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698B1 -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698B1
KR101053698B1 KR1020100033625A KR20100033625A KR101053698B1 KR 101053698 B1 KR101053698 B1 KR 101053698B1 KR 1020100033625 A KR1020100033625 A KR 1020100033625A KR 20100033625 A KR20100033625 A KR 20100033625A KR 101053698 B1 KR101053698 B1 KR 101053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dripper
cup
cup holder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이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수 filed Critical 이경수
Priority to KR102010003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47J31/103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with a siphon in the water heating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두 커피 추출장치를 드립 방식과 사이펀 방식을 혼합하여 에스프레소에서 구현할 수 없는 레귤라 커피, 마일드 커피, 아메리카노 커피 등을 원두 커피의 추출시 맛과 향을 최대한 유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간편하고 효율적인 구조로서 제작할 수 있음으로써 제작 단가의 절감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폭넓게 보급할 수 있음은 물론, 원두 커피를 추출할 때마다 커피 슬러지를 거르기 위한 여과 필터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커피 슬러지가 쌓여 있는 여과 필터를 폐기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개인의 취향에 맞는 레시피를 구현한 커피를 한 잔씩 원하는 지점에 원터치로 자동 추출할 수 있으며, 부품의 세척이 용이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 위생적인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및 그 방법{Vacuum type brewed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at}
본 발명은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두 커피 추출장치를 드립 방식과 사이펀 방식을 혼합하여 원두 커피의 추출시 맛과 향을 최대한 유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간편하고 효율적인 구조로서 제작할 수 있으며, 원두 커피를 추출할 때마다 커피 슬러지를 거르기 위한 여과 필터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커피 슬러지가 쌓여 있는 여과 필터를 폐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즉석 음용 커피는 냉동 건조된 커피 분말을 주원료로 하고, 이에 프림, 설탕 등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냉동건조 커피 분말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커피는 맛과 향이 커피 원두를 갈아서 우려내는 이른바 원두 커피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맛과 향이 살아있는 원두 커피를 즐기기 위해서는 가정에서 직접 커피 메이커를 이용하여 커피를 만들어 마시거나, 원두커피 전문점 등을 이용하게 된다.
커피숍이나 가정에서 원두 커피 분말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원두 커피는 일반적으로 드립 방식 커피메이커를 이용하여 제조하는데, 커피메이커를 통해 원두 커피를 제조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피메이커의 호퍼에 종이나 금속/폴리머 메쉬 등으로 제작된 필터를 장착시킨 다음, 필터 내에 원두 커피 분말을 넣은 후, 물을 끓여 호퍼로 제공하는 탱크에 물을 부으면, 끓여진 물이 필터 내의 원두 커피 분말에 제공되고, 원두 커피가 우러나와 커피메이커 하부의 커피 포트에 저장되며, 이 커피 포트의 하부에는 커피 포트에 열을 가하는 히터가 설치되어 커피 포트에 수용된 원두 커피가 식지 않도록 보온한다.
이렇게 커피메이커를 이용할 경우 원두 커피 분말과 물을 커피메이커에 제공하여 원두 커피를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보온기능에 의해 추출된 원두 커피를 보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한 잔씩 개인 취향에 맞는 커피를 원할 때 추출할 수 없으며, 표준화된 레시피를 구현할 수 없어 조리하는 사람마다 맛이 달라지고, 또한 자동화되어있지 않아 사용이 매우 불편하며, 원두 커피를 대량으로 추출하여 보온할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급격하게 원두 커피의 맛과 향이 저하되며, 심할 경우 탄 맛이 나기도 하기 때문에 원두 커피를 최적의 맛과 향을 유지한 상태로 공급할 수 없고, 다양한 형태의 원두 커피를 제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증기압과 진공을 이용하는 사이펀 방식의 커피메이커는 상하 모래시계와 같이 두 개의 포트가 중간에 밀폐된 상태로 되어 있는 구조로서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 분말을 필터 위에 필요량을 넣고, 하단에는 필요량의 물을 넣어 하단 포트를 가열하면 진공압에 의해 뜨거워진 물이 상단 포트로 올라가게 되며, 이 뜨거워진 물이 다 올라갔을 때 상단의 커피 분말을 물속에 잘 풀리도록 휘저어주면 분말 슬러지는 상단에 남고 물에 희석된 커피만이 내려온 후, 상단의 포트는 제거하고 하단의 포트를 주전자처럼 컵에 부어 커피를 마실 수 있다. 이러한 사이펀 방식의 커피메이커는 맛과 향이 드립 방식에 비해 우수하지만, 유리구조에 밀폐를 하기 위한 패킹을 분리시 빼기 어렵고, 잘못 취급하면 유리 대롱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인해 취급이 불편하며, 가열원인 알콜 램프가 과열시 폭발할 위험성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커피향이 농축된 에스프레소 등의 진한 커피를 자동으로 만들 수 있는 자동 에스프레소 머신과 같은 커피메이커는 고온 및 고압으로 추출함으로 드립식이나 사이펀식에서 추출되는 커피와는 맛이 상이하게 다르고, 특히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레귤러 커피, 마일드 커피, 아메리카노 커피 제조에 적합하지 않고 진하게 마시는 리얼에스프레소 커피나 까페라떼 등 메뉴 커피용으로 적합하며, 특히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원두 커피 전문점 이외에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손쉽게 구입하여 사용하기 어려우며, 특히 상기한 종래의 커피메이커는 원두 커피를 추출할 때마다 커피 슬러지를 거르기 위한 여과 필터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커피 슬러지가 쌓여 있는 여과 필터를 폐기시킬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부품의 세척이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없으며, 복잡한 구조로 인해 부품이 많이 필요하여 제작 단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원두 커피 추출장치를 드립 방식과 사이펀 방식을 혼합하여 원두 커피의 추출시 맛과 향을 최대한 유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간편하고 효율적인 구조로서 제작할 수 있어서 제작 단가의 절감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폭넓게 보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두 커피를 추출할 때마다 커피 슬러지를 거르기 위한 여과 필터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커피 슬러지가 