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977B1 - Rack constructionfor distribution warehouse - Google Patents

Rack constructionfor distribution ware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977B1
KR101049977B1 KR1020110018699A KR20110018699A KR101049977B1 KR 101049977 B1 KR101049977 B1 KR 101049977B1 KR 1020110018699 A KR1020110018699 A KR 1020110018699A KR 20110018699 A KR20110018699 A KR 20110018699A KR 101049977 B1 KR101049977 B1 KR 101049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arehouse
rack structure
storage space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6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110018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9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977B1/en
Priority to PCT/KR2012/001448 priority patent/WO2012118307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23Arrangements of article supporting rollers on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rack structure for a warehouse is provided to increase the number of facilities in the warehouse by partitioning a receiving space into at least three spaces. CONSTITUTION: A rack structure for a warehouse comprises a freight sliding rail(20), a plurality of first guide rails(30), a back support(40), a wire(50), a plurality of second guide rails, a wire pulling member, and a returning spring. The freight sliding rail is fixed to a width support and exten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guide rails is respectively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freight sliding rail. When drawing out goods from a receiving space, the back support moves a palette, in which the goods are loaded thereon, to the front. One end of the wire is fixed to the lower front part of the back support. The other one end of the wire is installed side to side of the back suppo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The wire pulling member makes the back support move back and forth in order to return the wire to its original position.

Description

물류창고용 랙구조물{RACK CONSTRUCTIONFOR DISTRIBUTION WAREHOUSE}Rack Structure for Logistics Warehouse {RACK CONSTRUCTIONFOR DISTRIBUTION WAREHOUSE}

본 발명은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랙구조물 전방에서 상품을 입, 출고할 수 있는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that can receive goods in, out of the rack structure.

다량의 상품이 이동 및 보관되는 물류 과정에서 상품이 쌓여진 파렛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마다 수납공간이 마련 되어진 파렛트 적재용 랙(rack)을 사용하게 되며, 이는 크게 고정식과 전동식으로 구분되어지는데 본 고안은 고정식 파렛트 적재용 랙(이하, 랙)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store pallets in which goods are stacked more efficiently in a logistics process in which a large amount of goods are moved and stored, pallet racks are used, which consist of multiple layers and storage spaces are provided for each floor. It is divided into fixed and electric, bu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pallet loading rack (hereinafter, rack).

상품이 쌓여진 파렛트를 랙에 적재하기 위해서는 포크리프트로 파렛트를 들어올려 랙의 수납공간에 밀어 넣게 되는데, 포크리프트의 포크 길이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일정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 고정식 랙의 경우 랙 측면에서 파렛트 입, 출고 작업을 진행하였다.In order to load the stacked pallets into the rack, lift the pallet with a forklift and push it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rack. In addition, we proceeded to release the goods.

한편, 랙 측면에서 파렛트를 입, 출고할 경우 파렛트를 들어올린 포크리프트가 랙 측면 즉 길이 방향을 따라 매번 이동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량이 늘어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entering and leaving the pallet on the rack side, the forklift lifting the pallet has to move every time along the side of the rack, that is, the length of the worker's work load increases and takes a lot of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e workability.

그리고 반드시 랙 측면에 포크리프트가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만 했으므로 보관하고자 하는 상품의 양이 많아 다수의 랙을 설치할 경우 포크리프트 이동 공간이 물류 보관 공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어 물류 보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And because the forklift moved to the side of the rack must have a space to work, there is a lot of goods to be stored, so if you install a large number of racks forklift moving space occupie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logistics storage spa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pace could not be utilized efficientl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랙의 전방에서 상품의 입, 출고가 가능한 푸쉬백 랙(PUSH BACK RACK)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ush back rack (PUSH BACK RACK) has been developed and used in recent years that allows the entry and exit of goods from the front of the rack.

푸쉬백 랙은 랙의 전방에서 상품을 입, 출고하기 위하여 랙의 전방은 낮고 후방을 높게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구성하여 처음 상품의 인출 후 다음의 상품이 중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와 랙의 수납공간 전방에 위치되도록 한다.The pushback rack is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the front of the rack low and the rear high for entering and exiting goods from the front of the rack.After the first product is taken out, the next product is pushed forward by gravity to store the rack. Position it in front of the space.

이러한 종래의 푸쉬백 랙은 랙이 소정의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상품이 전방으로 밀려나올 때 수납공간으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물류창고 내에 랙을 시공시 3단 이상의 다층으로 설비할 수 없어 물류창고 내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문제는 여전하였다.Such a conventional pushback rack has a problem that the rack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space when the product is pushed forward because the rack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here was still a problem that the space in the warehouse could not be fully utilized.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몸체의 수납공간 내에서 상품이 이탈되어 낙하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수납공간을 구획할 수 있으며, 물류창고 내에 시공시 설비 개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물류창고의 공간 활용 및 적재 효율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accident falling by dropping the goods in the storage space of the body, it is possible to partition the storage space in three or more stages,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number of equipment during construction in the warehouse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and loading efficiency of the warehous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은 지지부재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포스트가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들에 수평 방향으로 가로 받침이 결합되어 각 층마다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진 몸체를 구비하는 물류창고용 랙구조물로서, 상기 몸체의 각 수납공간내의 좌, 우에 배치되게 상기 가로 받침 상에 복수로 고정 설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 상기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레일; 상기 몸체의 각 수납공간내의 후방에 배치되고 저면에 캐스트가 구비되어 상기 캐스트가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타고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내의 상품을 인출시 상기 상품이 적재된 파렛트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후방지지대; 일단이 상기 후방지지대의 전방측 하부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로 받침의 상, 하측 둘레를 경유하여 상기 후방지지대의 후방측 하부에 고정되게 상기 후방지지대의 하부 좌, 우측에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가로 받침의 하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레일; 상면 전, 후방에 복수의 캐스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레일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캐스트가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을 타고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후방측으로 전진시 상기 와이어를 물고 이동하여 상기 와이어를 당겨서 상기 후방지지대를 전진시킨 후 상기 와이어의 물림이 해제된 상태로 최초 위치로 복귀되는 와이어 당김부재; 일단이 상기 가로 받침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와이어 당김부재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 당김부재가 전진된 후 수축되면서 상기 와이어 당김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한다.Warehouse structure for a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installed a plurality of posts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support member, the horizontal support is coupled to the posts in a horizontal direction A rack structure for a warehouse having a warehouse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or each floor, the plurality of which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horizontal support so as to be dispos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storage space of the body and are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rgo sliding rails; A plurality of first guide rail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rgo sliding rail; The caster is disposed at the rear of each storage space of the body and has a cast on the bottom thereof so that the cast is slid backwards and forwards on the first guide rail, so that when the product is withdrawn from the storage space, the pallet is loaded. Rear support for transporting forward; The lower left side of the rear support such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lower front side of the rear support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ower rear side of the rear support via the upper and lower circumferences of the horizontal suppo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orage space. A wire installed on the right side; A plurality of second guide rails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support; A plurality of casts are install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upper surface, and are disposed below the second guide rail so that the plurality of casts slide forward and backward on the second guide rail and move forward to the rear side of the storage space. A wire pulling member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with the bite of the wire released after the wire is moved forward by pulling the wire to advance the rear support; One end is fixed to any one of the transverse support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wire pulling member and the return spring for returning the wire pulling member while being contracted after the wire pulling member is advanced.

