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174B1 -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 및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 및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174B1
KR101050174B1 KR1020090079356A KR20090079356A KR101050174B1 KR 101050174 B1 KR101050174 B1 KR 101050174B1 KR 1020090079356 A KR1020090079356 A KR 1020090079356A KR 20090079356 A KR20090079356 A KR 20090079356A KR 101050174 B1 KR101050174 B1 KR 101050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eb page
request signal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515A (ko
Inventor
김해영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7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1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웹 가속기, 및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풀 브라우저를 탑재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웹 페이지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돔 트리(DOM Tree)를 생성한 후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웹 가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라우저, 파싱, 돔 트리, 웹 가속기, 웹 서버, 웹 페이지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 및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Wireless network system and web accelerator, and wireless network suppor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 및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페이지 로딩 속도와 메모리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 및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용하는 무선 인터넷은 일반적으로 텍스트 중심의 무선 표준인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WAP 방식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을 구동하기 위해 간소화한 국제규격으로서 유선 인터넷보다는 정보의 전달에 있어 그 성능이 떨어진다.
이에 비하여, 유선 인터넷은 PC(Personal Computer)에 설치된 인터넷 익스플 로러(Internet Explorer)나 넷스케이프, 모질라 등과 같은 브라우저를 통하여 이용된다. 여기서, 브라우저는 인터넷에서 웹 서버의 모든 정보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문서 검색을 도와주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웹 페이지 열기, 최근 방문한 인터넷 주소(URL: Uniform Resource Locator)의 목록 제공, 자주 방문하는 URL 기억 및 관리, 웹 페이지의 저장 및 인쇄 등의 기능을 갖는다.
그런데, 이와 같은 PC용 유선 인터넷 브라우저는 그 크기도 클 뿐만 아니라, 액티브 엑스 등 많은 종류의 플러그 인을 지원하고 있어 CPU(Central Process Unit)에서 처리되어야 할 계산양도 많으며, 큰 용량의 데이터 저장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PC용 유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처리해야 할 계산 양이 많으며 그에 따라 데이터 저장공간도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웹 페이지를 로딩하는 속도를 떨어뜨리게 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문제점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페이지 로딩 속도와 메모리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거기에 이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 및 그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풀 브라우저를 탑재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웹 페이지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돔 트리(DOM Tree)를 생성한 후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웹 가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는, 풀 브라우저를 탑재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웹 페이지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요청신호 수신부; 상기 요청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며, 접속된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수신된 상기 웹 페이지 데 이터를 파싱하여 돔 트리를 생성하는 돔 트리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돔 트리를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에 있어서, 풀 브라우저를 탑재하고 있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웹 페이지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며, 접속된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파싱하여 돔 트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돔 트리를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페이지 로딩 속도와 메모리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 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범위가 기재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기지국(20) 또는 AP(Access Point)(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웹 가속기(30)에 연결되며, 웹 가속기(30)는 인터넷(40)을 통해 다양한 웹 서버(50, 60, 7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풀 브라우저(full browser)를 탑재하고 있다. 여기서, 풀 브라우저는 인터넷(40)을 통해 웹 서버(50, 60, 70)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문서 검색을 도와주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웹 페이지 열기, 최근 방문한 인터넷 주소(URL)의 목록 제공, 자주 방문하는 URL 기억 및 관리, 웹 페이지의 저장 및 인쇄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웹 가속기(30)는 인터넷(40)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50, 60, 7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인터넷(40)에 연결된 웹 서버(50, 60, 70)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가 풀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면, 웹 가속기(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서버(50, 60, 또는 70)에 접속하고, 그 접속된 웹 서버(50, 60, 또는 70)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달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웹 가속기(30)는 수신된 웹 페이지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Rendering) 및/또는 파싱(Parsing)을 한 후, 돔 트리(DOM Tree)를 생성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달하도록 지원한다. 이와 같은 렌더링 및 파싱과, 돔 트리 생성은 유선 인터넷의 경우 클라이언트에 탑재된 브라우저에 의해 지원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웹 가속기(30)에서 웹 페이지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 및 파싱과, 돔 트리 생성을 지원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웹 가속기(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기종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기종 및 풀 브라우저의 종류에 대응하여 웹 서버(50, 60, 또는 70)로부터 수신한 웹 페이지를 렌더링 및/또는 파싱하고 돔 트리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신호의 헤더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기종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웹 가속기(30)는 그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기종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따라 웹 페이지를 적응적으로 렌더링 및/또는 파싱하고, 그에 따른 돔 트리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렌더링이란, 평면인 그림에 형태, 위치, 조명 등 외부의 정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그림자, 색상, 농도 등을 고려하면서 실감나는 화상을 만들어내는 과정 또는 그러한 기법을 말한다. 즉, 평면적으로 보이는 물체에 그림자나 농 도의 변화 등을 주어 입체감이 들게 함으로써 사실감을 추가하는 컴퓨터 그래픽상의 과정을 일컫는다.