쌓여 있는 여과 필터를 폐기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개인의 취향에 맞는 표준화된 레시피를 구현한 커피를 한 잔씩 원하는 시점에 원터치로 자동 추출할 수 있으며, 부품의 세척이 용이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 위생적인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분쇄 원두 커피 분말을 충진하기 위한 충진 박스의 하부에 고정되는 컵홀더 지지부재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의 내부에 승강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컵홀더와, 상기 컵홀더의 내주면에 안착되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어 커피 분말과 온수가 낙하되는 드립퍼 컵과, 상기 드립퍼 컵의 내벽면에 부착된 잔여 커피 슬러지를 긁어내기 위한 커피 슬러지 제거수단과, 상기 드립퍼 컵의 하부에 장착되어 여과 필터를 투입 및 공급하기 위한 필터 투입 및 공급수단과, 상기 드립퍼 컵의 하단과 밀착되어 진공 상태로 원두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커피 추출 및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충진 박스의 배출관 하부에 고정된 컵홀더 지지부재의 양측에는 원두 커피의 추출시 컵홀더가 하강한 후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편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고정편의 단부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이 각각의 고정편의 통공에는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전자석에 의해 작동되는 경사면을 갖는 고정핀이 돌출되어 통공을 통해 출몰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각각의 통공 내의 고정핀에는 고정핀의 작동시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이 삽입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의 내부에는 수평 지지바와 수직 지지바가 결합되어 구성된 사각틀 형상을 갖는 컵홀더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드립퍼 컵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드립퍼 컵을 상기 컵홀더의 수평 지지바가 관통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고정 고리가 이격되어 90도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드립퍼 컵의 하단 내주연에는 탄성 패킹이 하단으로 돌출되어 부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의 내부에 승강 구동수단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 내의 하부 양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 1,2 회전축과, 상기 제 1,2 회전축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컵홀더 수직 지지바의 하부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톱니 형상의 요철홈과 맞물려 제 1,2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컵홀더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컵홀더 구동기어와, 상기 제 1,2 회전축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어 제 1 회전축의 회전력을 제 2 회전축으로 전달하기 위해 회전하는 제 1,2 구동기어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된 회전 중계축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제 1,2 구동기어의 상부와 상호 접속되어 회전되는 제 1,2 종동기어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 내의 후방에 장착되며 제 1 회전축의 단부에 접속되어 제 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모터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피 슬러지 제거수단은 상기 드립퍼 컵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원두 커피의 추출시 회전하며 드립퍼 컵의 내주면에 부착된 잔여 커피 분말을 긁어내기 위한 복수개의 와이어 브러쉬가 이격되어 하방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고정되는 드립퍼 브러쉬와, 상기 컵홀더의 상부 내측에 장착되어 드립퍼 브러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드립퍼 브러쉬 구동모터와, 이 드립퍼 브러쉬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장착되어 드립퍼 브러쉬 외주면의 요철홈과 맞물려 드립퍼 브러쉬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드립퍼 브러쉬를 회전시키는 드립퍼 브러쉬 구동기어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투입 및 공급수단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어 복수매의 여과 필터가 적층되는 필터 투입박스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의 하부에 장착된 필터 장착박스 내의 일단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제 1,2 구동 로울러축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사이로 투입되는 여과 필터를 공급하기 위해 회전하는 제 1,2 구동 로울러와, 상기 필터 장착박스 내의 개방된 타단 양측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제 1,2 종동 로울러축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 1,2 종동 로울러와, 상기 제 1 구동 로울러의 양단과 제 1 종동 로울러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구동 로울러의 회전력을 제 1 종동 로울러로 전달하기 위한 제 1 타이밍 벨트와, 상기 제 2 구동 로울러의 양단과 제 2 종동 로울러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 2 구동 로울러의 회전력을 제 2 종동 로울러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타이밍 벨트와, 상기 제 2 구동 로울러와 제 2 종동 로울러의 사이에 설치되어 여과 필터가 안착되는 빈 공간부가 형성되어 원두 커피의 추출 완료후 커피 슬러지가 쌓인 여과 필터를 본체 내의 커피 슬러지 박스로 낙하하여 폐기시키기 위한 이송 부재와, 상기 제 1,2 구동 로울러축의 일단에 상호 맞물려 설치되는 제 1,2 구동기어와, 이 제 1 구동기어에 장착되어 제 1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4 모터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피 추출 및 구동수단은 필터 장착박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의 지지 부재에 고정되며 컵홀더에 의해 지지되어 하강하는 드립퍼 컵의 하단 내주연에 돌출 부착된 탄성 패킹과 원두 커피의 추출시 밀착되는 탄성 패킹이 상단 내주연에 부착되고 이 탄성 패킹의 내측에는 망체가 설치되어 추출된 원두 커피를 커피 포트로 배출시키기 위한 진공 추출 실린더와,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의 내부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며 원두 커피의 추출시 진공 추출 실린더의 내벽면과 밀착되어 승강되는 실린더 피스톤과, 이 실린더 피스톤의 하단 중앙에 설치되어 진공 추출 실린더의 통공을 관통하며 실린더 피스톤을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시키기 위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의 하단 일측에 장착되어 실린더 피스톤을 승강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5 모터와, 이 제 5 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제 5 모터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이 회전 부재의 하단에 설치되어 회전 부재와 연동되며 피스톤 로드의 하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충진 박스의 후방에는 분쇄 원두커피 용기에 수록되어 있는 분쇄 원두 커피의 유통기한, 메뉴별 커피 투입량, 추출수 및 희석수량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감지 센서가 부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분쇄 원두 커피의 추출시 여과 필터를 공급하여 진공 추출 실린더의 상단에 안착하는 단계와, 컵홀더 지지부재에 승강되도록 설치된 컵홀더를 하강시켜 컵홀더에 안착된 드립퍼 컵의 하단을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의 상단에 밀착하는 단계와. 