상기 와이어 당김부재가 전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면 전, 후방에 복수의 상기 캐스트가 설치되어 상기 캐스트에 의해 전, 후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의 전방 좌, 우측에 연결되고 일측이 힌지연결된 복수의 몸체로 구성되어 하부 몸체가 상, 하로 회동되면서 상기 이동몸체가 전진시 상기 와이어를 물고 상기 이동몸체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이동몸체의 복귀시 물려있는 와이어로부터 상기 하부 몸체가 이격되는 와이어 물림장치,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되 탄성적으로 눌림 및 복귀되게 설치되고 전면 양측이 상기 이동몸체 좌, 우측에 위치한 상기 와이어 물림장치 각각의 하부에 연결되어 눌림시 상기 와이어 물림장치의 하부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복귀시 상기 와이어 물림장치 하부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탄발장치, 일단이 상기 탄발장치의 좌측 또는 우측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와이어 물림장치의 하부 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탄발장치의 눌림시 인장되면서 상기 하부 몸체를 당겨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며 상기 탄발장치의 복귀시 인장력이 해제되어 상기 하부 몸체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당김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물림장치의 두 몸체 사이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wire pulling member has a front opening is open to have a receiving space inward and a plurality of the cast is installed before and after the upper surface, the movable body is installed to slide back and forth by the cast, the front left and right of the movable body The lower body is pivoted up and down as one side is hinged and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lower body is moved up and down with the moving body bites the wire when moving forward, the lower body from the bite wire when returning the moving body The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wire bit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in the receiving space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pressed and returned,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wire biting devic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moving body When connected and pressed, the lower part of the wire gripping device rotates to the upper side and returns A carburetor for cau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gripping device to be rotated downward, one end is fix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arbureto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ower body of the wire gripping device is tensioned when the carbon device is pressed It includes a pull spring to pull the body to be rotated to the upper side and to release the tension force upon the return of the bullet device to rotate the lower body to the lower side, the wire can be installed to penetrate between the two bodies of the wire gripping device have.

상기 탄발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눌림판, 상기 눌림판의 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을 관통하여 상기 눌림판을 상기 이동몸체와 연결하기 위한 돌출스크류, 상기 돌출스크류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눌림판을 누르는 외부 힘이 해제될 때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 상기 돌출스크류에 끼움되어 상기 눌림판과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 사이에 탄성지지되고 상기 눌림판을 누르는 외부 힘이 해제되면 상기 눌림판을 즉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ot device is a pressing plate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a protruding screw for projecting from one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and penetra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to connect the pressing plate with the moving body, the protruding screw A nut which is fastened to an end of the nut to prevent the external force from pressing the pressing plate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receiving space, and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screw so a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and pressed. It may include an elastic spring for immediately returning the pressing plate when the external force for pressing the plate is released.

상기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은 상면이 개방되거나 막힌 직육면체의 바(bar) 형태로 구성되거나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되며, 상면이 막힌 직육면체의 바 형태로 구성될 경우 상품을 적재하는 파렛트는 저면에 상기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의 측면에 대응되는 이탈방지판을 설치하고 상기 이탈방지판의 일측에 캐스트가 설치되게 제작될 수 있다.The cargo sliding rail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ar (bar)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the top surface is opened or is composed of a conveyor belt, pallets for loading goods whe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r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blocked the cargo on the bottom The release prevent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rail may be installed and the cast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lease preventing plate.

상기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은 상기 수납공간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 내의 상품을 적재한 파렛트가 상기 몸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의 전방측으로 밀려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space is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the pallet loaded with goods in the storage space to be pushed down to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space by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body.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안전장치가 상기 수납공간의 전방측에 배치되게 상기 가로받침 상에 고정되고 수평부 및 수직부를 갖는 설치 프레임, 상기 설치 프레임의 수평부 내에서 전, 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롤러, 상기 설치 프레임의 수직부 내에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와이어 당김부재의 상기 눌림판에 지지되어 상기 눌림판이 눌려서 전진 및 복귀되는 동작에 의해 승, 하강되며 승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롤러가 밀착되면 상기 회전 롤러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 installation frame fixed on the horizontal support such that the safety device is disposed at the front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 horizontal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a rotary roller installed to be moved back and forth withi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the installation It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portion of the frame to be raised and lowered, the lower end is supported by the pressing plate of the wire pulling member, the pressing plate is raised and lowered by an operation of moving forward and returning, and the lifting roll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ng roller. And a brake member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rotating roller.

본 발명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에 의하면, 수평의 상태에서도 몸체의 수납공간 내에서 상품의 입출고가 가능하여 상품이 몸체의 수납공간 내에서 이탈되어 낙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수납공간을 구획할 수 있고, 천정의 높이가 높은 물류창고에서는 천정에도 랙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하여 랙구조물의 설비 개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물류창고의 공간 활용 및 적재 효율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horizontal state, it is possible to enter and exit the goods in the storage space of the body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product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space of the body falls, three or more stages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storage space, and in the warehouse with high ceiling height,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rack structure on the ceiling, which can increase the number of rack structures, and greatly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and loading efficiency of the warehouse. It can be effective.

또한 대형 냉동 창고 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해 수납공간의 내측의 파렛트에 적재된 상품이 외부로 이탈 및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a large refrigerated warehous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goods loaded on the pallet inside the storage space to be separated and dropped by the external impact to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후방지지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와이어 당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와이어 물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에 상품을 적재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렛트의 구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에 파렛트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와이어 당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3 is a side view of FIG. 1;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rear support of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pulling member of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biting device of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allet used to load the goods in the warehouse rac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llet is seated on the rail for the cargo sliding rail of the warehouse rac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device of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 pulling member of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8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물류창고용랙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warehouse ra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후방지지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와이어 당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와이어 물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ck structure for a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rear support of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ire pulling member of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biting device of a rack structure for a distribution warehou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몸체(10),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0), 제1 가이드레일(30), 후방지지대(40), 와이어(50), 제2 가이드레일(120), 와이어 당김부재(100), 복귀스프링(110)을 포함한다.Warehouse ra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10, cargo sliding rail 20, the first guide rail 30, the rear support 40, the wire (as shown in Figure 1 to 3) 50), the second guide rail 120, the wire pulling member 100, and the return spring (110).

몸체(10)는 지지부재(11)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포스트(12)가 설치되고, 그 포스트(12)들에 수평 방향으로 가로 받침(13)이 결합되어 각 층마다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수납공간(14)이 형성되어 있다.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sts 12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support member 11, the horizontal base 13 is coupled to the posts 1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each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orage space 14 is formed to be continuous.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0)은 몸체(10)의 각 수납공간(14) 내의 좌, 우측에 배치되게 가로 받침(13) 상에 복수로 고정 설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며, 단면 형상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의 양측 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된 안착홈(21)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홈(21)에는 다수의 롤러(22)의 회전축(22a)이 안착되어 다수의 롤러(22)가 구비되어 있다.The cargo sliding rails 20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horizontal support 13 so as to be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orage spaces 14 of the body 10 and are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21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upper part, and the rotating shafts 22a of the plurality of rollers 22 ar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s 21, thereby providing a plurality of rollers ( 22).

이러한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0)에는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가 안착되고, 파렛트(P)는 롤러(22)에 의해 몸체(10)의 수납공간(14) 내에서 전, 후로 이동될 수 있다.The pallet P on which the goods C are loaded is seated on the cargo sliding rail 20, and the pallet P is moved back and forth in the storage space 14 of the body 10 by the roller 22. Can be moved.

