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754B1 -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754B1
KR101050754B1 KR1020080087202A KR20080087202A KR101050754B1 KR 101050754 B1 KR101050754 B1 KR 101050754B1 KR 1020080087202 A KR1020080087202 A KR 1020080087202A KR 20080087202 A KR20080087202 A KR 20080087202A KR 101050754 B1 KR101050754 B1 KR 101050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weight
skin protec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8256A (ko
Inventor
이호정
박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심비오즈코스메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심비오즈코스메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심비오즈코스메틱스
Priority to KR102008008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7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8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8Scrophularia (fig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귀 및 현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인삼, 황기, 황정 및 맥문동으로 이루어진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유해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조직을 젊고 탄력 있게 해주며,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당귀, 현삼, 인삼, 황기, 황정, 맥문동

Description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Skin Protectiv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from Complex Medical Herbs}
본 발명은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당귀 및 현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인삼, 황기, 황정 및 맥문동으로 이루어진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조직 중 가장 큰 기관으로 항상 외부와 접하고 있으면서 여러 가지 외부 자극이나 건조한 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른 기관에 비하여 새로운 세포의 생성과 소멸이 활발히 일어나는 기관이다. 또한 몸 안에 가지고 있는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며 태양광선으로부터 나오는 해로운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생체 세포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 시 또는 정상적인 생체 내 대사과정에서도 각종 프리라디칼(free radical)이 발생한다. 이러한 프리라디칼은 대부분 유해한 활성산소이다. 이들 유해한 활성산소들은 생체내의 자기 방어기구에 의해서 대부 분 소멸되지만 일부분의 활성산소는 불포화 지방산을 공격하여 과산화지질을 형성하며 단백질 등의 생체고분자를 손상시키기도 한다. 그 결과 세포는 손상되며 활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대기오염, 자외선 노출, 스트레스 또는 질병 등의 유해환경으로부터 산화적 스트레스에 계속적으로 노출되면, 체내에 활성산소가 증가되고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 등을 파괴하여 피부의 일정 부위 침하 현상(주름)을 일으킬 수 있으며, 세포막의 지질 부분을 산화시켜 세포의 파괴 현상을 일으켜 피부염, 여드름 또는 피부암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외에도 활성산소는 멜라닌 형성과정에 관여하여 기미, 주근깨 및 주름생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활성산소를 소거할 수 있는 물질이나 지질과산화 억제물질과 같은 항산화제는 활성산소에 의해 유발되는 각종 질환 치료제 및 노화예방을 위한 억제제로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기존에는 아스코르브산, 디-알파-토코페롤(di-α-tocopherol) 또는 베타-카로틴(β-carotene) 등이 활성산소 소거 기능 물질로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되어 주름 및 기타 피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이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배합 시 화학적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안전하면서 활성산소 소거 효과가 높은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의약품이나 식품 분야뿐만 아니라 화장품 산업분야에서도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피부의 보습 및 항산화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주로 화학적으로 제조된 성분을 함유한 화장품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 화장품의 경우 장시간에 걸쳐 사용 시 피부에서 부작용이 발생하여 피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이를 방지하고자 각종 식물이나 과일, 한약재 등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주재로 하여 화장품을 제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한 화장품은 피부 부작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에 용이하게 흡수되어 산뜻한 감촉과 함께 보습과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특히, 근래에는 미백과 보습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노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항산화효과를 가진 화장품을 제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면 당업계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20009호는 감잎, 감초, 백년초 및 상백피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피부 진정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46738호는 복령(Poria cocos wolf)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복령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로 복령추출물을 0.0001 내지 30중량% 함유하며 우수한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 보호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화장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 항산화작용이 미흡하거나, 그러한 효과가 명백히 입증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의 보습 및 항산화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한약재를 찾던 중에 당귀 및 현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인삼, 황기, 황정 및 맥문동으로 이루어진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한 결과 피부 보습 효과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당귀 및 현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인삼, 황기, 황정 및 맥문동으로 이루어진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 한약재 추출물을 구성하는 한약재인 당귀, 현삼, 인삼, 황기, 황정 및 맥문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당귀(Angelica gigas)'는 2-3년생 초본으로 뿌리를 이용하고, 한방에서 보혈, 구어혈, 조경. 진경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 관절통, 두통, 현기증, 복통, 변비, 타박상 등의 질환에 이용하며, 데쿠르신(decursin), 데쿠르시놀(decursinol), 노다케닌(nodakenin), 알파-피넨(α-pinene), 리모넨(limonen), 엘레몰(elemol)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현삼(Scrophularia buergeriana)'은 한삼과의 다년초로 산지에서 잘 자라고, 뿌리를 이용하며, 한방에서 해열제로 인후염, 종기, 림프선염을 치료하는데 사 용한다.
