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310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0310B1 KR101050310B1 KR1020110023198A KR20110023198A KR101050310B1 KR 101050310 B1 KR101050310 B1 KR 101050310B1 KR 1020110023198 A KR1020110023198 A KR 1020110023198A KR 20110023198 A KR20110023198 A KR 20110023198A KR 101050310 B1 KR101050310 B1 KR 1010503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supply
- storage
- door
- refrigerator
- compart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편의성이 좋고, 또한 냉기의 유출을 적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1)는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2)이 단열재를 구비한 종구획벽(3)에 의해 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제1 저장부(100) 및 제2 저장부(200)로 분할되고, 각 저장부(100, 200)가 하우징(2)의 폭 방향 양단부측에 힌지부(5)를 통해 설치되는 도어(50, 60, 70)에 의해 폐색되고, 제1 저장부(100)를 폐색하는 도어(50)에는 물을 고(庫) 밖에서 제공 가능한 디스펜서부(80)가 설치된 것이며, 제1 저장부(100)를 폐색하는 도어(50)는 상기 제1 저장부(100)를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서 폐색하는 단일 도어에 의해 구성되는 동시에, 제2 저장부(200)에는 복수의 도어(60, 70)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invention makes it a subject to provide the refrigerator which is easy to use, and can reduce the outflow of cold air.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orage part 100 and a second storage part 200 in which a housing 2 having an open front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by a vertical partition wall 3 hav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Each storage part 100, 200 is occluded by the doors 50, 60, 70 provided through the hinge part 5 at the width direction both ends of the housing 2, and the 1st storage part ( The dispenser unit 80 capable of supplying water outside is installed in the door 50 that closes the 100, and the door 50 that closes the first storage unit 100 is the first storage unit 100. ) And a plurality of doors 60 and 70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를 구비한 종구획벽에 의해 분할된 제1 저장부 및 제2 저장부가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라 불리는 냉장고가 알려져 있다. 이 냉장고에서는, 제1 저장부를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서 폐색하는 제1 저장부 도어가 힌지부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저장부를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서 폐색하는 제2 저장부 도어가 힌지부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냉장고에서는, 물을 고(庫) 밖에서 제공 가능한 디스펜서부가 제1 저장부 도어에 설치되어 있다.Conventionally, for example, as disclosed in
상기 냉장고에서는 디스펜서부가 설치되는 제1 저장부 도어뿐만 아니라, 반대측 제2 저장부 도어도 제2 저장부를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서 폐색하는 것이다.In the refrigerator, not only the first storage unit door in which the dispenser unit is installed, but also the second storage unit door on the opposite side occludes the second storage unit over the entire vertical direction.
이로 인해, 제2 저장부에 물건을 저장하거나 취출하는 경우에는,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된 제2 저장부 도어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 동작에 필요 이상으로 노동력이 드는 문제가 있다.For this reason, when storing or taking out goods in a 2nd storage part, it is necessary to open the 2nd storage part door provided over the whole up-down directio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labor is more than necessary to open and close the door.
또한, 상기 냉장고에서는, 제2 저장부 도어를 개방하면, 제2 저장부의 상하 방향 전체가 개방되어 버린다. 따라서, 내부의 냉기가 불필요하게 유출되어 버리는 문제도 있다.In the refrigerator, when the second storage part door is opened, the entir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storage part is opened. Therefore, there also exists a problem that internal cold air will flow out unnecessarily.
그래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사용 편의성이 좋고, 또한 냉기의 유출을 적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is easy to use and which can reduce the outflow of cold air.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즉,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는, 전방이 개방된 케이싱이 단열재를 구비한 종구획벽에 의해 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제1 저장부 및 제2 저장부로 분할되고, 각 저장부가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양단부측에 힌지부를 통해 설치되는 도어에 의해 폐색되고, 제1 저장부를 폐색하는 도어에는 물을 고 밖에서 제공 가능한 디스펜서부가 설치되는 냉장고이며, 상기 제1 저장부를 폐색하는 도어는 상기 제1 저장부를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서 폐색하는 단일 도어에 의해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저장부에는 복수의 도어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refrigera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ivided into the 1st storage part and the 2nd storage part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longitudinal division wall wit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n the casing which opened the front, and each storage part is the width direction both ends of the said housing | casing. The door is closed by a door installed through a hinge portion on the side, and the door blocking the first storage part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part capable of supplying water from outside, and the door closing the first storage par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storage part. It is constituted by a single door that is closed over the whole, and the plurality of doors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econd storage.
또한, 상기 제2 저장부에는, 상기 디스펜서부에서 제공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 탱크는 제2 저장부의 개방된 전방측으로부터 취급 가능하게 되고, 상기 급수 탱크는 상기 제2 저장부 중, 상기 복수의 도어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water supply tank for supplying water provided in the dispenser unit is provid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and the water supply tank can be handled from an open front 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and the water supply tank is configured as the first storage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the vertical posi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oors of the two storage.
또한, 상기 급수 탱크는 상기 제2 저장부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tank i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storage.
또한, 상기 급수 탱크는 상기 종구획벽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tan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또한, 상기 제2 저장부는 횡구획벽에 의해 상부 저장실 및 하부 저장실로 분할되는 동시에, 각 저장실에 대응하여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 탱크는 횡구획벽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torage unit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storage compartment and a lower storage compartment by a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a door is installed corresponding to each storage compartment, and the water supply tank is disposed o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또한, 상기 하부 저장실의 도어 상면에 좌우 방향의 홈이 복수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gro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of the lower storage compartment.
또한, 상기 디스펜서부에서 제공되는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장치가 또한 설치되고, 상기 급수 탱크는 상기 제빙 장치에도 급수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ice making apparatus for producing ice provided by the dispenser unit is also provided, and the water supply tan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ice making apparatus.
또한, 상기 급수 탱크와 접속되는 급수 펌프와, 상기 급수 펌프 및 상기 제빙 장치와 접속되어 상기 급수 탱크 내의 물을 상기 제빙 장치에 급수하는 제빙용 급수 배관과, 상기 급수 펌프 및 상기 디스펜서부와 접속되어 상기 급수 탱크 내의 물을 상기 디스펜서부에 급수하는 냉수용 급수 배관을 갖고, 상기 제빙용 급수 배관 및 상기 냉수용 급수 배관은 일부가 냉장고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측에 설치된 상기 제빙용 급수 배관 및 상기 냉수용 급수 배관은 제빙용 급수관 커버 및 냉수용 급수관 커버로 각각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ter supply pump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an ice making water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ump and the ice making device, and supplying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ice making device,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ump and the dispenser unit, And a cold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dispenser unit, wherein the ice making water supply pipe and the cold water supply water pipe are partially installed outside of the refrigerator, and the water supply pipe for ice making installed in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and The cold water supply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vered with an ice making water pipe cover and a cold water supply pipe cover.
또한, 상기 하부 저장실은 야채실이며, 상기 야채실에 설치되는 인출 용기와, 상기 인출 용기의 상벽을 형성하는 인출 용기 상벽 부재와, 상기 인출 용기 상벽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야채실로 분출된 냉기가 통하는 냉기 통로를 형성하는 야채실 덕트용 단열재와, 상기 야채실 덕트용 단열재의 상방에 설치되는 야채실 덕트 프레임과, 상기 야채실 덕트 프레임의 상방에 설치되는 열전도성 패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storage chamber is a vegetable chamber, the drawer container is provided in the vegetable chamber, the drawer container upper wall member forming the upper wall of the drawer container, and the cold ai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er container upper wall member to pass through the vegetable chamber And a vegetable compartment duct frame provided above the vegetable compartment duct insulation, which forms a cold air passage, and a heat conductive panel provided above the vegetable compartment duct frame.
또한, 상기 제1 저장부의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에 설치된 냉각실과, 상기 제2 저장부의 후방에 설치된 기계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further characterized by having a cooling chamber which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storage part and below, and a machine room which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cond storage part.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냉기의 유출을 적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bility of the refrigerator can be improved and the outflow of cold air can be reduced.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 구성도.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단면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각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도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
도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외관도.
도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의 외관도.
도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의 외관도.
도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와 탱크 베이스부의 관계의 설명도.
도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 근방과 야채실의 종단면도.
도1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에의 급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흐름도.
도1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하부 수납 포켓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1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하부 수납 포켓의 외관도.
도1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상단 인출 용기의 인출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상단 인출 용기와 다른 인출 용기의 대비도.
도1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배면 부분 단면 사시도.
도1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
도1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를, 급수 탱크를 취급 가능한 정도로 개방한 상태의 개략도.
도1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와 야채실 도어의 부분 사시도.
도1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도.
도20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냉장실 및 야채실의 사시도.
도2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야채실, 상단 인출 용기, 중간단 인출 용기 및 하단 인출 용기의 사시도.
도22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야채실 덕트의 분해 사시도.
도2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냉장실 및 야채실의 부분 단면도.
도24는 도23의 부분 확대도.
도25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냉동실의 종단면도.
도26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냉장실의 종단면도.
도27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냉동실 및 냉장실의 평면 단면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each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opened.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is an exter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n external view of a water supply ta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7 is an external view of a water supply ta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relationship between a water supply tank and a tank bas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vicinity of a water supply tank and a vegetable cha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0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a water supply operation to a water supply ta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1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lower storage p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2 is an external view of a lower storage p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rawing structure of the top draw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4 is a contrast diagram of the top takeout container and the other takeou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5 is a rear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of the first embodiment.
Fig. 1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7 is a schematic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a state where the water supply tank is opened to the extent that the water supply tank can be handled;
Fig. 18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vegetable compartment door.
