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186B1 - Multi media process play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Multi media process play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186B1
KR101050186B1 KR1020090042853A KR20090042853A KR101050186B1 KR 101050186 B1 KR101050186 B1 KR 101050186B1 KR 1020090042853 A KR1020090042853 A KR 1020090042853A KR 20090042853 A KR20090042853 A KR 20090042853A KR 101050186 B1 KR101050186 B1 KR 101050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chedule
client
file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8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3560A (en
Inventor
황윤광
류지창
박창현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지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지비테크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186B1/en
Publication of KR2010012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5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1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1Adding application-functional data or data for application control, e.g. addin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2Establishing a time schedule for servicing the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4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the time of distribution, e.g. the best time of the day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or airing a children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하여 동영상, 이미지, 자막 등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단일 화면에 재생하는 다중 미디어 프로세스 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media process play system and method for compos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such as a video, an image, a subtitle, etc. and playing them on a single screen for effective information transmission. It is abou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선택한 콘텐츠가 재생되는 콘텐츠 프레임의 크기와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콘텐츠의 재생화면크기 및 재생위치를 원하는 바에 따라 설정하므로써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단일 화면에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동시에 출력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in which a user can arbitrarily select the size and position of a content frame in which a selected content is played, and sets various types of content on a single screen by setting a playback screen size and a playback position as desired. It can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so that the output can be played simultaneously.

콘텐츠, 멀티미디어 콘텐츠, DID, DID 시스템, 재생 스케줄 Content, Multimedia Contents, DID, DID System, Playback Schedule

Description

다중 미디어 프로세스 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Multimedia process play system and method}Multimedia process play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하여 동영상, 이미지, 자막 등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단일 화면에 재생하는 다중 미디어 프로세스 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media process play system and method for compos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such as a video, an image, a subtitle, etc. and playing them on a single screen for effective information transmission. It is about.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 발달로 인해 현수막, 포스터 등과 같은 단순 인쇄물 형태의 정보를 동영상, 이미지, 자막 등 멀티미디어 형태의 정보로 대체할 수 있는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가 사용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display technology, 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which can replace information in the form of simple printed matter such as banners and posters, with information in the form of multimedia such as moving pictures, images and subtitles, has been used.

일반적으로 DID 시스템은 대형 LCD나 PDP 패널을 통해 영상정보를 출력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표시하여 재생함으로써 광고 및 홍보 등과 같은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활용된다.In general, a DID system is a system that delivers information by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through a large LCD or PDP panel, and is used for information delivery such as advertising and promotion by outputting and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 on a display panel.

이러한 DID 시스템은 사람들의 관심을 보다 집중시킬 수 있어 효과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하고, 인쇄물의 무분별한 탈부착 및 그로 인한 오염이 감소되어 주변환경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Such a DID system can focus people's attention more effectively, which can effectively deliver information, and have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indiscriminate detachment of the printed matter and the resulting contamination.

그러나, 기존의 DID 시스템은 재생시스템의 한계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동영상과 자막의 결합 또는 이미지 슬라이드 쇼 등과 같이 단순한 형태로 구성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playback system, the existing DID system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ultimedia content can only be configured in a simple form such as a combination of video and subtitles or an image slide show.

따라서 풀(FULL) HD급 화질인 1920×1080 해상도에서 동영상, 이미지 슬라이드 쇼,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쇼, 플래시 및 자막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simultaneously play various contents such as a video, an image slide show, a PowerPoint slide show, a flash, and a subtitle at a full HD quality of 1920 × 1080 resolu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다양한 콘텐츠를 단일 화면에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모두 출력 재생할 수 있는 다중 미디어 프로세스 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media process play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outputting and reproducing all the various contents selected by a user on a single screen.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콘텐츠가 겹쳐진 상태로 재생 가능하여 콘텐츠의 재생화면크기 및 재생위치 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다중 미디어 프로세스 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media process play system and method that allows a user to arbitrarily set the playback screen size and the playback position of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ontents overlapp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 파일의 편 집항목에 대한 설정 정보가 포함된 스케줄 파일을 생성하는 에디터;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ditor for generating a schedule file including setting information for editing items of a content file to be played;

