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828B1 -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 - Google Patents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828B1
KR101052828B1 KR1020090017713A KR20090017713A KR101052828B1 KR 101052828 B1 KR101052828 B1 KR 101052828B1 KR 1020090017713 A KR1020090017713 A KR 1020090017713A KR 20090017713 A KR20090017713 A KR 20090017713A KR 101052828 B1 KR101052828 B1 KR 101052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wind
rotor
flexible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974A (ko
Inventor
권오상
Original Assignee
권오상
주식회사 케이에프이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상, 주식회사 케이에프이앤이 filed Critical 권오상
Priority to KR1020090017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82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는, 중심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방사상 살이 연장 형성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살에 허브 축 중심과 직교 방향으로 장착되는 플렉시블한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허브에 풍력에 의해 변형되는 플렉시블한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풍향에 상관없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바람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면서 간단한 제작, 교체용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풍력발전기에 적용시 조향용 방향타(테일, 베인) 없이 풍력발전기를 구동할 수 있고 기존의 풍력발전기처럼 바람방향을 지향하기 위한 요(Yaw)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으며 풍력발전기의 구조 단순화와 풍력발전기 자체의 가격 및 발전단가를 하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풍력발전기, 터빈, 블레이드, 로터, 플렉시블, 풍향

Description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ROTOR FOR WIND POWER GENERATOR HAVING FLEXIBLE TURBINE BLADE}
본 발명은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발전기에 보조 전원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풍향에 상관없이 블레이드의 허브가 일정한 회전방향을 유지하도록 하는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로터(Rotor)는 축 상의 로터 허브(Hub)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한다. 여기서, 로터가 풍력발전기에 적용될 경우 바람 유동이 로터를 회전시켜서 로터 허브의 축을 회전시키고 축은 토크(Torque)를 발전기에 보내는 기어를 회전시킨다.
이때, 바람 방향의 변화에 따른 수직축을 중심으로 한 선회는 요(yaw) 또는 요 응답(yaw response)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수직축은 요-축(yawaxis)이라고 부르고 있다. 바람이 충분한 속도로 블레이드를 지나게 되면 로터가 회전하고 풍력 터빈이 바람 에너지를 발전기를 통해서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킨다. 발전기의 전기 출력은 전력 송전선망(Power grid)에 연결된다.
이때, 풍력 발전시 출력은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된 평면과 바람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요동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최대동력은 블레이드의 평면과 바람의 방향이 수직을 이룰 때, 즉, 바람의 영향권 내에 진입해 있을 때에 발생한다. 블레이드의 평면이 바람의 방향과 평행할 때, 즉, 바람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있을 때에는 동력이 발생하지 않는다(로터에 대한 공기역학적 토크는 최소가 된다). 따라서, 풍력발전기의 출력은 로터를 점차적으로 각 운동시켜서 바람의 영향권 내로 진입하게 하거나 그것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로터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각만큼 허브에 경사지게 다수 고정되어 풍력에 의해 토크가 발생하는데 풍력발전기에 적용시 전방 바람에 의한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과 후방 바람에 의한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이 달라 전방 바람에 의해서만 발전되고, 풍력발전기에 바람 지향을 위한 요(Yaw) 시스템 및 조향용 방향타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허브에 풍력에 의해 변형되는 플렉시블한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풍향에 상관없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바람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면서 간단한 제작, 교체용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수 있게 한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풍력발전기에 적용시 조향용 방향타(테일, 베인) 없이 풍력발전기를 구동할 수 있고 기존의 풍력발전기처럼 바람방향을 지향하기 위한 요(Yaw)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으며 풍력발전기의 구조 단순화와 풍력발전기 자체의 가격 및 발전단가를 하락시킬 수 있게 한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방사상 살이 연장 형성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살에 허브 축 중심과 직교 방향으로 장착되는 플렉시블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허브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허브에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허브 