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693B1 - 폐타이어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폐타이어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693B1
KR101051693B1 KR20090035613A KR20090035613A KR101051693B1 KR 101051693 B1 KR101051693 B1 KR 101051693B1 KR 20090035613 A KR20090035613 A KR 20090035613A KR 20090035613 A KR20090035613 A KR 20090035613A KR 101051693 B1 KR101051693 B1 KR 101051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ire
axis
cutting
primary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3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939A (ko
Inventor
안상진
Original Assignee
수성정밀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성정밀기계(주) filed Critical 수성정밀기계(주)
Priority to KR2009003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69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26D1/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with vertical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폐타이어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가 하향 경사진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어 폐타이어를 대기시키는 로딩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폐타이어를 z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1차절단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폐타이어를 x축 및 y축으로 절단하는 2차절단부재와 절단된 폐타이어를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빠른 시간에 많은 폐타이어를 분쇄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며, 적은 단위로 분쇄가 가능하므로 표장 및 이동에 용이하다.
폐타이어, 1차절단부재, 2차절단부재, 수거부, 로딩부재

Description

폐타이어 절단장치{WASTE TIRE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폐타이어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타이어를 x,y,z축 방향으로 정해진 시간안에 많은 양을 적은 단위로 분쇄 가능한 폐타이어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퀴에 장착되는 타이어는 일정기간 사용함에 따라 둘레면이 마모되어 제동력이 저하되는 등타이어로서의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새로운 타이어로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이러한 폐타이어는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약 1000만개가 넘게 발생하고 있지만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폐기되는 폐타이어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폐타이어는 야적장에 방치해 두거나 소각함에 따라 환경을 오염시키고 공해를 유발시키게 되므로 수년 전부터 이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여 재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도 폐타이어 분쇄기는 다수 제안된바 있으나, 이들 대부분의 폐타이어 분쇄기는 폐타이어를 수령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 영역에 설치한 회전커터, 상기 회전커터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등을 구비하고 있 다.
따라서, 호퍼에 타이어를 공급하면 폐타이어가 회전커터에 의해 작은 입자의 분쇄물로 절단된다.
특히, 종래에는 폐타이어에 포함된 강선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폐타이어를 부서지기 쉬운 상태에서 냉각시키고, 이어서 다이 및 펀치로 보이는 2개의 분쇄기를 별도로 구비한 장치를 사용하여 폐타이어를 절단하고 분쇄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타이어 분쇄기는 분쇄과정에서 폐타이어를 단 순히 분쇄하는 등의 미비점이 많아 분쇄가 효율적이지 못했으며 대용량의 폐타이어를 빠른 시간내에 분쇄할 수 없어 효율성 및 경제성이 떨어져 부가가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폐타이어 분쇄가 효율적이며, 대용량의 폐타이어를 빠른 시간내에 분쇄할 수 있는 폐타이어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타이어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하향 경사진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어 폐타이어를 대기시키는 로딩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폐타이어를 z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1차절단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폐타이어를 x축 및 y축으로 절단하는 2차절단부재와 절단된 폐타이어를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딩부재는 상기 폐타이어가 상기 1차절단부재로 이동되지 않도록 돌출턱(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미도시)을 제어하는 타이머(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1차절단부재는, 상기 폐타이어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업실린더와 상기 폐타이어를 내,외주를 지지하는 롤러부와 상기 폐타이어를 회전시키는 1차회전부와 상기 폐타이어를 z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z축칼날부와 상기 z축칼날을 회전시키는 z축칼날회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폐타이어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내주롤러와, 상 기 폐타이어 외주면을 지지하는 메인롤러와, 상기 메인롤러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롤러는 스프링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1차회전부는 1차모터와, 상기 1차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핀들과, 상기 1차모터 및 상기 스핀들을 전후진 시키는 슬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1차절단부재는 상기 스핀들 전측과 체결되는 센터고정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2차절단부재는 상기 폐타이어를 x축 방향을 절단하는 x축절단부와 상기 폐타이어를 y축 방향을 절단하는 y축절단부와 상기 x축절단부와 y축절단부를 실린더로드에 의해 이동시키는 2차이동부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x축절단부 상기 폐타이어의 x축방향으로 형성된 x축칼날과, 상기 x축칼날을 회전시키는 x축모터와, 상기 x축칼날을 상기 폐타이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이동구와, 상기 폐타이어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x스프링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y축절단부는 상기 폐타이어의 y축방향으로 형성된 y축칼날과, 상기 y축칼날을 회전시키는 y축모터와, 상기 y축칼날을 상기 폐타이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이동구와, 상기 폐타이어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y스프링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빠른 시간에 많은 폐타이어를 분쇄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며, 적은 단위로 분쇄가 가능하므로 표장 및 이동에 용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폐타이어 절단장치을 구비한 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절단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절단장치를 도시하는 다른 개념도이다.
