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584B1 - Noise diffuser - Google Patents

Noise diff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584B1
KR101052584B1 KR1020090007994A KR20090007994A KR101052584B1 KR 101052584 B1 KR101052584 B1 KR 101052584B1 KR 1020090007994 A KR1020090007994 A KR 1020090007994A KR 20090007994 A KR20090007994 A KR 20090007994A KR 101052584 B1 KR101052584 B1 KR 101052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duct
insertion hole
chamber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9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8863A (en
Inventor
신보라
Original Assignee
신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보라 filed Critical 신보라
Priority to KR102009000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584B1/en
Publication of KR20100088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8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5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용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챔버본체와; 상기 챔버본체 일 측에 형성되는 덕트 삽입구와; 상기 덕트 삽입구와 수직되도록 상기 챔버 본체 저면에 형성되어 환기 대상 공간으로 개방되는 유출입관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소음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덕트와 상기 유출입관은 상기 챔버본체를 매개로 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며: 상기 챔버본체의 내부공간은, 상기 덕트 및 상기 유출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음파가 산란되도록 상기 덕트 및 유출입관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음챔버를 이용하여 이동되는 소음을 산란시키므로, 각 방간의 소음 전달을 차단시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diffuser,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amber body formed with a space therein; A duct insertion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chamber body; And a noise chambe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main body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duct insertion hole, the noise chamber including an inlet and outlet pipe opening to the ventilation target space; Flowing: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body is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duct and the outlet pipe so as to scatter sound waves flowing from the duct and the outle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noise is moved using the noise chamber, there is an advantage of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noise between the rooms.

디퓨져, 공조, 소음, 챔버 Diffuser, Air Conditioning, Noise, Chamber

Description

소음 디퓨져 {Soundproofing diffuser}Noise diffuser {Soundproofing diffuser}

본 발명은 공기조화용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diffuser.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실내에는 소형 크기의 디퓨져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디퓨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슬라브(1)에 덕트(2)를 설치하여 고정한 다음, 상기 덕트(2)의 끝단에 주름관(3)을 연결하여 이 주름관(3)을 수직하향지게 꺽은 후, 상기 꺾어진 주름관(3)의 하부측에 디퓨져(4)를 설치하고 있다.In general, a small size diffuser is installed in a building such as a house or an apartment. This diffuser is fixed to the ceiling slab (1) by installing the duct 2 as shown in Figure 1, and then connect the corrugated pipe (3) to the end of the duct (2) to vertically downward corrugated pipe (3) After bending, the diffuser 4 is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the said corrugated pipe 3.

상기 디퓨져(4)는, 천정슬라브(1)를 마감하는 마감재(5)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후방측이 상기 주름관(3)의 끝단부에 연결하여 고정되고 있으며, 디퓨져(4)의 내부에는 공기조절기가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조절기를 조절하여 상기 덕트(2)를 타고 유로되는 냉/온공기를 상기 디퓨져(4)를 개방함으로써 실내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The diffuser (4) is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finishing material (5) for finishing the ceiling slab 1 is fixed to the rear sid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rrugated pipe (3), the air inside the diffuser (4)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air conditioner so that the cold / hot air flows through the duct 2 to be supplied to the room by opening the diffuser 4.

그러나, 종래의 디퓨져는 덕트와 주름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덕트에 일측이 연결된 주름관에 타측을 디퓨져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주름관을 직각으로 구부려야 하는 바, 이로 인해 공급되는 공기가 주름관을 지나가는 과정에서 많은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diffuser is connected by a duct and a corrugated pipe, in order to connect the diffuser on the other side to a corrugated pip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uct, the corrugated pipe must be bent at a right angl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noise is generated.

또한, 상기와 같이 주름관을 구부리는 과정에서 주름관이 찢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공기의 원활한 흐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기가 마감재와 천정슬라브 사이의 공간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발생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bending the corrugated pipe as described above, problems such as tearing of the corrugated pipe are generated, and not only the smooth flow of air is properly performed, but also the air escapes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nishing material and the ceiling slab. .

