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916B1 - 양방향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916B1
KR101053916B1 KR1020080125983A KR20080125983A KR101053916B1 KR 101053916 B1 KR101053916 B1 KR 101053916B1 KR 1020080125983 A KR1020080125983 A KR 1020080125983A KR 20080125983 A KR20080125983 A KR 20080125983A KR 101053916 B1 KR101053916 B1 KR 101053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pole
housing
power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420A (ko
Inventor
임헌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휀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휀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휀스타
Priority to KR1020080125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91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8Contacts alternately opened and closed by successive cycles of energisation and de-energisation of the electromagnet, e.g. by use of a ratch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60Contact arrangements moving contact being rigidly combined with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10Contacts retained open or closed by a latch which is controlled by an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09Polarised relays with rectilinearly movable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09Polarised relays with rectilinearly movable armature
    • H01H2051/2218Polarised relays with rectilinearly movable armature having at least one movable permanent mag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영구자석; 전원의 공급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양 끝단에 구비되는 도체인 극변환판; 및 상기 전자석에 고정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영구자석은 각각 상기 하우징의 양측 수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석의 극변환판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됨으로써,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에 고정된 샤프트가 움직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양방향, 개폐장치, 극변환판, 전자석, 영구자석

Description

양방향 개폐장치 {Bidirectional Switch}
본 발명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석에 단속적으로 전원이 인가될 때마다 유체 등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소자분야의 발달로 다양한 전자 스위치가 개발되어 산업분야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자식 스위치의 하나로 전자석을 이용하는 스위치가 사용되는데,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석을 자화시킴으로써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즉,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석을 이루는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에는 ON 또는 OFF의 어느 한 기능을 수행하다가,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그 반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식 스위치는 상시 전원을 공급 받아야 ON/OFF의 어느 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자식 스위치는 상시 소비 전류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전력 손실이 당하고, 뜻하지 않게 정전 등이 되는 경우에는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음에 따른 사고 나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도 작동시킬 수 있는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기 공급이 불안정한 경우에 사고 발생 빈도를 줄일 수 있어 안정적으로 개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적은 전원 공급만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는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영구자석; 전원의 공급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양 끝단에 구비되는 도체인 극변환판; 및 상기 전자석에 고정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영구자석은 각각 상기 하우징의 양측 수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석의 극변환판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됨으로써,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에 고정된 샤프트가 움직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석에 계속하여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서도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기를 비약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전원의 공급이 불필요하므로, 전기 공급의 불안정성에 따른 문제점 등을 완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폐장치(1)의 구체적인구성과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개폐장치(1)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양방향 개폐장치(1)는 하우징(10) 내부에 영구자석(20)과 전자석(30)을 포함하며, 전자석을 관통하여 설치된 샤프트(40)를 통해서, 동력이 전달되어 스위치 기능을 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영구자석(20)과 전자석(30) 및 샤프트(40)를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도면과 같이, 영구자석(20)이 올려지는 수평부(11)와 수평부(11)의 양 단으로부터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수직부(12)를 포함하여 └┘자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수평부(11)에는 영구자석(20)이 설치되며, 상기 영구자석(20)은 N극와 S극이 옆으로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상·하로 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에는 양극이 상·하로 배치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 내에는 영구자석(20) 이외에도 전자석(30)이 배치되는데, 상기 전자석(30)은 보빈(미도시)에 코일(37)이 감겨 구성되고, 상기 보빈의 양측단 부에는 각각 극변환판(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극변환판(35)과 보빈은 전자석(30)의 일부가 되므로 전자석(30)의 세기를 증가킬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40)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극변환판(35)을 구비한 상기 전자석(30)에 고정·설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석(30)이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상기 샤프트(40)는 전자석(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양 극변환판(35)과 코일(37)이 감긴 보빈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나아가 하우징(10)의 수직부(12)까지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석(30)의 보빈과 양 극변화판(35)에는 서로 연통되는 샤프트홀(33)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a에서 보듯이, 상기 샤프트홀(33)을 통해 상기 샤프트(4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40)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된 샤프트홀(13)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40)가 움직이는 경로를 유도하는 막대 형상의 가이드부재(41)가 상기 샤프트(40) 주변에 같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하우징(10), 보빈 및 극변환판(35)에는 상기 가이드부재(41)가 삽입·설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14, 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에는 각각 도 1a의 양방향 개폐장치(1)에 전원을 공급한 경우, 전자석(30)과 샤프트(40)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a에서, 영구자석(20)은 상·하로 극이 분리되어 있고, 수평판(11)에 접한 극이 N극이며, 하우징(10)이 도체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하우징(10) 자체가 N극으로 자화된다. 이때, 전자석(3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전류의 흐름에 따라, 상기 전자석(30)의 극변환판(35)이 각각 다른 극으로 자화되고, 도 2a에서 보듯이, 왼쪽 극변환판(35)이 S극으로 자화되는 경우, 상기 영구자석(20)의 S극과의 사이에 척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오른쪽 극변환판(35)이 N극과 영구자석(20)의 S극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전자석(30) 자체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전자석(30)에 고정·설치된 샤프트(40)도 같이 움직이게 된다.