또한, 파싱이란, 원시 프로그램의 명령문이나 온라인 명령문, 마크업 태그 등을 입력으로 받아들여서 다른 프로그램(컴파일러 내의 다른 요소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여러 부분(예를 들어 명사, 동사 그리고 그것들의 속성이나 옵션 등)으로 구분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DOM 트리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를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서, 문서의 물리적 구조와 문서가 접근되고 다루어지는 방법을 정의한다. 즉, DOM 트리는 구조적인 문서 내에 정의된 요소(element)들을 각각 하나의 객체(Object)로 모델링(modeling)하고 트리 구조의 논리적인 형태로 표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DOM API를 통해서 XML 문서의 요소와 속성에 접근, 추가, 이동, 및 삭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DOM 트리는 데이터의 논리적인 형태를 말하므로, 웹 가속기(30)는 생성된 DOM 트리를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도록 바이너리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렌더링 및 파싱과, 돔 트리 생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웹 가속기(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청신호 수신부(31), 데이터 수신부(33), 돔 트리 생성부(35), 판단부(37), 포맷 변환부(38) 및 전송부(39)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신호 수신부(31)는 풀 브라우저를 탑재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 기(10)로부터 웹 페이지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가 풀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의 URL을 입력하면, 요청신호 수신부(31)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그 웹 페이지의 URL을 요청신호로서 수신한다. 이때, 이와 같은 요청신호의 헤더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기종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인터넷(40)에 연결된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 서버들(50, 60, 7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이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체계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URL이 사용된다. URL은 웹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서버들에 속해있는 파일들의 위치를 명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속해야 될 서비스의 종류, 서버의 위치(도메인 네임), 파일의 위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URL의 체계(syntax)는 프로토콜://정보를 가진 컴퓨터 이름/디렉토리 이름/파일 네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이와 같은 URL 체계에 따른 위치에 있는 파일을 웹 페이지 데이터라고 명명한다.
데이터 수신부(33)는 요청신호 수신부(31)를 통해 수신한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서버(50, 60, 또는 70)에 접속하며, 접속된 웹 서버(50, 60, 또는 70)로부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웹 페이지 데이터에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또는 XHTML(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CSS(Cascading Style Sheet), 자바스크립트, 이미지, 플래시와 같은 동영상 등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돔 트리 생성부(35)는 데이터 수신부(33)에 의해 웹 서버(50, 60, 또는 70)로부터 수신된 웹 페이지 데이터를 렌더링 및/또는 파싱하고, 그에 따라 돔 트리를 생성한다. 이때, 판단부(37)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요청신호의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조회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기종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단하며, 돔 트리 생성부(35)는 판단부(37)에 의해 판단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기종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웹 페이지를 렌더링 및/또는 파싱하고, 그에 따른 돔 트리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기종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크기, 픽셀(pixel) 수, 메모리 저장용량 등이 다르며, 풀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HTML 또는 XML, CSS, 자바스크립트, 이미지 등의 배열 방식이 다른 것이 일반적인데, 생성부(35)는 판단부(37)에 의해 판단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기종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웹 페이지의 크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용량, HTML 또는 XML, CSS, 자바스크립트, 이미지 등의 배열방식 등을 조절하여 렌더링 및/또는 파싱하고, 그에 따른 돔 트리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포맷 변환부(38)는 돔 트리 생성부(35)에 의해 생성된 돔 트리를 바이너리 포맷으로 변환한다. 즉, 돔 트리 생성부(35)에 의해 생성된 돔 트리는 논리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포맷 변환부(38)는 이와 같은 논리적인 형태의 돔 트리를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풀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포맷으로 변환한다.