한편, 종래 등록특허 제10-0767022호인 공기조화용 디퓨져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덕트에 의해 메인 덕트에 연통되며, 콘크리트 천정 슬라브와 천정마감재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에 있어서, 상부의 직경보다 하부의 직경이 넓게 형성된 캡(cap)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나사홀이 형성된 풍량조절댐퍼와, 상기 풍량조절댐퍼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중량조절댐퍼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된 나사봉 및 상기 풍량조절댐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나사봉의 하단부가 고정결합되는 하부패널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diffuser No. 10-0767022 has been devised, which is communicated to the main duct by a flexible duct as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ublication, installed between the concrete ceiling slab and the ceiling finish In the air-conditioning diffuser to control the air volume of the air, the cap-shaped main body is formed in a lower diameter than the upper diameter, the air volume control damper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screw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screw rod screwed to the screw hole of the weight control damper and the lower panel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flow control damper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crew rod to raise and lower the air flow control damper up and down.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디퓨져는, 실내 천정의 콘크리트 천정슬라브와 덕트 사이의 간격이 여유가 있어 시공이 매우 편리하며 슬프링쿨러 및 에어콘 배관시설 등의 설비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퓨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풍량의 조절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하고 있다.The diffuser of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the space between the concrete ceiling slab and the duct of the indoor ceiling is very convenient and the installation is very easy, and facilities such as a spring cooler and air conditioning plumbing facilities are very eas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diffuser can be facilitated, and the air volume can be easily adjusted.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디퓨져 역시 천정의 마감재 내측에 설치되는 디퓨져가 플렉시블 덕트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디퓨져와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려면, 필수적으로 플렉시블 덕트를 수직방향으로 하향지게 구부려야 하기 때문에, 공기흐름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such a prior art diffuser is also connected to the diffuser installed inside the ceiling finish by the flexible duct, so to connect the diffuser and the flexible duct, it is necessary to bend the flexible duct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e air flow The situation that does not reduce the noise generated at the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방/난방/환기 등을 위해 설치되는 공기조화시설에 있어, 상기 공기조화 이동로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용 디퓨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ir conditioning facility installed for cooling / heating / ventilation, etc., to reduce the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movement path It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diffuser that can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방/난방/환기 등을 위해 설치되는 공기조화시설에 있어, 천정등의 구조물에 흠집(나사구멍 또는 못자국)을 내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디퓨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diffuser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facility installed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on, etc. without scratching (screw holes or nail marks) on structures such as ceilings. It i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소음 디퓨져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챔버본체와; 상기 챔버본체 일 측에 형성되는 덕트 삽입구와; 상기 덕트 삽입구와 수직되도록 상기 챔버 본체 저면에 형성되어 환기 대상 공간으로 개방되는 유출입관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소음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덕트와 상기 유출입관은 상기 챔버본체를 매개로 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며: 상기 챔버본체의 내부공간은, 상기 덕트 및 상기 유출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음파가 산란되도록 상기 덕트 및 유출입관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Noise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hamber body with a space formed therein; A duct insertion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chamber body; And a noise chambe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main body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duct insertion hole, the noise chamber including an inlet and outlet pipe opening to the ventilation target space: the duct and the outlet and inlet pipe are configured to provide air through the chamber body. Flowing: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body is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duct and the outlet pipe so as to scatter sound waves flowing from the duct and the outlet pipe.

여기서, 상기 챔버 본체는, 상기 음파산란 효율이 증가되도록 횡단면이 원형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chamber body, the cross sectio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sound wave scattering efficiency is increased.

그리고 상기 챔버본체의 내측면은, 상기 음파의 산란이 증가되도록, 호형의 굴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may be formed as an arc-shaped curved surface to increase scattering of the sound waves.

또한, 상기 챔버본체 내부공간에는 상기 음파의 진행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방음벽체가 상기 챔버본체의 측면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soundproof walls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hamber body in the chamber body inner space to block the progress of the sound waves.

그리고 상기 챔버본체 내부공간에는 상기 음파의 진행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방음 벽체가 상기 챔버본체의 측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oundproof wall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of the chamber body in the chamber body to block the progress of the sound wav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소음 디퓨져는 상기 유출입관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소음챔버를 천정 마감재 상면에 지지되도록하는 지지턱과; 상기 천정 마감재를 관통하여 상기 유출입관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입관과 연통되는 지지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입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출입관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지지턱과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상기 천정마감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천정마감재에 고정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oise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let and outflow pipe support jaw to support the noise cham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finish; A support pl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inlet and outlet pipe through the ceiling finish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and inlet; And a control plat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to adjust an amount of air moving through the outlet pipe, wherein the support jaw and the fixed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outlet pipe and the support plat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may be respectively fixed to the ceiling finish material.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유출입관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플레이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is screwed with the outlet pipe; The adjusting plate may be screwed to the support play.

그리고 상기 덕트 삽입구는, 상기 챔버본체 양 측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기 덕트 삽입구 내에는 상기 덕트 삽입구를 차폐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판은 설치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And the duct insertion hole is form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chamber body; A blocking plate for shielding the duct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duct insertion hole; The blocking plate may be selectively detachabl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tructure.

