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457B1 - 유착방지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착방지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457B1
KR101054457B1 KR1020080070785A KR20080070785A KR101054457B1 KR 101054457 B1 KR101054457 B1 KR 101054457B1 KR 1020080070785 A KR1020080070785 A KR 1020080070785A KR 20080070785 A KR20080070785 A KR 20080070785A KR 101054457 B1 KR101054457 B1 KR 101054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ga
adhesion
film
lactic acid
glyco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944A (ko
Inventor
윤강준
김석인
김광식
최기석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앤바이오
Priority to KR102008007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457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1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착방지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과적인 수술 후 손상된 장기와 주변장기가 달라붙는 현상인 유착을 방지하며, 생체 내에서 무해한 대사산물로 용이하게 분해ㆍ흡수ㆍ배설 가능하도록 젖산(D,L-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에스테르 결합체인 생체적합성 poly(D,L-lactide-co-glycolide) (PLGA)만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착방지필름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PLGA 유착방지필름은 젖산(D,L-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중합 조성비가 (50 내지 90):(10 내지 50)이고, 고유점도가 0.50 내지 1.00 ㎗/g이며, 두께가 20 내지 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LGA, 유착방지, 필름,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생체흡수성, 장기

Description

유착방지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Adhesion-Preventive Film and its process}
본 발명은 유착방지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과적인 수술 후 손상된 장기와 주변장기가 달라붙는 현상인 유착을 방지하며, 생체 내에서 무해한 대사산물로 용이하게 분해ㆍ흡수ㆍ배설 가능하도록 젖산(D,L-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에스테르 결합체인 생체적합성 poly(D,L-lactide-co-glycolide) (PLGA)만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착방지필름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외과적인 수술이 빈번히 행해지는 현대의학에서 아직까지 완벽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합병증들 중의 하나로서 수술 후 발생하는 조직 및 장기의 유착은 손상된 조직의 세포가 증식하고 재생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 되는 현상이지만, 필요 이상의 조직 간의 유착이나 의도하지 않은 주변 다른 조직 및 장기의 유착은 환자들에게 심각한 고통과 통증을 유발하며, 장기나 조직의 기능장애를 초래하고, 유착의 박리를 위한 재수술이 필연적으로 요구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조직유착(Tissue Adhesion)"을 일으키는 동기는 외과수술 후 염증, 창상 등에 따른 조직의 손상 또는 출혈로 인한 염증반응, 섬유소 원(fibrinogen)의 유출,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증식 및 섬유소기질(fibrin matrix)의 형성 등에 의하고, 손상된 조직과 인접한 체조직간 또는 조직과 내부 기관 사이에서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조직 성장이 발생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복부 수술 후 장유착이 발생하는 빈도는 60 내지 95 % 정도로 발생률이 상당히 높으며, 이중 일부는 가역성 유착(reversible adhesion)으로 자발적으로 분해되지만 대부분의 경우 염증이 지속되면서 비가역성 유착(irreversible adhesion)으로 전환되어 상처가 완전히 치유된 후에도 유착이 여전히 존재하게 되어 후유증 등을 유발한다.
