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264B1 -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 - Google Patents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264B1
KR101052264B1 KR1020080134436A KR20080134436A KR101052264B1 KR 101052264 B1 KR101052264 B1 KR 101052264B1 KR 1020080134436 A KR1020080134436 A KR 1020080134436A KR 20080134436 A KR20080134436 A KR 20080134436A KR 101052264 B1 KR101052264 B1 KR 101052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mold
cooling water
inlet pip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410A (ko
Inventor
서민홍
박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13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264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20/00Closure means, e.g. end caps on header boxes or plugs 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22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문서는 금형에 냉각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 냉각수 채널에 삽입할 수 있는 플러그-인 형태의 냉각수 노즐을 개시한다. 이때 냉각수 채널을 일측이 막힌 형태로 형성하여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플러그-인 형태의 냉각수 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면 노즐의 외부로 냉각수가 배수되어 하나의 채널을 통해 입수 및 배수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냉각수 노즐을 통해 입수, 배수되는 냉각수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저장탱크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냉각수 노즐별로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밸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냉각수, 금형, 노즐, 채널

Description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A COOLING WATER NOZZLE OF PLUG-IN TYPE FOR A DIE COOLING}
본 문서는 금형 냉각을 위한 냉각수 노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형 냉각을 위해 일측이 막힌 냉각수 채널을 형성하고 채널 안으로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에 관한 것이다.
금형에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채널(통로)을 만들어 일정 유량의 냉각수를 흘려 보내는 냉각기술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는 철강재의 성형을 위해 열간성형프레스 공정으로 금형에 의한 급속 냉각을 유도하여 미세조직의 변태를 동반하는 재료강화기법 중에 사용되거나, 연속공정 중에 발생하는 변형열에 의한 성형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과 같은 경량금속에서는 상온의 낮은 변형물성을 극복하고, 고온에서의 초소성 성형을 응용하기 위해 금형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기도 한다. 이때 금형 가열로부터 유발되는 열전달로 인해 성형용 장비가 승온되는 것을 방지하여 프레스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금형 냉각기술이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마그네슘을 성형하기 위한 기술로써는 금형의 국부적인 냉각을 이용해 성형성을 향상시키거나 철강재의 경우 난성형 형상의 성형을 위해 국부적으로 온도를 높이는 공정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때 금형 내의 온도 편차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냉각수 순환을 통한 냉각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은 종래에 사용되던 냉각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은 금형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냉각수 채널을 나타내고, 도 2는 출수를 방지하기 위해 채널이 막혀야 되는 위치를 나타내며 도 3은 금형 채널을 막는 스토퍼들의 형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4는 채널을 막기 위해 스토퍼를 삽입한 후 금형을 나타낸다.
금형(10)에 직선의 드릴을 이용한 관통 형상의 냉각수 채널(11)을 가공한 후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를 닫힌 공간으로 만들기 위하여 스토퍼(13)를 끼워넣는 방식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런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채널(11)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하여 금형(10)을 여러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드릴 가공을 해야하는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다. 관통된 냉각수 채널(11)에 냉각수를 용이하게 흘려보내기 위해서는 채널 형태에 맞게 각기 가공된 스토퍼(13)를 도 2에서 나타낸 스토퍼 삽입 위치에 끼워 조립해야 한다. 그리고, 전체 금형(10)의 냉각수 채널(11)을 닫힌 채널로 만들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각도와 위치에서 다양한 형상의 스토퍼(13)가 삽입되어야만 한다. 조립이 완료된 금형(10)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형태의 채널 가공은 불필요한 채널을 형성하고 다시 막는 공정과 금형을 이송 및 회전시키는 작업이 필 수적으로 요구된다.
보통 자동차용 부품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은 수톤의 무게가 나가므로 금형 자 체를 회전시켜야 하는 드릴 공정은 매우 위험도가 높은 작업이며 용이하게 금형을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치구가 제공되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통된 각 냉각수 채널에 냉각수 입수구와 출수구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많은 수의 냉각수 배관으로 인해 성형 작업을 위한 금형의 설치 및 프레스 작동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어 제한적으로만 적용된다.