한편, 상기 덕트 삽입구 내주연에는, 덕트 연결구가 삽입되어 안착시, 상기 덕트 연결구의 단부 테두리가 삽입되는 체결홈을 형성하는 끼움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duct insertion hole, when the duct connector is inserted and seated, a fitting jaw may be formed to form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end edge of the duct connector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덕트 삽입구 내측면에는, 상기 덕트 연결구 단부에 형성된 후크가 연결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insertion hole, a seating portion to which a hook formed at the end of the duct connector may be formed.

한편,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챔버본체와; 상기 챔버본체 측면에 형성되는 덕트 삽입구와; 상기 덕트 삽입구와 수직되도록 상기 챔버 본체 저면에 형성되어 환기 대상 공간으로 개방되는 유출입관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소음챔버와: 상기 유출입관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소음챔버를 천정 마감재 상면에 지지되도록하는 지지턱과: 상기 천정 마감재를 관통하여 상기 유출입관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입관과 연통되는 지지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입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음 디퓨져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mber body formed with a space therein; A duct insertion hole formed at a side of the chamber body; A noise chambe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main body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duct insertion hole, the noise chamber being formed to open to a ventilation target space; a noise chamber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outlet tube to support the noise chamber on an upper surface of a ceiling finisher Jaw and: a support pl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inlet and outlet pipe through the ceiling finish material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pipe; And a noise diffuser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configured to include an adjustment plat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moving through the outlet pipe.

이때, 상기 소음디퓨져는, 상기 유출입관과 상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지지턱과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상기 천정마감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천정마감재에 고정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noise diffuser may be fixed to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by fixing the support jaw and the fixing plate to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respectively, by the coupling force of the outflow pipe and the support plate.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유출입관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플레이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And the support plate is screwed with the outlet pipe; The adjusting plate may be screwed to the support play.

또한, 상기 덕트 삽입구는, 상기 챔버본체 양 측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기 덕트 삽입구 내에는 상기 덕트 삽입구를 차폐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판은 설치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uct insertion hole is form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chamber body; A blocking plate for shielding the duct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duct insertion hole; The blocking plate may be selectively detachabl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tructure.

한편, 상기 덕트 삽입구 내주연에는, 덕트 연결구가 삽입되어 안착시, 상기 덕트 연결구의 단부 테두리가 삽입되는 체결홈을 형성하는 끼움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duct insertion hole, when the duct connector is inserted and seated, a fitting jaw may be formed to form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end edge of the duct connector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덕트 삽입구 내측면에는, 상기 덕트 연결구 단부에 형성된 후크가 연결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insertion hole, a seating portion to which a hook formed at the end of the duct connector may be formed.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소음 디퓨져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noise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디퓨져가 천정 마감재에 지지되어 고정되면서도, 천정 마감재에 나사 또는 못 등을 이용한 고정 시공이 필요 없어 그 시공성이 용이해지고, 시공작업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That is, while the diffuser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ceiling finish, there is no need for a fixed construction using screws or nails on the ceiling finish, so that the construction is easy, and the construction work is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은, 각 부재가 원터치 결합 또는 각 부재간의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되므로, 별도의 시공장비 없이, 비교적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 후 공기의 누설 등이 발생하지 않아, 그 효과가 등대되는 장점이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member is coupled by one-touch coupling or screw coupling between the members, the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relatively simply without additional construction equipment, and air leakage or the like does not occur after construction, and thus the effect is There is a lighthouse advantage.

그리고 본 발명은 소음챔버를 이용하여 이동되는 소음을 산란시키므로, 각 방간의 소음 전달을 차단시키는 장점이 있다.A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scatters the noise moving by using the noise chamber, there is an advantage to block the transmission of noise between each room.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소음디퓨져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noise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음디퓨져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소음디퓨져를 구성하는 소음챔버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소음디퓨져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의한 소음디퓨져를 구성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조절플레이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덕트연결구 및 이에 결합되는 덕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챔버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챕버본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챔버본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방향의 종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소음디퓨져가 천정 마감재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결합상태도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noise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noise chamber constituting the noise diffuser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noise diffuser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late and an adjusting plate constituting the noise diffuser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connector constitut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and the duct coupled thereto,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hamber body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hapte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main body, and Fig. 9 is a later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chamber body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stalled on a ceiling finishing material.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소음디퓨져는 소음챔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음챔버(200)는 상기 소음챔버(200)와 결합되는 덕트(300)로부터 유입되는 음파 또는 후술할 환기 대상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산란시켜 유출입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noise diffuser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noise chamber 200. The noise chamber 200 is a portion that plays a role of reducing noise flowing in and out by scattering sound waves introduced from the duct 300 coupled to the noise chamber 200 or sound waves introduced from a ventilation target space to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음파의 산란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소음챔버(200)는 비교적 큰 내부공간이 형성된 챔버본체(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uch, the noise chamber 200 includes a chamber body 210 having a relatively large internal space in order to induce scattering of sound waves.