상기 에디터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파일과 스케줄 파일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각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을 설정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관리서버;A management server for transmitting a content file and a schedule file received from the editor to a client, and setting a reproduction schedule of each client to control content reproduction of the client;

상기 스케줄 파일에 포함된 콘텐츠의 재생 스케줄과, 상기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에 따라 콘텐츠 파일을 출력 재생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미디어 프로세스 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And a client for outputting and reproducing the content file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schedule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schedule file and the reproduction schedule of the client.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일 화면에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동시에 재생하므로써 대형화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fficiently utilize a large display panel by simultaneously configuring and playing various multimedia contents on a single screen.

특히 상세한 정보의 제공을 위하여 이미지, 자막, 플래시 등을 동영상과 동시에 재생하여 기존 시스템에 비해 보다 큰 정보전달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images, subtitles, flashes, and the like can be played simultaneously with a larger information transmission effect than the exist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관리서버를 이용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한의 관리 인원을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하여 관리 및 유지비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tely control a plurality of clients using one management serv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ntire system using a minimum number of management personnel, thereby reducing management and maintenance costs to a minimum.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 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There may be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same parts as in the prior art may be omitted.

본 발명은 복합적으로 구성한 다양한 유형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일 화면에서 동시에 출력재생할 수 있는 다중 미디어 프로세스 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점차 대형화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보다 큰 정보전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media process play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and playing various types of multimedia contents on a single screen, thereby enabling greater use of an increasingly larger display panel, thereby providing greater information transfer effect. Can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미디어 프로세스 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디터와 관리서버 간에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ulti-media process 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editor and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이하 콘텐츠라고 함)의 재생 스케줄을 설정하는 에디터와,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을 설정하고 클라이언트에서의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예약된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ditor for setting a playback schedule of multimedia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ent), a management server for setting a playback schedule of a client and controlling content playback on a client, and the management serv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lient for play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playback schedule of the client reserved by the.

상기 에디터는 선택한 콘텐츠의 재생 스케줄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파트로서, PC와 같은 별도의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The editor is a part in which an editing application for editing a playback schedule of the selected content is installed, and is composed of a separate system such as a PC.

에디터가 설정할 수 있는 주요 편집항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콘텐츠의 유형과,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 재생화면크기 및 재생위치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이 외에도 콘텐츠 재생볼륨 등과 같이 콘텐츠 재생에 관련된 다양한 항목을 편집항목으로 지정하여 콘텐츠의 재생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If you look at the main edit items that the editor can set up in detail, you can classify the content by type, playback start time and playback end time, playback screen size and playback position. By specifying an item as an edit item, a content playback schedule can be set.

상기 콘텐츠는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바에 따라 동영상, 이미지 슬라이드 쇼,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쇼, 플래시, 자막 등 유형에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로 선택될 수 있고,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의 크기를 나타내는 재생화면크기와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재생위치 즉, 화면배치(혹은 콘텐츠 프레임의 배치)를 설정하여 선택한 콘텐츠가 재생되는 콘텐츠 프레임의 크기와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ent may be selected in various forms regardless of types such as a video, an image slide show, a PowerPoint slide show, a flash, a subtitle, etc. according to a user's desire to play, and a playback screen size indicating a size of a screen on which the content is played. The size and position of a content frame in which the selected content is played may be set by setting a play position, that is, a screen arrangement (or arrangement of content frames) indicating a position of a screen on which content is played.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콘텐츠 프레임의 크기와 위치를 설정한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size and a position of a conten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재생화면크기와 재생위치를 설정한 콘텐츠 프레임(이하 프레임이라고도 함)은 프레임이 열리고 닫히는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A content fra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rame) in which a playback screen size and a playback position are set may set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at which the frame is opened and closed.

