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244B1 -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 Google Patents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244B1
KR100931244B1 KR1020070083241A KR20070083241A KR100931244B1 KR 100931244 B1 KR100931244 B1 KR 100931244B1 KR 1020070083241 A KR1020070083241 A KR 1020070083241A KR 20070083241 A KR20070083241 A KR 20070083241A KR 100931244 B1 KR100931244 B1 KR 100931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heating wire
switch
series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085A (ko
Inventor
길종진
Original Assignee
길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종진 filed Critical 길종진
Priority to KR1020070083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24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카펫, 전기매트, 전기요 등에 사용되는 무자계 전열선의 전기장 차단을 위한 무자계 전열선 내의 금속실드를 접지시키고, 무자계 전열선의 금속실드에 과열 등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자계 전열선의 전자파 누설을 차단하는 실드를 전원의 접지측에 용이하게 접속시켜 무자계 전열선의 전자파 제거 기능의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파 누설을 차단하는 실드가 접지측에 용이하게 접속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무자계 전열선이 파손되거나 쇼트되어 실드에 과전압이 흐르는 경우 이를 검출하여 과열 전류의 흐름을 신속히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Ground circuit of Shield line of heating wire}
본 발명은 전기카펫, 전기매트, 전기요 등에 사용되는 무자계 전열선의 전기장 차단을 위한 무자계전열선 내의 금속실드를 접지시키고, 무자계전열선의 금속실드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열선에 사용되는 열선을 이중으로 구성하고, 두 개의 열선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전류를 흐르도록 하여, 유도 자기장을 상쇄시키기 위한 무자계 전열선이 안출되고 있다. 또한 무자계 전열선의 온도를 스스로 감지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와 비교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전자파 및 유도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제1열선과 제2열선 사이에 절연용 합성수지 또는 NTC써미스터를 삽입하고, 제1열선과 제2열선을 반대 방향으로 배치시키며, 그 외측에는 각종 차폐 수단이 구비된 발열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제2열선의 외측에 감긴 금속실드를 사용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전기장이 전혀 없도록 차폐하는 무자계 전열선이 새로 안출되고 있다.
이러한 전열선은 NTC써미스터 등의 작용으로 별도의 온도 센서 없이도 온도를 검출하고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발열선이 고온으로 과열될 때 스스로 가열 동작을 중단하면서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인체에 밀접하게 접촉되며, 화재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는 전기 장판, 전기요, 전기 찜질기 등의 침구류에서는 전열시의 안전성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스스로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이외에, 전열선, 실드 또는 회로의 다른 부분에서 쇼트(단락)되는 경우에 전류의 흐름 자체를 차단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를 추가로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정온용융 수지절연층이나 NTC써미스터가 녹아 내리거나 파손되어 열선과 금속실드가 상호 단락되는 경우에는, 급격한 저항이 발생되며, 화재 또는 감전의 위험이 발생한다. 이때 열선과 금속실드 사이의 절연상태를 감시하고, 비상시에는 전원을 신속히 차단하여, 높은 저항이 발생한 상태로 전류가 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단하고, 신속한 안전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우리나라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은 단상2선식 또는 단상3선식으로 공급된다. 도 1은 A, B, N 3선의 전원선을 통한 단상 3선식의 전원 회로이며, A, B 선은 핫라인이고, N 선은 뉴트럴(neutral)라인이며, A-B사이에는 220V가 인가되고, A-N, N-B 상이에는 각각 110V 가 인가된다. 도 2는 단상2선식이 A, B선 사이에 220V 전원으로 공급되는 회로이며, 도면상 B선이 접지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 1 회로의 경우, 수용가측에서 A-B 선을 이용하여 220V 전원을 사용한다면, A, B 선이 모두 접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전원선에 의해서 220V 가 공급되는 시스템이 된다. 도 2의 경우, B 선을 통해 접지하지 않은 경우에도 이와 같다고 할 것이다. 전자파 차단을 위한 실드는 별도의 접지선을 인출하여 수도꼭지 등을 통해 그라운드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매번 사용시마다 이러한 작업을 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이것 만으로는 전자파 차단수단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실드와 같은 전자파 차단수단을 전원선 중 접지된 전원선에 연결하도록 플러그, 콘센트를 접속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실드와 연결된 접지선을 도 2의 접지된 전원선 B 에 연결되도록 전기기기의 플러그, 콘센트를 접속시키면, 접지된 전원선을 통해 전자파 차단수단이 그라운드 처리되므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반 사용자가 매번 정확하게 플러그를 정확한 방향으로 콘센트에 꼽아 접지된 전원선을 맞추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상용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가정에서 플러그의 전극성을 구분할 수 있는 수단이나 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도 1과 같이 단상3선식에서 더 크게 발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쉽게 전자파 차단수단이 접지선에 제대로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간편하게 전원 연결을 스위칭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자계 