1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vegetable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ble compartment, a top takeout container, an intermediate stage takeout container, and a bottom takeout containe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getable chamber duc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23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vegetabl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2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2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freezer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2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27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이하, 도1 내지 도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동일 부위나 방향 등은 동일 부호로 나타내어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도1 내지 도18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이고, 도19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이고, 도20 내지 도23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이고, 도24 내지 도27이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를 도시하고 있다.1 to 27,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the same site | part, a direction, etc. are shown with the same code | symbol,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1 to 18 are refrigerato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9 is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s. 20 to 23 are refrigerator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Figs. The refrigerator which concerns on 4th Embodiment is shown.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우선, 도1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 구조를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 구조도로, 도1의 (a)가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도1의 (b)가 도1의 (a)의 A-A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1의 (a)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의 내부나 급수 탱크(400)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is demonstrated. 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FIG. 1A is opened, and FIG. 1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in FIG. . In addition, in FIG. 1A, the inside of the
도1에 있어서, 1은 총괄적으로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이다. 냉장고(1)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라 불리는 저장 온도가 0 ℃ 이하인 제1 저장부(100)와, 저장 온도가 0 ℃ 이상인 제2 저장부(200)가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In FIG. 1, 1 is the refrigerato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shown collectively. In the
구체적으로는, 냉장고(1)는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2)을 단열재로 형성되는 종구획벽(3)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종구획벽(3)에 의해 분할된 좌측의 저장부를 제1 저장부(100)로 하고, 우측 저장부를 제2 저장부(200)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의 제1 저장부(100)를 냉동실[이하, 냉동실(100)이라고도 함]로 하고 있다. 또한, 우측의 제2 저장부(200)는 발포 단열재를 갖지 않는 횡구획벽(4)을 통해 상하로 분할되어 있다. 횡구획벽(4)으로 분할된 상방의 저장실을 냉장실(210)로 하고, 하방의 저장실을 야채실(260)로 하고 있다. 즉, 제1 저장부(100) 및 제2 저장부(200)는 종구획벽(3)에 의해 실내 환경(온도, 습도 등)을 각각 따로따로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야채실(260)은 편의상, 야채실이라 부르는데, 야채 전용 저장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냉장실(210)은 저장실 내가 개방된 저장실 공간인 것에 반해, 이 야채실(260)은 보습이 필요한 식품(야채나 과일 등)의 수납을 목적으로 하는 인출식 수납 용기를 구비한 저장실 공간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야채 전용 저장실이 아닌, 냉장실(210)에 수납하는 식품을 수납할 수도 있다.Here, although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저장부(200)를 횡구획벽(4)에 의해 상하로 분할하고, 이 횡구획벽(4)에 착탈 가능한 급수 탱크(400)를 구비한 3도어의 냉장고로 설명한다. 또한, 급수 탱크(400)는 횡구획벽(4)을 통상의 구획 선반으로 하는 2도어의 냉장고에 있어서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급수 탱크(400)의 배치 구조는 제1 저장부(100)를 또한 상하로 분할한 4도어의 냉장고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하우징(2)은, 도시하지 않은 강판제의 외장체와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내장 재 사이에 단열재를 충전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는 제1 저장부(100)와 제2 저장부(200)의 온도가 크게 다르다. 한편, 제2 저장부(200)를 구성하는 냉장실(210)과 야채실(260)은 대략 동일한 온도로 설정된다.The housing | casing 2 is equipped with the structure which fille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exterior member made of steel plate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nd the interior material formed from the resin material.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제1 저장부(100)[즉, 냉동실(100)]는 냉동실 도어(50)에 의해 폐색되고, 제2 저장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60, 70)[즉, 냉장실 도어(60) 및 야채실 도어(70)]에 의해 폐색된다. 그리고, 상기 3개의 저장실은, 각각 그 전방면을 냉동실 도어(50)와,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에 의해 덮임으로써, 폐색된 저장실을 구성한다. 각 도어는 하우징(2)과 같은 단열재를 구비한 구조를 구비하고, 하우징(2)의 양측에 설치한 힌지부(5)를 통해 양측에 개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각 저장실에 식품을 출입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unit 100 (ie, the freezer compartment 100) is closed by the
냉동실 도어(50)와 하우징(2)을 연결하는 힌지부(5)는 하우징(2)의 좌측 상하 단부에 설치된다. 냉동실 도어(50)와 하우징(2)을 연결하는 힌지부(5)는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는 공간이 축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이 축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배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또한, 냉장실 도어(60)와 하우징(2)을 연결하는 힌지부(5)는 하우징(2)의 우측 상단부 및 중앙부에 설치된다. 또한, 야채실 도어(70)와 하우징(2)을 연결하는 힌지부(5)는 하우징(2)의 우측 하단부 및 중앙부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이 냉장고(1)는 물 및 얼음을 고 밖에서 제공 가능한 디스펜서부(8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제빙 장치(300)를 냉동실(100)의 최상부에 설치하고, 이 자동 제빙 장치(300)에서 생성된 얼음을 스톡하는 얼음 수납부(320)를 냉동실 도어(50)의 내벽면에 설치하고 있다. 얼음 수납부(320)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냉동실 도어(50)를 폐쇄한 상태에서 자동 제빙 장치(30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의 전단부보다 냉동실(100) 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제빙 장치(300)에서 생성된 얼음은 생성되면 자동적으로 하방으로 낙하하여 얼음 수납부(320)에 스톡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얼음 수납부(320)의 하방 위치가 되는 냉동실 도어(50)의 전방면부에는, 도어면(9)에 오목 형상으로 매립하여 형성되는 취출구(350)가 설치된다. 이 취출구(350)와 얼음 수납부(320)는 얼음 분쇄 기구부(370)를 구비한 반송로(380)에 의해 연통된다. 이 얼음 분쇄 기구부(370)는 생성된 얼음을 그대로, 혹은 분쇄하여 취출구(350)의 상면에 형성한 얼음 공급부(381)로부터 꺼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ront surface part of the
또한, 취출구(350)의 상면에는,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냉수 공급부(39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취출구(350)로부터 얼음, 분쇄 얼음 및 냉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취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ld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1)의 큰 특징 중 하나는, 자동 제빙 장치(300)와 냉수 공급부(390)에 공급하는 냉수를 제2 저장부(200)에 설치한 급수 탱크(400)로부터 공급하는 점에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저장부(200)인 냉장실(210) 내에 탱크 베이스부(470)를 설치하고, 이 탱크 베이스부(470)에 급수 탱크(4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And one of the big characteristics of the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수도를 자동 제빙 장치에 직결하여 급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냉수 장치에 있어서도, 수돗물을 냉각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 탱크에 저장하고 있다. 이 저장 탱크는 냉장고 내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In the prior art, it is common to supply water directly to an automatic ice making device. In the cold water device, the tap water is temporarily stored in a storage tank for cooling the tap water. This storage tank is generally fixed and installed in a refrigerator.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1)는 수도와 직결하고 있던 저수 탱크를 분리하여, 독립되는 급수 탱크(400)를 구비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급수 탱크(400)를 제2 저장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급수 탱크(400)로부터 자동 제빙 장치(300)와 냉수 공급부(390)에 냉수를 공급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특히, 제빙 기능과 냉수 기능을 함께 실현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급수 탱크(400)가 필요하다. 이 점을 고려하여, 제2 저장부(200)의 상하의 중간단 위치가 되는 냉장실(210)의 최하부에 설치함으로써, 급수 탱크(400)의 착탈, 혹은 급수 탱크(400)에 냉수를 직접 보급할 때에, 이용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는 것을 경감시키고 있다.The
또한, 탱크 베이스부(470)는 냉장실(210) 내의 저면(底面)의 횡구획벽(4)측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 탱크(400)를 적재하는 베이스판(471)과, 이 베이스판(471)의 후방에 형성되는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로 구성된다.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는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냉수용 펌프(474)로 이루어지는 급수 펌프(478)를 내장하고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냉수용 펌프(474)를 급수 탱크(400)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제빙 장치용 펌프(473)는 냉수용 펌프(474)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빙 장치용 펌프(473)는 급수 탱크(400)의 상부의 높이 위치에 배치되고, 냉수용 펌프(474)는 급수 탱크(400)의 하부의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Here,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제빙 장치용 펌프(473)는 제빙용 급수 배관(6)이 인출되어, 이 제빙용 급수 배관(6)에 의해 냉동실(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자동 제빙 장치(300)에 접속된다. 또한, 냉수용 펌프(474)는 냉수용 급수 배관(7)이 인출되어, 이 냉수용 급수 배관(7)에 의해 냉수 공급부(390)에 접속된다.The icemaker's
여기서, 도15 및 도16을 이용하여 제빙용 급수 배관(6) 및 냉수용 급수 배관(7)에 대해 설명한다. 제빙용 급수 배관(6)은 제빙 장치용 펌프(473)로부터 냉장고(1)의 안길이 방향(즉, 전후 방향)을 향해, 냉장고(1)의 하우징(2)을 관통하여 냉장고(1)의 외측까지 연장하고, 그곳으로부터 배면 및 천장면을 따라 냉동실 도어(50)측을 향해, 천장면의 도중 위치로부터 냉장고(1)의 하우징(2)을 관통하여 하우징 내부의 자동 제빙 장치(300)에 도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15 and 16, the ice making
한편, 냉수용 급수 배관(7)은 냉수용 펌프(474)로부터 냉장고(1)의 안길이 방향(즉, 전후 방향)을 향해, 냉장고(1)의 하우징(2)을 관통하여 냉장고(1)의 외측까지 연장되고, 그곳으로부터 배면 및 저면을 따라 냉동실 도어(50)까지 연장되어, 냉동실 도어(50)의 하단부의 힌지부(5)를 경유하여, 냉동실 도어(50) 내를 상승하여 냉수 공급부(390)에 도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ld
구체적으로는, 냉동실 도어(50)의 하단부의 힌지부(5)에는 배관 접속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냉수용 급수 배관(7)은 파이프 접속 부재에 의해 접속되는 급수 파이프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냉동실 도어(50) 내에는 급수 파이프를 삽입 관통시키는 삽입 관통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piping connection member is provided in the
또한, 냉동실 도어(50)에서는 단열재 내를 통과하도록 배관된다. 또한, 제빙용 급수 배관(6) 및 냉수용 급수 배관(7)에 사용되는 급수 파이프로서는, 내경의 직경이 4 ㎜인 것이 채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빙용 급수 배관(6)이나 냉수용 급수 배관(7)을 구성하는 급수 파이프가 일부 냉장고(1)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 도어(50) 내에 형성되는 삽입 관통 부분에 급수 파이프를 삽입 관통시키는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급수 파이프의 교환 등의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냉수용 펌프(474)를 종구획벽(3)에 인접하여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빙용 급수 배관(6)이나 냉수용 급수 배관(7)의 배관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빙용 급수 배관(6) 및 냉수용 급수 배관(7)용 급수 파이프로서 내경의 직경이 4 ㎜인 것을 채용함으로써, 배관 내의 물을 배수하려고 한 경우에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ipe constituting the ice making
그런데, 제빙용 급수 배관(6)은 자동 제빙 장치(300)에 급수할 때에만 제빙 장치용 펌프(473)에 의해 도수하고, 그 이외의 통상의 상태에서는 물이 빠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빙용 급수 배관(6) 내가 동결하여 도수가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제빙 장치(300)에의 급수가 완료되면, 제빙 장치용 펌프(473)의 밸브를 개방된다. 그러면, 제빙용 급수 배관(6) 내의 물은 중력에 의해 급수 탱크(400)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제빙 장치용 펌프(473)는 급수 탱크(400)의 상부의 높이 위치에 배치되므로, 통상시에 제빙용 급수 배관(6) 내에 잔류할 수 있는 물을 가능한 한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빙용 급수 배관(6) 내의 물을 급수 탱크(400)로 복귀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제빙 장치용 펌프(473)를 사용하여 제빙용 급수 배관(6) 내의 물을 인입하는 것이라도 좋다.By the way, the ice-making
한편, 냉수용 급수 배관(7)은 냉수 공급부(390)에 급수할 때를 포함하여, 통상 물이 충전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용자의 요구가 있으면 바로 냉수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ld
또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고 외측 배면에 제빙용 급수 배관(6) 및 냉수용 급수 배관(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빙용 급수 배관(6)이 덮이도록 제빙용 급수관 커버(6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수용 급수 배관(7)이 덮이도록 냉수용 급수관 커버(7a)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빙용 급수 배관(6) 및 냉수용 급수 배관(7)은 외기에 접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즉, 각 급수관의 내부는 냉수가 흐르므로, 각 급수관이 외기에 직접 닿는 구성이면, 각 급수관 표면 부근에서 차가워진 외기가 이슬점 온도에 도달하여, 각 급수관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의 구성에서는, 제빙용 급수 배관(6) 및 냉수용 급수 배관(7)은 각각 제빙용 급수관 커버(6a) 및 냉수용 급수관 커버(7a)로 덮여 있으므로,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an ice making