이렇게 콘텐츠 프레임의 크기와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콘텐츠 프레임이 열리고 닫히는 시간을 설정하므로써, 다양한 크기의 콘텐츠 프레임이 임의의 위치에서 열리고 닫히도록 설정할 수 있다.By adjus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ontent frame and setting the time when the content frame is opened and closed, the content frame of various sizes can be set to be opened and closed at an arbitrary position.

이 경우 한정된 하나의 화면에서 다수의 콘텐츠 프레임을 출력하게 되어 여러 개의 콘텐츠 프레임이 겹쳐질 수도 있지만, 콘텐츠는 프레임이 겹쳐진 상태에서 모두 재생 가능하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content frames may be output on a limited screen, and thus multiple content frames may overlap. However, the content may be reproduced in a state where the frames overlap.

이때, 상기 콘텐츠 프레임이 겹쳐진 부분은 제일 위쪽에 콘텐츠만 보이고, 아래쪽에 겹쳐진 콘텐츠는 겹쳐지지 않은 나머지 부분만 보이게 된다.In this case, the overlapped portion of the content frame shows only the contents at the top, and the overlapped portion at the bottom shows only the remaining portions that are not overlapped.

또는, 각기 다른 유형의 콘텐츠를 동일한 크기의 콘텐츠 프레임으로 설정(재생화면크기를 동일하게 설정)하고, 이들이 동일 위치에서 열리도록 콘텐츠 재생위치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different types of content may be set to content frames having the same size (playback screen sizes are the same), and content playback positions may be set identically so that they are opened at the same location.

이 경우 여러 개의 콘텐츠 프레임이 겹쳐지면서 제일 위쪽에 배치된 콘텐츠만 보이게 되지만, 나머지 콘텐츠도 프레임이 겹쳐진 상태에서 모두 재생된다.In this case, several content frames overlap and only the topmost content is visible, but the rest of the content is also played with the frames overlapped.

상기에서 선택한 콘텐츠 유형에 따라 각 콘텐츠 프레임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시작시간과 재생종료시간을 설정한다.The content file to be played in each content fram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ed content type, and the play start time and play end time of the selected content file are set.

이때, 상기 콘텐츠 파일의 재생시작시간과 재생종료시간은 해당 콘텐츠가 배치된 경우 즉, 각각의 콘텐츠 프레임에 선택한 콘텐츠 파일이 지정된 경우에 설정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playback start time and the playback end time of the content file can be set when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arranged, that is, when the selected content file is assigned to each content frame.

그리고, 상기 콘텐츠 파일의 재생시작시간과 재생종료시간은 콘텐츠 프레임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어야 한다.The playback start time and playback end time of the content file should be selected within the range of the start time and end time of the content frame.

본 발명에서 콘텐츠는 재생종료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 재생하게 되는데, 콘텐츠를 1회만 재생하도록 설정하려면 콘텐츠의 재생시작시간과 재생종료시간을 콘텐츠의 재생시간 길이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is repeatedly played until the play end time is reached. To set the content to be played only once, the play start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content must be adjusted to the length of the play time of the content.

재생하고자 하는 모든 콘텐츠 파일이 각각의 콘텐츠 프레임에 지정되고 재생시작시간과 재생종료시간이 설정되는 등 콘텐츠 파일의 각 편집항목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각각의 콘텐츠 파일을 저장하게 된다.When all the content files to be played are assigned to each content frame and the play start time and the play end time are set, the setting of each edit item of the content file is completed.

이때, 해당 콘텐츠 파일의 저장과 더불어 콘텐츠 파일의 재생 스케줄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된 스케줄 파일을 생성하고 관리서버로 전송하게 된다.In this case, a schedule file including data on a reproduction schedule of the content file as well as storage of the content fil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management server and a cl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콘텐츠 파일과 스케줄 파일을 전송받은 관리서버는 접속된 다수의 클라이언트로 상기 콘텐츠 파일 및 스케줄 파일을 전송하고, 설치되어 있는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개별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을 설정하여 저장한다. Meanwhile, the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content file and the schedule file transmits the content file and the schedule file to a plurality of connected clients, and sets and stores a playback schedule of the individual client using the installed management application.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관리서버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다수의 클라이언트의 전원을 제어하여 온(ON) 시킨다.In more detail, the management server controls the power of a plurality of clients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o turn on.