상기 챔버본체(210)는 횡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횡단면'이라 하면 상기 소음디퓨져가 설치되는 천정면과 평행한 면 방향의 단면을 말한다. 그리고 '종단면' 이라 하면 상기 횡단면과 수직인 방향의 단면을 말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단면도의 단면방향을 말한다.The chamber body 210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cross section is circular. Hereinafter, the cross section refers to a cross section in a plane direction parallel to the ceiling surface on which the noise diffuser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term "vertical cross section" refers to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cross section, and refers to a cross section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shown in FIG. 3.

한편, 상기 챔버본체(210)의 일측에는 덕트(300)가 연결되는 덕트 삽입구(220)가 형성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덕트(300)의 단부에는 덕트연결구(310)가 결합되고, 상기 덕트연결구(310)가 상기 덕트 삽입구(220)에 결합하여 상기 덕트(300)가 상기 챔버본체(210)에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chamber body 210 is formed with a duct insertion hole 220 to which the duct 300 is connected. Exactly, an end of the duct 300 is coupled to the duct connector 310, and the duct connector 310 is coupled to the duct insertion hole 220 so that the duct 300 is coupled to the chamber body 210. .

상기 덕트 삽입구(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본체(210)의 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장방형의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덕트 삽입구(220) 내측에는 상기 덕트연결구(310)의 단부 테두리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222)은 'ㄷ' 형태로 꺾인 끼움턱(224)이 상기 덕트 삽입구(220) 내주연에 돌출됨에 의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duct insertion hole 2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tubular shape protruding to a side of the chamber body 21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duct connector 310 inside the duct insertion hole 220. Fastening groove 222 is formed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dge of the end. The fastening groove 222 is formed by the fitting jaw 224 bent in the form of 'c' protrudes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duct insertion hole 220.

그리고 상기 덕트연결구(310) 내주연 일부 구간에는 상기 끼움턱(224)이 형성되지 않아 후술할 상기 덕트 삽입구(220)의 후크(312)가 삽입되어 안착면(226)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tting jaw 224 is not formed at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duct connector 310 so that the hook 312 of the duct insertion hole 22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o be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26. desirable.

상기 덕트 삽입구(220)의 형태는 도 4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 삽입구(22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내측면 내주연을 따라 체결홈(222)을 형성하는 끼움턱(224)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끼움턱(224) 중 양측면부분이 상기 덕트연결구(310)의 후크(3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있다.  The shape of the duct insert 220 is clearly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 4, the duct insertion hole 2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fitting jaw 224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side, and the fitting jaw 224 is formed. Both sides of the) is cut so that the hook 312 of the duct connector 310 can be inserted.

한편, 상기 챔버본체(210) 하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기 챔버본체(210)의 밑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의 유출입관(230)이 형성된다. 상기 유출입관(230)의 단부는 환기 대상공간(방)의 천정 마감재(600)를 관통하는 부분으로 덕트(30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환기 대상공간으로 이동하고, 상기 환기 대상공간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덕트(300)로 이동하는 이동로가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210, as shown in Figures 2 to 4, a cylindrical outflow pipe 230 formed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chamber body 210 is formed. An end of the inflow pipe 230 is a portion that passes through the ceiling finish 600 of the ventilation target space (room), the air introduced from the duct 300 moves to the ventilation target spac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ventilation target space Becomes a movement path moving to the duct 300.

상기 유출입관(230)은 다각형 형태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천정마감재(600)의 천공 과정 등을 고려해 볼 때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시공측면에서 유리하다.The outflow tube 230 may be formed of a polygonal tube, but in view of the drilling process of the ceiling finish material 600, it is advantageous to be formed in a circular tube in terms of construction.

한편, 상기 유출입관(230)의 내측면에는 후술할 지지플레이트(400)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지지플레이트(400)는 압입방식으로 상기 유출입관(230)에 결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230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for coupling the support plate 400 to be described later. Of course, the support plate 400 may be coupled to the outlet pipe 230 in a press-fit method.

