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116B1 -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1116B1 KR101051116B1 KR1020090027761A KR20090027761A KR101051116B1 KR 101051116 B1 KR101051116 B1 KR 101051116B1 KR 1020090027761 A KR1020090027761 A KR 1020090027761A KR 20090027761 A KR20090027761 A KR 20090027761A KR 101051116 B1 KR101051116 B1 KR 1010511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penis
- correction device
- decompression
- glans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899 penis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claims 1
- 206010013883 Dwarfism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06010036596 premature ejaculatio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01000007094 prostatiti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6299 sexual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8000010228 Erectile Dysfunctio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1000001881 impotenc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1000001880 Sexual dysfunctio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1100000872 sexual dysfunction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1550 testis Anatomy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568 sex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6010070653 Penile curvat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226 corpus cavernos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08 urethr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694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44 atroph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06 diseas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25 erectil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497 prostat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9/00—Massage for the genitals; Devices for improving sexual intercourse
- A61H19/30—Devices for external stimulation of the genit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61F2005/411—Penile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직신장과 휨의 교정 및 민감부분에 대한 자극을 가하므로 휘거나 굽은 비정상적인 형상을 갖는 만곡증과, 성기능에 관련된 발기부전과 귀두확대와 조루증과 같은 성기능의 장애와, 전립선염에 대한 예방과 치료가 모두 가능한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삽입된 음경의 하측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재와; 다단으로 접철되어 일측 끝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체결되는 수직부재와; 음경의 귀두와 일치되는 형상을 갖고 수용된 귀두를 팽창시키는 감압부재와; 상호체결되는 벨트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배열된 걸림공을 포함하는 착용부재와; 상기 감압부재를 연결선으로 연결하여 상기 걸림공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므로 상기 감압부재와 상기 착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중에서 상기 감압부재와 착용부재, 또는 상기 감압부재와 수직부재와 베이스부재, 또는 착용부재와 수직부재를 동시에 포함한 조합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서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조루증, 만곡증, 왜소증, 음경교정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직신장과 휨의 교정 및 민감부분에 대한 자극을 가하므로 휘거나 굽은 비정상적인 형상을 갖는 만곡증과, 성기능에 관련된 발기부전과 귀두확대와 조루증과 같은 성기능의 장애와, 전립선염에 대한 예방과 치료가 모두 가능한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경은 남성의 성기관 임과 동시에 요도의 일부를 간직한 원주상의 발기성 조직으로 외부를 이루는 1쌍의 음경해면체와 내부에 1개의 요도해면체를 가지며 종단에 음경귀두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음경은 심리적 육체적 자극에 의해 다량의 혈액이 음경내부로 유입되어 음경해면체가 확장되므로써 성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음경의 혈액순환과 길이가 바르지 못하여 발기부전과 같이 정상적인 심리적 육체적 자극을 받아도 음경의 성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성기능장애 요인이 있어 정상적인 성생활을 영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면, 비뇨기과의 내, 외과적 수술을 통해 정상적인 성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음경은 그 형상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옳바른 형상이나 잘못된 성생활이나 자세등으로 인하여 음경이 한쪽으로 휘거나 굽은 형상에 의한 만곡증의 경우 외과적인 수술보다 그 형상을 교정할 수 있는 교정장치가 필요하나 이러한 제품이 출시되지 않고 있다.
아울러 만곡증과 함께, 그 크기가 일반인보다 작은 음경왜소증의 경우에는 심리적인 위축감과 함께 정상적인 성생활을 저해할 수 있는 원인이 되고 있어 많은 남성들이 많은 비용을 들여 보조기구나 외과적 수술을 통하여 크기를 확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만곡증을 치료하기 위한 교정장치는 미국특허공보 US7276040(2007.10.2 등록)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남성의 음경을 고정된 각도로 지지하기 위하여 음경의 끝단과 반대측에 끼움시키는 부재를 마련하고, 양측의 끼움부재사이를 신장시키므로서 음경의 휨을 교정하는 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장치들은 오로지 휘어진 음경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왜소증이나 조루증을 극복하기 위한 구성이나 효과는 없다.
또한 위 종래 기술은 다수개의 부속이 결합되어 연장부재를 형성하게 되므로 각각의 부재중에 어느 하나가 분실되면, 위 장치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관리가 어렵고 분실의 우려가 높으며 나아가 길이 조절시에 양측에 각각 연결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착용시 과도한 견인이나 느슨한 견인으로 인해서 연장부재의 길이를 조정 할려면 반드시 제품을 해체해서 길이조정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독일특허공보 DE166188호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을 보면, 요도를 곧게 하여 남성음경을 휘게하고 배뇨시 통증을 유발하는 수축성 있는 자국을 치료하는 장치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남성음경의 크기와 길이에 따라서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만들어 졌을 뿐 왜소증을 극복하기 위한 장치는 구비되지 않았으며, 배뇨시의 고통을 제거하기 위하여 만곡증에 대한 치유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서 음경이 발기 전, 후에 대한 교정기능이 없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만곡증 이외에 왜소증이나 조루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외과진료 또는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함에 의해 사용자에게 이중의 경제적인 부담을 강요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귀두를 연장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수용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나, 귀두의 테두리 부분과 전체적으로 접촉하고, 접촉부위 또한 넓기때문에 사용과정중에 귀두의 테두리 부위에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두개의 연장부재와 상기 두개의 연장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귀두수용부재와, 연장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재를 항상 동시에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전체 구성을 착용한다 하더라도 착용 후 성기의 위치나 방향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착용 후 일상생활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음경교정장치는 상기 연장부재를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음경몸체와 하측에서 타원형의 기초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기초부재는 음경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재를 음경의 하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 기 기초부재는 음경의 하측에서 표피를 둘러쌓게 되므로 그 일부가 음경과 고환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착용해서 서있을 때는 타원형의 기초부재 내로 음경을 삽입해서 착용하고 앉으면 기초부재가 고환에 닿아서 감압되므로 아프거나 고환이 기초부재 안으로 들어와서 앉고 서기가 불편하다.