상기 전자석(30)의 위치가 변화하는데는, 상기 영구자석(20)과 전자석(30)의 양 극변환판(35) 사이의 자기력 이외에도, 상기 영구자석(20)의 N극과 접하여 N극으로 자화된 하우징(10)의 수직판(12)과 상기 전자석(30)의 양 극변환판(35) 사이의 자기력도 영향을 주게 되므로, 같은 용량의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더 쉽게 전자석(3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의 공급으로 전자석(30)이 움직이게 되면, 그 이후에는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더라도, 영구자석(20)과 그 자체로 도체인 전자석(30)이 서로 밀착·고정되므로, 종래의 기술과 같이, 일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2b에서는 도 2a와 반대로 전류의 흐름을 바꾸어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전자석(30)의 위치 변화를 보여주는데, 전류의 흐름에 따라, 순간적으로 전자석(30)의 양 단에 위치한 극변환판(35)의 극이 바뀌게 되면, 왼쪽의 극변환판(35)이 N극이 되어, 영구자석(20)의 S극과의 사이에 인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오른쪽 극변환판(35)의 S극과 영구자석(20)의 S극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여, 전자석(30) 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N극으로 자화된 하우징(10)의 수직부(12)는 도 2a에서와 같이, 전자석(30)의 극변환판(35)과의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여, 전자석(30)의 이동을 보조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자석(30)과 샤프트(40)가 움직이게 되면, 샤프트(40)가 움직이는 길이방향의 연장선상에 설치된 개폐부재의 단부를 상기 샤프트(40)의 단부가 가압하거나, 상기 개폐부재와 샤프트(40)의 단부가 연결되는 등의 방법으로, 상기 양방향 개폐장치(1)가 스위치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양방향 개폐장치(1)가 가스 밸브에 사용되는 경우, 전원의 공급에 의하여, 전자석(30)이 움직이게 되면, 상기 샤프트(40)도 같이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샤프트(30)의 일단에 연결된 개폐부재가 열리거나 닫히게 되어 가스관을 개폐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양방향 개폐장치(1)는 순간적인 전원공급만으로도 스위치 기능이 가능하며, 전류의 방향을 바꿔 공급함으로써, ON/OFF의 양방향 구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양 극변환판(35)과 하우징(10)의 수직부(12)가 접하게 되는 면에는, 고무 패킹 등의 완충부재(36)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36)에도 샤프트(40) 또는 가이드부재(41)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3b에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개폐장치(1)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양극이 좌·우로 배치된 영구자석(20)을 사용하였다. 상기 하우징(10) 내에 배치되는 전자석(30)에는 보빈(미도시) 중앙에 형성되어 보빈을 양분하는 절연부재(3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절연부재(32)를 사이에 두고, 보빈의 양측에 각각 코일(37)이 감겨있다. 상기 절연부재(32)는 에폭시 등의 다양한 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보빈 양측의 코일(37)은 별개로 권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에는 각각 도 3a의 양방향 개폐장치(1)에 전원을 공급한 경우, 전자석(30) 및 샤프트(40)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N극을 왼쪽에, S극을 오른쪽에 배치시킨 영구자석(20)을 이용하여 하우징(10)의 수직부(12) 역시, 각각 N극와 S극으로 자화시킨 상태이다. 상기 전자석(30)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양 극변환판(35)이 자화되는데, 절연부재(32)를 사이에 두고, 양 극변환판(35)이 같은 극이 되도록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쪽 극변환판(35)이 모두 N극으로 자화되는 경우, N극으로 자화된 하우징(10)의 수직부(12)와 전자석(30)의 N극끼리 서로 밀어내게 되고, 오른쪽 극변환판(35)은 S극으로 자화된 하우징(10)의 수직부(12)와 서로 당기게 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30)이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석(20)에 의하여 자화된 하우징(10) 자체가 자석이 되므로, 하우징(10)의 양 수직부(12)에서 자기력이 가장 강해지고, 상기 전자석(30)의 극변환판(35)과의 사이에서 강한 인력 및 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 4b에서도 마찬가지로, 양 극변환판(35)이 S극으로 자화되는 경우, 하우징(10)의 수직부(12)와의 인력 또는 척력의 작용으로 전자석(30)이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자석(30)이 순간적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면서 스위치 기능을 갖게 되며, 한 번 이동한 전자석(30)은 이후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영구자석(20)에 의해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적은 전원으로도 안정적으로 스위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영구자석(20)은 판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직사각의 판형에서, 상부의 일방향으로 나란한 한 쌍으로 모서리 부분에는 R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사각형의 자석에서는, 양 극의 단부 또는 모서리에서 자력이 가장 세므로, 영구자석(20)의 상면에 위치하는 극이 하우징(10)의 자화에 영향을 주어, 의도하는 바와 다르게 전자석(30)이 움직일 우려가 있으므로, 양 극의 단부 또는 모서리 부분에 R면을 형성하여, 상기 극변환판(35)과 영구자석(20)이 과도하게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극을 상·하로 배치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10)이 하나의 극성을 띠도록 자화되면, 전자석(30)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으므로, 도 1a 내지 도 2b에서 보듯이 상기 영구자석(20)의 하단에 배치되는 극만이 상기 하우징(10)에 직접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에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개폐장치(1)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로 된 영구자석(21, 22)를 사용하였다. 