및 블레이드는 원형 또는 다각형 요철(凹凸)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허브의 연결 부위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블레이드는 내, 외측단의 면적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블레이드는 복합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에는 풍압 향상을 위해 터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는, 허브에 풍력에 의해 변형되는 플렉시블한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풍향에 상관없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바람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면서 간단한 제작, 교체용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풍력발전기에 적용시 조향용 방향타(테일, 베인) 없이 풍력발전기를 구동할 수 있고 기존의 풍력발전기처럼 바람방향을 지향하기 위한 요(Yaw)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으며 풍력발전기의 구조 단순화와 풍력발전기 자체의 가격 및 발전단가를 하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110) 및 블레이드(120)를 포함한다.
허브(110)는 중심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방사상 살(112)이 연장 형성되며, 살(112) 내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블레이드(120)의 끼움 돌기(122)가 끼워지는 끼움 홈(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 홈(114)에는 지지되는 블레이드(120)의 연장 부위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심에서 수평 방향으로 블레이드(120)의 길이만큼 절개부(116)가 형성되되, 절개부(160)가 블레이드(120)의 두께와 동일한 간격만큼 형성될 수도 있고, 블레이드(120)의 두께보다 더 큰 간격으로 형성될 경우 끼움 홈(114)을 중심으로 블레이드(120)가 설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블레이드(120)는 플렉시블(flexible) 형태를 가지며, 허브(110)의 살(112)에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되되 살(112)에 끼워지는 일단부에 끼움 돌기(11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곡선 형태 등으로 형성된다. 이때, 블레이드(120)의 외곽 형상은 곡선 형태 이외에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선과 곡선의 조합형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더욱이, 블레이드(120)의 변형량은 설정량만큼 변형되도록 설계된다.
이때, 블레이드(120)의 끼움 돌기(122)는 허브(110)의 살(112) 내부에 형성되는 끼움 홈(114)에서 탈착되되 끼움 돌기(122) 및 끼움 홈(114)은 원형 또는 다각형 요철(凹凸) 형태 등으로 결합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원형 형태로 결합됨을 예시한다.
더욱이, 허브(110) 및 블레이드(12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블레이드(120)는 내외측단의 면적이 다르게 형성되되 면적이 다른 내외측단에 각각 플렉시블 정도를 동일하게 하거나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내측 단의 면적이 외측단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블레이드(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져야 발전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블레이드(120)의 재질은 복합재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섬유(Fiber glass), 탄소섬유(Carbon glass), 케블러(Kevlar: 아라미드섬유계열), 케블러+유리섬유, 케블러+탄소섬유, 카본-카본, 유리 섬유 보강 플라스틱(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재질 및 이상의 재료들을 폴리에스테르 및 에폭시 계열의 레진 등과 함께 사용하는 등 다양한 재질의 소재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20)의 외측 즉, 허브(110)의 축을 지지하면서 블레이드(120)의 외곽에 위치 고정되는 원통 형태의 터널(T: Tunnel)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T)이 각각 설치된 다수 로터(100)를 기둥에 각각 고정하면 바람을 최대한 활요할 수 있으면서 발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100)는 도 1 내지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발전기에 보조 전원 공급용으로 사용되며, 작동 관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전방 바람이 불 경우 수평 상태의 블레이드(120)는 플렉시블 형태를 가지므로 풍압에 의해 바람이 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정량만큼 변형된다.
이때, 블레이드(120)의 변형에 의해 블레이드(120) 주위의 압력 분포에 의해 토크가 발생하며 로터(100)의 축이 연결되는 발전기에서 발전이 되는 것이다.
이와 다르게 후방 바람이 불 경우 수평 상태의 블레이드(120)는 플렉시블 형태를 가지므로 이 역시 풍압에 의해 바람이 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변형된다.
결국, 블레이드(120)는 플렉시블 형태를 가지므로 전방 또는 후방 바람에 상관없이 허브(110) 축이 동일한 회전 방향을 유지하도록 하므로 풍향에 따라 유동적으로 발전이 가능하다.
더욱이, 블레이드(120)가 풍향에 상관없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조향용 방향타(테일, 베인)가 없어 간단한 구조로 풍력발전기를 구동할 수 있으며, 바람방향을 지향하기 위한 요(Yaw) 시스템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에서 블레이드의 변형 전,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에서 풍향에 따라 블레이드가 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에 터널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로터가 다수 구비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로터 110: 허브
112: 살 114: 끼움 홈
120: 블레이드 122: 끼움 돌기

Claims (7)