전송부(39)는 생성부(35)에 의해 생성된 돔 트리를 웹 서버(50, 60, 또는 70)로부터 수신한 웹 페이지 데이터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로 써,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전송부(39)로부터 수신한 웹 페이지 데이터에 대하여 렌더링 및/또는 파싱과 그에 따른 돔 트리를 생성할 필요 없이, 즉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웹 가속기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요청신호 수신부(31)는 풀 브라우저를 탑재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웹 페이지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한다(S101). 즉,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의 URL을 입력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는 웹 페이지 요청신호로서 웹 가속기(30)의 요청신호 수신부(31)로 전송된다. 이때, 이와 같은 요청신호의 헤더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기종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40)에 연결된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 서버들(50, 60, 7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이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체계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URL이 사용된다. URL은 웹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서버들에 속해있는 파일들의 위치를 명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속해야 될 서비스의 종류, 서버의 위치(도메인 네임), 파일의 위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URL의 체계(syntax)는 프로토콜://정보를 가진 컴퓨터 이름/디렉토리 이름/파일 네임으로 구성되며, URL 체계에 따른 웹 상에 존재하며, 페이지를 구성하는 파일을 웹 페이 지 데이터라고 한다.
판단부(37)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요청신호의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조회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기종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단한다(S103).
또한, 데이터 수신부(33)는 요청신호 수신부(31)를 통해 수신한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서버(50, 60, 또는 70)에 접속하며, 접속된 웹 서버(50, 60, 또는 70)로부터 요청신호 즉, URL의 체계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한다(S105). 이와 같은 웹 페이지 데이터에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또는 XHTML(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CSS(Cascading Style Sheet), 자바스크립트, 이미지, 플래시와 같은 동영상 등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돔 트리 생성부(35)는 데이터 수신부(33)에 의해 웹 서버(50, 60, 또는 70)로부터 수신된 웹 페이지 데이터를 렌더링 및/또는 파싱하고, 그에 따라 돔 트리를 생성한다(S107). 이때, 돔 트리 생성부(35)는 판단부(37)에 의해 판단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기종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웹 페이지를 렌더링 및/또는 파싱하고, 그에 따른 돔 트리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기종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크기, 픽셀(pixel) 수, 메모리 저장용량 등이 다르며, 풀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HTML 또는 XML, CSS, 자바스크립트, 이미지 등의 배열 방식이 다른 것이 일반적인데, 생성부(35)는 판단부(37)에 의해 판단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기종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웹 페이지의 크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용량, HTML 또는 XML, CSS, 자바스크립트, 이미지 등의 배열방식 등을 조절하여 렌더링 및/또는 파싱하고, 그에 따른 돔 트리를 생성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포맷 변환부(38)는 돔 트리 생성부(35)에 의해 생성된 돔 트리를 바이너리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08). 즉, 돔 트리 생성부(35)에 의해 생성된 돔 트리는 논리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포맷 변환부(38)는 이와 같은 논리적인 형태의 돔 트리를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풀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포맷으로 변환한다.