제1 가이드레일(30)은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0)의 일측에 각각 위치되게 가로 받침(13) 상에 복수로 설치되어 있으며, 후술할 후방지지대(40)의 이동을 위해 설치된다.A plurality of first guide rails 30 are installed on the horizontal support 13 so as to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cargo sliding rail 20, respectively, and are provided for the movement of the rear support 40 to be described later.

후방지지대(40)는 도 4와 같이 바닥판(41), 몸체(10)의 수납공간(14) 내에 적재되는 파렛트(P) 및 상품(C)을 지지하기 위하여 바닥판(41)상에 고정되어 전방에 위치하는 종, 횡으로 연결된 다수의 전면프레임(42), 전면프레임(42)의 후방에서 전면프레임(42)을 지지하는 다수의 후방프레임(43)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rear support 40 is fixed on the bottom plate 41 to support the pallet (P) and the goods (C) loaded in the bottom plate 41, the storage space 14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ont frame 42 in the longitudinal, horizontally located in the front, the rear frame 43 for supporting the front frame 42 in the rear of the front frame 42.

그리고 후방지지대(40)는 몸체(10)의 각 수납공간(14)내의 후방에 배치되고 바닥판(41)의 저면에 캐스트(44)가 구비되어 캐스트(44)가 제1 가이드레일(30)을 타고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수납공간(14)내의 상품(C)을 인출시 파렛트(P)를 전방으로 이송시킨다.And the rear support 40 is disposed in the rear of each receiving space 14 of the body 10 and the cast 44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41 so that the cast 44 is the first guide rail 30 It is installed to slide backwards before riding, and transports the pallet (P) to the front when the goods (C) in the storage space (14) withdraw.

와이어(50)는 일단이 후방지지대(40)의 전방측 하부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로 받침(13)의 상, 하측 둘레를 경유하여 후방지지대(40)의 후방측 하부에 고정되며, 후방지지대(40)의 하부 좌,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One end of the wire 5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rear support 40,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50 is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circumferences of the horizontal support 1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orage space 14. It is fixed to the lower rear side of the, and is dispos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of the rear support 40.

제2 가이드레일(120)은 가로 받침(13)의 하측에 설치되어 후술할 와이어 당김부재(100)의 전, 후 이동을 가이드한다.The second guide rail 12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support 13 to guide the movement before and after the wire pulling member 100 to be described later.

와이어 당김부재(100)는 상면 전, 후방에 복수의 캐스트(62)가 설치되고, 제2 가이드레일(120) 하측에 배치되어 복수의 캐스트(62)가 제2 가이드레일(120)을 타고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수납공간(14)의 후방측으로 전진시 와이어(50)를 물고 이동하여 와이어(50)를 당겨서 후방지지대(40)를 전진시킨 후 와이어(50)의 물림이 해제된 상태로 최초 위치로 복귀되는 작용을 한다.The wire pulling member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sts 62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surface, and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guide rail 120 so that the plurality of casts 62 ride on the second guide rail 120. , Is installed to be slid to the rear, when moving forward to the rear side of the storage space 14, the wire 50 is moved to pull the wire 50 to advance the rear support 40 and then the bite of the wire 50 is released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이러한 와이어 당김부재(100)는 도 5와 같이 이동몸체(60), 와이어 물림장치(80), 탄발장치(70), 당김스프링(90)을 포함한다.The wire pulling member 100 includes a moving body 60, a wire biting device 80, a carburetor 70, a pulling spring 90 as shown in FIG.

이동몸체(60)는 전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수용공간(63)을 가지며 상면 전, 후방에 복수의 캐스트(62)가 설치되어 캐스트(62)에 의해 제2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전, 후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된다.The movable body 60 has a front surface opened to have an accommodation space 63 inwardly, and a plurality of casts 62 are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body, along the second guide rail 120 by the cast 62. It is installed to slide later.

와이어 물림장치(80)는 이동몸체(60)의 전방 좌, 우측에 연결되고 일측이 힌지연결된 복수의 몸체(81, 82) 즉, 도 6과 같이 상부 몸체(81) 및 하부 몸체(82)로 구성된다. 상부 몸체(81)는 이동몸체(60)의 상판(60a)의 저면 좌, 우측에 고정되고 하부 몸체(82)는 후방이 상부 몸체(81) 후방에 힌지 연결되어 상, 하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부 몸체(81) 및 하부 몸체(82)는 와이어(50)를 견고하게 물을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이빨(81a, 82a)이 형성되어 있다.The wire biting device 80 is connected to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ing body 60 and one side hinged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odies 81 and 82, that is, the upper body 81 and the lower body 82 as shown in FIG. 6. It is composed. The upper body 81 is fixed to the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upper plate 60a of the moving body 60, the lower body 82 is hinged to the rear of the upper body 81 is rotated up and down. In addition, the upper body 81 and the lower body 82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eeth (81a, 82a) on the surface so that the wire 50 can be firmly watered.

여기서, 상술한 와이어(50)는 가로 받침(13)의 상, 하부를 경유할 때 상부 몸체(81)와 하부 몸체(82) 사이를 관통하여 경유한다.Here, the wire 50 described above passes through the upper body 81 and the lower body 82 when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support 13.

이러한 와이어 물림장치(80)는 하부 몸체(82)가 상, 하로 회동되면서 이동몸체(60)가 전진시 와이어(50)를 물고 이동몸체(60)와 함께 이동하며, 이동몸체(60)의 복귀시 물려있는 와이어(50)로부터 하부 몸체(82)가 이격된다.The wire biting device 80 is the lower body 82 is rotated up and down, while the moving body 60 moves along with the moving body 60 to bite the wire 50 when moving forward, the return of the moving body 60 The lower body 82 is spaced apart from the wire 50 which is bite.

탄발장치(70)는 도 2와 같이 이동몸체(60)의 수용공간(63) 내에 수용공간(63)의 내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되 탄성적으로 눌림 및 복귀되게 설치되고, 전면 양측이 상기 이동몸체(60) 좌, 우측에 위치한 와이어 물림장치(80) 각각의 하부에 연결되어 눌림시 와이어 물림장치(80)의 하부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복귀시 와이어 물림장치(80) 하부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탄발장치(70)는 눌림판(71), 돌출스크류(72), 너트(74), 탄성스프링(73)으로 구성된다.The ballistic device 7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63 in the receiving space 63 of the mobile body 60, as shown in Figure 2 is elastically pressed and returned, the front both sides of the mobile body (60)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wire biting device (80)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biting device (80) is rotated to the upper side when pressed, and the bottom of the wire bite device (80) is rotated to the lower side upon return do. The shot device 70 is composed of a pressing plate 71, a protruding screw 72, a nut 74, an elastic spring (73).

눌림판(71)은 이동몸체(60)의 수용공간(63)의 내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포크리프트의 포크(F)가 미는 힘에 의해 수용공간(63)의 내측으로 눌리도록 설치된다.The pressing plate 71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63 of the moving body 60, and is installed to be pressed into the receiving space 63 by the force of the fork F of the forklift.

돌출스크류(72)는 눌림판(71)의 일면에 다수 돌출되고 수용공간(63)의 내면을 관통하여 눌림판(71)을 이동몸체(60)와 연결한다. 여기서, 수용공간(63)의 내면에는 돌출스크류(72)가 삽입되는 삽입구멍(61)이 형성된다.Protruding screw 72 is a plurality of protruding on one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71 and penetrates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63 to connect the pressing plate 71 with the moving body 60. Here, an insertion hole 61 into which the protruding screw 72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63.