또한, 이 탱크 베이스부(470)는 냉장실(210)의 최하부의 제1 구획 선반(211)과 냉장실(210)의 저면 사이에 설치되고, 이 탱크 베이스부(47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수 탱크(400)는 횡폭 치수보다 높이 치수가 크고, 이 높이 치수보다 안길이 치수가 긴 깊이가 있는 각기둥 형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냉장실(210)의 저면과 제1 구획 선반(211) 사이의 저장 공간은 종구획벽(3)측이 급수 탱크(400)의 수납 공간이 되고, 다른 한쪽측은 개방된 통상의 저장 공간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1)의 큰 특징 중 하나는, 급수 탱크(400)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P1)와 하우징(2)의 선단부(P2) 사이에 노출되는 돌출부(401)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이 돌출부(401)에 개폐 덮개(402)룰 구비한 급수부(403)를 구비한 점에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급수 탱크(400)는 내부 용적을 4 L 정도 구비한 대용량으로 하고 있다. 이 급수 탱크(400)는 분리하여, 수도의 수도꼭지까지 가지고 가서 급수할 수도 있다. 또한, 냉장고(1)에 설치한 상태라도, 패트병 등으로부터 급수할 수 있다. 이 직접 급수를 실현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P1)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01)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401)에 개폐 덮개(402)를 구비한 급수부(403)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용자는 냉장실(210)의 최전방부의 하방의 위치에 배치되는 급수부(403)에, 패트병 등의 병류로부터 편한 자세로 급수할 수 있다.Moreover, one of the big characteristics of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1)의 큰 특징의 다른 하나는, 급수 탱크(400)의 돌출부(401)는 깊이가 있는 상자형의 탱크 본체(404)의 전방면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또한 이 돌출부(401)의 하방이 되는 탱크 본체(404)의 전방면 하부를 후방으로 깊숙해지게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401)의 하면 내벽면을 후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하부 경사면(405)으로 하고 있다. 이 형상에 따르면, 돌출부(401)의 상부의 급수부(403)로부터 급수한 물은 이 하부 경사면(405)에 부딪혀 탱크 본체(404)의 내측으로 튀어오르므로, 급수부(403)로부터 급수하는 물이 이용자에게 튀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big feature of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큰 특징의 다른 하나는, 급수 탱크(400)의 돌출부(401)의 하방의 오목부(406)에, 이 급수 탱크(400)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핸들부(407)를 설치한 점에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전방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401)의 하방 위치를 이용하여 핸들부(407)를 형성하고 있다. 이 핸들부(407)는 돌출부(401)의 투영 면적 내에 들어가는 크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급수부(403)와 핸들부(407)를 급수 탱크(400)의 최전방부에 위치시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other one of the big characteristics of the refrigerato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the handle part for holding this
또한, 상기 핸들부(407)는 세로로 긴 막대 형상의 손잡이 핸들로 하고, 게다가 일단부를 상기 돌출부(401)의 하부에 접속하고 있으므로, 핸들부(407)의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이용자의 보유 지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큰 특징의 다른 하나는, 급수 탱크(400)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냉장실 도어(60)의 내벽면에 하부 수납 포켓(220)을 설치하고, 이 하부 수납 포켓(220)에 돌출부(401)의 전방으로의 돌출량을 흡수하는 절결부(221)를 형성한 점에 있다. 이에 의해, 급수 탱크(400)와 하부 수납 포켓(220)의 사용 편의성을 확보하고 있다.Moreover, another one of the big features of the refrigerato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providing the
이하, 도2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2 to 16,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 도2, 도3을 참조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라 불리는 냉장고(1)의 기본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2는 냉장고의 단면도로, 도2의 (a)가 제1 저장부의 종단면도, 도2의 (b)가 제2 저장부의 종단면도, 도2의 (c)가 송풍 팬 근방의 횡단면도이다. 도3은 각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First,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basic structure of the
도2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1)에서는, 하우징(2)의 이면측 하부에 오목 형상의 기계실(12)을 형성하고, 이 기계실(12)에 압축기(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2)의 내측을 종구획벽(3)에 의해 좌우로 분할하고, 좌측을 냉동 온도대의 제1 저장부(100)로 하고, 우측을 냉장 온도대의 제2 저장부(200)로 설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저장부인 냉동실(100)의 이면측에 냉기 발생원인 열교환기(13)와, 이 열교환기(13)에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부 내에 순환시키는 송풍 팬(14)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열이 발생하는 압축기(11)는 제2 저장부(200)의 후방의 기계실(12) 내에 배치하고 있다.2, in the
그런데, 송풍 팬(14)은 자동 제빙 장치(300)보다 안길이 방향 후방에 배치된다. 자동 제빙 장치(300)가 얼음 수납부(320)의 위치에 맞게 안길이 방향 전방에 배치되므로, 그보다 안쪽 공간은 자동 제빙 장치(300)가 장해가 되어 사용하기 불편한 무효 공간이 되기 쉽다. 그래서, 그 공간에 송풍 팬(14)을 배치함으로써, 무효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제빙 장치(300)에 대해 냉기를 효율적으로 송입할 수 있다.By the way, the blowing
도2의 (a),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12)은 제1 저장부(100) 및 제2 저장부(200)의 하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2의 (a)에 도시하는 냉동실(100)에서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5)에 맞게 그 상방에 열교환기(13)를 구비한 냉각실(16)이 형성된다. 이 냉각실(16)은 냉동실(100)과 단열재를 구비하지 않은 이면벽(102)으로 구획되고, 열교환기(13) 외에 성에 제거 히터(17)가 배치된다. 성에 제거 히터(17)는 열교환기(1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냉각실(16)에는 냉동실(100)의 냉기를 냉각실(16)에 취입하기 위한 냉기 복귀구(19)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열교환기(13)는 냉각실(16) 내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열교환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열교환기(13)를 상하 방향을 따라 1단만 설치하는 종래의 것에 비해, 냉각실(16)이 설치되는 높이 치수를 작게 하고 있다. 따라서, 냉동실의 높이 방향 중간부는 깊이가 넓게 되어 있다. 또한, 성에 제거 히터(17)는 전후 2단으로 배치된 이 열교환부에 대응시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열교환기(13)를 구성하는 각 열교환부를 각각 가열하여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The
냉동실(100)의 이면의 상방에는 송풍 팬(14)이 배치되고, 이 송풍 팬(14)과 냉각실(16)은 냉동실 이면 통로(18)에 의해 연통된다. 그리고, 송풍 팬(14)을 구동시키면, 냉각실(16)에서 생성된 냉기가 냉동실 이면 통로(18)를 통해 송풍 팬(14)에 취입되어, 송풍 팬의 전방부를 덮는 이면벽(102)에 형성한 상부 냉기 분출구(103)로부터 냉동실(100) 내에 공급된다. 또한, 도3에 있어서, 냉동실(100)의 이면에는, 냉동실 이면 통로(18)와 나란히 냉동실 분출 통로(10)가 형성된다. 이 냉동실 분출 통로(10)는, 송풍 팬(14)의 냉기를 하방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냉동실 분출 통로(10)에는 냉동실(100)을 상하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 선반(101)에 맞게 복수의 중간 냉기 분출구(104)가 형성되고, 이 중간 냉기 분출구(104)로부터도 냉기가 냉동실(100) 내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부 냉기 분출구(103) 및 복수의 중간 냉기 분출구(104)로부터 공급된 냉기는 냉동실(100) 내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흐르고, 냉기 복귀구(19)로부터 냉각실(16) 내에 취입된다.A blowing
한편,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210)의 냉기는 이 냉장실(210)의 상부에 설치한 댐퍼(20)로부터 공급된다. 이 댐퍼(20)는 종구획벽(3)을 관통하는 연락 풍로(21)를 통해 송풍 팬(14)과 연통된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댐퍼(20)를 개방하면 송풍 팬(14)으로부터 냉기가 공급되고, 이 냉기가 댐퍼(20)의 전방부를 덮는 이면벽(201)에 설치한 상부 냉기 분출구(213)로부터 냉장실(210) 내에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B, the cold air of the refrigerating
또한, 댐퍼(20)에는 냉장실(210)의 이면측에 형성되는 냉장실 이면 통로(21)가 연통된다. 냉장실 이면 통로(21)에는 냉장실(210)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 선반(212)에 맞게 복수의 중간 냉기 분출구(214)가 형성되고, 댐퍼(20)를 개방함으로써 이 중간 냉기 분출구(214)로부터도 냉기가 냉장실(210) 내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1 구획 선반(211)은 냉장실(210)을 상하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 선반(212)의 최하부의 구획 선반이다.In addition, the
또한, 냉장실(210)에 공급된 냉기는 냉장실(210)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흐르고, 냉장실(210)의 저면을 구성하는 횡구획벽(4)에 취입된다. 횡구획벽(4)은 단열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그 내부로 복귀되어 통로(22)의 일부가 형성된다. 복귀 통로(22)는 횡구획벽(4)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평 복귀 통로(22a)와, 야채실(260)의 이면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복귀 통로(22b)와, 종구획벽(3)을 관통하여 냉각실(16)에 냉기를 복귀시키기 위한 횡단 복귀 통로(22c)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refrigerating
냉장실(210)의 냉기는 횡구획벽(4)의 상면 전방부에 형성한 냉기 복귀구(23)로부터 수평 복귀 통로(22a)에 취입되고, 화살표에 따라서 수평 복귀 통로(22a)로부터 수직 복귀 통로(22b)를 거쳐서, 수직 복귀 통로(22b)의 하단부와 냉각실(16)을 연결하는 횡단 복귀 통로(22c)를 통해 냉각실(16)로 복귀된다.The cool air of the refrigerating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야채실(260)의 냉각은 수평 복귀 통로(22a)와 수직 복귀 통로(22b)의 복사 냉각으로 기본적으로 행해지지만, 수평 복귀 통로(22a)와 수직 복귀 통로(22b)를 통과하는 냉기의 일부가 야채실(260)에 공급되고, 이 공급된 냉기로도 행해진다.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cooling of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야채실(260)에 냉기를 넣지 않고 주위로부터 냉각하는 복사 냉각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냉장실(210)의 냉기를 냉기 복귀구(23)로부터 야채실(260)로 보내 야채실(260) 내를 냉각하고, 횡단 복귀 통로(22c)로부터 냉각실(16)로 복귀되는 구조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야채실(260)에는 보습이 유지되는 복수의 인출 용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야채나 과일 등의 식품에 적합한 수납 공간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radiation cooling system which cools from the circumference is adopted without putting cold air into the
또한, 도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제빙 장치(300)를 냉동실(100)의 천장면에 설치하고 있다. 자동 제빙 장치(300)는 얼음을 생성하면 하방으로 낙하시킨다. 이 낙하하는 얼음을 받는 얼음 수납부(320)는 냉동실 도어(50)의 내벽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to Fig.2 (a), in this embodiment, the automatic ice-making
취출구(350)는 얼음이나 냉수를 받는 컵 등의 용기를 놓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구비하여 냉동실 도어(50)의 전방면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취출구(350)의 천장면과 얼음 수납부(320)는 얼음 분쇄 기구부(370)를 구비한 반송로(380)에 의해 연통된다. 또한, 취출구(350)에는 냉수 공급부(390)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취출구(350)의 상부 위치에는 조작 패널(90)이 설치되어 있고, 이용자가 이 조작 패널(90)을 조작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가 얼음 분쇄 기구부(370)나 2개의 펌프(473, 474)를 동작시켜 조작 지시에 따른 냉수 또는 얼음 또는 분쇄 얼음을 제공한다.The
도3 및 도2에 있어서, 냉동실(100)은 하우징(2) 내의 하우징 수납 공간(105)과 도어 내벽면에 형성되는 도어 수납 공간(106)으로 구성된다. 냉동실(100)의 하우징 수납 공간(105)은 복수의 구획 선반(10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상부의 개방 공간(107)과, 상하로 배열되는 복수의 인출 용기(108)로 이루어지는 하부의 인출 공간(109)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방 공간(107)의 상부에 자동 제빙 장치(3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어 수납 공간(106)은 상부가 얼음 수납부(320)와 취출구(350)를 수납한 돌출부(109)가 형성되고, 하부는 복수의 수납 포켓(110)이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다.3 and 2, the
또한, 냉장실(210)은 하우징(2) 내의 하우징 수납 공간(215)과 도어 내벽면에 형성되는 도어 수납 공간(216)으로 구성된다. 하우징 수납 공간(215)은 복수의 구획 선반(212)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개방 공간이다. 이 하우징 수납 공간(215)의 최상부에는, 댐퍼(20)를 내장한 댐퍼 커버(217)가 설치되고, 이 댐퍼 커버(217)의 하면에는 조명 장치(218)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또한, 하우징 수납 공간(215)의 최하부의 한쪽측에는 급수 탱크(400)가 배치된다. 또한, 냉장실(210)의 이면벽(201)에는 냉장실 이면 통로(21)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복사판(222)이 설치되고, 이 복사판(222)을 통해 냉장실(210)을 복사 냉각하는 동시에, 이 복사판(222)의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중간 냉기 분출구(214)를 통해 냉기가 분출된다.In addition, a
도어 수납 공간(216)은 안길이 치수가 작은 복수의 수납 포켓(219)과, 안길이 치수가 수납 포켓(219)의 안길이 치수보다 큰 대형의 하부 수납 포켓(220)을 상하에 배치하고 있다.The
또한, 야채실(260)은 하우징(2) 내의 하우징 수납 공간(261)과 도어 내벽면에 형성되는 도어 수납 공간(262)으로 구성된다. 하우징 수납 공간(261)은 복수의 인출 용기(263)가 상하에 배치되는 인출 공간이다. 하우징 수납 공간(261)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상단 인출 용기(264) 이외의 중간단 인출 용기(267a) 및 하단 인출 용기(267b)는 상방만이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상단 인출 용기(264)는 인출 동작에 수반하여 개폐되는 개폐 덮개(265)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즉, 이 상단 인출 용기(264)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횡구획벽(4)과 냉장실 도어(60)가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중간단 인출 용기(267a) 및 하단 인출 용기(267b)의 구조에서는 식품을 출입하는 공간이 좁아지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단 인출 용기(264)를 전방으로 인출하면, 그 이동에 수반하여 개방하면서 횡구획벽(4)의 하부에 수납되는 개폐 덮개(265)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도13, 도14에서 설명한다.That is, since the horizontally partitioned
또한, 도어 수납 공간(262)은 복수의 수납 포켓(268)이 상하에 배치된다.In the
또한, 도3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은 냉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며, 여기서는 도2와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the arrow in FIG. 3 shows the flow of cold air, and since it overlaps with FIG. 2, it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그런데, 도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송풍 팬(14) 및 자동 제빙 장치(300)와, 얼음 수납부(320), 얼음 분쇄 기구부(370), 냉수 공급부(390) 및 취출구(350)와, 냉각실(16)이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도록 배치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즉, 송풍 팬(14) 및 자동 제빙 장치(300)가 냉동실의 높이 방향 상부에 배치되고, 얼음 수납부(320), 얼음 분쇄 기구부(370), 냉수 공급부(390) 및 취출구(350)가 냉동실의 높이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고, 냉각실(16)이 냉동실의 높이 방향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물 수납부(320), 얼음 분쇄 기구부(370), 냉수 공급부(390) 및 취출구(350)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는, 두께가 얇은 냉동실 이면 통로(18)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냉동실의 높이 방향 중간부의 깊이를 넓게 취할 수 있다. 또한, 구획 선반(101)의 안길이 치수가 높이 방향에 따라 크게 다른 것도 없다. 이로 인해, 매우 사용 편의성이 좋게 되어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2A, the
