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643B1 - 전자파 차폐를 위한 자동접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폐를 위한 자동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643B1
KR101051643B1 KR1020090118401A KR20090118401A KR101051643B1 KR 101051643 B1 KR101051643 B1 KR 101051643B1 KR 1020090118401 A KR1020090118401 A KR 1020090118401A KR 20090118401 A KR20090118401 A KR 20090118401A KR 101051643 B1 KR101051643 B1 KR 101051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automatic
detection unit
groun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869A (ko
Inventor
김병국
Original Assignee
김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국 filed Critical 김병국
Priority to KR102009011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64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의 공급으로 전자기 유도전압이 걸리는 차폐판이 마련된 전자제품의 자동접지장치에 있어서, 제1 전원선 및 제2 전원선을 통해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금속성 도체로 이루어진 검지부; 상기 검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동으로 뉴트럴 전위에 접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접지 스위칭회로;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상기 자동접지 스위칭회로는,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제1 교류전원선 및 제2 교류전원선 사이에 제1 전류제한소자, 제1 바이패스 회로, 달링턴 접속으로 연결된 증폭기 소자가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 소자는 제2 전류제한소자 및 제2 바이패스 회로에 연결되게 구성하고, 상기 제2 바이패스 회로는 로드측의 스위치 상태조건에서 래치릴레이와 연결되어 자동접지가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품의 사용자가 본 발명인 자동접지장치를 이용해 전원을 인가하면 자동으로 접지가 이루어져서 누전방지 및 전자파 차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원,자동접지,전자파차폐

Description

전자파 차폐를 위한 자동접지장치 { Auto-earthing device }
본 발명은 전자파 및 누설전류의 외부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접지단자를 구비한 각종 전기 전자 기기의 접지단자를 입력전원의 접지상태와 무관하게 전원인가와 동시에 자동으로 연결시켜주는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전자기기에 입력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전압에 의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 및 누설전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입력전원을 전지 전자기기에 연결시에 자동으로 접지를 구성하는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기 전자기기의 접지장치는, 수동 조작에 의해 선택하는 접지단자를 임의의 포인트에 연결함과 동시에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감지단자를 손으로 만져서 정확한 접지상태를 파악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감지단자에 손을 접촉하지 않고는 접지상태를 알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접지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입력전원이 그대로 공급되게 되어 있어서, 어린이나 장애인 혹은 노약자와 같이 사용방법을 숙지않은 사람에 의한 오조작으로 인해 접지가 되지 않음은 물론 오히려 감전의 위험이 있는 상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수동조작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연결되는 장치도 있으나, 이는 접지단자와 기기 사이의 분포용량에 의한 누설전류와, 접지단자와 대지 사이의 분포용량에 의한 누설전류를 구별할 수 없는 문제때문에 실제로는 정확한 감지를 할 수 없어서 실용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뒤따랐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피뢰침에 연결되어 있는 접지선은 대기에서 발생하는 많은 양의 전하를 지표로 직접 이동시켜서 전하들이 다른 경로로 이동해 건물이나 인간에게 피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사람에게 직접 접지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옥의 배선에서는 전선 1개를 접지시켜서 번개의 발생,변압기의 고장,전선의 절연 등의 이상에 의해서 인명피해와 화제로부터 발생되는 피해를 최소화 시키고 있다.