상기 드립퍼 컵의 내부에 원두 커피 분말과 온수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드립퍼 컵의 내부에 혼합되어 제조된 원두 커피를 진공 추출 실린더의 내부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컵홀더를 상승시킨 후 드립퍼 컵의 내벽면에 붙어 있는 커피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드립퍼 브러쉬를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커피 슬러지가 쌓여 있는 여과 필터를 이송하여 커피 슬러지 박스로 낙하시킴과 동시에 진공 추출 실린더의 제조된 원두 커피를 배출하고 진공 추출 실린더의 상부에서 희석수를 투입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드립퍼 컵의 내부에 원두 커피 분말과 온수를 공급하여 혼합하는 단계에서는 컵홀더의 상부 내측에 장착된 드립퍼 브러쉬 구동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모터축과 드립퍼 브러쉬 구동기어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드립퍼 컵의 상단 외주면에 삽입된 드립퍼 브러쉬 외주면의 요철홈과 맞물린 드립퍼 브러쉬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드립퍼 브러쉬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이 드립퍼 브러쉬의 내측에 고정된 복수개의 와이어 브러쉬가 회전하면서 드립퍼 컵의 내벽면에 붙어 있는 커피 슬러지를 긁어내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두 커피 추출장치를 드립 방식과 사이펀 방식을 혼합하여 에스프레소에서 구현할 수 없는 레귤라 커피, 마일드 커피, 아메리카노 커피 등을 원두 커피의 추출시 맛과 향을 최대한 유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간편하고 효율적인 구조로서 제작할 수 있음으로써 제작 단가의 절감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폭넓게 보급할 수 있음은 물론, 원두 커피를 추출할 때마다 커피 슬러지를 거르기 위한 여과 필터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커피 슬러지가 쌓여 있는 여과 필터를 폐기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개인의 취향에 맞는 레시피를 구현한 커피를 한 잔씩 원하는 지점에 원터치로 자동 추출할 수 있으며, 부품의 세척이 용이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 위생적인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인해 원두 커피 추출장치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퍼 컵과 드립퍼 브러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의 내부에 컵 홀더와 축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퍼 컵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퍼 컵과 진공 추출 실린더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필터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수단을 각각 나타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퍼 컵과 드립퍼 브러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의 내부에 컵 홀더와 축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퍼 컵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퍼 컵과 진공 진공 추출 실린더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필터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수단을 각각 나타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원두 커피 추출장치는 본체(10) 내의 상단에 분쇄 원두커피 분말을 충진하기 위해 호퍼 형상을 갖는 충진 박스(20)가 장착되고, 이 충진 박스(20) 내의 하단에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회전 날개(32)가 등간격으로 설치된 회전축(30)이 설치되며, 상기 충진 박스(20)의 후방 하단에는 회전축(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 1 모터(40)가 상기 회전축(30)의 후방 단부와 연결되어 장착되고, 상기 충진 박스(20)의 전방 하단에는 상기 제 1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30)이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 날개(32)가 회전하면서 전진하는 커피 분말을 충진 박스(20)의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50)이 연통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충진 박스(20)의 배출관(50) 하부에는 컵홀더 지지부재(60)가 본체(10)에 고정되는데, 이 컵홀더 지지부재(60)의 양측에는 원두 커피의 추출시 컵홀더가 하강한 후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편(6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고정편(62)의 단부에는 통공(64)이 형성되며, 이 각각의 고정편(62)의 통공(64)에는 단부에 경사면(66S)이 형성되어 전자석(69)에 의해 작동되는 고정핀(66)이 돌출되어 통공(64)을 통해 출몰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각각의 통공(64) 내의 고정핀(66)에는 고정핀(66)의 작동시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68)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의 내부에는 수평 지지바와 수직 지지바가 결합되어 구성된 사각틀 형상을 갖는 컵홀더(70)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컵홀더(70)의 각각의 수직 지지바 하부 내주면에는 각각 톱니 형상의 요철홈(7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컵홀더(70)의 내주면에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어 커피 분말과 온수가 낙하되는 드립퍼 컵(80)이 안착되고, 이 드립퍼 컵(80)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드립퍼 컵(80)을 상기 컵홀더(70)의 수평 지지바가 관통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고정 고리(84)가 이격되어 90도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드립퍼 컵(80)의 하단 내주연에는 고무 재질로 된 탄성 패킹(82)이 하단으로 돌출되어 부착된다.