다음에,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냉장고(1)의 외관 형상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4는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5는 냉장고의 외관도이며, 도5의 (a)가 평면도, 도5의 (b)가 정면도, 도5의 (c)가 우측면도, 도5의 (d)가 도어 핸들부의 부분 수평 단면도이다.Next,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도4와 도5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이 개방된 상자형의 하우징(2)의 전방면에 냉동실 도어(50)와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가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냉동실 도어(50)는 하우징(2)의 좌측 전체를 덮는 크기를 구비하고, 좌측 상하 단부에 설치한 힌지부(5)에 의해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의 우측에는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가 상하에 배치되고, 우측 상하 단부와 우측 중앙에 설치한 힌지부(5)를 통해 개방할 수 있다.4 and 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의 냉동실 도어(50)와, 우측의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를 중앙의 분할 라인(8)을 통해 양측에 좌우 여닫이문으로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분할 라인(8)을 따라 도어 핸들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 핸들부(40)는 냉동실 핸들부(41)와, 냉장실 핸들부(42)와, 야채실 핸들부(43)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냉동실 핸들부(41)는 냉동실 도어(50)의 단부 코너부를 상하에 걸쳐서 절결된 손걸이 오목부(51)와, 막대 형상 핸들부(52)로 구성되고, 이 막대 형상 핸들부(52)는 중앙의 막대 형상 손잡이부(53)와, 이 막대 형상 손잡이부(53)를 상하에서 지지하는 상부 설치부(54)와 하부 설치부(55)로 구성된다. 이 막대 형상 핸들부(52)는,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볼 때 상하 단부가 도어면(9)에 조화되도록 활형으로 형성된다.The freezer compartment handle
또한, 냉장실 핸들부(42)와 야채실 핸들부(43)는 이 2개의 핸들을 상하에 짜맞추어, 냉동실 핸들부(41)와 같은 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즉, 냉장실 핸들부(42)는 냉장실 도어(60)의 단부 코너부를 상하에 걸쳐서 절결된 손걸이 오목부(61)와, 막대 형상 핸들부(62)로 구성되고, 이 막대 형상 핸들부(62)는 중앙의 막대 형상 손잡이부(63)와, 이 막대 형상 손잡이부(63)를 상하에서 지지하는 상부 설치부(64)와 중앙 설치부(65)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handle
마찬가지로, 야채실 핸들부(43)는 야채실 도어(70)의 단부 코너부를 상하에 걸쳐서 절결한 손걸이 오목부(71)와, 막대 형상 핸들부(72)로 구성되고, 이 막대 형상 핸들부(72)는 중앙의 막대 형상 손잡이부(73)와, 이 막대 형상 손잡이부(73)를 상하에서 지지하는 중앙 설치부(74)와 하부 설치부(75)로 구성된다.Similarly, the vegetable compartment handle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1)는 냉동실 도어(50)에 얼음 수납부(320)나 얼음 분쇄 기구부(370) 등을 구비하고, 또한 이들을 도어 내에 수납하기 위해 통상의 냉장고의 도어의 두께(도어의 안길이 치수)가 크기 때문에, 도어 전체의 중량이 커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로 분할되어 높이 치수가 작은 냉장실(210)과 야채실(260)의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분할 라인(8)을 냉동실(100)측에 오프셋하여 냉동실 도어(50)의 횡폭을 작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량이 있는 냉동실 도어(50)의 개폐에 큰 힘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도어를 확실하게 보유 지지 가능한 막대 형상 핸들로서, 상기 과제를 개선하고 있다.Thus, the
그러나, 이 막대 형상 핸들은 도어면(9)으로부터 크게 돌출되는 과제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면(9)의 단부에 손걸이 오목부(51, 61, 71)를 형성하고, 이 한층 낮은 오목부에 막대 형상 핸들부(52, 62, 7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막대 형상 핸들부(52)의 상하 단부를 도어면(9)에 조화되게 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어 핸들부(40)의 전방으로의 돌출된 인상을 경감시키고 있다.However, this bar-shaped handle also has a problem of protruding largely from the
또한, 냉동실 도어(50)의 전방면에 설치한 오목 형상의 취출구(350)는 통상의 컵 등을 수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 형상의 취출구(350)의 내부 저면에는 착탈 가능한 메쉬형의 컵 받침대(351)가 있고, 그 하부에는 넘친 물을 받도록 오목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취출구(350)의 상면 후방에는 냉수 공급부(390)가 설치되고, 취출구(350)의 배면벽에 설치한 냉수 스위치(391)를 컵 등으로 압박하면 냉수용 펌프(474)가 동작하여 냉수 공급부(390)로부터 냉수를 꺼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ave take-out
또한, 취출구(350)의 상부 도어면(9)에는 조작 패널(90)이 설치되고, 이 조작 패널(90)에 이 냉장고(1) 전체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운전 상태 표시부(91)와, 얼음 분쇄 기구부(370)의 동작을 지시하는 얼음 선택 버튼(92)이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냉동실 도어(50) 등의 각 도어 구조는 도어면(9) 주위를 수지 재료의 프레임(43)으로 둘러싸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어면(9)을 강판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투명판재로 표면 처리된 강판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1)의 설치 환경에 대응하여 도어면(9)을 다양하게 개변할 수 있으므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Moreover, each door structure, such as the
또한,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 도어(70)의 상면에는 홈(70a)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홈(70a)은 야채실 도어(70)의 상면의 야채실(260)측에 좌우 방향의 오목 형상으로서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야채실 도어(70)의 상방의 냉장실 도어(60)를 개방하여, 냉장실(210) 내부와 냉장실(210)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냉장실 도어(60)의 내벽 표면 등에 결로가 발생하여 수분이 적하된 경우라도, 적하된 수분은 야채실 도어(70)의 홈(70a)에 유지되거나, 혹은 좌우로 흐른다. 따라서, 야채실 도어(70)의 전방면에 수분이 흘러 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8, the
다음에, 도6과 도7을 참조하여, 대용량의 급수 탱크(400)의 구체적인 구조를 또한 설명한다. 여기서, 도6은 급수 탱크의 외관도이며, 도6의 (a)가 사시도, 도6의 (b)는 중앙 종단면으로 된 사시도이다. 도7은 급수 탱크의 외관도로, 도7의 (a)는 평면도, 도7의 (b)는 좌측면도, 도7의 (c)는 정면도, 도7의 (d)는 저면도, 도7의 (e)는 우측면도, 도7의 (f)는 개폐 기구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부품 구성도이다. 또한, 도7에서는 도시하는 관계로부터 도7의 (c)를 정면도라 정의하고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7의 (b)를 정면도로 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large-capacity
도6, 도7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는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410)와, 불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411)로 탱크 본체(404)를 구성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410)는 깊이가 있는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을 구비하여 물을 수납하는 주체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케이스(411)는 하부 케이스(410)의 상단부의 개방부를 덮는 캡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411)는 하부 케이스(4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하부 케이스(410) 내를 청소할 수 있다.6 and 7, the
탱크 본체(404)는 횡폭 치수(W1)보다 높이 치수(H1)가 크고, 이 높이 치수(H1)보다 안길이 치수(D1)가 큰 깊이가 있는 상자형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4 L 정도의 용량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The tank
하부 케이스(410)의 정면측의 벽면은 하방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하고, 그 상단부가 서서히 경사져 하부 경사면(405)을 형성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부 케이스(411)는, 기본적으로는 얇은 형상을 구비하고 있지만, 정면측 선단부는 그 상면이 단부로부터 서서히 기립 상승하여 경사면(412)을 형성하도록 융기시키고, 이 융기부(413)의 후단부는 후방의 평탄부(414)와 하강하는 경사면에서 접속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The wall surface on the front side of the
그리고, 경사면(412)에 크게 개방된 급수부(403)가 형성되고, 이 급수부(403)를 덮도록 개폐 가능한 개폐 덮개(402)가 설치되어 있다.And 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케이스(410)의 전방부 상단부와, 이 전방부 상단부를 덮는 상부 케이스(411)의 선단부로 돌출부(401)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돌출부(401)는 선단부가 가늘고, 상면은 상방으로 기립 상승하고, 하면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후방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 형상에 따르면, 급수부(403)를 이용자측으로 보기 쉽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급수부(403)의 전단부를 낮게 하여 패트병의 주입구를 붙이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하면은 하방으로 경사시킴으로써, 급수한 물의 튀어오름을 경감시키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개폐 덮개(402)는 경사면(412)의 후단부에 형성한 수평한 회전축(Q1)을 중심으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또한, 개폐 덮개(402)의 전방부로 이루어지는 경사면(412)의 전방부에는 개폐 덮개(402)의 개폐 버튼(415)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
여기서, 도7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 덮개(402)의 후단부에 관통 구멍(416)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416)에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축 부재(417)를 삽입한다. 이 회전축 부재(417)는 중앙의 코일 스프링(417a)의 양측에 축 부재(417b)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급수부(403)의 후단부의 양측에는, 회전축 부재(417)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축 고정부(418)와, 회전축 부재(417)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리 베어링부(419)를 쌍으로 설치하고 있다.Here, as shown in Fig. 7F, in the present embodiment, a through
회전축 부재(417)는 프리 베어링부(419)와 끼워 맞춤하는 축 부재(417b)가 관통 구멍(416)에 고정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이 고정된 축 부재(417b)와 프리 베어링부(419), 고정 베어링부(418)와 다른 쪽 축 부재(417b)를 개폐 덮개(402)를 개방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417a)의 작용에 의해, 해방된 상태로 복귀하려고 하는 개폐 덮개(402)를 개폐 버튼(415)에 의해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이 구조에 따르면, 개폐 버튼(415)을 조작하여 개폐 덮개(402)가 폐쇄된 상태를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417a)의 작용에 의해 개폐 덮개(402)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스프링 기능을 막대 형상의 회전축 부재(417)에 구비할 수 있으므로, 개구 기구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구조에 따르면, 코일 스프링(417a)을 축소한 상태에서 프리 베어링부(419)와 고정 베어링부(418) 사이에 삽입하면, 코일 스프링(417a)의 양측으로 신장하려고 하는 작용에 의해, 회전축 부재(417)가 프리 베어링부(419)와 고정 베어링부(418) 사이에 확실하게 유지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개방시의 개폐 덮개(402)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코일 스프링(417a)이 더욱 연장되어 회전축 부재(417)가 프리 베어링부(419)와 고정 베어링부(418) 사이로부터 빠지므로 파손을 경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open /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게다가 앞으로 기울어진 경사면(412)에 급수부(403)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냉장실(210)에 이 급수 탱크(400)를 세트한 상태에서도 패트병 등으로부터 급수할 수 있다. 또한, 이 급수시에는, 개폐 버튼(415)을 조작하여 개폐 덮개(402)를 후방을 향해 개방할 수 있으므로, 개폐 덮개(402)가 급수시에 방해되는 일이 없다.Thu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또한, 도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부(403)에 급수된 물은 일단부, 하부 경사면(405)에 부딪혀 급수 탱크(400) 내에 투입되므로, 투입된 물이 반동하여 이용자에게 튀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C, the water supplied to the
또한, 돌출부(401)의 하방의 하부 케이스(410)의 벽면은 후방으로 깊숙해진 오목부(406)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돌출부(401)의 하방의 공간을 이용하여 핸들부(407)를 설치하고 있다. 이 핸들부(407)는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는 손잡이 핸들이며, 하단부를 오목부(406)의 하방에 설치하고, 상단부를 돌출부(401)의 하부에 접속하고 있다.In addition, the wall surface of the
이 구조에 따르면, 핸들부(407)를 돌출부(401)의 투영 면적 내에 넣을 수 있으므로, 급수 탱크(400)를 상자형의 콤팩트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급수부(403)를 구비한 돌출부(401)와 함께 급수 탱크(400)의 최전방부에 핸들부(407)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급수 탱크(400)의 착탈이 용이하다. 게다가 또한, 핸들부(407)는 종형의 손잡이 핸들로 하고 있으므로, 착탈시 사용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는 것이 경감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또한, 도6의 (a),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는 상면 후단부에 단차부(420)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420)를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411)의 후단부로부터 한 쌍의 접속 파이프(421)가 하부 케이스(410)의 투영 면적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 파이프(421)는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냉수용 펌프(474)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하부 케이스(410)의 투영 면적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함으로써, 이 단차부(420)의 상부에 돌출되는 접속 파이프(421)가 반송시에 다른 것과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경감시키고 있다.6 (a) and 6 (b), in the
또한, 접속 파이프(421)의 다른 일단부는 상부 케이스(411)의 내벽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부는 하방으로 굴곡되어, 그 선단부에 급수 필터부(422)가 설치된다. 이 급수 필터부(422)는 저면이 격자 형상의 망으로 개방된 상자형 형상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급수 필터(423)가 내장된다. 급수 필터부(422)의 개방 부분은, 하부 케이스(410)의 내부 저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접속 파이프(421)의 다른 일단부에 설치된다.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급수 필터부(422)의 개방 부분으로부터 취입된 물은 급수 필터부(422)에서 정화되어, 접속 파이프(421)로부터 제빙 장치용 펌프(473) 또는 냉수용 펌프(474)에 취입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water blown in from the open part of the water