즉, 관리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전원을 켜고자 할 경우, WOL(Wake On LAN) 기능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메니저를 이용하여 소정 패킷(클라이언트를 부팅시키기 위한 명령 포함)을 전송한다.That is, when the client wants to turn on the client,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predetermined packet (including a command for booting the client) using a network manager that supports the Wake On LAN (WOL) function.

그럼, 네트워크 메니저를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는 전원이 온(ON) 되어 작동 상태가 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접속된 네트워크망을 통해 클라이언트로 콘텐츠 파일 및 스케줄 파일 등의 전송이 가능하다.Then, the client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manager is powered on (ON), the operating state, the management server is capable of transmitting content files, schedule files and the like to the client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또한, 클라이언트의 전원을 끄고자 할 경우, 클라이언트의 전원오프 명령을 포함한 특정 패킷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면, 클라이언트에서 재생중이던 단말용 어플리케이션이 전송된 특정 패킷을 인식하여 처리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lient wants to turn off the power, when a specific packet including the power off command of the clien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he terminal application, which is being played by the client, recognizes and processes the transmitted specific packet.

관리서버가 콘텐츠 파일 및 스케줄 파일을 작동중인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다음,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 파일과 스케줄 파일의 리스트 및 운영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작동중인 클라이언트는 관리서버의 요청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 파일과 스케줄 파일의 리스트 및 운영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한다.After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content file and the schedule file to the client in operation, and requests the list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file and schedule file held by the client, the client in operation is retained at the request of the management server. Sends a list of content files and schedule files an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관리서버가 상기 작동중인 클라이언트 중에서 콘텐츠 재생을 관리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를 선택하여 스케줄 파일의 리스트 내역을 요청하면, 해당 클라이언트는 저장된 스케줄 파일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When the management server selects a client to manage content playback from among the clients in operation and requests a list of schedule files, the client generates and transmits a list of stored schedule files.

스케줄 파일의 리스트를 전송받은 관리서버는 해당 클라이언트가 콘텐츠 재생기능을 수행할 날짜를 예약하여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을 설정 저장한다.The management server, which has received the list of schedule files, sets and stores the playback schedule of the client by reserving the date for the client to perform the content playback function.

상기 관리서버는 개별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에 따른 해당 날짜가 되면, 해당 클라이언트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콘텐츠 파일의 재생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클라이언트는 예약된 재생 스케줄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하게 된다.When the management server reaches the corresponding date according to the playback schedule of the individual client, the management server instructs to play the content file by controlling the client in real time, and the client play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reserved playback schedule.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는 관리서버의 명령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수행하기 때문에, 관리서버는 클라이언트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파일 및 스케줄 파일을 즉시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client receives and executes a command of the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the management server may control to immediately execute the content file and the schedule file stored in the client.

그리고, 뉴스속보와 같은 긴급상황으로 인해 긴급자막 또는 긴급방송을 송출해야 하는 경우, 관리서버는 긴급자막 또는 긴급방송을 위한 콘텐츠 파일을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즉시 재생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send an emergency subtitle or emergency broadcast due to an emergency such as breaking news,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content file for the emergency subtitle or emergency broadcast to the client and immediately plays it.

본 발명에서 클라이언트는 램상주 형태로 구동되는 단말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파일과 스케줄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서버 에 설정된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에 따라 실시간으로 제어되어 콘텐츠를 재생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stores a content file and a schedule file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using a terminal application driven in a RAM-resident form, and is controll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layback schedule of the client set in the management server to play the content.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첨부된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실시예의 구동상태를 보여주는 화면들이다.5 to 10 are screens showing a driving state of a system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에디터에 설치된 편집용 어플레케이션의 초기 구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 유형을 선택하고, 화면 중앙에 있는 작업창 안에서 원하는 크기로 사각형을 그려 콘텐츠 프레임을 형성한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driving state of an editing application installed in an editor, in which a user selects a content type to be played and draws a rectangle with a desired size in a work window at the center of the screen to form a content frame.