따라서, 유착은 수술 자체에 의한 창상 치유과정의 일부로서도 발생 되므로, 완전한 예방이 어려워 수술시의 정확한 조직의 박리, 출혈방지, 항염제사용, 무균적 수술, 수술시간 단축과 봉합사의 적절한 선택으로 그 정도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그동안 조직 및 장기의 유착 방지제가 일부 개발되어 제한된 범위 내에서 임상에 이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고가의 수입 제품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유착방지에 효과적인 물리적 장벽으로서의 조건은, 상처가 치유되는 동안 조직 또는 장기의 물리적 장벽으로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처부위를 감싸서 주변 조직들과 격리시킬 수 있는 유연성이 요구되며, 손상된 조직의 재생 후 체내에서 스스로 분해되어 흡수 및 배출되어야 하고, 물리적 장벽이나 그로부터 분해된 산물들이 체내에서 독성이나 염증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유착방지제의 재료로서 생분해성 고분자가 사용되고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는 체내에서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그 형태와 무게가 점차 소멸 되는 고분자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천연고분자로는 콜라겐(collagen), 섬유결합소(fibronectin), 젤라틴(gelatin), 키토산(chitosan), 알긴산(alginic acid),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을 가공하여 사용하고, 합성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poly(lactic acid) (PLA), poly(glycolic acid) (PGA), poly(D,L-latide-co-glycolide) (PLGA)와 그 유사 공중합체들과 poly(ε-caprolactone) (PCL), polyanhydrides, polyorthoesters 등이 있다.
흡수성 cellulose를 재료로 이용하는 InterceedTM(Johnson & Johnson Medical, Inc.)는 Larsson 등에 의해 맹장 수술 후 복벽 유착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제안된 이후, 동물실험을 통한 대조군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효과가 없다는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sodium hyaluronate/carboxymethyl cellulose를 재료로 이용하는 seprafilmTM(Eenzyme Cop.)이 유착방지막으로 상품화 되어 사용되었으나, 유착방지 효과가 50 % 정도로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상처 부위에 혈액이 존재하는 경우는 유착방지 성능이 현저히 감소 되는 임상실험 결과에 의하여 확실한 효과를 입증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Gore-TexTM(W. L. Gore Co.)는 항혈전효과가 뛰어난 비활성 물질로 조직유착방지막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체내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체내에 이물질로 계속 남아있는 단점이 있으며, PRECLUDETM(Peritoneal Membrane)도 생 분해되지 않아 별도의 제거수술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에 언급한 상품화된 다양한 생분해성 고분자는 체내분해과정에서 일반적인 대사과정에 의하여 대사되고 제거 가능한 물질들로 분해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해산물 이외에도 다양한 분해 물질인 부산물을 나오게 한다. 이러한 것에는 개시제(initiators), 촉매제(catalysts) 그리고 용매(solvents) 등이 있는데, 이들은 공중합체의 제조과정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상대적으로 생체적합성(biocompatible)을 감소시키게 되며, 대체로 생체 내에 이식되거나 삽입되는 경우, 생체 내의 환경에 대해 독성이 있으며 국소염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합성고분자의 분해산물들의 유해작용은 경미하여 수용가능하나 다양한 화학적 가교 등을 통하여 체내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아 이물감을 증가시키고, 별도의 제거수술이 수반되는 비생체적합성 물질들을 부가하여 제조된 다량의 고분자가 포함된 유착방지제의 이식 또는 삽입에서는 심각한 반응을 유발하기도 한다. 대체로 합성고분자의 생체 내 분해성은 생체적합성, 물리적ㆍ화학적 성질, 구조적ㆍ기능적 성질 그리고 제조공정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즉, 고분자뿐 아니라 그 분해산물 또한 면역성이나 독성이 없어야하고, 이들의 분해와 흡수기간이 생체 조직이나 기관이 치유되는 기간과 근접해야 한다. 이러한 필요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합성고분자 물질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현재 임상학적으로 인체에 완전히 무해한 유착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외과적 수술, 감염 및 창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착의 심각성과 유착방지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종래의 유착방지제가 단순하게 주위 조직과의 유착방지에만 중점을 두고 있어, 아직까지 해결하지 못한 여러 가지 한계를 개선하여 보다 뛰어난 유착방지 효과를 제공하고, 원하는 부위에 유연하게 점착되어 적정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하고, 약물의 지속적인 방출로 상처치유를 유도하여 조직재생 촉진효과를 가지며, 생체 내에서 완전하게 무해한 대사산물로의 분해ㆍ흡수가 가능한 