도 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가 하향 경사진 베이스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어 폐타이어(10)를 대기시키는 로딩부재(200)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폐타이어(10)를 z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1차절단부재(300)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폐타이어(10)를 x축 및 y축으로 절단하는 2차절단부재(400)와 절단된 폐타이어(10)를 수거하는 수거부(500)로 구성된다.
이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딩부재(200)는 폐타이어(10)가 상기 1차절단부재(300)로 공급되기전에 대기하는 공간으로, 보통은 작업자가 후술하는 수거함에 절단된 폐타이어(10)가 수거되면 인위적으로 다음 폐타이어(10)를 상기 1차절단부재(300)로 공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딩부재(200)는 상기 폐타이어(10)가 상기 1차절단부 재(300)로 이동되지 않도록 돌출턱(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미도시)을 제어하는 타이머(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통은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공급하나 작업자 없이 전자동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폐타이어(10)가 절단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상기 돌출턱(미도시)이 하강하여, 경사진 베이스부재(100) 상면을 타고 상기 1차절단부재(300)로 공급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차절단부재(30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1차절단부재(300)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절단부재(300)는 상기 로딩부재(200)에서 공급된 폐타이어(1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업실린더(310)와, 상기 폐타이어(10)를 내,외주를 지지하는 롤러부(320)와, 상기 폐타이어(10)를 회전시키는 1차회전부(330)와, 상기 폐타이어(10)를 z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z축칼날부(340)와, 상기 z축칼날을 회전시키는 z축칼날회전부(35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업실린더(310)는 상기 베이스부재(100) 상면을 따라 공급되는 상기 폐타이어(10)가 상기 1차절단부재(300) 안착프레임(20)에 안착 되면, 상기 롤러부(320) 및 상기 1차회전부(330)가 배치된 지점까지 이동시켜 준다. 보통은 상기 업실린더(310)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320)는 상기 폐타이어(10)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내주롤러(322)와, 상기 폐타이어(10) 외주면을 지지하는 메인롤러(324)와, 상기 메인롤 러(324)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롤러(326)로 이루어진다. 상술하면, 상기 폐타이어(10)를 절단하기 위해 폐타이어(10)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내주롤러(322)는 상기 폐타이어(10) 내주에 접촉되어 상기 폐타이어(10)가 하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지지하면서, 후술하는 1차회전부(33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폐타이어(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내주롤러(322)는 상기 1차회전부(33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1차회전부(330)의 움직임에 연동된다. 그래서, 상기 업실린더(310)가 상기 폐타이어(10)를 상기 내주롤러(322)의 중심보다 높게 상승시키면, 상기 1차회전부(330)의 슬라이드(336)의 이동에 의해 전진에 연동하여 상기 폐타이어(10)의 내부에 삽입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업실린더(310)가 하강하면 상기 내주롤러(322)가 상기 폐타이어(10) 내주에 접촉되어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롤러(324)는 상기 폐타이어(10) 외주에 접촉되어 상기 폐타이어(10)가 절단될 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메인롤러(324)는 상기 z축칼날부(34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 연동되어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z축칼날부(340)가 상기 폐타이어(10) z축 방향(상기 폐타이어(10) 원주방향)으로 절단을 시작하며, 연이어 상기 메인롤러(324)가 상기 폐타이어(10) 외주에 접촉하여 상기 폐타이어(10)가 절단될 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롤러(326)는 상기 메인롤러(324)가 상기 폐타이어(10) 외주에 접촉되기 전에 상기 z축칼날부(340)가 상기 폐타이어(10)를 절단하기 때문 에 상기 메인롤러(324)가 상기 폐타이이에 접촉되는 시간동안 임시로 상기 폐타이어(10) 외주를 보조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롤러(326)는 스프링에 의해 길이가 가변 된다. 이는, 상기 폐타이어(10)의 크기가 차이가 발생하므로 상기 스프링(327)에 의해 완충되게 된다. 즉, 지름이 큰 폐타이어(10)는 상기 스프링(327)이 압축되며, 지름이 작은 폐타이어(10)는 스프링(327)이 이완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1차회전부(330)는 일정 위치에서 회전에 의해 절단하는 z축칼날부(340)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상기 폐타이어(10)가 완전히 절단되기 위해서 폐타이어(1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1차회전부(330)는 1차모터(332)와, 상기 1차모터(332)에 의해 회전하는 스핀들(334)과, 상기 1차모터(332) 및 상기 스핀들(334)을 전후진 시키는 슬라이드(33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1차모터(332)는 상기 슬라이드(336) 상측에 위치하여 슬라이드(336)의 전후 이동에 연동하여 움직이며, 상기 스핀들(334) 후측에 형성되어 스핀들(334)을 회전시킴으로 상기 폐타이어(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1차모터(332)는 일반적으로 상용모터라고 생각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스핀들(334)은 상기 1차모터(332)에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주롤러(322)에 삽입장착되어 상기 폐타이어(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336)는 상기 1차모터(332)와 상기 스핀들(334)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유압, 공압, 전기등의 전력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z축칼날부(340) 상기 폐타이어(10)를 z축방향으로 절단하는 원형칼날(342)로, 상기 메인롤러(324) 측면에 형성되어 다운실린더(346)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다운실린더(346)는 상기 z축칼날부(340)와 상기 메인롤러(324)가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폐타이어(10)를 절단하기 위해 하측으로 이동시키며, 절단 완료시 다시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z축칼날회전부(350)는 상기 z축칼날부(340)를 지지하는 z축베어링(354)과 z축칼날모터(352)로 이루어져 상기 z축칼날부(340)의 원형칼날(342)을 회전시키게된다. 