또한 종래에는 귀두를 고정함에 있어 귀두의 크기가 작을 경우 빠지기 쉬워 계속적으로 고정하기 곤란하나, 귀두왜소증, 음경신장이나 만곡증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내에 지속적인 견인이 필수 조건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귀두의 전체를 고정하지 못하므로 귀두의 사이즈가 작은 것은 빠지기 쉽고, 계속적인 귀두 윗부분의 마찰로 인해서 귀두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초부재가 고정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하고 운동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 특징은 유럽특허에도 밝혔지만 음경만곡증이나 음경신장에 유효한 것으로서, 조루증이나 발기력 강화, 귀두확대와 같은 증상에 대한 개선의 여지는 부족한 것으로 위와 같은 증상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처방이나 또 다른 의료용 보조기구가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경의 견인(Traction)을 통한 음경의 형상에 대한 교정과 크기가 확대될 수 있도록 구성을 단순화하여 관리 및 분실의 위험이 없고, 과도한 견인이나 느슨함이 발생해도 착용한 상태에서 길이조정이 가능한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남성용 음경을 귀두를 수용하여 감압시키는 부재를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된 부재로 지지하고, 내측에 수용되는 귀두의 크기에 상관없이 진공상태에서 감압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입구부분을 단턱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속적인 견인으로 인해 음경몸체에 신장력을 가하고, 진공상태에서 귀두를 팽창시키므로 음경만곡증과 조루증, 왜소증, 신장이 가능하고, 위와 같은 신장과 감압으로 인하여 혈관, 신경, 조직에 자극을 주어 혈액순환을 촉진하므로 발기력과 전립선질환예방과 치료가 가능한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어 음경을 고정시키는 착용부재와, 귀두를 수용하는 감압몸체와, 상기 감압몸체를 지지하는 수직부재중에서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착용부재와 감압몸체 또는 감압몸체와 수직부재 또는 위 세 개의 구성을 모두 사용하여 착용하는 방법중에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필요에 따라 서 선택할 수 있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귀두를 수용 및 감압하는 구성을 탄성력을 갖고 접철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착탈의 용이함과, 사용과정에서 귀두의 상처를 방지할 수 있어 그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귀두를 수용하는 감압몸체의 형상을 귀두의 형상과 동일하도록 하여 귀두가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하고 확대시 귀두의 해부학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귀두의 형상이 변형됨을 방지할 수 있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경교정장치에서 신장력을 가하는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재를 타원형으로 구성하되 전부가 연결되지 않고 일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음경과 고환사이에 위치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와 고환이 접촉되지 않아 착용중에 활동이 가능한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는 내측에 귀두를 수용하여 팽창시키는 감압부재와; 하나의 벨트가 상체를 둘러쌈으로 양측 끝단이 상호체결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배열된 높이조절판을 포함하는 착용부재와; 상기 감압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높이조절판에 결합하므로 상기 감압부재와 상기 착용부재를 연결하 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는 음경이 삽입되도록 환형의 형상을 갖고, 삽입된 음경의 하측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재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 끝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체결되는 수직부재와; 내측에 귀두를 수용하여 감압하고, 상기 수직부재의 타측 끝단이 체결되므로 지지되는 감압부재와; 하나의 벨트가 상체를 둘러쌈으로 양측 끝단이 상호체결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배열된 높이조절판을 포함하는 착용부재와; 상기 감압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높이조절판에 결합하므로 상기 감압부재와 상기 착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재는 내측에 귀두가 수용되는 감압몸체와; 탄성재질을 갖고 상기 감압몸체의 입구에서 내외측에 걸쳐 접철되어 음경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접철부와; 길이방향의 봉형상을 갖고 내측에 스프링이 수용되어 하측에서 삽입되는 수직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봉과; 상기 감압몸체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봉과 상기 감압몸체사이를 연결시키는 몸체연결부와; 상기 감압몸체의 내측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흡입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연결부는 상기 감압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끝단에서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은 외면에서 돌출되어 연장되므로 상기 끼움홈에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삽입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만곡된 형상을 갖고 상기 음경의 외측을 지지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에서 나선형으로서 연장되는 상호 마주보며 대향되는 양끝단에서 돌기형성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만곡부와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서 내측에 상기 수직부재의 끝단이 삽입되는 결합공을 포함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와; 상기 만곡부의 상측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음경을 지지하는 상부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는 일측끝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삽입되고, 타측 끝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결합봉과; 상기 베이스결합봉의 타측끝단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삽입봉과; 일측에서 상기 삽입봉이 길이조절가능하도록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측에서 상기 지지봉에 삽입되는 수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결합봉은 외면에서 돌출된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삽입되는 베이스삽입봉과; 상기 베이스삽입봉의 타측에서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용봉과 나사결합되는 연장나사봉과; 상기 연장나사봉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회전되므로 상기 연장나사봉을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결합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수용봉이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면과; 상기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는 상기 수용봉의 외주면에서 상기 고정공을 연통하여 체결되므로 상기 수용봉과 삽입봉을 고정시키는 삽입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고정부는 상기 수용봉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을 통하여 상기 삽입봉의 고정공에 연통되어 체결되므로 상기 수용봉과 상기 삽입봉을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봉은 외면에서 돌출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링은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내면에서 함몰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봉은 타측 끝단에서 나사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의 관통된 직경 보다 넓은 폭을 갖고 있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판과; 상기 삽입봉이 내측에 삽입되고, 외면에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나사체결공을 포함하는 일측끝단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봉의 일측 끝단은 내면에 슬라이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수용봉이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면과, 상기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봉은 타측 끝단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관통된 직경 보다 넓은 폭을 갖고 있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판과, 상기 삽입봉이 내측에 삽입되고, 외면에 상기 고정링이 체결되는 돌출나사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감압부재에 고정되는 연결선과; 상기 연결선과 상기 착용부재에 연결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판은 상기 벨트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걸림되도록 관통형성되는 걸림공이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남성음경의 교정장치는 한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탄성력에 의하여 접철되어 그 길이의 변동 및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서 음경의 만곡증 및 왜소증의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진공에 의한 귀두의 확대효과 및 귀두의 감각을 둔화시키므로 조루증과 왜소증에 대한 치료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음경 교정장치는 수직부재와 착용부재에 의한 신장력과 감압부재에 의한 감압 또는 진공으로서 만곡증, 왜소증, 조루증을 동시에 치유할 수 있고, 지속적인 착용으로 음경의 조직, 혈관, 신경에 자극을 주어 혈액순환이 향상되므로 발기력이 향상되고, 전립선염의 예방과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착용부재와 수직부재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두가지 모두를 이용하여 음경을 교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분실된다 하더라도 타구성을 이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가 택일적으로 각 구성을 조합하여 사용하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착용부재에 의한 음경을 교정하기 때문에 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견인되는 여러 가지 힘으로 음경을 운동시켜서 전립선염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지지봉과 감압몸체를 탈착식으로 하여 감압몸체와 착용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감압몸체와 베이스부재, 수직부재를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선택할 수도 있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딱딱한 재질로 구성된 감압몸체에 수용된 귀두를 탄성력을 갖는 접철식 구성을 통하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확대된 귀두가 인출될 경우에도 상처없이 인출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귀두의 형상과 일치되는 형상을 갖는 감압몸체를 구비함에 따라 감압되어 부풀러진 귀두를 해부학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여 귀두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귀두가 삽입되는 감압부재에 실리콘을 이용한 탄성부재를 구비함에 따라서 삽입이 용이하고, 귀두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단턱을 형성하므로서 의도되지 않은 이탈이 방지되며, 감압 후 확대된 귀두를 이탈시킬때에도 통증없이 쉽게 이탈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남성의 음경에 교정장치를 착용하고, 상체나 목등과 같은 신체의 일부분에 걸림되는 수단을 이용하여 음경의 교정장치를 고정시키므로 착용후 활동이 가능하며, 교정중에 장치가 음경을 이탈함이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는 음경의 하단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에서 연결되어 접철되어 신장 및 수축되는 수직부재(20)와, 상기 수직부재(20)에 의해 고정되어 음경의 귀두부분을 수 용 및 감압하는 감압부재(30)와, 상기 감압부재(30)에 연결되어 신체의 일부분에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사용자의 신체 하측에서 고환의 위쪽에 위치되어 삽입된 음경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일측이 개방되는 타원형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앉았다 일어날 경우에 상기 베이스부재(10)가 고환에 부딪치거나 감압되지 않도록 일부가 개방된 타원형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재(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봉이 다단으로 접속되어 신장 또는 수축되어 그 길이가 조절가능하므로 상기 감압부재(30) 및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체결되어 음경의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도록 음경을 잡아당기는 힘을 가한다.