이때 콘텐츠 프레임의 크기와 위치를 결정하는 사각형의 시작점과 크기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art point and size of the rectangle for determin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ontent frame can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도 6은 콘텐츠 유형을 선택하고 콘텐츠 프레임의 크기와 위치를 설정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좌측의 시간설정바를 조정하여 해당 콘텐츠 프레임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설정한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content type is selected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a content frame are set. The start time and end time of the content frame are set by adjusting the time setting bar on the left side.

다음, 선택한 콘텐츠 유형에 따라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 파일을 선택하여 콘텐츠 프레임에 배치하고, 해당 콘텐츠 파일의 재생시작시간과 재생종료시간을 설정한다. 설정한 화면은 도 7과 같다.Next, the content file to be played is selected and placed in the content frame according to the selected content type, and the play start time and play end tim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file are set. The set screen is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과정을 선택적으로 반복하여 클라이언트의 한 화면(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동시에 재생하고자 하는 모든 콘텐츠의 재생 스케줄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저장버튼을 눌러 저장한다.By selectively repeating this process, when the setting for the playback schedule of all the contents to be played simultaneously on one screen (display panel) of the client is completed, the save button is pressed.

그럼, 콘텐츠 파일의 저장과 더불어 해당 콘텐츠 파일과 관련한 스케줄 파일이 생성되고, 에디터는 해당 콘텐츠 파일과 스케줄 파일을 관리서버로 전송한다.Then, in addition to storing the content file, a schedule file associated with the content file is generated, and the editor transmits the content file and the schedule file to the management server.

도 8은 관리서버에 설치된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화면 왼쪽에 원격지 클라이언트 관리 부분에서 녹색으로 표기되어 있는 IP가 현재 전원이 온(ON) 되어 작동중인 클라이언트이고, 화면 우측상단에 파일리스트는 관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파일들을 보여주는 리스트이며, 화면 우측하단에 파일리스트는 에디터(내 PC)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파일들을 보여주는 리스트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creen of a management application installed in a management server, wherein an IP displayed in green in a remote client management part on a left side of a screen is a client that is currently powered on and is operating. The file list is a list showing the content files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file list at the bottom right of the screen is a list showing the content files stored in the editor (My PC).

에디터와 관리서버는 콘텐츠 파일 및 스케줄 파일을 선택한 후 파일전송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예를 들어 도 8의 우측 화면에 내pc전송 또는 서버 전송)을 클릭하므로써 상호전송이 가능하다.The editor and the management server can mutually transfer by selecting a content file and a schedule file and then clicking a button for performing a file transfer function (for example, my pc transfer or server transfer in the right screen of FIG. 8).

에디터로부터 콘텐츠 파일 및 스케줄 파일을 전송받은 관리서버는 작동중인 클라이언트들에게 선택한 콘텐츠 파일 및 스케줄 파일을 전송한다.The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content file and the schedule file from the editor transmits the selected content file and the schedule file to the clients in operation.

도 9는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파일 및 스케줄 파일을 관리하고 있는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management application managing a content file and a schedule file of a client.

그리고, 상기 작동중인 클라이언트들 중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를 하나 이상 선택하고, 도 10과 같이 해당 클라이언트에 저장된 스케줄 파일을 관리서버의 화면에 출력표시한다.Then, one or more clients to be managed are selected from among the clients in operation, and the schedule file stored in the cli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anagement server as shown in FIG. 10.

관리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스케줄 파일을 선택하고 원하는 날짜를 선택 지정(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drag & drop)하므로써, 재생하고자 한 콘텐츠 파일을 클 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원하는 날짜로 출력 재생하여 방송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selects the schedule file of the client and selects the desired date (drag & drop,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o broadcast and play the content file to be played on the desired date through the display panel of the client. Can be.