또한, 금속성 케이스와 다른 도선의 밀폐의 경우 접지가 되어 있어서 만일 내부 부품중 어느 것의 절연이 파괴되어 케이스와 접촉하게 되드라도 외부에는 전기충격을 주지 않게 되며, 휴대용 전기기구는 전기충격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부분 접지가 가능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내용으로 선출원된 특허출원(제99-28386호)는 "보온 전기요의 전자파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열체에서 누설되는 전자파는 발열체를 포설한 전자파 흡수도체를 통해 접지로 흘려서 방출하게 함으로써, 전기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95%이상을 제거하는 전자파 제거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발열체의 중심으로부터 전기 절연성 심부지지체, 나선상 내층도선, 중 간 전기 절연층, 나선상 외중도선 및 피복 전기절연층을 가지며, 내층도선과 외층도선의 나선 방향은 전류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열하고, 전기요에 발열체를 포설하는 전자파 흡수도체를 구비하여, 상하의 전자파 흡수도체는 하나의 접지에 결속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특허공고 제95-13944호의 마이콤을 이용한 "전기요의 제어회로"는 입력전압에 퓨즈,스위치,온도퓨즈,트라이액을 직렬로 연결해서 발열체의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입력전압을 정류용 직접회로를 사용하여, 입력전원에 저항,다이오드,저항,캐패시터를 연결, 상기 입력전압을 직류전압으로 강하시켜 직류전압에 의해서 입력전압이 110V인지 220V인지를 마이콤에서 검출하게 하는 입력전원 검출회로로 연결되어 캐패시턴스에 의해 입력전압의 입력전원에 대한 지연시간으로 온도를 판단하여 트라이악을 제어함으로 설정온도까지의 도달시간이 짧고 정확한 온도제어가 가능하고, 트라이악의 제로전압에서 온.오프되도록 제로 크로싱 제어를 함으로 트라이악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고, 다른 회로소자에 잡음을 발생시키지 않아서 안정된 회로동작을 할 수 있고, 마이콤이 알람기능, 예약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장치들은 온도를 감지하고 발열선에 흐르는 전류치를 조절가기 위한 다수의 집적회로와 이들 집적회로로 동작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보조 전원회로로 구성되어 있었고, 별도의 접지선별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 사용되는 전기요는 커버내부에 쿠션층,발열층,열확산층,지지보호층 등을 적층하고, 발열층은 교류층,절류층 또는 반파용 히터를 열 화산층에 배열한 것으로서 전기요의 발열 히터는 인가전압과 소비전력에 비례하여 다량의 전기장과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있다.
한편, 상기 전기요는 전자파를 줄이기 위해서 전기도체 두가닥을 꼬아서 히커로 사용하는 과거 진공관의 자기장 감쇄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같은 기술만으로는 큰 전기용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회로들은 NTC대신 대형 저항을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발열이 심하고 저항의 구조상 단선 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기제품을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대지전압에 의한 누설전류나, 대전현상에 의한 전기적 충격, 그리고 소위 전자파 차단에 따른 인체보호 및 쾌적한 사용환경을 만들기 위해 행하는 임의로 설치한 차폐판이나 도전성 외함을 접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컨트롤러에 설치된 특정부위를 터치하여 램프가 발광하면 버튼 조작을 통해서 램프가 오프하도록 볼륨 노브나 스위치 레버를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이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판이 전원선의 어느 한쪽에 적정한 임피던스를 가진 소자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입력전원을 인가했을 때, 그 차폐판이 대지에 접지가 되어 있는 중성선에 연결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그차폐판을 네온 등을 통해서 접촉할 경우에 중성선(뉴트럴 전위)이 아니 핫(HOT)상에 연결되었다면 램프가 켜지게 된다.