상기 감압부재(30)는 상기 수직부재(20)에 의해 고정되며, 내부의 압력을 진공으로 만들어 수용된 음경의 귀두(2)를 팽창시키므로 민감도를 둔화시켜 조루증에 대한 치료가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감압부재(30)는 진공상태에서 귀두(2)를 확대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감압부재(30)에 고정되므로서 상기 수직부재(20)와 감압부재(30)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체에 착용하는 착용부재(50)를 더 포함하며 이는 하기의 도 11과 도 12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상기 감압부재(30)는 상기 수직부재(20)와 착용부재(50) 전부 또는 이중 택일적으로 하나의 구성만으로 지지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착용이 가능하다. 상기 감압부재(30)는 상기의 도 1 및 하기의 도 2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음경 교정장치에서 감압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감압부재(30)는 음경의 귀두를 수용하여 감압하여 팽창시키는 감압몸체(31)와, 상기 감압몸체(31)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봉(32)과, 상기 지지봉(32)과 상기 감압몸체(31)를 연결해주는 몸체연결부(33)와, 상기 감압몸체(31)의 입구를 탄성적으로 조임해주는 탄성접철부(34)와, 상기 감압몸체(31)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내측의 진공상태를 해제시키는 공기흡입밸브(35)를 포함한다.
상기 감압몸체(31)는 음경의 귀두(2)와 일치되는 해부학적 형상을 갖고, 진공상태에서 압력에 의해 확대되는 귀두가 변형되지 않도록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사출성형되어 딱딱한 재질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압몸체(31)는 개구되는 입구를 형성하도록 사출성형된 테두리(31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압몸체(31)에 수용되는 귀두는 오일이나 기타 로션등이 바른 체로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두리(311)는 상기 감압몸체(31)의 하단 외주면에서 걸쳐 링형태로서 형성되어 하기의 탄성접철부(34)를 지지하도록 개방된 입구의 외주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감압몸체(31)의 입구를 형성한다.
상기 탄성접철부(34)는 탄성재질을 갖는, 예를들면, 실리콘밴드가 해당되며, 일정두께와 길이를 갖는 하나의 실리콘밴드가 일측(341)에서 'U'자형으로 굴곡되어 상기 테두리(311)에 고정되고, 타측끝단(343)은 상기 일측끝단(341)에서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실리콘밴드가 상기 감압몸체(31)의 내외측에 걸쳐 여러번 접철 되는 중간부(342)로서 형성된다. 이는 하기의 도 3a 내지 도 3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감압부재의 탄성접철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접철부(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압몸체(31)의 테두리(311)에 일측끝단(341)이 고정되어 중간부분(342)이 입구 내측에서 접철된 상태로 타측끝단(343)이 상기 일측끝단(341)의 하측에 위치된다. 즉, 하나의 탄성접철부(34)에서 상기 일측끝단(341)과 타측끝단(343)이 상기 입구의 외측에 위치되고, 중간부분(342)은 접혀진 상태로 내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접철부(34)는 접착되지 않은 접힌상태로 상기 테두리(311)에 고정되는 것으로 귀두(2)가 감압몸체(31)로 인입될 경우에는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귀두(2)를 지지한다. 이때 인입되는 귀두(2)는 물렁한 탄성력을 갖는 상기 탄성접철부(34)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처없이 인입된다. 따라서 상기 귀두(2)는 상기 감압몸체(31)의 수용된 공간보다 직경이 작은 딱딱한 테두리(311)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감압몸체(31)에 수용이 되나, 귀두(2)와 음경몸체(1) 사이의 턱진 부분이 탄성접철부(34)의 끝단과 최소한의 접촉을 하게 되어 과다 접촉에 의한 귀두 상처가 방지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감압몸체(31)는 공기흡입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공기흡입밸브(35)에 체결되어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 진공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귀두(2)는 진공상태에서 감압되므로 확대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딱딱한 재질 로서 귀두(2)와 일치되는 형상을 갖는 상기 감압몸체(31)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확대된 귀두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장치(도시되지 않음)는 부항기(도시되지 않음)에 적용되는 공기흡입장치를 적용함이 가능하며, 상기 공기흡입밸브(35)는 상기 부항기에 포함된 공기흡입밸브를 적용함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감압몸체(31)에 수용된 귀두(2)는 상기 테두리(311)와 감압몸체(31)의 내측과의 단턱을 형성하므로 의도 되지 않은 인출이 방지되고, 또한 인출시에는 상기 탄성접철부(34)의 실리콘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귀두(2)를 보호하면서 이동에 따라 밀리게 되므로 음경에 상처가 생기지 않고 용이하게 인출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귀두(2)는 상기 감압몸체(31)에 수용시에 오일이나 로션을 바르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감압몸체(31)는 상기 공기흡입밸브(35)가 개방되면, 내측에 공기가 유입된 진공상태가 해제된다. 이후 사용자가 귀두(2)를 인출시키면, 상기 탄성접철부(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철된 중간부분(342)이 상기 감압몸체(31)에 수용된 상기 음경의 귀두(2)를 지지하고, 상기 귀두(2)의 인출시는 접철된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접철된 중간부분(342)이 펴지게 된다. 이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귀두(2)는 상기 감압몸체(31)에서 빠져나오면서 상기 테두리(311)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을 통과시에 상기 탄성접철부(34)가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귀두(2)의 이동과 함께 펼쳐지면서 탄성지지하므로 큰 상처없이 용이하게 인출됨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연결부(3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압몸체(31)와 일체형으로 사출형성되어 상기 지지봉(32)의 외면에 끼임되어 상기 지지봉(32)과 상기 감압몸체(31)사이를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연결부(33)는 상기 연결부재(40)의 연결선(42)이 체결되는 연결체결공(331)과, 상기 몸체연결부의 양끝단에서 'T'형으로 형성된 끼움홈(3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홈(332)은 'T'자형을 일예로 도시하였으나, 원형 또는 기타의 형상으로 제작됨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체결공(331)은 상기 몸체연결부(33)에서 상기 감압몸체(31)를 중심으로 좌 우측에 각각 관통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40)의 연결선(42)이 각각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체결공(331)은 상기 연결선(42)에 의해 지지 되므로서 상기 감압부재(30) 및 상기 수직부재(20)를 사용자의 신체상에서 일정방향을 지향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끼움홈(332)은 상기 몸체연결부(33)의 양 끝단에서 "T"형으로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측을 통하여 상기 삽입프레임(323)이 삽입 또는 인출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홈(332)은 상기 스프링(321)에 의한 탄성에 따라서 유동됨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측이 폐쇄되고, 하측을 개방시켜 상기 삽입프레임(323)을 상기 끼움홈(332)의 하측으로 통해 착탈시킴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봉(32)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상기 몸체연결부(33)와 분리가능하다.