전송부(39)는 생성부(35)에 의해 생성된 돔 트리 또는 포맷 변환부(38)에 의해 물리적인 포맷으로 변환된 돔 트리를 웹 서버(50, 60, 또는 70)로부터 수신한 웹 페이지 데이터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S109).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웹 가속기(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웹 페이지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웹 서버(50, 60, 또는 70)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 및/또는 파싱과 돔 트리를 생성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가 직접 해석할 수 있는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웹 가속기(30)로부터 수신한 웹 페이지 데이터에 대하여 렌더링 및/또는 파싱과 그에 따른 돔 트리를 생성할 필요 없이, 즉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 및 그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페이지 로딩 속도를 높이 고, 웹 페이지에 대한 렌더링 및/또는 파싱 절차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렌더링 및/또는 파싱 절차에서 요구되는 메모리를 생략할 수 있게 되어 메모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웹 가속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동통신 단말기 20: 기지국
30: 웹 가속기 31: 요청신호 수신부
33: 데이터 수신부 35: 돔 트리 생성부
37: 판단부 39: 전송부
40: 인터넷 50, 60, 70: 웹 서버

Claims (9)

  1. 풀 브라우저를 탑재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웹 페이지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 및 풀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파싱(parsing)하여 돔 트리(DOM Tree)를 생성한 후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웹 가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2. 풀 브라우저를 탑재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웹 페이지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요청신호 수신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요청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며, 접속된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 및 상기 풀 브라우저의 종류에 대응하여 수신된 상기 웹 페이지를 파싱하고 돔 트리를 생성하는 돔 트리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돔 트리를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돔 트리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돔 트리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에 대응하는 바이너리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
  6.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에 있어서,
    풀 브라우저를 탑재하고 있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웹 페이지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며, 접속된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판단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 및 상기 풀 브라우저의 종류에 대응하여 파싱하고 돔 트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돔 트리를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돔 트리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돔 트리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풀 브라우저에 대응하는 바이너리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
KR1020090079356A 2009-08-26 2009-08-26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 및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 KR101050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356A KR101050174B1 (ko) 2009-08-26 2009-08-26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 및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356A KR101050174B1 (ko) 2009-08-26 2009-08-26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 및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515A KR20110021515A (ko) 2011-03-04
KR101050174B1 true KR101050174B1 (ko) 2011-07-19

Family

ID=4393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356A KR101050174B1 (ko) 2009-08-26 2009-08-26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 및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1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023A (ko) * 2006-11-30 2008-09-1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웹 페이지 분할을 이용한 모바일 인터넷 기반의 웹 콘텐츠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KR20090064486A (ko) * 2007-12-06 2009-06-19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인터넷 웹페이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023A (ko) * 2006-11-30 2008-09-1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웹 페이지 분할을 이용한 모바일 인터넷 기반의 웹 콘텐츠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KR20090064486A (ko) * 2007-12-06 2009-06-19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인터넷 웹페이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515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1651B2 (en) Dynamic content delivery to network-enabled static display device
US8156418B2 (en) Image acquisition from dynamic content for delivery to network-enabled static display devices
US8403222B2 (en) Method of enabling the downloading of content
JP2004318842A (ja) Webページ生成装置、組み込み装置、Webページ生成の制御方法、Webページ生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967337B1 (ko) 프록시 서버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 시스템
JP200210887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453743B1 (ko) 웹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사전 캐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 장치
KR100456022B1 (ko) 비피씨 정보단말을 위한 엑스엠엘 기반 웹 페이지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957842A (zh) 一种基于WebKit浏览器的网页缓存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0749845B1 (ko) 모바일 액티브 페이지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 및 그의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US8140575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information processing
JP2015052821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3401926A (zh) 一种提高网络资源访问速度的方法及装置
US2001005649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instant information service for various devices
JP2009289206A (ja) ユニフォームリソースロケータ情報を書き換えるプログラム
JP2005517255A (ja) 端末の多様性をうまく処理するためのスタイルシートのアップロード
US8949375B2 (en) Data processing of media file types supported by client devices
CN103312736B (zh) 网页处理方法和系统、及代理服务器
KR20140133125A (ko) 클라이언트에서 서버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브라우즈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90064486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인터넷 웹페이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8123234A (ja) 翻訳サーバ装置、翻訳システム、翻訳方法、翻訳プログラム
JP4308448B2 (ja) 出力装置に応じたコンテンツの生成
KR101050174B1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웹 가속기, 및 무선 네트워크 지원방법
KR100827752B1 (ko) 무선광역통신망 환경하에서 모바일 웹 게이트웨이서버를통한 웹 브라우징 성능 개선시스템
JP5245629B2 (ja) 中継装置、通信中継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中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