너트(74)는 돌출스크류(72)가 수용공간(63)의 삽입구멍(61)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부에 체결되어 눌림판(71)을 누르는 외부 힘이 해제될 때 수용공간(63)으로부터 눌림판(7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nut 74 is fastened to the end in the state where the protruding screw 7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61 of the accommodation space 63, and the nut 74 is releas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63 when the external force for pressing the pressing plate 71 is released. The pressing plate 71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탄성스프링(73)은 돌출스크류(72)에 끼움되어 눌림판(71)과 수용공간(63)의 내면 사이에 탄성지지되고 눌림판(71)을 누르는 외부 힘이 해제되면 상기 눌림판(71)을 즉시 복귀시킨다.The elastic spring 73 is fitted to the protruding screw 72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7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63, and the pressing plate 71 is released when the external force for pressing the pressing plate 71 is released. Return immediately.

당김스프링(90)은 탄발장치(70)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게 복수로 구비되고, 일단이 탄발장치(7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와이어 물림장치(80)의 하부 몸체(82)에 고정된다. 이러한 당김스프링(90)은 탄발장치(70)의 눌림시 인장되면서 와이어 물림장치(80)의 하부 몸체(82)를 당겨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며 탄발장치(70)의 복귀시 인장력이 해제되어 와이어 물림장치(80)의 하부 몸체(82)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한다.Pull spring 9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to b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arburetor 70, one end is fix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arburetor 70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body of the wire gripping device (80) 82). The pulling spring 90 is tensioned when the ballistic device 70 is pressed and pulled the lower body 82 of the wire biting device 80 to be rotated upward. The lower body 82 of the device 80 is pivoted downwar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부각되도록 상품의 수납 및 인출과정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storage and withdrawal process of goods to further highlight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warehouse ra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를 포크리프트(미도시)의 포크(F)로 들어올려 몸체(10)의 전방으로 이동하고, 파렛트(P) 및 상품(C)을 몸체(10)의 전방에서 수납공간(14) 내측으로 삽입하여 파렛트(P)를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0)상에 안착시킨다.First, the pallet P on which the goods C are loaded is lifted by the fork F of the forklift (not shown) to move forward of the body 10, and the pallet P and the goods C are moved to the body ( The pallet P is seated on the cargo sliding rail 20 by inserting it into the storage space 14 in front of 10).

그리고 또 다른 하나의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를 포크리프트의 포크(F)로 들어올려 몸체(10)의 전방으로 이동하고, 그 파렛트(P)를 몸체(10)의 수납공간(14)으로 삽입하되, 도 7과 같이 몸체(10)의 수납공간(14)에 먼저 수납되어 있는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를 후방으로 밀어내면서 또 다른 하나의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를 수납공간(14)에 수납한다.Then, the pallet P loaded with another product C is lifted by the fork F of the forklift to move forward of the body 10, and the pallet P is mov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body 10. Inserted into the (14), while pushing the pallet (P) loaded with the product (C), which is first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4 of the body 10 to the rear as another product (C) The stacked pallet P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4.

이때, 먼저 수납되어 후방으로 밀려나는 파렛트(P) 및 상품(C)은 파렛트(P)가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0)에 설치된 롤러(22)에 의해 수납공간(14) 내측의 후방으로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pallet P and the goods C, which are accommodated and pushed backward, are moved to the rear of the storage space 14 by the roller 22 installed on the pallet 20 for the pallet sliding. .

이러한 과정 즉, 수납공간(14) 내에 먼저 수납되어 있는 파렛트(P) 및 상품(C)들을 계속하여 수납공간(14) 내의 후방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면서 상품(C)을 수납하여 보관한다.In this process, the pallet (P) and the goods (C) first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4 is stored in the storage (C) while continuing to push to the rear side in the storage space (14).

한편, 수납공간(14) 내에서 수납된 상품(C)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포크리프트의 포크(F)로 수납공간(14) 내에 수납된 상품(C)을 적재한 파렛트(P) 중 가장 처음에 위치한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를 들어올려 수납공간(14)에서 인출하여 이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withdraw the goods (C)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4, the first pallet among the pallet (P) that loaded the goods (C)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4 with a fork (F) of the forklift. Pallets (P) loaded with goods (C) located in the lifted up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14 to move.

그리고, 다음의 상품(C)을 수납공간(14)에서 인출하기 위해서는 그 상품(C)을 수납공간(14)의 최전방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바, 이때 포크리프트의 포크(F)를 수납공간(14)의 하측 즉, 가로 받침(13)의 하측으로 삽입한다.In order to withdraw the next product C from the storage space 14, the product C must be moved to the front of the storage space 14. At this time, the fork F of the forklift is moved to the storage space 14. ) Is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support (13).

포크리프트의 포크(F)를 가로 받침(13)의 하측으로 삽입하면서 포크리프트를 전진 운행하면 포크(F)가 와이어 당김부재(100)의 이동몸체(60) 전방에 위치하는 탄발장치(70)의 눌림판(71)을 누르게 된다.When the forklift moves forward while inserting the fork (F) of the forklift to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support 13, the fork (F) is a bullet device 70 is located in front of the moving body 60 of the wire pulling member 100 The pressing plate 71 is pressed.

이때, 도 8과 같이 눌림판(71)이 포크(F)의 누르는 힘에 의해 전진되어 눌림판(71)과 이동몸체(60)의 수용공간(63)의 내면 사이에 위치한 탄성스프링(73)이 수축되고, 전진되는 눌림판(71)이 와이어 물림장치(80)에 연결된 당김스프링(90)이 당겨져서 와이어 물림장치(80)의 하부 몸체(82)는 상측으로 회동된다. 이에 의해 와이어 물림장치(80)를 관통하여 지나는 와이어(50)가 와이어 물림장치(80)의 상부 몸체(81)와 하부 몸체(82) 사이에 물리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8 the pressing plate 71 is advanc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fork (F) elastic spring 73 locat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7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63 of the moving body 60. The contracting spring 71, which is contracted and advanced, is connected to the wire biting device 80, and the pulling spring 90 is pulled so that the lower body 82 of the wire biting device 80 is rotated upward. As a result, the wire 50 passing through the wire biting device 80 is pinched between the upper body 81 and the lower body 82 of the wire biting device 80.

이와 같이 와이어 물림장치(80)가 와이어(50)를 물은 상태에서 계속하여 전진 운행되는 포크리프트의 포크(F)가 미는 힘에 의해 이동몸체(60)에 구비된 캐스트(62)가 제2 가이드레일(120)을 타고 이동하여 이동몸체(60)가 전진된다.As such, the cast 62 provided on the moving body 60 is pushed by the force of the fork F of the forklift that is continuously moving forward while the wire biting device 80 bites the wire 50. The moving body 60 is advanced by moving on the guide rail 120.

도 9와 같이 이동몸체(60)가 전진하면 와이어 물림장치(80)가 와이어(50)를 물고 있으므로 와이어(50)가 이동몸체(60)에 의해 전방으로 당겨지며, 이에 의해 와이어(50)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후방지지대(40)가 수납공간(14)의 전방측으로 전진되며, 후방지지대(40)의 전방에 위치한 상품(C) 및 파렛트(P)들이 수납공간(14)의 전방으로 이동된다.As the moving body 60 moves forward as shown in FIG. 9, since the wire biting device 80 bites the wire 50, the wire 50 is pulled forward by the moving body 60, whereby the wire 50 of the wire 50 is moved. The rear support 40, which is fixed at both ends, is advanced to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space 14, and the goods C and the pallets P located in front of the rear support 40 are moved to the front of the storage space 14. do.