상기 끼움홈(332)와 삽입프레임(323)의 결합구조는 도시된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몸체연결부와 지지봉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봉(32)은 봉형상으로서 상기 감압몸체(31)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연결부(3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감압몸체(31)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봉(32)은 내측의 빈공간에서 상기 수직부재(20)의 길이신장에 따라서 탄성적으로 길이가 유동되도록 내측에 수용되는 스프링(321)과, 하측에서 삽입되는 상기 수직부재(20)와 나사결합되는 지지결합부(322)와, 상기 끼움홈(332)에 착탈가능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삽입프레임(3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32)은 상기 지지결합부(322)를 통하여 상기 체결부(25)와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에 따라서 수직부재(20) 없이 상기 착용부재(50)와 감압부재(30)만을 조합하거나, 또는 수직부재(20)와 감압부재(20), 베이스부재(10), 연결부재(40)의 조합을 통한 음경교정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스프링(321)은 상기 지지봉(32)의 내면에 수용되어 하측에서 삽입되는 상기 수용봉(23)을 탄성지지한다. 이는 상기 수직부재(20)에 의해 일정길이로 고정되고, 상기 감압몸체(31)에 귀두(2)가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의 진동이나 음경이 발기되어 그 길이가 변화될 경우에 상기 수직부재(20)의 길이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탄성지지하므로서 갑작스럽게 신장 또는 수축되므로 음경에 가해지는 힘이나 압력을 흘려버리면서, 일정한 견인력을 제공한다.
상기 삽입프레임(323)은 상기 지지봉(32)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프레임으로서 그 끝단에 "ㅜ"형으로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프레임(323)은 상기 끼움홈(332)의 개방된 하측을 통하여 삽입되어 끼움되고, 상기 끼움홈(332)의 폐쇄된 상측을 통하여 삽입이 저지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봉(32)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상기 몸체연결부(33)와 분리가능하다(도 4참조).
상기 공기흡입밸브(35)는 상기 감압몸체(31)의 상부에서 외부의 공기를 유입 또는 내부공기를 유출시킨다. 상기 공기흡입밸브(35)는 상기 감압몸체(31)에 귀두가 수용되면, 공기를 유출시켜서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고, 개방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감압몸체(31)에 유입되어 진공상태를 해제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밸브(35)는 그 구성이 이미 공지된 부항기구의 것과 유사하며, 상기 부항기구에서 사용되는 공기흡입장치(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어 상기 감압몸체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인출시킨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사출물로서 인체에 무해한 합성소재로 제작되며, 음경의 하단부분, 즉 남성의 하체에서 고환 상측에서 부터 시작되는 음경의 뿌리부분을 지지하게 되며 이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베이스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베이스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음경의 외주형상에 일치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갖는 테두리로서 형성되는 만곡부(14)와, 상기 만곡부(14)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음경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돌출편(12)과, 상기 만곡부(14)에서 양측으로 수평지되 내측으로 휘어진 형상을 갖는 수평부(15)와, 상기 수평부(15)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부재(20)가 체결되는 결합부(13)와, 상기 수평부(15)에서 일정경사각으로 하향 연장되는 양끝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1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돌기(11)는 그 사이가 빈공간을 갖고 두 개가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서 원형의 돌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돌기(11)는 상기 만곡부(14)를 통해 안착되는 음경(1)을 하부에서 지지하게 되며, 양 지지돌기(11) 사이에 빈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착용후 활동하거나 또는 착용시간이 길어질때에 통증이 유발됨이 없다. 아울러 상기 지지돌기(1)는 상기 교정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지지돌기(11) 사이가 개방되었고, 그 사이로 음경을 넣기 때문에 음경과 상기 베이스부재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한다.
상기 만곡부(14)는 상측으로 볼록한 테두리 형상으로서 음경의 외주형상과 일치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기 지지돌기(11)와 일정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음경은 상기 만곡부(14)와 지지돌기(11) 사이로 삽입되므로서 하측에서 상기 지지돌기(11)에 의해 지지되고, 상측에서 상기 만곡부(1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상부돌출편(12)은 상기 만곡부(14)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것으로 일정폭을 갖는 전면과 후면을 갖고 형성되므로 상기 만곡부(14)와 지지돌기(11) 사이에 안착된 음경의 상부외피를 지지한다.
상기 수평부(15)는 상기 만곡부(14)에서 하향되는 지점에서 상기 만곡부(14)에 비하여 수직방향으로 높이가 일정된 상태로 수평을 유지하여 안정감있게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15)는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만곡부(14)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에 비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신 음경의 양측면의 형상에 일치되도록 나선형을 이루면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수평부(15)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베이스결합봉(21)가 삽입되는 결합공(131)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부(13)는 좌우 양측에서 상기 만곡부(14)에서 연장되는 양측의 수평부(15) 마다 돌출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6)는 상기 수평부(15)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음경의 외면 형상에 일치되도록 내향되는 나선형으로서 연장된다.
상기 지지돌기(11)는 상기 경사부(16)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체로 원형의 돌기형상을 갖고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기(11)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베이스부재(10)에서 일정공간 개방된 구간을 사이에 두고 양쪽의 경사부(16)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었다.
만약, 상기 베이스부재(10)가 상기와 같이 지지돌기(11) 사이에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타원형으로 연결된 베이스부재가 포함된 교정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다면, 타원형의 베이스부재가 고환을 감압하게 되므로 아프거나 앉고 일어서는 과정중에 고환이 상기 베이스부재로 들어와서 앉고 서기가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재(10)는 고환의 상측에 위치되는 양측 지지돌기(11) 사이가 개방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앉고 서고 할 때 고환과 상기 베이스부재(10)가 접촉되지 않음에 따라 착용 후 보행이나 활동이 가능하다.