본 문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금형의 냉각 채널 설계 및 가공 공법을 개선하기 위해 일측이 막힌 채널에서 냉각수 순환이 가능하도록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 제공을 해결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수단으로서의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은, 금형에 형성되는 냉각수 채널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수 채널에 삽입되어 상기 금형 내부로 냉각수를 유입하는 입수관; 및 일측이 상기 냉각수 채널과 밀봉 연결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입수관이 상기 냉각수 채널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냉각수 채널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입수관을 지지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수 채널의 일측이 차단되어 있어, 상기 입수관을 통해 냉각수가 유입되면, 상기 입수관 외면과 상기 금형 내면 사이로 냉각수가 흘러 금형을 냉각시키고, 상기 연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냉각수 채널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냉각수를 일시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채널의 일측이 차단되어 있어, 상기 입수관을 통해 냉각수가 유입되면, 상기 입수관 외면과 상기 냉각수 채널 내면 사이로 냉각수가 흘러 금형을 냉각시키고, 상기 연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에는, 상기 연결구의 내측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가 상기 입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입수관을 지지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냉각수를 일시 저장 후 출수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수용 저장탱크 및 상기 입수관과 연결되어 입수된 냉각수를 일시 저장한 후 일정 압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입수관을 통해 채널 안으로 냉각수를 밀어 보내도록 구성되는 입수용 저장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입수관 및 상기 연결구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에는 다른 냉각수 노즐에 포함되는 저장탱크와 상호 연결되는 입수용 탭 및 배수용 탭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형에 냉각수 채널을 막힌 형태로 형성하고 하나의 채널을 통해 급수와 배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금형에 형성되는 채널 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채널을 막기 위해 사용하던 스토퍼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채널에서 급수와 배수가 이루어짐으로써 배수되는 냉각수의 열이 식혀질 수 있어 간접적으로 냉각 효율을 높이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다수의 냉각수 채널에 유입되는 냉각수량을 채널 별로 조절할 수 있어 부분적으로 냉각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개별 노즐들도 상호간의 연결이 가능하고 저장탱크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냉각수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 공간 효율을 높이고, 단순한 구조화되어 샘(leakage)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냉각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냉각수 순환시스템을 간단하게 구성하여 금형을 냉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냉각이 필요한 영역에 일측이 막힌 냉각수 채널을 형성시키는 드릴 가공 후, 생성된 냉각수 채널에 본 발명에 다른 냉각수 노즐을 플러그-인 방식으로 간단히 삽입함으로써 하나의 냉각수 노즐에서 동시에 냉각수 급수와 배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특히, 도 5의 (a)는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의 등사면도를 나타내고, (b)는 측면도를 나타내며, (c)는 후사면도를 나타내고, (d)는 정면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측이 막힌 냉각수 채널을 가지는 금형을 나타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이 금형의 냉각수 채널에 삽입된 후의 투영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이 금형의 냉각수 채널에 삽입된 후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100)은, 금형(10)에 형성되는 냉각수 채널(11)보다 작은 단면적 으로 이루어지고, 냉각수 채널(11)에 삽입되어 금형(10) 내부로 냉각수를 유입하는 입수관(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측이 냉각수 채널(11)과 밀봉 연결되도록 이루어지고, 입수관(110)이 냉각수 채널(11)에 삽입되었을 때 냉각수 채널(11)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입수관을 지지하는 연결구(120)를 포함한다.