또한 와이어 당김부재(100)가 전진되면 가로 받침(13)과 이동몸체(60)에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복귀스프링(110)이 이동몸체(60)를 따라 인장된다.In addition, when the wire pulling member 100 is advanced, the return spring 110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horizontal support 13 and the moving body 60 is tensioned along the moving body 60.

이와 같이 상품(C) 및 파렛트(P)가 수납공간(14)의 전방으로 이동된 후 포크리프트가 후진되어 와이어 당김부재(100)의 탄발장치(70)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면 탄발장치(70)의 눌림판(71)이 탄성스프링(73)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되고, 인장된 당김스프링(90)은 최초와 같이 수축되어 상측으로 회동된 와이어 물림장치(80)의 하부 몸체(82)가 하측으로 회동된다. 이에 의해 와이어 물림장치(80)가 와이어(50)로부터 이격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goods C and the pallet P are moved to the front of the storage space 14, the forklift is reversed to release the force applied to the carburizing device 70 of the wire pulling member 100. The pressing plate 71 of the 7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spring 73, the tensioned pull spring 90 is contracted as the first time, the lower body 82 of the wire biting device 80 rotated upwards ) Is rotated downward. As a result, the wire catcher 80 is spaced apart from the wire 50.

이와 동시에 인장된 복귀스프링(110)이 수축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었던 이동몸체(60)가 최초 위치로 복귀되며, 이때 와이어 물림장치(80)가 와이어(5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와이어(50)는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와이어 당김부재(100)만이 최초 위치로 복귀된다.At the same time, as the tensioned return spring 110 is contracted, the moving body 60, which has been moved forward,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At this time, since the wire biting device 80 is spaced apart from the wire 50, the wire 50 is pulled. The state is maintained and only the wire pulling member 10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전방에 위치한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의 인출 후 다음의 상품(C)을 수납공간(14)의 최전방으로 이동시켜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를 인출하며, 다시 다음의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수납공간(14) 내에 수납된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 전체를 인출하게 된다.After the withdrawal of the pallet (P) loaded with the goods (C) located in the foremost through this process, the next product (C) is moved to the forefront of the storage space 14 to move the pallet (P) loaded with goods (C). In order to withdraw the pallet P loaded with the next product C aga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repeated and the entire pallet P loaded with the product C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4 is withdrawn. do.

이러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은 몸체의 전면부에서 입출고하기 위하여 몸체를 전방으로 기울여서 중력을 이용하여 상품을 출고하였던 종래와 달리 수평의 상태에서도 몸체(10)의 수납공간(14) 내에서 상품(C)의 입출고가 가능하여 상품(C)이 몸체(10)의 수납공간(14) 내에서 이탈되어 낙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rage space of the body 10 even in a horizontal state unlike in the prior art in which the goods were released by using the gravity by tilting the body forward to enter and exit from the front of the bod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goods (C) can be in and out of the (14), so that the goods (C)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space 14 of the body 10 to fall.

또한 수평의 상태에서도 몸체(10)의 수납공간(14) 내에서 상품(C)의 입출고가 가능하여 상품의 낙하 위험이 없으므로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수납공간(14)을 구획할 수 있고, 천정의 높이가 높은 물류창고에서는 천정에도 랙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하여 랙구조물의 설비 개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물류창고의 공간 활용 및 적재 효율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n a horizontal state, it is possible to enter and exit the goods (C) in the storage space 14 of the body 10, there is no risk of falling of the goods, so that the storage space 14 can be divided into three or more tiers, In the high warehous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rack structure even on the ceiling,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equipment of the rack structur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space utilization and loading efficiency of the warehou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10 to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에 상품을 적재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렛트의 구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에 파렛트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rehouse rac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tructure of a pallet used to load goods in the warehouse rac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igure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llet is seated on the rail for sliding cargo of the warehouse rac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2)은 도 10과 같이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0)이 상면이 막힌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1)과 동일하다.The warehouse rack structur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rail 20 for cargo sliding is provided in a clogged top surface as shown in FIG. 10. Same as the rack structure (1).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2)은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20)의 상면이 막힌 형태로 구비되므로 주로 대형의 냉동 창고 내에 설비되면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20)의 상면에 성애가 끼는 것이 어느 정도 방지된다.The rack structure 2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clogged for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sliding rail 22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sliding rail 220 is mainly provided in a large refrigerated warehouse. Sexual intercourse is prevented to some extent.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2)에 상품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냉동 창고 내의 낮은 온도에 따라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20)의 표면에 마찰력이 증가됨에 따라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20) 상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특수 제작된 파렛트를 사용하여야 하는바, 도 11과 같이 저면 사방에 이탈방지판(P'-b)을 설치하고, 이탈방지판(P'-b)의 일측에 캐스터(P'-a)가 설치된 파렛트(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파렛트(P')는 도 12와 같이 이탈방지판(P'-b)에 의해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20) 상에 용이하게 안착되고,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20) 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용이하게 슬라이딩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load the goods in the warehouse rack structur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rictional force is increased on the surface of the cargo sliding rail 220 according to the low temperature in the freezer warehouse rail for sliding cargo A specially manufactured pallet should be used so as to be easily slidable on the 220,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P'-b is installed on all sides of the bottom as shown in FIG. 11,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P'-b It is preferable to use a pallet (P ') having a caster (P'-a) is installed on one side, such a pallet (P') is a rail for cargo sliding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P'-b) as shown in FIG. Easily seated on the 220, it is possible to easily slide without being separated on the rail 220 for cargo sliding.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2)은 대형의 냉동 창고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냉동 창고 내에서도 용이하게 상품을 적재하여 상품의 수납 및 인출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rack structure 2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large freezing warehouse, it is possible to freely store and withdraw the goods by easily loading the goods in the freezing warehou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3 with respect to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from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3)은 도 13과 같이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320)이 넓은 접촉 면적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1)과 동일하다.Warehouse rack structure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cargo sliding rail 320 is composed of a conveyor belt having a wide contact area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e rack structure (1) for logistics warehouse.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3)은 넓은 접촉 면적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므로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320) 상에서 다양한 규격의 파렛트의 안착 및 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Warehouse rack structure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nveyor belt having a wide contact area can be seated and moved pallets of various specifications on the rail 320 for cargo sliding.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에 대하여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와이어 당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들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4 to 1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from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device of the warehouse rac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wire pulling member of the warehouse rac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Figures 18 to 18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4)은 수납공간(14)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수납공간(14) 내의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가 몸체(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수납공간(14)의 전방측으로 밀려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1)과 동일하다.The warehouse rack structure 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space 14, the pallet (P) on which the goods (C) in the storage space 14 is loaded body 10 Rack structure for a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afety device 130 to prevent the fall by being push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space 14 by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 Same as 1).

여기서, 안전장치(130)는 도 14와 같이 설치 프레임(131), 회전 롤러(132), 브레이크 부재(135)를 포함한다.Here, the safety device 130 includes an installation frame 131, a rotating roller 132, a brake member 135 as shown in FIG.