여기서, 상기 1차모터(332)의 회전에 비해 상기 z축칼날모터(352)는 고속의 회전으로 상기 z축칼날부(340)를 회전시켜야 상기 폐타이어(10)가 완전하게 절단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절단부재(300)는 상기 스핀들(334) 전측과 체결되는 센터고정구(390)가 더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절단부재(4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절단부재를 도시하는 다른평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2차절단부재(400)는 상기 1차절단부재(300)를 통해 z축방향으로 절단된 폐타이어(10)가 상기 베이스부재(100)를 상면을 통해 공급되어, 상기 폐타이어(10)를 x축 방향을 절단하는 x축절단부(420)와 상기 폐타이어(10)를 y축 방향을 절단하는 y축절단부(470)와 상기 x축절단부(420)와 y축절단부(470)를 실린더로드에 의해 이동시키는 2차이동부(410)를 이용하여 폐타이어(10)를 x,y방향으로 절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x축절단부(420)는 상기 폐타이어(10)의 x축방향으로 형성된 x축칼날(426)과, 상기 x축칼날(426)을 회전시키는 x축모터(424)와, 상기 x축칼날(426)을 상기 폐타이어(1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이동구(422)와, 상기 폐타이어(1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x스프링축(42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x축칼날(426)은 전술한 z축칼날부(340)와 마찬가지로 원형의 칼날로 상기 폐타이어(10)에 x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x축모터(424)는 상기 x축칼날(426) 측면에 형성되어 x축칼날(426)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x축이동구(422)는 상기 x축칼날(426)이 상기 폐타이어(10)의 x축 방향 전방에서 후방까지 완전히 통과하도록 이동시킨다. 즉, 상기 2차이동부(410)에 의해 일정거리 상기 x축절단부(420)가 상기 폐타이어(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x축칼날(426)에 의해 상기 폐타이어(10)가 절단되기 위해서는 폐타이어(10) 내측으로 x축칼날(426)이 완전히 통과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x스프링축(428)은 상기 x축칼날(426) 사이에 다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기 x축칼날(426)이 상기 폐타이어(10)를 완전히 절단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x스프링축(428)은 내부에 탄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폐타이어(1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y축절단부(470)는 상기 폐타이어(10)의 y축방향으로 형성된 y축칼날(476)과, 상기 y축칼날(476)을 회전시키는 y축모터(474)와, 상기 y축 칼날(476)을 상기 폐타이어(1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이동구(472)와, 상기 폐타이어(1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y스프링축(47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y축칼날(476)은 전술한 z축칼날부(340)와 마찬가지로 원형의 칼날로 상기 폐타이어(10)에 y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y축모터(474)는 상기 y축칼날(476) 측면에 형성되어 y축칼날(476)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y축이동구(472)는 상기 y축칼날(476)이 상기 폐타이어(10)의 y축 방향 전방에서 후방까지 완전히 통과하도록 이동시킨다. 즉, 상기 2차이동부(410)에 의해 일정거리 상기 y축절단부(470)가 상기 폐타이어(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y축칼날(476)에 의해 상기 폐타이어(10)가 절단되기 위해서는 폐타이어(10) 내측으로 y축칼날(476)이 완전히 통과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y스프링축(478)은 상기 y축칼날(476) 사이에 다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기 y축칼날(476)이 상기 폐타이어(10)를 완전히 절단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y스프링축(478)은 내부에 탄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폐타이어(1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차이동부(410)는 상기 x축절단부(420)와 y축절단부(470)를 상기 폐타이어(10) 가 배치된 곳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유압, 공압등 당업자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x,y,z축 3방향으로 타이어가 절단되는 실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1차절단부재에 의해 상기 폐타이어(10)가 z축방향으로 절단된 것을 나타내며, (b)는 2차절단부재에 의해 상기 폐타이어(10)가 x축방향으로 절단된 것을 나타내며, (c)는 2차절단부재에 의해 상기 폐타이어(10)가 y축방향으로 절단된 것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폐타이어를 x,y,z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절단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절단장치를 도시하는 다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차절단부재(300)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1차절단부재(300)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절단부재(400)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절단부재를 도시하는 다른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x,y,z축 3방향으로 타이어가 절단되는 실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폐타이어 100: 베이스부재