또한, 상기 유출입관(230) 외주연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턱(24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240)은 상기 천정 마감재(600)의 상면(즉, 도 9에서 천정 슬래브(700)쪽을 향하는 면)에 지지되는 것으로 후술할 지지플레이트(400)와 함께 상기 소음디퓨져를 상기 천정 마감재(600)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In addition, at least one support jaw 240 protrudes from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flow pipe 230. The support jaw 240 is suppor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600 (that is, the surface facing toward the ceiling slab 700 in FIG. 9) together with the support plate 400 to be described later, the noise diffuser to the ceiling The part for fixing to the finishing material 600.

상기 지지턱(24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방사형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상기 소음디퓨져의 안정적 지지를 위해 유리하다.Although the number of the support jaw 240 is not limited, it is advantageous that a plurality is formed radially for stable support of the noise diffuser.

한편, 상기 천정 마감재(600)를 관통한 유출입관(230)의 내측면에는 지지플레이트(400)가 천정 마감재(600)의 하면 쪽(즉, 환기 대상공간으로 노출된 면을 말한다)으로부터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정 마감재(600)의 하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지지대(410)와 상기 지지대(410)의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된 원통형의 결합관(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관(420)의 형태와 크기는 상기 유출입관(2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출입관(230)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late 40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230 penetrating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600 from the lower surface side (that is, the surface exposed to the ventilation target space)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600. . To this end, as shown in FIG. 5, the support plate 400 has an annular support 410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600 and a cylindrical coupling tube exten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410. And 420. At this time, the shape and size of the coupling pipe 42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flow pipe 230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outflow pipe (230).

또한 상기 유출입관(230) 내측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관(420) 외주연에도 나사산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upling pipe 420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inside the outflow pipe 230.

한편, 상기 결합관(420) 내측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지지봉(430)에 의해 지지된 체결구(44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구(440)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조절플레이트(500)를 상기 지지플레이트(400)에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pipe 420 is provided with a fastener 440 supported by one or more support rods 430 as shown. The fastener 440 is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and is a portion for coupling the adjustment plate 50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support plate 400.

상기 지지플레이트(400)의 체결구(440)에는 상기 결합관(420)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플레이트(500)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플레이트(500)는 상기 결합관(4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밑판(510)과 상기 밑판(510) 중심부로부터 연장된 체결봉(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astener 440 of the support plate 4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plate 500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and out through the coupling pipe 420. The adjustment plate 500 includes a bottom plate 51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ipe 420 and a fastening rod 520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510.

상기 체결봉(520)의 외주연에는 상기 체결구(440) 내주연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봉(520)이 상기 체결구(440)에 나사결합됨에 의해 상기 조절플레이트(500)가 지지플레이트(400)에 결합된다.The outer periphery of the fastening rod 520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of the inner peripheral of the fastener 440, the fastening rod 520 is screwed to the fastener 440 by the adjustment plate 500 )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400.

그리고, 상기 체결봉(520)이 상기 체결구(440)를 따라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밑판(510)과 상기 지지대(410)의 통공부분과의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결합관(420)의 개방정도가 조절된다.In addition, as the fastening bar 520 rotates along the fastener 440,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plate 510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410 is adjusted to increase the opening degree of the coupling pipe 420. Adjusted.

한편,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해 도 6에는 본 발명의 소음디퓨져와 결합되는 덕트연결구 및 상기 덕트연결구에 연결되는 덕트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shown a duct connector coupled to the noise diff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uct connected to the duct connector.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연결구(310)는 일측에는 상기 덕트(300)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연결부(3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턱트 삽입구에 삽입되는 챔버연결부(330)가 형성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uct connector 310 has a duct connection part 320 for connecting the duct 300 to one side and a chamber connection part 330 to be inserted into the tuck insertion hole on the other side.

상기 덕트연결부(320)는 상기 덕트(30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덕트(30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본 명세서에서는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덕트연결부(320) 내측면에는 상기 덕트(300)가 결합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duct connecting part 320 is a portion into which the duct 300 is inserted and is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uct 300, 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will be described as being formed as a circular tube.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connecting portion 320 so that the duct 300 is coupled.

또한, 상기 덕트(300)는 원형의 플렉시블 관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덕트연결부(320) 내측면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연결부(320) 내측으로 삽입도어 나사 결합된다.In addition, the duct 300 is formed of a circular flexible tube,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connecting portion 32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 insertion door screw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uct connecting portion 320. .

한편, 상기 챔버연결부(330)는 상기 덕트 삽입구(220)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덕트 삽입구(220)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된다. 또한, 상기 챔버연결부(330) 측면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312)가 형성되어 도 4에 도시한 안착면(226)에 상기 후크(312)가 안착되어 상기 덕트연결구(310)를 상기 소음챔버(200)에 결합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hamber connection portion 330 is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duct insertion hole 220 to be inserted into the duct insertion hole 22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 hook 312 is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chamber connection part 330 so that the hook 312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26 shown in FIG. 4 to connect the duct connector 310. To be coupled to the noise chamber 200.