전열선의 전자파 누설을 차단하는 실드를 전원의 접지측에 용이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파 누설을 차단하는 실드가 접지측에 접속되도록 접속 방향을 스위칭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자계 전열선이 파손되거나 쇼트되어 실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이를 검출하여 전열선 과열 전류의 흐름을 신속히 차단시키기 위한 간단한 안전장치 회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무자계 전열선은 제1열선과 상기 제1열선을 감싸는 제1피복층에 감기는 제2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열선을 감싸는 제2피복층에 감기는 실드와 상기 실드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열선 또는 상기 제2열선으로 입력된 전류는 단부에서 유턴하여 다른 열선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실드를 전원선의 접지측에 연결시키기 위한 스위치; 상기 스위치와 상기 실드 사이에 연결되어 접지 전원선을 판별하고 접지 전원선의 유무 또는 어느 전원선이 접지된 전원선인가를 검출하기 위한 접지검출부; 및 상기 전열선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피복층은 합성수지 절연재를 사용한 합성수지 절연층이거나, NTC 써미스터를 사용한 NTC 써미스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점전압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영점전압검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영점전압검출부는 상기 접지검출부를 통해 접지 전원선을 검출한 결과, 접지된 전원선이 없는 경우, 전원선의 영점 전압을 형성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영점 전압에 연결되어 접지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검출부는: 사용자의 신체를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 및 통전시 발광하는 네온램프가 직렬연결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드에는 이상검출부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상검출부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실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단락 검출용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상검출부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실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단락 검출, 단락 과전류 차단용 콘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상검출부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실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단락 검출용 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상검출부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실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단락 검출, 단락 과전류 차단용 콘덴서와 병렬 연결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는 직렬로 연결된 상기 실드 및 상기 이상검출부와 연결되는 동시에, 전원선 양단과 연결되는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 실드에는 이상검출부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는 직렬로 연결된 상기 실드 및 상기 이상검출부와 연결되는 동시에, 전원선 양단과 상기 영점전압검출부와 연결되는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자계 전열선의 전자파 누설을 차단하는 실드를 전원의 접지측에 용이하게 접속시켜 무자계 전열선의 전자파 제거 기능의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파 누설을 차단하는 실드가 접지측에 용이하게 접속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무자계 전열선이 파손되거나 과열로 쇼트되어 실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이를 검출하여 전열선 과열 전류의 흐름을 신속히 차단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일 실시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로 구성에 대한 일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열선(10)은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으며, 전열선(10)의 실드(15)는 이상검출부(20)와 직렬로 연결된다. 이상검출부(20)는 스위치(60)와 연결되며, 그 사이에는 접지검출부(30)가 구비된다. 스위치(60)의 일측에는 영점전압검출부(5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무자계 전열선(10)은 가장 내측의 제1열선(11)과 그 외부를 감싸는 제1피복(12), 제1피복(12)의 외측에 감긴 제2열선(13)과 그 외부를 감싸는 제2피복(14), 제2피복(14)의 외측을 덮는 실드(15)와 그 외측을 감싸는 외피층(16)을 포함한다. 전열선의 제1열선(11)과 제2열선(13)은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어느 한 쪽의 열선으로 입력된 전류는 유턴되어 다른 쪽 열선으로 출력되는데, 입력과 출력의 전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므로, 유도 자기장이 서로 상쇄되어 전자파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 때 열선을 통해 대전되는 전하, 누출되는 전기장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를 외부에 감겨 있는 실드(15)에서 차단하게 된다. 실드(15)는 전류에 의해 대전된 전하를 연결된 실드인출선(17)을 통해 전원의 접지측 또는 가상 접지측으로 빼내어, 전기장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
제2열선(13)의 외부에 감기는 제2피복(14)은 PVC, NTC나이론, 테프론, 실리콘, PP, PE 등의 합성 정온용융 절연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온용융 절연수지는 일정한 온도에서 용융되도록 하기 위해 용융점과 물성변화점이 설정된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정온용융 수지절연 특성의 제2피복(14)은 일정 온도에서 물성이 변화하게 되는데, 만약 제2열선(13)이 과열상태가 되어 제2피복(14)이 녹거나, 파손되 어 절연 저항 값이 낮아지면 제2열선(13)에서 실드(15)로 전류가 흐르면서 이상검출부(20) 양 단부에 전압이 걸리게 되고, 과도한 전압이 검출되는 경우, 전열선이 가열 통전되지 않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즉, 이상검출부(20)는 실드(15)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지를 검출하는 기능을 한다.