또한, 상기 드립퍼 컵(80)의 상단 외주면에는 원두 커피의 추출시 드립퍼 컵(80)의 상단을 따라 회전하는 드립퍼 브러쉬(90)가 삽입되고, 이 드립퍼 브러쉬(90)의 전체 외주면에는 요철홈(92)이 형성되며, 상기 드립퍼 브러쉬(90)의 내측에는 상기 드립퍼 컵(80)의 내부에 삽입되어 드립퍼 브러쉬(9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드립퍼 컵(80)의 내벽면에 부착된 잔여 커피 슬러지를 긁어내기 위한 복수개의 와이어 브러쉬(94)가 이격되어 하방으로 돌출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컵홀더(70)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드립퍼 브러쉬(9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드립퍼 브러쉬 구동모터(100)가 장착되고, 이 드립퍼 브러쉬 구동모터(100)의 모터축(102)에는 상기 드립퍼 브러쉬(90) 외주면의 요철홈(92)과 맞물려 드립퍼 브러쉬 구동모터(1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드립퍼 브러쉬(90)를 회전시키는 드립퍼 브러쉬 구동기어(11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 내의 하부 양측에는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상기 컵홀더(70)의 수직 지지바 하부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톱니 형상의 요철홈(74)과 맞물리는 컵홀더 구동기어(120)가 구비되어 상기 컵홀더(70)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제 1,2 회전축(130)(140)이 관통하여 설치되며, 이 각각의 제 1,2 회전축(130)(140)의 전방 단부에는 제 1 회전축(130)의 회전력을 제 2 회전축(140)으로 전달하기 위해 회전하는 제 1,2 구동기어(132)(142)가 설치되고,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를 관통하여 설치된 회전 중계축(150)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제 1,2 구동기어(132)(142)의 상부와 상호 접속되어 회전되는 제 1,2 종동기어(152)(154)가 설치되며,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 내의 후방에는 상기 제 1 회전축(140)의 단부에 접속되어 제 1 회전축(14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모터(16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의 하부 일측에는 복수매의 여과 필터(170)가 적층되는 필터 투입박스(180)가 장착되고, 이 필터 투입박스(180) 내의 하부에는 여과 필터(17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182)가 수평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필터 투입박스(180) 내의 하단과 지지 플레이트(182)의 하단 사이에는 여과 필터(170)의 공급시 지지 플레이트(182)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등으로 된 탄성체(184)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 투입박스(180)의 상단 일측에는 상단의 여과 필터(170)와 접촉하여 투입하기 위해 회전하는 투입 로울러(190)가 회전축(192)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 투입박스(180) 후방의 회전축(192) 단부에는 회전축(19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3 모터(20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의 하부에 장착된 필터 장착박스(380) 내의 일단 상부 및 하부에는 사이로 투입되는 여과 필터(170)를 공급하기 위해 회전하는 제 1,2 구동 로울러(210)(220)가 제 1,2 구동 로울러축(212)(222)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 장착박스(380) 내의 개방된 타단 양측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 1,2 종동 로울러(230)(240)가 제 1,2 종동 로울러축(232)(242)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구동 로울러(210)의 양단과 제 1 종동 로울러(230)의 사이에는 제 1 구동 로울러(210)의 회전력을 제 1 종동 로울러(230)로 전달하기 위한 제 1 타이밍 벨트(25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2 구동 로울러(220)의 양단과 제 2 종동 로울러(240)의 사이에는 제 2 구동 로울러(220)의 회전력을 제 2 종동 로울러(240)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타이밍 벨트(252)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2 구동 로울러(220)와 제 2 종동 로울러(240)의 사이에는 상기 여과 필터(170)가 안착되는 빈 공간부(262)가 형성되어 원두 커피의 추출 완료후 커피 슬러지가 쌓인 여과 필터(170)를 상기 본체(10) 내의 커피 슬러지 박스(270)로 낙하하여 폐기시키기 위한 이송 부재(26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2 구동 로울러축(212)(222)의 일단에는 상호 맞물리는 제 1,2 구동기어(280)(290)가 설치되고, 이 제 1 구동기어(280)에는 제 1 구동기어(28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4 모터(300)가 장착되며, 상기 필터 장착박스(380)의 하부에는 본체(10) 내부의 지지 부재(12)에 고정되어 원두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원통형의 진공 추출 실린더(31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상단 내주연에는 상기 컵홀더(70)에 의해 지지되어 하강하는 드립퍼 컵(80)의 하단 내주연에 돌출 부착된 탄성 패킹(82)과 밀착되는 고무 재질로 된 탄성 패킹(312)이 부착되고, 이 탄성 패킹(312)의 내측에는 망체(314)가 설치되며,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내부에는 원두 커피의 추출시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내벽면과 밀착되어 승강되는 실린더 피스톤(320)이 수평 상태로 설치되고, 이 실린더 피스톤(320)의 하단 중앙에는 실린더 피스톤(320)을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시키기 위한 피스톤 로드(322)가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통공(316)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실린더 피스톤(320)을 승강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5 