유착방지필름과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의 유착방지필름은, 각각 인체에 무해하며, 생체적합성이고 생분해성인 젖산(D,L-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중합 조성비를 (50 내지 90):(10 내지 50)으로 하고, 고유점도가 0.50 내지 1.00 ㎗/g, 두께가 20 내지 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유착방지필름의 제조방법은, D,L-lactic acid(LA)와 glycolic acid(GA)를 에스테르결합에 의하여 poly(D,L-lactide-co-glicolide)(PLGA) 공중합체로 중합시키는 단계와; PLGA를 용매에 용해시켜 균질한 PLGA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PMDS 또는 테플론 몰드에 PLGA용액을 부어 PLGA 필름을 제작하는 단계와; PLGA 필름 내의 유기용매를 증발ㆍ건조시키는 단계와; PLGA 필름이 고화된 후 주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고온ㆍ건조하여 잔류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착방지필름은 외과적인 수술 등 이후 혈액응고 및 조직세포들의 유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필름의 성질에 의하여 수술장기 및 조직들을 주변 조직들로부터 감싸고 격리시킬 수 있는 높은 유연성을 제공하고, 손상된 조직이 재생된 후 생체 내에서 스스로 인체에 무해한 체내대사산물로 완전하게 분해되어 그 분해산물들이 독성이나 염증 반응을 일으키지 않음으로써, 외과수술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착방지에 효과가 뛰어나고 생체 내에서의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생체적합성ㆍ생체흡수성 고분자인 PLGA만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착방지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PLGA만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착방지 필름은 조성 물질인 젖산(D,L-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이 각각 (50 내지 90):(10 내지 50)의 중합 조성비, 0.50 내지 1.00 ㎗/g의 고유점도 및 20 내지 40 ㎛의 필름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PLGA 유착방지필름은 조직표면에 대한 높은 유연성에 의하여 원하는 조 직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점착ㆍ유지가 가능하고,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체내에서 단분자량의 생분해성인 젖산(D,L-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으로 분해되어 용이하게 흡수 ㆍ 배설되는 특징과 함께, 드럭 딜리버리 시스템(Drug-delivery system)에 근거하여 수술부위 등에 직접 국소적으로 약물치료가 가능하다.
상기 PLGA는 세포 및 조직 친화성을 갖춘 생분해성 고분자로 천연 생분해성 고분자가 인위적으로 생분해속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는 것에 반하여 각각의 조성물이 중합되는 조성비에 따라 생분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PLGA 공중합체의 중합 조성비에 의하여 생체 내에서 이상적인 분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PLGA만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착방지필름은 생체 내에서 젖산(D,L-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으로 분해되어 생체 내의 트리카르복시산 회로(tricarboxylic acid cycle)의 효소작용에 의해 궁극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대사물질인 이산화탄소와 물의 형태로 완전히 체외배출된다.
또한, 드럭 딜리버리 시스템(Drug-delivery system)이라는 약물 치료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한 투여수단으로서의 기능도 갖는 상기 PLGA 유착방지필름은 독립적인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을 담지(conjugation)시킬 수 있으며, 담지되는 약물은 대체로 수술부위 등의 상처 치료에 유효성분으로 작용한다. 약물을 담지시킨 상기 PLGA 유착방지필름은 적은 양으로 약물이 서서히 방출하도록 하여 필름이 완전히 분해ㆍ흡수되는 장시간 동안 방출되더라도 체내에 약물이 축적되거나 국소 또는 전신에서의 부작용이 발생 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유착방지와 동시에 최적의 치료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PLGA 유착방지필름에 담지 할 수 있는 약물은 제한되지 않으며, 생리활성 단백질, 기능성 펩타이드제, 항암제, 항혈전형성 제제, 스테로이드제,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호르몬 케모스타틱 인자, 진통제 또는 마취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유착방지 목적의 물리적 장벽으로서 제안된 유착방지조성물(스폰지형, 겔형, 필름형)의 경우, 상처 부위에 부착되어 사용시 상처에서 유출된 혈액이나 세포 및 섬유소 등과 반응하여 주변 다른 조직들 간에 물리적 장벽 역할을 만족스럽게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상기 