접지검출부(30)는 실드(15)가 접지된 전원선과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호용 전압(32)과 네온램프(34) 및 손접촉 단자용 접촉부(36)를 직렬로 연결한다. 실드(15)가 전원선의 접지측에 제대로 연결이 된 경우에는, 사람의 신체가 접촉부(36)에 닿더라도 네온램프(34)가 켜지지 않으나, 실드(15)가 접지측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실드(15)에 전하가 대전된 상태이므로, 신체가 접촉부(36)에 접촉될 때 전류가 흐르면서 네온램프(34)가 동작하게 된다. 사용자는 접지검출부(30)에 손을 접촉시키는 방법을 통해 접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접지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위치를 통해 실드(15)의 접지 방향을 다른 전원선 측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전력제어부(40)는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온오프 스위치 동작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영점전압검출부(50)는 단상3선식 전원의 경우 추가로 필요한 구성이다. 전원 사이에 동일한 크기의 저항(54, 58)과 콘덴서(52, 54)의 직렬, 병렬 접속하여 그 중간점에서 영점 전압이 검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원선이 접지되어 있지 않은 단상3선식의 경우에는, 스위치가 이 영점 전압측에 연결되도록 하여 접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스위치(60)는 각각의 전원선과 연결하기 위한 a, b 단자와, 실드(15)에 연결되는 c 단자 사이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킨다. 단상3선식의 경우에는 영점 전압점과 연결된 d 단자를 구비하여, c 단자와 d 단자 사이를 연결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접지검출부(30)를 통해 스위치(60)를 돌려가며, 접지점을 손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실드(15)에 연결되는 이상검출부(20)를 다양하게 구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이 단락 검출용 저항(22)을 사용한 것이라면, 도 4는 단락검출, 단락 과전류 차단용 콘덴서(24)를 사용한 것이고, 도 5는 단락 검출용 저항(22)과 포토커플러(26)를 병렬로 연결한 것이고, 도 6은 단락검출, 단락 과전류 차단용 콘덴서(24)과 포토커플러(26)를 병렬로 연결한 것이다.
먼저 단락 검출용 저항(22)의 경우, 단락 검출용 저항(22)에 전류가 흐르면 과열로 인해 단선된다. 즉, 낮은 소비전력의 저항에 높은 소비전력이 인가되어 단선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실드(15)의 접지 라인만을 단선시키므로, 실드(15)에 의한 과전류를 차단할 뿐이며, 전원 자체를 단선시키지는 않는다.
단락검출, 단락 과전류 차단용 콘덴서(24)의 경우, 용량을 작은 것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실드(15)가 단락되어도 단락검출, 단락 과전류 차단용 콘덴서(24)의 전기저항 값이 높아 쇼트 전류가 흐르지 않아 과전류를 방지하게 된다. 특히 반파전류 가열방식에서는 반파는 직류이므로, 단락검출, 단락 과전류 차단용 콘덴서(24)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이 방식 역시 실드(15)의 접지 라인만을 단선시키므로, 실드(15)에 의한 과전류를 차단할 뿐이며, 전원 자체를 단선시키지는 않는다. 이러한 단락 검출용 저항(22)과 단락검출, 단락 과전류 차단용 콘덴서(24)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부품 1개만으로도 간단하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포토커플러(26)를 사용하는 경우, 입력 발광측과 출력 수광측과 빛으로 신호를 전달하므로, 상호 절연이 되어 있어 회로 제어가 용이하다. 포토커플러(26)와 단락 검출용 저항(22) 또는 단락검출, 단락 과전류 차단용 콘덴서(24)를 병렬로 연결하는 경우, 포토커플러(26)에 과전압이 인가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토커플러(26)와 직렬로 전류 리미트용 저항(28)을 연결한다.