설치 프레임(131)은 수납공간(14) 내의 전방측에 위치한 가로 받침(13)상에 고정되고, 중공의 사각 프레임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수평부(131b) 및 수직부(131a)를 형성하고 있으며, 수평부(131b)는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되어 있고 수직부(131a)의 내측은 수평부(131b)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부(131a) 및 수평부(131b)의 측면에는 장방형의 축 결합홈(131c, 131d)이 형성되어 있다.The installation frame 131 is fixed on the horizontal support 13 located on the front side in the storage space 14, and the hollow rectangular frame is bent at a right angle to form the horizontal portion 131b and the vertical portion 131a. The upper and front surfaces of the horizontal portion 131b are open, and the inside of the vertical portion 131a communicates with the horizontal portion 131b. In addition, rectangular shaft coupling grooves 131c and 131d are formed at the side surfaces of the vertical portion 131a and the horizontal portion 131b.

회전 롤러(132)는 롤러(132a)가 회전축(132b)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회전축(132b)은 설치 프레임(131)의 수평부(131b)에 형성된 축 결합홈(131d)에 체결된다. 그리고 회전 롤러(132)는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0)의 롤러(22) 와 수평되게 설치되고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가 수납 및 인출될 때 수평부(131b)의 축 결합홈(131d) 내에서 전, 후로 이송될 수 있다.The rotating roller 13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oller 132a is rotatable on the rotating shaft 132b, and the rotating shaft 132b is fastened to the shaft coupling groove 131d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131b of the installation frame 131. And the rotating roller 132 is installed horizontally with the roller 22 of the cargo sliding rail 20, the shaft coupling groove of the horizontal portion (131b) when the pallet (P) loaded with the goods (C) is stored and taken out It can be conveyed before and after within 131d.

브레이크 부재(135)는 브레이크(133), 지지편(134)으로 구성되며, 브레이크(133)는 상부가 반원 형태인 고무 재질의 블록으로 구성되며, 지지편(134)은 브레이크(133)의 하부를 내측에 수용하여 고정하고 측면에 결합축(134b)을 갖는 수용부(134a)와 수용부(134a)의 하단에 구비되어 후방이 상향지게 경사지고 와이어 당김부재(100)의 눌림판(71)의 상단에 지지되는 지지부(134c) 로 이루어져 있다.The brake member 135 includes a brake 133 and a support piece 134, and the brake 133 is formed of a block of rubber material having an upper portion of a semicircular shape, and the support piece 134 is a lower portion of the brake 133. And received at the inner side and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134a and the accommodating part 134a having the coupling shaft 134b on the side thereof, and the rear plate is inclined upwardly and the pressing plate 71 of the wire pulling member 100. The support portion 134c is supported on the top of the.

한편, 지지편(134)의 지지부(134c)가 지지되기 위하여 도 15와 같이 와이어 당김부재(100)의 이동몸체(60)의 상판(60a) 중앙에는 절개부(64)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upport the support portion 134c of the support piece 134, as shown in FIG. 15, the cut portion 6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60a of the moving body 60 of the wire pulling member 100.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4)은 평상시 안전장치(130)의 브레이크 부재(135)가 와이어 당김부재(100)의 눌림판(71)의 상단에 지지되어 있다.In the warehouse rack structure 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e member 135 of the safety device 130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plate 71 of the wire pulling member 100. .

이러한 상태에서 수납공간(14) 내에 상품(C)을 수납할 때 파렛트(P)가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0) 및 안전장치(130)의 회전 롤러(132) 상에 안착된 상태로 포크리프트에 의해 밀려 들어가면 도 16과 같이 회전 롤러(132)는 회전되면서 설치 프레임(131)의 수평부(131b)에 형성된 축 결합홈(131d)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어 브레이크 부재(135)와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부재(135)의 간섭 없이 용이하게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를 수납공간(14) 내측에 수납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storing the goods (C) in the storage space 14, the pallet (P) is mounted on the rotary roller 132 of the cargo sliding rail 20 and the safety device 130 to the forklift When pushed in by the rotary roller 132 as shown in FIG. 16 while being rotated and moved rearward along the shaft coupling groove 131d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131b of the installation frame 131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brake member 135 Accordingly, the pallet P on which the goods C are loaded can be easily stored inside the storage space 14 without interference of the brake member 135.

또한 와이어 당김부재(100)를 전진시켜서 수납공간(14) 내의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를 인출할 때, 포크에 의해 눌림판(71)이 눌려서 눌림판(71)이 지지편(134)의 지지부(134c)와 이격됨에 따라 안전장치(130)의 브레이크 부재(135)는 지지편(134)의 결합축(134b)이 설치 프레임(131)의 수직부(131a)에 형성된 축 결합홈(131c) 내에서 가이드되면서 도 17과 같이 회전 롤러(132)와 이격되는 높이로 하강되며, 이에 따라 회전 롤러(132)가 수직부(131a)측으로 이동되어도 회전 롤러(132)가 자유롭게 회전되어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가 수납공간(14)의 전방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도 브레이크 부재(135)의 간섭 없이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re pulling member 100 is advanced to withdraw the pallet P on which the goods C in the storage space 14 are loaded, the pressing plate 71 is pressed by a fork, so that the pressing plate 71 is supported. As the brake member 135 of the safety device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134c of the 134, the coupling shaft 134b of the support piece 134 is formed on the vertical portion 131a of the installation frame 131. While being guided in the coupling groove 131c and lowered to a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rotary roller 132 as shown in FIG. 17, the rotary roller 132 is free to rotate even when the rotary roller 132 is moved toward the vertical portion 131a. The pallet P on which the goods C are loaded can be easily moved without interference of the brake member 135 even when the pallet P on which the goods C are loaded moves to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space 14. have.

한편, 랙구조물(4)의 몸체(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수납공간(14) 내에 수납된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가 충격에 의해 수납공간(14)의 전방측으로 밀리면서 이탈될 수 있는데, 이때 안전장치(130)에 의해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body 10 of the rack structure 4, the pallet P loaded with the goods C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4 is push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space 14 by the impact. While being separated, the safety device 130 can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pallet (P) loaded with the goods (C).

즉, 랙구조물(4)의 몸체(10)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수납공간(14) 내에 수납된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가 충격에 의해 수납공간(14)의 전방측으로 밀리면 회전 롤러(132)가 회전되면서 설치 프레임(131)의 수평부(131b)를 따라 수직부(131a)측으로 이동되고, 도 18과 같이 회전 롤러(132)가 브레이크 부재(135)의 브레이크(133)에 밀착되고, 이에 의해 회전 롤러(132)가 브레이크(133)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을 멈추어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의 이동이 멈추도록 한다.That is,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body 10 of the rack structure 4 from the outside, the pallet P on which the goods C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4 are loaded is moved to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space 14 by the impact. When the back surface is rotated, the rotating roller 132 is moved along the horizontal portion 131b of the mounting frame 131 to the vertical portion 131a, and the rotating roller 132 is brake 133 of the brake member 135 as shown in FIG. 18. ), The rotary roller 132 stops rotation by friction with the brake 133, thereby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pallet (P) on which the goods (C) are loaded.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랙구조물(4)은 수납공간(14)의 전방측에 안전장치(130)가 설치되어 상품(C)의 수납 및 인출이 자유로우면서 외부 충격에 의해 상품(C) 및 파렛트(P)가 수납공간(14)의 전방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파렛트(P) 및 상품(C)이 수납공간(14)의 외측으로 이탈 및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rehouse rack structure 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afety device 13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space 14,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goods (C) is free and external impact B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goods (C) and the pallet (P) to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space 14 to prevent the pallet (P) and goods (C) from falling out and falling out of the storage space (14). Can be.