상기 수직부재는 도 1과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수직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삽입고정부의 단면도, 도 10은 삽입봉의 단면도 이다.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체결되는 베이스결합봉(21)과, 상기 베이스결합봉에 체결되어 수축 또는 연장되는 삽입봉(22)과,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삽입봉(22)을 수용하는 수용봉(23)과, 상기 수용봉(23)의 선단에서 상기 감압부재(30)에 체결되는 체결부(24)와, 상기 수용봉(23)과 삽입봉(22)을 고정시키는 삽입고정부(25)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결합봉(21)는 상기 삽입봉(2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어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나사봉(212)과,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삽입되는 베이스삽입봉(213)과, 상기 연장나사봉(212)의 연장길이를 조절하는 회전손잡이(211)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삽입봉(213)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결합공(131)에 삽입되어 외면에서 돌출된 걸림돌기(214)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삽입봉(213)은 상기 회전손잡이(211)의 회전시에 회전되나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걸림됨에 따라서 외부로 인출됨 없이 제자리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외부로 인출되지 않다.
상기 연장나사봉(212)은 상기 베이스삽입봉(213)의 타측에서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봉(22)의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체결되므로 상기 삽입 봉(22)과의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킴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손잡이(211)는 상기 연장나사봉(212)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회전되므로 상기 연장나사봉(212)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손잡이(211)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연장나사봉(212)이 상기 삽입봉(22)의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체결되어 회전되므로 길이를 단축시키거나 이탈되어 길이를 연장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삽입봉(213)은 상기 결합공(131)에 나사체결됨 없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214)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회전손잡이(211)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제자리에서 회전되나, 상기 연장나사봉(212)은 상기 회전손잡이(211)의 회전시에 연동되어 상기 삽입봉(22)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서 회전되므로 상기 삽입봉(22)의 내측에 삽입 또는 인출된다.
상기 삽입봉(22)은 내측에 상기 연장나사봉(212)이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봉(22)의 외주면에서 관통형성되어 상기 삽입고정부(25)가 체결되는 다수개의 고정공(221)과, 상기 삽입봉(22)의 외면 양측에서 돌출된 삽입돌기(22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봉(23)은 도 8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공(221)은 상기 삽입봉(22)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갖고 다 수개가 배열된 것으로 후술되는 삽입고정부(25)의 고정나사(251)가 상기 수용봉(23)을 연통하여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공(221)은 상기 삽입고정부(251)의 나사가 체결되므로서 상기 수용봉(23)과 삽입봉(22)을 체결시키며, 체결위치에 의해 상기 삽입봉(22)의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삽입돌기(222)는 상기 삽입봉(22)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로서 상기 삽입고정부(25)의 내면에 체결되어 상기 삽입봉(22)의 회전을 방지하며, 그 구체적 작용은 하기의 삽입고정부(25)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상기 수용봉(23)은 일측으로 상기 삽입봉(22)의 타측선단이 삽입되며, 타측으로는 상기 지지봉(32)의 내측에 삽입되는 봉형상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타측선단에서는 상기 체결부(24)의 내주면에 걸림되는 걸림판(232)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24)에서 이탈됨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봉(23)은 상기 체결부(24)의 내주면을 상하로 이동가능하나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상측끝단에서 상기 체결부(24)의 내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241, 도 8참조)에 걸림되도록 상기 걸림판(232, 도 8참조)을 포함하였다.
아울러 상기 수용봉(23)은 일측 외주면에서 돌출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고정부(25)의 내면에 체결되는 돌출나사산(231)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돌출나사산(231)은 상기 수용봉(23)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상기 삽입봉(22)이 삽입되는 수용봉(23)의 끝단 외면에 돌출되어서 상기 삽입고정부(25)의 수용홈(255)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체결된다.
상기 삽입고정부(25)는 상기 수용봉의 외면에 체결되는 고정링(252)과, 상기 고정링(252)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나사산(231)과 맞물려 상기 수용봉(23)을 결합시키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용홈(255)과, 상기 고정링(252)의 내측에서 상기 수용홈(255)과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상기 삽입봉(22)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내면(254)과, 상기 내면(254)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삽입돌기(222)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홈(253)과, 상기 고 정링(252)의 외면에서 삽입되어 상기 삽입봉(22)의 고정공(221)을 연통하여 체결시키는 고정나사(251)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링(252)은 상기 수용봉(23)의 돌출나사산(231)이 내측의 수용홈(255)에 체결되므로서 상기 수용봉(23)의 끝단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봉(22)은 상기 내면(254)을 통해 상기 수용봉(23)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때 상기 내면(254)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53)에 상기 삽입돌기(222)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봉(22)은 상기 고정링(252)의 내면(254)을 따라서 상기 삽입돌기(222)와 슬라이딩홈(253)을 따라서 가이드되므로 회전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만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나사(251)는 상기 고정링(252)의 외면을 통해 상기 고정공(221)에 체결되므로 상기 삽입봉(22)의 길이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홈(253)과 삽입돌기(222)는 직선으로 연장되어 상호 체결되므로 상기 고정나사(251)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전이나, 또는 고정나사(251)가 해제된 이후라도 상기 삽입봉(22)이 회전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삽입봉(22)은 상기 삽입돌기(222)과 슬라이딩홈(253)에 의해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고정나사(251)를 상기 고정공(221)에 상호 일치시키기가 매우 용이하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음경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삽입봉(22)을 수용봉(23)의 내측에 삽입 또는 인출시켜서 거리를 조절하여 적당한 길이에 해당되는 길이에서 상기 고정나사(251)을 상기 삽입봉(22)의 고정공(221)에 삽입하므로 상기 삽입봉(22)과 수용봉(23)을 고정시킨다.
상기 체결부(24)는 상기 수용봉(23)이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되며, 내면에서 상기 지지봉(3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지지결합부(322)에 체결되는 나사산(242)이 형성되며, 하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판(232)이 걸림되는 걸림턱(241)을 형성하므로 상기 수용봉(23)이 상기 체결부(24)의 내면에서 완전히 이탈됨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몸체연결부(33)에 연결되는 연결선(42)과, 상기 연결선(42)의 상단에서 탄성지지하는 탄성연결부(41)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선(42)은 일측끝단이 상기 몸체연결부(33)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고정되며 타측끝단이 상기 탄성연결부(41)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감압몸체(31)를 지지하는 상기 몸체연결부(33)를 지지한다.