또한, 도7의 (d)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410)의 양측에는 한 쌍의 보유 지지 오목부(424)가 형성되고, 또한 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한 쌍의 돌기 리브(42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 탱크(400)를 냉장실(210)로부터 취출할 때에는,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핸들부(407)를 보유 지지하여 그 상태에서 전방으로 인출하게 된다. 이때, 돌기 리브(425)를 구비함으로써, 급수 탱크(400)와 베이스판(471)의 접촉 마찰이 경감되어 가벼운 힘으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급수 탱크(400)를 냉장실(210)로부터 인출하면, 이 급수 탱크(400)를 왼손으로 보유 지지할 필요가 있지만, 이때, 보유 지지 오목부(424)에 왼손을 더하여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보유 지지 오목부(424)를 통해 왼손의 미끄러짐을 경감시킬 수 있다.In Fig. 7D, a pair of holding
다음에, 도8과 도9를 참조하여 급수 탱크(400)의 냉장실(210)의 설치 상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8은 급수 탱크와 탱크 베이스부의 관계의 설명도로, 도8의 (a)가 설치 구성을 도시하는 전개도, 도8의 (b)가 베이스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9는 급수 탱크 근방과 야채실의 종단면도이다.Nex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efrigerating
도8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를 냉장고(1)에 설치하는 데 있어서, 탱크 베이스부(470)를 통해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탱크 베이스부(470)는 냉장실(210)의 후방에 설치되는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와, 그 전방에 신장되어 형성되는 베이스판(471)으로 구성된다.In FIG. 8, in this embodiment, when installing 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장실(210)과 야채실(260)을 구획하는 단열재가 없는 횡구획벽(4) 상에 급수 탱크(400)를 설치한다. 이 횡구획벽(4)은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의 밀착을 도모하기 위한 강도 부재(450)와, 이 강도 부재(450)와 후방의 구획판(4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횡구획벽(4)은 냉장실 도어(60) 및 야채실 도어(70)를 폐색하였을 때에 각 도어(60, 70)와 각각 밀착함으로써, 냉장실(210) 및 야채실(260)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 이 횡구획벽(4)이 내부에 단열재가 없는 것을 이용하여 구획판(451)을 2중 구조로 하여 냉장실(210)의 수평 복귀 통로(22a)를 형성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즉, 구획판(451)은 냉장실(210)의 내부 저면을 형성하는 상부 구획판(452)과,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구획판(4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하부 구획판(453)은 알루미늄 재료 등으로 형성되는 복사 기능을 갖추는 동시에, 상단 인출 용기(264)의 상부를 덮는 덮개 기능을 갖추고 있다. 게다가 또한, 상부 구획판(452)은 복사 기능을 갖춘 하부 구획판(453)을 냉장실(210)로부터라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명판(454)과 이를 주위로부터 지지하는 프레임(455)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는 횡구획벽(4)의 상면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착탈을 행한다. 이로 인해, 급수 탱크(400)의 이동에 수반하는 횡구획벽(4)의 손상이 큰 과제가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4 L의 용량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약 4 ㎏의 중량물이 횡구획벽(4) 상을 이동하면 상기 과제는 큰 것이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횡구획벽(4)은 그 내부에 수평 복귀 통로(2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수 탱크(400)를 지지하는 강도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횡구획벽(4)을 투명판(454)으로 구성하고, 또한 그 상면이 요철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과제는 한층 큰 것이 된다. Thus, the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지, 안내하는 베이스판(471)을 설치하고 있다. 이 베이스판(471)은 그 양단부를 강도 부재(450)와 냉장실(210)의 이면벽에서 지지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므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471)은 종구획벽(3)과 대향하는 한쪽측으로 상방으로 돌출된 안내 리브(47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삽입되는 급수 탱크(400)를 소정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So,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는 베이스판(471)의 후방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의 전방면 상부에는, 급수 탱크(400)의 단차부(420)와 끼워 맞춤되는 돌출부(476)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476)에 급수 탱크(400)의 접속 파이프(421)와 감합하는 파이프 받침부(477)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ank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급수 탱크(400)를 베이스판(471)을 따라 삽입하여 압입함으로써, 접속 파이프(421)와 파이프 받침부(477)를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도9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의 상면은 전방부에 융기부(413)가 형성되고, 그 후방부가 융기부(413)보다 한층 낮게[높이 치수(d1)] 형성되는 평탄부(414)로 하고 있다. 그리고, 급수 탱크(400)를 세트한 상태에서, 이 평탄부(414)의 상방에 제1 구획 선반(211)이 들어가도록 제1 구획 선반(211)의 크기를 설정하고 있다.In Fig. 9, the upper surface of the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융기부(413)의 후단부가 되는 최정상부(P3)와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P1) 사이에 간극(d2)이 형성되도록 제1 구획 선반(211)의 전후 길이를 설정함으로써, 개폐 덮개(402)를 크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제1 구획 선반(211)의 두께(상하 높이)와 설치의 높이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상면이 최정상부(P3)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도록, 높이 치수(d1)를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구획 선반(211)에 출입하는 식품 등이 융기부(413)나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에 닿아 융기부(413)나 제1 구획 선반(211)을 파손하거나, 혹은 식품 등을 떨어뜨리거나, 또한 컵 등에 들어간 것을 엎지르는 것을 경감시키고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up and down height) of the
또한, 급수 탱크(400)의 선단부(P4)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P1)와 하우징(2)의 선단부(P2) 사이에 위치하도록 그 크기가 설정된다.In addition, the tip portion P4 of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면으로부터 횡구획벽(4)의 상면까지의 높이(H10)를 830 ㎜로 설정하고, 그 횡구획벽(4)의 상면에 높이 치수(H1)가 200 ㎜인 급수 탱크(400)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면으로부터 급수 탱크(400)의 최정상부(P3)까지의 높이 치수(H11)가 1000 ㎜ 정도인 위치에 배치되는 급수부(403)에 급수하게 된다. 이 높이는, 표준적인 어른의 팔꿈치의 높이와 같은 정도의 높이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지 않고, 패트병 등을 통해 급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H10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핸들부(407)도 900 ㎜ 정도의 높이에 위치하므로, 이 핸들부(407)를 보유 지지한 급수 탱크(400)의 착탈도 이용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는 일이 없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다음에, 도10을 참조하여, 이 급수 탱크(400)의 냉장실(210)에 세트한 상태에서의 사용 편의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10은 급수 탱크에의 급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흐름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0, the ease of use in the state set in the refrigerating
우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라 불리는 냉장고(1)는, 제외국에 있어서는 표준적인 스타일의 저장실의 레이아웃 구성이다. 따라서, 급수 탱크(400)의 용량 설정에 있어서는 제외국의 소비량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중근동제국의 UAE나 사우디아라비아에서의 동종 사이드 바이 사이드 냉장고의 사용 실태를 조사하면, 샘플수 100세대에서의 결과로는, 차가운 물을 마시는 회수는 1일에 최대 10회이며, 1회의 사용량은 200 ㏄로 하면 최대 1일당 2 L의 소비량이 있다. 또한, 얼음의 사용 빈도는 1일에 최대 11 내지 12회 얼음을 뽑아내고, 1회에 100 ㏄로 하면, 최대 1일당 1.1 L 내지 1.2 L의 소비량이 있다.First, the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냉수와 제빙의 합계 소비량 3.2 L에 플러스알파의 여분량을 가미하여, 급수 탱크(400)의 용량을 3.5 L 내지 4 L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얼음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얼음 수납부의 용량을 1.7 L로 하고 있다. 이 용량이면 얼음의 사용량이 증가해도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이 4 L의 급수 탱크(400)이면, 이 충분한 얼음의 용량을 확보해도, 2.3 L의 냉수가 확보되므로, 상기 냉수의 소비량이 다소 증가해도 대응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pacity of the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는 냉장실(210)로부터 분리하여 상수도로부터 급수하거나, 내부 청소를 가능하게 하지만, 중량이 있는 급수 탱크(400)를 빈번히 분리하는 데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400)를 냉장실(210)에 세트한 상태에서도 편한 자세로 급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즉, 도10에 있어서, 냉장실 도어(60)를 개방하면 도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400)가 냉장실(210)의 하부 좌측에 세트되어 있다. 이 세트된 상태에서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전방부에 개폐 덮개(402)로 폐쇄된 급수부(403)가 노출되어 있다. 이 급수부(403)가 폐쇄된 상태이면, 제1 구획 선반(211)에 식품을 출입할 때에 먼지가 급수 탱크(400) 내에 혼입하는 일이 없다. 또한, 급수부(403)를 구비한 경사면(412)이 제1 구획 선반(211)과 단차 없이 연속하고 있으므로, 식품을 적재한 용기가 급수 탱크(400)에 부딪혀 식품을 떨어뜨리거나 하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구획 선반(211)은 투명하게 되어 있으므로, 냉장실(210) 내의 식품을 구석구석까지 감시할 수 있다.That is, in FIG. 10, when the refrigerating
그리고, 이 도10의 (a)의 상태로부터,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400)의 상면 최전방부에 설치한 개폐 버튼(415)을 조작하면, 도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402)가 후방으로 개방되어 도1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402)를 개방된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원터치로 개폐 덮개(402)를 간단하게 개방할 수 있다.From the state of FIG. 10A, as shown in FIG. 10B, when the opening /
이 도10의 (d)의 개방 상태는 급수부(403)가 크게 개방되고, 그 후방에 개폐 덮개(402)가 기립 자세의 상태가 되어, 제1 구획 선반(211)과 급수부(403)를 명확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급수부(403)의 전방은, 후방보다 앞이 내려가게 되어 있으므로, 도10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부(403)의 전방에 패트병의 주입구를 붙여 급수를 편하게 행할 수 있다.In the open state of FIG. 10D, the
게다가, 급수부(403)로부터 주입되는 물은, 도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경사면(405)에 의해 사용자측으로의 튀어오름이 경감되고, 또한 후방으로의 튀어오름은 기립 자세의 개폐 덮개(402)에 의해 저지되어 경감된다. 또한, 급수시는, 개폐 덮개(402)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므로, 패트병을 양손으로 보유 지지하면서 급수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C, the water injected from the
그리고, 도10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가 종료되면, 개폐 덮개(402)를 폐쇄하는 동작으로, 개폐 덮개(402)의 선단부가 개폐 버튼(415)에 의해 로크 상태가 되므로, 원터치로 폐쇄 동작을 행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10F, when the water supply is finished, the opening /
다음에, 도11과 도12를 참조하여, 급수 탱크(400)에 인접하는 하부 수납 포켓(22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11이 하부 수납 포켓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로, 도11의 (a)가 하부 수납 포켓을 설치한 냉장실 도어의 외관 사시도, 도11의 (b)가 냉장실 도어의 개폐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12는 하부 수납 포켓의 외관도로, 도12의 (a)가 정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2의 (b)가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Next, referring to Figures 11 and 12,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도11과 도12에 있어서, 상부에 냉장실을 구비한 매우 일반적인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장실 도어의 내벽에 수납 포켓을 설치하여 수납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특히, 냉장실 도어의 내벽의 하부에 설치한 수납 포켓은 사용하기 편리한 높이에 있으므로, 구획 선반의 전방부에 큰 공간을 확보하여 대형의 수납 포켓을 설치하고 있다.11 and 12, in a very general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t the top, storage pockets ar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to improve storage. In particular, since the storage pocket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ner wall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is at the height which is convenient to use, a large storage pocket is provided by securing a large space in the front part of a partition shelf.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1)에 있어서도, 냉장실 도어(60)의 내벽의 하부에 대형의 하부 수납 포켓(220)을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선단부[돌출부(401)]가 제1 구획 선반(21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형의 수납 포켓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환경에 있다.Also in the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형의 수납 포켓과 급수 탱크(400)가 랩핑하는 부분을 절결하여 절결부(221)를 형성한 하부 수납 포켓(220)을 채용하고 있다. 이 절결부(221)는 냉장실 도어(60)를 개폐해도 하부 수납 포켓(220)이 급수 탱크(400)와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적절한 간극을 갖고, 또한 코너부에는 큰 라운딩을 갖고 형성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이와 같은 특징을 구비한 하부 수납 포켓(220)의 외관을 도11의 (a)와 도12에 도시한다. 이 하부 수납 포켓(220)은 냉장실 도어(60)의 내벽면의 양측에 형성한 설치 리브(66)에 다른 수납 포켓(219)과 마찬가지로 양측을 끼워 맞춤하여 설치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하부 수납 포켓(220)의 횡폭은 다른 수납 포켓(219)의 횡폭과 같은 길이로 설정되고, 그 양측면벽에 상단부가 폐쇄되어 하방이 개방되는 설치 홈(223)이 마련되어 있다.11A and 12 show the appearance of the
이 구조에 따르면, 설치 리브(66)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설치 돌기부에, 설치 홈(223)을 통해,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춤으로써, 하부 수납 포켓(220)을 냉장실 도어(60)에 설치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구조이면, 하부 수납 포켓(220)을 다른 수납 포켓으로 교환할 수 있으므로, 급수 탱크(400)를 채용하지 않는 기종으로의 전개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하부 수납 포켓(220)은 절결부(221)를 채용함으로써, 안길이 치수가 큰 제1 수납부(426)와, 절결부(221)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안길이 치수가 작은 제2 수납부(427)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큰 제1 수납부(426)에는 패트병이나 맥주병 등의 대형 식품을 수납하고, 작은 제2 수납부(427)는 사용 빈도가 있는 작은 식품을 수납할 수 있다.Thus, the
또한, 이 하부 수납 포켓(220)은 이면측을 개방하여 냉장실 도어(60)의 내벽면을 이면벽으로 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하부 수납 포켓(220)을 상하로 2분할하여, 상부를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하고, 하부를 불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바닥에 모인 먼지 등을 은폐하면서, 길이가 짧은 식품이 수납되어도 투명부를 통해 내부를 확인하기 쉽게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에 도9와 도13, 도14를 참조하여, 야채실(260)의 상단 인출 용기(264)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13은 상단 인출 용기의 인출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4는 상단 인출 용기와 다른 인출 용기의 대비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9, FIG. 13, and FIG. 14, the