상기 영구자석(21, 22)는 하우징의 수직부에 각각 구비된다. 이 경우에는 하우징으로써 부도체를 사용하여 영구자석에 의해 하우징이 자화되지 않는다. 상기 2개의 영구자석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 수직부의 내부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자석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도 6a 및 6b에는 각각 도 5a의 양방향 개폐장치에 전원을 공급한 경우, 전자석 및 샤프트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영구자석을 하우징의 수직부 양측에 구비시켰다. 상기 2개의 영구자석은 모두 N극이 하우징의 내부로 향하도록 배치하였다.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류의 흐름에 따라, 상기 전자석의 양 극변환판이 각각 다른 극으로 자화된다. 도 6a에서 보듯이, 왼쪽 극변환판이 S극으로 자화되는 경우, 왼쪽 극변환판의 S극과 영구자석의 N극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전자석 자체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전자석에 고정, 설치된 샤프트도 같이 움직이게 된다. 도 6b에서는 도 6a와 반대로 전류의 흐름을 바꾸어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전자석의 양 단에 위치한 극변환판의 극이 바뀌게 되면, 오른쪽의 극 변환판이 S극이 되어, 오른쪽 극변환판의 S극과 영구자석의 N극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전자석 자체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전자석에 고정, 설치된 샤프트도 같이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의 공급으로 전자석이 움직이게 되면, 그 이후에는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더라도 영구자석과 그 자체로 도체인 전자석이 서로 밀착·고정되므로, 일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다.
도 7a 및 도 7b에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개폐장치(1)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2개로 된 영구자석(21, 22)를 사용하였다. 상기 영구자석(21, 22)는 하우징의 수직부에 각각 구비된다. 이 경우에는 하우징으로써 부도체를 사용하여 영구자석에 의해 하우징이 자화되지 않는다. 상기 2개의 영구자석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 수직부의 내부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자석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전자석에는 보빈(미도시) 중앙에 형성되어 보빈을 양분하는 절연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보빈의 양측에 각각 코일이 감겨있다. 상기 절연부재는 에폭시 등의 다양한 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보빈 양측의 코일은 별개로 권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 및 8b에는 각각 도 7a의 양방향 개폐장치(1)의 전원을 공급한 경우, 전자석 및 샤프트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영구자석을 하우징의 수직부 양측에 구비시켰다. 상기 2개의 영구자석 중 왼쪽의 영구자석은 N극이, 오른쪽의 영구자석은 S극이 하우징의 내부로 향하도록 배치하였다.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류의 흐름에 따라, 양 극변환판이 자화되는데, 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 극변환판이 같은 극이 되도록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쪽 극변환판(35)이 모두 N극으로 자화되는 경우, N극인 하우징의 왼쪽 영구자석(21)과 극변환판의 N극끼리 서로 밀어내게 되고, 오른쪽 극변환판은 S극인 오른쪽 영구자석(22)과 서로 당기게 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이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8b에서도 마찬 가지로, 양 극변환판이 S극으로 자화되는 경우, N극인 하우징의 왼쪽 영구자석(21)과 극변환판의 S극끼리 서로 당기게 되고, 오른쪽 극변환판은 S극인 오른쪽 영구자석(22)과 서로 밀게 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이 왼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노출된 샤프트(40)의 일단부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양방향 개폐장치(1)를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양방향 개폐장치(1)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영구자석(20)과 도체로 이루어진 극변환판(35)의 밀착에 의하여, 조작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a의 양방향 개폐장치에 전원을 공급한 경우, 전자석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a의 양방향 개폐장치에 전원을 공급한 경우, 전자석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5a의 양방향 개폐장치에 전원을 공급한 경우, 전자석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7a의 양방향 개폐장치에 전원을 공급한 경우, 전자석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양방향 개폐장치 10. 하우징