모터(330)가 장착되고, 이 제 5 모터(330)의 모터축(332)에는 제 5 모터(330)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 부재(340)가 설치되며, 이 회전 부재(340)의 하단에는 회전 부재(340)와 연동되는 연결축(350)이 상기 피스톤 로드(322)의 하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310) 전면의 하부 중앙에는 추출된 원두 커피를 커피 포트(도시는 생략함)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318)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후방의 하부에는 원두 커피의 추출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 보일러(360)가 장착되며, 상기 충진 박스(20)의 후방에는 분쇄 원두커피 용기에 수록되어 있는 분쇄 원두커피 분말의 유통기한, 메뉴별 커피 투입량, 추출수 및 희석수량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감지 센서(370)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원두 커피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원두 커피를 추출하고자 할 때는 먼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어 복수매의 여과 필터(170)가 적층되어 있는 필터 투입박스(180) 후방의 회전축(192) 단부에 장착된 제 3 모터(200)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192)이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이 회전축(192)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투입박스(180)의 상단의 여과 필터(170)와 접촉하고 있는 투입 로울러(19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단의 여과 필터(170)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의 하부에 장착된 필터 장착박스(380)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필터 장착박스(380) 후방에 장착된 제 4 모터(300)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제 1,2 구동 로울러축(212)(222)의 일단에 상호 맞물리도록 설치된 제 1,2 구동기어(280)(290) 중 상기 제 4 모터(300)와 연결된 제 1 구동기어(280)가 회전함과 동시에, 이 제 1 구동기어(280)와 맞물린 제 2 구동기어(290)가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2 구동기어(280)에 설치된 제 1,2 구동 로울러축(212)(222)이 회전하여 제 1,2 구동 로울러축(212)(222)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 1,2 구동 로울러(210)(220)가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 회전력을 제 1,2 타이밍 벨트(250)(252)를 통해 상기 필터 장착박스(380) 내의 개방된 타단 양측에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제 1,2 종동 로울러(230(240)가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방식에 의해 상기 제 1,2 구동 로울러(210)(220)의 사이로 여과 필터(170)가 유입되어 상기 제 2 구동 로울러(220)와 제 2 종동 로울러(240)의 사이에 설치된 이송 부재(260)의 빈 공간부(26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상단에 여과 필터(170)가 안착되면 상기 제 4 모터(300)가 작동을 정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충진 박스(20) 하부의 컵홀더 지지부재(60) 내의 후방에 장착된 제 2 모터(160)가 구동함에 따라 이 제 2 모터(160)의 구동력을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 내의 하부 양측에 설치된 제 1,2 회전축(130)(140) 중 제 1 회전축(130)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이 제 1 회전축(130)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 제 1 구동기어(132), 이 제 1 구동기어(132)의 상부에 접속된 제 1 종동기어(152), 회전 중계축(150), 제 2 종동기어(154), 이 제 2 종동기어(154)의 하부에 접속된 제 2 회전축(140) 전방 단부의 제 2 구동기어(132), 제 2 회전축(140)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1,2 회전축(130)(140)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 내의 컵홀더(70)의 수직 지지바 하부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톱니 형상의 요철홈(74)과 맞물리는 컵홀더 구동기어(12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2 회전축(130)(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 내의 드립퍼 컵(80)이 안착되어 있는 컵홀더(70)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 2 모터(160)의 구동에 의해 컵홀더(70)가 하강하면서 컵홀더(70)의 수평 지지바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고정편(62)의 통공(64)에 돌출 삽입된 고정핀(66) 단부의 경사면(66S)과 순차적으로 접촉하면서 하강하게 된 후, 상기 컵홀더(70) 상단의 수평 지지바를 상기 돌출된 고정핀(56)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눌러주므로 상기 컵홀더(70)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이 컵홀더(70)의 내부에 안착된 드립퍼 컵(80)의 하단 내주연에 하단으로 돌출 부착된 탄성 패킹(82)이 상기 여과 필터((170)와 함께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310) 상단 내주연의 탄성 패킹(312)과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310) 내의 실린더 피스톤(320)은 상승되어 진공 추출 실린더(310) 내의 상단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충진 박스(20)의 후방 하단에 장착된 제 1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30)이 회전함에 따라 전진하는 분쇄 원두커피 분말을 배출관(50)을 통해 배출시키게 되므로 분쇄 원두커피 분말과 함께 상기 본체(10) 후방의 하부에 장착된 온수 보일러(360)를 통해 온수가 드립퍼 컵(80)의 내부로 정해진 양만큼 투입시킨다.