그 상태에서 반대편인 중성선으로 연결되도록 조치를 취하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가정에 공급되는 일반 상용전원의 전원선 중에 송배전 선로에서 접지가 되어있는 중성선을 찾아 차폐판을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원래목적인 전자파 차폐를 위해, 특정한 조작법을 사용자가 행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별도의 확인 및 조작이 없이도 해당 전기 전자 기구에 입력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을 시킴과 동시에 자동접지가 되도록 함으로써, 누설전류의 발생 및 유해한 전자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전원코드를 상용전원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자동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접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전기매트나, 기타 접지를 필요로 하는 제품을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원코드전단에 본 발명을 연결해서 사용하면 자동으로 접지상태가 설정되어 정전이 된 경우에도 이전 설정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입력전원을 제거하고 다시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재설정을 통해서 접지가 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접지장치는, 전원의 공급으로 전자기 유도전압이 걸리는 차폐판이 마련된 전자제품의 자동접지장치에 있어서, 전원연결단자를 통해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금속성 도체로 이루어진 검지부; 상기 검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동으로 뉴트럴 전위에 접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접지 스위칭회로;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검지부는 사용자가 파지시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자동접지 스위칭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검지부는 1개소 이상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 금속성 도체를 무전해 도금공정을 통해서 상기 전원공급부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접지 스위칭회로는, 상기 래치릴레이는 연결된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어 전류치가 일정값 이하가 되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제1 교류전원선 및 제2 교류전원선 사이에 제1 전류제한소자, 제1 바이패스 회로, 달링턴 접속으로 연결된 증폭기 소자가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 소자는 제2 전류제한소자 및 제2 바이패스 회로에 연결되게 구성하고,
상기 제2 바이패스 회로는 로드측의 스위치 상태조건과 무관하게 래치릴레이와 연결되어 자동접지가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접지장치는 정전이 되었다가 다시 전원이 인가되어도 이전의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접지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을 이용한 전기 전자제품을 사용자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 상용전원을 통해서 전원을 인가하는 순간에 자동적으로 접지가 될 수 있도록 하여서 사 용자가 별도의 접지를 위한 상황 판단 및 행위를 제거할 수 있게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서, 전원 인가와 동시에 자동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기 전자제품의 사용자가 제품으로 부터 발생한 누설전류 또는 유해한 전자파로 부터의 피해를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 및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접지장치(10)는, 가정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인가되는 전원 콘센트에 결합하여 통전되는 전원연결단자(110)를 일측에 구비한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가진 전원연결부와 제품연결부(200)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자동접지장치(10)는 상기 전원연결부(100)와 제품연결부(200)로 상하로 구획되고, 상기 전원연결부(100)의 일측에는 전원 콘센트와 삽입해서 통전이 이루어지는 두개의 원통형 금속재질의 전원연결단자(1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1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자동접지장치(10)가 전원 콘센트로의 결합시에 원활한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1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170)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깊이만큼 홈이 패인 형태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 대칭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품연결부(200)는 상기 전원연결부(100)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위치한다.
상기 제품연결부(200)의 양측면에는 얇은 판 형상의 검지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 검지부(210)사이 어느 한곳에는 상기 전원연결부(100)에서부터 형성되어서 상기 제품연결부(200) 내면을 관통하여 연장돌출된 중성선연결단자가 구비된다.
상기 검지부(210)사이 어느 한곳으로 돌출형성된 상기 중성선연결단자의 일측에는 상기 중성선연결단자를 보호하고 안내하기 위한 중성선연결단자 보호가이드(270)가 상기 제품연결부(200) 일측에 돌기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성선연결단자 보호가이드(270)는 상기 제품연결부(200) 일측으로 돌출된 중성선 연결단자(130)를 상기 자동접지장치(10)를 미사용시 보관해 두는 경우나 기타 사용시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 등으로 인한 파손 내지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중성선연결단자 외주면에 연장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자동접지장치(10)의 정면도,단면도 및 후면도이다.
살펴보면, 상기 자동접지장치(10)는 상기 전원연결부(100)와 제품연결부(200)가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품연결부(200)의 양측면에는 판형상의 연장형성된 한쌍의 검지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검지부(210)의 사이 한곳에는 상기 중성선 연결단자(130)와 이를 보호 및 가이드하는 상기 중성성연결단자 보호가이드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자동접지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살펴보면, 상기 전원연결부(100)의 일단에는 도전성을 가진 전원연결단자(110) 한쌍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있고, 상기 전원연결부(100)의 외형은 절연재질로 성형된 제품연결부 케이스(120)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연결부 케이스(120)는 그 형상이 일측이 개구되고 그 내부는 중공인 원통형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회로소자들로 구성된 PCB(300)와 상기 전원연결단자(110) 및 중성선연결단자 등이 장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원연결부(100) 우측에는 제품연결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제품연결부(200)는 상기 전원연결부(100)와 마찬가지로 일단이 개구되고 속이 빈 원통형 형상이며, 절연재질로 성형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품연결부(200)의 내부의 외주면상으로 상기 전원연결부(10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홀(220)과 결합돌기(230)가 형성된다. 또한, 내부에는 제품의 전원코드와의 결합을 위한 전원연결구 보호피스(250)와 스프링(260) 그리고 이탈방지판(2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품연결부(200)의 측면에는 판형상의 한쌍의 검지부(210)가 연장형성된다.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결합돌기(230)는 "U"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연결부(100)와의 결합시 결합을 안내하고 결합시 좌우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 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220)은 상기 전원연결부(1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홀(150)과 나사결합을 통해서 결합을 하는 구조이다.