우선, 도9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야채실(260)의 케이싱 수납 공간(261)을 복수의 인출 용기(263)로 구성되는 복수의 밀폐된 수납 공간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수납 공간(261)을 상하로 3분할하고, 상단을 개폐 덮개(265)를 구비한 상단 인출 용기(264)로 하고, 중간단과 하단을 상부가 개방된 용기(268a)로 이루어지는 중간단 인출 용기(267a), 하단 인출 용기(267b)로 하고 있다. 이들 상하 3단의 인출 용기(263)는 야채실(260)의 양측의 내벽면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지지 레일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우징 수납 공간(261)으로부터 출입할 수 있다.First, in FIG. 9,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밀폐된 수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단 인출 용기(264)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횡구획벽(4)에 의해 상방이 덮인다. 중간단 인출 용기(267a) 및 하단 인출 용기(267b)는 상단 인출 용기(264)의 하방에 배치되어, 용기(268a)의 상부를 덮는 밀폐 덮개(269)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form the sealed storage space,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인출 용기(263)의 수납 용량을 마찬가지로 확보하기 위해, 기계실(12)의 존재에 의해 수납 용량이 적어지는 하단의 하단 인출 용기(267)를 하우징(2)의 선단부(P2)까지 전방으로 돌출시켜 설치하고, 중간단 인출 용기(267a)와 상단 인출 용기(264)의 전방부에는 공간(270)을 형성하고, 이 공간(270)을 이용하여 도어 수납 공간(262)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ensure the storage capacities of the three drawing
도13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상단 인출 용기(264)는 횡구획벽(4)의 하방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또한 그 전방부에 도어 수납 공간(262)을 확보하기 위해 야채실(260)의 후방에 배치된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1)는 자동 제빙 장치(30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냉동실 도어(50)에 얼음 수납부(320)나 취출구(350)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냉동실 도어(50)의 두께가 있어, 필연적으로 냉장실 도어(60)의 두께도 큰 것으로 된다. 따라서, 상단 인출 용기(264)에 있어서는, 횡구획벽(4)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냉장실 도어(60)의 도어면(9)과 상단 인출 용기(264)의 선단부까지의 길이(D10)가 식품을 출입할 때의 장해물이 되므로, 이 장해물을 넘어 상단 인출 용기(264)를 전방으로 인출하지 않으면, 상단 인출 용기(264)로부터 식품을 출입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In Fig. 13, the upper lead-out
그러나, 상단 인출 용기(264)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경우에는, 야채실(260)의 양 내벽면에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지지 레일과 어느 정도 랩핑시키지 않으면 상단 인출 용기(264)를 보유 지지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으므로, 상단 인출 용기(264)를 전방으로 크게 인출하는 해결책에는 한도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단 인출 용기(264)의 전방면에, 상단 인출 용기(264)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개방하고, 개방시는 횡구획벽(4)의 하방에 수납되는 개폐 덮개(265)를 채용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방이 개방되고, 전방면측이 비스듬하게 컷트된 수납 용기(271)와, 개폐 덮개(265)와, 이 개폐 덮개(265)를 가동 가이드 수단(272)을 통해 양측에서 지지하는 양측 판(27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So,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surface of the
가동 가이드 수단(272)은 개폐 덮개(265)의 양측의 상하 단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 돌기(274a)와 하부 지지 돌기(274b)와, 2개의 돌기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제1 지지 레일(275a)과 제2 지지 레일(275b)로 구성된다. 제1 지지 레일(275a)은 후방을 향해 형성되는 홈으로, 상부 지지 돌기(274a)를 양측에서 지지하고, 상부 지지 돌기(274a)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제2 지지 레일(275b)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으로, 하부 지지 돌기(274b)를 양측에서 지지하고, 하부 지지 돌기(274b)를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movable guide means 272 includes an
도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265)는 수납 상태에서는 수납 용기(271)의 컷트된 전방면부를 막도록 수직인 자세로 유지된다. 한편, 도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인출 용기(264)를 인출한 상태에서는, 횡구획벽(4)과 중간단 인출 용기(267a) 사이에 수평한 자세로 유지된다.As shown in Fig. 13A, the opening /
다음에, 도13을 참조하여, 이 상단 인출 용기(264)의 이동에 수반하는 개폐 덮개(265)의 개폐 동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3,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 movement of the opening /
우선, 도13의 (a)에 도시하는 상단 인출 용기(264)를 수납한 상태에서는, 상단 인출 용기(264)의 전방면은 핸들 부분(276)을 구비한 수납 용기(271)의 전방부와, 그 상부에 배치되는 세로 자세의 개폐 덮개(265)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상태로부터, 손잡이부(274)를 통해 수납 용기(271)를 전방으로 인출하면, 세로 자세의 개폐 덮개(265)의 하단부가 수납 용기(271)의 양측의 비스듬히 컷트된 벽면 상부의 가이드 레일(277)에 의해 전방으로 압박되는 작용을 받는다. 그러나, 개폐 덮개(265)의 하단부는 하부 지지 돌기(274b)와 제2 지지 레일(275b)의 끼워 맞춤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그 응력이 하부 지지 돌기(274b)를 제2 지지 레일(275)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First,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lead-out
이에 수반하여, 상부 지지 돌기(274a)는 제1 지지 레일(275a)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동작에 의해, 수납 용기(271)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 덮개(265)의 하단부가 가이드 레일(277) 상을 이동하여 상방으로 이동해 가므로, 결과적으로, 도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265)는 횡구획벽(4)과 이동한 수납 용기(271) 사이에 수평한 자세로 수납된다.In connection with this, the
또한, 수납 용기(271)를 도13의 (c)에서 도13의 (b)와 같이 밀어 넣으면, 가이드 레일(277)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개폐 덮개(265)도, 그 자중에 의해, 가이드 레일(277)을 따라 서서히 하강하여 도13의 (c)가 되어, 도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래의 수납 상태로 복귀한다.Moreover, when the
도14의 (b)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납 용기(271a)를 구비한 종래기술을 나타내고 있다. 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수납 용기(271a)가 상방에서만 식품의 출입을 할 수 있으므로, 수납 용기(271a)의 개방부의 전방면 상단부와 냉장실 도어(60)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식품 출입 공간(D20)이 좁아져 버리는 과제가 있다.Fig. 14B shows a prior art having a
그러나, 도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용기(271)의 전방부의 벽면은 컷트되어 있으므로, 수납 용기(271)의 개방부의 전방면 상단부와 냉장실 도어(60)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식품 출입 공간(D20)은 도14의 (b)의 종래기술의 것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 덮개(265)는 횡구획벽(4)의 하방으로 은폐되므로, 식품의 출입에 장해가 되는 일이 없다.However, as shown in Fig. 14A,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wal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냉장고(1)는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2)이 단열재를 구비한 종구획벽(3)에 의해 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제1 저장부(100) 및 제2 저장부(200)로 분할되고, 각 저장부(100, 200)가 상기 하우징(2)의 폭 방향 양단부측에 힌지부(5)를 통해 설치되는 도어(50, 60, 70)에 의해 폐색되고, 제1 저장부(100)를 폐색하는 도어(50)에는 물을 고 밖에서 제공 가능한 디스펜서부(80)가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제1 저장부를 폐색하는 도어(50)는 상기 제1 저장부(100)를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서 폐색하는 단일 도어(50)에 의해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저장부(200)에는 복수의 도어(60, 70)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저장부(200)에 물건을 저장하거나 혹은 취출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도어(60 또는 70)만을 개방하면 된다.The
그런데, 통상 디스펜서부(80)에서 제공되는 물은 도어(50)의 외부로부터 취입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도어(50)의 외부로부터 힌지부(5)를 통해 디스펜서부(80)에 이르는 냉수용 급수 배관(7)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힌지부(5)는 도어(50)가 개폐될 때의 축이 되는 부분이므로, 이 부분에 배관하는 것은 용이하지는 않다. 이 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냉장고(1)에서는, 도어(50)가 제1 저장부(100)를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서 폐색하는 것(즉, 외짝문)이므로, 배관할 필요가 있는 힌지부(5)를 최소로 필요한 1군데에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제조의 용이성이나 유지 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By the way, the water provided in the
또한, 상기 제2 저장부(200)에는, 상기 디스펜서부(80)에서 제공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탱크(400)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 탱크(400)는 제2 저장부(200)가 개방된 전방측으로부터 취급 가능해지고, 상기 급수 탱크(400)는 상기 제2 저장부(200) 중, 상기 복수의 도어(60, 70)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급수 탱크(400)를 취급할 때에,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도어(60, 70)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면 된다. 또한, 급수 탱크(400)를 취급하는 동작으로서는, 급수 탱크(400)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동작을 생각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급수 탱크(400)를 고 밖으로 취출하는 동작이나, 급수 탱크(400)를 제2 저장부(200)에 배치한 상태에서 물을 보충하는 등의 동작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급수 탱크(400)는 상기 제2 저장부(200)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저장부(200)의 상하 방향 중간부는 일반적인 이용자의 손 높이에 상당하므로, 자연스럽게 손을 뻗기 쉽다. 따라서, 급수 탱크(400)를 취급할 때에 이용자에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는 것이 경감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급수 탱크(400)는 상기 종구획벽(3)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제2 저장부(200) 내에 있어서의 힌지부(5)와는 폭 방향 반대측의 위치에 급수 탱크(400)가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저장부(200)를 폐색하는 도어(60 또는 70)를 완전히 개방하지 않고 조금 개방하는 것만으로도, 급수 탱크(400)를 취급하는 데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도어(60)를 개방하고, 왼손으로 빈 급수 탱크(400)를 인출하는 등의 동작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다음에, 도19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1b)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1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도로, 도19의 (a)는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도19의 (b)는 냉동실의 세로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부나 화살표 등은 동일한 부호를 갖고 설명하며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9, the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제빙 장치(300)를 냉동실(100)의 하우징 수납 공간(105)의 천장면에 설치하고, 이 자동 제빙 장치(3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냉동실 도어(50)의 내벽면에 설치한 얼음 수납부(320)에서 받아 축적하는 구조로 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 도어(50)의 내벽면에 자동 제빙 장치(300)와 얼음 수납부(320)를 설치하는 구조라도 적용 가능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이 경우, 탱크 베이스부(470)의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자동 제빙 장치(300)의 접속은 냉동실 도어(50)의 상부의 힌지부(5)를 통해 제빙용 급수 배관(6)을 배관하도록 한다. 또한, 냉동실(100) 내의 제빙용 급수 배관(6)은 제빙용 급수 배관(6) 내의 냉수가 얼지 않도록, 하우징(2)의 단열재 내를 배관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또한, 다른 구조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공통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about another structure, since it is common to the said 1st Embodiment,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다음에, 도20 내지 도24를 참조하면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20은 냉장실(210) 및 야채실(260)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21은 야채실(260)의 야채실 덕트(280), 상단 인출 용기(264), 중간단 인출 용기(267a), 및 하단 인출 용기(267b)의 사시도이다. 도22는 야채실 덕트(28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3은 냉장실 및 야채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24는 도23의 야채실 덕트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Next,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4. 20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도20에서는, 야채실(260)의 야채실 덕트(280), 상단 인출 용기(264), 중간단 인출 용기(267a), 및 하단 인출 용기(267b) 등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배면벽(22d)에는, 야채실로 냉기를 분출하는 야채실 분출구(22d1)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야채실 분출구(22d1)는 배면벽(22d)의 상하 방향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야채실(260) 내에 있어서의 온도 변화를 억제하여, 야채실(260) 내가 부분적으로 고온이 되거나, 혹은 부분적으로 저온이 되는, 소위 온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20 shows a state in which the
또한, 야채실 분출구(22d1)는,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 덕트(280), 상단 인출 용기(264), 중간단 인출 용기(267a), 및 하단 인출 용기(267b)에 대응하는 높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3, the vegetable chamber ejection opening 22d1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또한, 종구획벽(3)에는 야채실, 냉기 복귀구(22d2)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야채실 냉기 복귀구(22d2)는 중간단 인출 용기(263)가 설치되는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야채실 냉기 복귀구(22d2)는 냉동실(100)의 후방의 냉각실(16)에 연통하고 있다. 즉, 야채실 냉기 복귀구(22d2)는 냉각실(16)이 설치되는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이며, 또한 열교환기(13)의 하방에 냉기가 흐르는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이에 의해, 야채실 분출구(22d1)로부터 야채실(260) 내로 분출된 냉기는 야채실 냉기 복귀구(22d2)로부터 냉각실(16)로 흐르고, 열교환기(13)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흘러 열교환하여, 다시 야채실(260)로 분출되는 순환 구조이다.As a result, the cold air ejected from the vegetable chamber outlet 22d1 into the