이 후, 상기 드립퍼 컵(80)의 내부에 소정의 분쇄 원두커피 분말과 온수가 충진된 상태에서 셋팅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하단 일측에 장착된 제 5 모터(330)가 구동함에 따라 이 제 5 모터(330)의 모터축(332)에 설치된 회전 부재(340)가 회전함과 동시에, 이 회전 부재(340)의 하단에 회전 부재(340)와 연동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피스톤(320)의 피스톤 로드(322) 하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연결축(350)에 의해 상기 피스톤 로드(322)가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통공(316)을 통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 로드(322)의 상단에 결합된 진공 추출 실린더(310) 내의 실린더 피스톤(320)이 하강하면서 실린더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어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내부에 제조된 원두 커피가 채워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원두 커피 추출장치는 상기한 원두 커피의 추출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실린더 피스톤(320)의 승강 속도 및 추출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원두의 맛과 향이 살아있는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손쉽게 진공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컵홀더(70) 상단의 수평 지지바를 상기 돌출된 고정핀(66)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눌러주고 있는 상태에서 전자석(69)에 전류가 흘러 상기 고정핀(56)이 후퇴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모터(160)가 상기 컵홀더(70) 하강시의 역방향으로 구동함에 따라 상기 컵홀더(70)가 원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컵홀더(70)가 상승된 후 상기 드립퍼 컵(80)의 상단 외주면에는 드립퍼 브러쉬(90)가 삽입되고, 이 드립퍼 브러쉬(90)의 내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방으로 돌출되어 복수개의 와이어 브러쉬(94)는 상기 드립퍼 컵(80)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며, 상기 컵홀더(70)의 상부 내측에 장착된 드립퍼 브러쉬 구동모터(100)의 모터축(102)에 설치된 드립퍼 브러쉬 구동기어(110)는 상기 드립퍼 브러쉬(90) 외주면의 요철홈(92)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드립퍼 브러쉬 구동모터(100)가 구동함에 따라 모터축(102)과 드립퍼 브러쉬 구동기어(110)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이 드립퍼 브러쉬 구동기어(110)와 외주면의 요철홈(92)이 맞물린 드립퍼 브러쉬(90)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브러쉬(94)가 회전하면서 드립퍼 컵(80)의 내벽면에 부착된 잔여 커피 슬러지를 긁어내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 4 모터(300)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구동 로울러(220)와 제 2 종동 로울러(240)의 사이에 설치된 이송 부재(260)를 이송시켜 이 이송 부재(260)의 빈 공간부(262)에 안착되어 상부에 커피 슬러지가 적층된 여과 필터(170)를 이송하여 상기 본체(10) 내의 커피 슬러지 박스(270)로 낙하시켜 폐기시킴과 동시에,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내부에 제조된 원두 커피를 진공 추출 실린더(310) 전면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 배출관(318)을 통해 커피 포트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드립 방식과 사이펀 방식이 혼합된 원두 커피 추출장치에 의해 맛과 향을 최대한 유지한 상태에서 간편하고 편리하게 원두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10; 본체 12; 지지 부재
20; 충진 박스 30; 회전축
32; 회전 날개 40; 제 1 모터
50; 배출관 60; 컵홀더 지지부재
62; 고정편 64; 통공
66; 고정핀 66S; 경사면
69; 전자석 70; 컵홀더
74; 요철홈 80; 드립퍼 컵
84; 고정 고리 90; 드립퍼 브러쉬
92; 요철홈 94; 와이어 브러쉬
100; 드립퍼 브러쉬 구동모터 102; 모터축
110; 드립퍼 브러쉬 구동기어 120; 컵홀더 구동기어
130,140; 제 1,2 회전축 132,134; 제 1,2 구동기어
150; 회전 중계축 152,154; 제 1,2 종동기어
160; 제 2 모터 170; 여과 필터
180; 필터 투입박스 182; 지지 플레이트
184; 탄성체 190; 투입 로울러
192; 회전축 200; 제 3 모터
210,220; 제 1,2 구동 로울러 212,222; 제 1,2 구동 로울러축
230,240; 제 1,2 종동 로울러 232,242; 제 1,2 종동 로울러축
250,252; 제 1,2 타이밍 벨트 260; 이송 부재
262; 공간부 270; 커피 슬러지 박스
280,290; 제 1,2 구동기어 300; 제 4 모터
310; 진공 추출 실린더 82,312; 탄성 패킹
314; 망체 316; 통공
318; 배출관 320; 실린더 피스톤
322; 피스톤 로드 330; 제 5 모터
332; 모터축 340; 회전 부재
350; 연결축 360; 온수 보일러
370; 감지 센서 380; 필터 장착박스

Claims (10)

  1. 분쇄 원두커피 분말을 충진하기 위한 충진 박스(20)의 하부에 고정되는 컵홀더 지지부재(60)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의 내부에 승강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컵홀더(70)와,
    상기 컵홀더(70)의 내주면에 안착되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어 커피 분말과 온수가 낙하되는 드립퍼 컵(80)과,
    상기 드립퍼 컵(80)의 내벽면에 부착된 잔여 커피 슬러지를 긁어내기 위한 커피 슬러지 제거수단과,
    상기 드립퍼 컵(80)의 하부에 장착되어 여과 필터(170)를 투입 및 공급하기 위한 필터 투입 및 공급수단과,
    상기 드립퍼 컵(80)의 하단과 밀착되어 진공 상태로 원두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커피 추출 및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박스(20)의 배출관(50) 하부에 고정된 컵홀더 지지부재(60)의 양측에는 원두 커피의 추출시 컵홀더(70)가 하강한 후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편(6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고정편(62)의 단부에는 통공(64)이 형성되며, 이 각각의 고정편(62)의 통공(64)에는 단부에 경사면(66S)이 형성되어 전자석(69)에 의해 작동되는 고정핀(66)이 돌출되어 통공(64)을 통해 출몰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각각의 통공(64) 내의 고정핀(66)에는 고정핀(66)의 작동시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68)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의 내부에는 수평 지지바와 수직 지지바가 결합되어 구성된 사각틀 형상을 갖는 컵홀더(70)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드립퍼 컵(80)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드립퍼 컵(80)을 상기 컵홀더(70)의 