10 : 몸체 11 : 지지부재
12 : 포스트 13 : 가로 받침
14 : 수납공간 20 :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
21 : 안착홈 22 : 롤러
30 : 제1 가이드레일 40 : 후방지지대
41 : 바닥판 42 : 전면프레임
43 : 후방프레임 44 : 캐스트
50 : 와이어 60 : 이동몸체
61 : 삽입구멍 62 : 캐스트
63 : 수용공간 64 : 절개부
70 : 탄발장치 71 : 눌림판
72 : 돌출스크류 73 : 탄성스프링
74 : 너트 80 : 와이어 물림장치
81 : 상부 몸체 82 : 하부 몸체
90 : 당김스프링 100 : 와이어 당김부재
110 : 복귀스프링 120 : 제2 가이드레일
10 body 11 support member
12: Post 13: Horizontal Stand
14: storage space 20: cargo sliding rail
21: seating groove 22: roller
30: first guide rail 40: rear support
41: bottom plate 42: front frame
43: rear frame 44: cast
50: wire 60: moving body
61: insertion hole 62: cast
63: accommodation space 64: incision
70: bullet device 71: pressing plate
72: protruding screw 73: elastic spring
74: nut 80: wire gripping device
81: upper body 82: lower body
90: pulling spring 100: wire pulling member
110: return spring 120: second guide rail

Claims (6)

지지부재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포스트가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들에 수평 방향으로 가로 받침이 결합되어 각 층마다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진 몸체를 구비하는 물류창고용 랙구조물로서,
상기 몸체(10)의 각 수납공간(14)내의 좌, 우에 배치되게 상기 가로 받침(13) 상에 복수로 고정 설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0. 220, 320);
상기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레일(30);
상기 몸체(10)의 각 수납공간(14)내의 후방에 배치되고 저면에 캐스트(44)가 구비되어 상기 캐스트(44)가 상기 제1 가이드레일(30)을 타고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14)내의 상품(C)을 인출시 상기 상품(C)이 적재된 파렛트(P)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후방지지대(40);
일단이 상기 후방지지대(40)의 전방측 하부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로 받침(13)의 상, 하측 둘레를 경유하여 상기 후방지지대(40)의 후방측 하부에 고정되게 상기 후방지지대(40)의 하부 좌, 우측에 설치되는 와이어(50);
상기 가로 받침(13)의 하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레일(120);
상면 전, 후방에 복수의 캐스트(62)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레일(120)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캐스트(62)가 상기 제2 가이드레일(120)을 타고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14)의 후방측으로 전진시 상기 와이어(50)를 물고 이동하여 상기 와이어(50)를 당겨서 상기 후방지지대(40)를 전진시킨 후 상기 와이어(50)의 물림이 해제된 상태로 최초 위치로 복귀되는 와이어 당김부재(100);
일단이 상기 가로 받침(13)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와이어 당김부재(1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 당김부재(100)가 전진된 후 수축되면서 상기 와이어 당김부재(100)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10);을 포함하는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A plurality of posts fixed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support member are installed, and a rack structure for a warehouse having a body in which a horizontal support is coupled to the posts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storage space that is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ach floor. as,
Cargo sliding rails (20. 220, 320) fixed in a plurality of on the horizontal support 13 to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in each storage space 14 of the body (10) and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guide rails 3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argo sliding rail 20;
It is disposed in the rear of each storage space 14 of the body 10 and is provided with a cast 44 on the bottom so that the cast 44 slides before and after riding the first guide rail 30 A rear support (40) for transferring the pallet (P) loaded with the goods (C) to the front when the goods (C) in the storage space (14) is withdrawn;
One end is fixed to the lower front side of the rear support 40 and the other end of the rear support 40 along the upper and lower circumference of the horizontal support 1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14). A wire 50 install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support 40 to be fixed to the lower rear side;
A plurality of second guide rails 120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support 13;
A plurality of casts 62 are installed before and after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re disposed below the second guide rails 120 so that the plurality of casts 62 may slide forward and backward on the second guide rails 120. Installed to move to the rear side of the storage space 14, the wire 50 is moved to the state by pulling the wire 50 to advance the rear support 40 and then the bite of the wire 50 is released A wire pulling member 100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o a furnace;
One end is fixed to any one of the horizontal support 13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wire pulling member 100 is the wire pulling member 100 is advanced and then contracted while the wire pulling member 100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comprising a; return spring 110 to retu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당김부재(100)가
전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수용공간(63)을 가지며 상면 전, 후방에 복수의 상기 캐스트(62)가 설치되어 상기 캐스트(62)에 의해 전, 후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이동몸체(60),
상기 이동몸체(60)의 전방 좌, 우측에 연결되고 일측이 힌지연결된 복수의 몸체(81, 82)로 구성되어 하부 몸체(82)가 상, 하로 회동되면서 상기 이동몸체(60)가 전진시 상기 와이어(50)를 물고 상기 이동몸체(60)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이동몸체(60)의 복귀시 물려있는 와이어(50)로부터 상기 하부 몸체(82)가 이격되는 와이어 물림장치(80),
상기 수용공간(63) 내에 상기 수용공간(63)의 내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되 탄성적으로 눌림 및 복귀되게 설치되고 전면 양측이 상기 이동몸체(60) 좌, 우측에 위치한 상기 와이어 물림장치(80) 각각의 하부에 연결되어 눌림시 상기 와이어 물림장치(80)의 하부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복귀시 상기 와이어 물림장치(80) 하부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탄발장치(70),
일단이 상기 탄발장치(7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와이어 물림장치(80)의 하부 몸체(82)에 고정되어 상기 탄발장치(70)의 눌림시 인장되면서 상기 하부 몸체(82)를 당겨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며 상기 탄발장치(70)의 복귀시 인장력이 해제되어 상기 하부 몸체(82)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당김스프링(90)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50)는 상기 와이어 물림장치(80)의 두 몸체(81, 82) 사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 pulling member 100
The front body is open and has a receiving space (63) inwardly and a plurality of the cast 62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the movable body 60 is installed to slide back and forth by the cast 62,
The lower body 82 is rotated up and down as the lower body 82 is rotated up and down by being connected to the front left and right of the movable body 60 and one side is hinged, the moving body 60 when the A wire biting device 80 that bites a wire 50 and moves together with the movable body 60, wherein the lower body 82 is spaced apart from the wire 50 that is bitten upon return of the movable body 60.
The wire gripping device 8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63 in the accommodation space 63 and is elastically pressed and returned, and the front both sides are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able body 60. A ballistic device 70 for connecting the lower part of the wire biting device 80 to be rotated upward when pressed and being connected to each lower part, and causing the lower part of the wire biting device 80 to be rotated downward when it is returned;
One end is fix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arburetor 7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ower body 82 of the wire biting device 80 is tensioned when the carburetor 70 is pressed while the lower body 82 ), And a pulling spring 90 to release the tension force upon the return of the bullet device 70 so that the lower body 82 is rotated downward by pulling
The wire 50 is a rack structure for a warehouse that is installed to penetrate between two bodies (81, 82) of the wire biting device (8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장치(70)는
상기 수용공간(63)의 내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눌림판(71),
상기 눌림판(71)의 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수용공간(63)의 내면을 관통하여 상기 눌림판(71)을 상기 이동몸체(60)와 연결하기 위한 돌출스크류(72),
상기 돌출스크류(72)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눌림판(71)을 누르는 외부 힘이 해제될 때 상기 수용공간(6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74),
상기 돌출스크류(72)에 끼움되어 상기 눌림판(71)과 상기 수용공간(63)의 내면 사이에 탄성지지되고 상기 눌림판(71)을 누르는 외부 힘이 해제되면 상기 눌림판(71)을 즉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스프링(73)을 포함하는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2,
The shotgun device 70
The pressing plate 71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63,
Protruding screw 72 for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71 and penetra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63 to connect the pressing plate 71 to the moving body 60;
Nut 74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protruding screw 72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receiving space 63 when the external force for pressing the pressing plate 71 is released,
The pressing plate 71 is immediately inserted when the external force that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screw 72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7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63 and presses the pressing plate 71 is released. Rack structure for a warehouse comprising an elastic spring (73) for retur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0, 220, 320)은 상면이 개방되거나 막힌 직육면체의 바(bar) 형태로 구성되거나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되며,
상면이 막힌 직육면체의 바 형태로 구성될 경우 상품(C)을 적재하는 파렛트(P')는 저면에 상기 화물 슬라이딩용 레일(220)의 측면에 대응되는 이탈방지판(P'-b)을 설치하고 상기 이탈방지판(P'-b)의 일측에 캐스트(P'-a)가 설치되게 제작된 것을 사용하는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go sliding rails (20, 220, 3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ar (bar)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closed on the upper surface, or is composed of a conveyor belt,
Whe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r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pallet P 'for loading the goods C is provided with a departure preventing plate P'-b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cargo sliding rail 220 on the bottom. And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using the cast (P'-a) is installed to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P'-b).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은
상기 수납공간(14)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14) 내의 상품(C)을 적재한 파렛트(P)가 상기 몸체(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14)의 전방측으로 밀려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130)를 더 포함하는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The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The pallet P installed at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space 14 and storing the goods C in the storage space 14 is applied to the body 10 by an external impact. Rack structure for the warehouse further comprising a safety device (130) to prevent the falling to the front s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130)가
상기 수납공간(14)의 전방측에 배치되게 상기 가로받침(13) 상에 고정되고 수평부(131b) 및 수직부(131a)를 갖는 설치 프레임(131),
상기 설치 프레임(131)의 수평부(131b) 내에서 전, 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롤러(132),
상기 설치 프레임(131)의 수직부(131a) 내에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와이어 당김부재(100)의 상기 눌림판(71)에 지지되어 상기 눌림판(71)이 눌려서 전진 및 복귀되는 동작에 의해 승, 하강되며 승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롤러(132)가 밀착되면 상기 회전 롤러(132)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부재(135)를 포함하는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5,
The safety device 130
An installation frame 131 fixed on the horizontal support 13 to be disposed at the front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4 and having a horizontal portion 131b and a vertical portion 131a,
Rotating roller 132 is installed to be moved back and forth within the horizontal portion (131b) of the installation frame 131,
It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portion 131a of the mounting frame 131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a lower end is supported by the pressing plate 71 of the wire pulling member 100 so that the pressing plate 71 is pressed forward and Rack structure for a warehouse, including a brake member 135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rotary roller 132 when the rotary roller 132 is in close contact in the lift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to be returned.
KR1020110018699A 2011-03-03 2011-03-03 Rack constructionfor distribution warehouse KR1010499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699A KR101049977B1 (en) 2011-03-03 2011-03-03 Rack constructionfor distribution warehouse
PCT/KR2012/001448 WO2012118307A2 (en) 2011-03-03 2012-02-27 Rack structure for a distribution ware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699A KR101049977B1 (en) 2011-03-03 2011-03-03 Rack constructionfor distribution wareho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977B1 true KR101049977B1 (en) 2011-07-19