상기 제품연결부(200)의 체결홀(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검지부(210)의 회로연결부(214)가 형성되며, 상기 회로연결부(214)에는 상기 전원연결부(100)에 구비된 PCB(300)에서 연장된 검지부연결 리드선(160)과 결합하여 전류를 통전시키게 된다.
상기 검지부(210)는 전류가 통전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검지부(210) 형상과 대응되는 금속성 재질의 부품을 부착하거나 도전성이 있는 금속재질을 무전해 도금공정을 거쳐 형성된다.
상기 검지부(210)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품연결부(200)의 체결홀(220)의 외주면에서 부터 판형상의 단부까지 형성되며, 상기 검지부(210)는 사용자가 파지시에 사용자의 손가락과 직접 접촉하는 접촉부(212)와 상기 PCB(300)(자동접지 스위칭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회로연결부(214)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품연결부(200)의 내부 중심에는 중심축(280)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280)에는 전원연결구 보호피스(250)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전원연결구 보호피스(250)는 "T"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형상 부위의 양끝단은 어느 한쪽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회전방지판을 구비하여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I"형상부위는 끝단이 한쪽으로 꺽인 "ㄱ"형상을 하고 있으며, 꺽인 부위에는 스프링(260)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자동접지장치(10)가 제품의 전원연결단자(110)와의 결합시에 상기 전원연결구 보호피스(25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품의 전원연결단자(110)는 상기 전원연결부(100)에 형성된 전원연결 단자터미널(140)과 결합하게 되고, 상기 전원연결 단자터미널(140)은 상기 전원연결부(100)의 전원연결단자(110)로 도전적으로 결합되어 입력전원이 통전하게 된다.
한편, 제품의 전원연결단자(110)와의 결합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전원연결구 보호피스(250)는 상기 제품연결부(200)에 형성된 연결구를 폐쇄함으로써 외부로 부터의 이무질 등이 상기 자동접지장치(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접지장치(10)의 전원연결부(100)의 구성에 관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전원연결부(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전원연결부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다수의 회로소자들로 구성된 PCB(300)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연결부 케이스(120)의 내주면상에는 상기 제품연결부(200)와의 결합을 위해서 체결홀(150)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주면의 일측에는 도전성 금속의 중성선 연결단자(1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PCB(300)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검지부연결 리드선(160)이 상기 체결홀(150)의 어느 하나로 연장되어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접지장치(10)의 제품연결부(200)의 구성에 관한 정면 사시도이다.
살펴보면, 상기 제품연결부(200)의 내면 중심부에는 중심축(280)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280)에는 상기 전원연결구 보호피스(250)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연결구 보호피스(250)의 양끝단은 각각 상기 이탈방지판(240)과 접하게 된다.
상기 전원연결구 보호피스(250)는 상기 이탈방지판(240)에 의해서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을 하게되며,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은 할 수 없는 구조이다.
상기 전원연결구 보호피스(250)의 "ㄱ"형상의 또다른 한쪽 돌기의 끝단은 스프링(260)과 결합하여서 제품의 전원연결단자(110)와의 결합이 해제된 경우 스프링(26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품연결부(200)에 형성된 전원연결구를 폐쇄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 및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품연결부(200)의 내주면에는 결합돌기(2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품연결부(200)의 체결홀(150)에서 부터 상기 제품연결부(200)의 양측면에는 검지부(2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지부(210)가 금속성 도체를 무전해 도금공정을 통해 상기 제품연결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나, 금속성 도체를 상기 검지부(210) 형상으로 별로 제작하여서 부착해서 결합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접지장치(10)의 자동접지 스위칭회로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PCB(300)의 소자를 구성하는 자동접지 스위칭회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라인측은 전원측으로 가정의 콘센트측으로 연결됨을 의미하고, 로드측은 접지를 해야 하는 제품의 전원코드를 나타낸다.