상기 탄성연결부(41)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스프링(321)과 같은 탄성력을 갖는 기구로서 하측 끝단에 연결되는 연결선(42)을 탄성지지하며, 상측끝단이 후술되는 높이조절판(51)에 걸림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0)는 상체의 가슴부분와 목부분 등에 착용되어 착용부재(50)에 연결되므로 상기 감압몸체(31)를 일방향으로 고정시키는 힘을 전달하며 이하에서는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착용부재(50)에 대한 설명을 개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착용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착용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착용부재(50)는 상기 걸림고리가 걸림되는 높이조절판(51)과, 어깨와 가슴부위에 걸쳐서 상체에 감겨지는 벨트(52)와, 사용자 의 전면에서 상기 벨트(52)의 양측 끝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1고정걸이(53)와, 제2고정걸이(55)와, 상체의 길이, 넓이에 따라 아래, 위로 조정이 가능하여 양측 벨트의 넓이를 맞게 조정하여 상기 제2고정걸이(55)를 상기 벨트(52)에 연결시키는 버클(54)과, 상기 버클(54)과 상기 제2고정걸이(55)를 연결시키는 버클연결부(56)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판(51)은 다수개의 걸림공(511)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탄성연결부(41)가 걸림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크기에 따라서 상기 탄성연결부(41)가 상기 높이조절판(51)에 걸리는 위치를 조절하여 자신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연결부(41)를 상기 높이조절판(51)에 걸림시키되, 그 걸림위치에 따라서 음경에 가해지는 신장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직부재(20) 없이 착용부재(50)와 감압부재(30)만으로서 음경의 왜소증, 조루증, 발기력 및 만곡증에 대한 치유가 가능하다.
상기 벨트(52)는 등뒤에서 어깨아래로 둘러져서 가슴으로 연장되므로 양 끝단이 가슴부분에서 맞닿도록 둘러진다. 이를 설명하자면 도 11에서와 같이 정면에서는 목부분에 걸쳐서 둘러지는 벨트(522)가 등으로 연장되면서 어깨아래로 둘러지므로(도면번호 523, 524참조)서 가슴부분(도면번호 521참조)에 양끝단이 맞닿게 된다. 물론 상기 벨트(52)는 상기와 같이 목과 가슴에 걸쳐 착용됨도 가능하나 목이나 가슴부분에만 둘러져서 착용됨도 가능하다. 상기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도면번호 521, 522, 523, 524의 벨트는 별개가 아닌 하나의 벨트(52) 로서 현재 둘려진 부분에 따라서 서로 다른 도면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상기 제1고정걸이(53)는 암걸이와 숫걸이가 상기 벨트(521)의 양쪽 끝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숫걸이가 상기 암걸이의 내측에 삽입되므로서 상기 가슴부분에 둘러진 벨트(521)를 고정시키고, 상기 숫걸이의 양쪽에 설치된 버튼을 누르므로서 간단하게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버튼식 걸이구성을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벨크로나 지퍼, 단추식에 의한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버클(54)은 상체의 길이, 넓이에 따라 아래, 위로 조정이 가능하여 양측 벨트(52)의 넓이를 맞게 조정하도록 상기 뒤면의 양 어깨를 두르는 양측 벨트(52)에 각각 끼워져서 종방향의 벨트(52)사이에서 횡방향의 버클연결부(56)를 연결시킨다.
상기 버클연결부(56)는 상기 양 어깨에 둘러지는 벨트(52)에 각각 끼워진 버클(54)에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그 끝단에 상기 제2고정걸이(55)에 고정된다. 즉, 상기 버클연결부(56)는 상기 양어깨에 두른 벨트(52)에 각각 끼워진 버클(54)에서 내측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므로 상기 제2고정걸이(55)가 고정된 양측 끝단이 상호 마주보도록 내측방향으로 각각 연결시키므로 그 길이를 조절하므로서 상체의 길이, 넓이에 따라 아래, 위로 조정이 가능하여 양측 벨트(52)의 넓이를 맞게 조정한다.
상기 제2고정걸이(5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클연결부(56)의 끝단에 각각 암걸이와 숫걸이가 고정되어 상기 숫걸이가 상기 암걸이에 삽입되므로 체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고정걸이(55) 역시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외에 벨크로나 단 추, 지퍼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의 교정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그 작용설명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은 착용부재(50)만을 이용하여 감압부재(30)를 지지하거나 상기 착용부재(50)없이 수직부재(20)만을 이용하여 감압부재를 착용함도 가능하다. 그러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착용부재(50)와 감압부재(30), 수직부재(20) 모두를 착용하여 음경몸체와 귀두(1, 2)를 교정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제2고정걸이(55) 및 버클(54)로 어깨폭을 조정한 다음 벨트를 어깨로 둘러서 가슴으로 두루면서 착용하고 상기 제1고정걸이(53)로 각자의 신체에 알맞게 당겨서 체결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만곡부(14)와 상기 지지돌기(11) 사이에 음경을 삽입하고 상기 수직부재(20)의 길이를 조절하여 귀두가 상기 감압몸체(31)에 수용시킨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20)는 상기 삽입봉(22)와 수용봉(23) 간의 길이를 상기 삽입고정부(25)를 통하여 조절함도 가능하고, 아울러 상기 삽입봉(22)과 수용봉(23)간의 조절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결합봉(21)의 회전손잡이(211)을 이용하여 상기 연장나사봉(212)을 정, 역회전시키므로 상기 베이스결합봉(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귀두(2)에 오일, 로션 등 미끄러운 물질을 바르고, 베이스부재(10), 특히 지지돌기(11)나 만곡부(14)를 통하여 음경을 넣고 음경뿌리에 베이스부재(10)를 밀착시켜 수평이 되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왼손으로 감압부재(30)를 잡고 지지봉(32)의 스프링(321)이 수축되게 밀어서 귀두가 감압몸체(31) 입구에 닿게하고 오른손으로 공기흡입펌프(도시되지 않음)를 공기흡입밸브(35)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귀두(2)가 상기 감압몸체(31)에 귀두가 닿으면 공기흡입펌프로 펌핑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내측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귀두는 상기 감압몸체(31)의 내측에 수용되어 팽창되며, 상기 공기흡입펌프를 제거하면 상기 지지봉(32)의 스프링(321)이 견인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귀두(2)가 고정된 감압부재(30)와 상기 감압부재(30)를 지지하는 수직부재를 수직으로 세워서 착용부재(50)를 착용하고 탄성연결부(41)를 높이 조절판의 걸림공에 적당한 높이에 걸으므로 착용이 완료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교정장치를 착용 후에 음경이 발기되거나 또는 착용 후 외부활동중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흔들림의 경우에도 상기 수용봉(23)이 상기 지지봉(32)의 내측에서 스프링(321)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상하로 유동될 수 있어 상황이나 환경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일부분이 개방된 타원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앉았다 일어섰다 하더라도 베이스부재(10)와 고환이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한 활동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음경의 교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는 상기 공기흡입밸브(35)를 개방시켜 상기 감압몸체(31)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면서 귀두(2)를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접철부(34)는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귀두(2)가 인출됨 과 동시에 외부로 밀려나오므로서 입구의 직경 차이와 테두리(311)의 딱딱함에도 불구하고 상처없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몸체연결부(33)에 연결되는 연결선(42)을 제거하고, 상기 제1고정걸이(53)를 해제하여 착용부재(50)를 벗으므로 상기 교정장치의 해제가 완료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부재(20) 없이 착용부재(50)와 감압부재(30)와 연결부재(40) 만을 이용한 교정이 가능하다. 이를 간략히 설명하자면 먼저 상기 제1고정걸이(53)와 제2고정걸이(55)를 조절하여 신체에 알맞게 벨트(52)의 길이를 조절한 뒤에 상기 착용부재(50)를 착용한다. 