첨부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실제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동시에 재생하고 있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2개의 동영상과 3개의 플래쉬 및 2개의 이미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배경이미지 위에 각각의 콘텐츠들이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배경이미지와 겹쳐진 콘텐츠 프레임들이 화면 상단에 표시된 것으로, 한 번에 한 가지 콘텐츠를 출력재생하는 것보다 동시에 다양한 콘텐츠를 재생하므로써 효율적인 정보전달이 가능함을 보여준다.11 is a view showing a screen simultaneously playing various contents on a display panel of an actual cl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video is composed of two videos, three flashes, two images, and the like. This means that each content is placed on top of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content frames overlapped with the background image ar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transmit information by playing various contents at the same time rather than outputting and playing one content at a time. Show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has been claim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It includes all th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미디어 프로세스 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ulti-media process 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디터와 관리서버 간에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editor and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콘텐츠 프레임의 크기와 위치를 설정한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ontent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management server and a cl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에디터에 설치된 편집용 어플레케이션의 초기 구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driving state of an editing application installed in an editor.

도 6은 콘텐츠 유형을 선택하고 콘텐츠 프레임의 크기와 위치를 설정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 screen for selecting a content type and set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ontent frame;

도 7은 선택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 스케줄을 설정하고 있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setting a playback schedule of a selected content file.

도 8은 관리서버에 설치된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8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creen of a management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anagement server

도 9는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파일 및 스케줄 파일을 관리하고 있는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management application managing a content file and a schedule file of a client.

도 10은 관리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을 설정하고 있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setting a playback schedule of a client in a management server;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실제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동시에 재생하고 있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11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simultaneously playing various contents on a display panel of an actual cl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 파일의 편집항목에 대한 설정 정보가 포함된 스케줄 파일을 생성하는 에디터;An editor for generating a schedule file including setting information on edit items of a content file to be played; 상기 에디터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파일과 스케줄 파일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각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을 설정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관리서버;A management server for transmitting a content file and a schedule file received from the editor to a client, and setting a reproduction schedule of each client to control content reproduction of the client; 상기 스케줄 파일에 포함된 콘텐츠의 재생 스케줄과, 상기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에 따라 콘텐츠 파일을 출력 재생하는 클라이언트;A client for outputting and reproducing the content file according to a reproduction schedule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schedule file and the reproduction schedule of the client;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And, 상기 콘텐츠 파일의 편집항목에 콘텐츠의 유형과, 콘텐츠 파일의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 콘텐츠 프레임의 재생화면크기 및 재생위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미디어 프로세스 플레이 시스템.And a type of content, a play start time and a play end time of the content file, a play screen size of the content frame, and a play posi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은 클라이언트가 상기 스케줄 파일의 재생 스케줄에 따라 콘텐츠 파일을 출력 재생하는 날짜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미디어 프로세스 플레이 시스템.And the playback schedule of the client sets a date at which the client outputs and reproduces the content file according to the playback schedule of the schedule fil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미디어 프로세스 플레이 시스템.And the management server controls the client in real time.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 파일의 재생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playback schedule of a content file to be played; 상기 콘텐츠 파일을 에디터에 저장하고, 콘텐츠 파일의 재생 스케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 스케줄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에디터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content file in an editor, generating a schedule file including data on a reproduction schedule of the content file, and storing the content file in the editor; 상기 콘텐츠 파일과 스케줄 파일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content file and the schedule file to a management server; 상기 콘텐츠 파일을 재생할 클라이언트를 선택하여 전원을 온(ON) 시키고, 선택한 클라이언트에 상기 콘텐츠 파일과 스케줄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Selecting a client to play the content file, turning on the power,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file and the schedule file to the selected client;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을 설정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etting a playback schedule of the client and storing the playback schedule in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스케줄 파일 및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에 설정된 바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상기 콘텐츠 파일을 출력 재생하는 단계;Outputting and reproducing the content file through the display panel of the client, as set in the schedule file and the playback schedule of the client; 를 포함하며, Including; 상기 콘텐츠 파일의 재생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는,Setting a playback schedule of the content file, 재생할 콘텐츠의 유형을 선택하고, 상기 콘텐츠가 재생되는 콘텐츠 프레임의 재생화면크기와 재생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electing a type of content to be played and setting a play screen size and a play position of a content frame in which the content is played; 상기 콘텐츠 프레임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the content frame; 상기 콘텐츠 프레임에서 재생할 콘텐츠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한 콘텐츠 파일의 재생시작시간과 재생종료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electing a content file to be played in the content frame and setting a play start time and a play end time of the selected content fil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미디어 프로세스 플레이 방법.Multi-media process play method comprising the. 삭제delete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클라이언트의 재생 스케줄에 상기 재생 스케줄에 따라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는 날짜에 대한 설정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미디어 프로세스 플레이 방법.And the setting information on the date of playing the content file according to the playing schedule is included in the playing schedule of the client.
KR1020090042853A 2009-05-15 2009-05-15 Multi media process play system and method KR1010501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853A KR101050186B1 (en) 2009-05-15 2009-05-15 Multi media process play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853A KR101050186B1 (en) 2009-05-15 2009-05-15 Multi media process play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560A KR20100123560A (en) 2010-11-24
KR101050186B1 true KR101050186B1 (en) 2011-07-19