또한, 연결구(120)에는, 입수관(110)의 내측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130)가 입수관(110)과 연결되어 입수관(11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c)에 도시된 후사면도에서와 같이 금형(10)의 냉각수 채널(11)과 결합되는 외측 환형 볼트 형상의 연결구(120)와 120˚로 벌어진 3개의 돌기(130)가 연결되어 있어 입수관(110)이 냉각수 채널(1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지지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을 적용하기 위해 직선의 일측이 막힌 채널(11)이 형성된 금형(10)의 형상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막힌 형태의 채널에서 급수와 배수가 동시에 가능하므로 종래 기술에서 적용되는 여러 형태의 스토퍼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종래의 채널 가공법과 비교하여 간소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100)을 금형(10)에 형성된 냉각수 채널(11)에 삽입 후 냉각수를 흘려보내는데, 여기서 냉각수 채널(1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차단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냉각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노즐(100)의 중앙에 위치한 입수관(110)을 통하여 채널(11)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입수관(110)이 냉각수 채널(11)의 막힌 끝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냉각수는 입수관(110)을 빠져나와 채널의 입구쪽으로 순환하며 금형(10)과 직접 접촉하게 되고 금형(10)을 직접 냉각한다. 입수관(110)은 냉각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배수되는 액체와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입수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를 통해 이 입수관(110) 외면으로 배수되는 액체의 열을 냉각시키는 효과를 부수적으로 가져와 냉각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냉각수 순환을 위해 고안된 노즐은 냉각수 채널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냉각수를 일시 저장하도록 구성된 냉각수 저장탱크와 직접 또는 중간의 연결 호스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저장탱크의 역할은 일정 압력으로 냉각수를 저장하여 냉각수의 급수와 배수의 순환을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작용하는데 직접 냉각수 저장탱크가 고안된 노즐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에 연결되는 저장탱크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에 저장탱크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이 금형의 냉각수 채널에 삽입된 후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1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가 연결된 냉각수 노즐이 금형의 냉각수 채널에 삽입된 후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는 연결구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냉각수를 일시 저장 후 출수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수용 저장탱크(210) 및 입수관과 연결되어 입수된 냉각수를 일시 저장한 후 일정 압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입수관을 통해 채널 안으로 냉각수를 밀어 보내도록 구성되는 입수용 저장 탱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에 유입되고 배출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전달해 주기 위해 외부 연결호스 또는 원수관과 연결할 수 있는 탭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가 배수용 저장탱크(210)와 입수용 저장탱크(220)로 구분되어 이루어진 경우, 탭도 배수탭(230)과 입수탭(240)으로 배수용 저장탱크(210)와 입수용 저장탱크(220) 각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때 다수의 저장탱크에 형성되는 탭은 각 저장탱크의 좌우에 서로 상호 연결가능하게 구성되어, 하나의 입수용 원수관과 하나의 배수용 원수관을 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일체형 노즐에 연결함으로써 전체 냉각수 순환이 가능하며 금형을 냉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용 저장탱크(21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의 연결구 즉, 환형 볼트 형상의 연결구와 연결하기 위한 제1 돌기(260)가 결합되어 있고, 입수용 저장탱크(220)에는 입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제2 돌기(250)가 결합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기(250)를 제1 돌기(260)보다 높게 형성하거나 또는, 반대로 입수관을 연결구보다 길게 형성하여, 입수되는 냉각수와 배수되는 냉각수가 서로 용이하게 혼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노즐(100)의 입수관은 입수용 저장탱크(220)에 형성되는 제2 돌기(250)와 연결되고, 냉각수 노즐(100)의 환형 볼트 형상의 연결구는 배수용 저장탱크(210)에 형성되는 제1 돌기(260)와 연결된다. 이렇게 저장탱크와 연결된 냉각수 노즐(100)이 금형에 형성되는 냉각수 채널에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 도 11이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저장탱크(200)는 독립된 저장공간의 두 개의 단으로 구성된 형태를 가지고, 이때 좌측의 저장공간 즉, 배수용 저장탱크(210)는 냉각수 노즐(100)의 환형 볼트 형상의 연결구와 직접 연결되어 배수되는 액체를 일시 저장 후 출수구를 통해 배출하고 우측의 저장공간 즉, 입수용 저장탱크(220)는 냉각수 노즐(100)의 입수관(110)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입수된 냉각수를 일시 저장한 후 일정 압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입수관(110)을 통해 채널 안으로 냉각수를 밀어 보내도록 작동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에 저장탱크가 일체화되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탱크가 일체화된 냉각수 노즐이 금형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투영 평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100)에는 입수관(110)과 저장탱크(200)가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이때 저장탱크(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독립된 저장공간의 두 개의 단으로 구성된 형태를 가지고, 이때 좌측의 저장공간 즉, 배수용 저장탱크(210)는 금형에 형성된 냉각수 채널 입구와 직접 체결되는 냉각수 노즐(100)의 연결구와 연결되어 배수되는 액체를 일시 저장 후 출수구를 통해 배출하고 우측의 저장공간 즉, 입수용 저장탱크(220)는 냉각수 노즐(100)의 입수관(110)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입수된 냉각수를 일시 저장한 후 일정 압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입수관(110)을 통해 채널 안으로 냉각수를 밀어 보내도록 작동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에 유입되고 배출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전달해 주기 위해 외부 연결호스 또는 원수관과 연결할 수 있는 탭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가 배수용 저장탱크(210)와 입수용 저장탱크(220)로 구분되어 이루어진 경우, 탭도 배수탭(230)과 입수탭(240)으로 배수용 저장탱크(210)와 입수용 저장탱크(220) 각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때 다수의 저장탱크에 형성되는 탭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저장탱크의 좌우에 서로 상호 연결가능하게 구성되어, 하나의 입수용 원수관과 하나의 배수용 원수관을 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일체형 노즐에 연결함으로써 전체 냉각수 순환이 가능하며 금형(10)을 냉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이 금형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에에 따르면 한번의 드릴 가공만으로 하나의 냉각수 채널을 만들어 낼 수 있고 이렇게 형성된 냉각수 채널에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노즐을 도 15와 같이 삽입하고 냉각수 저장탱크를 연결하거나 저장탱크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냉각수 노즐을 삽입하면 냉각수 순환이 가능해 금형을 용이하게 냉각할 수 있다.