PLGA 유착방지필름은 원하는 부위에 높은 유연성으로 점착되어 상처로부터 유출된 혈액 등의 삼출물과의 반응에서도 분리ㆍ이동되지 않고 상처의 치료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물리적 장벽으로서의 기능 및 약물치료 기능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PLGA 유착방지필름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복막수술(장, 충양돌기, 당낭절제술, 신장, 방광, 요도 및 전립선 수술 등) 또는 부인과 수술(난관절개술, 난관박리술, 자궁내막증제거, 근종절제술 등), 근육골계 수술(척추절제술, 디스크절제술, 관절대체술 등), 흉부외과수술(심장밸브 대체술, 우회 문합술 등)분야에만 적용된 한계를 벗어나, 심장외과 수술, 직장 수술, 치과 수술, 각종 성형 수술 등의 일반적인 외과 분야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PLGA 유착방지필름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0.02g/㎖ 밀도의 PLGA 필름 제조방법을 기준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젖산(D,L-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을 에스테르결합에 의하여 poly(D,L-lactide-co-glicolide)(PLGA) 공중합체로 중합시킨다(101). 이때 젖산(D,L-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다양한 중합비와 다양한 분자량을 갖는 PLGA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50:50의 조성비의 PLGA 또는 75:25의 조성비의 PLGA를 사용하였다.
클로로포름(CHCl3)을 비롯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CH2Cl2), 2,2,2-trifluorothanol(TFE), 1,1,1,3,3,3,-hexafluoro-2-propanol(HFIP), N,N-dimethylformamide(DMF) 등의 다양한 용매 50㎖을 사용하여 1g의 PLGA를 용해시켜 PLGA 용액을 제조한다(102). 상기 용매에 PLGA를 균질하게 용해시키기 위하여 약 1시간 동안 용매에 녹인 PLGA를 교반기를 사용하여 일정한 속도로 교반시킨다.
이후에, 유착방지와 동시에 약물 치료 목적을 위하여 젖산(D,L-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을 중합시킨 PLGA를 용매에 용해시키는 과정에서 약물을 담지 할 수 있으며, 생리활성 단백질, 기능성 펩타이드제, 항암제, 항혈전형성 제제, 스테로이드제,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호르몬 케모스타틱 인자, 진통제 또는 마취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약물을 담지할 수 있다(103).
용매에 균질하게 용해된 PLGA 용액을 에탄올로 세척하여 건조시킨 PMDS 또는 테플론 몰드에 분해속도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도포하고,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00 ㎛의 두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40 ㎛의 두께,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의 두께를 가지는 PLGA 필름을 제작한다(104).
PMDS 또는 테플론 몰드에 적절한 두께로 PLGA 용액을 도포한 후 용매를 증발ㆍ건조시키기 위하여 70℃ 열풍 건조기에서 약 1시간 동안 증발ㆍ건조시킨다(105).
용매가 건조된 필름을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20℃ 프리저(freezer)에서 약 30분간 동결(106)시킨 다음 실온에서 약 15분 동안 용매를 서서히 증발시킨 후 PLGA 필름을 분리한다(107).
분리된 PLGA 필름을 50℃ 진공건조기에서 약 24시간 동안 진공ㆍ건조시켜 잔류용매를 완전히 제거한다(108). 상기 모든 제조공정은 후드 안에서 실시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PLGA 유착방지필름의 물리적 특성은 젖산(D,L-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조성비, 고유점도 및 두께에 따라서 상이하게 달라질 수 있고, 각 조성비, 고유점도 및 두께의 다양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제시되는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 실시예 1] 젖산(D,L- lactic acid )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조성비 50 : 50, 고유점도 0.53 ㎗/g 에 의한 PLGA 유착방지막
본 발명의 PLGA 유착방지막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젖산(D,L-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조성비가 50:50이고, 고유점도가 0.53 ㎗/g, 필름 두께가 20 ㎛ 및 40 ㎛인 PLGA 유착방지막을 각각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젖산(D,L- lactic acid )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조성비 75 : 25, 고유점도 0.68 ㎗/g 에 의한 PLGA 유착방지막