11. 수평부 12. 수직부
13. 샤프트 홀 14. 가이드 홀
20. 영구자석 21. 영구자석
22. 영구자석 30. 전자석
32. 절연부재 33. 샤프트 홀
34. 가이드 홀 35. 극변환판
36. 완충부재 37. 코일
40. 샤프트 41. 가이드 부재

Claims (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영구자석;
    전원의 공급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양 끝단에 구비되는 도체인 극변환판; 및
    상기 전자석에 고정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영구자석은 각각 상기 하우징의 양측 수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석의 극변환판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됨으로써,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에 고정된 샤프트가 움직이고,
    상기 전자석은 복수 개가 나란히 절연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석의 양 끝단에 구비된 한 쌍의 극변환판이 서로 동일한 극으로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영구자석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 수직부의 내부 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영구자석 각각의 제1 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며,
    상기 두 개의 영구자석의 제1 면은 극성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석의 양 끝단에 구비된 한 쌍의 극변환판이 서로 상이한 극으로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영구자석 각각의 제1 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며,
    상기 두 개의 영구자석의 제1 면은 극성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장치.
  6. 삭제
KR1020080125983A 2008-12-11 2008-12-11 양방향 개폐장치 KR101053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983A KR101053916B1 (ko) 2008-12-11 2008-12-11 양방향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983A KR101053916B1 (ko) 2008-12-11 2008-12-11 양방향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420A KR20100067420A (ko) 2010-06-21
KR101053916B1 true KR101053916B1 (ko) 2011-08-04

Family

ID=4236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983A KR101053916B1 (ko) 2008-12-11 2008-12-11 양방향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9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177A (ko) * 2000-03-21 2001-10-24 박효선 릴레이 구조
KR20050027282A (ko) * 2003-09-15 2005-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영구자석을 이용한 회로 선택형 릴레이
KR20050034267A (ko) * 2003-10-09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석 제어를 통한 다중 접점 릴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177A (ko) * 2000-03-21 2001-10-24 박효선 릴레이 구조
KR100328787B1 (ko) * 2000-03-21 2002-03-15 대아공조 주식회사 릴레이 구조
KR20050027282A (ko) * 2003-09-15 2005-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영구자석을 이용한 회로 선택형 릴레이
KR20050034267A (ko) * 2003-10-09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석 제어를 통한 다중 접점 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420A (ko) 201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432B1 (ko) 절전형 전자 접촉기
JP5932772B2 (ja) 電磁動作スイッチ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
CN103140910A (zh) 接触机构和使用该接触机构的电磁接触器
JP2012089491A (ja) 電磁開閉装置
JP7002042B2 (ja) 電磁継電器
CN101834509A (zh) 一种新型电磁驱动器及其应用
KR101841936B1 (ko)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KR100958116B1 (ko) 유체 통로 양방향 개폐장치
JP2011258955A (ja) 双安定永久磁石型アクチュエータ
KR101053916B1 (ko) 양방향 개폐장치
US11978604B2 (en) Arc path forming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comprising same
KR102290582B1 (ko) 개폐기
CN202339850U (zh) 磁电行程控制动力装置
CN104299856A (zh) 一种磁保持直流接触器
US9734972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182849B1 (ko)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결합한 자성체 홀딩장치
CN220306193U (zh) 断路器驱动用电磁铁
KR102114236B1 (ko) 절전형 전자 개폐기
KR101283713B1 (ko) 솔레노이드 스위치
KR20000056768A (ko) 영구자석 여자 횡자속형 선형 액츄에이터
KR102278651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CN219303521U (zh) 一种驱动电弧运动用无极性磁场结构
KR102339180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0231067B1 (ko)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전자식 도어 쇄정장치용 전자식 개폐기
KR200436130Y1 (ko) 개선된 래치 콘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