'인삼(Panax ginseng)'은 두릅나무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오장, 즉 간장, 심장, 폐장, 신장, 비장의 양기를 돋우어 주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눈을 밝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종 암과 당뇨병의 치료에도 이용되고 있다. 여러 종류의 사포닌, 폴리아세틸렌 화합물, 폴리페놀 화합물 및 산성 다당체를 함유한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뿌리를 이용하며, 황기의 뿌리에는 사포닌의 일종인 아스트라갈로시드(astragaloside)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간장, 이뇨, 혈압강하, 항균, 간장보호 작용과 같은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정(Polygonatum odoratum)'은 백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황무지의 비탈, 산지의 잡목이나 관목의 주변에서 자라고, 항균, 항진균, 혈압강하작용이 있어 한방에서는 뿌리를 폐염, 폐창, 자양강장, 당뇨병, 장생 등에 사용하며, 뿌리 줄기는 점액질, 전분 및 당분을 함유하고 있고, 근경에는 아제티딘-2-카르복실산(azetidine-2-carboxylic acid),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호메세린(homeserine), 디아미노부틸산(diaminobutylic acid), 디지탈리스 글리코시드(disitalis glicoside) 및 여러 가지 안드라퀴논(andraquinone)류의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잎에는 비텍신(vitexin)과 크실로시드(xyloside)가 들어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맥문동(Liliope platyphylla)'은 백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서, 사지통, 신 경통, 류머티즘을 완화시키는 작용이 있어 노인이나 회복기 환자, 허약 체질자에게 유용하다. 또한, 기침을 가라앉히고 가래를 식히며 열을 내리는 데에도 약효가 있어 폐결핵이나 만성 기관지염, 만성 인후염 등에 이용되고 있다.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과 같은 스테로이드계 사포닌이 함유된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당귀 및 현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인삼, 황기, 황정 및 맥문동으로 이루어진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다른 양태를 따르면,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한약재 추출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당귀 또는 현삼이 15 내지 25중량부, 인삼 5 내지 20중량부, 황기 10 내지 25중량부, 황정 25 내지 35중량부 및 맥문동 25 내지 3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한약재 추출물이 0.05%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한약재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및 (g)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을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추출 온도는 50 내지 85℃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기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당귀 및 현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인삼, 황기, 황정 및 맥문동에 1차 증류수를 첨가하고, 85℃에서 약 150분 동안 가열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 여과한 뒤 여과액을 농축하여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한약재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데,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한약재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한약재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3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이다. 한약재 추출물의 함량이 0.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피부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천연 한약재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데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린징 크림, 클린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칠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 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는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당귀 및 현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인삼, 황기, 황정 및 맥문동으로 이루어진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유해한 활성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한약재들의 학명과 생약명은 표 1과 같다.
표 1.
한글이름 학명 생약명
당귀 Angelica gigas Angelica Gigantis Radix
인삼 Panax ginseng Gingeng Radix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Astragali Radix
황정 Polygonatum Odoratum Polygonati Rhizoma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Liriopis Tuber
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Scrophulariae Radix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당귀 및 현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인삼, 황기, 황정 및 맥문동으로 구성된 시료 90g을 전기약탕기에 1차 증류수 1000mL와 함께 넣은 후 85℃에서 150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지로 감압 여과한 뒤 여과액을 rotary vacuum evaporator (Eyela, Japan)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이 농축액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표 2.