상기 회로도의 상측에서 검지부(210)는 우선 제1 전류제한소자(310)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류제한소자(310)는 제1 바이패스(Bypass) 회로와 연결된다.
상기 제1 바이패스회로(320)는 달링턴(Darlington) 연결된 2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달링턴 트랜지스터(330)와 연결된다.
로드측의 센터단자는 접지선으로서 안전을 고려한 고내압의 와이(Y) 캐패시터 C05를 통해서 라인측의 어느 한측에 래치릴레이(360)의 접점으로 연결되며, 라인측 어느 한측에 연결된 상기 래치릴레이(360)의 극(Pole) 측은 TR1과 TR2의 달링턴(Darlington) 연결된 2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달링턴 트랜지스터(330)로써, 검지부(210)와 연결된다.
여기서 D1은 사용자가 상기 검지부(210)와 접촉하는 경우 대지와 핫(HOT)상 사이에 A.C전압이 걸리므로, TR1과 TR2로 구성된 상기 달링턴 트랜지스터(330)의 역방향전압을 바이패스하는 용도이다.
그리고, R01과 C01은 안정동작을 위한 제1 바이패스 회로(320)이며, R01와 R03은 검지부(210)를 통해 들어오는 전류를 제한하는 제1 전류제한소자(310)이다.
검지부(210)에 핫(HOT)상이 걸린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검지부(210)에 접촉하게 되면 TR1과 TR2로 구성된 상기 달링턴 트랜지스터(330)가 동작한다.
이때 R04로 구성된 제2 전류제한소자(340)를 통해서 제한된 전류가 SCR1 게이트(Gate)로 흘러들어와서 턴 온(Turn On) 상태가 된다.
여기서, R05와 C01은 안정동작을 위한 제2 바이패스 회로(340)이다.
게이트가 턴 온 상태가 되면, 회로도 상의 상태를 이전상태로 놓고 설명하면, SCR1이 턴 온 되기전 상기 래치릴레이(360)의 R접점을 통해서 C03에 충전이 이루어진 상태이고, C04는 완전 방전된 상태이므로, SET코일에 전압이 인가되어 접점을 S접점상태로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C03에 충전된 전압이 다 방전되어서 전류가 SCR1의 홀딩전류값 이하가 되면 SCR1은 턴 오프(Turn Off) 상태로 된다.
이 상태가 되면, R06과 ZD01에 의한 릴레이 구동 정전압이 SD04와 S접점을 통해서 C04에 전하가 충전되어 다음 동작상태로 세팅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자동접지장치(10)는 래치릴레이(360)를 적용하여 설계되어 있으므로 정전이 되었다가 다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이전의 세팅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다시 접지상태를 만들어 주는 행위가 불필요하게 되고, 사용자가 접지여부에 대해서 판단을 한다거나 어떠한 조작행위도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발생하는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접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접지장치의 정면도,단면도,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접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접지장치의 전원연결부의 구성에 관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접지장치의 제품연결부의 구성에 관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접지장치의 자동접지 스위칭회로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 주요도면 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10 자동접지장치 100 전원연결부
110 전원연결단자 120 전원연결부 케이스
130 중성선연결단자 140 전원연결단자 터미널
150 체결홀 160 검지부 연결 리드선
170 안내홈
200 제품연결부 210 검지부
212 접촉부 214 회로연결부
220 체결홀 230 결합돌기
240 이탈방지판 250 전원연결구 보호피스
260 스프링 270 중성선 연결단자 보호가이드
280 중심축
300 PCB(자동접지 스위칭회로) 310 제1 전류제한소자
320 제1 바이패스회로 330 달링턴 트랜지스터
340 제2 전류제한소자 350 제2 바이패스회로
360 래치릴레이 370 스위치

Claims (7)

  1. 전원의 공급으로 전자기 유도전압이 걸리는 차폐판이 마련된 전자제품의 자동접지장치에 있어서,
    전원연결단자를 통해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금속성 도체로 이루어진 검지부;
    상기 검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동으로 뉴트럴 전위에 접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접지 스위칭회로;를 포함해서 구성되는 자동접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사용자가 파지시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자동접지 스위칭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1개소 이상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 금속성 도체를 무전해 도금공정을 통해서 상기 전원공급부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접지 스위칭회로는,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제1 교류전원선 및 제2 교류전원선 사이에 제1 전류제한소자(310), 제1 바이패스 회로, 달링턴 접속으로 연결된 증폭기 소자가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 소자는 제2 전류제한소자 및 제2 바이패스 회로에 연결되게 구성하고,
    상기 제2 바이패스 회로는 로드측의 스위치 상태조건과 무관하게 래치릴레이와 연결되어 자동접지가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릴레이는 연결된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어 전류치가 일정값 이하가 되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접지장치는 정전이 되었다가 다시 전원이 인가되어도 이전의 저장 된 상태를 유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지장치.