도 15에서 좌측 3개의 냉각수 채널에는 일체형 냉각수 노즐(300)로 연결되어 냉각수 순환시스템이 구성되어 있고 우측 두개의 냉각수 채널에는 냉각수 노즐이 삽입되고 냉각수 저장 탱크가 분리되어 연결된 냉각수 순환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서 고안된 구조의 냉각수 노즐을 활용하면 냉각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냉각수 순환시스템을 간단하게 구성하여 금형을 냉각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가 장착된 냉각수 노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100)은 냉각수 노즐(100)의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라 추가로 장착되는 밸브(400)의 형태는 플러그 밸브(Plug valve) 또는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 등과 같이 관 내부의 유체 흐름을 조절하는 일반적인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400)는 금형(10)에 다수의 냉각수 노즐이 사용되는 경우 각 냉각수 노즐(100)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밸브(400)를 통해 냉각수량을 조절하여 금형(10)의 냉각속도를 가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피 가공품의 열이력에 따른 물성 변화를 추구할 때 냉각 효율을 각 냉각수 노즐(100)마다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이종 물성을 획득하기 위한 바람직한 냉각 설계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판재를 고온으로 가열 후 상온의 금형으로 급냉시키면서 가공하여 고강도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에 부품 소재의 기계적 강도는 증가하나 매우 낮은 연신률을 가지게 됨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취약해지는 단점이 발생하여 부품의 활용이 제한되나, 종래의 공정에서는 금형에서 상시 냉각수가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어 냉각효율을 조절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100)은 각 노즐에 장착되는 밸브(400)를 통해서 독립적으로 개별 냉각효율을 조절할 수 있어 금형의 위치별, 부품의 연성 요구 영역별 냉각설계를 달리하는 공정에 자유롭게 적용이 가능하며 냉각효율의 분포를 다양한 양태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정개발 기간 및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 일부 영역에 부품의 형태나 기능상 국부적 연성이 필요한 영역에 부품이 성형되는 금형 위치의 냉각 효율을 낮추어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성을 부여하는 공법의 적용이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은 종래에 사용되던 냉각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측이 막힌 냉각수 채널을 가지는 금형.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이 금형의 냉각수 채널에 삽입된 후의 투영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이 금형의 냉각수 채널에 삽입된 후의 단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에 연결되는 저장탱크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에 저장탱크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이 금형의 냉각수 채널에 삽입된 후의 평면도.