200: 로딩부재 300: 1차절단부재
400: 2차절단부재 500: 수거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폐타이어(10)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하향 경사진 베이스부재(100);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어 폐타이어(10)를 대기시키는 로딩부재(200);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폐타이어(10)를 z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1차절단부재(300);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폐타이어(10)를 x축 및 y축으로 절단하는 2차절단부재(400);
    절단된 폐타이어(10)를 수거하는 수거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1차절단부재(300)는,
    상기 폐타이어(1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업실린더(310)와;
    상기 폐타이어(10)를 내,외주를 지지하도록, 상기 폐타이어(10)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내주롤러(322)와, 상기 폐타이어(10) 외주면을 지지하는 메인롤러(324)와, 상기 메인롤러(324)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롤러(326)로 이루어지는 롤러부(320)와;
    상기 폐타이어(10)를 회전시키는 1차회전부(330)와;
    상기 폐타이어(10)를 z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z축칼날부(340)와;
    상기 z축칼날을 회전시키는 z축칼날회전부(3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절단장치.
    상기 롤러부(320)는,
    상기 폐타이어(10)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내주롤러(322)와, 상기 폐타이어(10) 외주면을 지지하는 메인롤러(324)와, 상기 메인롤러(324)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롤러(3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절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롤러(326)는,
    스프링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절단장치.
  6. 폐타이어(10)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하향 경사진 베이스부재(100);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어 폐타이어(10)를 대기시키는 로딩부재(200);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폐타이어(10)를 z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1차절단부재(300);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폐타이어(10)를 x축 및 y축으로 절단하는 2차절단부재(400);
    절단된 폐타이어(10)를 수거하는 수거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1차절단부재(300)는,
    상기 폐타이어(1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업실린더(310)와;
    상기 폐타이어(10)를 내,외주를 지지하는 롤러부(320)와;
    상기 폐타이어(10)를 회전시키도록, 1차모터(332)와, 상기 1차모터(332)에 의해 회전하는 스핀들(334)과, 상기 1차모터(332) 및 상기 스핀들(334)을 전후진 시키는 슬라이드(336)로 이루어지는 1차회전부(330)와;
    상기 폐타이어(10)를 z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z축칼날부(340)와;
    상기 z축칼날을 회전시키는 z축칼날회전부(3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절단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차절단부재(300)는,
    상기 스핀들(334) 전측과 체결되는 센터고정구(39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절단장치.
  8. 폐타이어(10)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하향 경사진 베이스부재(100);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어 폐타이어(10)를 대기시키는 로딩부재(200);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폐타이어(10)를 z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1차절단부재(300);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폐타이어(10)를 x축 및 y축으로 절단하는 2차절단부재(400);
    절단된 폐타이어(10)를 수거하는 수거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1차절단부재(300)는,
    상기 폐타이어(1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업실린더(310)와;
    상기 폐타이어(10)를 내,외주를 지지하는 롤러부(320)와;
    상기 폐타이어(10)를 회전시키는 1차회전부(330)와;
    상기 폐타이어(10)를 z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z축칼날부(340)와;
    상기 z축칼날을 회전시키는 z축칼날회전부(350);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절단부재(400)는,
    상기 폐타이어(10)를 x축 방향을 절단하는 x축절단부(420)와;
    상기 폐타이어(10)를 y축 방향을 절단하는 y축절단부(470)와;
    상기 x축절단부(420)와 y축절단부(470)를 실린더로드에 의해 이동시키는 2차이동부(410);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절단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x축절단부(420),
    상기 폐타이어(10)의 x축방향으로 형성된 x축칼날(426)과, 상기 x축칼날(426)을 회전시키는 x축모터(424)와, 상기 x축칼날(426)을 상기 폐타이어(1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이동구(422)와, 상기 폐타이어(1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x스 프링축(42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절단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y축절단부(470)는,
    상기 폐타이어(10)의 y축방향으로 형성된 y축칼날(476)과, 상기 y축칼날(476)을 회전시키는 y축모터(474)와, 상기 y축칼날(476)을 상기 폐타이어(1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이동구(472)와, 상기 폐타이어(1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y스프링축(47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절단장치.