본 발명의 PLGA 유착방지막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젖산(D,L-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조성비가 75:25이고, 고유점도가 0.68 ㎗/g, 필름 두께가 20 ㎛ 및 40 ㎛인 PLGA 유착방지막을 각각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젖산(D,L- lactic acid )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조성비 75 : 25, 고유점도 1.00 ㎗/g 에 의한 PLGA 유착방지막
본 발명의 PLGA 유착방지막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젖산(D,L-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조성비가 75:25이고, 고유점도가 1.00 ㎗/g, 필름 두께 가 20 ㎛ 및 40 ㎛인 PLGA 유착방지막을 각각 제조하였다.
유착 단계의 구분
조직 유착 정도는 5 단계로 나누어 구분하였는데, 수술부위에 유착이 전혀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를 1 단계, 혈관분포가 전혀 없으며 조직들이 서로 유착이 되어 있더라도 쉽게 분리가능한 미약한 정도를 2 단계, 혈관분포가 형성되어 조직간에 쉽게 분리되지 않는 정도의 유착이 형성된 경우를 3 단계, 혈관분포가 왕성하게 되어 상처 부위의 약 50 % 정도가 유착이 형성된 경우를 4 단계, 혈관분포가 많아져서 조직들간의 유착이 약 70 % 이상 심화된 경우를 5 단계로 하였다.
[ 실험예 1] Rat 좌골신경 손상 모델을 이용한 필름형 PLGA 유착방지막과 대조군의 생체 내 유착방지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 2, 3에서 각각 제조한 PLGA 유착방지필름을 Rat의 좌골신경의 손상된 부위에 시술하였고, 대조군으로 사용한 Rat의 경우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았다. 모든 절개가 봉합 시술 후, 2주 후 유착의 발생률과 점착력을 살펴보았다.
상기의 생체 내에서의 유착방지 효과 실험 결과를 도 2 내지 6에 나타내었다.
도 2는 D,L-lactic acid(LA)와 glycolic acid(GA) 두 물질 간의 조성 비(component ratio),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 및 두께(thickness)를 달리하면서, 생체 내에서 유착방지 정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Rat 10마리 중 10마리 대부분에서 5단계의 유착이 발생하여 유착방지 효과가 전혀 없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착방지필름을 시술한 Rat의 경우에는, 조성비, 고유점도 및 두께가 변하더라도 90 내지 100 %의 유착방지 효과가 나타났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PLGA 유착방지필름의 생체 내에서의 유착의 정도를 D,L-lactic acid(LA)와 glycolic acid(GA) 두 물질의 조성비에 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고 절제 후 봉합한 대조군 Rat의 경우가 상처부위의 60 % 이상의 범위에서 정도가 심한 유착이 발생한 것에 비하여 LA와 GA 두 물질 간의 조성에 크게 상관없이 본 발명에 의한 유착방지필름을 시술한 Rat 80마리 중 약 4% 정도만이 쉽게 분리 가능한 미약한 유착이 발생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PLGA 유착방지필름의 생체 내에서의 유착의 정도를 고유점도(LA : GA 조성비가 75 : 25)에 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고 절제 후 봉합한 Rat의 경우 약 100 % 가 상처부위의 60% 이상의 범위에서 정도가 심한 유착이 발생함에 반하여 고유점도 0.68 및 1.0 ㎗/g 에 대하여 크게 차이 없이 본 발명에 의한 유착방지필름을 시술한 Rat 80마리 중 약 3% 정도만이 쉽게 분리 가능한 미약한 유착이 발생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LGA 유착방지필름의 생체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실험으로 상기 실시예 1, 2, 3에서와 동일한 PLGA 유착방지필름을 시술한 Rat과 대조군으로 어떠한 처리도 하지않은 Rat의 체중변화가 2 주 동안 유사한 수준을 보여 본 발명의 PLGA 유착방지필름이 생체 내에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며, 생체 내 적합성이 매우 우수하고, 안전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5에서와 같이 A는 LA와 GA 두 물질 간의 조성비가 75 : 25, 고유점도가 0.53 ㎗/g, 두께가 20 및 40 ㎛ 인 PLGA 유착방지필름을 Rat의 손상된 좌골신경 세포조직에 부착한 모델이고, B는 아무런 처리도 않지 않은 대조군 모델이다. A의 2주 후의 상태인 C의 경우, 손상된 좌골신경 세포조직이 주변조직과 장기들로부터 명백하게 분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B의 2주 후의 상태인 D의 경우, 유착이 상당히 발생하여 분리하기 힘들거나 별도의 절제술이 요구되었다.
또한, 2주 후 및 4주 후의 손상된 좌골신경 세포조직을 따로 분리하여 관찰한 결과를 도시한 도 6에서와 확인할 수 있듯이,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대조군 A의 경우, 신경세포 조직에 심한 정도의 유착이 발생 된 것에 비하여 PLGA 유착방지필름을 시술 한 Rat의 경우인 B(2주 후), C(4주 후)에서는 유착이 발생 되지 않은 깨끗한 좌골신경 세포조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실험 결과를 하기의 표 1 에 요약하였다.
[표 1]