포토커플러(26)는 과전압이 인가되는지 여부에 따른 발광량으로 인해 이상검출부(20)의 온, 오프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정상 전압인가시에는 포토커플러(26)에 전류가 유입되어 발광부가 발광되나, 발광량이 기준치보다 낮으므로 수광부를 턴온시키지 못하게 된다. 과전압 상태에서는 전류의 세기에 비례하는 광이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되므로, 수광부가 턴온되며 출력단을 통해 신호가 출력되어 과전압임을 판단하게 된다. 이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전력제어부(40)를 제어하면 전열선의 과열과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경제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7은 상기 이상검출부(20)의 양단에 전류가 흘러 포토커플러(26)가 동작하는 계통을 전류로 표시한 것이다. 전류는 전열선(10)의 제2열선(13)에서 실드(15)를 따라 실드인출선(17)과 이상검출부(20)를 지나 스위치(60)를 통해 접지측으로 흐르게 되면서, 포토커플러(26)를 동작시킨다.
한편, 도 8, 도 9와 같이, 무자계 전열선 자체를 NTC 써미스터를 사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자체적으로 온도감지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심실에는 전원의 일측과 연결된 제1열선(11)이 감겨 있고, 제1열선(11)을 감싸고 있으며 온도가 상승할수록 저항값이 낮아지는 NTC 써미스터(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12)와, NTC 써미스터(12)의 외주면에 제2열선(13)이 권선되도록 한다.
교류 입력전원이 온(on)되면, 교류 사이클 중 선 반주기는 제1열선(11)과 제2열선(13) 사이의 NTC 써미스터(12)의 온도 저항값 변화를 온도전압 검출용 정류기로 출력한다. 온도검출신호 전류는 제1열선(11)을 지나 NTC 써미스터(12)에서 유턴하여 제2열선(13)으로 되돌아 흘러나온다.
이러한 발열선은 NTC써미스터의 작용으로 별도의 온도 센서 없이도 온도를 검출하고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발열선이 고온으로 과열될 때 스스로 가열 동작을 중단하면서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가열전류 유턴용 정류기(18)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서 도통될 때 전원과 연결된 제2열선(13)의 반대편 단으로부터 제1열선(11)의 타단과 일단을 통해 전원측으로 가열전류가 유턴하여 흐르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이상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2열선이 과열되거나, 정온용융 수지절연층의 불량으로 인해 제2열선과 실드가 상호 단락(쇼트)되는 경우, 실드와 접지측 사이에 위치된 이상검출부에서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이 때 걸린 전압에 의해 실드의 접지선을 단선시키거나, 또는 열선 가열을 중단시켜 과열로 인한 화재나 부품손실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당업자에 의해 청구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형,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실시례의 설명으로 인해 그 범위가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상3선식 전원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단상2선식 전원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회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열선 11 : 제1열선
12 : 제1피복 13 : 제2열선
14 : 제2피복 15 : 실드
16 : 외피층 17 : 실드인출선
18 : 가열전류 유턴용 정류기 20 : 이상검출부
22 : 단락 검출용 저항 24 : 단락검출, 단락 과전류 차단용 콘덴서
26 : 포토커플러 28 : 저항
30 : 접지검출부 32 : 저항
34 : 네온램프 36 : 접촉부
40 : 전력제어부 50 : 영점전압검출부
52, 56 : 콘덴서 54, 58 : 저항
60 : 스위치

Claims (12)

  1. 제1열선과, 상기 제1열선을 감싸는 제1피복층과, 상기 제1피복층에 감기는 제2열선과, 상기 제2열선을 감싸는 제2피복층과, 상기 제2피복층에 감기는 실드와, 상기 실드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열선 또는 상기 제2열선으로 입력된 전류를 일단부에서 유턴하여 다른 열선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무자계 전열선과;
    일단이 상기 실드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실드에 전하가 대전되었 때 전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상검출부와,
    상기 이상검출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동시에, 전원선 양단과 연결되는 경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실드에 전하가 대전되었을 때 상기 실드를 전원선의 접지측에 연결시키기 위한 스위치;
    상기 스위치와 상기 실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실드에 전하가 대전되었는지를 판별하여 표시하는 접지검출부; 및
    상기 무자계 전열선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복층은 합성수지 절연재를 사용한 합성수지 절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복층은 NTC 써미스터를 사용한 NTC 써미스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교류전원의 영점 전압을 형성하는 영점전압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영점전압검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접지검출부를 통해 실드에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경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는상기 실드가 영점 전압에 연결되도록 선택되어 접지처리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검출부는:
    일단이 상기 이상검출부와 직렬로 연결되어 통전 시 발광하는 네온램프와,
    일단이 상기 네온램프에 직렬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사용자의 신체 접촉 시 턴-온되어 상기 네온램프를 통전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부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실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단락 검출용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부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실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단락 검출, 단락 과전류 차단용 콘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부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실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단락 검출용 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부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실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단락 검출, 단락 과전류 차단용 콘덴서와 병렬 연결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11. 삭제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직렬로 연결된 상기 실드 및 상기 이상검출부와 연결되는 동시에, 전원선 양단과 상기 영점전압검출부와 연결되는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KR1020070083241A 2007-08-20 2007-08-20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KR100931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241A KR100931244B1 (ko) 2007-08-20 2007-08-20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241A KR100931244B1 (ko) 2007-08-20 2007-08-20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085A KR20090019085A (ko) 2009-02-25
KR100931244B1 true KR100931244B1 (ko) 2009-12-10

Family

ID=4068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241A KR100931244B1 (ko) 2007-08-20 2007-08-20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2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088Y1 (ko) 2001-10-11 2002-01-19 길종진 전자장 차폐 전기요
KR20040062501A (ko) * 2004-06-12 2004-07-07 도성 황 전자파 및 유도전압 차단장치
KR20070015487A (ko) * 2006-12-22 2007-02-05 길종진 전자파 차단 발열선
KR20070076032A (ko) * 2006-01-17 2007-07-24 김동열 전열매트 온도제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088Y1 (ko) 2001-10-11 2002-01-19 길종진 전자장 차폐 전기요
KR20040062501A (ko) * 2004-06-12 2004-07-07 도성 황 전자파 및 유도전압 차단장치
KR20070076032A (ko) * 2006-01-17 2007-07-24 김동열 전열매트 온도제어기
KR20070015487A (ko) * 2006-12-22 2007-02-05 길종진 전자파 차단 발열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085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2681B2 (en) Circuit interrupter with over-temperature protection function for power cord
KR100750011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심플형 유해 전자파 차단 조절기
WO2009064057A1 (en) Three-wire temperature detection and control circuit for electromagnetic shielding
JPS59157983A (ja) 電気的監視システム
JP2008039384A (ja) 寝具類用電磁気場遮断発熱線と、その駆動装置
KR100886662B1 (ko) 전자파 차단 온도조절기 및 그 온도조절방법
US8698045B2 (en) Heating blanket
KR100659187B1 (ko) 안전기능 무자계 온도조절기
KR100942909B1 (ko) 무자계 발열선의 전자파 차단 온도조절기
KR100709095B1 (ko) 무전자파 발열선의 안전장치
US20180292443A1 (en) Leakage current protection device
KR100709096B1 (ko) 전자파 차단 발열선
KR100931244B1 (ko) 무자계 전열선의 실드 접지 회로
KR100871682B1 (ko) 전기장 및 자기장 차단 발열선
KR20120059071A (ko) 온수매트용 보일러의 전자파 자동 소멸장치
KR100769272B1 (ko) 전기장 및 자계장 차단용 발열선의 구동 장치
KR200429217Y1 (ko)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 및 이의 구동 장치
KR200261088Y1 (ko) 전자장 차폐 전기요
KR100793025B1 (ko) 침구류용 전자기장 차단 발열선의 구동 장치
KR200403665Y1 (ko) 무전자파 발열선의 안전장치
KR200290026Y1 (ko) 무자계 전열선을 이용한 침구류의 온도조절기
KR101109081B1 (ko) 전자기장 차단 발열선을 이용한 발열장치
KR100701026B1 (ko)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 및 이의 구동 장치
KR100659186B1 (ko) 무전자파 발열선의 안전장치
KR200251672Y1 (ko) 감온 히터와 그 구동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