  11. 제 4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재(200)는,
    상기 폐타이어(10)가 상기 1차절단부재(300)로 이동되지 않도록 돌출턱(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미도시)을 제어하는 타이머(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절단장치.
KR20090035613A 2009-04-23 2009-04-23 폐타이어 절단장치 KR101051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5613A KR101051693B1 (ko) 2009-04-23 2009-04-23 폐타이어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5613A KR101051693B1 (ko) 2009-04-23 2009-04-23 폐타이어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939A KR20100116939A (ko) 2010-11-02
KR101051693B1 true KR101051693B1 (ko) 2011-07-25

Family

ID=4340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35613A KR101051693B1 (ko) 2009-04-23 2009-04-23 폐타이어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6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826B1 (ko) 2019-07-12 2019-10-08 정성욱 철심이 내재된 폐타이어 다분할 커팅장치 및 그 커팅장치를 이용한 커팅방법
KR102470754B1 (ko) 2021-07-29 2022-11-25 (주)동현엔지니어링 폐타이어 절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889U (ja) * 1992-05-27 1994-03-22 小野谷機工株式会社 古タイヤの輪切り装置
KR200262498Y1 (ko) * 2001-10-09 2002-03-18 이무용 폐타이어 분쇄장치
JP2003320533A (ja) * 2002-05-02 2003-11-11 Miike Iron Works Co Ltd 廃タイヤの粉砕回収設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889U (ja) * 1992-05-27 1994-03-22 小野谷機工株式会社 古タイヤの輪切り装置
KR200262498Y1 (ko) * 2001-10-09 2002-03-18 이무용 폐타이어 분쇄장치
JP2003320533A (ja) * 2002-05-02 2003-11-11 Miike Iron Works Co Ltd 廃タイヤの粉砕回収設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826B1 (ko) 2019-07-12 2019-10-08 정성욱 철심이 내재된 폐타이어 다분할 커팅장치 및 그 커팅장치를 이용한 커팅방법
KR102470754B1 (ko) 2021-07-29 2022-11-25 (주)동현엔지니어링 폐타이어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939A (ko) 201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9772A (en) Apparatus for removing burrs from metallic workpieces
CN102873624B (zh) 环保砂轮切割机
CN202910701U (zh) 环保砂轮切割机
CN110593182A (zh) 一种铁屑收集车
CN102649255A (zh) 一种环保型磨割机
JP2014532560A (ja) 切断−粉砕ミル
KR101051693B1 (ko) 폐타이어 절단장치
CN112024993A (zh) 一种具备金属屑收集功能的金属切削机床
CN201291533Y (zh) 一种双轴塑料破碎机
CN102756314A (zh) 多功能立式双端面磨床
CN206869215U (zh) 一种能够清理板材且使用寿命长的剪板机
CN213006064U (zh) 一种废旧轮胎回收用切块机
CN205766406U (zh) 一种自动化废旧轮胎切块机
CN204524429U (zh) 一种剃须刀片专用的倒角装置
CN106513091A (zh) 原料粉碎机
CN110281110B (zh) 一种轮毂车标打磨机
RU63286U1 (ru) Станок для разделки утилизируемых шин
CN205057807U (zh) 一种铝板表面杂质抛光机
CN111037409A (zh) 一种自动砂边机
CN219313712U (zh) 一种特种钢材破碎回收系统中的物料堆叠装置
CN110900371A (zh) 一种工业机械生产用打磨装置
CN215090943U (zh) 一种便于回收纵剪装置
JP2000126978A (ja) 切削屑処理装置
CN111841809B (zh) 一种电子信息存储设备用环保型销毁设备
CN214561216U (zh) 一种藏药丸子研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