상기 덕트연결부(320)가 상기 덕트 삽입구(220)에 결합되면, 상기 챔버연결부(330)의 단부 테두리는 전술한 체결홈(222)에 삽입되어 유출입되는 공기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duct connecting portion 320 is coupled to the duct insertion hole 220, the edge of the end of the chamber connecting portion 33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22 described above to prevent the leakage of air flowing in and out. .

그리고 상기 덕트 삽입구(220)는 상기 챔버본체(210)의 일측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챔버본체(210) 측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소음챔버(200)가 덕트(300)의 최종 단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덕트 삽입구(220)가 하나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덕트가 소음챔버(200)를 지나 또 다른 환기공간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필요 개수만큼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nly one duct insertion hole 220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chamber body 210, and a plurality of duct insertion holes 220 may be formed at the side of the chamber body 210. That is, when the noise chamber 200 is installed at the final end of the duct 300, only one duct insertion hole 220 may be formed, and the duct passes through the noise chamber 200 to another ventilation space. If necessary, the number may be form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본체(210)의 양측면에 덕트 삽입구(220)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덕트 삽입구(220)의 내측면에 상기 덕트 삽입구(220)를 차폐하는 차단판(228)을 형성시켜, 시공시 설치 위치 및 조건에 따라 상기 덕트연결구(310)를 삽입시키는 부분의 덕트 삽입구(220)만 상기 차단판(228)을 제거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More preferably, the duct insertion holes 2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hamber body 210 in the same shape, and the blocking plate 228 shielding the duct insertion holes 220 on the inner side of the duct insertion hole 220. Forming, so that only the duct insertion hole 220 of the portion to insert the duct connector 31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conditions during construction to remove and use the blocking plate 228.

이와같은 경우, 한 형태의 소음챔버(200)를 생산하여도 다양한 시공조건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even if the production of one type of noise chamber 200 can be used according to various construction conditio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tilization of the product is increased.

한편, 상기 챔버본체는 음파의 분산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hamber body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to increase the dispersion effect of the sound wa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소음디퓨져를 구성하는 챔버본체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살피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chamber body constituting the noise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소음챔버(20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음챔버(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벽체가 호형의 굴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덕트 삽입구(220)를 통해 유입된 음파가 굴곡면의 측변벽에 부딪힌 후 무질서한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하여 음파의 산란을 유도하기 위함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noise chamber 200, the noise chamber 200, as shown in Figure 7, the side wall may be formed as an arc-shaped curved surface. This is to induce the scattering of the sound wave so that the sound wave introduced through the duct insertion hole 220 hits the side wall of the curved surface and is reflected in a disordered direction.

한편, 상기 소음챔버(200) 내에는 상기 음파의 산란을 유도하기 위여 방음벽체(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음벽체(212)는 상기 덕트 삽입구(220)를 통과한 음파의 진행을 방해하기 위한 차단판(228)으로, 상기 소음챔버(200) 내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noise chamber 200, a soundproof wall body 212 may be formed to induce the scattering of the sound waves. The soundproof wall 212 is a blocking plate 228 for preventing the progress of sound waves passing through the duct insertion hole 220, and may be formed in the noise chamber 200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소음챔버(200)의 또 다른 실시예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음벽체(212)가 상기 챔버본체(210)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수직방향이라 함은 상기 챔버본체(210)의 측면과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noise chamber 200, as shown in FIG. 8, the soundproof wall body 212 is formed in the chamber body 210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ide of the chamber body 210.

한편, 상기 소음챔버(200)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음벽체(212)가 상기 챔버본체(210)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수평방향이라 함은 상기 챔버본체(21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noise chamber 200, as shown in FIG. 9, the soundproof wall 212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chamber body 210. In this case, the horizontal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210.

상기 방음벽체(212)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덕트연결구(310)로무터 유입된 음파가 반사되어 상기 유출입관(230) 방향으로 유입되는 음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soundproof wall 212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ound waves introduced into the duct connector 310 are reflected to block the sound waves flowing in the outflow pipe 230.

한편, 도 9에는 상기 덕트 삽입구(220)를 차폐하는 차단판(228)의 설치 모습이 부분확대도로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판(228)에는 절개홈(229)이 형성되어, 시공자가 필요에 따라 손쉽게 상기 차단판(228)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is shown in detail in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installation of the blocking plate 228 to shield the duct insertion hole 220. As shown in this, the blocking plate 228 is formed with a cutting groove 229, it is formed so that the builder can easily remove the blocking plate 228 as need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소음디퓨져가 천정내에 설치된 것을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noise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음디퓨져는 건축골조를 이루는 천정슬래브(700)와 상기 천정슬래브(700)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천정마감재(60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0, the noise diffuser is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a ceiling slab 700 constituting a building frame and a ceiling finishing material 600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slab 700.