구분

비율
점도(㎗/g)

두께
(㎛)

유착방지
%

개체수 (마리)

유착단계별 개체수
시술한 개체수 유착발생
개체수

1

2

3

4

5



PLGA

50:50
0.53
20 95 20 1 1
40 90 20 2 2
75;25
0.68
20 90 20 2 2
40 90 20 2 2
75:25
1.00
20 100 20 0
40 95 20 1 1
대조군 0 10 10 1 9
[ 실험예 2] Rat 복강조직 손상 모델을 이용한 필름형 PLGA 유착방지막과 대조군의 생체 내 유착방지 효과 실험
Rat 복강의 손상된 부위에 본 발명의 PLGA 유착방지필름을 삽입시키고, 대조군으로 사용한 Rat의 경우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았다. 모든 절개의 봉합 시술 2주 후 유착방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도 7은 Rat 복강의 손상된 부위에 PLGA 필름을 삽입시킨 복강조직 A와 복강의 손상된 부위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복강조직 B의 상태를 비교ㆍ관찰하기 위하여, 시술 2주 후의 복강조직을 적출하고, 적출한 조직을 이용하여 조직슬라이드를 제작한 후 1000 배율의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복강 조직 B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본 발명의 PLGA 유착방지필름을 삽입시킨 복강조직 A에서는 투명한 방지막을 형성하여 조직과 조직 사이가 명확하게 분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PLGA 유착방지필름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D,L-lactic acid(LA)와 glycolic acid(GA) 두 물질 간의 조성비(component ratio),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 및 두께(thickness)를 달리하면서, 생체 내에서 유착방지 정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PLGA 필름의 생체 내에서의 유착정도를 D,L-lactic acid(LA)와 glycolic acid(GA) 두 물질의 조성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PLGA 필름의 생체 내에서의 유착정도를 고유점도(LA : GA 조성비가 75 : 25)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D,L-lactic acid(LA)와 glycolic acid(GA) 두 물질 간의 조성비가 75 : 25, 고유점도가 0.53 ㎗/g, 두께가 20 내지 40 ㎛ 인 PLGA 필름을 Rat의 손상된 좌골신경 세포모델을 이용하여 시술 후, 2주 후의 유착정도와 대조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는 사진,
도 6은 D,L-lactic acid(LA)와 glycolic acid(GA) 두 물질 간의 조성비가 75 : 25, 고유점도가 0.53 ㎗/g, 두께가 20 내지 40 ㎛ 인 PLGA 필름을 Rat의 손상된 좌골신경 세포모델을 이용하여 시술 후, 2주 및 4주 후의 유착정도와 대조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는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PLGA 필름을 Rat의 손상된 복강 조직에 처리한 후, 2주 후의 복강조직 상태를 대조군과 비교ㆍ관찰한 광학현미경 사진.

Claims (5)

  1. D,L-lactic acid(LA)와 glycolic acid(GA)가 조성비 (50 내지 75):(25 내지 50)으로 서로 에스테르결합되어 있는 poly(D,L-lactide-co-glicolide)(PLGA)로 이루어져 있고,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가 0.50 내지 1.00 ㎗/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oly(D,L-lactide-co-glicolide)(PLGA)로 이루어져 있는 유착방지필름은 두께가 20 내지 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oly(D,L-lactide-co-glicolide)(PLGA)에 생리활성 단백질, 기능성 펩타이드제, 항암제, 항혈전형성제제, 스테로이드제,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호르몬 케모스타틱 인자, 진통제 및 마취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약물이 담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필름.
  4. D,L-lactic acid(LA)와 glycolic acid(GA)를 조성비 (50 내지 75):(25 내지 50)으로 서로 에스테르결합에 의하여 poly(D,L-lactide-co-glicolide)(PLGA) 공중합체로 중합시키는 단계;
    상기 PLGA를 용매에 용해시켜 균질한 PLGA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PMDS 또는 테플론 몰드에 상기 PLGA 용액을 부어 PLGA 필름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PLGA 필름 내의 유기용매를 증발ㆍ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PLGA 필름이 고화된 후 주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고온ㆍ건조하여 잔류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가 0.50 내지 1.00 ㎗/g 인 유착방지필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LGA를 용매에 용해시켜 균질한 PLGA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생리활성 단백질, 기능성 펩타이드제, 항암제, 항혈전형성제제, 스테로이드제,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호르몬 케모스타틱 인자, 진통제 및 마취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약물을 담지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80070785A 2008-07-21 2008-07-21 유착방지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54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785A KR101054457B1 (ko) 2008-07-21 2008-07-21 유착방지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785A KR101054457B1 (ko) 2008-07-21 2008-07-21 유착방지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944A KR20100009944A (ko) 2010-01-29
KR101054457B1 true KR101054457B1 (ko) 2011-08-04