Family

ID=4492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699A KR101049977B1 (en) 2011-03-03 2011-03-03 Rack constructionfor distribution warehous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9977B1 (en)
WO (1) WO2012118307A2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6020A (en) * 2012-10-19 2013-03-20 天海欧康科技信息(厦门)有限公司 Through type dense goods storage shelf
KR101377871B1 (en) 2012-05-17 2014-03-24 김대진 Load apparatus for storage and retrieval of tote box in automated wareho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4063A1 (en) * 2014-11-10 2016-05-19 Yves Fourage Pallet displacement system for a pallet storage assembly
ES2800699T3 (en) * 2015-12-29 2021-01-04 Xiaoyu Guo Pallet moving system for a pallet storage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895A (en) * 1991-11-16 1993-06-21 이희종 Automatic loading and taking out device
KR950012970B1 (en) * 1992-10-19 1995-10-24 박수은 Storage device
JPH10139111A (en) 1996-09-13 1998-05-26 Daifuku Co Ltd Article storing device
KR20020067231A (en) * 2001-02-16 2002-08-22 이시영 pallet collec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circulation of cargoes in the freight-storage storehou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54054A0 (en) * 2003-01-20 2003-07-31 Central Bottling Co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895A (en) * 1991-11-16 1993-06-21 이희종 Automatic loading and taking out device
KR950012970B1 (en) * 1992-10-19 1995-10-24 박수은 Storage device
JPH10139111A (en) 1996-09-13 1998-05-26 Daifuku Co Ltd Article storing device
KR20020067231A (en) * 2001-02-16 2002-08-22 이시영 pallet collec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circulation of cargoes in the freight-storage storehou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871B1 (en) 2012-05-17 2014-03-24 김대진 Load apparatus for storage and retrieval of tote box in automated warehouse
CN102976020A (en) * 2012-10-19 2013-03-20 天海欧康科技信息(厦门)有限公司 Through type dense goods storage shel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8307A3 (en) 2012-12-20
WO2012118307A9 (en) 2012-11-01
WO2012118307A2 (en) 201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4154B1 (en) Storing plant
KR101049977B1 (en) Rack constructionfor distribution warehouse
CA2591504C (en) Cantilever pallet cart
DE602005004767T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bulky load
US4155462A (en) Storage racks for warehouses and the like
KR20130109555A (en) Rack constructionfor distribution warehouse
US7114904B2 (en) Push-back pallet storage system
US20180111651A1 (en) Assembly for storing bicycles
CA3003487C (en) Pallet displacement system for a pallet storage assembly
US20210163221A1 (en) Automated storage system having guided transfer means
KR20150126460A (en) Pallet carrier
KR20130095348A (en) Rack constructionfor distribution warehouse
CN211137522U (en) Assembling device for wooden pallet
JP5362272B2 (en) Auto 3D warehouse
AT519709A1 (en) Storage rack for stored goods and shelf control device for storing and retrieving the stored goods
KR20130095347A (en) Rack constructionfor distribution warehouse
US6792879B2 (en) Storage shelf for goods or packaged goods like loaded pallets
JPH0367807A (en) Automatic warehouse
US10431781B2 (en) Battery loading magazine
CN115246545B (en) Drawer type high-rise goods shelves for commodity circulation
JP2010013238A (en) Automatic high-rise warehouse
CN113753589A (en) Material adding device and method and container processing system
JPH0367806A (en) Goods storing device
KR101252785B1 (en) Sliding cart equipped with logistics warehouse loading device
CN220200281U (en) Automatic material storage system of aluminum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