이때, 상기 공간에는 소방시설 및 전기시설 등의 건축 부대 시설들이 설치된다.In this case, building auxiliary facilities such as fire fighting facilities and electric facilities are installe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음디퓨져는 천정슬래브(700)에 고정되지 않고 천정 마감재(600)에 고정된다. 이는 상기 소음디퓨져가 비교적 가벼워 천정 마감재(600)에 의해서도 충분히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소음디퓨져의 설치 위치가 상기 천정마감재(600)의 천공위치에 따라 맞춰져야 하므로, 상기 청공위치에 직접 고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방식이 시공상에서 유리하다.As shown in FIG. 10, the noise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ixed to the ceiling slab 700 but is fixed to the ceiling finish 600. The noise diffuser is relatively light and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by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600,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noise diffuser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uncturing position of the ceiling finisher 600,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fixed to the clean position. Fixing method by is advantageous in construction.

상기 천정마감재(600)의 천공에는 상기 소음디퓨져의 유출입관(230) 단부가 관통된다. 이때, 상기 천정 마감재(600)의 청공크기는 상기 유출입관(23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 of the inlet and outflow pipe 230 of the noise diffuser penetrates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600. At this time, the blue hole size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600 is preferably formed to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flow pipe 230.

한편, 상기 유출입관(230)이 상기 천정마감재(600)의 천공부분을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턱(240)의 단부는 상기 천정마감재(600)의 상면에 지지된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outflow pipe 230 passes through the perforated portion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600, the end of the support jaw 240 is suppor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600.

이때, 상기 지지턱(240)의 길이는 상기 지지턱(240) 단부로부터 상기 유출입관(230) 단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천정마감재(600) 두께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출입관(230)이 상기 천정 마감재(600)에 삽입된 경우, 상기 유출입관(230) 단부가 상기 천정 마감재(600)와 동일한 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support jaw 240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 from the end of the support jaw 240 to the end of the outlet pipe 230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600, the outlet pipe 230 is When inserted into the ceiling finish 600,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outlet pipe 230 is position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ceiling finish 600.

한편, 상기 천정 마감재(600)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유출입관(230) 내주연에 상기 지지플레이트(400)가 나사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late 400 is screw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flow pipe 230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finish 60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400)와 상기 유출입관(230) 사이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소음디퓨져가 상기 천정 마감재(600)에 고정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noise diffuser is fixed to the ceiling finish 600 by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plate 400 and the outflow pipe 230.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본 발명은 공기조화용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음챔버를 이용하여 이동되는 소음을 산란시키므로, 각 방간의 소음 전달을 차단시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diffuser,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scatters the noise moving using the noise chamber, there is an advantage to block the transmission of noise between each room.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음 디퓨져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noise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소음 디퓨져를 구성하는 소음챔버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noise chamber constituting the noise diffuser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소음디퓨져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noise diffuser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의한 소음디퓨져를 구성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조절플레이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late and an adjusting plate constituting the noise diffuser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덕트연결구 및 이에 결합되는 덕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connector and a duct coupled to constitute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챔버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hamber body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챔버본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hamber body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챔버본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방향의 종단면도.Figure 9 is a sid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hamber body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소음디퓨져가 천정 마감재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결합상태도.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ise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eiling finish.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00 :소음챔버 210 : 챔버본체200: noise chamber 210: chamber body