야채실(260)에는,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상단 인출 용기(264), 중간단 인출 용기(267a), 및 하단 인출 용기(267b)가 설치된다. 또한, 상단 인출 용기(264)의 상방에는 야채실 덕트(280)가 설치된다. 어떠한 인출 용기도 저장물에 직접 냉기가 불어내어지지 않도록 기체의 이동이 억제된 폐색 공간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야채실 분출구(22d1)는, 도20, 도23 및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 덕트(280), 상단 인출 용기(264) 하방, 중간단 인출 용기(267a) 하방, 및 하단 인출 용기(267b)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야채실(260)은 간접 냉각함으로써 저장물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장 공간의 습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In the
상단 인출 용기의 상방에 설치되는 야채실 덕트(280)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부터 상단 인출 용기 상벽 부재(280a), 야채실 덕트용 단열재(280b), 야채실 덕트 프레임(280c) 및 열전도성 패널(280d)을 갖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 22, the
상단 인출 용기 상벽 부재(280a)는 상단 인출 용기(264)의 상벽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야채실 덕트용 단열재(280b)에는,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 분출구(22d1)로부터 분출된 냉기가, 상단 인출 용기 상벽 부재(280a) 상방에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흐르도록 냉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2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 덕트용 단열재(280b)의 하면에 볼록부(280b1)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 인출 용기 상벽 부재(280a)와 야채실 덕트용 단열재(280b)를 조합함으로써 냉기 통로가 형성된다. 즉, 상단 인출 용기 상벽 부재(280a)의 상면이 냉기 통로의 일면을 형성하고, 야채실 덕트용 단열재(280b)가 냉기 통로의 상면 및 측면을 형성한다. 야채실 덕트 프레임(280c)과 상단 인출 용기 상벽 부재(280a)는 나사(280e)로 결합되고, 이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야채실 덕트용 단열재(280b)가 설치된다.The upper lead-out container
이에 의해, 상단 인출 용기(264)의 저장물에 직접 냉기를 불어내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간접 냉각하고, 또한 야채실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냉기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blowing of cold air directly into the stock of the upper lead-out
또한, 야채실 덕트용 단열재(280b)의 상방에는 야채실 덕트용 프레임(280c)을 통해 열전도성 패널(280d)이 설치된다. 야채실 덕트 프레임(280c) 및 상단 인출 용기 상벽 부재(280a)는 수지제인 것에 반해, 열전도성 패널(280d)은 금속제(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다. 또한,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260)과 냉장실(210)을 구획하는 횡구획벽(4)에는 냉장실(210)로 분출된 냉기가 통과하는 복귀 통로(22)가 설치되어 있다.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전도성 패널(280d)은 횡구획벽(4)의 하방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열전도성 패널(280d)은 복귀 통로(22)의 하방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귀 통로(22)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열전도성 패널(280d)은 냉각된다. 따라서, 열교환기(13)의 상해 방지 운전 중 등에 야채실(260) 내에 냉기의 공급이 없는 경우에도, 저온의 열전도성 패널(280d)의 복사열에 의해 야채실(260) 내의 온도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온도 변화에 의해 저장물에 부여하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thermally
또한, 열교환기(13)의 성에 제거 운전 중 등에 냉장실(210) 내에 냉기의 공급이 없는 경우에도, 냉장실의 배면에 설치한 복사판(222) 및 열전도성 패널(280d)의 복사열에 의해 냉장실(210) 내의 온도 변화를 억제하여 온도 변화에 의해 저장물에 부여하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Further, even when there is no supply of cold air in the
또한, 다른 구조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공통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about another structure, since it is common to the said 1st Embodiment,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4 실시예)(Example 4)
다음에, 도25 내지 도27을 참조하면서,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25는 냉동실(100)의 종단면도이다. 도26은 냉장실(210)의 종단면도이다. 도27은 냉동실(100) 및 냉장실(210)의 평면 단면도이다.Next, a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5 to 27. 2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reezing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실(16)을 냉동실(100)의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에 설치하고, 기계실(12)을 냉장실(210)의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에 설치한다. 환언하면, 냉각실(16)과 기계실(12)은 냉장고(1)의 후방 하부의 좌우로 나란히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냉각실(16)에는 2개의 열교환기(13)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하방에 성에 제거 히터(17, 17)가 설치되어 있다. 즉, 냉동실(100)의 하부는, 열교환기(13)가 설치되는 치수만큼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이 된다. 그래서, 이 냉동실(100)의 돌출 형상의 높이 위치 및 전후 방향 위치를 맞추도록 기계실(12)을 냉장실(210)의 후방에 설치한다. 이에 의해, 냉동실(100)과 냉장실(210)의 수납 용적의 균형을 잡을 수 있고,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oling
또한, 일반적으로, 냉장실(210)보다도 냉동실(100)은 온도가 낮기 때문에, 고온이 되는 기계실(12)을 냉장실(210)의 후방에 설치하고, 냉각실(16)을 냉동실(100)의 후방에 설치함으로써, 기계실(12)로부터의 온도 영향을 작게 한다. 이에 의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냉각에 필요한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In general, since the freezing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동실(100)과 냉장실(210)이 종구획벽(3)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있지만, 냉장실(210)의 하방에 또한 야채실을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야채실의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에 기계실(12)이 설치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eezing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계실(12)을 냉장실(210)의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에 설치하고 있지만, 기계실(12)을 냉장실(210)의 후방 또한 상방에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에 의해, 손이 닿기 어려운 공간인 냉장실(210)의 상부 후방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동시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다음에, 냉동실(100)의 냉기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냉각실(16)의 상방에는 연통하는 냉동실 이면 통로(18)가 냉동실(100)의 후방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 이면 통로(18)에는, 복수의 구획 선반(101)의 높이에 따른 위치에 중간 냉기 분출구(104)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 이면 통로(18)의 상부에는 송풍 팬(14)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 팬(14)의 높이 위치의 냉동실 이면 통로(18)에는 상부 냉기 분출구(10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100)의 하부 후방에는 냉동실 냉기 복귀구(19a)가 설치되어 있다. 냉동실 냉기 복귀구(19a)는 냉각실(16)과 연통하고 있고, 또한 열교환기(13)의 하방으로부터 냉기가 유입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Next, the flow of cold air in the freezing
이에 의해, 냉각실(16)의 열교환기(13)에서 열교환한 냉기는 냉동실 이면 통로(18)에서 상방으로 흘러, 송풍 팬(14)에 의해 중간 냉기 분출구(104) 및 상부 냉기 분출구(103)로부터 냉동실(100) 내로 분출된다. 냉동실(100) 내로 분출된 냉기는 냉동실 냉기 복귀구(19a)로부터 냉각실(16)로 복귀되고, 열교환기(13)와 열교환하여 다시 냉동실(100) 내로 분출되는 순환 구조이다. 이와 같이, 송풍 팬(14)을 냉동실 이면 통로(18)의 최상부에 설치하고, 냉동실 냉기 복귀구(19a)를 냉동실(100)의 최하부에 설치함으로써, 냉동실(100)의 상하 전체를 냉기가 순환하여 냉동실(100) 내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cold air heat-exchanged by the
다음에, 냉장실(210)의 냉기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종구획벽(3)의 송풍 팬(14)의 높이 위치에는 냉장실(210)과 연통하는 연통 풍로(21)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210)의 후방이면서 또한 상부에는, 연통 풍로(21)에 접속되어 냉기를 냉장실(210)로 분출하는 상부 냉기 분출구(2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구획벽(3)의 하부이며, 또한 냉장실(210)측에는 냉장실 냉기 복귀구(22d4)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 냉기 복귀구(22d4)는 종구획벽(3)에 설치한 냉장실 냉기 복귀 덕트(22d3)와 접속하고 있고, 냉각실(16)에 연통하고 있다.Next, the flow of cold air in the refrigerating
이에 의해, 냉각실(16)의 열교환기(13)에서 열교환한 냉기는 냉동실 이면 통로(18)에서 상방으로 흘러, 송풍 팬(14)에 의해 냉동실(100)로 분출되는 냉기와 연통 풍로(21)에 흐르는 냉기로 분기된다. 연통 풍로(21)를 흐르는 냉기는 상부 냉기 분출구(213)로부터 냉장실(210)로 분출되어, 냉장실 냉기 복귀구(22d4)로부터 냉장실 냉기 복귀 덕트(22d3)를 지나 냉각실(16)로 복귀된다. 그리고, 열교환기(13)와 열교환하여, 다시 냉장실(210)로 냉기가 분출되는 순환 구조이다.Thereby, the cold air heat-exchanged by the
이와 같이, 상부 냉기 분출구(213)가 냉장실(210)의 최상부에 설치되고, 냉장실 냉기 복귀구(22d4)가 냉장실(210)의 최하부에 설치되므로, 냉장실(210)의 상하 전체에 걸쳐서 냉기가 순환하여 냉장실(210) 내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장실(210)이 상부를 냉장실, 하부를 야채실로 구획한 구성의 경우, 종구획벽(3)의 하부이며, 또한 야채실측에 냉기 복귀구를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upper cold
또한, 다른 구조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공통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about another structure, since it is common to the said 1st Embodiment,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는,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change is possible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of invention.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디스펜서부(80)에서 제공되는 물은 급수 탱크(400)로부터 공급되는 것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도로부터 직접 급수하는 것이라도 좋다.For example, in each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water provided from the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저장부(200)를 횡구획벽(4)에 의해 상하로 분할한 상부 저장실(210) 및 하부 저장실(260)에 대응하여 도어(60, 70)가 설치되는 것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저장실(210)을 내부에서 분할하는 것이 아닌, 도어만을 복수 설치하는 것이라도 좋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또한, 제2 저장부(200)를 폐색하는 도어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In addition, the door which closes the
1 : 냉장고
2 : 하우징
3 : 종구획벽
4 : 횡구획벽
4a : 하부 구획 선반
5 : 힌지부
6 : 제빙용 급수 배관
7 : 냉수용 급수 배관
8 : 분할 라인
9 : 도어면
10 : 냉동실 분출 통로
11 : 압축기
12 : 기계실
13 : 열교환기
14 : 송풍 팬
50 : 냉동실 도어
60 : 냉장실 도어
70 : 야채실 도어
80 : 디스펜서부
90 : 조작 패널
91 : 운전 상태 표시부
100 : 제1 저장부(냉동실)
200 : 제2 저장부
201 : 이면벽
210 : 냉장실
211 : 제1 구획 선반
220 : 하부 수납 포켓
221 : 절결부
260 : 야채실
300 : 자동 제빙 장치
320 : 얼음 수납부
350 : 취출구
370 : 얼음 분쇄 기구부
400 : 급수 탱크
401 : 돌출부
402 : 개폐 덮개
403 : 급수부
404 : 탱크 본체
405 : 하부 경사면
406 : 오목부
407 : 핸들부
410 : 하부 케이스
411 : 상부 케이스
412 : 경사면
412a : 상면 전방부
413 : 융기부
414 : 평탄부
415 : 개폐 버튼
416 : 관통 구멍
417 : 회전축 부재
417a : 코일 스프링
417b : 축 부재
418 : 축 고정부
419 : 프리 베어링부
420 : 단차부
421 : 접속 파이프
422 : 급수 필터부
423 : 급수 필터
424 : 보유 지지 오목부
425 : 돌기 리브
426 : 제1 수납부
427 : 제2 수납부
470 : 탱크 베이스부
471 : 베이스판
472 : 탱크 베이스 본체부
473 : 제빙 장치용 펌프
474 : 냉수용 펌프
475 : 안내 리브
476 : 돌출부
477 : 파이프 받침부
478 : 급수 펌프
P1 : 제1 구획 선반의 선단부
P2 : 하우징의 선단부1: refrigerator
2: housing
3: vertical section wall
4: horizontal partition wall
4a: lower compartment shelf
5 hinge part
6: water supply pipe for ice making
7: cold water supply pipe
8: split line
9: door surface
10: freezer compartment blowing passage
11: compressor
12: machine room
13: heat exchanger
14: blowing fan
50: freezer door
60: refrigerator door
70: vegetable room door
80 dispenser unit
90: operation panel
91: operation status display unit
100: first storage unit (freezer)
200: second storage unit
201: back wall
210: refrigerator
211: first compartment shelf
220: lower storage pocket
221: cutout
260: Vegetable Room
300: automatic ice maker
320: ice storage unit
350: outlet
370: ice crushing mechanism
400: water tank
401: protrusion
402: opening and closing cover
403: water supply
404: tank body
405: lower slope
406: recess
407: handle portion
410: lower case
411: Top Case
412: slope
412a: front face
413 ridge
414: flat part
415: opening and closing button
416: through hole
417: rotating shaft member
417a: coil spring
417b: shaft member
418: shaft fixing part
419: free bearing part
420: stepped portion
421: connection pipe
422: feed water filter
423: Feedwater Filter
424: holding recess
425: Rib Rib
426: first storage
427: second storage portion
470: tank base portion
471: base plate
472: tank base body
473: Pumps for ice machines
474: Pumps for Cold Water
475: Guide Rib
476: protrusion
477 pipe support
478: water pump
P1: distal end of the first compartment shelf
P2: Tip of housing
Claims (1)
각 저장부가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양단부측에 힌지부를 통해 설치되는 도어에 의해 폐색되고,
제1 저장부를 폐색하는 도어에 물을 고 밖에서 제공 가능한 디스펜서부가 설치되는 냉장고이며,
상기 제1 저장부를 폐색하는 도어는 상기 제1 저장부를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서 폐색하는 단일 도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 저장부는 상부 저장실 및 하부 저장실로 분할되는 동시에, 각 저장실에 대응하여 도어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디스펜서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탱크가 상기 상부 저장실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저장실의 도어 상면에 좌우 방향의 홈이 복수 마련되고, 상기 하부 저장실의 도어 전방면에 수분이 흘러오는 것을 억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housing with the front open is divided into a first storage portion and a second storage portion, which a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by a longitudinal partition wall hav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Each storage part is closed by the door which is installed through the hinge part in the width direction both ends of the said housing,
It is a refrigerator in which a dispenser unit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a door blocking the first storage unit is provided outside.