Figure 112008062971726-pat00001
실시예 2. 한약재 추출물 시료의 세포독성 시험
(1) 세포 배양
실험에 사용된 세포는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이다.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37℃, 5% CO2 조건에서 10% Fetal Bovine serum(FBS, Gibco, CA)과 100U/ml 페니실린 및 100㎍/ml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e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WelGENE, Korea)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들은 75㎠ 플라스크(Falcon, USA)에서 충분히 증식된 후 배양 3일 간격으로 배양세포 표면을 phosphate buffered saline(PBS, Gibco, CA) 용액으로 씻어준 후 50ml 플라스크 당 1mL의 0.25% tyrosin-EDTA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분간 처리한 후, tyrosin용액을 버리고 37℃에서 5분간 보관하여 세포를 탈착하여 계대 배양하였다. 탈착된 세포는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양액 10ml에 부유시킨 다음 새로운 배양 용기에 옮겨 1:2의 비율로 CO2 배양기(37℃, 5% CO2 )에서 배양하였다.
(2) 세포 독성 검사
1) 시험 원리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세포를 이용하여 시험물질(심비오스Ⅰ,Ⅱ 시료)에 대한 세포 증식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시험물질을 처리하고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알아보았다. MM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분석법은 살아있는 세포에서만 활성을 보이는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 효소 작용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formazan이라는 색소 산물을 형성시켜 그것을 측정함으로 세포 독성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2) 시료 준비
상기에서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시료들을 DMSO(dimethyl sulfoxide, Duchefa biochemicals, Netherlands)로 희석하였으며 분주 후 냉장보관하였다. MMT 시약은 PBS(pH 7.4)에 1mg/ml 농도로 녹인 후 0.2um syringe filter로 여과한 후 분주해서 냉장 보관하였다.
3) 시험 방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이 장기간 사용 시에도 피부자극이 없이 개선 효과를 보일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유무를 시험하였다. 배양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96 well plate(Nunc, NY)에 2×104 cells/well의 농도로 100㎖씩 넣고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 부착을 확인한 다음 serum-free media로 바꾸어주고 각각의 well에 시험물질(심비오스Ⅰ,Ⅱ 시료)을 아래의 표 3.에서와 같이 1ppm 내지 100ppm 농도별로 처리한 후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기 4시간 전에 시험물질처리기간이 끝난 후 PBS에 1mg/mL의 농도로 녹인 MMT(Sigma, MI) 용액을 각 well 당 전체 배지의 10분의 1이 되는 양으로 첨가한 뒤 알루미늄 호일로 차광시키고 4 나머지 시간 동안 같은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제거한 후 각 well에 dimethyl sulfoxide (DMSO, Duchefa biochemicals, Netherlands)를 100㎕ 처리하여 세포내 형성된 formazan을 용해 시킨다. ELISA reader(Powerwave X, Bio-tec INC, VT)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ell viability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되었다.
Figure 112008062971726-pat00002
(AC - absorbance of control, AT - absorbance of tested extract solution)
표 3.