수평 지지바가 관통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고정 고리(84)가 이격되어 90도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드립퍼 컵(80)의 하단 내주연에는 탄성 패킹(82)이 하단으로 돌출되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의 내부에 승강 구동수단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 내의 하부 양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 1,2 회전축(130)(140)과, 상기 제 1,2 회전축(130)(14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컵홀더(70)의 수직 지지바 하부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톱니 형상의 요철홈(74)과 맞물려 제 1,2 회전축(130)(1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컵홀더(70)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컵홀더 구동기어(120)와, 상기 제 1,2 회전축(130)(140)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어 제 1 회전축(130)의 회전력을 제 2 회전축(140)으로 전달하기 위해 회전하는 제 1,2 구동기어(132)(142)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를 관통하여 설치된 회전 중계축(15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제 1,2 구동기어(132)(142)의 상부와 상호 접속되어 회전되는 제 1,2 종동기어(152)(154)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 내의 후방에 장착되며 제 1 회전축(140)의 단부에 접속되어 제 1 회전축(14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모터(1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슬러지 제거수단은 상기 드립퍼 컵(80)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원두 커피의 추출시 회전하며 드립퍼 컵(80)의 내주면에 부착된 잔여 커피 분말을 긁어내기 위한 복수개의 와이어 브러쉬(94)가 이격되어 하방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고정되는 드립퍼 브러쉬(90)와, 상기 컵홀더(70)의 상부 내측에 장착되어 드립퍼 브러쉬(9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드립퍼 브러쉬 구동모터(100)와, 이 드립퍼 브러쉬 구동모터(100)의 모터축(102)에 장착되어 드립퍼 브러쉬(90) 외주면의 요철홈(92)과 맞물려 드립퍼 브러쉬 구동모터(1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드립퍼 브러쉬(90)를 회전시키는 드립퍼 브러쉬 구동기어(1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투입 및 공급수단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어 복수매의 여과 필터(170)가 적층되는 필터 투입박스(180)와, 상기 컵홀더 지지부재(60)의 하부에 장착된 필터 장착박스(380) 내의 일단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제 1,2 구동 로울러축(212)(222)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사이로 투입되는 여과 필터(170)를 공급하기 위해 회전하는 제 1,2 구동 로울러(210)(220)와, 상기 필터 장착박스(380) 내의 개방된 타단 양측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제 1,2 종동 로울러축(232)(242)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 1,2 종동 로울러(230)(240)와, 상기 제 1 구동 로울러(210)의 양단과 제 1 종동 로울러(2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구동 로울러(210)의 회전력을 제 1 종동 로울러(230)로 전달하기 위한 제 1 타이밍 벨트(250)와, 상기 제 2 구동 로울러(220)의 양단과 제 2 종동 로울러(2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 2 구동 로울러(220)의 회전력을 제 2 종동 로울러(240)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타이밍 벨트(252)와, 상기 제 2 구동 로울러(220)와 제 2 종동 로울러(2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여과 필터(170)가 안착되는 빈 공간부(262)가 형성되어 원두 커피의 추출 완료후 커피 슬러지가 쌓인 여과 필터(170)를 본체(10) 내의 커피 슬러지 박스(270)로 낙하하여 폐기시키기 위한 이송 부재(260)와, 상기 제 1,2 구동 로울러축(212)(222)의 일단에 상호 맞물려 설치되는 제 1,2 구동기어(280)(290)와, 이 제 1 구동기어(280)에 장착되어 제 1 구동기어(28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4 모터(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 및 구동수단은 필터 장착박스(38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10) 내부의 지지 부재(12)에 고정되며 컵홀더(70)에 의해 지지되어 하강하는 드립퍼 컵(80)의 하단 내주연에 돌출 부착된 탄성 패킹(82)과 원두 커피의 추출시 밀착되는 탄성 패킹(312)이 상단 내주연에 부착되고 이 탄성 패킹(312)의 내측에는 망체(314)가 설치되어 추출된 원두 커피를 커피 포트로 배출시키기 위한 진공 추출 실린더(310)와,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내부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며 원두 커피의 추출시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내벽면과 밀착되어 승강되는 실린더 피스톤(320)과, 이 실린더 피스톤(320)의 하단 중앙에 설치되어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통공(316)을 관통하며 실린더 피스톤(320)을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시키기 위한 피스톤 로드(322)와,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하단 일측에 장착되어 실린더 피스톤(320)을 승강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5 모터(330)와, 이 제 5 모터(330)의 모터축(332)에 설치되어 제 5 모터(330)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 부재(340)와, 이 회전 부재(340)의 하단에 설치되어 회전 부재(340)와 연동되며 피스톤 로드(322)의 하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3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박스(20)의 후방에는 분쇄 원두커피 용기에 수록되어 있는 분쇄 원두커피 분말의 유통기한, 메뉴별 커피 투입량, 추출수 및 희석수량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감지 센서(37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9. 분쇄 원두 커피의 추출시 여과 필터(170)를 공급하여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상단에 안착하는 단계와,
    컵홀더 지지부재(60)에 승강되도록 설치된 컵홀더(70)를 하강시켜 컵홀더(70)에 안착된 드립퍼 컵(80)의 하단을 상기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상단에 밀착하는 단계와.