  1. 중심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방사상 살이 연장 형성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살에 허브 축 중심과 직교 방향으로 장착되는 플렉시블한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허브에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허브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및 블레이드는 원형 또는 다각형 요철(凹凸)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내, 외측단의 면적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복합재로 형성되며,
    상기 복합재로는 유리섬유(Fiber glass), 탄소섬유(Carbon glass), 케블러(Kevlar: 아라미드섬유계열), 유리 섬유 보강 플라스틱(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폴리에스테르 및 에폭시 계열의 레진을 각각 사용하거나 또는 각각이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에는 풍압 향상을 위해 터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
KR1020090017713A 2009-03-02 2009-03-02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 KR101052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713A KR101052828B1 (ko) 2009-03-02 2009-03-02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713A KR101052828B1 (ko) 2009-03-02 2009-03-02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974A KR20100098974A (ko) 2010-09-10
KR101052828B1 true KR101052828B1 (ko) 2011-07-29

Family

ID=4300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713A KR101052828B1 (ko) 2009-03-02 2009-03-02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787B1 (ko) 2013-02-01 2014-02-2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풍력발전장치의 블레이드
KR101407647B1 (ko) * 2012-07-20 2014-06-13 주식회사 신바람 도시 건축물 옥상의 틈새 바람을 이용한 수직축 소형풍력발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342B1 (ko) * 2014-03-14 2015-12-30 박종근 풍력 발전기용 양방향 블레이드
KR101944098B1 (ko) * 2018-03-28 2019-01-30 (주) 하이코 수직형 이중반전 풍력발전기
NO344359B1 (no) * 2018-11-18 2019-11-18 Inge Bakke Enveis roterende turbin for en oscillerende fluidstrø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0961A (en) 1980-10-20 1982-05-01 Hitachi Ltd Vertical shaft driven windmill
JP2006520871A (ja) * 2003-03-18 2006-09-14 リニューアブル、デバイシズ、スウィフト、タービンズ、リミテッド ウインドタービン
JP2009008040A (ja) * 2007-06-29 2009-01-15 Mecaro:Kk マグナス型風力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0961A (en) 1980-10-20 1982-05-01 Hitachi Ltd Vertical shaft driven windmill
JP2006520871A (ja) * 2003-03-18 2006-09-14 リニューアブル、デバイシズ、スウィフト、タービンズ、リミテッド ウインドタービン
JP2009008040A (ja) * 2007-06-29 2009-01-15 Mecaro:Kk マグナス型風力発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647B1 (ko) * 2012-07-20 2014-06-13 주식회사 신바람 도시 건축물 옥상의 틈새 바람을 이용한 수직축 소형풍력발전시스템
KR101366787B1 (ko) 2013-02-01 2014-02-2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풍력발전장치의 블레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974A (ko)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1619B1 (en) Tension wheel in a rotor system for wind and water turbines
US7837442B2 (en) Root sleeve for wind turbine blade
US20090148285A1 (en) Multi-section wind turbine rotor blades and wind turbines incorporating same
KR101052828B1 (ko) 유연성 터빈 블레이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로터
US20100310361A1 (en) Wind turbine with two successive propellers
US20090148291A1 (en) Multi-section wind turbine rotor blades and wind turbines incorporating same
US20110116923A1 (en) Blade for a rotor of a wind or water turbine
KR101112479B1 (ko) 다단다중날개풍력시스템
JP6746552B2 (ja) 風力発電装置
KR20030066299A (ko) 풍력발전장치
EA006361B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турбина
CN102146887B (zh) 高效大功率垂直轴风力发电机
JP5047182B2 (ja) ウインドセイルレセプター
JP2008057350A (ja) 風力発電装置
GB2517935A (en) Wind turbine blade extender
AU2008235238B2 (en) Wind wheel
KR20180004713A (ko) 전기 발전기용 회전자
CN106089573A (zh) 一种叶片上具有拉绳和变桨装置的风电叶轮
JP2010156305A (ja) 風力発電用風車
JP2006152864A (ja) 風力発電機用ブレード及びそれを備えた風力発電装置
WO2014185758A1 (ru) Ветроколесо (с двумя вариантами)
US20130156596A1 (en) Airfoil Design for Wakeless Wind Turbine Tower Structures
KR101566501B1 (ko) 휘어진 블레이드 팁을 갖는 다운윈드 풍력 발전 장치
KR101810872B1 (ko) 다중 풍력발전장치
JP2008255977A (ja) 風力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