그리고 상기 음경의 귀두(2)에 오일이나 로션을 바르고 상기 감압몸체(31)를 왼손으로 잡고, 상기 귀두(2)를 인입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감압몸체(31)에 귀두(2)가 인입되면, 상기 공기흡입장치를 상기 공기흡입밸브(35)에 연결하여 상기 감압몸체(31)를 진공상태로 하여 상기 귀두(2)를 팽창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음경의 귀두(2)가 감압몸체(31)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착용부재(50)의 높이조절판(51)과 탄성연결부(41)의 걸림높이를 조절하면 사용자의 음경을 신장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즉, 본 발명은 수직부재(20)의 길이연장에 의한 음경의 신장과 만곡증과 같은 휨 증상을 교정하는 기능이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판(51)과 탄성연결부(41)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대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감압몸체(31)에 삽입된 귀두(2)는 감압되므로서 부풀어 오르고, 상기 테두리(311)에 의해 귀두(2)와 음경몸체(1)사이가 걸림되므로 이탈되지 않으 며, 이때 상기 탄성접철부(34)에 의한 탄성지지로 귀두(2)가 상처를 받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착용부재(50)에 의한 감압몸체(31)의 지지가 가능함과 동시에 만곡증, 왜소증, 조루와 같은 증상에 대한 개선 및 치유가 가능하다. 또한 마찬가지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착용부재(50) 없이 상기 수직부재(20)와 감압부재(30)와 베이스부재(10) 만으로 음경의 교정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용봉의 타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는 수용봉(23)을 하기와 같은 타 실시예로서 구성함도 가능하다. 상기 수용봉(23)은 상기 삽입고정부(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봉(22)이 내측에 삽입되는 일측 끝단(236')과, 상기 일측 끝단(236')의 외면에 상기 고정나사(251)가 삽입되는 나사체결공(234')과, 상기 지지봉(3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타측 끝단에서 나사결합된 걸림판(2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봉(23)의 일측끝단(236')은 내면에 슬라이딩홈(253)을 구비함은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수용봉(23)의 일측 끝단(236')은 상기 삽입고정부(25)가 일체로 형성되므로서 내측에 상기 삽입봉(22)의 삽입돌기(222)가 체결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253, 도 9a 및 도 9b참조)을 내면에 형성하고, 외면에서 상기 고정나사(251)가 삽입되어 상기 삽입봉(22)의 고정공(221)에 체결되도록 나사체결공(234')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걸림판(232')는 상기 수용봉(23)의 타측 선단에서 상기 지지 봉(32)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스프링(321)의 하측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걸림판(232')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봉(23)의 타측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산(233')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타실시예는 상기 수용봉(23)을 체결부(24)에서 분리시킬 경우에 상기 걸림판(232')를 나사회전시켜 분리하므로서 상기 수용봉(23)과 체결부(24)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수용봉(23)은 상기 삽입고정부(25)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부품구성의 숫자를 줄임과 동시에 조립이나 분해의 과정이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감압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감압부재의 탄성접철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몸체연결부와 지지봉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베이스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베이스부재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수직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삽입고정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삽입봉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착용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에서 착용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음경교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용봉의 타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부재 11 : 지지돌기
12 : 상부돌출편 13 : 결합부
14 : 만곡부 15 : 수평부
16 : 경사부 20 : 수직부재
21 : 베이스결합봉 22 : 삽입봉
23 : 수용봉 24 : 체결부
25 : 삽입고정부 30 : 감압부재
31 : 감압몸체 32 : 지지봉
33 : 몸체연결부 34 : 탄성접철부
35 : 공기흡입밸브 40 : 연결부재
41 : 탄성연결부 42 : 연결선
50 : 착용부재 51 : 높이조절판
52 : 벨트 53 : 제1고정걸이
54 : 버클 55 : 제2고정걸이
131 : 결합공 211 : 회전손잡이
212 : 연장나사봉 213 : 베이스삽입봉
221 : 고정공 222 : 삽입돌기
231 : 돌출나사산 232 : 걸림판
241 : 걸림턱 242 : 나사산
251 : 고정나사 252 : 고정링
253 : 슬라이딩홈 311 : 테두리
321 : 스프링 331 : 연결체결공
511 : 걸림공
Claims (17)
- 내측에 귀두를 수용하여 팽창시키는 감압부재와;하나의 벨트가 상체를 둘러쌈으로 양측 끝단이 상호체결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배열된 높이조절판을 포함하는 착용부재와;상기 감압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높이조절판에 결합하므로 상기 감압부재와 상기 착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음경이 삽입되도록 환형의 형상을 갖고, 삽입된 음경의 하측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재와;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 끝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체결되는 수직부재와;내측에 귀두를 수용하여 감압하고, 상기 수직부재의 타측 끝단이 체결되므로 지지되는 감압부재와;하나의 벨트가 상체를 둘러쌈으로 양측 끝단이 상호체결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배열된 높이조절판을 포함하는 착용부재와;상기 감압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높이조절판에 결합하므로 상기 감압부재와 상기 착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재는내측에 귀두가 수용되는 감압몸체와;탄성재질을 갖고 상기 감압몸체의 입구에서 내외측에 걸쳐 접철되어 음경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접철부와;길이방향의 봉형상을 갖고 내측에 스프링이 수용되어 하측에서 삽입되는 수직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봉과;상기 감압몸체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봉과 상기 감압몸체사이를 연결시키는 몸체연결부와;상기 감압몸체의 내측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흡입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몸체연결부는 상기 감압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끝단에서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끼움홈을 포함하고,상기 지지봉은 외면에서 돌출되어 연장되므로 상기 끼움홈에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삽입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만곡된 형상을 갖고 상기 음경의 외측을 지지하는 만곡부와;상기 만곡부에서 나선형으로서 연장되는 상호 마주보며 대향되는 양끝단에서 돌기형성되는 지지돌기와;상기 만곡부와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서 내측에 상기 수직부재의 끝단이 삽입되는 결합공을 포함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와;상기 만곡부의 상측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음경을 지지하는 상부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는일측끝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삽입되고, 타측 끝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결합봉과;상기 베이스결합봉의 타측끝단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삽입봉과;일측에서 상기 삽입봉이 길이조절가능하도록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측에서 상기 지지봉에 삽입되는 수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결합봉은외면에서 돌출된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삽입되는 베이스삽 입봉과;상기 베이스삽입봉의 타측에서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수용봉과 나사결합되는 연장나사봉과;상기 연장나사봉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회전되므로 상기 연장나사봉을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결합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는상기 