도 1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가 연결된 냉각수 노즐이 금형의 냉각수 채널에 삽입된 후의 단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에 저장탱크가 일체화되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탱크가 일체화된 냉각수 노즐이 금 형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투영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노즐이 금형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가 장착된 냉각수 노즐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금형 11: 냉각수 채널
100: 냉각수 노즐 110: 입수관
120: 연결구 130: 돌기
200: 저장탱크 210: 배수용 저장탱크
220: 입수용 저장탱크 230: 배수탭
240: 입수탭 250: 돌기
260: 돌기 300: 일체형 냉각수 노즐
400: 밸브

Claims (7)

  1. 금형에 형성되는 냉각수 채널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수 채널에 삽입되어 상기 금형 내부로 냉각수를 유입하는 입수관; 및
    일측이 상기 냉각수 채널과 밀봉 연결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입수관이 상기 냉각수 채널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냉각수 채널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입수관을 지지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수 채널의 일측이 차단되어 있어, 상기 입수관을 통해 냉각수가 유입되면, 상기 입수관 외면과 상기 금형 내면 사이로 냉각수가 흘러 금형을 냉각시키고, 상기 연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냉각수 채널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냉각수를 일시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에는, 상기 연결구의 내측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가 상기 입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입수관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냉각수를 일시 저장 후 출수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수용 저장탱크 및 상기 입수관과 연결되어 입수된 냉각수를 일시 저장한 후 일정 압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입수관을 통해 채널 안으로 냉각수를 밀어 보내도록 구성되는 입수용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입수관 및 상기 연결구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에는 다른 냉각수 노즐에 포함되는 저장탱크와 상호 연결되는 입수용 탭 및 배수용 탭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
KR1020080134436A 2008-12-26 2008-12-26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 KR10105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436A KR101052264B1 (ko) 2008-12-26 2008-12-26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436A KR101052264B1 (ko) 2008-12-26 2008-12-26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410A KR20100076410A (ko) 2010-07-06
KR101052264B1 true KR101052264B1 (ko) 2011-07-27

Family

ID=4263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436A KR101052264B1 (ko) 2008-12-26 2008-12-26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308B1 (ko) * 2013-06-18 2014-07-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크레용 사출장치의 냉각장치
KR102158581B1 (ko) * 2014-01-28 2020-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금형 및 그 가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6262U (ja) 1984-01-31 1985-08-24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ィ 金型冷却用パイプ
JPS60160955U (ja) * 1984-03-30 1985-10-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金型の冷却装置
KR200206776Y1 (ko) * 2000-06-21 2000-12-15 한일단조공업주식회사 단조용 프레스의 금형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6262U (ja) 1984-01-31 1985-08-24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ィ 金型冷却用パイプ
JPS60160955U (ja) * 1984-03-30 1985-10-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金型の冷却装置
KR200206776Y1 (ko) * 2000-06-21 2000-12-15 한일단조공업주식회사 단조용 프레스의 금형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410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11280A1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mold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US9011750B2 (en) Injection molding device and method for discharging heat medium for injection molding device
KR100470835B1 (ko) 금형온도 제어 시스템
KR101175406B1 (ko) 연속 주조 몰드용 냉각 패널과 이를 사용한 연속 주조 몰드 장치
KR101052264B1 (ko) 금형 냉각을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냉각수 노즐
CN106583694B (zh) 一种汇流排模具的冷却结构
JP2010110989A (ja) 加熱冷却切替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金型加熱冷却システム
CN105382218B (zh) 强制冷却底盘及其方法
KR101743944B1 (ko) 금형 냉각 장치
KR100698965B1 (ko) 금형의 온도제어장치
KR101790451B1 (ko) 냉각수 충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건물 피동 냉각시스템
CN108748933A (zh) 一种用于注塑机模具的快速冷却系统
KR101845947B1 (ko) 핫런너 시스템의 게이트 부시 냉각 시스템
CN101954436A (zh) 半轴预墩冷却系统
CN219634316U (zh) 一种模温机降温机构
KR101710405B1 (ko) 유속저하수단이 구비된 사출성형기용 금형 냉각 시스템
CN206625280U (zh) 注塑机厂房冷却水路系统
JP5685462B2 (ja) ホットプレス装置
KR101030710B1 (ko) 난방시스템의 온수분배기용 홀더 및 그 제조방법
KR200484963Y1 (ko) 다이캐스팅 금형 냉각용 쿨러
CN214926829U (zh) 一种注塑模具温度控制装置
JP3964422B2 (ja) タイヤ加硫機
KR100435496B1 (ko) 고로 노저부 내화물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고로노저부 냉각장치
KR100476752B1 (ko) 사출 성형기의 몰드 냉각 장치
KR101560831B1 (ko) 열간 프레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