220 : 덕트삽입구 222 : 체결홈220: duct insertion hole 222: fastening groove

224 : 끼움턱 226 : 안착면224: fitting jaw 226: seating surface

230 : 유출입관 240 : 지지턱230: outflow pipe 240: support jaw

300 : 덕트 310 : 덕트연결구 300: duct 310: duct connector

312 : 후크 320 : 덕트연결구312: hook 320: duct connector

330 : 챔버연결부 400 : 지지플레이트330: chamber connection 400: support plate

410 : 지지대 420 : 결합관410: support 420: coupling pipe

430 : 지지봉 440 : 체결구430: support rod 440: fastener

510 : 밑판 520 : 체결봉510: base plate 520: fastening rod

500 : 조절플레이트 600 : 천정마감재500: adjustment plate 600: ceiling finish

700 : 천정슬래브700: ceiling slab

Claims (16)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챔버본체와;A chamber body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상기 챔버본체 측면에 형성되는 덕트 삽입구와;A duct insertion hole formed at a side of the chamber body; 상기 덕트 삽입구와 수직되도록 상기 챔버 본체 저면에 형성되어 환기 대상 공간으로 개방되는 유출입관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소음챔버와:A noise chambe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body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duct insertion hole and including an inlet and outlet pipe opened to a ventilation target space; 상기 유출입관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소음챔버를 천정 마감재 상면에 지지되도록하는 지지턱과:A support ja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let pipe so as to support the noise chamber on an upper surface of a ceiling finish material; 상기 천정 마감재를 관통하여 상기 유출입관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입관과 연통되는 지지플레이트; 그리고A support pl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inlet and outlet pipe through the ceiling finish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and inlet; And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입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디퓨져.Nois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plat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to adjust the amount of air moving through the outflow pip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음디퓨져는,The noise diffuser, 상기 유출입관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지지턱과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천정마감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천정마감재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디퓨져. The nois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jaw and the support plate is fixed to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ceiling finish material by the coupling force of the outflow pipe and the support plate are fixed to the ceiling finish materi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유출입관과 나사결합되고;The support plate is screwed with the outlet pipe;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플레이에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디퓨져.The control plate is a nois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screwed to the support play.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덕트 삽입구는,The duct insertion hole, 상기 챔버본체 양 측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chamber body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덕트 삽입구 내에는 상기 덕트 삽입구를 차폐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며;A blocking plate for shielding the duct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duct insertion hole; 상기 차단판은 설치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디퓨져.The barrier plate is a nois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vely form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덕트 삽입구 내주연에는,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duct insertion hole, 덕트 연결구가 삽입되어 안착시, 상기 덕트 연결구의 단부 테두리가 삽입되는 체결홈을 형성하는 끼움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디퓨져.When the duct connector is inserted and seated, the nois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jaw is formed to form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end edge of the duct connector is inserted.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덕트 삽입구 내측면에는,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insertion hole, 상기 덕트 연결구 단부에 형성된 후크가 연결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디퓨져.Nois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hook formed on the end of the duct connec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07994A 2009-02-02 2009-02-02 Noise diffuser KR1010525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994A KR101052584B1 (en) 2009-02-02 2009-02-02 Noise diff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994A KR101052584B1 (en) 2009-02-02 2009-02-02 Noise diffu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863A KR20100088863A (en) 2010-08-11
KR101052584B1 true KR101052584B1 (en) 2011-07-29

Family

ID=4275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994A KR101052584B1 (en) 2009-02-02 2009-02-02 Noise diff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58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7646A (en) * 2002-02-06 2003-08-15 Mahle Tennex Corp Duct installing structure
JP2004317122A (en) * 2004-08-19 2004-11-11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intake and exhaust opening
KR20050123062A (en) * 2005-11-01 2005-12-29 배인선 Connector of ventilation duct and connected structure thereof
KR20080099843A (en) * 2008-10-01 2008-11-13 신기빈 Diffuser for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7646A (en) * 2002-02-06 2003-08-15 Mahle Tennex Corp Duct installing structure
JP2004317122A (en) * 2004-08-19 2004-11-11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intake and exhaust opening
KR20050123062A (en) * 2005-11-01 2005-12-29 배인선 Connector of ventilation duct and connected structure thereof
KR20080099843A (en) * 2008-10-01 2008-11-13 신기빈 Diffuser for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863A (en)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022B1 (en) Air conditioning diffuser
US5482507A (en) Clothes dryer vent
JP2010528201A (en) Insulation element with ventilation duct
KR100910615B1 (en) Diffuser for air conditioner
KR101052584B1 (en) Noise diffuser
KR200448247Y1 (en) Diffuser having acoustic absorption body
KR200459987Y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12132610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0488126Y1 (en) Ceiling structure comprising air permeable molding
WO2011013582A1 (en) Double-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JP6635846B2 (en) Building air conditioning
KR102396442B1 (en) Air conditioning and lighting combined unit for well celling
JP6221134B2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JP2018091563A (en)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US3779150A (en) Combination valance and conditioned air admission duct
JP2019178528A (en) building
RU2275558C1 (en) Device for supplying and distributing inflowing air
KR101429572B1 (en) Grill for air conditioner of cooling-heating or for ventilation
KR101157619B1 (en) Square diffuser for air conditioning of room
JP2000314186A (en) Eaves unit
JPH0522132B2 (en)
KR20050064963A (en) The supporting structure of pipe for duct type air-conditioner
EP1564502B1 (en) Wall sleeve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458235Y1 (en) Air conditioning diffuser
KR200429007Y1 (en) air-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