The door closing the first storage part is constituted by a single door closing the first storage part over the entir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storage unit is divided into an upper storage compartment and a lower storage compartment, and doors are provided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each storage compartment,
A water supply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dispenser is disposed in the upper reservoir,
And a plurality of gro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of the lower storage compartment, and the moisture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door front surface of the lower storage compar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8141832 | 2008-05-30 | ||
JPJP-P-2008-141832 | 2008-05-30 | ||
JPJP-P-2008-234152 | 2008-09-12 | ||
JP2008234152A JP5260203B2 (en) | 2008-05-30 | 2008-09-12 | refrigerato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4139A Division KR101067219B1 (en) | 2008-05-30 | 2008-12-26 | Refrige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6404A KR20110046404A (en) | 2011-05-04 |
KR101050310B1 true KR101050310B1 (en) | 2011-07-19 |
Family
ID=4152111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4139A KR101067219B1 (en) | 2008-05-30 | 2008-12-26 | Refrigerator |
KR1020110023198A KR101050310B1 (en) | 2008-05-30 | 2011-03-16 | Refrigerator |
KR1020110023217A KR101050303B1 (en) | 2008-05-30 | 2011-03-16 | Refrigerator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4139A KR101067219B1 (en) | 2008-05-30 | 2008-12-26 | Refrigerator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3217A KR101050303B1 (en) | 2008-05-30 | 2011-03-16 |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260203B2 (en) |
KR (3) | KR101067219B1 (en) |
CN (3) | CN101625188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97649B2 (en) * | 2010-04-02 | 2017-10-24 | Hefei Midea Refrigerator Co., Ltd. | Refrigerator |
AU2011269999B2 (en) | 2010-06-22 | 2015-01-22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N101865588A (en) * | 2010-07-13 | 2010-10-20 |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 Refrigerator |
JP5481311B2 (en) * | 2010-08-06 | 2014-04-23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refrigerator |
KR101824044B1 (en) | 2011-05-17 | 2018-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Data storage apparatus providing coded-data output and data storage system thereof |
CN102853619B (en) * | 2011-06-29 | 2015-12-02 |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 With the refrigerator of ice water distributor |
KR20130092278A (en) * | 2012-02-10 | 2013-08-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door structure of a refigerator |
KR102186837B1 (en) * | 2013-12-06 | 2020-1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DE102013225716A1 (en) * | 2013-12-12 | 2015-06-18 | BSH Hausgeräte GmbH | Domestic refrigerating appliance with a storage area and a humidifying device whose tank is movable to a nebulizer unit |
JP6333163B2 (en) * | 2014-12-10 | 2018-05-30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refrigerator |
CN106338177B (en) * | 2015-07-08 | 2020-08-11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Refrigerating device |
CN107869872A (en) * | 2016-09-28 | 2018-04-03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Refrigerator |
JP2018059671A (en) * | 2016-10-05 | 2018-04-12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refrigerator |
CN108955029B (en) * | 2018-05-25 | 2020-09-29 |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 Refrigerator with ice-making water storage box |
KR20220015191A (en) * | 2020-07-30 | 2022-0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CN216308353U (en) * | 2021-11-18 | 2022-04-15 |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 Water storage box and refrigerat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1671U (en) * | 1996-10-22 | 1998-07-15 | 이영서 | Refrigerator Door Structure |
KR100678777B1 (en) * | 2005-04-06 | 2007-0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Family Cites Families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6367Y1 (en) * | 1970-06-03 | 1973-02-17 | ||
JPS506459U (en) * | 1973-05-12 | 1975-01-23 | ||
JPS51136543U (en) * | 1975-04-25 | 1976-11-04 | ||
JPS6032106B2 (en) * | 1978-04-07 | 1985-07-2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Freezer refrigerator |
JPH024393Y2 (en) * | 1984-12-29 | 1990-02-01 | ||
JPS6361867A (en) * | 1986-08-29 | 1988-03-18 | 松下冷機株式会社 | Refrigerator with vegetable chamber |
US4800935A (en) * | 1988-04-05 | 1989-01-31 | Whirlpool Corporation | Control lever for refrigerator with water and/or ice dispenser in door |
JP2570680B2 (en) * | 1992-01-24 | 1997-01-08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Electric refrigerator |
JPH09113124A (en) * | 1995-10-20 | 1997-05-02 | Matsushita Refrig Co Ltd | Vegetable storage container for refrigerator |
KR19980066100A (en) * | 1997-01-20 | 1998-10-15 | 구자홍 | Structure of the water / ice dispenser of the refrigerator |
JPH10311664A (en) * | 1997-05-09 | 1998-11-24 | Matsushita Refrig Co Ltd | Refrigerator |
JP3469757B2 (en) * | 1997-09-25 | 2003-11-25 | 三洋電機株式会社 | refrigerator |
KR20000056841A (en) * | 1999-02-26 | 2000-09-15 | 윤종용 | Water dispenser |
KR100816090B1 (en) * | 2002-05-14 | 2008-03-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ter supply device for ice maker for refrigerator |
KR100432752B1 (en) * | 2002-05-31 | 2004-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GB2426570B (en) * | 2003-03-28 | 2007-09-12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JP2004316945A (en) * | 2003-04-11 | 2004-11-11 | Hoshizaki Electric Co Ltd | Door of cooling storage shed |
US6973803B2 (en) * | 2003-04-28 | 2005-12-13 | Olive Bentley J | Refrigerator water supply systems |
CN1627017A (en) * | 2003-12-12 | 2005-06-15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Refrigerator possessing function of supplying hot water |
CN1683884A (en) * | 2004-04-12 | 2005-10-19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Electric refrigerator |
CN100432595C (en) * | 2004-04-12 | 2008-11-12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Structure of refrigerator door |
CN1690621A (en) * | 2004-04-30 | 2005-11-02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Distributor for refrigerator |
US7210601B2 (en) * | 2004-06-04 | 2007-05-01 | Whirlpool Corporation | Variable flow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
JP4276987B2 (en) * | 2004-09-06 | 2009-06-10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refrigerator |
CN1766487A (en) * | 2004-10-27 | 2006-05-03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Refrigerator with distributor |
KR100597301B1 (en) * | 2004-11-05 | 2006-07-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ld air supply mechanism of refrigerator vegetable box |
CN2876636Y (en) * | 2004-12-07 | 2007-03-07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Refrigerator |
JP4603895B2 (en) * | 2005-01-06 | 2010-12-22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refrigerator |
CN100533019C (en) * | 2005-05-09 | 2009-08-26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Water supplying pipe for refrigerator distributor |
KR20070034714A (en) * | 2005-09-26 | 2007-03-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20070105809A (en) * | 2006-04-27 | 2007-10-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t water supply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2008
- 2008-09-12 JP JP2008234152A patent/JP526020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12-26 KR KR1020080134139A patent/KR101067219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9
- 2009-02-19 CN CN2009100080236A patent/CN101625188B/en active Active
- 2009-02-19 CN CN201110197801.8A patent/CN102305511B/en active Active
- 2009-02-19 CN CN2010105656818A patent/CN102080907B/en active Active
-
2011
- 2011-03-16 KR KR1020110023198A patent/KR10105031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1-03-16 KR KR1020110023217A patent/KR10105030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1671U (en) * | 1996-10-22 | 1998-07-15 | 이영서 | Refrigerator Door Structure |
KR100678777B1 (en) * | 2005-04-06 | 2007-0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260203B2 (en) | 2013-08-14 |
CN102080907A (en) | 2011-06-01 |
KR20110046405A (en) | 2011-05-04 |
KR20110046404A (en) | 2011-05-04 |
JP2010008033A (en) | 2010-01-14 |
KR101050303B1 (en) | 2011-07-19 |
KR101067219B1 (en) | 2011-09-22 |
CN102305511B (en) | 2014-04-02 |
CN102305511A (en) | 2012-01-04 |
CN101625188A (en) | 2010-01-13 |
KR20090124904A (en) | 2009-12-03 |
CN102080907B (en) | 2013-06-26 |
CN101625188B (en) | 2011-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0310B1 (en) | Refrigerator | |
JP5588604B2 (en) | refrigerator | |
KR101584806B1 (en) | Refrigerator | |
KR101621578B1 (en) | Refrigerator | |
KR101584805B1 (en) | Refrigerator | |
US20110146331A1 (en) | Refrigerator | |
KR101294519B1 (en) | Refrigerator | |
KR20120069686A (en) | Refrigerator | |
KR20120007202A (en) | Refirgerator | |
KR20100020897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20060085985A (en) | Refrigerator | |
KR20090075911A (en) | Refrigerator | |
KR20110046403A (en) | Refrigerator | |
KR100688672B1 (en) | A refriferator door | |
KR101467271B1 (en) | Refrigerator | |
JP5286340B2 (en) | refrigerator | |
JPH10253247A (en) | Refrigerator | |
AU2022203947B2 (en) | Refrigerator | |
KR20240051634A (en) |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