    상기 드립퍼 컵(80)의 내부에 분쇄 원두 커피 분말과 온수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드립퍼 컵(80)의 내부에 혼합되어 제조된 원두 커피를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내부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컵홀더(70)를 상승시킨 후 드립퍼 컵(80)의 내벽면에 붙어 있는 커피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드립퍼 브러쉬(90)를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커피 슬러지가 쌓여 있는 여과 필터(170)를 이송하여 커피 슬러지 박스(270)로 낙하시킴과 동시에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제조된 원두 커피를 배출하고 진공 추출 실린더(310)의 상부에서 희석수를 투입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퍼 브러쉬(90)를 구동하는 단계에서는 컵홀더(70)의 상부 내측에 장착된 드립퍼 브러쉬 구동모터(100)가 구동함에 따라 모터축(102)과 드립퍼 브러쉬 구동기어(110)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드립퍼 컵(80)의 상단 외주면에 삽입된 드립퍼 브러쉬(90) 외주면의 요철홈(92)과 맞물린 드립퍼 브러쉬 구동기어(1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드립퍼 브러쉬(90)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이 드립퍼 브러쉬(90)의 내측에 고정된 복수개의 와이어 브러쉬(94)가 회전하면서 드립퍼 컵(80)의 내벽면에 붙어 있는 커피 슬러지를 긁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방법.
KR1020100033625A 2010-04-13 2010-04-13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및 그 방법 KR101053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25A KR101053698B1 (ko) 2010-04-13 2010-04-13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25A KR101053698B1 (ko) 2010-04-13 2010-04-13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3698B1 true KR101053698B1 (ko) 2011-08-02

Family

ID=4493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625A KR101053698B1 (ko) 2010-04-13 2010-04-13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6242A (zh) * 2023-06-06 2023-08-22 河北盛马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机式低温真空样品更换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7210A (ja) 2008-09-12 2010-03-25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飲料抽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7210A (ja) 2008-09-12 2010-03-25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飲料抽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6242A (zh) * 2023-06-06 2023-08-22 河北盛马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机式低温真空样品更换装置
CN116626242B (zh) * 2023-06-06 2024-01-30 河北盛马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机式低温真空样品更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126B1 (ko) 음료 추출 기기
KR101591771B1 (ko) 음료 추출 기기
KR101492482B1 (ko) 재사용 가능한 필터 용기
KR101424208B1 (ko) 음료 추출 기기 및 추출 방법
EP1707088B1 (fr) Machine à café automatique
CN101056560A (zh) 具有可移除的荚果转架轮的茶和咖啡分配器
EP2858540A2 (en)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 brewing machine
EP2427088A2 (fr) Appareil de préparation culinaire a vis, et procédé pour la réalisation de lait de soja et/ou pour la préparation de soupes et/ou purées et/ou coulis
US201600220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EP2545830B1 (fr) Appareil électroménager de préparation culinaire avec dispositif de remplissage
CN111759174A (zh) 自动泡茶机及其工作方法
EP2688448B1 (en) Brew chamber packet ejector
KR101053698B1 (ko) 진공식 원두 커피 추출장치 및 그 방법
JP2011101790A (ja) ディスポーザブルホールビーンコーヒーフィルター
CN211354992U (zh) 一种自动制作饮料的系统
CN110693325B (zh) 一种自动泡茶设备及自动泡茶方法
WO2010034097A1 (en) Device for producing a brewed beverag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00117253A (ko) 필터 장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터 장착방법
JP2022552583A (ja) ホット飲料のフィル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734091B1 (fr) Appareil a lait de soja utilisant de la poudre de so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