Family

ID=4340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853A KR101050186B1 (en) 2009-05-15 2009-05-15 Multi media process play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18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173A1 (en) * 2013-12-11 2015-06-18 강계원 Smart device having a teaching material reproduction app installed therein, which reproduces information of book-type teaching material using code recognition pen capable of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885B1 (en) * 2012-01-16 2013-11-11 주식회사 리드텍 DID 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 of the combined DID content and broadcast content and for monitoring using a wall controll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513020B1 (en) * 2014-01-02 2015-04-17 주식회사 엠티씨엔씨 Apparatus for generating did united contents, method for generating did united contents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668A (en) * 1998-11-09 2000-06-05 안찬하 Image publicizing system capable of remote control
KR20090000698A (en) * 2007-03-22 2009-01-08 주식회사 작은거인 The method and system of advertisement using multimedia cont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668A (en) * 1998-11-09 2000-06-05 안찬하 Image publicizing system capable of remote control
KR20090000698A (en) * 2007-03-22 2009-01-08 주식회사 작은거인 The method and system of advertisement using multimedia cont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173A1 (en) * 2013-12-11 2015-06-18 강계원 Smart device having a teaching material reproduction app installed therein, which reproduces information of book-type teaching material using code recognition pen capable of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560A (en)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5241B2 (en) Real-time video editing
US7739584B2 (en) Electronic messaging synchronized to media presentation
US8898255B2 (en) Network digital signage solution
US1158250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mbining and distributing user enhanced video/audio content
JP2008518564A5 (en)
US20180091568A1 (en) Digital signage and digital signage content manager
JP2004222245A (en) Streamlined methods and systems for scheduling and handling digital cinema content in multi-theater environment
JP2008512972A (en) Digital content for digital cinema
KR101692097B1 (en) Trick playback of video data
US9288248B2 (en) Media system with local or remote rendering
WO2018176445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live broadcast room
US20120179968A1 (en) Digital signage system and method
US8768924B2 (en) Conflict resolution in a media editing system
US201100903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s for digital cinema
KR101050186B1 (en) Multi media process play system and method
JP4265406B2 (en) DATA GENERATION DEVICE, DATA REPRODUCTION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007383B2 (en) Creating presentations by capturing content of a simulated second monitor
US938633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time period remaining until a live production system changes states
Richards The unofficial guide to open broadcaster software
JP2009060411A (en) Vod system, and content distributing method for vod system
EP1056287A2 (en) Video playback apparatus
TWI690203B (en) Video processing method base on time shift function
JP2004326683A (en)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KR20210037304A (en) Display video providing device
JP2010092575A (en) Method for displaying multiple moving images on single screen using set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