기 사용자 인증 여부에 관계없이 각 기능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지문인식에 의한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소정시간(사용자 인증 유지 기간) 동안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지 않는데, 그 시간 이후에는 원하지 않더라도 다시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보안성을 높이고, 공동 사용자가 단말기를 자신의 환경으로 바꾸기 위해서 지문인식(사용자 인증)을 시키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시간 이내라 하더라도 즉시 새로운 사용자 환경으로 전환되고,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 시켰다가 다시 온 시키는 경우에도 사용자 인증을 다시 거쳐야 한다.
한편, 사용자 인증 유지 기간 이후에 전화가 걸려올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정보 표시기능이 있는 단말기는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등록된 사 용자인 경우,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이름으로 치환하여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전화벨이 울릴 때 공동 사용자 중 한명이 단말기를 집어 지문인식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해당 사용자의 전화번호부에서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여 그 등록된 이름으로 치환하여 표시하지만, 공동 사용자가 아니거나 공동 사용자라 하더라도 해당 사용자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지 않은 발신자로부터의 전화인 경우 단지 전화번호만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가 처음 대기상태에서 사람의 지문을 인식하게 되면, 지문을 분석하고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공동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읽어들여, 읽어들인 정보와 방금 입력받은 지문의 내용을 대조하여 부합되는지 판별하고, 공동 사용자인 것으로 판명되면 해당 사용자의 설정환경 파일(데이터베이스)를 로딩하여 단말기를 재 세팅하게 된다. 상기 과정은 단말기 부팅 시 한번만 수행하게 할 수도 있고, 사용자 인증 요구 시마다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공동 사용자의 수는 메모리의 용량에 많은 수를 지정할 수 있지만, 두 세명 정도로 지정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최근에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말기를 공동 사용하더라도 각 사용자에 따라 다른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요금을 정산할 때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다중 사용자 환경을 구축하고 지문인식에 의해 단말기의 사용자를 구분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이 한 대의 단말기를 공유하면서 자신만의 환경을 구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하나의 단말기를 여러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에 있어서,
    소정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단말기를 집을 경우 해당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등록된 공동 사용자인지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와;
    사용자가 인증되지 아니하면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인증되면 인증된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로딩하여 환경 설정을 하고, 인증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이용에 관련된 정보를 로딩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계속 누적 저장하는 사용자 인증 유지 단계와;
    사용자가 인증된 이후 소정시간(사용자 인증 유지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용자 인증 단계로 궤환하여 주기적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사용자인지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단계는,
    단말기를 집은 사용자의 지문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지문을 상기 등록된 공동 사용자의 지문과 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사용자인지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단계는,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상기 비밀번호를 상기 등록된 공동 사용자의 비밀번호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호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 인증된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부에서 수신한 호의 발신자 번호에 대해 등록된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하고,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경우, 단지 발신자 번호만을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
KR1020030052319A 2003-07-29 2003-07-29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 KR101054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319A KR101054993B1 (ko) 2003-07-29 2003-07-29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319A KR101054993B1 (ko) 2003-07-29 2003-07-29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764A KR20050013764A (ko) 2005-02-05
KR101054993B1 true KR101054993B1 (ko) 2011-08-05

Family

ID=3722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319A KR101054993B1 (ko) 2003-07-29 2003-07-29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9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6977B2 (en) 2017-01-06 2019-02-26 Qualcomm Incorporated Progressive multiple fingerprint enrollment and matching, and dynamic user account transitions
US10430632B2 (en) 2016-01-11 2019-10-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221B1 (ko) * 2005-04-02 2007-07-13 (주)엠게이트 단말의 식별정보 전환 방법 및 시스템
US9400893B2 (en) * 2011-12-15 2016-07-26 Facebook, Inc. Multi-user login for shared mobile devices
US9736265B2 (en) 2012-08-09 2017-08-15 Facebook, Inc. Handling notifications
US8914875B2 (en) 2012-10-26 2014-12-16 Facebook, Inc. Contextual device locking/unlocking
GB2508016A (en) * 2012-11-19 2014-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ing a device to a restricted mode
KR102341162B1 (ko) 2015-08-12 2021-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공동 사용을 위한 방법
KR20190074782A (ko) 2017-12-20 2019-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의 품질에 따라, 이미지를 지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인증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0632B2 (en) 2016-01-11 2019-10-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949639B2 (en) 2016-01-11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676413B2 (en) 2016-01-11 2023-06-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216977B2 (en) 2017-01-06 2019-02-26 Qualcomm Incorporated Progressive multiple fingerprint enrollment and matching, and dynamic user account tran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764A (ko) 200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2287B1 (en) Electronic apparatus
US728982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442257B1 (en) Configuration for charging in a telephone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configuration
US20100237991A1 (en) Biometric scanning arrangement and methods thereof
KR20100060192A (ko) 휴대 단말 장치의 방향 센서를 이용한 잠금 기능 제어 장치및 방법
CN104899056A (zh) 一种锁屏状态进入限制使用应用的移动终端及方法
KR10105499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자 환경 설정 방법
CN101507246A (zh) 无线通信终端上的数据私有性
CN105930707A (zh) 系统切换方法及装置
JPH0715523A (ja) 電話装置
CN109951598B (zh) 应用界面的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6066763B (zh) 终端解锁方法及装置
KR101564654B1 (ko)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197766A1 (zh) 通话方法和装置
JPH04352547A (ja) 個人認証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05020204A (ja) メモリダイヤルにおけるシークレット情報の登録・表示方法
US20050213723A1 (en) Telephony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020176565A1 (en) Method of telephone number dialing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KR20070056578A (ko) 휴대 단말기의 비밀번호 재설정 방법
KR100686072B1 (ko) 무선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입력방법
KR20040076639A (ko) 지문인식을 이용하여 단축 다이얼링을 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
KR100854395B1 (ko) 지문인식 관리기능을 이용하는 공용 전화기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195741B1 (ko) 명칭을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1045136A (ja) 電話機
KR101158909B1 (ko)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