Family

ID=4181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785A KR101054457B1 (ko) 2008-07-21 2008-07-21 유착방지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4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220B1 (ko) * 2014-11-27 2016-06-0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견 피브로인을 포함하는 필름형 유착방지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224609B (zh) * 2021-12-14 2024-01-30 曹佩培 一种中耳/咽鼓管防粘连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4288A1 (en) * 2005-12-13 2007-06-14 Edward Parsonage Anti-adhesion agents for drug coatings
KR100785378B1 (ko) * 2005-09-05 2007-12-14 주식회사 바이오레인 다층구조의 유착방지제
US20080119878A1 (en) * 2005-08-12 2008-05-22 Kai Deusch Surgical prosthesis having biodegradable and nonbiodegradable reg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9878A1 (en) * 2005-08-12 2008-05-22 Kai Deusch Surgical prosthesis having biodegradable and nonbiodegradable regions
KR100785378B1 (ko) * 2005-09-05 2007-12-14 주식회사 바이오레인 다층구조의 유착방지제
US20070134288A1 (en) * 2005-12-13 2007-06-14 Edward Parsonage Anti-adhesion agents for drug coat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944A (ko) 201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6061B1 (en) High molecular weight bioresorbable polymers and implantation devices thereof
Falabella et al. Novel macromolecular crosslinking hydrogel to reduce intra-abdominal adhesions
US5061281A (en) Bioresorbable polymers and implantation devices thereof
EP2792351A1 (en) Anti-adhesive composition, surgical mesh complex containing same for anti-adhesion functio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034968B2 (en) Multi-layered anti-adhesion device
KR20020062301A (ko) 수난용성화된 가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용도 및 그제조방법
US9421221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adhesion formation
WO2018187286A1 (en) A biodegradable, porous, thermally responsive injectable hydrogel as soft tissue defect filler
CN107519541B (zh) 一种预防腹腔术后粘连的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126734A (ko) 의료 기기, 하이드로겔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응용
EP3934707B1 (en) Biodegradable mesh implant for soft tissue repair, in particular hernia repair
KR100565881B1 (ko)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이용한 조직유착 방지제
Ikada Bioabsorbable fibers for medical use
KR101054457B1 (ko) 유착방지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EP3934706B1 (en) Biodegradable two-layered matrix for preventing post-surgical adhesions, in particular in hernia repair
JP2004051531A (ja) 水難溶性化した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ースを含有する癒着防止材
CN107007620B (zh) 对氧环己酮与l-苯丙氨酸共聚物及其应用
Park et al. Preparation of a cross-linked cartilage acellular matrix-poly (caprolactone-ran-lactide-ran-glycolide) film and testing its feasibility as an anti-adhesive film
KR101845885B1 (ko) 입자형 무세포 진피 기반의 온도감응성 유착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MengQing et al. Study on prevention of postoperative abdominal adhesions with PLGA nanofiber membrane
CN111378125B (zh) Pebp嵌段聚合物凝胶及其制备和应用
Dong et al. Preparation of healing promotive alanyl-glutamine-poly (p-dioxanone) electrospun membrane integrated with gentamycin and its application for intestinal anastomosis in rats
US947476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one growth
EP3522945B1 (en) Laminary material for preventing post-surgical adhesions
KR101626220B1 (ko) 견 피브로인을 포함하는 필름형 유착방지막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