KR1020090118401A 2009-12-02 2009-12-02 전자파 차폐를 위한 자동접지장치 KR101051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401A KR101051643B1 (ko) 2009-12-02 2009-12-02 전자파 차폐를 위한 자동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401A KR101051643B1 (ko) 2009-12-02 2009-12-02 전자파 차폐를 위한 자동접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869A KR20110061869A (ko) 2011-06-10
KR101051643B1 true KR101051643B1 (ko) 2011-07-26

Family

ID=4439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401A KR101051643B1 (ko) 2009-12-02 2009-12-02 전자파 차폐를 위한 자동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57672B1 (de) * 2011-08-08 2018-12-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utzisoliertes Netztei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9925U (ko) * 1996-04-16 1997-11-10 세신전선주식회사 노이즈 필터가 내장된 전원 플러그
KR19980060826U (ko) * 1997-03-17 1998-11-05 이종수 전동공구용 전원플러그의 노이즈(Noise) 방지장치
KR19990011300U (ko) * 1997-08-30 1999-03-25 미상만 멀티 탭
KR20000043269A (ko) * 1998-12-28 2000-07-15 전주범 전원공급용 플러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9925U (ko) * 1996-04-16 1997-11-10 세신전선주식회사 노이즈 필터가 내장된 전원 플러그
KR19980060826U (ko) * 1997-03-17 1998-11-05 이종수 전동공구용 전원플러그의 노이즈(Noise) 방지장치
KR19990011300U (ko) * 1997-08-30 1999-03-25 미상만 멀티 탭
KR20000043269A (ko) * 1998-12-28 2000-07-15 전주범 전원공급용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869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53088B1 (en) Protective circuit for portable electric appliances
JP3464192B2 (ja) 保護回路を有する電子測定機器
US20050243485A1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interrupter with open neutral detection
WO1998024161A1 (en) Electronic shock protection in codsets and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US4029996A (en) Apparatus having a protective circuit
MXPA05006763A (es) Interruptor de deteccion de corriente de fuga con modulo sensor para detectar condiciones no electricas anormales.
GB1588594A (en) Heating circuits
CA2243466A1 (en) Plug socket
KR101051643B1 (ko) 전자파 차폐를 위한 자동접지장치
US20060170428A1 (en) Electrical safety cord
CN105449635B (zh) 具有过温保护装置的漏电保护器
KR100857769B1 (ko) 무선안테나를 이용한 온수매트용 온도조절기의 전자파자동차폐장치
WO2007086625A1 (en) Safety magnetic field-free temperature controller
KR20010000332A (ko) 전자파 차단 장치를 구비한 멀티 콘센트
KR20120059071A (ko) 온수매트용 보일러의 전자파 자동 소멸장치
KR100709096B1 (ko) 전자파 차단 발열선
KR100455445B1 (ko) 전열매트에서의 자동접지 선별 조절기
CA2503933A1 (en) Leakage current detector interrupter with continuous duty relay
KR100360318B1 (ko) 전열매트의 자동접지 선별 조절기
KR200261088Y1 (ko) 전자장 차폐 전기요
KR200429217Y1 (ko)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 및 이의 구동 장치
EP0668646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ly heated panels
KR100931244B1 (ko)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KR200258556Y1 (ko) 전열매트에 가상 접지점이 형성되는 자동접지 선별 조절기
JPS58175282A (ja) 高周波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