수용봉이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면과; 상기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남성용 음경교정장치는상기 수용봉의 외주면에서 상기 고정공을 연통하여 체결되므로 상기 수용봉과 삽입봉을 고정시키는 삽입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고정부는상기 수용봉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링과;상기 고정링을 통하여 상기 삽입봉의 고정공에 연통되어 체결되므로 상기 수 용봉과 상기 삽입봉을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삽입봉은 외면에서 돌출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며,상기 고정링은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내면에서 함몰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봉은타측 끝단에서 나사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의 관통된 직경 보다 넓은 폭을 갖고 있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판과;상기 삽입봉이 내측에 삽입되고, 외면에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나사체결공을 포함하는 일측끝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봉의 일측 끝단은내면에 슬라이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수용봉이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면과, 상기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걸림턱 을 포함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수용봉은 타측 끝단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관통된 직경 보다 넓은 폭을 갖고 있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판과, 상기 삽입봉이 내측에 삽입되고, 외면에 상기 고정링이 체결되는 돌출나사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상기 감압부재에 고정되는 연결선과;상기 연결선과 상기 착용부재에 연결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판은상기 벨트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걸림되도록 관통형성되는 걸림공이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 교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재는내측에 귀두가 수용되는 감압몸체와;탄성재질을 갖고 상기 감압몸체의 입구에서 내외측에 걸쳐 접철되어 음경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접철부와;길이방향의 봉형상을 갖고 내측에 스프링이 수용되어 하측에서 삽입되는 수직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봉과;상기 감압몸체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봉과 상기 감압몸체사이를 연결시키는 몸체연결부와;상기 감압몸체의 내측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흡입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7761A KR101051116B1 (ko) | 2009-03-31 | 2009-03-31 |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7761A KR101051116B1 (ko) | 2009-03-31 | 2009-03-31 |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0083A Division KR100912142B1 (ko) | 2008-11-06 | 2008-11-06 |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1006A KR20100051006A (ko) | 2010-05-14 |
KR101051116B1 true KR101051116B1 (ko) | 2011-07-22 |
Family
ID=4227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7761A KR101051116B1 (ko) | 2009-03-31 | 2009-03-31 |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111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3629A (ko) | 2020-04-03 | 2021-10-14 | 이창규 | 귀두지 생성 탄성압축인공포피밴드 기능을 갖는 음경 확대장치 |
KR20230049306A (ko) | 2021-10-06 | 2023-04-13 | 유형묵 |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59043A1 (en) * | 2022-09-16 | 2024-03-21 | Landon Trost | Penil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6026691A1 (en) * | 1995-02-27 | 1996-09-06 | Siana, Marianne, Bak |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tretching the penis |
US5707341A (en) | 1996-06-04 | 1998-01-13 | Mathewuse; James L. | Penis gripping device |
JP2000350741A (ja) | 1999-04-07 | 2000-12-19 | Tokai Giken Kogyo:Kk | 陰茎勃起補助装置 |
US20060142638A1 (en) | 2004-12-23 | 2006-06-29 | Flores Samuel O | Sexual enhancement device |
-
2009
- 2009-03-31 KR KR1020090027761A patent/KR1010511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6026691A1 (en) * | 1995-02-27 | 1996-09-06 | Siana, Marianne, Bak |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tretching the penis |
US5707341A (en) | 1996-06-04 | 1998-01-13 | Mathewuse; James L. | Penis gripping device |
JP2000350741A (ja) | 1999-04-07 | 2000-12-19 | Tokai Giken Kogyo:Kk | 陰茎勃起補助装置 |
US20060142638A1 (en) | 2004-12-23 | 2006-06-29 | Flores Samuel O | Sexual enhancement devic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3629A (ko) | 2020-04-03 | 2021-10-14 | 이창규 | 귀두지 생성 탄성압축인공포피밴드 기능을 갖는 음경 확대장치 |
KR20230049306A (ko) | 2021-10-06 | 2023-04-13 | 유형묵 |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
KR102645605B1 (ko) * | 2021-10-06 | 2024-03-11 | 유형묵 | 남성용 성기능 보조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1006A (ko) | 2010-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2142B1 (ko) |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
KR20080090821A (ko) | 경추 교정기 | |
US9782290B2 (en) | Size-adjustable male chastity device | |
BRPI0812737B1 (pt) | Equipamento de prolapso de órgão pélvico para impedir e tratar prolapso de órgão pélvico | |
US11701247B2 (en) | Resin-based male chastity device utilizing anti-pullouts and multiple overmolded synthetic regions and coverings | |
US11580884B2 (en) | Anatomical teaching model | |
KR101051116B1 (ko) | 남성용 음경교정장치 | |
US6579229B1 (en) | Elastic harness for holding a prosthesis aid | |
KR20140096541A (ko) | 허리지지대 구조 | |
US6251067B1 (en) | Male erectile prosthesis | |
CN108430401A (zh) | 缓解骨盆腔器官脱垂的装置及方法 | |
JP6068618B2 (ja) | 膣内部支持具及び膣内部支持具セット | |
CN116847811A (zh) | 使用勃起功能障碍装置来缓解勃起功能障碍和其他病症的系统、方法和装置 | |
US6926666B2 (en) | Penile tension system, device, kit, and methods of using same | |
US11672663B2 (en) | Pump bulb with control features | |
KR101972981B1 (ko) | 남성용 음경만곡증 치료기 | |
KR200468397Y1 (ko) | 남성용 성기 확장기구 | |
US11045296B1 (en) | Device for managing male urinary incontinence and reducing erectile dysfunction | |
CN118354743A (zh) | 身体末端部位的血管扩张装置 | |
KR20000008944A (ko) | 자세 교정용 의복 | |
WO2015001542A1 (en) | Applicato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exsanguination tourniquet | |
US20150202109A1 (en) | Penis Enlargement Device | |
US20230248079A1 (en) | Compression shorts | |
KR200496586Y1 (ko) | 의료용 수동식 진공압력 발생기 | |
CN215349852U (zh) | 医用约束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