처리물질(농도) 1회 2회 Average S.D %AV %SD
음성 대조군 0.609 0.585 0.597 0.017 100 3
심비오즈Ⅰ(1ppm) 0.643 0.624 0.636 0.018 107 3
심비오즈Ⅰ(10ppm) 0.615 0.623 0.619 0.006 104 1
심비오즈Ⅰ(50ppm) 0.621 0.639 0.630 0.013 106 2
심비오즈Ⅰ(100ppm) 0.704 0.633 0.668 0.05 112 8
심비오즈Ⅱ(1ppm) 0.556 0.566 0.561 0.007 94 1
심비오즈Ⅱ(10ppm) 0.565 0.513 0.539 0.037 90 6
심비오즈Ⅱ(50ppm) 0.521 0.502 0.511 0.013 86 2
심비오즈Ⅱ(100ppm) 0.616 0.557 0.586 0.042 98 7
그 결과, 시험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심오비즈Ⅰ 시료를 처리한 군에서 세포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수치는 아니었고, 심오비즈Ⅱ 시료는 처리농도에서 의미 있는 세포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시험물질(심비오스Ⅰ,Ⅱ 시료)이 포함된 배지에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72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특이한 세포 생존율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결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한약재 추출물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 시험
(1) 시험 원리
DPPH(1,1-diphenyl-2-picrylhydrazil)은 자주색을 띄는 라디칼로 산화를 개시시킨다. DPPH용액에 실험하고자 하는 샘플을 함께 처리하면 샘플의 라디칼에 대한 소거 능력을 색깔변화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2) 시험 방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력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아래의 표 3.에서와 같이 DPPH(Sigma, MI)용액과 한약재 추출물을 농도별로 혼합하여 생성된 자유 라디칼의 양이 어느 정도 감소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시료를 증류수 또는 용매에 녹인 후 최종농도가 0.01% 내지 1%인 액상상태 시료로 만들어 20㎕씩 96well(Nunc, NY)에 넣고 100uM DPPH용액 180㎕를 섞어 상온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상기 남아있는 DPPH의 양을 ELISA reader(Powerwave X, Bio-tec INC, VT)를 이용하여 5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력의 정도는 시료를 넣지 않고 DPPH와 증류수 또는 용매로만 구성된 음성대조군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이와 비교하여 흡광도가 낮을수록, 환산값이 낮을수록 자유라디칼 소거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표 4.
Figure 112008062971726-pat00003
* O.D : 흡광도 값(O.D.값은 DPPH와 반응시킨 샘플의 O.D값에서 DPPH를 넣지 않은 샘플 값을 제하여 보정된 값임)
* 환산값 : 음성대조군을 100으로 놓고 백분율로 환산한 값
그 결과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의 환산값 100%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추출물 심비오즈Ⅰ을 0.1% 처리한 경우 환산값이 64±3%로 낮아졌으며, 1% 처리 시 60±11%로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비오즈Ⅱ를 0.1% 처리 시 77±3%, 1% 처리 시 15±2%로 환산값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DPPH 자유라디칼 소거실험을 통해 심비오즈Ⅰ,Ⅱ 모두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심비오즈Ⅱ가 우수한 소거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 1은 시험물질(심비오즈Ⅰ,Ⅱ 시료)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시험물질(심비오즈Ⅰ,Ⅱ 시료)이 DPPH 자유 라디칼 소거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Claims (4)

  1. 당귀(Angelica gigas) 및 현삼(Scrophularia buergeriana)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인삼(Panax ginseng),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황정(Polygonatum odoratum) 및 맥문동(Liliope platyphylla)으로 이루어진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용으로 허용된 담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한약재 추출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당귀 또는 현삼 15 내지 25중량부, 인삼 5 내지 20중량부, 황기 10 내지 25중량부, 황정 25 내지 35중량부 및 맥문동 25 내지 3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한약재 추출물이 0.05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87202A 2008-09-04 2008-09-04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0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202A KR101050754B1 (ko) 2008-09-04 2008-09-04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202A KR101050754B1 (ko) 2008-09-04 2008-09-04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256A KR20100028256A (ko) 2010-03-12
KR101050754B1 true KR101050754B1 (ko) 2011-07-21

Family

ID=4217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202A KR101050754B1 (ko) 2008-09-04 2008-09-04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005B1 (ko) * 2016-05-10 2017-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정팔진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20020044266A (ko) * 2000-12-05 2002-06-15 양봉철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54922A (ko) * 2004-11-17 2006-05-23 하수용 밤꽃 유래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화장용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60087134A (ko) * 2005-01-28 2006-08-02 한국화장품주식회사 십전대보단 성분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20020044266A (ko) * 2000-12-05 2002-06-15 양봉철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54922A (ko) * 2004-11-17 2006-05-23 하수용 밤꽃 유래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화장용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60087134A (ko) * 2005-01-28 2006-08-02 한국화장품주식회사 십전대보단 성분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256A (ko) 201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43552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38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50754B1 (ko)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337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20050092313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81692B1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3379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1150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48897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78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7338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80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7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77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